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1270A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1270A
KR20220041270A KR1020200123678A KR20200123678A KR20220041270A KR 20220041270 A KR20220041270 A KR 20220041270A KR 1020200123678 A KR1020200123678 A KR 1020200123678A KR 20200123678 A KR20200123678 A KR 20200123678A KR 20220041270 A KR20220041270 A KR 20220041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layer
adhesive layer
area
protec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윤
임지혁
최은길
정지윤
조성원
조인욱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3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1270A/ko
Priority to CN202111054116.XA priority patent/CN114256302A/zh
Priority to US17/483,718 priority patent/US11930660B2/en
Publication of KR20220041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2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01L51/524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01L51/5253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과 이격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는 윈도우, 상기 윈도우 상에 배치되고, 상기 벤딩 영역과 중첩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보호층 및 상기 윈도우와 상기 보호층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윈도우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및 상기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판 표시 장치는 경량 및 박형 등의 특성으로 인하여, 음극선관 표시 장치를 대체하는 표시 장치로써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의 대표적인 예로서 액정 표시 장치와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있다.
한편, 표시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구부림으로써 다양한 각도에서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거나 비표시 영역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진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불량을 최소화하고 공정 비용을 절감하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뢰성이 개선된 표시 장치 및 이러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술한 목적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과 이격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는 윈도우, 상기 윈도우 상에 배치되고, 상기 벤딩 영역과 중첩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보호층 및 상기 윈도우와 상기 보호층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의 길이는 상기 윈도우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상기 보호층의 상기 돌출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벤딩 영역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의 길이는 상기 접착층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상기 보호층의 상기 돌출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벤딩 영역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윈도우와 중첩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보호층의 상기 돌출부와 중첩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접착층의 상기 제2 부분의 하부에 배치되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벤딩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접착층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상기 접착층의 상기 제2 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접착층의 상기 제1 부분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접착층의 상기 제2 부분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윈도우와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벤딩 영역을 덮는 벤딩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접착층과 상기 벤딩보호층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벤딩보호층과 접착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금속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윈도우는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초박형 유리(UTG)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하부 구조물 상에 윈도우를 형성하는 단계, 돌출부를 포함하는 보호층, 상기 보호층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이형 필름, 상기 보호층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이형 필름 및 상기 보호층과 상기 제2 이형 필름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접착층으로부터 상기 제2 이형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윈도우가 상기 보호층의 상기 돌출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윈도우 상에 상기 접착층을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층으로부터 상기 제1 이형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보호층의 상기 돌출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윈도우와 중첩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보호층의 상기 돌출부와 중첩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접착층의 상기 제2 부분의 하부에 배치되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과 이격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벤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조물 상에 상기 윈도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윈도우가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도록 상기 하부 구조물 상에 상기 윈도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상에 상기 접착층을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보호층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벤딩 영역과 중첩하도록 상기 윈도우 상에 상기 접착층을 부착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돌출부를 포함하는 보호층, 상기 보호층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이형 필름, 상기 보호층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이형 필름 및 상기 보호층과 상기 제2 이형 필름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접착층으로부터 상기 제2 이형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보호층의 상기 돌출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접착층의 하부에 윈도우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윈도우의 하부에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하부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층으로부터 상기 제1 이형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윈도우 및 윈도우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보호층은 표시 패널의 벤딩 영역과 중첩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는 정전기가 상기 표시 패널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고, 상기 표시 장치의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윈도우는 상기 윈도우 보호층의 상기 돌출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윈도우의 파손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벤딩 영역을 덮는 벤딩보호층 및 상기 윈도우와 상기 윈도우 보호층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상기 벤딩보호층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벤딩보호층 및 상기 표시 패널의 벤딩 영역의 손상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 장치의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표시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1의 II-II'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표시 장치가 구부러진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구부러진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보호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윈도우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6의 윈도우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6의 윈도우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0은 도 6의 윈도우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보호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윈도우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된 도면들 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들을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 편광층(POL), 윈도우(200), 윈도우 보호층(300), 패널 보호층(PPL), 쿠션층(CL) 및 금속층(ML)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10)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로써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표시 