KR20220044097A - 직기의 프레임 - Google Patents

직기의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4097A
KR20220044097A KR1020210111522A KR20210111522A KR20220044097A KR 20220044097 A KR20220044097 A KR 20220044097A KR 1020210111522 A KR1020210111522 A KR 1020210111522A KR 20210111522 A KR20210111522 A KR 20210111522A KR 20220044097 A KR20220044097 A KR 20220044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oom
side frames
offse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이치 묘기
다이고 야마기시
고이치 다무라
가즈야 야마
Original Assignee
츠다코마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츠다코마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츠다코마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44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40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2Construction of loom framework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2Construction of loom framework
    • D03D49/027Arrangements or means for noise reducti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14Apparatus for threading warp stop-motion droppers, healds, or re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빔재에 의해 양 사이드 프레임이 연결되어 구성된 프레임을 가지는 직기(織機)에 있어서, 바디치기 진동에 대한 내진성(耐震性)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또한 각 사이드 프레임의 내측면에서의 장착부에 빔재가 장착됨으로써 복수의 빔재에 의해 양 사이드 프레임이 연결되어 구성된 프레임으로서, 개구 장치의 종광 프레임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종광 프레임 가이드를 각 사이드 프레임이 지지하는 직기의 프레임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사이드 프레임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내측면 중 경사(warp threads) 방향에서의 상기 종광 프레임 가이드를 지지하는 위치에 위치하는 부분을 기준면으로 한 후에, 복수의 상기 빔재 중 적어도 1개를 장착하는 상기 장착부가, 상기 기준면보다 상기 프레임에서의 내측에 위치하는 오프셋 장착부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직기의 프레임{FRAME OF LOOM}
본 발명은,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또한 각 사이드 프레임의 내측면에서의 장착부에 빔재가 장착됨으로써 복수의 빔재에 의해 양 사이드 프레임이 연결되어 구성된 프레임으로서, 개구 장치의 종광 프레임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종광 프레임 가이드를 각 사이드 프레임이 지지하는 직기(織機)의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직기에서의 프레임은,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복수의 빔재로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 프레임은, 하우징 형상의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또한 각 사이드 프레임의 내측면에 장척(長尺)의 빔재가 장착됨으로써, 양 사이드 프레임이 복수의 빔재에 의해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직기는, 개구 장치에서의 종광 프레임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종광 프레임 가이드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그 종광 프레임 가이드는, 프레임에서의 각 사이드 프레임에 지지되는 형태로 직기 상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직기는, 제직(製織)하는 직물의 짜는 폭(織幅)을 기준으로 하여 그 사양이 정해져 있다. 그리고, 직기에 탑재되는 종광 프레임은, 그 직기에 있어서 제직할 수 있는 최대의 짜는 폭에 따른 폭으로 되어 있다. 또한, 그 직기에 있어서는, 종광 프레임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종광 프레임 가이드에 의해 상하 이동을 안내하지만, 그 종광 프레임 가이드는, 대응하는 사이드 프레임에 장착된 브래킷(bracket) 등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그 한 쌍의 종광 프레임 가이드의 간격은, 직기의 폭 방향에서의 양쪽 브래킷의 위치에 의해 획정(劃定)된다. 따라서, 그 브래킷이 장착되는 양 사이드 프레임의 간격은, 그 각 사이드 프레임에 대하여 브래킷를 통하여 지지되는 한 쌍의 종광 프레임 가이드가 종광 프레임을 전술한 바와 같이 안내할 수 있는 간격으로 배치된 상태가 되도록 설정된다. 즉, 프레임에서의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의 간격은, 그 브래킷이 장착되는 위치(경사(warp threads) 방향에서의 종광 프레임 가이드를 지지하는 위치)의 간격이 상기와 같은 종광 프레임 가이드의 배치를 실현하도록 되어 있고, 종광 프레임의 폭을 고려한 그 브래킷이 장착되는 위치의 간격을 기준으로 하여 정해져 있다.
