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229B1 - 미제본(未製本)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미제본(未製本)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229B1
KR0156229B1 KR1019930700481A KR930700481A KR0156229B1 KR 0156229 B1 KR0156229 B1 KR 0156229B1 KR 1019930700481 A KR1019930700481 A KR 1019930700481A KR 930700481 A KR930700481 A KR 930700481A KR 0156229 B1 KR0156229 B1 KR 0156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grated
piece
bookbinding
binding
accum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0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701335A (ko
Inventor
꼬오 야쓰까
시게노리 다시마
Original Assignee
하무로 요시아끼
군제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164700A external-priority patent/JP2583693B2/ja
Application filed by 하무로 요시아끼, 군제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하무로 요시아끼
Priority claimed from PCT/JP1992/000592 external-priority patent/WO1993001060A1/ja
Publication of KR930701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1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2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27/08Bundling paper sheets, envelopes, bags, newspapers, or other thin fla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65H31/3009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dropping, e.g. removing the pile support from under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2Auxiliary devices for receiving articles during removal of a completed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2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65H2301/4223Pressing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2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65H2301/4224Gripp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2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65H2301/4226Delivering, advancing piles
    • B65H2301/42261Delivering, advancing piles by dro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30Supports; Subassemblies; Mountings thereof
    • B65H2402/35Supports; Subassemblies; Mountings thereof rotating around an axis
    • B65H2402/351Turn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21Industrial-size printers, e.g. rotary printing pr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4/00Material or article handling
    • Y10S414/10Associated with forming or dispersing groups of intersupporting articles, e.g. stacking patterns
    • Y10S414/12Associated with forming or dispersing groups of intersupporting articles, e.g. stacking patterns including means pressing against top or end of gro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미제본 처리장치는 콘베이어장치에 의해 운반되어 오는 미제본(2)을 적층형상으로 집적하는 제1집적부(1)와, 상기 제1집적부(1)에 집적된 미제본의 복수의 작은 다발을 집적하는 제2집적부(10)와, 상기 제1집적부(1)의 아래쪽 및 상기 제2집적부(10)의 아래쪽에 각각 배치된 한쌍의 제3집적부(21, 21)를 가지며, 상기 한쌍의 제3집적부(21, 21)는 왕복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집적부(1)의 미제본(2)을 상기 한쪽의 제3집적부(21)로 옮기는 동시에, 다른쪽의 제3집적부(21)상에 적층된 미제본(2)을 상기 제2집적부(10)로 옮기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미제본(未製本)의 처리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측면단면도.
제2도는 가이드 및 가압편을 일부 생략한 적층부의 작동설명용 사시도.
제3도는 적층부 및 승강편의 작동설명용 평면도.
제4도는 적층부 및 승강편의 작동설명용 평면도.
제5도는 미제본과 승강편의 관계위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6도는 승강편의 회전변위를 나타낸 작동설명용 평면도.
제7도는 승강평의 회전변위를 나타낸 작동설명용 평면도.
제8도는 미제본의 집적상태를 나타낸 작동설명용 측면도.
제9도는 승강편의 다른 형상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측면단면도.
제11도는 적층부의 확대사시도.
제12도는 미제본의 집적개시상태를 도시하는 작동설명용 측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A-A 선 단면도.
