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2676A -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 포장 시트 - Google Patents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 포장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2676A
KR20220042676A KR1020200125772A KR20200125772A KR20220042676A KR 20220042676 A KR20220042676 A KR 20220042676A KR 1020200125772 A KR1020200125772 A KR 1020200125772A KR 20200125772 A KR20200125772 A KR 20200125772A KR 20220042676 A KR20220042676 A KR 20220042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ackaging sheet
fruit
inner packaging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4385B1 (ko
Inventor
김태근
Original Assignee
김태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근 filed Critical 김태근
Priority to KR1020200125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385B1/ko
Publication of KR20220042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14Linings or internal coatings
    • B65D25/16Loose, or loosely-attached,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 포장 시트는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의 바닥에 안착된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모서리에 내측으로 접힘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1 측면, 제2 측면, 제3 측면 및 제4 측면을 포함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일측에 양측으로 접힘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1 상면, 제2 상면, 제3 상면 및 제4 상면을 포함하는 상면부로 구성된 내부 포장 시트에 있어서, 상기 내부 포장 시트는 상기 측면부 및 상면부가 상기 바닥면에 납작한 형상으로 접힌 상태로 상기 컨테이터 내부에 여러 장이 적층되어 구비되며, 최상단에 위치한 상기 내부 포장 시트의 상기 측면부 및 상부면을 펼쳐 상기 컨테이너 내측벽 및 외측벽에 위치되도록 하여 수확한 과일을 보관할 수 있는 내부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 포장 시트{Internal packing sheet of a fruit-carrying container}
본 발명은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 포장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만감류 수확 시 컨테이너 박스 내부에 배치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일체형 내부 포장 시트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원 등에서 과일 수확 시 컨테이너 내부에 수확된 과일을 보관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포장상자는 모두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내부의 과일표면이 포장상자 내부면에 접촉될 경우 과일의 접촉지점이 물러져 훼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포장상자의 내부 바닥과 각 측면에 신문지와 같은 별도의 종이나 비닐을 덧대어 과일과 포장상자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포장상자의 바닥면과 각 측면마다 별도로 종이나 비닐을 일일이 덧대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특히 포장상자의 측면에 덧대지는 종이나 비닐은 재질 특성 상 세워진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고 쉽게 접히거나 구겨진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13-0001536호는 가로와 상기 가로보다 작은 세로를 갖는 사각형상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상기 가로방향의 테로부터 상향 절곡되게 형성되는 제 1가로벽면과 제 2가로벽면, 상기 바닥면의 상기 세로 방향의 테로부터 상향 절곡되게 형성되는 제 1세로벽면과, 제 2세로벽면들에 의하여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종이박스에 있어서: 상기 제 1가로벽면과 상기 제 2가로벽면, 상기 제 1세로벽면, 상기 제 2세로벽면들의 상단부로부터 절곡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에 평행하게 돌출되는 덮개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들의 돌출길이는 대향되는 덮개부들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종이박스의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벽면들은 상기 덮개부들에 연결되는 윗변이 상기 바닥면에 연결되는 밑변 보다 길이가 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적재 시 일측 종이박스의 상기 수용공간으로 타측 종이박스의 하측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 1가로벽면과 상기 제 2가로벽면은 상기 윗변이 상기 밑변보다 4cm 이상이며, 6cm 이하로 길고, 상기 제 1세로벽면과 상기 제 2세로벽면은 상기 윗변이 상기 밑변보다 2.5cm 이상이며, 3.5cm 이하로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13-0001005호는 내부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직육면체 형태의 종이 상자; 및 상기 종이 상자에 삽입되며 피포장물의 적어도 3면을 보호하도록 접히는 접이식 완충재를 포함하는 접이식 완충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13-0001536호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13-0001005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컨테이너 