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0457A - 자체-상승 구조체에 대한 앵커 - Google Patents

자체-상승 구조체에 대한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0457A
KR20220040457A KR1020227002661A KR20227002661A KR20220040457A KR 20220040457 A KR20220040457 A KR 20220040457A KR 1020227002661 A KR1020227002661 A KR 1020227002661A KR 20227002661 A KR20227002661 A KR 20227002661A KR 20220040457 A KR20220040457 A KR 20220040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vertical
metal inserts
anchor
spik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2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우스 몬타너 프라구에트
마리아노 페레즈 아바디아
호세 마뉴엘 소라즈 에크해브
아마이아 마르티네즈 마르티네즈
세르지오 사이즈 가르시아
리카르도 디에고 가라멘디
Original Assignee
에이치더블유에스 콘크리트 타워스, 에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더블유에스 콘크리트 타워스, 에스.엘. filed Critical 에이치더블유에스 콘크리트 타워스, 에스.엘.
Publication of KR20220040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4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 E04G5/046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for fastening scaffoldings on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 B66C23/20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from the side, e.g. by walls of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 B66C23/24Mobile wall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 B66C23/2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constructed to operate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 B66C23/32Self-hoisting cr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6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ver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사전 성형 콘크리트 타워에서 금속 삽입부들을 사용하며, 회전 및 흔들림 동작이 제공되는 자체-상승 구조체에서 인터로킹 스파이크들을 사용하는, 수직 또는 거의-수직 콘크리트 표면들 상에서 사용되는 유형의 자체-상승 구조체에 대한 앵커.
제시되는 본 발명은, 최대 접촉 및 최적 부하 분포를 가지고 타워의 콘크리트 상의 인장 및 전단 하중들을 최소화하면서 또한 가능한 결합 배치 및 정렬 오차들의 자체-보정을 달성하는 주요 장점을 제공한다. 이들 모두는 상승 장치로부터의 콘크리트 벽 및 일반적인 구조체로의 부하들의 개선된 전달 및 분포를 야기하며, 이는 기존 장치들보다 더 큰 크기의 하중들이 들어 올려지고 견디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자체-상승 구조체에 대한 앵커
본 설명은, 명칭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사전 성형된(precast) 콘크리트 타워들의 조립 및 유지 보수에서, 수직 및 거의-수직 콘크리트 표면들 상에서 사용되는 자체-상승(self-climbing) 구조체 유형에 대한 앵커(anchor)에 관한 것으로서, 자체-인용 구조체는 크레인들, 플랫폼들, 및 다른 보조 요소들의 지지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앵커는 사전 성형 콘크리트 타워에서 금속 삽입부들을 사용하며, 회전 및 흔들림(rocking) 동작이 제공되는 자체-상승 구조체에서 인터로킹 스파이크(interlocking spike)들을 사용한다.
본 발명은 수직 및 거의-수직 콘크리트 표면들에 의해 사용되는 자체-상승 구조체들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현재 많은 수의 자체-상승 장치들 및 구조체들이 알려져 있고 건설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 중에서 특허들 EP2725166 "Method for creating concreting sections with the aid of a rail-guided self-climbing formwork system", EP1899549 "Climbing cylinder on a self-climbing shuttering", WO2009117986 "Track-guided self-climbing shuttering system with climbing rail extension pieces", EP2365159 " Self-climbing perimeter protection system for construction works in buildings " 및 WO2008061922 "Self-climbing system in the field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with a climbing or guide shoe"가 알려져 있고 사용되고 있다. 이러나 이들 모두는, 이들이 작업될 표면에 부착되는 트랙들, 가이드들 또는 레일들을 필요로 하거나, 또는, 어떤 경우에도, 각각의 경우에 대해 명백하게 설계되고 만들어진 요소들을 필요로 하며 이들이 재사용될 수 없고 결과적으로 상승 시스템의 비용이 증가되며, 이는 조립 및 후속 해체를 복잡하게 하고 비용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서 거의-평평한 표면들에만 적용가능하며, 이는 다수의 경우들에서, 예를 들어, 단면이 자유롭게 변화하는 다중-섹션 사전 성형 콘크리트 타워들에 적용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인 문제점을 갖는다.