참고로, 많은 직기에서는, 그 브래킷은, 사이드 프레임의 내측면에 대하여 장착되어 있다. 즉, 사이드 프레임에서의 브래킷이 장착되는 위치는, 그 내측면이 되어 있다. 또한, 그 내측면은, 약간의 요철은 있지만, 대략 평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4―084110호 공보
이러한 직기에 있어서는, 바디(reed)를 지지하는 로킹 축이 양 사이드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제직 중의 바디치기 동작에 따라, 양 사이드 프레임에 심한 진동(이른바, 바디치기 진동)이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그러한 직기에 있어서는, 그 바디치기 진동의 발생에 따라, 직기의 프레임 전체가 격렬하게 진동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최근에 있어서는 직기의 운전이 고속화되는 경향이 있어, 그러한 직기의 고속화에 따라, 그 진동은 보다 심하게 된다. 그리고, 직기의 프레임 전체가 심하게 진동하면, 그 프레임에 지지된 각 장치가 진동하여, 제직에 악영향을 끼쳐 제직되는 직포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직기의 프레임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복수의 빔재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이 연결되어 구성된 프레임을 가지는 직기에 있어서, 상기한 바디치기 진동에 대한 내진성(耐震性)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또한 각 사이드 프레임의 내측면에서의 장착부에 빔재가 장착됨으로써 복수의 빔재에 의해 양 사이드 프레임이 연결되어 구성된 프레임으로서, 개구 장치의 종광 프레임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종광 프레임 가이드를 각 사이드 프레임이 지지하는 직기의 프레임을 전제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한 쌍의 상기 사이드 프레임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내측면 중 경사 방향에서의 상기 종광 프레임 가이드를 지지하는 위치에 위치하는 부분을 기준면으로 한 후, 복수의 상기 빔재 중 적어도 1개를 장착하는 상기 장착부가, 상기 기준면보다 상기 프레임에서의 내측에 위치하는 오프셋 장착부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직기의 프레임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빔재는, 상기 종광 프레임 가이드보다 권취 측에 상하 방향으로 위치를 상이하게 하여 설치된 2개의 권취 측 빔재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셋 장착부는, 상기 권취 측 빔재 중 상측의 빔재가 장착되는 상기 장착부가 되도록 그 프레임이 구성된 것이라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복수의 빔재에 의해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이 연결되어 구성된 프레임을 가지는 직기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빔재 중 적어도 1개(이하, 「대상 빔재」라고 함)에 대하여, 그 대상 빔재를 장착하는 장착부가, 상기한 기준면보다 직기의 폭 방향에서의 내측에 위치하는 오프셋 장착부가 되도록 형성된 구성으로 된다. 이로써, 그 프레임은 바디치기 진동에 대한 내진성이 향상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하와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직기의 프레임에 있어서,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의 간격은, 각 종광 프레임 가이드에 대응하는 브래킷이 장착되는 위치의 간격을 기준으로 하여 정해져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그와 같이 간격이 정해지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상기 대상 빔재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상기 기준면보다 상기 내측에 위치하는 오프셋 장착부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프레임(사이드 프레임)이 그와 같이 구성된 경우, 프레임이 종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대상 빔재의 길이 치수는 작아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길이 치수가 작아지게 됨으로써, 대상 빔재는, 프레임에서의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휘기 어렵게 된다. 그 결과, 그러한 빔재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이 연결되어 구성된 프레임은, 전체로서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진동하기 어렵게 된다. 즉, 그 프레임은, 내진성이 향상되게 된다. 따라서, 그러한 프레임에 의하면, 종래 구성의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바디치기 진동이 발생하는 상태라도, 프레임 전체의 진동이 가급적 작아지므로, 진동에 기인하는 직포의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직기의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한 대상 빔재를 권취 측에 상하 방향으로 위치를 상이하게 하여 설치된 2개의 권취 측 빔재 중 상측의 빔재로 하는, 즉 오프셋 장착부를 그 상측의 빔재가 장착되는 상기 장착부로 함으로써, 프레임의 내진성의 향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직기에 있어서는, 바디치기 진동을 발생시키는 로킹 축의 사이드 프레임에서의 지지 위치는, 프레임의 전후 방향에서의 상기 종광 프레임 가이드에 대한 권취 측이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후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빔재 중 종광 프레임 가이드에 대한 권취 측의 빔재인 권취 측 빔재는, 종광 프레임 가이드에 대한 송출 측의 빔재인 송출 측 빔재와 비교하여, 로킹 축으로부터의 거리가 짧은 것에 기인하여 바디치기 진동의 영향을 받기 쉽다. 또한, 각 사이드 프레임은, 앵커 볼트에 의해 직기의 설치면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각 사이드 프레임은, 그 상측 부분이 하측 부분과 비교하여 진동이 발생하기 쉽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하 방향으로 위치를 상이하게 하여 설치된 2개의 빔재를 비교한 경우, 상측의 빔재 쪽이 하측의 빔재보다 바디치기 진동의 영향을 받기 쉽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상기 복수의 빔재 중 바디치기 진동의 영향을 받기 쉬운 빔재인 상기 권취 측 빔재 중 상측의 빔재를 상기 대상 빔재로 함으로써, 프레임의 내진성의 향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직기의 프레임의 상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직기의 프레임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직기의 프레임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도 4에 기초하여, 