내부 사이즈에 맞게 재단되고, 접혀야 하는 부분을 접힌 최소화된 납작한 형상으로 컨테이너 내에 위치됨에 따라 컨테이너 내부에 여러 장의 내부 포장 시트를 포개어 쌓아 놓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 포장 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낱장으로 구성되지 않고 바닥면, 측면 및 상면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바람과 같은 외부 자극에 의해 날라갈 우려가 적고 작업 속도가 향상되어 인건비를 절감되는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 포장 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 포장 시트를 펼쳐 컨테이너 내부에 수확한 과일을 보관할 수 있는 내부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내부 포장 시트로 내부 수용 공간 내에 수확한 과일을 적재한 후 내부 포장 시트 상면을 덮어 과일을 저장함에 따라 과일 보관 시 습도가 조절되고 해충이 꼬임을 방지하여 저장 기간이 연장되는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 포장 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 포장 시트는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의 바닥에 안착된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모서리에 내측으로 접힘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1 측면, 제2 측면, 제3 측면 및 제4 측면을 포함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일측에 양측으로 접힘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1 상면, 제2 상면, 제3 상면 및 제4 상면을 포함하는 상면부로 구성된 내부 포장 시트에 있어서, 상기 내부 포장 시트는 상기 측면부 및 상면부가 상기 바닥면에 납작한 형상으로 접힌 상태로 상기 컨테이터 내부에 여러 장이 적층되어 구비되며, 최상단에 위치한 상기 내부 포장 시트의 상기 측면부 및 상부면을 펼쳐 상기 컨테이너 내측벽 및 외측벽에 위치되도록 하여 수확한 과일을 보관할 수 있는 내부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포장 시트는 상기 제1 측면, 제1 상면, 제3 측면, 제3 상면, 제2 측면, 제2 상면, 제4 측면 및 제4 상면의 순서로 접혀지며, 상기 측면부는 내측으로 접혀 상기 바닥면과 중첩되고, 상기 상면부는 외측으로 접혀 상기 측면부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측면부 및 상면부가 교차되어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포장 시트는 상기 제4 상면, 제4 측면, 제2 상면, 제2 측면, 제3 상면, 제3 측면, 제1 상면 및 제1 측면의 순서로 펼쳐지며, 상기 측면부가 상기 컨테이너 박스의 내측벽에 위치되고, 상기 상면부가 상기 컨테이너 박스의 외측으로 접혀 상기 컨테이너 박스의 외측벽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상면 내지 제4 상면의 제2 방향 선폭은 상기 제1 측면 내지 제4 측면의 제2 방향 선폭보다 5 ~ 50%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측면 내지 제4 측면과 각각 연결된 제1 상면 내지 상기 제4 상면 사이에는 상기 컨테이너 측벽 두께만큼 2중 또는 3중의 접힘선이 구비되어 가변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포장 시트의 상기 바닥면 외측 하부에 완충 부재가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완충 부재는 스트로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포장 시트는 습도 조절이 가능한 종이류로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신문지와 같은 얇은 재질의 종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수용 공간에 수확한 과일을 적재한 후 상기 컨테이너 외측벽에 위치한 상기 상면부를 내측으로 접어 적재된 과일을 덮으며, 상기 제1 상면 내지 상기 제4 상면은 일부 중첩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운반용 내부 포장 시트는 컨테이너 내부 사이즈에 맞게 재단되고, 접혀야 하는 부분을 접힌 최소화된 납작한 형상으로 컨테이너 내에 위치됨에 따라 컨테이너 내부에 여러 장의 내부 포장 시트를 포개어 쌓아 놓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운반용 내부 포장 시트는 낱장으로 구성되지 않고 바닥면, 측면 및 상면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바람과 같은 외부 자극에 의해 날라갈 우려가 적고 작업 속도가 향상되어 인건비를 절감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운반용 내부 포장 시트는 내부 포장 시트를 펼쳐 컨테이너 내부에 수확한 과일을 보관할 수 있는 내부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내부 포장 시트로 내부 수용 공간 내에 수확한 과일을 적재한 후 내부 포장 시트 상면을 덮어 과일을 저장함에 따라 과일 보관 시 습도가 조절되고 해충이 꼬임을 방지하여 저장 기간이 연장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 포장 시트가 컨테이너 내부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 포장 시트가 컨테이너 내부에서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 포장 시트의 전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 포장 시트가 접히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j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 포장 시트가 펼쳐지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 포장 시트가 컨테이너 내부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내부 포장 시트(110)는 납작한 형상으로 접힌 상태로 컨테이너(100) 내부에 구비된다.
내부 포장 시트(110)는 컨테이너(100) 내부 사이즈에 맞게 재단하고, 접혀야 하는 부분을 접어 최소화된 사이즈로 컨테이너(100) 내에 위치된다.
