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8894B1 - 바나나 포장봉투 - Google Patents

바나나 포장봉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8894B1
KR101928894B1 KR1020180046129A KR20180046129A KR101928894B1 KR 101928894 B1 KR101928894 B1 KR 101928894B1 KR 1020180046129 A KR1020180046129 A KR 1020180046129A KR 20180046129 A KR20180046129 A KR 20180046129A KR 101928894 B1 KR101928894 B1 KR 101928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ana
inner envelope
cover film
crates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현
박성균
Original Assignee
(주)한그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그린테크 filed Critical (주)한그린테크
Priority to KR1020180046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8894B1/ko
Priority to PCT/KR2018/004827 priority patent/WO201920338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65D85/34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having a meshed or apertured closure to allow contents to breath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3Wrappers or envelopes with shock-absorbing properties, e.g. bubble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나나 포장봉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크레이트의 내부 형상과 크기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내부봉투(110)와; 상기 내부봉투(110)의 외부를 감싸도록 상기 내부봉투(110)에 결합되며, 상기 내부봉투(110) 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덮음날개(123,123a)가 구비된 커버필름(120)을 포함하되, 상기 내부봉투(110)와 상기 커버필름(120)의 표면에는 바나나 숙성용 가스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내부유입공(115) 및 외부유입공(125)이 복수개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바나나 포장봉투{PACKING BAG FOR BANANA}
본 발명은 바나나 포장봉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플라스틱 크레이트에 보관되어 운송되는 바나나를 안전하게 포장하는데 사용되며, 바나나의 숙성을 원하는대로 조절할 수 있는 바나나 포장봉투에 관한 것이다.
바나나는 맛과 향이 우수하고, 영양가가 높아 많은 사람이 즐겨 먹는 과일이다. 바나나는 대부분 날씨가 따뜻한 나라에서 수입하여 판매하고 있다. 바나나는 플라스틱 크레이트(crate)에 담겨진 상태로 운송된다. 크레이트는 통상 딱딱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므로 충격이 가해질 경우 크레이트와 닿는 바나나 표면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운송시에 바나나를 보다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포장법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크레이트에 담기는 바나나의 표면을 감싸 외부 충격에 의한 바나나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바나나 포장봉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면에 구멍이 형성되어 바나나 숙성용 가스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게 하는 바나나 포장봉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크레이트에 담겨 보관되는 바나나를 포장하기 위한 바나나포장봉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나나 포장봉투는, 상기 크레이트의 내부 형상과 크기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내부봉투(110)와; 상기 내부봉투(110)의 외부를 감싸도록 상기 내부봉투(110)에 결합되며, 상기 내부봉투(110) 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덮음날개(123,123a)가 구비된 커버필름(120)을 포함하되, 상기 내부봉투(110)와 상기 커버필름(120)의 표면에는 바나나 숙성용 가스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내부유입공(115) 및 외부유입공(125)이 복수개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봉투(110)는 PE 폼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필름(120)은 기능성 PE 필름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봉투(110)와 상기 커버필름(120)은 서로 열융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봉투(110)와 상기 커버필름(120)은 사각 함체 형상의 크레이트 내벽면에 밀착되도록 M자 형태로 접혀지고, 밑부분을 대각선 방향으로 접어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능성 PE 필름은 PE 필름에 미세분말 형태의 가스흡착 기능 천연광물질 및 숯의 분말입자가 포함되도록 제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유입공(115)과 상기 외부유입공(125)은 직경 0.5~1.5cm 범위로 2~4cm 범위의 간격으로 상기 내부봉투(110)와 상기 커버필름(120) 표면에 펀칭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나나 포장봉투는 내부봉투가 크레이트와 바나나 사이에 배치되어 바나나를 감싸므로 물리적인 완충작용을 통해 바나나의 유통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필름의 덮음날개가 