장치(10)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폴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표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생성된 화상을 제1 면(101) 방향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면(101)은 표시 패널(100)의 상면일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들 각각이 방출하는 광이 조합되어 화상이 생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제1 영역(1A), 제2 영역(2A) 및 벤딩 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영역(1A)은 표시 영역이고, 제2 영역(2A)은 비표시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영역(2A)은 제1 영역(1A)의 일 측에 배치되며, 제1 영역(1A)과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영역(2A)은 제1 영역(1A)으로부터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벤딩 영역(BA)은 제1 영역(1A)과 제2 영역(2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벤딩 영역(BA)은 제1 방향(DR1)에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벤딩축을 따라 구부러질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표시 패널(100)은 제1 영역(1A) 내에 위치하는 폴딩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딩 영역은 표시 패널(100)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는 영역일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상기 폴딩 영역이 폴딩 또는 언폴딩됨에 따라 표시 장치(10)도 상기 폴딩 영역에서 폴딩 또는 언폴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2A) 상에는 구동 회로칩(60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영역(2A)의 단부(예컨대, 제1 방향(DR1) 측 단부)에는 가요성 인쇄회로기판(FPCB)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의 단부에는 인쇄회로기판(PCB)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구동 회로칩(600)은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구동 회로칩(600),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표시 패널(100)에 구동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신호는 구동 전압, 게이트 신호, 데이터 신호 등 표시 장치(10)를 구동하는 다양한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제1 면(101) 상에는 편광층(POL)이 배치될 수 있다. 즉, 편광층(POL)은 표시 패널(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편광층(POL)은 표시 장치(10)의 외광 반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외광이 편광층(PL)을 통과하여 편광층(POL) 하부(예컨대, 표시 패널(100))에서 반사된 후에 다시 편광층(POL)을 통과하는 경우에, 편광층(POL)을 2 회 통과함에 따라 상기 외광의 위상이 바뀔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사광의 위상이 편광층(POL)으로 진입하는 입사광의 위상과 달라짐으로써 소멸 간섭이 발생할 수 있고, 외광 반사가 감소됨으로써 표시 장치(10)의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편광층(POL) 상에는 윈도우(200)가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200)는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1A)과 중첩할 수 있다. 윈도우(200)는 외부의 불순물, 충격 등으로부터 표시 패널(100)을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윈도우(200)는 가요성을 갖는 투명한 유리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윈도우(200)는 초박형 유리(UTG), 폴리이미드(P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가 폴딩 또는 언폴딩되는 경우, 가요성을 갖는 윈도우(200)도 폴딩 또는 언폴딩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윈도우(200) 상에는 반사 방지층, 하드 코팅층, 지문 방지층 등과 같은 기능층들이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200) 상에는 윈도우 보호층(300)이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보호층(300)은 외부의 불순물, 충격 등으로부터 윈도우(200)를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윈도우 보호층(30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열가소성폴리우레탄(TPU),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보호층(300)은 메인부(310) 및 돌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부(310)는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1A)과 중첩하고, 돌출부(320)는 표시 패널(100)의 벤딩 영역(BA)과 중첩할 수 있다. 윈도우(200)는 윈도우 보호층(300)의 메인부(310)와 중첩하고 돌출부(320)와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윈도우 보호층(300)의 돌출부(320)는 윈도우(200)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상세히 후술한다.
윈도우 보호층(300)과 윈도우(200) 사이, 윈도우(200)와 편광층(POL) 사이, 편광층(POL)과 표시 패널(100) 사이에는 각각 제1 내지 제3 접착층들(410, 420, 43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내지 제3 접착층들(410, 420, 430) 각각은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OCA), 광학 투명 접착 수지(optically clear resin, OC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제2 면(102) 상에는 패널 보호층(PPL)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면(102)은 제1 면(101)에 대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면(102)은 표시 패널(100)의 하면일 수 있다. 즉, 패널 보호층(PPL)은 표시 패널(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패널 보호층(PPL)은 표시 장치(10)의 하부로부터의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 보호층(PPL)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100)의 제2 면(102)을 보호할 수 있다.
패널 보호층(PPL)의 아래에는 쿠션층(CL)이 배치될 수 있다. 쿠션층(CL)은 표시 패널(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00)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쿠션층(CL)은 쿠션(cushion), 스펀지(sponge) 등 공기를 함유하여 완충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쿠션층(CL)은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라텍스, 폴리우레탄 폼, 폴리스타이렌 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쿠션층(CL)은 폼(foam) 형상 또는 젤(gel) 형상일 수 있다.
쿠션층(CL)의 아래에는 금속층(ML)이 배치될 수 있다. 금속층(ML)은 표시 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금속층(ML)은 니켈(Ni)과 철(Fe)의 합금인 인바(invar), 스테인리스 스틸(SUS), 티타늄(Ti), 구리(Cu)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금속층(ML)에는 표시 장치(10)가 폴딩 또는 언폴딩되는 상기 폴딩 영역과 중첩하는 복수의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딩 영역과 중첩하는 금속층(ML)에 복수의 홀들이 형성됨에 따라, 표시 장치(10)가 반복적으로 폴딩 또는 언폴딩되더라도 표시 장치(10)의 상기 폴딩 영역이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표시 패널(100)과 패널 보호층(PPL) 사이, 패널 보호층(PPL)과 쿠션층(CL) 사이, 쿠션층(CL)과 금속층(ML) 사이 각각에는 접착층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들은 PSA, OCA, OC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표시 장치(10)에 포함된 표시 패널(10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은 기판(110), 트랜지스터(TR), 발광 소자(150) 및 봉지층(16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은 가요성 및 절연성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판(110)은 투명 수지 기판일 수 있다. 예컨대, 기판(110)은 폴리이미드 기판일 수 있다. 상기 폴리이미드 기판은 제1 폴리이미드층, 베리어 필름층, 제2 폴리이미드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기판(110)은 석영(quartz) 기판, 합성 석영(synthetic quartz) 기판, 불화칼슘(calcium fluoride) 기판, 불소가 도핑된 석영(F-doped quartz) 기판, 소다라임(sodalime) 유리 기판, 무알칼리(non-alkali) 유리 기판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판(110) 상에는 액티브층(120)이 배치될 수 있다. 액티브층(120)은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및 소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채널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층(120)은 비정질 실리콘, 다결정 실리콘, 산화물 반도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액티브층(120) 상에는 제1 절연층(11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11)은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등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11) 상에는 게이트 전극(130)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30)은 액티브층(120)의 상기 채널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30)은 몰리브덴(Mo), 구리(Cu) 등과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30) 상에는 제2 절연층(11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112)은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등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층(112) 상에는 소스 전극(141) 및 드레인 전극(142)이 배치될 수 있다. 소스 전극(141) 및 드레인 전극(142)은 액티브층(120)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소스 전극(141) 및 드레인 전극(142)은 알루미늄(Al), 티타늄(Ti), 구리(Cu) 등과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층(120), 게이트 전극(130), 소스 전극(141) 및 드레인 전극(142)은 트랜지스터(TR)로 정의될 수 있다.