제14도는 미제본의 직접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작동설명용 측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측면단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B-B 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집적부 2 : 미제본
6 : 가수용판 10 : 제2집적부
13 : 회전축 16 : 지지편
20 : 회전편 21 : 제3집적부
22, 27 : 에어실린더 24 : 승강편
25 : 절결구멍 29 : 가압편
32, 42 : 미제본 가압체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인쇄기등으로부터 운반되어 오는 미제본(未製本)을 작은 다발형상으로 적층하고, 작은 다발형상 미제본을 집적하여 큰 다발형상으로 적층하기 위한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 이 종류의 처리장치는, 예컨데 일본국 특개소 63-171765호 공보 또는 미국 특허 제4,725,180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다. 이 종래장치는 인쇄부로부터 운반되어 오는 소요매수의 미제본(인쇄된 용지(紙片), 접혀진 용지)을 가수용판상에 적층하는 가수용부를 가진다. 이 가수용부의 아래쪽에 승강이 자유로운 적층부를 가진다. 이 적층부의 옆에 상부이송판이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상부이송판의 상부에 집적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수용판상에 적층된 미제본의 작은 다발은, 그 아래쪽에 배치된 적층부에 이전된다. 적층부상의 미제본의 작은 다발은 압출판에 의해 상부이송판상에 운반된다. 그리고 상부이송판상의 작은 다발형상 미제본은 상부이송판의 상승에 의해 집적기내에서 차곡차곡 쌓여져 큰 다발형상으로 적층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장치에서는 작은 다발형상 미제본의 가수용판으로부터 적층부로의 하강수수(受授)나 상부이송판상으로의 압출, 운반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며 또 미제본의 운반시에 짐(荷物) 무너집이 생기거나, 그 위에 적층된 최하층의 미제본이 손상을 받기 쉬운 결점이 있다.
그리고 또한 가수용판으로부터 적층부의 수수시에 작은 다발형상 미제본의 최상층부가 자유로운 상태에 있으므로, 용지엇갈림이 생기며 또한 미제본이 엇갈린채 적층될 염려가 있다. 또 집적부에서 큰 다발형상으로 적층할 경우, 작은 다발형상 미제본이 포대부(절첩부)에서 부풀어올라 미제본의 어긋남이 생기거나, 운반도중에서 막히고, 그 결과, 어긋난채 적층되어 미제본의 오손이나 구부러짐이 생겨, 품질의 저하를 초래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ㅂ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하는 바는 적층상태의 미제본을 가수용부로부터 적층부 및 집적부로 운반할때의 짐무너짐이나 파손을 방지하며, 또한 능률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미제본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의 기술적 수단을 강구하였다.
즉 본 발명의 미제본 처리장치는 콘베이어장치에 의해 운반되어 오는 미제본을 적층형상으로 집적하는 제1집적부와,
상기 제1집적부에 집적된 미제본의 복수의 작은 다발을 집적하는 제2집적부와,
상기 제1집적부의 아래쪽 및 상기 제2집적부의 아래쪽에 각각 배치된 한쌍의 제3집적부를 가지며,
상기 한쌍의 제3집적부는 왕복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집적부의 미제본을 상기 한쪽의 제3집적부에 이전하는 동시에, 다른쪽의 제3집적부상에 적층된 미제본을 상기 제2 집적부에 이전하도록 구성되는 미제본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집적부에 작은 다발형상 미제본을 윗쪽으로부터 가압한 채 승강편과 함께 상승하는 가압편을 배열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집적부에는 그 바닥면을 개방, 폐쇄하는 가수용판을 수평방향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쌍의 제3집적부는 종축심 주위에 회전이 자유로운 회전축에 직경방향 양측으로 뻗어나온 형상으로 설치된 지지편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쌍의 제3집적부는, 상기지지편에 종축심 주위에 회전에 자유롭게 설치된 회전편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편에는 승강이 자유로운 실린더가 설치되고, 이 실린더에 승강편이 설치되며, 상기 제3집적부에는 상기 승강편이 통과가능한 절결구멍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편은 상기 신축이 자유로운 실린더에 설치되며, 이 실린더는 상기 제3집적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집적부에 적층된 작은 다발형상 미제본을 위로부터 가압한 상태인채로 그 바로 밑에 위치한 한쪽의 제3집적부상으로 하강시키는 미제본 가압체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기 등으로부터 소요매수마다 구분되면서 운반되어 오는 미제본이 제1집적부에 적층되어서 작은 다발형상으로 된다. 