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0771A - 후처리부와 적재부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후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후처리부와 적재부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후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0771A
KR20220040771A KR1020200123895A KR20200123895A KR20220040771A KR 20220040771 A KR20220040771 A KR 20220040771A KR 1020200123895 A KR1020200123895 A KR 1020200123895A KR 20200123895 A KR20200123895 A KR 20200123895A KR 20220040771 A KR20220040771 A KR 20220040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processing
unit
processing unit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지 후카사와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200123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0771A/ko
Priority to PCT/US2021/038815 priority patent/WO2022066254A1/en
Publication of KR20220040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7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2Pile receivers with stationary end support against which pile accumu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GAPPARATUS FOR BRONZE PRINTING, LINE PRINTING, OR FOR BORDERING OR EDGING SHEETS OR LIKE ARTICLES; AUXILIARY FOR PERFORATING IN CONJUNCTION WITH PRINTING
    • B41G7/00Auxiliary perforating apparatus associated with pri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LAPPARATUS OR DEVICES FOR MANIFOLDING, DUPLICATING OR PRINTING FOR OFFICE OR OTHER COMMERCIAL PURPOSES; ADDRESSING MACHINES OR LIKE SERIES-PRINTING MACHINES
    • B41L43/00Auxiliary folding, collecting, or depositing of sheet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08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 B65H31/10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and applied at the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2Pile receivers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2Forming a pile of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3Forming a pile of a limited number of articles, e.g. buffering, forming bu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30Supports; Subassemblies; Mountings thereof
    • B65H2402/31Pivoting suppor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30Supports; Subassemblies; Mountings thereof
    • B65H2402/32Sliding suppor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4Housings
    • B65H2402/441Housings movable for facilitating access to area inside the housing, e.g. pivoting or sl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60Coupling, adapter or 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1Bottom
    • B65H2405/1115Bottom with surface inclined, e.g. in width-wise direction
    • B65H2405/11151Bottom with surface inclined, e.g. in width-wise direction with surface inclined upwardly in transport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1Supports for sheets fu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 B65H2405/312Trolley, cart, i.e. support movable on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24Post -processing devices
    • B65H2801/27Devices located downstream of office-type machines

Abstract

개시된 후처리 장치는, 외부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용지에 후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후처리부와, 상기 후처리부의 제1방향의 일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후처리부로부터 배출되는 용지가 적재되는 적재 트레이를 구비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를 상기 후처리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후처리부와 적재부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후처리 장치{finisher in which finishing section and stacking section are detachably connected}
후처리 장치는 시트 상의 매체, 예를 들어 용지에 후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후처리 장치는 인쇄 장치와 연결되어 인쇄 장치에서 수행되는 인쇄 작업의 후속 공정으로서 인쇄가 완료된 용지에 대한 후처리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후처리 공정은 정렬된 여러 장의 용지를 제본하는 제본 공정, 한 장 또는 여러 장의 용지를 한 번 이상 접는 접이 공정, 한 장 또는 여러 장의 용지를 천공하는 펀칭 공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후처리 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후처리 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연결부의 일 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연결 브라켓이 분리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연결 브라켓이 연결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6은 후처리 장치가 외부 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후처리 장치의 일 예의 포장 상태를 간략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제1패널과 제2패널과의 정렬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9와 도 10은 후처리 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측면도들로서, 도 9는 후처리부가 설치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10은 후처리부가 수용부로부터 인출된 인출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1은 고정부를 개폐하는 커버의 일 예의 사시도이다.
도 12와 도 13은 후처리 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측면도들로서, 도 12는 후처리부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13은 후처리부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4와 도 15는 로킹부의 일 예의 개략적인 측면도들로서, 도 14는 후처리부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15는 후처리부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6은 후처리부를 접는 과정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17은 후처리 장치의 일 예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후처리 장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인쇄 장치와 연결되어 인쇄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시트 상의 매체, 예를 들어 용지에 후처리 공정을 수행한다. 후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후처리부는 인쇄 장치의 용지 배출 공간에 설치되고, 후처리가 완료된 용지가 적재되는 적재부는 용지 배출 공간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후처리 장치는, 적재부가 상하 방향, 예를 들어 중력 방향으로 연장되고 후처리부는 적재부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이다. 이와 같은 형태의 후처리 장치는 전체적으로 "ㄱ"형태이므로, 포장의 크기가 커서 물류 비용 부담이 생길 수 있다. 또한, 후처리부가 적재부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이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지 않다. 예를 들어, 후처리 장치를 운반하는 과정이나 후처리 장치를 인쇄 장치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후처리부와 적재부와의 연결 부위가 손상될 위험이 있다.