소스 전극(141) 및 드레인 전극(142) 상에는 제3 절연층(113)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절연층(113)은 폴리이미드 등과 같은 유기 절연 물질 및/또는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등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절연층(113) 상에는 화소 전극(151)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전극(151)은 소스 전극(141) 또는 드레인 전극(142)에 연결될 수 있다. 화소 전극(151)은 마그네슘(Mg), 은(Ag), 금(Au), 칼슘(Ca), 리튬(Li), 크롬(Cr), 알루미늄(Al) 등과 같은 금속 및/또는 인듐 주석 산화물(ITO), 인듐 아연 산화물(IZO), 아연 산화물(ZnO) 등과 같은 투명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전극(151) 상에는 제4 절연층(114)이 배치될 수 있다. 제4 절연층(114)은 화소 전극(151)의 주변부를 덮고, 화소 전극(151)의 중심부를 노출하는 화소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절연층(114)은 폴리이미드 등과 같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전극(151) 상에는 발광층(152)이 배치될 수 있다. 발광층(152)은 제4 절연층(114)의 화소 개구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층(152)은 유기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152) 상에는 대향 전극(153)이 배치될 수 있다. 대향 전극(153)은 제4 절연층(114) 상에도 배치될 수 있다. 대향 전극(153)은 마그네슘(Mg), 은(Ag), 금(Au), 칼슘(Ca), 리튬(Li), 크롬(Cr), 알루미늄(Al) 등과 같은 금속 및/또는 인듐 주석 산화물(ITO), 인듐 아연 산화물(IZO), 아연 산화물(ZnO) 등과 같은 투명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전극(151), 발광층(152) 및 대향 전극(153)은 발광 소자(150)로 정의될 수 있다.
대향 전극(153) 상에는 봉지층(160)이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160)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 봉지층 및 적어도 하나의 유기 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봉지층(160)은 대향 전극(153) 상에 배치되는 제1 무기 봉지층(161), 제1 무기 봉지층(161) 상에 배치되는 유기 봉지층(162) 및 유기 봉지층(162) 상에 배치되는 제2 무기 봉지층(163)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 봉지층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등을 포함하고, 유기 봉지층은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는 도 1의 II-II'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표시 장치(10)가 구부러진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의 벤딩 영역(BA)은 벤딩축을 따라 구부러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 영역(BA)은 표시 패널(100)의 제2 면(102)이 마주보고 제1 영역(1A)과 제2 영역(2A)이 중첩하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패널 보호 필름(PPL)은 제1 영역(1A)과 중첩하는 제1 패널 보호 필름(PPL1) 및 제2 영역(2A)과 중첩하는 제2 패널 보호 필름(PP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패널 보호 필름(PPL2)은 제1 패널 보호 필름(PPL1)으로부터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패널 보호 필름들(PPL1, PPL2) 사이에는 제1 개구부(OP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는 벤딩 영역(BA)과 중첩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는 표시 패널(100)이 구부러짐에 따라 패널 보호 필름(PPL)이 표시 패널(100)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 쿠션층(CL) 및 금속층(ML)은 제1 패널 보호 필름(PPL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쿠션층(CL) 및 금속층(ML)은 벤딩 영역(BA)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금속층(ML)의 하부에는 스페이서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페이서는 표시 패널(100)이 구부러진 상태에서 서로 중첩하는 금속층(ML)과 제2 윈도우 보호 필름(PPL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는 브라켓(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700)은 윈도우 보호층(300), 윈도우(200), 표시 패널(100) 등을 수납할 수 있다. 브라켓(700)은 외부의 충격, 불순물이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로부터 표시 패널(100)을 보호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벤딩 영역(BA) 상에는 벤딩보호층(50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벤딩보호층(500)은 표시 패널(100)의 제1 면(101) 상에 배치되며, 벤딩 영역(BA)을 덮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벤딩 보호층(500)의 일부는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1A) 또는 제2 영역(2A)의 일부와 중첩할 수 있다.
벤딩보호층(500)은 표시 패널(100)의 벤딩 영역(BA)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벤딩보호층(500)은 표시 패널(100)의 벤딩 영역(BA) 내의 도전층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도전층에는 상기 구동 신호를 표시 패널(100)에 전달하는 배선들이 배치될 수 있다. 