이 작은 다발은 그 아래쪽의 제3집적부로 이전된다. 제3집적부가 회전하고, 이 제3집적부는 제2집적부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3집적부의 미제본이 제2집적부로 이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집적부로부터 제3집적부로 미제본을 이전하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1집적부에 미제본이 집적되면서 제3집적부의 승강편이 상승하고, 제1집적부의 가수용판이 이동하여 제1집적부의 바닥면을 연다. 이것에 의해 제1집적부의 미제본이 승강편위에 떨어진다. 그리고 승강편이 이렇게 됨으로써 미제본은 제3집적부에 얹혀진다. 이 하강시에 작은 다발형상의 미제본이 가압편에 의해 가압된다. 계속하여 제3집적부가 수직축 주위에 180도 회전하여 미제본이 적층되어 있는 제3집적부가 제2집적부 바로 밑에 위치하고, 비어있는 상태의 제3집적부가 제1집적부 바로 밑에 위치한다. 이어서 제2집적부 아래쪽의 승강편이 상승하고, 동시에 또는 상승도중에서 가압편의 가압이 해제되며, 승강편위의 미제본이 제2집적부내에 집적되어 큰 다발형상 미제본으로 적측된다. 비어 있는 상태로 된 승강편은 하강하여 대기한다. 다른 한편, 제1집적부 바로 밑에 위치하는 제3집적부의 승강편은 상승하여 제1집적부로부터의 작은 다발형상 미제본의 수수를 기다려 상기의 동작을 반복하여 행한다.
또한, 제1집적부로부터 제3집적부로 작은 다발형상 미제본을 수수할 경우에, 제1집적부에 설치된 미제본 가압체에 의해 미제본 최상층부를 가압한채 하강시킴으로써 미제본의 어긋남이나 용지어긋남을 없애게 되고 정연한 수수가 가능하게 된다.
또 제3집적부에 설치한 가압편에 의해 작은 다발형상 미제본의 포대부의 팽창을 프레스하여 짐모양을 바르게 하며 용지어긋남을 없애고, 집적을 원활히 또한 손상 등을 발생시킴이 없이 정연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제1집적부으로부터 미제본의 적층이나 가압동작을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고, 더구나 미제본의 가압, 운반시에 미제본의 짐무너짐이나 손상의 발생이 없이, 다시 제1집적부로부터의 미제본의 적층과 제2집적부로의 집적을 동시에 병행하여 행함으로써, 능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취급이 용이하며 콤팩트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제1집적부에, 그 바로 밑에 위치한 한쪽의 제3집적부상에 적층하는 작은 다발형상 미제본을 위헤서 가압한 상태 그대로 하강시키는 미제본 가압체를 배열설치하면, 제1집적부로부터 그 바로 밑의 제3집적부에 작은 다발형상 미제본을 수수할 경우, 미제본의 어긋남, 용지 어긋남, 접힘이 발생되지 않고 능률적으로 정연하게 적층할 수 있으며 집적시에 있어서도 접힘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집적부에 작은 다발형상 미제본을 윗쪽으로부터 가압한 채 승강편과 함께 상승하는 가압편을 배열설치하면, 미제본의 운반시는 물론 제3집적부로부터 제2집적부로 상승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도, 미제본의 어긋남, 용지어긋남, 손상의 발생도 없고, 지지편에 의해 밀려나는 염려도 없이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 지지편의 개폐타이밍 조정이 불필요하며 취급이 지극히 용이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상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9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며, 보호 1은 미제본(2)의 제1집적부이다. 이 제1직적부는(1)는 인쇄부(도면생략)로부터 콘베이어(3), 누름벨트(4) 및 이송벨트(5)를 통하여 운반되어 오는 미제본(2)의 소요매수를 가수용판(6)위에 작은 다발형상으로 적층한 것이다.
상기 제1집적부(1)에는 미제본(2)의 전후방향의 폭치수에 대응한 위치에 측판(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수용판(6)에는 에어실린더(8)의 피스톤로드(9)가 고정되어 있다. 에어실린더(8)에 의해 상기 가수용판(6)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집적부(1)의 바닥부가 개방 또는 폐쇄된다.