본 발명이 적용된 직기의 프레임의 일 실시형태(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직기에 있어서, 프레임(1)은,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 2)을 주체로 하고, 그 양 사이드 프레임(2, 2)이 4개의 빔재(3a, 3b, 3c, 3d)로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사이드 프레임(2)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 사이드 프레임(2, 2)은, 그 폭 방향(두께 방향=직기의 폭 방향)에 있어서 대향한 상태로, 빔재(3a, 3b, 3c, 3d)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직기에 있어서는, 그 전후 방향에서의 한쪽에 있어서, 양 사이드 프레임(2, 2)에 지지를 받는 형태로, 경사 T를 송출하기 위한 경사 빔(6)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그 직기의 상기 전후 방향에서의 다른 쪽 측으로는, 제직된 직포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빔(8)이, 양 사이드 프레임(2, 2)에 지지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직기는, 개구 장치에서의 종광 프레임(11)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종광 프레임 가이드(12, 12)를 구비하고 있다. 그 각 종광 프레임 가이드(12)는, 대응하는 사이드 프레임(2)에 장착된 브래킷(14)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로 직기 상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브래킷(14)은, 대응하는 사이드 프레임(2)에 대하여, 그 사이드 프레임(2)의 내측면(9)에 고정되는 형태로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각 브래킷(14)은, 프레임에 대하여 장착되는 판형의 지지판(14a)과, 지지판(14a)의 한쪽 단면로부터 돌출되도록 지지판(14a)에 장착된 지지 샤프트(14b)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각 브래킷(14)은, 지지 샤프트(14b)가 사이드 프레임(2)의 상면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또한 지지 샤프트(14b)가 직기의 내측을 향하는 형태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2)의 내측면(9)에 고정되어 있다. 다만, 그 장착 위치는, 상기 전후 방향에 관해서는, 지지 샤프트(14b)가 사이드 프레임(2)의 대략 중앙이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종광 프레임 가이드(12)는, 그 브래킷(14)에서의 지지 샤프트(14b)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형태로, 그 브래킷(14)을 통하여 대응하는 사이드 프레임(2)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폭 방향에서의 사이드 프레임(2)과 종광 프레임 가이드(12)의 위치 관계는, 사이드 프레임(2)의 내측면(9)으로부터 대략 브래킷(14)분만큼 종광 프레임 가이드(12)가 이격하도록 되어 있다.
그 종광 프레임 가이드(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2)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상하 방향(연직(沿直) 방향)으로 간극을 두고 설치된 상태가 되는 2개의 안내부(12b)를 가지고 있다. 또한, 그 각 안내부(12b)는, 그 직기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종광 프레임(11)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안내홈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 직기에 있어서는, 각 종광 프레임(11)은, 그 양 측부가 한 쌍의 종광 프레임 가이드(12, 12)의 안내홈으로 안내되어 설치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각 종광 프레임 가이드(12)에서의 안내홈의 위치가, 그 직기에서의 각 사이드 프레임(2) 측에 있어서, 종광 프레임(11)을 안내하는 위치가 된다. 그리고, 그 안내 위치는, 상기와 같은 사이드 프레임(2)과 종광 프레임 가이드(12)의 위치 관계로부터, 사이드 프레임(2)(내측면(9))의 위치에 의해 획정된다. 따라서, 그 사이드 프레임(2)의 내측면(9)에서의 브래킷(14)을 장착하는 부분(면)이, 그 안내 위치를 구획하는 기준면(10)이 되어 있다.
또한, 직기에 있어서는, 제직하는 직물(W)의 짜는 폭을 기준으로 하여 그 사양이 정해져 있다. 그리고, 그 직기에 탑재되는 종광 프레임(11)은, 그 직기의 사양(제직할 수 있는 최대의 짜는 폭)에 따른 폭의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그러한 종광 프레임(11)을 안내하기 위해 설치된 한 쌍의 종광 프레임 가이드(12, 12)를 지지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 2)의 간격은, 그 종광 프레임(11)의 폭, 및 상기한 사이드 프레임(2)과 종광 프레임 가이드(12)의 위치 관계를 고려하여 설정된다. 그리고, 그렇게 간격이 설정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 2)에 포함되는 한 쌍의 상기한 기준면(10, 10)의 간격도, 그 사이드 프레임(2, 2)의 간격에 따라 획정된다.
그리고, 그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 2)을 연결하는 상기 4개의 빔재에 대하여, 그 중의 2개의 빔재(3a, 3b)가 상기 전후 방향에서의 권취빔 측(8)에 배치되는 권취 측의 빔재(권취 측 빔재(3a, 3b))로서 설치되어 있고, 나머지 2개의 빔재(3c, 3d)가 상기 전후 방향에서의 경사 빔(6) 측에 배치되는 송출 측의 빔재(송출 측 빔재(3c, 3d))로서 설치되어 있다. 권취 측 빔재(3a, 3b)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위치를 상이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측의 빔재(3a)가 소위 프론트 톱 스테이이며, 하측의 빔재(3b)가 소위 프론트 바텀 스테이이다. 또한, 송출 측 빔재(3c, 3d)도, 상하 방향으로 서로 위치를 상이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측의 빔재(3c)가 소위 리어 톱 스테이이며, 하측의 빔재(3d)가 소위 리어 바텀 스테이이다.
그리고, 프론트 톱 스테이(3a) 및 리어 톱 스테이(3c)는, 그 양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를 가지고 있다. 또한, 그 플랜지에는, 고정을 위한 볼트가 삽통(揷通)되는 관통공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프론트 톱 스테이(3a) 및 리어 톱 스테이(3c)는, 각 플랜지의 관통공에 삽통된 고정용 볼트가 대응하는 사이드 프레임(2)의 내측면(9)에 개구하도록 형성된 관통공에 삽통되고, 그 고정용 볼트에 너트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각 사이드 프레임(2)(내측면(9))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프론트 톱 스테이(3a) 및 리어 톱 스테이(3c)는, 각 사이드 프레임(2)의 내측면(9)에서의 설정된 장착 부분인 장착부에 고정됨으로써, 양 사이드 프레임(2, 2)을 연결하고 있다.