벤딩보호층(500)의 배치에 따라 표시 장치(10)를 구부리는 경우의 스트레스 중성 평면(stress neutral plane)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도전층에 인가되는 인장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벤딩보호층(500)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로부터 표시 패널(100)의 벤딩 영역(BA)을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0)의 제1 면(101) 상에 배치되는 편광층(POL) 및 벤딩보호층(500)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패널(100)에 편광층(POL) 또는 벤딩보호층(500)을 형성할 때 발생 가능한 불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편광층(POL) 및 벤딩보호층(500)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00)의 제1 면(101) 상에 배치되는 편광층(POL)과 벤딩보호층(500) 사이에는 제2 개구부(OP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구부(OP2)는 표시 패널(100)의 제1 면(101)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윈도우(200)는 제1 영역(1A)과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윈도우(200)는 벤딩 영역(BA)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윈도우(200)가 벤딩 영역(BA)과 중첩하도록 연장되는 경우, 하부 구조물(예컨대, 편광층(POL), 표시 패널(100), 금속층(ML) 등)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부분이 늘어남에 따라 윈도우(200)의 파손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손 위험을 줄이기 위해 윈도우(20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1A)과 중첩하는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윈도우(200)의 일부가 벤딩 영역(BA)과 중첩하도록 연장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윈도우 보호층(300)의 제1 방향(DR1)으로의 길이는 윈도우(200)의 제1 방향(DR1)으로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윈도우 보호층(300)은 윈도우(200)와 중첩하는 메인부(310) 및 메인부(310)로부터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돌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부(310)는 제1 영역(1A)과 중첩하고, 돌출부(320)는 벤딩 영역(BA)과 중첩할 수 있다. 돌출부(320)는 윈도우(200)와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윈도우(200)는 돌출부(320)를 노출시킬 수 있다. 돌출부(320)는 제1 개구부(OP1) 및 벤딩보호층(500)과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보호층(300)의 돌출부(320)는 브라켓(700)과 인접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320)는 브라켓(700)과 접촉하거나 이격될 수 있다. 돌출부(320)가 브라켓(700)과 인접하도록 연장됨에 따라, 외부로부터 표시 장치(10)의 내부(예컨대, 제2 개구부(OP2)에 의해 노출된 표시 패널(100))로 정전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는 정전기에 의한 표시 패널(100)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표시 장치(10)의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접착층(410)의 제1 방향(DR1)으로의 길이는 윈도우 보호층(300)의 제1 방향(DR1)으로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접착층(410)은 윈도우(200) 및 윈도우 보호층(300)의 메인부(310)와 중첩하고, 윈도우 보호층(300)의 돌출부(320)와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접착층(410)은 윈도우(200)와 중첩하는 윈도우 보호층(300)의 메인부(310)와 윈도우(200) 사이에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접착층(410)은 윈도우 보호층(300)의 돌출부(320)를 노출시킬 수 있다. 제1 접착층(410)은 제1 영역(1A)과 중첩하고, 벤딩 영역(BA)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접착층(410)의 제1 방향(DR1)으로의 길이는 윈도우(200)의 제1 방향(DR1)으로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접착층(410)이 벤딩 영역(BA)과 중첩하지 않음에 따라, 윈도우 보호층(300)이 벤딩보호층(500) 방향으로 구부러지더라도 제1 접착층(410)은 벤딩보호층(500)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접착층(410)이 벤딩보호층(500)과 접촉하는 경우, 제1 접착층(410)이 벤딩보호층(500)에 접착되었다가 떼어질 때 벤딩보호층(500)이 손상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에 의하면, 제1 접착층(410)이 벤딩 영역(BA)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접착층(410)은 윈도우 보호층(300)의 돌출부(320)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윈도우 보호층(300)이 벤딩보호층(500) 방향으로 구부러지더라도 벤딩보호층(500)은 제1 접착층(410)이 아닌 윈도우 보호층(300)의 돌출부(320)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즉, 돌출부(320)와 벤딩보호층(500)은 서로 접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는 벤딩보호층(5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표시 패널(100)의 벤딩 영역(BA) 내의 상기 도전층을 보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1)가 구부러진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1)는 표시 패널(100), 편광층(POL), 윈도우(200), 윈도우 보호층(300), 제1 접착층(1410) 및 커버 부재(9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1)는 제1 접착층(1410) 및 커버 부재(900)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접착층(1410)은 윈도우 보호층(300)과 윈도우(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층(1410)은 윈도우 보호층(300)의 메인부(310) 및 돌출부(320)와 중첩할 수 있다. 제1 접착층(1410)은 윈도우 보호층(300)의 메인부(310)와 중첩하는 제1 부분(1411) 및 윈도우 보호층(300)의 돌출부(320)와 중첩하는 제2 부분(14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분(1412)은 제1 부분(1411)으로부터 제1 방향(DR1)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부분(1411)은 제1 영역(1A)과 중첩하고, 제2 부분(1412)은 벤딩 영역(BA)과 중첩할 수 있다. 제2 부분(1412)은 제1 개구부(OP1) 및 벤딩보호층(500)과 중첩할 수 있다.
윈도우(200)는 제1 접착층(1410)의 제1 부분(1411)과 중첩하고, 제1 접착층(1410)의 제2 부분(1412)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윈도우(200)의 제1 방향(DR1)으로의 길이는 제1 접착층(1410)의 제1 방향(DR1)으로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윈도우(200)는 제1 접착층(1410)의 제2 부분(1412)을 노출시킬 수 있다.