부호10은 제2집적부를 나타내며, 이 제2집적부(10)는 상기 제1집적부(1)로부터 횡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1집적부(1)에 집적된 미제본(2)의 복수의 작은 다발을 큰 다발(2A)로하여 집적한 것이다. 이 제2집적부(10)은 상기 제1직접부(1)에서 집적된 미제본(2)의 복수의 작은 다발을 접적한 것이다.
이 제2집적부(10)은 회전이 자유롭게 피봇가능하게 지지된 한쌍의 로드(11A, 11B)와, 이 로드(11A, 11B) 하단에 고정된 지지편(12A, 12B)을 가진다. 이 지지편(12A, 12B)상에 미제본의 큰다발(2A)이 지지된다. 상기 로드(11A, 11B)를 회전시킴으로써 지지편(12A, 12B)이 회전하여 제2집적부(10)의 바닥부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상기 제1집적부(10)와 제2집적부(10)의 중간, 아래쪽위치에 회전축(13)이 종축심 주위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13) 하부에는 기어(14)가 고정되어 있다. 이 기어(14)에 구동용 기어(15)가 맞물려 있다. 이 구동기어(15)에 의해 회전축(13)이 왕복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회전축(13,13)에는 좌우 한 쌍의 연결편(17, 17)읕 통하여 지지편(16, 16)이 연결고정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지지편(16, 16)내에 회전형 에어실린더(18, 1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린더(18)의 축(19)에 회전편(20)이 연결고정되어 있다. 회전편(20)의 상단부에 미제본(2)의 제3집적부(21)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회전편(20, 20)내에 에어실린더(22, 2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실런더(22)의 피스톤(23)에 승강편(24, 24)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제3집적부(21, 21)에 절결구멍(25, 25)이 설치되어 있다. 이 구멍(25)내에는 상기 승강편(24, 24)이 수납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3집적부(21)의 윗면에 회전평 에어실린더(2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린더(26)의 구동축(도시생략)에 에어실린더(27)가 고정되어 있다. 이 실린더(27)의 피스톤로드(28) 선단에 가압편(29)이 고정되어 있다. 제3집적부(21)상에는 가이드편(30, 31)이 좌우전후위치로 미끄럼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편(30, 31)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이 미제본(2)의 적층부로 된다.
상기 한쌍의 제3직접부(21, 21)중 그 한쪽은 상기 제1집적부(1)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다른 한쪽은 상기 제2집적부(10)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회전축(13)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한쌍의 제3집적부(21, 21)의 위치가 대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3집적부(21, 21)는 분할형이라도 무방하나, 그외, 예컨대 원형이나 타원형, 직사각형등으로 형성된 왕복회전이 자유로운 적층판으로 한쌍의 적층부를 일체화시켜 구성해도 무방하며, 다시 2개 이상의 적층부를 설치하여 1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해도 무방하다.
다음에 상기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도와 같이 콘베이어(3) 등을 통하여 주지의 수단에 의해 운반되는 미제본(2)(단일용지, 반절형상의 미제본등)이 가수용판(6)상에 순차적으로 낙하, 적층된다. 이 사이에 에어실린더(22)의 피스톤(23)의 작동을 통하여 승강편(24)이 제3집적부(21)의 위치로부터 상승하고 가수용판(6)의 뒷면 아래쪽위치에 대기한다.
이어서 가수용판(6) 위에 소요매수의 1로트(lot)분의 미제본(2)이 적층되면, 가수용판(6)이 실린더(8)에 의해 후퇴하고 제1집적부(1)의 바닥면을 개방한다. 이 제1집적부(1)의 바닥면개방에 의해 가수용판(6)상의 미제본의 작은 다발이 아래쪽에 위치하는 승강편(24)위에 낙하, 적층된다. 다음으로 승강편(24)이 원위치로 하강하고, 적층된 미제본(2)이 가이드편(30, 31)으로 안내되어 제3집적부(21)상에 적층된다. 그와 동시에 회전형 에어실린더(26) 및 에어실린더(27)의 작동을 통하여 가압편(29, 29)이 미제본(2)측으로 회전, 하강하여 미제본(2)의 작은 다발 윗면을 가압한다.