또한, 프론트 바텀 스테이(3b) 및 리어 바텀 스테이(3d)는, 단면 형상이 대략 "コ"자형의 빔재이며, 그 양 단부에 단부를 막도록 형성된 단벽(端壁)을 가지고 있다. 또한, 그 단벽에는, 고정을 위한 볼트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프론트 바텀 스테이(3b) 및 리어 바텀 스테이(3d)는, 각 단벽의 관통공에 삽통된 고정용 볼트가 대응하는 사이드 프레임(2)의 내측면(9)에 개구하도록 형성된 관통공에 삽통되고, 그 고정용 볼트에 너트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각 사이드 프레임(2)(내측면(9))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프론트 바텀 스테이(3b) 및 리어 바텀 스테이(3d)는, 각 사이드 프레임(2)의 내측면(9)에서의 설정된 장착 부분인 장착부에 고정됨으로써, 양 사이드 프레임(2, 2)을 연결하고 있다.
직기에서의 주축(主軸)(16)은, 프론트 톱 스테이(3a)와 평행한 방향, 즉 직기의 폭 방향(이하, 간단히, 「폭 방향」이라고 함)과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그 양 단부에 있어서 양 사이드 프레임(2, 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그 주축(16)의 지지 위치는, 상기 전후 방향에 관해서는, 프론트 톱 스테이(3a)와 브래킷(14)(종광 프레임 가이드(12)) 사이의 위치로 되어 있고, 상하 방향에 관해서는, 그 상단(上端)(상부 에지)이 프론트 톱 스테이(3a)의 하면의 근방이 되는 위치로 되어 있다.
또한, 직기는, 바디(5)를 요동(搖動) 구동하는 바디치기 기구(機構)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그 바디치기 기구에 있어서는, 바디(5)는, 복수의 슬레이 소드 등을 통하여 로킹 축(4)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그 로킹 축(4)은, 상기 폭 방향과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그 양 단부에 있어서 양 사이드 프레임(2, 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그 로킹 축(4)의 지지 위치는, 상기 전후 방향에 관해서는, 전술한 주축(16)과 거의 동일한 위치로 되어 있고, 상하 방향에 관해서는, 주축(16)에 대한 위쪽으로서 프론트 톱 스테이(3a)와 중복되는 위치로 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그 직기는, 제직된 직포(W)를 직포 밀도에 따른 속도로 권취 빔(8) 측에 보내는 권취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그 권취 기구는, 복권(服卷) 롤(15), 및 압압(押壓)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복권 롤(15)에 압압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프레스 롤(15b, 15b)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그 복권 롤(15)은, 상기 폭 방향과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그 양 단부에 있어서 양 사이드 프레임(2, 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그 복권 롤(15)의 지지 위치는, 상기 전후 방향에 관해서는, 프론트 톱 스테이(3a)에 대하여 상기한 주축(16)과는 반체(反體) 측의 위치로 되어 있고, 상하 방향에 관해서는, 프론트 톱 스테이(3a)와 중복되는 위치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직기의 프레임(1)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의 양쪽 또는 한쪽에서의 상기한 복수의 각 장착부 중 적어도 1개가, 상기한 기준면(10)보다 프레임(1)에서의 내측에 위치하는 오프셋 장착부가 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양 사이드 프레임(2, 2)에서의 프론트 톱 스테이(3a) 및 리어 톱 스테이(3c)의 각 상기 장착부를 그 오프셋 장착부로 한 예다. 그러한 본 실시예의 직기의 프레임(1)에 대하여, 상세하게는, 이하와 같다.
각 사이드 프레임(2)에 있어서, 그 내측면(9)은, 프론트 톱 스테이(3a)를 위한 상기 장착부가 기준면(10)에 대하여 프레임(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폭 방향으로 볼 때 상기 장착부가 되는 범위의 부분이, 기준면(10)을 포함하는 부분에 대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그 상기 장착부는, 그 위치가 기준면(10)에 대하여 프레임(1)의 내측으로 되어 있고, 본 발명에서 일컫는 오프셋 장착부(17)가 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프론트 톱 스테이(3a)를 위한 상기 장착부가, 제1 오프셋 장착부(17)로 되어 있다.