일 예에 따른 후처리 장치는, 후처리부와 적재부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후처리부와 적재부를 서로 나란하게 배치하여 포장할 수 있기 때문에 포장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후처리 장치의 물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인쇄 장치에 설치할 때에는 후처리부를 먼저 인쇄 장치의 용지 배출 공간에 설치하고, 적재부를 후처리부에 연결할 수 있으므로, 운반 및 설치 등의 취급이 용이하다. 또한, 적재부를 후처리부에 연결하면, 후처리부와 인쇄 장치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후처리부의 임의적인 탈거가 방지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후처리 장치는 후처리부를 적재부와 나란한 접힌 위치(제1위치)와 적재부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 펼쳐진 위치(제2위치)로 회전될 수 있게 연결하는 회전 지지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후처리부와 적재부를 서로 나란하게 배치하여 포장할 수 있기 때문에 포장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후처리 장치의 취급이 용이하며 물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후처리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후처리 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후처리 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후처리 장치는, 외부 장치(1000)로부터 공급되는 용지(P)에 후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후처리부(1)와, 후처리부(1)의 제1방향(L)의 일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방향(H)으로 연장된 적재부(2)와, 적재부(2)를 후처리부(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부(3)를 포함한다. 적재부(2)는 후처리부(1)로부터 배출되는 용지(P)가 적재되는 적재 트레이(22)를 구비한다. 제1방향(L)은 예를 들어 용지(P)의 이송 방향 또는 용지(P)의 길이 방향일 수 있다. 제2방향(H)은 중력 방향 또는 용지(P)의 적재 방향일 수 있다.
후처리부(1)는 외부 장치(1000), 예를 들어 인쇄 장치에 설치된다. 외부 장치(1000)에는 후처리부(1)를 수용하는 수용부(1001)가 마련된다. 수용부(1001)는 예를 들어 인쇄가 완료된 용지(P)가 배출되는 용지 배출 공간일 수 있다. 후처리부(1)는 외부 장치(1000)에 고정될 수 있다. 후처리 장치는 후처리부(1)를 외부 장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구비한다. 고정부는 예를 들어, 후처리부(1)의 하면으로부터 제2방향(H)으로 연장된 고정 브라켓(5)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5)에는 체결 부재(52)가 삽입되는 관통홀(51)이 마련된다. 외부 장치(1000)에는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체결 부재(52)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마련된다. 체결 부재(52)를 관통홀(51)에 삽입하고 체결홀에 체결함으로써, 후처리부(1)가 외부 장치(1000)에 고정될 수 있다.
후처리부(1)는 제1방향(L)으로 연장된다. 후처리부(1)는 외부 장치(1000)로부터 공급되는 용지(P)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후처리 공정을 수행한다. 후처리 공정은 정렬된 여러 장의 용지(P)를 제본하는 제본 공정, 한 장 또는 여러 장의 용지를 한 번 이상 접는 접이 공정, 한 장 또는 여러 장의 용지를 천공하는 펀칭 공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후처리부(1)는 정렬된 여러 장의 용지(P)를 제본하는 제본 공정을 수행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후처리부(1)의 일 실시예는, 후처리 대상인 다수의 용지(P)가 정렬되는 용지 정렬 트레이(16), 다수의 용지(P)에 제본 침을 박는 바인더(100), 및 용지 정렬 트레이(16) 상의 용지(P)를 폭방향(W)과 길이 방향, 즉 제1방향(L)으로 각각 정렬하는 측부 가이드(17)와 단부 가이드(18)를 구비할 수 있다. 바인더(100)는 다수의 용지(P)의 모서리(corner)와 정렬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바인더(100)는 다수의 용지(P)의 모서리에 제본침을 박을 수 있다. 바인더(100)는 다수의 용지(P)의 폭방향(W)으로 이동되면서 다수의 용지(P)의 가장자리(edge)에 하나 이상의 제본침을 박을 수 있다.