한편, 상기 가수용판(6)이 실린더(8)를 통하여 다시 전진하고, 제1집적부(1)의 바닥면을 닫아, 상기와 같이 구분 운반되어 오는 두 번째의 로트에 걸린 미제본(2)이 상기와 동일하게 가수용판(6)상에 순차적으로 낙하, 적층되어 간다.
또한 상기와 같이 첫 번째의 로트에 걸린 미제본(2)이 제3집적부(21)상에 적층된후, 이어서 구동용기어(15), 기어(1)를 통하여 회전축(13)이 대략 180도 회전하게 됨으로써, 제3도와 같이 제1집적부(1)의 아래쪽위치 X에서 위치하고 있던 제3집적부(21)는 위치Y까지 이동한다. 그리고 회전형 에어실린더(18)의 작동을 통하여 제3집적부(21)가 대략 90도 회전 변위함으로써, 제4도와 같이 승강편(24)이 종으로 긴 상태의 위치 P로부터 횡으로 긴 상태의 위치 Q까지 회전 변위한다. 연이어 제3도와 같이 위치 X에서 종으로 긴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던 첫 번째의 로트에 걸린 미제본(2)은 위치 Y에서는 횡으로 긴 방향으로 적층된 상태로 회전변위한다.
이어서 가압변(29)의 가압이 해제된 후, 에어실린더(22)의 작동을 통하여 승강편(24)이 상승하고, 적층된 첫 번째의 로트에 걸린 미제본(2)이 제2집적부(10)내에 집적된다. 다음으로 승강편(24)이 원위치로 하강한 후, 다시 승강편(24)은 제4도와 같이 회전형 에어실린더(18)의 작동을 통하여 위치 Q로부터 원위치 P로 변위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첫 번째의 로트에 걸린 미제본(2)의 적층한 제3집적부(21)가 위치 X로부터 위치 Y에 도달했을 때, 위치 Y에 위치하고 있던 비어 있는 상태의 제3집적부(21)는 위치 Y 로부터 위치 X로 회전하고, 또한 승강편(24)은 제4도와 같이 종으로 긴 상태의 위치 P에 위치하여 두 번째의 로트에 걸린 미제본(2)을 종으로 긴 방향으로 적층하도록 해둔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에어실린더(22)의 피스톤(23) 작동을 통하여 승강편(24)이 제3집적부(21)의 위치로부터 상승하여 가수용판(6)의 뒷면 아래쪽위치에서 대기한다.
다음으로 가수용판(6)상에 소요매수의 두 번째의 로트에 걸린 미제본(2)이 적층되면 가수용판(6)이 후퇴하여 아래쪽위치에 승강편(24)상에 제2로트분의 미제본(2)이 낙하, 적층되고, 이어서 승강편(24)이 원위치(제3집적부(21)의 위치)로 하강하며, 이하 상기와 같은 동작이 반복되어 제2집적부(10)내에 순차적으로 큰 다발형상의 미제본(2A)이 집적된다. 그후 집적된 큰 다발형상의 미제본(2A)이 다음 공정의 결속부로 운반되어 결속된다.
또한 미제본(2)이 콘베이어(3)를 통하여 운반될 경우 예컨데 B4판이나 B5판의 미제본(2)(단일용지나 반절형상의 미제본등)이 운반되는 경우, 통상 B4판의 미제본은 종으로 길게, B5판의 미제본은 횡으로 긴 상태로 운반된다. 따라서 제1집적부(1)의 아래쪽 위치 X에서 승강편(24)상에 적층되는 B4판이나 B5판의 미제본 B4 및 B5는 각각 제5도와 같이 종으로 길게 또는 횡으로 긴 방향으로 적층된다.