또한, 그러한 각 사이드 프레임(2)의 내측면(9)에 있어서, 리어 톱 스테이(3c)를 위한 상기 장착부에 대해서도, 그 상기 장착부가 기준면(10)에 대하여 프레임(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폭 방향으로 볼 때 상기 장착부가 되는 범위의 부분을 기준면(10)을 포함하는 부분에 대하여 돌출하도록 내측면(9)이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그 상기 장착부는, 그 위치가 기준면(10)에 대하여 프레임(1)의 내측으로 되어 있고, 본 발명에서 일컫는 오프셋 장착부(18)가 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그 리어 톱 스테이(3c)를 위한 상기 장착부도, 제2 오프셋 장착부(18)가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프론트 톱 스테이(3a)를 위한 상기 장착부인 제1 오프셋 장착부(17)는, 상기 폭 방향으로 볼 때, 프론트 톱 스테이(3a)가 장착되는 부분뿐만 아니라, 그보다 넓은 범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오프셋 장착부(17)는, 프론트 톱 스테이(3a)가 장착되는 부분에 더하여, 주축(16), 로킹 축(4) 및 복권 롤(15)의 각 지지 위치를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져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각 사이드 프레임(2)에서의 내측의 측벽(내측벽)에는, 그 제1 오프셋 장착부(17)에 대응하는 부분에, 주축(16), 로킹 축(4) 및 복권 롤(15)을 지지하기 위한 각 베어링(22a, 22b, 22c)이 배치되는 관통공(23a, 23b, 23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각 관통공(23a, 23b, 23c)에는, 베어링(22a, 22b, 22c)을 배치하기 위한 베어링 홀더(19, 20, 21)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주축(16), 로킹 축(4) 및 복권 롤(15)은, 그 베어링 홀더(19, 20, 21)에 의해 각 사이드 프레임(2)에 배치된 각 베어링(22a, 22b, 22c)에 의해, 양 사이드 프레임(2, 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각 베어링 홀더(19, 20, 21)에 대하여, 이들의 구성은 모두 동일하므로, 로킹 축(4)용 베어링 홀더(20)를 예로 설명하면, 그 베어링 홀더(20)는, 관통공(20c)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감삽부(嵌揷部)(20a)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 베어링 홀더(20)는, 감삽부(20a)의 축선 방향에서의 일단 측에 형성된 플랜지부(20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 감삽부(20a)에 대하여, 그 감삽부(20a)는, 그 관통공(20c)의 내경(內徑)이 베어링(22b)을 끼워서 장착한 상태로 수용하는 크기가 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다만, 그 감삽부(20a)는, 그 관통공(20c)의 내경이 상기 일단측의 단부에 있어서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관통공(20c)은, 베어링(22b)을 수용하는 부분(수용 부분)과, 그 수용 부분에 대한 상기 일단 측의 소경(小徑)의 부분(소경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감삽부(20a)는, 그 일단부 측의 단부에, 그 관통공(20c)에서의 상기 소경 부분이 형성된 단부벽(20e)을 가지고 있다. 다만, 그 단부벽(20e)에 형성되는 관통공(20c)의 상기 소경 부분의 내경은, 로킹 축(4)에서의 베어링(22b)에 지지되는 부분인 축 부분의 외경(外徑)과 대략 일치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20b)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감삽부(20a)의 상기 일단 측에 형성되어 있고, 그 두께가 상기한 감삽부(20a)에서의 단부벽(20e)의 두께보다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 플랜지부(20b)의 두께는, 단부벽(20e)의 두께와의 차가 베어링(22b)의 폭의 대략 1/2로 되도록 한 두께가 되어 있다. 그리고, 그 플랜지부(20b)에는, 베어링 홀더(20)를 사이드 프레임(2)(제1 오프셋 장착부(17))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25)가 삽통되는 관통공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어링 홀더(20)는, 그 감삽부(20a)가 관통공(23b)에 끼워져 장착된 상태로, 사이드 프레임(2)에 대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관통공(23b)은, 그 내경이 감삽부(20a)의 외경에 따른 크기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사이드 프레임(2)에 대한 베어링 홀더(20)의 고정은, 플랜지부(20b)의 상기 관통공에 삽통된 고정용 볼트(25)가 대응하는 오프셋 장착부(17)에 개구하도록 형성된 암나사 구멍에 나사 장착됨으로써 행해지고 있다.