다층으로 적재된 바나나 사이와, 최상층 바나나의 상면을 덮어 바나나가 짓무르거나 손상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커버필름을 항균파우더와 기타 기능첨가제가 첨가되게 제조하여 기능적인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즉,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출되고 중금속과 유해성가스 등의 흡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항균활성 및 항산화 활성이 증진되어 바나나의 안전한 유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내부봉투와 커버필름 표면에 바나나 숙성용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공이 관통되어 바나나 숙성용 가스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바나나의 숙성도를 관리자가 희망하는 데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나나 포장봉투는 M자형태로 접혀져셔 보관되어 펼쳐졌을 때 크레이트에 대응되게 각이 살아있는 형태를 갖게 된다. 이에 의해 크레이트 내부에 밀착되게 배치되어 작업자가 바나나 포장봉투를 펼치는 과정을 거치는 수고스러움을 덜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나나 포장봉투를 이용해 바나나를 포장하여 크레이트에 보관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나나 포장봉투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나나 포장봉투를 펼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들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나나 포장봉투를 이용해 포장된 바나나가 담겨진 크레이트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나나 포장봉투(100)에 바나나(A)가 담겨진 상태로 크레이트(200)에 보관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나나 포장봉투(100)는 크레이트(200)에 밀착되게 배치된 후, 내부에 바나나를 수용한다. 바나나 포장봉투(100)는 크레이트(200)와 바나나(A) 사이에서 바나나(A)를 감싸 외부의 충격을 완충시키고, 크레이트(200)의 개방된 상면을 감싸 바나나(A)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나나 포장봉투(100)는 표면에 유입공(115,125)이 관통형성되어 운송중인 바나나의 숙성을 위해 도포되는 에틸렌 가스의 내부 유입이 원활해지도록 한다. 이에 의해 바나나의 숙성을 관리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바나나 포장봉투(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바나나 포장봉투(100)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나나 포장봉투(100)는 크레이트(200)의 형상과 크기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크레이트(200)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부봉투(110)와, 내부봉투(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크레이트(200)의 개방된 상면을 덮거나 복수개의 층으로 적층되는 바나나 사이에 배치되는 커버필름(120)를 포함한다.
내부봉투(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이트(200)와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구비된다. 내부봉투(110)는 크레이트(200)의 내벽면에 밀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크레이트(200)가 상부가 개방된 사각함체 형태로 형성될 때, 내부봉투(110)는 펼쳐진 상태에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크레이트(200)의 하부면적이 W1*W2이고, 높이가 h일 때, 내부봉투(110)는 펼쳐진 상태에서 바닥면(111)의 면적이 ℓ1*ℓ2이고, 높이는 h1으로 구비된다. 이 때, ℓ1은 W1과 같거나 살짝 작은 길이로 형성되고, ℓ2는 W2와 같거나 살짝 작은 길이로 형성된다. 내부봉투(110)의 높이 h1은 크레이트(200)의 높이 h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내부봉투(110)는 바나나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완충재료로 제조된다. 이를 위해 내부봉투(110)는 PE 폼으로 형성된다. PE 폼은 바나나의 운송도중 발생되는 낙하 및 진동 등의 충격으로부터 바나나를 보호한다. PE 폼은 독립 기포 구조와 기포력이 갖는 강성과 공기의 보존 완충성에서 매우 높은 충격 흡수성을 갖는다.
또한, PE 폼은 유연성이 좋아 반복되는 충격에도 깨어짐이 없이 원래 형태를 유지하며, 탄력성이 우수하다. 또한, 압축 강도가 강하여 바나나와 같이 무게를 갖는 과일의 포장에도 용이하다. 그리고, 열전도율이 낮고 흡수성이 작으며 열 차단 효과가 높아 단열 효과를 가지며, 수분을 통과시키지 않아 방수성을 갖는다.
내부봉투(110)는 롤 형태로 감겨 있는 PE 폼을 가공하여 형성된다. PE 폼의 두께는 바나나(A)로 인가되는 진동을 완충할 수 있도록 1mm 내외로 형성된다.
여기서, 내부봉투(110)의 표면에는 복수개의 내부유입공(115)이 일정 간격으로 관통형성된다. 내부유입공(115)은 바나나의 숙성을 위해 외부에서 도포하는 바나나 숙성용 가스가 바나나(A)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바나나 숙성용 가스는 일반적으로 에틸렌 가스가 사용될 수 있다.
내부유입공(115)은 직경 0.5~1.5cm 범위로 2~4cm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유입공(115)의 직경이 0.5cm 보다 작을 경우 바나나 숙성용 가스의 원활한 유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직경이 1.5cm 보다 클 경우 가스 유입은 원활하나 완충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할 수 있다.
내부유입공(115)의 배치간격은 원활한 가스유입과 완충 역할의 적절성을 고려하여 3cm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커버필름(120)은 내부봉투(110)에 결합되어 바나나의 상면을 덮거나, 복수개의 층으로 적층된 바나나 사이에 배치되어 위 아래에 배치된 바나나가 서로 닿지 않게 한다.