따라서 제6도와 같이 미제본 B4의 경우, 제3집적부(21)가 제1집적부(1)의 아래쪽위치 X로부터 제2집적부(10)의 아래쪽위치 Y로 회전 변위하는 경우, 제3집적부(21) 가체가 대략 90도 자전(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한다. 즉 제4도와 같이 승강편(24)이 위치 P로부터 위치 Q까지 회전 변위함으로써 제2집적부(10)의 아래쪽위치 Y에서는 미제본 B4는 횡으로 긴 방향으로 회전 변위하며, 이 상태로 집적된다.
또 제7도와 같인 미제본 B5의 경우 제3집적부(21)가 제1집적부(1)의 아래쪽위치 X로부터 제2집적부(10)의 아래쪽위치 Y로 회전할 때 제3집적부(21)는 자체는 하등 자전함이 없이, 즉 승강편(24)이 하등 회전 변위함이 없이 미제본 B5는 위치 X와 같이 횡으로 긴 상태로 위치하며 이 상태로 그대로 집적한다.
제2집적부(10)에서 큰 다발형상 미제본(2A)을 집적할 때, 에어실런더(22)의 작동을 통하여 승강편(24)이 제8도와 같인 제3집적부(21)의 위치 J로부터 상승하는 경우, 제8도와 같이 적층된 미제본(2)의 최상층부과 폐쇄상태의 지지편(12A, 12B)의 뒷면에 접촉한 위치에서 에어실린더(22)의 작동을 일단 정치시켜 적층된 미제본(2)의 양측부를 지지편(12A, 12B)측에 가압함으로써 미제본(2)의 공기빼기가 행해진다. 그후 지지편(12A,12B)을 후퇴시켜서 개방상태로 하고, 다시 에어실린더(22)의 작동을 통하여 승강편(24)을 상승시켜서 집적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인 미제본(2)의 공기빼기에 의해 미제본의 짐무너짐이 방지되어 효과적인 집적, 적층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제9도는 승강편(24)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나, B4판이나 A4판, B5판등 각 규격의 미제본을 적층할 수 있는 것이면 승강편(24)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0도 내지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며, 제1실시예와 상이한 바는 제1집적부(1)의 윗쪽에 미제본 가압체(32)가 에어실린더(33)에 의해 승강이 자유로운 매어달림형상으로 설치된 점 및, 제3집적부(21)에 승강편(24)의 관통구멍(25)을 갖는 적층대(34)가 부착판(21A)상에 세워설치된 지주(35)를 통하여 설치된 점이다. 또한 미제본 가압체(32)는 에어실린더(33)의 하향으로 돌출한 피스톤로드(36)의 하단에 수평형상으로 고착되어 있다. 이 가압체(32)는 누름벨트(4)와 간섭함이 없이 가수용체(6) 근방까지 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가수용판(6)이 후퇴했을 때, 이 가압체(32)는 가수용판(6)상의 작은 다발형상 미제본(2)을 윗쪽으로부터 가압한 상태대로 미제본(2)을 밀어내리고, 그후 상기 가압체(32)는 상승하여 대기 위치에 복귀하도록 되어있다.