그리고, 베어링(22b)은, 관통공(20c)에서의 상기 수용 부분에 끼워져 장착되고 또한, 그 일단 측을 단부벽(20e)과 맞닿게 한 상태로, 베어링 홀더(20) 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수용된 상태에서는, 베어링(22b)은,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 그 폭의 중앙이 베어링 홀더(20)에서의 플랜지부(20b)의 상기 타단 측을 향한 단면의 위치와 대략 일치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베어링 홀더(2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2)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베어링(22b)은, 직기의 폭 방향에 있어서, 그 폭의 중앙이 사이드 프레임(2)에서의 오프셋 장착부(17)의 위치와 대략 일치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즉, 그 구성에 의하면, 상기 폭 방향에 관하여, 로킹 축(4)의 상기 축 부분을 지지하는 베어링(22b)의 위치, 즉 로킹 축(4)의 지지 위치는, 동일한 베어링 홀더를 플랜지부가 기준면(10)과 맞닿도록 사이드 프레임(2)에 장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프레임(1)의 내측의 위치가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직기의 프레임(1)에 있어서는, 양 사이드 프레임(2, 2)에서의 프론트 톱 스테이(3a) 및 리어 톱 스테이(3c)를 위한 각 상기 장착부가, 상기와 같은 오프셋 장착부(17, 18)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프론트 톱 스테이(3a) 및 리어 톱 스테이(3c)는, 그 상기 장착부가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기준면(10)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종래의 프레임의 경우와 비교하여, 그 길이 치수가 작아져 있다. 따라서, 프레임(1)은, 종래와 같이 구성된 것에 비교하여, 프론트 톱 스테이(3a) 및 리어 톱 스테이(3c)가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에 휘기 어렵게 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전체로서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진동하기 어렵게 되어 있어, 바디치기 진동에 대한 내진성이 향상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프론트 톱 스테이(3a)를 위한 상기 장착부가 오프셋 장착부(17)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위치를 상이하게 하여 설치된 2개의 권취 측 빔재(3a, 3b) 중의 상측의 빔재(3a)가 장착되는 상기 장착부가 오프셋 장착부(17)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1)은, 보다 바디치기 진동의 영향을 받기 쉬운 프론트 톱 스테이(3a)가 전술한 바와 같이 휘기 어렵게 되어 있으므로, 이에 따라, 그 내진성의 향상이 보다 효과적으로 도모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프론트 톱 스테이(3a)를 상기 대상 빔재로 한 경우의 오프셋 장착부(17)는, 상기 폭 방향으로 볼 때, 프론트 톱 스테이(3a)가 장착되는 부분에 더하여, 주축(16), 로킹 축(4), 및 복권 롤(15)의 각 지지 위치를 포함하는 부분에 걸쳐져 있는 것으로 되어 있고, 각 사이드 프레임(2)은, 그 내측면(9)에서의 프론트 톱 스테이(3a)를 위한 상기 장착부에 대한 전후의 부분이 기준면(10)을 포함하는 부분에 대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각 사이드 프레임(2)은, 상기 폭 방향으로 볼 때 상기 장착부가 되는 범위의 부분만이 기준면(10)보다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오프셋 장착부(17)의 상기 전후 방향에서의 치수가 크게 되어 있으므로, 상기 장착부를 포함하는 내측벽의 부분이 상기 전후 방향으로 휘기 어려워지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오프셋 장착부(17)는, 그 돌출하도록 형성된 부분이 평탄면이 되도록, 그 전체에 걸쳐 상기 돌출량이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부에 대한 전후의 부분에서의 상기 돌출량이 동일한 양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각 사이드 프레임(2)은, 상기 장착부에 대한 전후의 부분이 기준면(10)을 포함하는 부분보다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경우라도 상기 장착부에 대한 전후의 부분에서의 상기 돌출량이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장착부를 포함하는 내측벽의 부분이 상기 전후 방향의 양측으로 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따라서, 프레임(1)은, 각 사이드 프레임(2) 자신이 전술한 바와 같이 휘기 어렵게 되어 있으므로, 그에 따라, 그 내진성의 향상이 보다 효과적으로 도모되도록 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본 실시예에서는, 리어 톱 스테이(3c)를 위한 상기 장착부가 오프셋 장착부(18)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위치를 상이하게 하여 설치된 2개의 송출 측 빔재(3c, 3d) 중 상측의 빔재(3c)가 장착되는 상기 장착부가 오프셋 장착부(18)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그 프레임(1)은, 빔 진동에 대한 내진성에 대해서도 그 향상이 보다 효과적으로 도모되도록 되어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그 빔 진동에 대하여, 직기에 있어서는, 제직의 1사이클 중에 개구 운동이나 바디치기 동작에 의해 경사 T의 장력 변동이 발생하므로, 그 장력 변동이 가진력(加振力)이 되어, 경사 빔(6)에 그 회전 방향 및 경사 T의 인출 방향(상하 방향)의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그 빔 진동은, 각 사이드 프레임(2)에 대하여 가진력으로서 송출 측에 있어서 작용하므로, 송출 측 빔재인 리어 톱 스테이(3c) 및 리어 바텀 스테이(3d)는, 그 빔 진동의 영향을 받기 쉽다. 다만, 각 사이드 프레임(2)은, 앵커 볼트에 의해 직기의 설치면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그 상측 부분이 하측 부분과 비교하여 진동이 발생하기 쉽게 있다. 이 때문에, 상하 방향으로 위치를 상이하게 하여 설치된 2개의 송출 측 빔재를 비교한 경우, 리어 톱 스테이(3c) 쪽이 리어 바텀 스테이(3d)보다 빔 진동의 영향을 받기 쉽게 되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직기의 프레임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직기의 프레임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이하와 같은 변형된 예라도 실시가 가능하다.