후처리부(1)에는 용지(P)를 이송시키는 이송 구조가 마련된다. 일 예로서, 이송 구조는 이송 롤러들(11)(12), 제1롤러(13), 및 제2롤러(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 롤러들(11)(12) 각각은 서로 맞물려 회전되는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 롤러들(11)(12)는 인입구(19a)를 통하여 공급된 용지(P)를 용지 정렬 트레이(16) 상으로 운반한다. 제1롤러(13)는 용지 정렬 트레이(41)의 상방에, 제2롤러(14)는 용지 정렬 트레이(41)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1롤러(13)는 제2롤러(14)와 대향된다. 제1롤러(13)는 회동 레버(15)에 설치되어, 제2롤러(14)로부터 이격된 이격 위치(도 2에 실선으로 도시)와 제2롤러(14)와 맞물려 용지(P)을 이송시키는 이송 위치(도 2에 이점 쇄선으로 도시)로 회동될 수 있다. 이송 위치에서 제1롤러(13)는 자중에 의하여 또는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2롤러(14) 쪽으로 가압될 수 있다. 제1롤러(13)와 제2롤러(14)는 용지(P)를 정방향으로 운반하여 배출구(19b)로 배출할 수 있다. 제1롤러(13)와 제2롤러(14)는 제본 처리를 위하여 용지(P)를 역방향으로 운반하여 용지 정렬 트레이(41) 상에 정렬시킬 수 있다. 제1롤러(13)와 제2롤러(14)는 제본 처리가 완료된 다수의 용지(P)를 정방향으로 운반하여 배출구(19b)로 배출할 수 있다. 배출구(19b) 부근에는 적재 트레이(22)에 적재된 용지(P)를 누르는 누름 부재(11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적재부(2)는 제2방향(H)으로 연장된다. 적재부(2)는 제2방향(H)으로 연장된 몸체(21)와, 몸체(21)에 지지되어 후처리부(1)로부터 배출되는 용지(P)를 적재하는 적재 트레이(22)를 구비할 수 있다. 적재 트레이(22)는 몸체(21)의 고정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적재 트레이(22)는 적재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2방향(H)으로 이동될 수 있게 몸체(21)에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21)에는 제2방향(H)으로 주행되는 벨트(23c)가 마련된다. 벨트(23c)는 제2방향(H)으로 이격된 한 쌍의 풀리(23a)(23b)에 지지되어 주행될 수 있다. 적재 트레이(22)는 벨트(23c)에 연결된다. 구동 모터(23d)는 예를 들어 풀리(23a)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적재 트레이(22)가 제2방향(H)으로 승강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적재 트레이(22)는 랙-피니언 구조에 의하여 제2방향(H)으로 승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재 트레이(22)에 구동 모터와 구동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가 설치되고, 몸체(21)에 제2방향(H)으로 연장된 랙 기어가 설치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는 랙 기어와 맞물린다. 구동 모터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가 회전되면, 적재 트레이(22)는 제2방향(H)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적재부(2)는 후처리부(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적재부(2)는 후처리부(1)에 연결된 때에 고정 브라켓(5)이 노출되지 않도록 가릴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적재부(2)를 후처리부(1)에 먼저 연결하면, 후처리부(1)를 외부 장치(1000)에 고정할 수가 없다. 따라서, 후처리부(1)를 외부 장치(1000)에 먼저 설치한 후에 적재부(2)를 후처리부(1)에 연결하는 설치 순서가 자연스럽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적재부(2)가 후처리부(1)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후처리부(1)를 외부 장치(1000)로부터 분리할 수 없다. 따라서, 적재부(2)를 후처리부(1)로부터 먼저 부리한 후에 후처리부(1)를 외부 장치(1000)로부터 분리하는 분리 순서가 자연스럽게 결정될 수 있다.
후처리부(1)의 제1방향(L)의 단부, 예를 들어 배출구(19b) 부근에는 돌출부(120)가 마련된다. 적재부(2)에는 돌출부(120)가 삽입되는 개구부(24)가 마련된다. 적재 트레이(22)는 개구부(24)의 아래쪽에 고정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적재 트레이(22)는 개구부(24)의 아래쪽에서 제2방향(H)으로 승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후처리부(1)의 배출구(19b)를 통하여 배출되는 용지(P)가 적재 트레이(22)에 적재될 수 있다.
적재부(2)는 연결부(3)에 의하여 후처리부(1)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3은 연결부(3)의 일 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연결 브라켓(32)이 분리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연결 브라켓(32)이 연결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부(3)는 후처리부(1)에 마련되는 연결 핀(31)과, 적재부(2)에 마련되며 연결 핀이(31) 걸리는 후크부(321)를 구비하는 연결 브라켓(32)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핀(31)은 예를 들어, 돌출부(120)의 양측부(121)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제2방향(H)으로 이격된 두 개의 연결 핀(31)이 돌출부(120)의 양측부(121)에 각각 마련된다. 연결 브라켓(32)은 연결 핀(31)이 후크부(321)에 걸리는 연결 위치(도 5)와 연결 핀(31)이 후크부(321)로부터 이탈가능한 분리 위치(도 4)로 이동될 수 있게 적재부(2), 예를 들어 몸체(21)에 지지될 수 있다. 몸체(21)에는 제2방향(H)으로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 핀(211)이 마련된다. 연결 브라켓(32)에는 한 쌍의 가이드 핀(21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2방향(H)으로 절개된 한 쌍의 절개 홈(322)이 마련된다. 한 쌍의 절개 홈(322)은 제2방향(H)으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연결 브라켓(32)은 한 쌍의 가이드 핀(211)에 안내되어 제2방향(H)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후크부(321)는 연결 핀(31)에 걸리면, 제1방향(L)으로 이탈되지 않는 형상을 가진다. 또한, 후크부(321)는 연결 핀(31)에 의하여 제1방향(L)으로 밀릴 때에 연결 브라켓(32)이 분리 위치쪽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경사진 경사부(323)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후처리부(1)를 외부 장치(1000)에 고정한 후에, 후처리부(1)의 돌출부(120)를 적재부(2)의 개구부(24)에 삽입하고, 적재부(2)를 후처리부(1) 쪽으로 민다. 