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7408B1 -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7408B1
KR100287408B1 KR1019980003013A KR19980003013A KR100287408B1 KR 100287408 B1 KR100287408 B1 KR 100287408B1 KR 1019980003013 A KR1019980003013 A KR 1019980003013A KR 19980003013 A KR19980003013 A KR 19980003013A KR 100287408 B1 KR100287408 B1 KR 100287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packaging box
corrugated
paper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3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6490A (ko
Inventor
김승욱
Original Assignee
김승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욱 filed Critical 김승욱
Publication of KR19980086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6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7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74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2External stands or display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28Contents attached to or resting on the external surface of the container
    • B65D5/5286Contents attached to or resting on the external surface of the container the container being provided with an opening or weakened area in which an item is inser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자들을 쌓아두는 상태에서 뚜껑판을 열지 않고서도 내부에 담겨 있는 상품들을 진열하고, 또 상기 상품들을 꺼내어 판매할 수 있도록 한 포장상자(Corrugated fiber board box)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는 상자체(10)의 전면판(11)에 상품을 출입할 수 있도록 개방부(4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포장상자 4면체 한쪽끝단 중앙부에 플립퍼가 형성되지 않아 소비자가 상자체를 만들 때 풀대신 테이프만 사용할 수 있고, 또 포장상자내에 상품을 넣을 때도 플립퍼가 없으므로 상품이 플립퍼에 의해 걸리는 일도 없으므로, 상품을 포장상자에 자동으로 포장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진열대와 상자를 보관하기 위한 창고 관련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상자체의 외표면에 보강골지가 위치하도록 제조된 포장상자의 경우는 운반이나 적층이 용이하며 외관이 매우 미려할 뿐만 아니라 외표면인 보강골지에 인쇄된 문자나 그림이 입체감을 준다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포장상자
본 발명은 상자들을 쌓아두는 상태에서 뚜껑판을 열지 않고서도 내부에 담겨 있는 상품들을 진열하고, 또 상기 상품들을 꺼내어 판매할 수 있도록 한 포장상자(Corrugated fiber board box)에 관한 것이다.
제12(a)도는 종래의 골판지를 보인 사시도로서, 종래의 골판지는 골지(105)의 양측면에 평면지(107,108)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골판지를 사용해서 종래에는 제12(b)도에 도시한 포장상자를 제조하고 있었다.
즉, 종래의 포장상자는 제12(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4면체 골판지(113)의 일측 단부에 플립퍼(114; flipper)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플립퍼(114)를 4면체 골판지(112)에 접착제를 접착한 후, 상ㆍ하부의 뚜껑판(116)을 접음으로써 상자를 제조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골판지로 제조된 포장상자는 소포장된 상품을 다수개 넣은 다음, 뚜껑판들을 덮고 운송하거나 또 보관하여 왔다. 따라서 포장상자에 담겨진 상품들을 진열하거나 판매할 때에는 일일이 포장상자의 뚜껑판을 열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포장상자에서 상품을 꺼내어 진열하기 위해서는 매장에 진열대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할 공간이 필요하므로, 진열대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설치비용이 요구되고 또 상품들이 담겨 있는 포장상자들을 매장에 쌓아놓을 수가 없기 때문에 별도의 포장상자 보관 장소가 필요하게 되어 결국 상품들의 진열과 포장상자의 보관에 필요한 비용이 별도로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포장상자는 내외평면지사이에 골지를 개재시켜서 된 것으로, 특히 외측평면지의 외면의 완충력이 약하여 용이하게 훼손되는 결함이 있었다. 또 종래의 포장상자는 외측평면지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그 외면을 매끄럽게 제조하고 있었으나, 이와같은 상자들은 사람이 들어 올리거나 운반시 또는 다수개의 상자를 적층하였을 때 미끄러지는 폐단이 있어 그 취급이 매우 불편하고, 적층된 상자들이 허물어지는 경우 포장상자의 손상은 물론 상자에 담겨진 상품이나 주변의 다른 물품들을 손상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포장상자는 이를 4면체로 접을 경우 플립퍼(114)에 풀(접착제) 칠을 하여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풀은 그 점도가 일정하지 낳고 또 투입량도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만일 풀의 점도가 낮아 다량 투입하여 풀칠할 경우에는 플립퍼(114)가 연결된 면과 그 이웃면이 접착되어 소비자가 사용할 경우 자동기계가 상자를 펴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 플립퍼(114) 두께만큼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품들을 포장상자에 자동으로 담을 경우, 포장상자가 옆으로 뉘어진 상태에서 상품들을 밀어 넣기 때문에, 돌출된 플립퍼에 상품이 걸리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 때문에, 상품투입을 자동화하는 경우 앞상자에 결함이 발생하면, 다음 상자에 상품들을 연속적으로 담을 수 없어 포장작업이 중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포장상자에 대해서는 미국특허공고 제4,252,236호에 개시되어 있다. 