(1) 프론트 톱 스테이(3a)를 상기 대상 빔재로 한 경우의 오프셋 장착부(17)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에서는, 그 오프셋 장착부(17)는, 상기 폭 방향으로 볼 때, 프론트 톱 스테이(3a)가 장착되는 부분에 더하여, 주축(16), 로킹 축(4), 및 복권 롤(15)의 각 지지 위치를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져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직기의 프레임에 있어서는, 그 오프셋 장착부는, 적어도 그 대상 빔재가 장착되는 범위에 있어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론트 톱 스테이(3a)를 상기 대상 빔재로 하는 경우라도, 그 오프셋 장착부는, 프론트 톱 스테이(3a)가 장착되는 부분만의 범위에 걸쳐져 있는 것이라도 되고, 각 상기 지지 위치 중 2개 또는 1개를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져 있는 것이라도 된다.
(2) 상기 실시예에서는, 프론트 톱 스테이(3a) 및 리어 톱 스테이(3c)를 위한 상기 장착부를, 본 발명에 의한 오프셋 장착부(17, 18)로 하고 있다. 즉, 권취 측에서의 2개의 빔재(3a, 3b) 및 송출 측의 2개의 빔재(3c, 3d)의 각각에서의 상측의 빔재(3a, 3c)를 상기 대상 빔재로 하고, 그 상기 장착부를 오프셋 장착부(17, 18)로 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직기의 프레임에 있어서, 그 프레임은, 양 사이드 프레임(2, 2)을 연결하는 복수의 빔재 중 적어도 1개의 빔재를 상기 대상 빔재로 하고, 그 상기 대상 빔재를 위한 상기 장착부를 오프셋 장착부로 한 것이면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와 같이 구성된 프레임(1)의 경우로 말하면, 권취 측에서의 2개의 빔재(3a, 3b) 및/ 또는 송출 측의 2개의 빔재(3c, 3d)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와 같이 상측의 빔재(3a, 3c)를 상기 대상 빔재로 하는 대신, 하측의 빔재(3b, 3d)를 상기 대상 빔재로 하고, 그 상기 장착부를 오프셋 장착부로 한 것이라도 된다. 또한, 권취 측 및 송출 측 중 한쪽에서의 빔재만을 상기 대상 빔재로 하고, 그 상기 장착부를 오프셋 장착부로 한 것이라도 된다. 나아가서는, 프레임(1)에서의 모든 빔재(3a, 3b, 3c, 3d)를 상기 대상 빔재로 하고, 이들의 상기 장착부 전체를 오프셋 장착부로 해도 된다.
(3)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 2) 중 양쪽에 있어서, 상기 대상 빔재를 위한 상기 장착부를 본 발명에 의한 오프셋 장착부로 하고 있다. 즉, 상기 대상 빔재를 위한 양측의 상기 장착부의 양쪽을 오프셋 장착부로 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직기의 프레임에 있어서는, 그 프레임은, 상기 대상 빔재를 위한 양쪽 상기 장착부 중 한쪽만이 오프셋 장착부로 되어 있는 것이라도 된다.
다만, 상기 실시예와 같이 2개 이상의 빔재를 상기 대상 빔재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그 모든 상기 대상 빔재의 상기 장착부가 상기 실시예와 같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상기 대상 빔재 중 일부를 위한 상기 장착부가 그 외의 상기 대상 빔재를 위한 상기 장착부와 상이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와 같이 2개의 빔재를 상기 대상 빔재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 한쪽의 상기 대상 빔재를 위한 상기 장착부를 양쪽 모두가 오프셋 장착부가 되도록 하고 또한, 다른 쪽의 상기 대상 빔재를 위한 상기 장착부를 한쪽만이 오프셋 장착부가 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2개 이상의 상기 대상 빔재를 위한 상기 장착부가 한쪽만에 있어서 오프셋 장착부로 되는 경우에 있어서, 그 오프셋 장착부로 되는 상기 장착부는, 전체가 동일 측의 사이드 프레임에서의 상기 장착부인 것으로는 한정되지 않고, 일부의 상기 대상 빔재를 위한 오프셋 장착부가, 그 이외의 상기 대상 빔재를 위한 오프셋 장착부와는 반대 측의 사이드 프레임에서의 상기 장착부가 되도록 해도 된다.