연결 브라켓(3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연결 핀(31)이 후크부(321)의 경사부(323)에 접촉되고, 연결 브라켓(32)은 분리 위치 쪽으로 이동되기 시작한다. 계속하여 적재대(2)를 후처리부(1) 쪽으로 밀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브라켓(32)이 분리 위치에 도달된다. 적재대(2)를 후처리부(1) 쪽을 더 밀면, 연결 핀(31)이 경사부(323)로부터 이탈된다. 연결 브라켓(32)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위치로 복귀시키면, 후크부(321)가 연결 핀(31)에 걸리고 적재대(2)가 후처리부(1)에 연결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는 연결 브라켓(32)에 연결 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33)는 예를 들어, 일단부가 연결 브라켓(32)에 걸리고, 타단부가 몸체(21)에 지지되는 인장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연결 브라켓(32)는 탄성 부재(33)의 탄성력에 의하여 연결 위치에 유지된다. 적재대(2)를 외부 장치(1000)에 고정된 후처리부(1)에 접근시키면, 후크부(321)의 경사부(323)가 연결 핀(31)에 접촉되고, 연결 브라켓(32)은 탄성 부재(33)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계속하여 적재대(2)를 후처리부(1) 쪽으로 밀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브라켓(32)이 분리 위치에 도달된다. 적재대(2)를 후처리부(1) 쪽을 더 밀면, 경사부(323)와 연결 핀(31)과의 접촉이 종료되고, 연결 브라켓(32)은 탄성 부재(33)의 탄성력에 의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위치로 복귀된다. 후크부(321)가 연결 핀(31)에 걸리고, 적재대(2)가 후처리부(1)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적재부(2)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적재부(2)는 설치면(MS)에 지지되는 하단 지지대(4)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 지지대(4)는 예를 들어, 몸체(21)의 하단에는 설치될 수 있다. 하단 지지대(4)는 설치면(MS)에 지지되는 지지 부재(4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41)는 설치면(MS)에 구름 지지될 수 있다. 지지 부재(41)는 예를 들어, 롤러(roller), 캐스터(caster)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지지 부재(41)는 높이 조절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41)는 제2방향(H)으로 연장된 수나사부(42)를 구비할 수 있다. 하단 지지대(4)에는 수나사부(42)가 체결되는 암나사부(43)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적재대(2)를 후처리부(1)에 연결한 후에 지지 부재(41)가 설치면(MS)에 지지될 수 있도록 수나사부(42)와 암나사부(43)와의 체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적재 트레이(22)가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는 구조 또는 적재 트레이(22)의 적재 용량이 작은 경우에는 하단 지지대(4)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6은 후처리 장치가 외부 장치(1000)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적재부(2)가 후처리부(1)에 연결되면, 고정부(5)가 적재부(2)에 의하여 가려져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적재부(2)를 후처리부(1)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적재부(2)의 측부 커버(21a)를 분리할 수 있다. 그러면, 연결 브라켓(32)이 노출된다. 연결 브라켓(32)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위치에 위치시키고, 적재대(2)를 후처리부(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체결 부재(52)를 풀어서 후처리부(1)를 외부 장치(10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7은 후처리 장치의 일 예의 포장 상태를 간략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후처리부(1)가 적재부(2)에 결합된 상태에서 포장되는 경우, 하단 지지대(4)와 후처리부(1)가 적재부(2)를 기준으로 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이므로, 포장의 크기가 커진다. 후처리부(1)와 적재부(2)가 분리되면, 적재대(2)와 하단 지지대(4)에 의하여 확보되는 공간에 후처리부(1)와 적재 트레이(22)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도 7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물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완충재의 설계도 용이하여, 이송 중에 후처리 장치가 파손될 위험이 적어질 수 있다. 후처리 장치를 외부 장치(1000)에 설치할 때에도 후처리부(1)를 먼저 외부 장치(1000)에 설치하고 적재대(2)를 후처리부(1)에 연결하면 되므로, 설치가 용이하다.
도 1을 참조하면, 후처리부(1)로부터 배출되는 용지(P)는 배출구(19b)를 통과한 후에 적재 트레이(22)로 낙하된다. 후처리부(1)는 적재부(2)와 대향되는 제1패널(122)을 구비한다. 적재부(2)에는 제1패널(122)과 제2방향(H)으로 정렬되는 제2패널(26)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패널(122)은 돌출부(120)의 적재부(2)와 대향되는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돌출부(120)가 삽입되는 개구부(24)는 제2패널(26)에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120)가 개구부(24)에 삽입되면, 제1패널(122)과 제2패널(26)이 제2방향(H)으로 정렬된다. 적재 트레이(22)는 제1패널(122)과 제2패널(26)을 향하여 하향 경시진 형태이므로, 적재 트레이(22)에 적재된 용지(P)의 길이 방향, 즉 제1방향(L)의 단부는 제1패널(122) 및 제2패널(26)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적재 트레이(22)에 적재되는 용지(P)의 수에 따라서 제2방향(H)으로 승강될 수 있다. 제1패널(122)과 제2패널(26) 사이에 단차가 있으면, 적재 트레이(2)가 승강될 때에 용지(P)가 제1패널(122)과 제2패널(26) 사이에 단차에 걸릴 수 있다. 그러면, 적재 트레이(22)에 적재된 다수의 용지(P)가 흐트러질 수 있다.