동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포장상자는 절결부를 상자의 상부면(뚜껑판)으로부터 전면벽부에 걸쳐서 절결부를 형성한 것으로써, 이와 같은 포장상자는 상자의 모서리부가 절결되어 있어서 여러 개의 상자를 적층하면 충격이나 압력에 의해서 절결부가 용이하게 찢어질뿐만 아니라, 상자의 이동시에 조그마한 충격에도 절결부가 찢어진 다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훼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포장상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자 사면체를 연결하는 플립퍼(flipper)가 없는 포장상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장된 상태로 상품들을 진열할 수 있는 포장상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이하여 본발명의 청구항 1항에 따른 포장상자는 전면판에 상품을 출입할 수 있도록 개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항에 따른 포장상자는 상자체의 전면판양쪽에 중간의 수직 지지부를 경계로 하여 절취선에 의해 절개되는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개부의 일측모서리에는 경사절취선을 배치하여 절개편을 부설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 3항에 따른 포장상자는 지지부의 양쪽에 절곡홈을 형성하고, 상기 절곡홈을 중심으로 보강지지편을 절곡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 6항에 따른 포장상자는 보강골지의 골의 간격(ℓ)과 두께(t)를 골지의 골의 1/2이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7항에 따른 포장상자는 상자에의 전면판에 상품들을 출입할 수 있도록 개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상자체의 외표면을 보강골지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8항에 따른 포장상자는 보강골지에 형성된 골의 간격(ℓ)과 두께(t)는 내측평면지와 외측평면지 사이에 설치된 골지의 간격(ℓ′)과 두께(t′)의 1/2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9항에 따른 포장상자는 내측평면지와 외측평면지사이에 골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측명면지에는 보강골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10항에 따른 포장상자는 내측평면지와 외측평면지와의 사이에 제3평면지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3개의 평면지사이에는 골사이의 간격과 골이 같은 골지가 삽입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11항에 따른 포장상자는 내측평면지의 외면에 보강골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포장상자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일부분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포장상자를 적층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제4(a)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보인 포장상자의 일부 사시도.
제4(b)도는 동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
제4(c)도는 동 요부 확대 평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3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장상자의 정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골판지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확대 평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골판지의 확대 평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 골판지의 사용예를 보인 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포장상자의 정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의한 포장상자의 정면도.
제12(a)도는 종래 골판지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제12(b)도는 종래 포장상자의 전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자체 11 : 전면판
12 : 지지부 13 : 지지편
20 : 절취선 21 : 경사절취선
30 : 절개부 31 : 절개편
50 : 절곡편 61,62,62 : 평면지
65,66 : 골 70,71 : 골지
80 : 보강골지 90 : 포장상자
114 : 플립퍼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포장상자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고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포장상자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일부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장상자를 적층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자체(10)의 전면판(11) 양쪽에는 중간의 지지부(12)를 경계로하여 원형 또는 사각형태로 배치되는 절취선(20)들에 의해 절개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절개부(30)의 상하 및 외측단은 전면판(11)의 상하 및 외측단과 일정간격(L,L′)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절개부(30)의 각 일측 모서리에는 양단이 각각의 절취선(20)들과 연결되게 배치된 경사절취선(21)들에 의해 절개편(31)들이 형성되어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미설명부호 14, 14′ 상자체(10)의 상부개구부를 덮는 뚜껑판이고, 이들 뚜껑판(14)(14′)은 상자체(10) 내부에 상품들을 넣은 후, 접착테이프(15)에 의해 봉합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장상자의 작용 및 효과를 성명한다.
먼저, 상기 상자체(10)의 전면에 형성된 경사절취선(21)들을 뜯어내어 절개편(31)들을 상자체(10)에서 뜯어내면, 상기 각 절개부(30)들의 각 일측모서리에는 개구부(32)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32)에 손가락을 넣고 절취선(20)을 따라 절개부(30)를 잡아 당기면서 떼어내면 상자체(10)의 전면판(11)에는 개방부(40)가 형성되면서, 상자체(10)내부에 적층되어 있는 상품(A)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제3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상자체(10)들을 다수 쌓아놓은 상태에서 상자체(10)내에 담겨있는 상품(A)들을 진열할 수 있으며, 상자체(10)내의 상품(A)들을 상기 개방부(40)를 통해서 꺼낼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개방부(40)를 통해서 꺼낸 상품(A)들을 다시 상자체(10)내에 넣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상자체(10)의 절개부(30)를 뜯어내어서 상자체(10)의 전면판(11)에 개방부(40)를 형성해도 상기 개방부(10)의 중간에는 지지부(12)가 수직으로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상자체(10)를 다수개 적층하더라고 적층된 상자체(10)의 하중에 의해 상기 상자체(10)의 개방부(40)가 찌그러질 염려가 없다.