내부 포장 시트(110)는 납작한 형상으로 접혀져 있으므로 컨테이너(100) 내부에 여러 장의 내부 포장 시트(110)를 포개어 쌓아 놓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내부 포장 시트(110)는 낱장으로 구성되지 않고 바닥면, 측면부 및 상면부가 연결된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바람과 같은 외부 자극에 의해 날라갈 우려가 적다. 그리고, 컨테이너 내부에 낱장을 하나씩 깔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 속도가 향상되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 포장 시트가 컨테이너 내부에서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컨테이너(200) 내부에 놓여진 내부 포장 시트(210)를 펼쳐 컨테이너(200) 내부에 수확한 과일을 보관할 수 있는 내부 수용 공간(220)을 형성한다(도 2(a)참조). 내부 포장 시트(210)로 내부 수용 공간(220) 내에 수확한 과일을 적재한 후 내부 포장 시트(210) 상면을 덮어 과일을 저장한다(도 2(b) 참조). 내부 포장 시트(210)로 과일을 보관함에 따라 습도가 조절되고 해충이 꼬임을 방지하여 저장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 포장 시트의 전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내부 포장 시트(300)는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의 바닥에 안착된 바닥면(310), 바닥면(310)의 상하좌우 측면과 연결된 측면부(320) 및 측면부(320) 일측과 연결된 상면부(330)를 포함한다.
바닥면(310)은 컨테이너 내부에 들어갈 수 있도록 컨테이너의 선폭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바닥면(310)의 제1 방향 선폭(W1)은 400 ~ 550mm,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 선폭(W2)은 250 ~ 350mm로 형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방향 선폭(W1)은 480mm 제2 방향 선폭(W2)은 300mm로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컨테이너의 크기에 따라 조절 가능하며, 컨테이터 내부에 들어가는 선폭이라면 그 크기를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바닥면(310)은 외측 하부에 완충 부재가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완충 부재는 스트로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측면부(320)는 바닥면(310)의 모서리에 내측으로 접힘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1 측면(320a), 제2 측면(320b), 제3 측면(320c) 및 제4 측면(320d)을 포함한다. 바닥면(310) 모서리와 측면부(320)사이에는 쉽게 접힘 가능하도록 접힘선이 구비된다.
제1 측면(320a) 및 제3 측면(320c)의 제1 방향 선폭(W1)및 제2 방향 선폭(W2)은 각각 바닥면(310)의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동일한 선폭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측면(320b) 및 제4 측면(320d)의 제2 방향 선폭(W2)은 바닥면(310)의 제2 방향과 동일한 선폭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측면(320b) 및 제4 측면(320d)의 제1 방향 선폭(W2)은 제1 측면(320a) 및 제3 측면(320c)의 모서리와 접하므로, 제1 측면(320a) 및 제3 측면(320c)의 제2 방향 선폭(W2)과 동일한 선폭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측면부(320)의 제1 방향 제2 방향 선폭은 컨테이너 바닥면의 크기, 컨테이너의 높이 또는 컨테이너 측벽의 두께 등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상면부(330)는 측면부(320)의 일측에 연결되며, 양측 즉, 내측 및 외측으로 접힘 가능한 접힘선이 구비된 제1 상면(330a), 제2 상면(330b), 제3 상면(330c) 및 제4 상면(330d)을 포함한다. 제1 상면(330a), 제2 상면(330b), 제3 상면(330c) 및 제4 상면(330d)은 각각 제1 측면(320a), 제2 측면(320b), 제3 측면(320c) 및 제4 측면(320d)과 연결된다.
제1 상면(330a) 및 제3 상면(330c)의 제2 방향 선폭(W3)은 제1 측면(320a) 및 제3 측면(320c)의 제2 방향 선폭(W2)보다 5 ~ 50%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상면(330a) 및 제3 상면(330c)의 제2 방향 선폭(W3)은 250 ~ 300mm, 바람직하게는 280mm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상면(330b), 및 제4 상면(330d)의 제1 방향 선폭(W4)은 제2 측면(320b) 및 제4 측면(320d)의 제1 방향 선폭(W2)보다 5 ~ 50%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상면(330b), 및 제4 상면(330d)의 제1 방향 선폭(W4)은 220 ~ 270mm, 바람직하게는 248mm로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컨테이너의 크기에 따라 조절 가능하며, 컨테이터 내부에 들어가는 선폭이라면 그 크기를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측면부(320)와 상면부(330)는 사이에는 컨테이너 측벽 두께만큼 가변성이 있는 2중 또는 3중의 접힘선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 포장 시트가 접히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납작한 형상으로 접힌 상태의 내부 포장 시트는 상기 제1 측면, 제1 상면, 제3 측면, 제3 상면, 제2 측면, 제2 상면, 제4 측면 및 제4 상면의 순서로 접혀진다.