또 적층대(34)에는 네귀퉁이에 절결부(37)가 설치되고 이 절결부(37)에 상기 에어실린더(27)가 배치되어 있다. 각 실린더(27)는 부착판(21A)상에 축받이 브래킷(38) 및 수평축(39)을 통하여 개폐회전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수평축(39)에 고착된 레버(40)은 부착판(21A)상에 요동이 자유롭게 축받이된 에어실린더(41)에 의해 구동된다. 그리고 가압편(29)의 작동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행해지나, 제2집적부(10)에 작은 다발형상 미제본(2)을 상승시키는 경우,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인 가압편(29)은 미제본(2)을 가압한 채로의 상태로 승강편(24)의 상승과 함께 상승한다. 그리고 상승도중 작은 다발형상 미제본(2)이 윗쪽의 큰 다발형상 미제본(2A)에 접근한 시점(가압편(29)의 상승한도)에서 일단 정지하고(제14도 참조), 먼저 가압편(29)이 에어실린더(41)의 작동에 의해 바깥쪽으로 개방 회전하여 미제본(2)의 가압이 해제되고, 이어서 또는 동시에 지지편(12A, 12B)이 후퇴하여 제2집적부(10)가 열려 제14도에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재차 에어실린더(22)의 작동에 의해 승강편(24)을 상승시켜 그 상승한도에 있어서 승강편(24)이 정지되는 동시에, 지지편(12A, 12B)이 대향하는 안쪽방향으로 전진하여 제2집적부(10)가 닫혀지면서 집적유지가 완료된다. 그래서 에어실린더(22)의 작동에 의해 승강편(24)이 하강하고, 제1집적부(1) 바로 밑의 제3집적부(21)의 적층대(34)상에 작은 다발형상 미제본(2)이 적층되는 것을 기다려 다시 제3집적부(21)가 180도 회전하며 상기 조작이 반복된다. 이와 같이 가압편(29)이 일정한 높이의 상승한도(큰 다발형상 미제본(2A)에 접근하여 지지편(12A, 12B)에 작은 다발형상 미제본(2)이 접촉하는 시점)에서 정지하므로, 그때에 지지편(12A, 12B)의 개발동작이 행해지고, 종래와 같이 작은 다발형상 미제본(2)의 적층높이, 지질, 반절형상인지 아닌지의 여부등의 조건을 고려하여, 지지편(12A, 12B)의 개폐타이밍을 그때마다 조정해야 한다는 번잡스러움이 없어지며, 취급이 용이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되며 포대부의 팽창을 프레스하여 짐모양을 정비하고 미제본 어긋남이나 용지어긋남을 없애며 손상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15도 및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하며, 제1실시예와 상이한 바는 제1집적부(1)에 있어서의 미제본 가압체(42)가 옆쪽으로 설치한 수직에 어실린더(43), 수평에어실린더(44)를 통하여 매달려 있는 점이다. 그리고 이 가압체(42)는 제1집적부(1)의 옆쪽 상부에서 대기하고 있으며 가수용판(6)상에 미제본(2)이 적층되면 수평에어실린더(44)의 작동에 의해 제1 집적부(1)내에 진입하고, 수직에어실린더(43)에 의해 작은 다발형상 미제본(2)의 최상층부를 가압한 채로 승강편(24)과 함께 하강하며, 하강한도에 있어서 수평에어실린더(44)에 의해 제3집적부(21)의 윗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물러난후, 수직에어실린더(43)에 의해 상승하여 대기위치에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3실시예에 의하면, 가수용판(6)이 상으로부터 그 아래쪽의 제3집적부(21)로 수수할 때, 미제본(2)의 어긋남이나 용지 어긋남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미제본 가압체(42)는 제2실시예의 미제본 가압체(32)에 대체하여 부착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인쇄기둥에서 운반되어 오는 미제본을 작은 다발형상으로 적층하고, 다시 그 작은 다발형상 미제본을 집적하여 큰 다발형상으로 적층하기 위한 처리장치에 이용하는 것이다.