커버필름(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봉투(110)의 외부에 겹쳐지게 결합되는 접착면(121)과, 접착면(121)의 상부로 연장형성되어 바나나(A)를 덮는 덮음날개(123,123a)를 포함한다.
접착면(121)은 내부봉투(110)의 측면(113)과 겹쳐지게 배치된다. 접착면(121)은 측면(113)과 열융착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다. 접착면(121)이 내부봉투(110)와 겹쳐지는 높이(h2)는 높을 수록 방수 및 완충 효과가 높아지나 상대적으로 제조가격이 상승되므로 전체 측면 높이(h1)의 1/3~1/2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면(121) 사이에는 관통공(127)이 형성되어 내부봉투(110)가 삽입될 수 있다.
덮음날개(123,123a)는 접착면(121)의 상부로 일정 높이 연장되게 형성된다. 덮음날개(123,123a)의 높이(h3)는 크레이트(200)의 폭(W1)에 대응되거나 일정 길이 크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음날개(123,123a)가 크레이트(200)의 개방된 상면을 덮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음날개(123,123a)가 상하로 적층된 바나나(A1,A2) 사이를 덮어 위 층의 바나나(A2)와 아래층의 바나나(A1)가 서로 닿아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덮음날개(123,123a)는 접착면(121)의 네 변을 따라 네 개가 구비된다. 서로 마주보는 두 쌍의 덮음날개(123,123a)는 바나나(A)의 적층단수에 따라 중간 층에 덮혀지거나 상면을 덮는데 사용된다.
경우에 따라 넓은 쪽 덮음날개(123)는 바나나를 덮는데 사용되고, 좁은 쪽 덮음날개(123a)는 크레이트(200)와 내부봉투(110) 사이에 삽입될 수도 있다.
커버필름(120)은 기능성 PE 필름으로 제작된다. 기능성 PE 필름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합성수지에 항균파우더와 기능첨가제를 포함시켜 제조된다. 항균파우더와 기능첨가제는 미세분말 형태의 가스흡착 기능 천연광물질 및 숯의 분말입자일 수 있다.
항균파우더와 기능첨가제는 구체적으로 황토, 맥반석, 고령토, 불석, 장석, 흑운모, 옥, 셀레늄 및 숯일 수 있다.
기능성 PE 필름은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등록특허 제10-0949531호 "기능성 식품 포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기능성 PE 필름은 20㎛ 두께로 형성된다.
이렇게 기능성 PE 필름에 의해 커버필름(120)이 제조되면,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여 중금속과 유해성가스 등의 흡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항균활성 및 항산화 활성이 증진되어 바나나의 안전한 유통이 가능해질 수 있다.
기능성 PE 필름으로 형성된 커버필름(120)의 표면에는 외부유입공(125)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외부유입공(125)은 앞서 설명한 내부유입공(115)과 동일한 크기와 간격으로 형성되어 바나나 숙성용 가스를 바나나 측으로 유입시킨다.
여기서, 측면(113)과 겹쳐지게 배치된 접착면(121)은 내부유입공(115)과 외부유입공(125)이 겹쳐지게 관통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바나나 포장봉투(100)의 제조과정과 사용과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바나나 포장봉투(100)의 제조를 위해 먼저 내부봉투(110)를 제조하기 위한 PE 폼과 커버필름(120)을 제조하기 위한 기능성 PE 필름을 롤 형태로 각각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PE 폼과 기능성 PE 필름은 각각 내부봉투(110)와 커버필름(120)의 형태로 가공된다.
그리고, 커버필름(120)의 접착면(121)을 내부봉투(110)의 측면(113)과 맞닿게 배치한 후 열융착시켜 고정시킨다. 접착면(121)과 측면(113)의 경계선(Y)의 위치는 접착면(121)의 면적에 따라 상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내부봉투(110)와 커버필름(120)의 가공 전에 롤 형태의 기능성 PE 필름과 PE 폼을 열융착시킨 후 내부봉투(110)와 커버필름(120)을 후가공할 수 있다.
제조가 완료된 바나나 포장봉투(10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어서 보관된다. 이 때, 바나나 포장봉투(100)는 내부봉투(110)의 바닥면(111)과 측면(113)이 크레이트(200)의 내벽면에 밀착될 수 있게 각을 살려서 접혀진다.
바나나 포장봉투(100)는 가운데 세로중심선(X)과 가운데 가로중심선(Z)을 기준으로 M자를 형성하게 접는다. 그리고, 내부봉투(110)의 바닥면(111)과 측면(113) 사이를 대각선(B) 방향으로 접어 형성된다.