먼저, 바닥면(410), 측면부(420) 및 상면부(430)가 펼쳐진 상태의 내부 포장 시트(400)가 준비된다(도 4a 참조). 이어서, 제1 측면(420a)이 내측으로 접혀 바닥면(410)에 중첩되고, 제1 측면(420a)과 연결된 제1 상면(430a)이 외측으로 접혀 제1 측면(420a)에 중첩된다(도 4b 및 도 4c).
다음으로, 제3 측면(420c)이 내측으로 접혀 제1 상면(430a)에 중첩되고, 제3 상면(430c)이 외측으로 접혀 제3 측면(420c)에 중첩된다(도 4d 및 도 4e). 이어서, 제2 측면(420b)이 내측으로 접혀 제3 상면(430c)에 중첩되고, 제2 상면(420c)이 외측으로 접혀 제2 측면(420b)에 중첩된다(도 4f 및 도 4g).
마지막으로, 제4 측면(420d)이 내측으로 접혀 제2 상면(420b)에 중첩되고, 제4 상면(430d)이 외측으로 접혀 제4 측면(420d)에 중첩된 형태로 납작한 형상의 내부 포장 시트(400)가 완성된다(도 4h 및 도 4i).
완성된 내부 포장 시트(400)의 측면부(420)는 내측으로 접혀 바닥면(410)과 중첩되고, 상면부(430)는 외측으로 접혀 측면부(420) 상부에 위치하여, 측면부(420) 및 상면부(430)가 교차되어 중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는 내부 포장 시트(400)의 접힌 순서를 제1 측면(420a), 제1 상면(430a), 제3 측면(420c), 제3 상면(430c), 제2 측면(420b), 제2 상면(420c), 제4 측면(420d) 및 제4 상면(430d)의 순서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컨테이너 내부에 들어갈 수 있는 형상을 만들 수 있다면 그 순서는 변경이 가능하다.
도 5a 내지 도 5j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 포장 시트가 펼쳐지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j를 참조하여 내부 포장 시트를 펼치는 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 상면(530d), 제4 측면(520d), 제2 상면(530b), 제2 측면(520b), 제3 상면(530c), 제3 측면(520b), 제1 상면(530a) 및 제1 측면(520a)의 순서로 펼쳐지며, 측면부(520)가 컨테이너(505) 박스의 내측벽에 위치되고, 상면부(530)가 컨테이너(500)의 내측으로 접혀 컨테이너(505) 내부에 적재된 과일이 덮히도록 한다.
먼저, 도 4i와 같은 순서로 접혀진 내부 포장 시트(500)를 컨테이너(505) 내부에 위치시킨다(도 5a).
그리고, 제4 측면(520d)을 펼쳐 컨테이너(505) 내측벽에 위치시키고, 제4 상면(530d)의 접힘선에 의해 제4 상면(530d)이 컨테이너(505) 모서리에서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한다(도 5b 및 도 5c 참조). 이어서, 제2 측면(520b)을 펼쳐 컨테이너(505) 내측벽에 위치시키고, 제2 상면(530b)의 접힘선에 의해 제2 상면(530b)이 컨테이너(505) 모서리에서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한다(도 5d 및 도 5e).
다음으로, 제3 측면(520c)을 펼쳐 컨테이너(505) 내측벽에 위치시키고, 제3 상면(530c)의 접힘선에 의해 제3 상면(530c)이 컨테이너(505) 모서리에서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한다(도 5f 및 도 5g).
이어서, 제1 측면(520a)을 펼쳐 컨테이너(505) 내측벽에 위치시키고, 제1 상면(530a)의 접힘선에 의해 제1 상면(530a)이 컨테이너(505) 모서리에서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한다(도 5h 및 도 5i). 이와 같은 순서로 내부에 수용 공간(540)이 형성되도록 한 후 과일을 수확하여 내부 수용 공간(540)에 적재한다. 여기서, 제1 상면(530a), 제2 상면(530b), 제3 상면(530c) 및 제4 상면(530d)은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505) 외측으로 펼쳐진 상태로 과일 수확 작업을 진행하여도 되고, 제1 상면(530a), 제2 상면(530b), 제3 상면(530c) 및 제4 상면(530d)을 접힘선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접어 컨테이너(505) 외측벽을 감싸는 상태로 과일 수확 작업을 진행하여도 된다.