도 8은 제1패널(122)과 제2패널(26)과의 정렬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패널(122)의 제2패널(26)과 제2방향(H)으로 마주보는 단부에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반복된 제1요철부(123)가 마련된다. 제2패널(26)의 제1패널(122)과 제2방향(H)으로 마주보는 단부에는 제1요철부(123)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 제2요철부(261)가 마련된다. 제1요철부(123)와 제2요철부(261)가 서로 맞물린다. 제1요철부(123)와 제2요철부(261)의 제2방향(H)으로 대향되는 단부(123a)(123b)(261a)(261b)는 모따기 처리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적재 트레이(22)가 승강됨에 따라서 용지(P)의 단부가 제1패널(122)과 제2패널(26)의 단부를 지나갈 때에, 제1요철부(123)로부터 제2요철부(261)로, 또 그 반대로 자연스럽게 통과될 수 있다. 따라서, 적재 트레이(22)에 적재된 용지(P)의 단부가 제1패널(122)과 제2패널(26)의 단부에 걸리지 않는다.
도 9와 도 10은 후처리 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측면도들로서, 도 9는 후처리부(1)가 설치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10은 후처리부(1)가 수용부(1001)로부터 인출된 인출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9와 도 10에서는 적재대(2)는 생략된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후처리 장치는, 후처리부(1)를 외부 장치(1000)에 마련된 수용부(1001)에 삽입된 설치 위치와 수용부(1001)로부터 인출된 인출 위치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하는 레일(6)과, 레일(6)을 외부 장치(100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6)은 하단 레일(61)과, 하단 레일(62)에 예를 들어 제1방향(L)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되는 상단 레일(62)을 포함할 수 있다. 하단 레일(61)은 외부 장치(1000), 예를 들어 수용부(1001)에 지지된다. 후처리부(1)는 상단 레일(62)에 지지된다. 고정부는 하단 레일(61)을 외부 장치(10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는 예를 들어, 하단 레일(61)로부터 제2방향(H)으로 연장된 고정 브라켓(5)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브라켓(5)을 관통하여 체결 부재(52)를 외부 장치(1000)에 체결함으로써, 하단 레일(61)이 외부 장치(10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레일(6) 및 후처리부(1)가 외부 장치(1000)에 설치될 수 있다.
후처리부(1)가 외부 장치(1000)에 설치된 후에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재부(2)가 후처리부(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적재부(2)가 후처리부(1)에 연결되면, 고정 브라켓(5)이 적재부(2)에 의하여 가려져서, 레일(6)을 외부 장치(1000)로부터 분리할 수 없다. 따라서, 후처리부(1) 역시 외부 장치(1000)로부터 분리할 수 없다. 상단 레일(62)이 하단 레일(6)에 대하여 슬라이딩됨으로써, 후처리부(1)는 수용부(1001)에 삽입된 설치 위치와, 수용부(1001)로부터 인출된 인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적재부(2)도 후처리부(1)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인출 위치는, 후처리부(1)에서 발생된 용지 잼(jam)의 처리, 외부 장치(1000)와 후처리부(1) 사이에서 발생된 용지 잼(jam)의 처리를 위한 위치일 수 있다. 인출 위치는, 후처리부(1)의 메인터넌스를 위한 위치일 수 있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후처리 장치는, 고정부를 개폐하는 커버(7)를 구비할 수 있다. 커버(7)는 후처리부(1)가 설치 위치에 위치된 때에 고정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 이동가능하다. 커버(7)는 후처리부(1)가 설치 위치를 벗어나면 고정부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없다. 도 11은 고정부를 개폐하는 커버(7)의 일 예의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커버(7)는 고정 브라켓(5)에 제2방향(H)으로 이동될 수 있게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브라켓(5)에는 제2방향(H)으로 연장된 가이드(53)가 마련될 수 있다. 커버(7)는 가이드(53)에 제2방향(H)으로 이동될 수 있게 지지될 수 있다. 도 11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7)가 차단 위치에 위치되면, 고정 브라켓(5)을 덮어서 체결 부재(5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커버(7)가 도 11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위치에 위치되면, 고정 브라켓(5)이 노출된다. 따라서, 체결 부재(52)를 고정 브라켓(5)을 관통하여 외부 장치(1000)에 체결하여 후처리부(1)를 외부 장치(1000)에 설치하거나, 체결 부재(52)를 외부 장치(1000)로부터 풀어서 후처리부(1)를 외부 장치(10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적재부(2)가 후처리부(1)에 연결된 상태에서 후처리부(1)와 적재부(2)가 함께 인출 위치로 이동되면, 고정 브라켓(5)이 노출되어 후처리부(1)를 외부 장치(10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재부(2)와 후처리부(1)가 서로 연결되 상태이기 때문에, 후처리 장치가 후처리부(1)의 무게로 인하여 넘어질 수 있다. 적재부(2)가 후처리부(1)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후처리부(1)가 인출 위치에 위치되더라도 고정 브라켓(5)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후처리부(1)에는 설치 위치에 위치된 때에 개방 위치로 이동되는 커버(7)를 수용하는 수용 홈(140)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 홈(140)은 후처리부(1)의 하면에 마련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처리부(1)가 인출 위치에 위치되면, 커버(7)와 수용 홈(140)이 서로 어긋나서 커버(7)가 개방 위치로 이동될 수 없다. 