(4)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직기의 프레임(1)은, 양 사이드 프레임(2, 2)이 4개의 빔재(3a, 3b, 3c, 3d)로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직기에 따라서는, 그 프레임은, 양 사이드 프레임을 연결하는 빔재가 3개 이하인 것이나, 5개 이상인 것도 존재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그러한 직기의 프레임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어떤 실시형태로도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1: 프레임
2: 사이드 프레임
3a: 프론트 톱 스테이
3b: 프론트 바텀 스테이
3c: 리어 톱 스테이
3d: 리어 바텀 스테이
4: 로킹 축
5: 바디
6: 경사 빔
7: 빔 서포트
8: 권취빔
9: 내측면
10: 기준면
11: 종광 프레임
12: 종광 프레임 가이드
12b: 안내부
14: 브래킷
15: 복권 롤
15b: 프레스 롤
16: 주축
17: 오프셋 장착부
18: 오프셋 장착부
19: 베어링 홀더
2: 0베어링 홀더
20a: 감삽부
20b: 플랜지부
20c: 관통공
20e: 단부벽
21: 베어링 홀더
22a: 베어링
22b: 베어링
22c: 베어링
23a: 관통공
23b: 관통공
23c: 관통공
25: 볼트
T: 경사
W: 직포
B: 짜는 폭 방향(폭 방향)
E: 경사 방향(전후 방향)
F: 송출 측
G: 권취 측

Claims (2)

  1.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또한 각 사이드 프레임의 내측면에서의 장착부에 빔재가 장착됨으로써 복수의 빔재에 의해 양 사이드 프레임이 연결되어 구성된 프레임으로서, 개구 장치의 종광 프레임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종광 프레임 가이드를 각 사이드 프레임이 지지하는 직기(織機)의 프레임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사이드 프레임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내측면 중 경사(warp threads) 방향에서의 상기 종광 프레임 가이드를 지지하는 위치에 위치하는 부분을 기준면으로 한 후에, 복수의 상기 빔재 중 적어도 1개를 장착하는 상기 장착부가, 상기 기준면보다 상기 프레임에서의 내측에 위치하는 오프셋 장착부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직기의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빔재는, 상기 종광 프레임 가이드보다 권취 측에 상하 방향으로 위치를 상이하게 하여 설치된 2개의 권취 측 빔재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셋 장착부는, 상기 권취 측 빔재 중 상측의 빔재가 장착되는 상기 장착부인, 직기의 프레임.
KR1020210111522A 2020-09-30 2021-08-24 직기의 프레임 KR202200440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65232A JP7509639B2 (ja) 2020-09-30 2020-09-30 織機のフレーム
JPJP-P-2020-165232 2020-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4097A true KR20220044097A (ko) 2022-04-06

Family

ID=77864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522A KR20220044097A (ko) 2020-09-30 2021-08-24 직기의 프레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66352B2 (ko)
EP (1) EP3978667B1 (ko)
JP (1) JP7509639B2 (ko)
KR (1) KR20220044097A (ko)
CN (2) CN114318633A (ko)
TW (1) TW20221492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77372B2 (ja) * 2020-06-04 2024-05-01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
JP7401397B2 (ja) * 2020-06-04 2023-12-19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
JP7384747B2 (ja) * 2020-06-04 2023-11-21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
JP2022172613A (ja) * 2021-05-06 2022-11-17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4110A (ja) 2002-08-26 2004-03-18 Tsudakoma Corp 織機のフレー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322A (en) * 1897-06-22 1900-02-27 Philipp Goldschmidt Lease mechanism.
US669394A (en) * 1900-10-23 1901-03-05 Draper Co Drawing-in frame.
US1191112A (en) * 1908-03-09 1916-07-11 Barber Colman Co Warp-drawing machine.
US1342896A (en) * 1917-07-30 1920-06-08 Barber Colman Co Machine for operating upon warps
GB213905A (en) 1923-04-04 1925-01-08 Bruyere Banzet & Cie Soc Dauph Improvements in or connected with the framework of looms for weaving and of other textile machines
US2048974A (en) * 1933-04-05 1936-07-28 Julius W Smith Means for preparing thread lease
US2705022A (en) * 1951-09-27 1955-03-29 Picanol Jaime Weaving loom frames and reinforcing cross-members therefor
US2911012A (en) * 1954-12-17 1959-11-03 Rueti Ag Maschf Variable-depth loom
US2835276A (en) * 1955-03-31 1958-05-20 Yvonne B Hunt Loom frames
BE1008415A6 (nl) * 1994-06-15 1996-05-07 Picanol Nv Weefmachine met kapsels.
JP3538137B2 (ja) * 2000-10-23 2004-06-14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における開口装置
CN100338282C (zh) 2002-10-30 2007-09-19 津田驹工业株式会社 织机的机架结构
JP3968295B2 (ja) 2002-10-30 2007-08-29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のフレーム構造
KR100569200B1 (ko) 2004-05-28 2006-04-24 김병연 워터제트 직기의 동체분할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4110A (ja) 2002-08-26 2004-03-18 Tsudakoma Corp 織機のフレー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318633A (zh) 2022-04-12
EP3978667B1 (en) 2023-09-06
EP3978667A1 (en) 2022-04-06
US11566352B2 (en) 2023-01-31
US20220098766A1 (en) 2022-03-31
JP7509639B2 (ja) 2024-07-02
CN215481563U (zh) 2022-01-11
TW202214927A (zh) 2022-04-16
JP2022057131A (ja) 2022-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44097A (ko) 직기의 프레임
JP7453115B2 (ja) 織機
US20210332508A1 (en) Frame structure of loom
CN109642363B (zh) 改变织机靠背梁动态行为的方法和装置
EP2194176B1 (en) Pile fabric loom having pile warp tension adjuster
CN215906334U (zh) 织机
CN217173997U (zh) 织机
JP7491819B2 (ja) 織機のクランク式駆動装置
JP7159770B2 (ja) 織機の余剰経糸整理バー支持装置
JP7462924B2 (ja) サイドステイ、ヘルドフレーム、及び、織機
JP2022173058A (ja) 織機
EP3312323A1 (en) Warp let-off device of lo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