커버 부재(900)는 제1 접착층(1410)의 제2 부분(1412)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커버 부재(900)는 벤딩 영역(BA)과 중첩하며, 제1 접착층(1410)과 벤딩보호층(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부재(900)는 제1 개구부(OP1)와 중첩할 수 있다. 커버 부재(900)는 윈도우(200)에 의해 노출된 제1 접착층(1410)의 제2 부분(1412)의 하면을 커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윈도우 보호층(300)이 벤딩보호층(500) 방향으로 구부러지더라도 제1 접착층(1410)의 제2 부분(1412)은 벤딩보호층(500)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커버 부재(900)와 벤딩보호층(500) 사이에는 접착층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커버 부재(900)는 벤딩보호층(500)과 접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윈도우 보호층(300)이 벤딩보호층(500) 방향으로 구부러져 커버 부재(900)가 벤딩보호층(500)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더라도, 커버 부재(900)는 벤딩보호층(500)과 접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커버 부재(900)는 제1 접착층(1410)의 제2 부분(1412)이 벤딩보호층(500)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1)는 벤딩보호층(5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표시 패널(1000의 벤딩 영역(BA) 내의 상기 도전층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 부재(900)는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등과 같은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커버 부재(900)는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등의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200) 및 커버 부재(900) 각각은 제1 접착층(1410)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즉, 윈도우(200)의 상면은 제1 접착층(1410)의 제1 부분(1411)의 하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커버 부재(900)의 상면은 제1 접착층(1410)의 제2 부분(1412)의 하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200)와 커버 부재(900)는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윈도우(200)와 커버 부재(900)는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이격될 수도 있다. 즉, 윈도우(200)와 커버 부재(900)는 제1 접착층(1410)이 벤딩보호층(500)과 접촉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는 커버 부재(900)의 두께가 윈도우(200)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커버 부재(900)의 두께는 윈도우(200)의 두께보다 작거나 클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보호 필름(WPF1)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보호 필름(WPF1)은 윈도우 보호층(300), 제1 접착층(410), 제1 이형 필름(810) 및 제2 이형 필름(8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이형 필름들(810, 820)은 표시 장치(10)의 제조 과정(예컨대, 윈도우 보호 필름(WPF1)의 운송 과정)에서 윈도우 보호층(300) 및 제1 접착층(410)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이형 필름(820)은 윈도우 보호층(300) 및 제1 접착층(410)이 윈도우(200)에 부착되기 전까지 제1 접착층(410)을 보호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이형 필름들(810, 820) 각각은 표시 장치(10)의 제조 과정에서 윈도우 보호층(300) 및 제1 접착층(410) 각각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보호 필름(WPF1)은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보호 필름(WPF1)에 포함된 윈도우 보호층(300) 및 제1 접착층(4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에 포함된 윈도우 보호층(300) 및 제1 접착층(4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이형 필름(810)은 윈도우 보호층(30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일면은 윈도우 보호층(300)의 상면일 수 있다. 제1 이형 필름(810)의 하면은 윈도우 보호층(300)의 상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이형 필름(810)은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하부에 배치되어 윈도우 보호층(300)과 접촉하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형 필름(820)은 윈도우 보호층(300)의 상기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타면은 윈도우 보호층(300)의 하면일 수 있다.
제1 접착층(410)은 윈도우 보호층(300)과 제2 이형 필름(8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접착층(410)의 하면은 제2 이형 필름(820)의 상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이형 필름(820)은 별도의 접착층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접착층(410)은 윈도우 보호층(300)의 메인부(310)와 중첩하고, 윈도우 보호층(300)의 돌출부(320)와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접착층(410)은 윈도우 보호층(300)의 돌출부(320)를 노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이형 필름(810)과 윈도우 보호층(300) 사이의 제1 이형력은 제2 이형 필름(820)과 제1 접착층(410) 사이의 제2 이형력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이형 필름(820)이 제1 접착층(410)으로부터 제거될 때, 제1 이형 필름(810)은 윈도우 보호층(300)과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이형 필름(810)은 윈도우 보호층(300)의 상면 전체를 커버할 수 있다. 제2 이형 필름(820)은 제1 접착층(410)의 하면 전체를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이형 필름들(810, 820) 각각의 제1 방향(DR1)으로의 길이는 윈도우 보호층(300) 및 제1 접착층(410) 각각의 제1 방향(DR1)으로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및 제2 이형 필름들(810, 820) 각각의 제1 방향(DR1)으로의 길이는 윈도우 보호층(300) 및 제1 접착층(410) 각각의 제1 방향(DR1)으로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윈도우 보호 필름(WPF1)의 제조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보호 시트(3000) 및 접착 시트(4000)가 준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호 시트(3000) 및 접착 시트(4000)는 롤러에 말려있을 수 있다.
보호 시트(3000)는 보호층(3300), 보호층(310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1 이형 필름(3210) 및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제3 이형 필름(3220)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 시트(3000)의 보호층(3100)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셀들(3300)이 표시될 수 있다. 제1 셀들(3300) 각각은 도 6의 윈도우 보호 필름(WPF1)에 포함된 윈도우 보호층(300)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셀들(3300) 각각은 메인부(3310) 및 돌출부(3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 시트(4000)는 접착층(4100), 접착층(410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2 이형 필름(4210) 및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제4 이형 필름(4220)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 시트(3000)에서 제3 이형 필름(3220)이 제거되고, 접착 시트(4000)에서 제4 이형 필름(4220)이 제거될 수 있다. 즉, 제3 이형 필름(3220)은 보호층(3100)으로부터 제거되고, 제1 이형 필름(3210)은 보호층(3100)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4 이형 필름(4220)은 접착층(4100)으로부터 제거되고, 제2 이형 필름(4210)은 접착층(4100)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 다음, 보호층(3100)과 접착층(4100)이 마주하도록 보호 시트(3000) 상에 접착 시트(400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접착 시트(4000)는 보호 시트(3000)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보호 시트(300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시트(4000)의 접착층(4100)은 제1 셀들(3300) 각각의 메인부(3310)와 중첩하고 돌출부(3320)와 중첩하지 않도록 보호층(310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층(4100)이 배치된 보호층(3100)의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에는 제1 이형 필름(3210)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보호층(3100)이 배치된 접착층(4100)의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에는 제2 이형 필름(4210)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그 다음, 부착된 보호 시트(3000) 및 접착 시트(4000)를 제1 셀들(3300) 각각의 테두리를 따라 절단함으로써(예컨대, 레이저 커팅), 윈도우 보호 필름(WPF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도 6의 윈도우 보호 필름(WPF1)의 제조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보호 시트(3000) 및 접착 시트(4001)가 준비될 수 있다. 보호 시트(3000)는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 보호 시트(30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 윈도우 보호 필름(WPF1)의 제조 방법의 일 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윈도우 보호 필름(WPF1)의 제조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접착 시트(4001)의 접착층(4100)에는 복수의 제2 셀들(4410)이 표시될 수 있다. 제2 셀들(4410) 각각은 도 6의 윈도우 보호 필름(WPF1)에 포함된 제1 접착층(410)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셀들(4410) 각각은 제1 셀들(3300) 각각의 메인부(33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 다음, 보호 시트(3000)를 제1 셀들(3300) 각각의 테두리를 따라 절단하고, 접착 시트(4001)를 제2 셀들(4410) 각각의 테두리를 따라 절단할 수 있다. 즉, 보호 시트(3000)와 접착 시트(4001)를 부착하기 전에 제1 및 제2 셀들(3300, 4410) 각각의 테두리를 따라 보호 시트(3000) 및 접착 시트(4001) 각각을 절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조 공정 중 버려지는 접착층(4100)의 양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절단된 제1 셀들(3300) 각각에서 제3 이형 필름들(3220)이 제거되고, 절단된 제2 셀들(4410) 각각에서 제4 이형 필름들(4220)이 제거될 수 있다.