따라서, 후처리부(1)가 인출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후처리부(1)를 외부 장치(1000)로부터 분리할 수 없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처리부(1)가 설치 위치에 위치되면, 커버(7)와 수용 홈(140)이 제2방향(H)으로 정렬된다. 따라서, 커버(7)가 개방 위치로 이동되어 수용 홈(140)에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적재부(2)를 후처리부(1)로부터 분리하고, 후처리부(1)를 설치 위치에 위치시키고, 커버(7)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후처리부(1)를 외부 장치(10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12와 도 13은 후처리 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측면도들로서, 도 12는 후처리부(1)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13은 후처리부(1)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면, 본 예의 후처리 장치는, 제1방향(L)으로 연장되며 외부 장치(1000)로부터 공급되는 용지(P)에 후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후처리부(1)와, 후처리부(1)로부터 배출되는 용지(P)가 적재되는 적재 트레이(22)를 구비하며 제2방향(H)으로 연장된 적재부(2)와, 후처리부(1)를 적재부(2)와 나란한 제1위치(실선)와 제1방향(L)으로 연장된 제2위치로 회전될 수 있게 적재부(2)에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8)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처리부(1)에는 한 쌍의 기준 핀(150)이 마련될 수 있다. 적재부(2)에는 후처리부(1)가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 한 쌍의 기준 핀(150)이 삽입되는 기준 홈(27)이 마련될 수 있다. 기준 홈(27)은 제2방향(H)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회전 지지부(8)는 후처리부(1)가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회전될 때에 회전 저항을 부여하는 댐퍼(81)를 구비할 수 있다. 컴팩트한 후처리 장치의 구현을 위하여, 댐퍼(81)로서 컴팩트한 로터리 댐퍼가 채용될 수 있다. 댐핑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스프링 댐핑 방식, 오일 댐핑 방식, 자력 댐핑 방식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댐퍼(81)는 후처리부(1)가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급격하게 회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후처리부(1)를 제2위치에 위치시키고, 후처리부(1)가 외부 장치(1000)의 수용부(1001)에 삽입되도록 후처리 장치를 이동시킴으로써,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처리 장치를 외부 장치(1000)에 설치할 수 있다. 후처리부(1)가 외부 장치(1000)의 수용부(1001)로부터 인출되도록 후처리 장치를 이동시킴으로써, 후처리 장치를 외부 장치(10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때, 댐퍼(81)는 후처리부(1)의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의 급격한 회전을 방지한다.
적재부(2)는 설치면(MS)에 지지되는 하단 지지대(4)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 지지대(4)는 설치면(MS)에 지지되는 지지 부재(4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41)는 설치면(MS)에 구름 지지될 수 있다. 지지 부재(41)는 높이 조절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적재부(2)는 후처리부(1)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설치면(MS)에 지지되는 보조 지지대(44)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지지대(44)는 하단 지지대(4)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보조 지지대(44)는 설치면(MS)에 지지되는 보조 지지 부재(45)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지지 부재(45)는 설치면(MS)에 구름 지지될 수 있다. 보조 지지 부재(45)는 높이 조절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후처리 장치를 용이하게 이동시켜 외부 장치(1000)에 설치 및 외부 장치(10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후처리 장치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처리부(1)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포장된다. 적재 트레이(22)는 적재대(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후처리부(1)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후처리 장치의 제1방향(L)의 길이는 후처리부(1)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후처리 장치의 제1방향(L)의 길이보다 짧다. 따라서, 포장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물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후처리 장치는, 후처리부(1)를 제2위치에 로킹시키는 로킹부를 구비할 수 있다. 후처리부(1)는 로킹부에 의하여 제2위치에 유지될 수 있으므로, 후처리 장치의 설치 또는 분리 작업이 용이하다. 도 14와 도 15는 로킹부의 일 예의 개략적인 측면도들로서, 도 14는 후처리부(1)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15는 후처리부(1)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4를 참조하면, 로킹부는, 후처리부(1)에 마련되는 로킹 핀(160)과, 적재부(2)에 마련되며 로킹 핀(160)이 걸리는 후크부(281)를 구비하는 로킹 브라켓(28)을 구비할 수 있다. 로킹 브라켓(28)은 로킹 핀(160)이 후크부(281)에 걸리는 로킹 위치와 로킹 핀(160)이 후크부(281)로부터 이탈가능한 해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적재부(2)에 지지된다.