제4(a)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보인 포장상자의 일부사시도이고, 제4(b)도는 제4(a)도의 링부를 절개한 사시도이고, 제4(c)도는 제4(b)도의 요부확대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포장상자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포장상자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4(a)도 내지 제4(c)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자체(10)의 전면판(11)양쪽에 절개부(30)들이 절취선(20)들에 의해 설치되고, 일측모서리에는 경사절취선(21)에 의한 절개편(31)이 형성된 것은 상기 실시예1과 같다. 그러나, 실시예 2에서는 중간의 지지부(12)의 폭을 더 넓게하여 절취선(20)들의 상ㆍ하 내측에 일정폭(L″)을 두고 연장절취선(22)(22′)들을 설치하고, 이들 연장절취선 (22)(22′)과 지지부(12) 사이의 내측에 절곡홈(50)을 수직으로 평행하게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절곡홈(50)과 절취선(20)이 내측 수직부(20′)사이에 지지편(13)들이 연장되게 한다.
따라서, 절취선(20)을 이용하여 절개부(30)를 뜯어내면 지지부(12)의 양쪽에 지지편(13)들이 남아 있기 때문에, 이들 지지편(13)을 절곡홈 (50)을 중심으로 상자체(10)의 내측으로 절곡 시키면 그 상ㆍ하단이 개방부(40)의 상ㆍ하단사이에 끼여서 받쳐주기 때문에, 상기 개방부(40)는 더욱 견고하게 지지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포장상자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5도에 있어서,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성명은 생략한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자체(10)의 전면판(11)양쪽에 절개부(30)들이 설치되는 것은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는 상자체(10)의 개방부(40)중간에 설치되는 지지부(12)의 폭을 상부는 좁게형성하고 하부는 넓게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지지부(12′)를 형성하면, 지지부(12′)의 상단에 가해지는 하중이 하부로 갈수록 분산되기 때문에 개방부(40)가 보다 견고하게 지지된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들에서는 절개부(30)가 전면판(11)에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상자체(10)의 전ㆍ후면판 모두에 설치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상자체(10)에 형성되는 절개부(30)의 형상도 직사각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마름모형상, 원형상 등 여러 가지 모양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골판지를 보인 사시도이고, 제7도는 제6도의 확대 평단면도이다.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발명에 적용되는 골판지는 내측평면지(61)와 외측평면지 (62)사이에 골지(70)가 설치되어 있고, 내측평면지(61)에는 보강골지(8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강골지 (80)에 각각 형성된 골 (65)의 간격(ℓ)과 골(66)의 두께(t)는 상기 골지(70)에 각각 형성된 골(65)의 간격(ℓ′)과 골(65)의 두께(t′)의 1/2이하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또 다른 골판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또 다른 골판지의 확대 평면도이다.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골판지는 내측평면지(61)와 외측평면지(62)사이에 제3 평면지(63)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3개의 평면지(61,62,63) 사이에는 같은 간격과 골로 이루어진 골지(70)(70)가 각각 삽입고정되어 있고, 상기 내측평면지(61)의 외면에는 보강골지(8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강골지(80)의 각 골(66)의 간격(ℓ)과 두께(t)는 상기 골지(70)에 각각 형성된 골(65)의 간격(ℓ′)과 골(65)의 두께(t′)의 1/2이하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한 골판지를 사용하여 플립퍼(flipper)가 없는 상자용 4면체를 제조하고, 상기 4면체가 당접되는 외측 또는 내측에 접착테이프를 접착시켜서 제9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상자체(90)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포장상자는 보강골지(80)에 의해 상자체(90)의 외표면 전체가 굴곡면으로 되기 때문에, 상기 상자체(90)의 외표면에서 마찰계수이 증가되어 상자체(90)를 들어올리거나 운반할 때, 또는 다수개의 포장상자를 적층하여도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되어 취급이 매우 용이함은 물론, 적층된 상자가 임의로 허물어지질 염려가 없다.