이어서, 보호층(3100)과 접착층(4100)이 마주하도록 제1 셀들(3300) 각각에 제2 셀들(4410) 각각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셀들(4410) 각각은 제1 셀들(3300) 각각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제1 셀들(3300) 각각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셀(4410)은 제1 셀(3300)의 메인부(3310)와 중첩하고 돌출부(3320)와 중첩하지 않도록 상기 제1 셀(33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도 6의 윈도우 보호 필름(WPF1)의 제조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이하에서는,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 윈도우 보호 필름(WPF1)의 제조 방법의 일 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윈도우 보호 필름(WPF1)의 제조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접착 시트(4000)는 접착층(4100)이 제1 셀들(3300) 각각의 메인부(3310) 및 돌출부(3320)와 중첩하도록 보호 시트(30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접착층(4100)이 제1 셀들(3300) 각각의 전체를 커버하도록 접착 시트(4000)가 보호 시트(300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그 다음, 부착된 보호 시트(3000) 및 접착 시트(4000)를 제1 셀들(3300) 각각의 테두리를 따라 절단할 수 있다. 도 9b는 보호 시트(3000) 및 접착 시트(4000)가 제1 셀들(3300) 각각의 테두리를 따라 절단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셀(3300)의 돌출부(3320)와 중첩하는 영역(A)의 제2 이형 필름(4210) 및 접착층(4410)을 제거하여 도 6의 윈도우 보호 필름(WPF1)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이형 필름(4210) 및 접착층(4410)은 레이저 광의 조사에 의해 제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0은 도 6의 윈도우 보호 필름(WPF1)의 제조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이형 필름(4211)은 접착층(4100)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접착층(4100)의 아래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층(4100)의 상기 일부는 제1 셀(3300)의 돌출부(3320)와 중첩하는 영역(B)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윈도우 보호 필름(WPF1)의 제조 공정 중 접착력 감소 등의 이유로 제2 이형 필름(4210, 4211)을 교체할 수 있다. 즉, 접착층(4100)으로부터 기존의 제2 이형 필름(4210)을 제거하고 새로운 제2 이형 필름(4211)을 부착할 때, 접착층(4100)의 상기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제2 이형 필름(4211)을 접착층(4100)의 하면 상에 부착할 수 있다.
그 다음, 제1 셀(3300)의 돌출부(3320)와 중첩하는 영역(B)의 접착층(4100)을 제거하여 도 6의 윈도우 보호 필름(WPF1)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보호 필름(WPF2)의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보호 필름(WPF2)은 윈도우 보호층(300), 제1 접착층(1410), 제1 이형 필름(1810) 및 제2 이형 필름(18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보호 필름(WPF2)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1)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보호 필름(WPF2)에 포함된 윈도우 보호층(300), 제1 접착층(1410) 및 커버 부재(900)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1)에 포함된 윈도우 보호층(300), 제1 접착층(1410) 및 커버 부재(9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이형 필름(1810)은 윈도우 보호층(30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일면은 윈도우 보호층(300)의 상면일 수 있다. 제2 이형 필름(1820) 및 커버 부재(900)는 윈도우 보호층(300)의 상기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타면은 윈도우 보호층(300)의 하면일 수 있다.
제1 접착층(1410)은 윈도우 보호층(300)과 제2 이형 필름(1820) 및 커버 부재(9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층(1410)은 윈도우 보호층(300)의 메인부(310) 및 돌출부(320)와 중첩할 수 있다. 즉, 제1 접착층(1410)은 윈도우 보호층(300)의 메인부(310)와 중첩하는 제1 부분(1411) 및 돌출부(320)와 중첩하는 제2 부분(14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분(1412)은 제1 부분(1411)의 제1 방향(DR1)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이형 필름(1820) 및 커버 부재(900) 각각은 제1 접착층(1410)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즉, 제2 접착 필름(1820)의 상면은 제1 접착층(1410)의 제1 부분(1411)의 하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커버 부재(900)의 상면은 제1 접착층(1410)의 제2 부분(1412)의 하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이형 필름(1810)은 윈도우 보호층(300)의 상면 전체를 커버할 수 있다. 제2 이형 필름(1820)은 제1 접착층(1410)의 제1 부분(1411)의 하면을 커버할 수 있다. 커버 부재(900)는 제1 접착층(1410)의 제2 부분(1412)의 하면을 커버할 수 있다. 즉, 제1 접착층(1410)의 제1 부분(1411)은 제2 이형 필름(1820)에 의해 보호되고, 제2 접착층(1412)의 제2 부분(1412)은 커버 부재(90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이형 필름(1820)은 제1 접착층(1410)의 제1 부분의 하면 및 커버 부재(900)의 하면을 연속적으로 커버할 수도 있다.