이후, 제1 상면(530a), 제2 상면(530b), 제3 상면(530c) 및 제4 상면(530d)을 컨테이너(505) 내측으로 접어 적재된 과일을 덮는 덮개를 형성한다. 이때, 네 방향의 상면부(530)가 모두 중첩됨에 따라 덮개가 바람에 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습도 조절 및 해충 방지에 있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여기서는 내부 포장 시트(500)를 펼치는 순서를 제4 상면(530d), 제4 측면(520d), 제2 상면(530b), 제2 측면(520b), 제3 상면(530c), 제3 측면(520c), 제1 상면(530a) 및 제1 측면(520a)의 순서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컨테이너 내부에 들어가 있는 내부 포장 시트의 접힌 상태에 따라 언제든지 변경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505 : 컨테이너
110, 210, 300, 400, 500 : 내부 포장 시트
310, 410, 510 : 바닥면
320a, 420a ,520a :제1 측면
320b, 420b, 520b : 제2 측면
320c, 420c, 520c : 제3 측면
320d, 420d, 520d : 제4 측면
330a, 430a, 530a : 제1 상면
330b, 430b, 530b : 제2 상면
330c, 430c, 530c : 제3 상면
330d, 430d, 530d : 제4 상면

Claims (8)

  1.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의 바닥에 안착된 바닥면;
    상기 바닥면의 모서리에 내측으로 접힘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1 측면, 제2 측면, 제3 측면 및 제4 측면을 포함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일측에 양측으로 접힘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1 상면, 제2 상면, 제3 상면 및 제4 상면을 포함하는 상면부로 구성된 내부 포장 시트에 있어서,
    상기 내부 포장 시트는 상기 측면부 및 상면부가 상기 바닥면에 납작한 형상으로 접힌 상태로 상기 컨테이터 내부에 여러 장이 적층되어 구비되며, 최상단에 위치한 상기 내부 포장 시트의 상기 측면부 및 상부면을 펼쳐 상기 컨테이너 내측벽 및 외측벽에 위치되도록 하여 수확한 과일을 보관할 수 있는 내부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 포장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포장 시트는
    상기 제1 측면, 제1 상면, 제3 측면, 제3 상면, 제2 측면, 제2 상면, 제4 측면 및 제4 상면의 순서로 접혀지며, 상기 측면부는 내측으로 접혀 상기 바닥면과 중첩되고, 상기 상면부는 외측으로 접혀 상기 측면부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측면부 및 상면부가 교차되어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 포장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포장 시트는
    상기 제4 상면, 제4 측면, 제2 상면, 제2 측면, 제3 상면, 제3 측면, 제1 상면 및 제1 측면의 순서로 펼쳐지며, 상기 측면부가 상기 컨테이너 박스의 내측벽에 위치되고, 상기 상면부가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으로 접혀 내부에 적재된 과일이 덮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 포장 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면 및 상기 제4 상면의 제1 방향 선폭은 상기 제2 측면 및 상기 제4 측면의 제1 방향 선폭보다 5 ~ 50%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상면 및 상기 제3 상면의 제2 방향 선폭은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3 측면의 제2 방향 선폭보다 5 ~ 50%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 포장 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내지 제4 측면과 각각 연결된 제1 상면 내지 상기 제4 상면 사이에는 상기 컨테이너 측벽 두께만큼 2중 또는 3중의 접힘선이 구비되어 가변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 포장 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포장 시트의 상기 바닥면 외측 하부에 완충 부재가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완충 부재는 스트로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 포장 시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포장 시트는 습도 조절이 가능한 종이류로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신문지와 같은 얇은 재질의 종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 포장 시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수용 공간에 수확한 과일을 적재한 후 상기 컨테이너 외측벽에 위치한 상기 상면부를 내측으로 접어 적재된 과일을 덮으며, 상기 제1 상면 내지 상기 제4 상면은 일부 중첩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 포장 시트.