접혀진 내부봉투(110)의 상부로 덮음날개(123,123a)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이렇게 바나나 포장봉투(100)는 유통되고, 바나나 보관을 위해 크레이트(200)에 넣어야 할 때 작업자가 펼쳐서 사용하게 된다.
사용을 위해 작업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 가로중심선(Z)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접혀진 바닥면 끝부분(111a,111b)를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펼치고, 좁은 쪽 덮음날개(123a)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펼치면서 벌려 사각함체 모양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나나 포장봉투(100)의 형상이 완료된다.
여기서, 바나나 포장봉투(100)를 M자 형태로 접어서 보관하는 것은 내부봉투(110)의 각을 살려 보관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졌을 때 바닥면(111)과 측면(113)의 테두리영역이 반듯한 형태를 유지하여 크레이트(200)의 내벽면에 밀착되게 하기 위함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바나나 포장봉투(100)를 사용자는 크레이트(200)의 내부에 배치시킨다. 그리고, 바나나(A)를 바나나 포장봉투(100) 내부에 적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111)에 1층 바나나(A)를 적재하고, 그 위에 다시 2층 바나나(A1)을 적재한다. 그리고, 2층 바나나 위에 덮음날개(123)를 배치하고, 덮음날개(123) 위에 다시 3층 바나나(A2)를 적층한다. 그리고, 최상위 바나나의 상면을 다시 나머지 덮음날개(123)로 덮는다.
이렇게 덮음날개(123)를 중간에 배치시켜 위아래로 배치된 바나나들이 서로 맞닿아 표면이 물러지거나 상처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나나의 포장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바나나 숙성용 가스를 도포한다. 바나나 숙성용 가스가 도포되면 내부유입공(115)와 외부유입공(125)을 통해 가스가 바나나로 유입되고, 바나나의 숙성이 진행된다.
이 때, 커버필름(120)은 바나나 숙성용 가스가 흡착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하는 기능성 PE 필름으로 제작되므로 보다 오랫동안 바나나 숙성용 가스를 머금어 바나나 숙성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크레이트(200)에 보관된 바나나(A)는 차량이나 선박, 비행기 등을 통해 운송된다. 이 과정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PE 폼 재질로 형성된 내부봉투(110)가 크레이트(200)와 바나나(A)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여 바나나(A)가 손상되는 것을 줄여주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나나 포장봉투는 내부봉투가 크레이트와 바나나 사이에 배치되어 바나나를 감싸므로 물리적인 완충작용을 통해 바나나의 유통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필름의 덮음날개가 다층으로 적재된 바나나 사이와, 최상층 바나나의 상면을 덮어 바나나가 짓무르거나 손상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커버필름을 항균파우더와 기타 기능첨가제가 첨가되게 제조하여 기능적인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즉,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출되고 중금속과 유해성가스 등의 흡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항균활성 및 항산화 활성이 증진되어 바나나의 안전한 유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내부봉투와 커버필름 표면에 바나나 숙성용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공이 관통되어 바나나 숙성용 가스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바나나의 숙성도를 관리자가 희망하는 데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나나 포장봉투는 M자형태로 접혀져셔 보관되어 펼쳐졌을 때 크레이트에 대응되게 각이 살아있는 형태를 갖게 된다. 이에 의해 크레이트 내부에 밀착되게 배치되어 작업자가 바나나 포장봉투를 펼치는 과정을 거치는 수고스러움을 덜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나나 포장봉투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바나나 포장봉투 110 : 내부봉투
111 : 바닥면 113 : 측면
115 : 내부유입공 120 : 커버필름
121 : 접착면 123,123a : 덮음날개
125 : 외부유입공 200 : 크레이트
X : 세로중심선
Y : 접착면 경계선
Z : 가로중심선

Claims (5)

  1. 크레이트에 담겨 보관되는 바나나를 포장하기 위한 바나나 포장봉투에 있어서,
    상기 크레이트의 내부 형상과 크기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내부봉투(110)와;
    상기 내부봉투(110)의 외부를 감싸도록 상기 내부봉투(110)의 측면에 결합되는 접착면(121)과, 상기 접착면(121)의 상부로 연장형성되어 바나나를 덮는 적어도 하나의 덮음날개(123,123a)가 구비된 커버필름(120)을 포함하되,
    상기 내부봉투(110)는 PE 폼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필름(120)은 기능성 PE 필름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봉투(110)와 상기 커버필름(120)은 서로 열융착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덮음날개(123,123a)는 바나나의 상면을 덮거나 복수개의 층으로 적층된 바나나 사이에 배치 가능하며,
    상기 내부봉투(110)와 상기 커버필름(120)의 표면에는 바나나 숙성용 가스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내부유입공(115) 및 외부유입공(125)이 복수개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나나 포장봉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봉투(110)와 상기 커버필름(120)은 사각 함체 형상의 크레이트 내벽면에 밀착되도록 M자 형태로 접혀지고, 밑부분을 대각선 방향으로 접어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나나 포장봉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PE 필름은 PE 필름에 미세분말 형태의 가스흡착 기능 천연광물질 및 숯의 분말입자가 포함되도록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나나 포장봉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유입공(115)과 상기 외부유입공(125)은 직경 0.5~1.5cm 범위로 2~4cm 범위의 간격으로 상기 내부봉투(110)와 상기 커버필름(120) 표면에 펀칭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나나 포장봉투.