도 12는 도 11의 윈도우 보호 필름(WPF2)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제1 셀(3300), 접착층(4100), 제1 이형 필름(3210) 및 제2 이형 필름(4211)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셀(3300), 접착층(4100), 제1 이형 필름(3210) 및 제2 이형 필름(421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접착층(4100)은 제1 셀(3300)의 메인부(3310)와 중첩하는 제1 부분(4101) 및 제1 셀(3300)의 돌출부(3320)와 중첩하는 제2 부분(41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형 필름(4211)은 접착층(4100)의 제1 부분(4101)과 중첩하고 제2 부분(4102)과 중첩하지 않도록 접착층(410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제2 이형 필름(4211)은 접착층(4100)의 제2 부분(4102)을 노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윈도우 보호 필름(WPF2)의 제조 공정 중 접착력 감소 등의 이유로 제2 이형 필름(4210, 4211)을 교체할 수 있다. 즉, 접착층(4100)으로부터 기존의 제2 이형 필름(4210)을 제거하고 새로운 제2 이형 필름(4211)을 부착할 때, 접착층(4100)의 제2 부분(4102)을 노출시키도록 제2 이형 필름(4211)을 접착층(4100)의 하면 상에 부착할 수 있다.
접착층(4100)의 제2 부분(4102)의 아래에 위치하는 영역(C)에 커버 부재(90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 부재(900)는 제2 이형 필름(4212)과 중첩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 부재(900)는 물리 기상 증착법(PVD), 화학 기상 증착법(CVD), 원자층 증착법(ALD)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장치(10)의 제조 방법은 하부 구조물 상에 윈도우(200)를 형성하는 단계, 윈도우 보호 필름(WPF1)을 준비하는 단계, 윈도우 보호 필름(WPF1)으로부터 제2 이형 필름(820)을 제거하는 단계, 윈도우(200)의 상부에 윈도우 보호 필름(WPF1)을 부착하는 단계 및 윈도우 보호층(300)으로부터 제1 이형 필름(810)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구조물 상에 윈도우(2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조물은 편광층(POL), 표시 패널(100), 패널 보호 필름(PPL), 쿠션층(CL) 및 금속층(M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제1 영역(1A), 제1 영역(1A)과 이격되는 제2 영역(2A) 및 제1 영역(1A)과 제2 영역(2A) 사이에 배치되는 벤딩 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200)는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1A)과 중첩하도록 상기 하부 구조물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 보호 필름(WPF1)이 준비될 수 있다. 윈도우 보호 필름(WPF1)은 윈도우 보호층(300), 윈도우 보호층(3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이형 필름(810), 윈도우 보호층(3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이형 필름(820) 및 윈도우 보호층(300)과 제2 이형 필름(820)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접착층(410)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보호층(300)은 메인부(310) 및 메인부(310)의 제1 방향(DR1)에 위치하는 돌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접착층(410)은 윈도우 보호층(300)의 돌출부(320)를 노출시킬 수 있다.
윈도우 보호 필름(WPF1)으로부터 제2 이형 필름(820)이 제거될 수 있다. 즉, 제1 접착층(410)으로부터 제2 이형 필름(820)이 제거될 수 있다. 제1 이형 필름(810)과 윈도우 보호층(300) 사이의 제1 이형력은 제2 이형 필름(820)과 제1 접착층(410) 사이의 제2 이형력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이형 필름(820)이 제1 접착층(410)으로부터 제거될 때, 제1 이형 필름(810)은 윈도우 보호층(300)과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 다음, 윈도우(200)의 상부에 윈도우 보호 필름(WPF1)이 부착될 수 있다. 윈도우 보호 필름(WPF1)은 윈도우 보호층(300)의 돌출부(320)가 윈도우(200)에 의해 노출되도록 윈도우(20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윈도우(200)가 윈도우 보호층(300)의 돌출부(320)를 노출시키도록 윈도우(200) 상에 제1 접착층(410)이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윈도우 보호층(300)의 돌출부(320)가 표시 패널(100)의 벤딩 영역(BA)과 중첩하도록 윈도우(200) 상에 제1 접착층(410)이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윈도우 보호층(300)으로부터 제1 이형 필름(810)이 제거될 수 있다. 제1 이형 필름(810)은 표시 장치(10)의 제조 과정에서 윈도우 보호층(300)을 보호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패널(100)을 포함하는 상기 하부 구조물 상에 윈도우(200)를 형성하고, 윈도우(200) 상에 윈도우 보호 필름(WPF1)을 부착하여 표시 장치(10)를 제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장치(10)의 제조 방법은 윈도우 보호 필름(WPF1)을 준비하는 단계, 제1 접착층(410)으로부터 제2 이형 필름(820)을 제거하는 단계, 윈도우 보호층(300)의 돌출부(320)를 노출시키도록 제1 접착층(410)의 하부에 윈도우(200)를 부착하는 단계, 윈도우(200)의 하부에 표시 패널(100)을 포함하는 하부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윈도우 보호층(300)으로부터 제1 이형 필름(810)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10)의 제조 과정에서 윈도우 보호 필름(WPF1)에 윈도우(200)가 부착된 윈도우 모듈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윈도우 모듈은 윈도우(200) 상에 제1 접착층(410), 윈도우 보호층(300) 및 제1 이형 필름(810)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윈도우 모듈은 윈도우(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이형 필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윈도우 모듈의 하부에(즉, 윈도우(200)의 하부에) 상기 하부 구조물을 부착하여 표시 장치(10)를 제조할 수 있다. 즉,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윈도우 보호층(300)과 윈도우(200)를 포함하는 상기 윈도우 모듈과 표시 패널(100)을 포함하는 상기 하부 구조물을 각각 형성하고, 형성된 상기 윈도우 모듈과 상기 하부 구조물을 결합하여 표시 장치(10)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이형 필름(810)은 상기 윈도우 모듈과 상기 하부 구조물이 결합된 이후에 윈도우 보호층(30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표시 장치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차량용, 선박용 및 항공기용 디스플레이 장치들, 휴대용 통신 장치들, 전시용 또는 정보 전달용 디스플레이 장치들, 의료용 디스플레이 장치들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기들에 적용 가능하다.