Claims (7)

  1. 콘베이어장치에 의해 운반되어 오는 미제본(2)을 적층형상으로 집적하는 제1집적부(1)와, 상기 제1집적부(1)에 집적된 미제본의 복수의 작은 다발을 집적하는 제2집적부(10)와, 상기 제1집적부(1)의 아래쪽 및 상기 제2집적부(10)의 아래쪽에 각각 배치된 한쌍의 제3집적부(21, 21)를 가지며, 상기 한쌍의 제3집적부(21, 21)는 왕복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집적부(1)의 미제본(2)을 상기 한쪽의 제3집적부(21)로 옮기는 동시에, 다른쪽의 제3집적부(21)상에 적층된 미제본(2)을 상기 제2집적부(10)로 이전하도록 구성되는 미제본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제3집적부(21, 21)에 작은 다발형상 미제본(2)을 윗쪽으로부터 가압한 채 승강편(24, 24)와 함께 상승하는 가압편(29)이 배열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제본의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적부(1)에는 그 바닥면을 개방, 폐쇄하는 가수용판(6)이 수평방향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제본의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제3집적부(21, 21)는 종축심주의에서 회전이 자유로운 회전축(13)에 직경방향 양쪽으로 뻗어나온 형상으로 설치된 지지편(16, 16)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제본의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제3집적부(21, 21)는 상기 지지편(16)에 종축심 주위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회전편(20)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제본의 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편(20)에는 승강이 자유로운 실린더(22)가 설치되며, 이 실린더(22)에 승강편(24)이 설치되고, 상기 제3집적부(21)에는 상기 승강편(24)이 통과가능한 절결구멍(25)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제본의 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편(29)은 상기 신축이 자유로운 실린더(27)에 설치되고, 이 실린더(27)는 상기 제3집적부(21)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제본의 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적부(1)에 적층된 작은 다발형상 미제본(2)을 위에서 가압한 상태인 채로 그 바로 밑에 위치한 한쪽의 제3집적부(21)상에 하강시키는 미제본 가압체(32, 4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제본의 처리장치.
KR1019930700481A 1991-07-04 1992-05-06 미제본(未製本)의 처리장치 KR01562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1798091 1991-07-04
JP3164700A JP2583693B2 (ja) 1990-11-20 1991-07-04 刷本の処理装置
JP91-164700 1991-07-04
JP91-517980 1991-07-04
JP91-51798U 1991-07-04
PCT/JP1992/000592 WO1993001060A1 (en) 1991-07-04 1992-05-06 Device for arranging printed paper shee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1335A KR930701335A (ko) 1993-06-11
KR0156229B1 true KR0156229B1 (ko) 1999-02-18

Family

ID=66865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0481A KR0156229B1 (ko) 1991-07-04 1992-05-06 미제본(未製本)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62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127B1 (ko) * 2020-04-16 2021-12-06 (주)선진에스엠 포장용기용 라벨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1335A (ko) 1993-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3001060A1 (en) Device for arranging printed paper sheets
KR101494699B1 (ko) 제본 완성품의 적재장치
CN106144616B (zh) 金属板堆垛机
CN101595054B (zh) 用于储存薄衬纸的方法和设备
US4222311A (en) Process and system for producing folded boxes
KR0156229B1 (ko) 미제본(未製本)의 처리장치
CN210011950U (zh) 一种纸箱的翻叠机构
JPS6256069B2 (ko)
CN101595051B (zh) 将薄衬纸与可记录图像的材料分开的设备及其方法
JP2583693B2 (ja) 刷本の処理装置
JP2524050B2 (ja) 刷本処理装置における型替装置
JPH07291449A (ja) パレット上の物品の移載装置、刷本束の搬送装置および刷本束の移送方法
US4717142A (en) Sheets aligner for use in a printing press
KR101712131B1 (ko) 판지 이송용 반전 장치
EP0520351A1 (en) Sheet material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CN217076467U (zh) 印刷品补入纸张用设备
CN114603984B (zh) 一种纸箱纸板翻转机构
JP3807840B2 (ja) 折帳束集積装置
JP2993552B2 (ja) 製本用オートローダ
JP3479638B2 (ja) スタッカーバンドラーの当紙供給装置
JPS60242170A (ja) 積重紙の空気抜き装置
JP2596520B2 (ja) 折帳束集積装置
JP2754510B2 (ja) 刷本集積装置
JP2508049Y2 (ja) 刷本の集積装置
JP3573580B2 (ja) 折帳小束プレ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1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