KR1020200125772A 2020-09-28 2020-09-28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 포장 시트 KR102544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772A KR102544385B1 (ko) 2020-09-28 2020-09-28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 포장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772A KR102544385B1 (ko) 2020-09-28 2020-09-28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 포장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676A true KR20220042676A (ko) 2022-04-05
KR102544385B1 KR102544385B1 (ko) 2023-06-16

Family

ID=81182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772A KR102544385B1 (ko) 2020-09-28 2020-09-28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 포장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385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773Y1 (ko) * 1991-04-30 1993-06-23 주식회사 풍산 포장상자용 내부 포장체
JPH066268U (ja) * 1992-06-30 1994-01-25 修一 中村 包装用容器
JP2001080638A (ja) * 1999-09-14 2001-03-27 Showa Denko Plastic Products Kk 蓋付き折畳コンテナー
JP2001225876A (ja) * 2000-02-16 2001-08-21 Ifuko Japan Kk バナナコンテナー用保護シート
KR200326852Y1 (ko) * 2003-07-01 2003-09-13 유영희 야채 포장박스용 비닐
JP2011093611A (ja) * 2009-05-08 2011-05-12 Sekisui Plastics Co Ltd 農産物用コンテナ及びその内容器
KR20110008134U (ko) * 2010-02-09 2011-08-18 박성혜 친환경 농산물 보호대
KR20130001005A (ko) 2011-06-24 2013-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라디오 채널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30001536A (ko) 2011-06-27 2013-01-04 주식회사 포스코 자성이 우수한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928894B1 (ko) * 2018-04-20 2018-12-13 (주)한그린테크 바나나 포장봉투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773Y1 (ko) * 1991-04-30 1993-06-23 주식회사 풍산 포장상자용 내부 포장체
JPH066268U (ja) * 1992-06-30 1994-01-25 修一 中村 包装用容器
JP2001080638A (ja) * 1999-09-14 2001-03-27 Showa Denko Plastic Products Kk 蓋付き折畳コンテナー
JP2001225876A (ja) * 2000-02-16 2001-08-21 Ifuko Japan Kk バナナコンテナー用保護シート
KR200326852Y1 (ko) * 2003-07-01 2003-09-13 유영희 야채 포장박스용 비닐
JP2011093611A (ja) * 2009-05-08 2011-05-12 Sekisui Plastics Co Ltd 農産物用コンテナ及びその内容器
KR20110008134U (ko) * 2010-02-09 2011-08-18 박성혜 친환경 농산물 보호대
KR20130001005A (ko) 2011-06-24 2013-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라디오 채널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30001536A (ko) 2011-06-27 2013-01-04 주식회사 포스코 자성이 우수한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928894B1 (ko) * 2018-04-20 2018-12-13 (주)한그린테크 바나나 포장봉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4385B1 (ko) 2023-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3612A (en) Fibreboard container for fresh produce
US5887782A (en) High stacking strength automatic corrugated box
US6070726A (en) Pallet and container including pallet
KR20050010970A (ko) 카톤 및 카톤 블랭크
US3122298A (en) Container construction
US6595363B2 (en) Floral shipper
US4353495A (en) Asparagus carton
US9126721B2 (en) Pallet skirt
US5848699A (en) Package for fragile goods
KR102544385B1 (ko)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 포장 시트
US11780639B2 (en) Optimized system, box and bag for packing, shipping, storing and displaying produce
US4212394A (en) Edge and corner cushion for palletized packages and the like
US6367626B1 (en) Clearview packaging assembly for basiloid handling of irregular top appliances
CN101134517A (zh) 包装小植物托盘的系统和方法
AU2013206121A1 (en) Improved Container and Blanks Therefor
CN107758038A (zh) 一种包装箱及其包装方法
EP1050475A1 (en) Crate for containing commercial products
US4596355A (en) Collapsible shipping container having collapsed planar profile
JP3296486B2 (ja) バナナコンテナー用保護シート
RU107777U1 (ru) Упаковка для пакетированного или упакованного в коробки груза (варианты)
JP2022143839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梱包体
KR200249543Y1 (ko) 수납공간이 확대된 상자
KR100287408B1 (ko) 포장상자
KR200486180Y1 (ko) 작업이 편리한 농산물 보관용 포대
RU107778U1 (ru) Упаковка для пакетированного или упакованного в коробки груза (варианты) и наружный кожух для этой упаков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