KR1020180046129A 2018-04-20 2018-04-20 바나나 포장봉투 KR101928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129A KR101928894B1 (ko) 2018-04-20 2018-04-20 바나나 포장봉투
PCT/KR2018/004827 WO2019203382A1 (ko) 2018-04-20 2018-04-26 바나나 포장봉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129A KR101928894B1 (ko) 2018-04-20 2018-04-20 바나나 포장봉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8894B1 true KR101928894B1 (ko) 2018-12-13

Family

ID=64671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129A KR101928894B1 (ko) 2018-04-20 2018-04-20 바나나 포장봉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28894B1 (ko)
WO (1) WO20192033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2676A (ko) * 2020-09-28 2022-04-05 김태근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 포장 시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8145Y2 (ja) * 1990-04-05 1996-11-20 ネクスタ株式会社 袋の折り畳み底板
JP2001225876A (ja) * 2000-02-16 2001-08-21 Ifuko Japan Kk バナナコンテナー用保護シート
KR100949531B1 (ko) * 2009-12-24 2010-03-25 (주)미얼스 기능성 식품 포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6031A (ko) * 2001-05-10 2002-11-18 김창헌 내측덮개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포장용박스
KR200404421Y1 (ko) * 2005-09-28 2005-12-22 김충선 과수 재배용 과일봉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8145Y2 (ja) * 1990-04-05 1996-11-20 ネクスタ株式会社 袋の折り畳み底板
JP2001225876A (ja) * 2000-02-16 2001-08-21 Ifuko Japan Kk バナナコンテナー用保護シート
KR100949531B1 (ko) * 2009-12-24 2010-03-25 (주)미얼스 기능성 식품 포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2676A (ko) * 2020-09-28 2022-04-05 김태근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 포장 시트
KR102544385B1 (ko) 2020-09-28 2023-06-16 김태근 과일 운반용 컨테이너 내부 포장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03382A1 (ko)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45539B2 (ja) 容 器
CN109071092B (zh) 缓冲包装箱
WO2013002325A1 (ja) 断熱容器
KR101928894B1 (ko) 바나나 포장봉투
JP2017074959A5 (ko)
KR200451372Y1 (ko) 단열 상자용 원단
KR101192399B1 (ko) 포장용 상자
KR102165082B1 (ko) 이중 단열 상자
US20200361695A1 (e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made of paper
JP5410084B2 (ja) 梱包箱及び箱状芯材
CN212922730U (zh) 一种防撞保温包装箱
JP2008285196A (ja) 湿分吸収包装体
EP3561416B1 (en) A container for receiving goods to be cooled and method thereof
JPS6119094Y2 (ko)
KR0119599Y1 (ko) 밀폐된 공기층을 갖는 골판지 구조
US4790450A (en) Meat container
KR102469430B1 (ko) 보온 및 보냉 기능을 갖는 포장용 박스
KR20240000034U (ko) 식품 유통 용기
KR102208143B1 (ko) 포장용 상자 및 이의 제조 방법
CN212126026U (zh) 包装结构
CN209814684U (zh) 一种蓝莓包装盒
KR102479594B1 (ko) 전개 시 내부 공간의 바닥면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보온보냉용 포장 자루
KR102366297B1 (ko) 포장 상자
CN220577954U (zh) 一种减震包装箱
CN211869937U (zh) 一种物流包装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