또한, 상기 상자체(90)의 외표면을 구성하는 보강골지(80)가 촉감이 부드럽고, 또 상자체(90)의 외표면이 보강골지(80)에 의해 굴곡면으로 되기 때문에 인쇄내용도 입체적으로 보이게 되어 외부형상이 미려하게 보이는 효과도 있다.
특히, 상자체(90)의 외면이 굴곡면으로 되기 때문에 다른 물체와의 접촉면적이 감소되고, 또 자체 쿳션 작용에 의해 충격을 적게 받음과 동시에 완충효과도 대폭향상된다. 따라서 포장된 내용물의 파손 방지에도 크게 기여할 수도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포장상자에 대하여 제10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0도에 도시한 포장상자는 제1도에 도시한 포장상자와 다른 점은 제1도의 포장상자에서 절개부(30)의 각 일측 모서리양단 각각에 절취선(20)들과 연결되게 배치된 경사절취선(21)들에 의해 셩성되는 절개편(31)들을 생략하고, 상기 절취선(20)에 대해 서로 어긋나게 또 다른 절취선(20′)을 형성한 점이다.
다시 말하면, 제10도에 도시한 상자체(10)의 전면판(10) 중간에 지지부(12)를 경계로 하여 상자체(10)의 표면으로부터 일정깊이까지 원형 또는 사각 형태로 절취선(20)을 형성하고, 상기 절취선(20)으로부터 1㎜ 내지 10㎜정도 어긋나게 상기 상자체(10)내측면으로부터 또 다른 절취선(20′)을 형성한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의한 포장상자에 대하여 제11도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1도에 도시한 포장상자가 제5도에 도시한 포장상자와 다른 점은 경사절취선(21)들을 생략하고, 상기 절취선(20)에 대해 1㎜ 내지 10㎜정도 상하ㆍ좌우로 어긋나게 상기 상자체(10)내측면에 또 다른 절취선(20′)을 형성한 점이다.
다시 말하면, 제11도에 도시한 상자체(10)의 전면판(10)중간에 지지부(12)를 경계로 하여 상자체(10)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깊이까지 절취선(20)을 형성하고, 상기 절취선(20)으로부터 1㎜ 내지 10㎜정도 상하ㆍ좌우로 어긋나게 상기 상자체(10) 내측면에 또 다른 절취선(20′)을 형성한 점이다.
이와 같이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취선(20)과 절취선(20′)을 1㎜ 내지 10㎜정도 어긋나게 형성하면, 외부에서 펀칭을 가함으로써, 절취선(20)(20′)에 의해 구획되는 절개부(30)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포장상자에 의하면 뚜껑판들을 봉합시키는 접착테이프를 뜯어내고 상기 뚜껑판들을 열어 상자체내에 담겨있는 상품들을 꺼내지 않고도 전면판의 절개부들만 뜯어내면 상자체내에 포장되어 있는 상품들의 종류나 포장형태등을 볼 수 있게 되므로 상자체를 다수 쌓아놓은 상태에서 그대로 진열하거나 또는 상자체내의 상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진열대를 설치하지 않고도 상품이 포장상자에 포장되어 있는 상태로 진열할 수 있음은 물론, 상자체를 보관하기 위한 창고등과 같은 별도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도 있다. 이 밖에도 상자체를 상품들의 포장과 보관목적 외에도 진열대로도 활용할 수 있으므로 상자의 용도를 다양화시킬 수도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골판지로 포장상자를 만들면 보강골지에 의해 상자의 외표면이 굴곡면으로 되기 때문에 마찰계수이 증가되어 들어올리거나 운반할 때 또는 포장상자를 다수개 적층하여도 미끄러지지 않게 되어 취급이 매우 용이함은 물론, 적층된 상자가 쉽게 허물어지지 않는다는 효과도 있다. 이 밖에도 포장상자의 외표면이 굴곡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핸들링시에 부드러운 촉감을 줄 뿐만 아니라, 외표면의 굴곡면상에 문자나 그림등을 인쇄할 경우 인쇄내용도 입체적으로 보이게 되어 외관이 매우 미려하게 보인다는 효과도 있다. 특히, 외면이 굴곡면으로 되기 때문에, 다른 물체와의 접촉면적이 감소되고 또 자체 쿳션 작용에 의해 충격을 적게 받음과 동시에 완충효과도 대폭 향상되므로 포장된 내용물의 파손 방지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등의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 사면체 한쪽끝단 중앙부에 플립퍼가 형성되지 않아 상자체를 만들 때 풀대신 테이프만 사용할 수 있고, 또 포장상자내에 상품들을 넣을 때에 플립퍼가 없으므로 상품이 플립퍼에 의해 걸리는 일도 없으므로, 상품을 포장상자에 자동으로 포장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진열대와 상자를 보관하기 위한 창고 관련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상자체의 외표면에 보강골지가 위치하도록 제조된 포장상자의 경우는 운반이나 적층이 용이하며 외관이 매우 미려할 뿐만 아니라 외표면인 보강골지에 인쇄된 문자나 그림이 입체감을 준다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1)