10, 11: 표시 장치 100: 표시 패널
200: 윈도우 300: 윈도우 보호층
310: 메인부 320: 돌출부
410, 1410: 제1 접착층 500: 벤딩보호층
900: 커버 부재 1A, 2A: 제1 및 제2 영역들
BA: 벤딩 영역 WPF1, WPF2: 윈도우 보호 필름
810, 820: 제1 및 제2 이형 필름들

Claims (20)

  1.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과 이격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는 윈도우;
    상기 윈도우 상에 배치되고, 상기 벤딩 영역과 중첩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보호층; 및
    상기 윈도우와 상기 보호층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의 길이는 상기 윈도우의 길이보다 크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보호층의 상기 돌출부를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벤딩 영역과 중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의 길이는 상기 접착층의 길이보다 크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보호층의 상기 돌출부를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벤딩 영역과 중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윈도우와 중첩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보호층의 상기 돌출부와 중첩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접착층의 상기 제2 부분의 하부에 배치되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접착층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벤딩 영역과 중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접착층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접착층의 상기 제2 부분을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상기 접착층의 상기 제1 부분의 하면과 접촉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접착층의 상기 제2 부분의 하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윈도우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무기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벤딩 영역을 덮는 벤딩보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접착층과 상기 벤딩보호층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벤딩보호층과 접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금속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윈도우는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초박형 유리(UTG)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하부 구조물 상에 윈도우를 형성하는 단계;
    돌출부를 포함하는 보호층, 상기 보호층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이형 필름, 상기 보호층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이형 필름 및 상기 보호층과 상기 제2 이형 필름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접착층으로부터 상기 제2 이형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윈도우가 상기 보호층의 상기 돌출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윈도우 상에 상기 접착층을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층으로부터 상기 제1 이형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보호층의 상기 돌출부를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윈도우와 중첩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보호층의 상기 돌출부와 중첩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접착층의 상기 제2 부분의 하부에 배치되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과 이격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벤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구조물 상에 상기 윈도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윈도우가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도록 상기 하부 구조물 상에 상기 윈도우를 형성하고,
    상기 윈도우 상에 상기 접착층을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보호층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벤딩 영역과 중첩하도록 상기 윈도우 상에 상기 접착층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0. 돌출부를 포함하는 보호층, 상기 보호층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이형 필름, 상기 보호층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이형 필름 및 상기 보호층과 상기 제2 이형 필름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접착층으로부터 상기 제2 이형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보호층의 상기 돌출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접착층의 하부에 윈도우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윈도우의 하부에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하부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층으로부터 상기 제1 이형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200123678A 2020-09-24 2020-09-24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4127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678A KR20220041270A (ko) 2020-09-24 2020-09-24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202111054116.XA CN114256302A (zh) 2020-09-24 2021-09-09 显示装置
US17/483,718 US11930660B2 (en) 2020-09-24 2021-09-23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678A KR20220041270A (ko) 2020-09-24 2020-09-24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270A true KR20220041270A (ko) 2022-04-01

Family

ID=80740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678A KR20220041270A (ko) 2020-09-24 2020-09-24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30660B2 (ko)
KR (1) KR20220041270A (ko)
CN (1) CN11425630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16336B (zh) * 2022-07-19 2023-10-3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CN115691324A (zh) * 2022-08-24 2023-02-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模组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377B1 (ko) 2010-02-26 201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이식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87061B1 (ko) 2016-06-30 2023-0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82833B1 (ko) 2017-07-26 2022-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리머 층이 포함된 장치 및 상기 폴리머 층을 이용한 장치 제조방법
KR102547854B1 (ko) * 2018-05-04 2023-06-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및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654593B1 (ko) * 2018-06-01 2024-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KR102555986B1 (ko) 2018-10-29 2023-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200055481A (ko) 2018-11-13 2020-05-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09860254A (zh) * 2019-02-18 2019-06-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US11974454B2 (en) * 2019-03-11 2024-04-30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93898A1 (en) 2022-03-24
CN114256302A (zh) 2022-03-29
US11930660B2 (en) 202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4194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10811470B2 (en) Display device
US10762326B2 (en) Fingerprint identification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KR101386219B1 (ko) 플렉서블 표시 패널,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70263873A1 (en) Flexible Display Panel With Bent Substrate
US11355561B2 (en) Display device having reduced thicknes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display device
TWI773033B (zh) 有機發光顯示裝置以及其製造方法
CN112349862A (zh) 覆盖窗及包括所述覆盖窗的柔性显示装置
US11930660B2 (en)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073349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019876A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8105977A (ja) 表示装置
CN113126804B (zh) 触摸显示装置
US11968854B2 (en) Folding display device including detachable protective film
CN112306272A (zh) 触控母板、触摸面板及触摸显示装置
KR2015002760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US11985843B2 (en) Window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20140120180A (ko) 배면발광형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1793025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cavity at border portion
US20230389399A1 (en) Mother glass protectiv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20240122008A1 (en) Display device
KR20160037297A (ko) 가요성 표시장치
CN115274700A (zh) 显示面板、显示面板的制作方法以及显示装置
KR20240029680A (ko)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30030088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