로킹 핀(160)은 예를 들어, 돌출부(120)의 양측부(121)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한 쌍의 로킹 핀(160)이 돌출부(120)의 양측부(121)에 각각 마련된다. 로킹 브라켓(28)은 한 쌍의 로킹 핀(160)이 후크부(281)에 걸리는 로킹 위치(도 15의 실선)와 로킹 핀(160)이 후크부(281)로부터 이탈가능한 해제 위치(도 15의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적재부(2), 예를 들어 몸체(21)에 지지될 수 있다. 몸체(21)에는 제2방향(H)으로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 핀(284)이 마련된다. 로킹 브라켓(28)에는 한 쌍의 가이드 핀(284)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2방향(H)으로 절개되고 제2방향(H)으로 이격된 한 쌍의 절개 홈(283)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로킹 브라켓(28)은 한 쌍의 가이드 핀(284)에 안내되어 제2방향(H)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후크부(281)는 로킹 핀(160)에 걸리면, 로킹 핀(160)이 제1방향(L)으로 이탈되지 않는 형상을 가진다. 또한, 후크부(281)는 로킹 핀(160)에 의하여 제1방향(L)으로 밀릴 때에 로킹 브라켓(28)이 해제 위치 쪽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경사진 경사부(28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처리부(1)가 제1위치에 위치된 때에, 로킹 브라켓(28)은 로킹 위치에 위치된다. 후처리부(1)를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회전 지지부(8)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로킹 핀(160)이 후크부(281)의 경사부(282)에 접촉되고, 로킹 브라켓(28)은 해제 위치 쪽으로 이동되기 시작한다. 계속하여 후처리부(1)를 회전시키면 도 15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브라켓(28)이 해제 위치에 도달된다. 후처리부(1)가 제2위치에 도달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핀(160)이 경사부(282)를 넘어선다. 로킹 브라켓(28)을 로킹 위치로 복귀시키면, 후크부(281)가 로킹 핀(28)에 걸린다. 따라서, 후처리부(1)가 제2위치에 로킹된다.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부는 로킹 브라켓(28)에 로킹 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29)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29)는 예를 들어, 일단부가 로킹 브라켓(28)에 걸리고, 타단부가 몸체(21)에 지지되는 인장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로킹 브라켓(28)는 탄성 부재(29)의 탄성력에 의하여 로킹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후처리부(1)를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회전시키면 후크부(281)의 경사부(282)가 로킹 핀(160)에 접촉되고, 로킹 브라켓(28)은 탄성 부재(29)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15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브라켓(28)이 해제 위치에 도달된 후에 경사부(282)와 로킹 핀(160)과의 접촉이 종료되면, 로킹 브라켓(28)은 탄성 부재(29)의 탄성력에 의하여 도 15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위치로 복귀된다. 후크부(281)가 로킹 핀(160)에 걸리고, 후처리부(1)가 제2위치에 로킹된다. 이 상태에서 후처리 장치를 외부 장치(1000)에 설치하거나 외부 장치(10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후처리부(1)가 제2위치에 로킹되어 있으므로, 설치 및 분리 작업이 용이하다.
후처리 장치를 외부 장치(1000)로부터 분리한 후에 후처리부(1)를 제1위치로 접을 수 있다. 도 16은 후처리부(1)를 접는 과정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16을 참조하면, 적재부(2)의 측부 커버(21a)를 분리하고, 로킹 브라켓(28)을 노출시킬 수 있다. 로킹 브라켓(28)을 해제 위치로 이동시켜 후처리부(1)를 제1위치로 회전시킨다. 댐퍼(81)가 채용되면, 로킹이 해제된 후에 후처리부(1)가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급격하게 전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7은 후처리 장치의 일 예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후처리 장치는, 후처리부(1)를 외부 장치(1000)에 마련된 수용부(1001)에 삽입된 설치 위치와 수용부(1001)로부터 인출된 인출 위치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하는 레일(6)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6)은 후처리부(1) 및 적재부(2)와 별개로 제공될 수 있다. 레일(6)은 예를 들어, 하단 레일(61)과, 하단 레일(62)에 제1방향(L)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되는 상단 레일(62)을 포함할 수 있다. 하단 레일(61)은 고정부에 의하여 외부 장치(100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로서는 도 1 또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예가 적용될 수 있다. 후처리 장치를 외부 장치(1000)에 설치할 때에 먼저 레일(6)을 외부 장치(1000)의 수용부(1001)에 설치한다. 후처리부(1)를 제2위치로 회전시켜 제2위치에 로킹시킨다. 그런 다음, 후처리부(1)를 레일(6)에 지지시켜 외부 장치(1000)의 수용부(1001)에 삽입한다. 이에 의하여, 후처리부(1)와 적재부(2)는 설치 위치와 인출 위치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5)

  1. 외부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용지에 후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후처리부;
    상기 후처리부의 제1방향의 일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후처리부로부터 배출되는 용지가 적재되는 적재 트레이를 구비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를 상기 후처리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부를 상기 외부 장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부는 상기 후처리부에 연결된 때에 상기 고정부를 노출되지 않도록 가리는 후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부를, 상기 외부 장치에 마련된 수용부에 삽입된 설치 위치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인출된 인출 위치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하는 레일;
    상기 레일을 상기 외부 장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상기 후처리부가 상기 설치 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고정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 이동가능한 커버;를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부에는 상기 설치 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되는 상기 커버를 수용하는 수용 홈이 마련된 후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부는 상기 적재부와 대향되는 제1패널을 구비하며,