  1. 상자체(10)의 전면판(11)에 절취선(20)에 의해 상품(A)들은 출입할 수 있도록 개방부(40)를 형성한 포장상자에 있어서, 상기 상자체(10)의 전면판(11)양쪽에 중간의 수직 지지부(12)를 경계로 하여 절취선(20)에 의해 절개되는 각각의 절개부(30)를 형성하고, 상기 절개부(30)의 일측모서리에는 각각 경사절취선(21)을 배치하여 절개편(31)들을 부설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2)의 양쪽에는 절곡홈(50)에 의해 절곡되도록 지지편(13)을 부설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10)의 4면체 단부에 연설된 플립퍼(64)를 형성하지 않는 대신 상기 4면체단부들을 테이프로 접착하는 것이 특징인 포장상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체(10)의 내평면지(61) 또는 제 3평면지(63)상에 보강골지(80)를 부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골지(80)의 골(66)의 간격(ℓ)과 두께(t)는 골지(70)의 골(65)의 간격(ℓ′)과 두께(t′)의 2분지 1이하인 것이 특징인 포장상자.
  6. 상자체(10)의 전면판(11)에 절취선(20)에 의해 상품(A)들을 출입할 수 있도록 개방부(40)를 형성한 포장상자에 있어서, 상기 상자체(10)의 외표면이 보강골지(80)로 이루어진 포장상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골지(80)는 그 골(66)의 간격(ℓ)과 두께(t)가 내측평면지(61)와 외측평면지(62)사이에 설치된 골지(70)의 간격(ℓ′)과 두께(t′)의 1/2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평면지(61)와 외측평면지(62)사이에 골지(7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측평면지(61)에는 보강골지(8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평면지(61)와 외측평면지(62)사이에 제 3평면지(63)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3개의 평면지(61,62,63)사이에는 골사이의 간격과 골이 같은 골지(70)가 삽입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평면지(61)의 외면에는 보강골지(8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11. 상자체(10)의 전면판(11)양쪽에 중간의 수직지지부(12)를 경계로 하여 절취선(20)에 의해 절개되는 절결부(30)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각 절개부(30)의 뒷면에 상기 절취선(20)에 대해 1㎜ 내지 10㎜ 어긋나게 또 다른 절취선(2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KR1019980003013A 1997-04-21 1998-02-04 포장상자 KR1002874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70008327 1997-04-21
KR101997008327 1997-04-21
KR2019970008327 1997-04-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490A KR19980086490A (ko) 1998-12-05
KR100287408B1 true KR100287408B1 (ko) 2001-11-30

Family

ID=37515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3013A KR100287408B1 (ko) 1997-04-21 1998-02-04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740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490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2309A (en) Carton for packaging cut sheets of paper
US4964511A (en) Packing case, particularly for sheet material
US9783334B2 (en) Shipping and display container
US7467743B1 (en) Container having self-locking structure to provide added stability
CA2419711C (en) Case ready stackable tray designs
KR200492642Y1 (ko)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
CA2078307A1 (en) Package for storing and dispensing unfolded file folders
US5848699A (en) Package for fragile goods
JP7107098B2 (ja) 包装箱
US4143763A (en) Collapsible shipping container for circuit boards
US4111299A (en) Deformable container
JPH02219740A (ja) 包装容器
RU120948U1 (ru) Ящик для продуктов (варианты) и штабель из таких ящиков
US6135288A (en) Corrugated board packaging box
KR100287408B1 (ko) 포장상자
JP3071404B2 (ja) 包装箱
KR200177409Y1 (ko) 포장상자
EP0647565A1 (en) Packaging for substantially rectangular blocks consisting of one or more articles
US3275216A (en) Container
US4164313A (en) Container
KR200298028Y1 (ko) 포장 박스 내부에 들어가는 골판지를 이용한 적층 포장체
JP3235452U (ja) 中仕切り付き包装箱
JP7335151B2 (ja) 梱包箱、および物品の梱包構造
JP7472729B2 (ja) 紙箱
JP7391759B2 (ja) 包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