    상기 적재부는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방향으로 정렬되는 제2패널을 구비하며,
    상기 제1패널의 상기 제2패널과 상기 제2방향으로 마주보는 단부에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반복된 제1요철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패널의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방향으로 마주보는 단부에는 상기 제1요철부와 맞물리는 제2요철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요철부와 상기 제2요철부의 상기 제2방향으로 대향되는 단부는 모따기 처리된 후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후처리부에 마련되는 연결 핀;
    상기 적재부에 마련되며 상기 연결 핀이 걸리는 후크부를 구비하는 연결 브라켓;을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브라켓은 상기 연결 핀이 상기 후크부에 걸리는 연결 위치와 상기 연결 핀이 상기 후크부로부터 이탈가능한 분리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상기 적재부에 지지되는 후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브라켓에 상기 연결 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설치면에 지지되는 하단 지지대를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지지대는 설치면에 지지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
  11. 제1방향으로 연장되며, 외부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용지에 후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후처리부;
    제2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후처리부로부터 배출되는 용지가 적재되는 적재 트레이를 구비하는 적재부;
    상기 후처리부를 상기 적재부와 나란한 제1위치와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2위치로 회전될 수 있게 상기 적재부에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를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부는 상기 후처리부의 상기 제2위치로부터 상기 제1위치로의 회전에 회전 저항을 제공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부를 상기 제2위치에 로킹시키는 로킹부;를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는,
    상기 후처리부에 마련되는 로킹 핀;
    상기 적재부에 마련되며 상기 로킹 핀이 걸리는 후크부를 구비하며, 상기 로킹 핀이 상기 후크부에 걸리는 로킹 위치와 상기 로킹 핀이 상기 후크부로부터 이탈가능한 해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상기 적재부에 지지되는 로킹 브라켓;
    상기 로킹 브라켓에 상기 로킹 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부를 상기 외부 장치에 마련된 수용부에 삽입된 설치 위치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인출된 인출 위치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하는 레일;을 포함하는 후처리 장치.
KR1020200123895A 2020-09-24 2020-09-24 후처리부와 적재부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후처리 장치 KR2022004077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895A KR20220040771A (ko) 2020-09-24 2020-09-24 후처리부와 적재부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후처리 장치
PCT/US2021/038815 WO2022066254A1 (en) 2020-09-24 2021-06-24 Finisher in which finishing section and stacking section are detachably connect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895A KR20220040771A (ko) 2020-09-24 2020-09-24 후처리부와 적재부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후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771A true KR20220040771A (ko) 2022-03-31

Family

ID=80845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895A KR20220040771A (ko) 2020-09-24 2020-09-24 후처리부와 적재부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후처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40771A (ko)
WO (1) WO2022066254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1845A (en) * 1987-10-13 1991-08-20 Canon Kabushiki Kaisha Heat transfer recording apparatus with a common drive source for selective plural functions
US6231045B1 (en) * 1998-06-12 2001-05-15 Ricoh Company, Ltd. Finisher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7673867B2 (en) * 2007-10-19 2010-03-09 Xerox Corporation Finisher apparatus
US10196224B2 (en) * 2010-11-12 2019-02-05 Zih Corp. Media load damper guide for print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66254A1 (en)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62671A1 (en) Sheet stacking device and post-processing device
JP4846290B2 (ja) 後処理装置
KR20220040771A (ko) 후처리부와 적재부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후처리 장치
JP6815652B2 (ja) 丁合・中入れ装置
US6776412B2 (en) Removable sheet feeder with jam clearance for use in an envelope inserting machine
JP5302040B2 (ja) 紙受け装置及び印刷機
US9499370B2 (en) Piling machine for flat items
JP4042304B2 (ja) 紙葉類収納装置
KR102205366B1 (ko) 지엽류 처리 장치
US20230219779A1 (en) Finisher with compact medium conveying structure
JP2004091211A (ja) 媒体トレイ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記録装置
JP4371500B2 (ja) 製本装置
KR100860864B1 (ko) 출력용지의 정렬 및 순차적 적재기능을 구비한화상형성장치용 후처리장치
JP3325193B2 (ja) ソータ
JP4149617B2 (ja) 排紙積載装置
JP7332355B2 (ja) 媒体搬送装置
JP4665139B2 (ja) ステープル綴じスタッカー
JPH0891589A (ja) 自動給紙装置
WO2021152666A1 (ja) 紙葉類格納装置及び紙葉類取扱装置
JP6596540B1 (ja) 紙葉類処理装置
JP3128526B2 (ja) シート後処理装置
JP3926298B2 (ja) 製本機
JP3582296B2 (ja) 後処理装置
KR0156229B1 (ko) 미제본(未製本)의 처리장치
JP6400065B2 (ja) 丁合・中入れ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