특허 ES2085196 "System of self-climbing formwork and continuous support of concrete"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장비가 또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장비는 벽에 고정하기 위해 앵커링 콘(cone)들을 사용하지만, 자율적으로 상승하는 구조체가 아니라 상대적으로 수동 방식으로 바닥으로부터 해체되고 상단을 향해 상승되는 댐(dam)들에 대한 거푸집 공사이다.
마찬가지로, 특허 ES2695626 "Self-climbing device on vertical and near-vertical concrete surfaces and operating method"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일부 장치들이 존재하며, 이러한 장치들은 작업 벽에 대한 앵커링 수단을 가지고, 앵커링 수단은 작업 벽에 인접한 면 상에 나타나는 앵커 섀시로부터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 상에 측방으로 배열된 하나 또는 몇몇 동작가능 잠금 요소들이 제공되고, 상기 돌출부들의 형상 및 크기는 수직선으로 배열된 작업 벽 내의 앵커 하우징들과 일치하며, 이러한 앵커 하우징들은 잠금 요소들과 일치하는 형상, 크기, 및 위치의 잠금 하우징들을 갖는다. 앵커 섀시로부터의 돌출부 및 작업 벽 내의 앵커 하우징들의 형상은 사각뿔대 또는 원뿔대이다. 사용되는 이러한 유형의 앵커는 타워 모듈들 내의 앵커 요소들의 배치 및 이들의 작동을 위한 측방 잠금 요소들의 정렬에서 큰 정밀도를 필요로 하고, 측정들에서 임의의 편차들, 재료들 내의 임의의 먼지 또는 팽창, 또는 오정렬이 있는 경우에, 이는 자체-상승 구조체의 정확한 동작을 방해하고 해결 또는 오프셋이 불가능할 수 있는 결합 실패를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을 나타낸다.
또한, 콘크리트가 인장 또는 전단 하중들을 잘 견디지 못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워 내의 크레인의 앵커링은 민감하고, 그 결과, 타워를 약화시키지 않기 위하여 세그먼트 상의 크레인의 연결의 효과가 최소화되어야 하지만, 이러한 실시예들에서는 그렇지 않다.
콘크리트 표면들 상에 자체-지지 구조체들을 고정하고, 마찰 및 전단 하중들을 최소화하며, 가능한 결합 배치 및 정렬 오차들의 자체-보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과 관련된 현재 존재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인 자체-상승 구조체에 대한 앵커가 구상되었으며, 자체-상승 구조체에 대한 앵커는,
- 수직 또는 거의-수직 콘크리트 표면, 예를 들어, 타워 또는 콘크리트 표면 상의, 사전 성형된 또는 현장에서 구축된, 수직 또는 거의-수직 콘크리트 표면 상에서 상이한 높이들에서 벽에 개구부들을 형성하는 금속 삽입부들,
- 자체-상승 구조체 상의, 상기 자체-상승 구조체의 다양한 프레임들의 각각 내에 위치되며 전부가 이동가능할 수 있거나 또는 일부가 고정되는, 금속 삽입부들 내로의 삽입 및 결합을 위한 적절한 분포 및 치수를 갖는 인터로킹 스파이크들로서, 상기 인터로킹 스파이크들에는 사전 성형된 또는 현장에서 구축된 타원 또는 콘크리트 표면에 대한 접근 또는 이격(distancing) 수단 및 수평 변위 수단이 구비되는, 인터로킹 스파이크들을 포함한다.
금속 삽입부들 및 인터로킹 스파이크들은 하나씩, 또는 쌍으로, 또는 3개 이상의 금속 삽입부들 및 인터로킹 스파이크들의 그룹들로 분포될 수 있다.
벽 내의 개구부들은 스루-홀(through-hole) 개구부들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금속 삽입부들은, 공통 개구부를 획정(define)하는, 더 큰 크기의 2개의 주변 단부 표면들에 의해 양측 단부에서 마감된 중공형 몸체로서 성형된다. 또한, 벽 내의 개구부들은 스루-홀 개구부들이 아니라 중공 또는 틈새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금속 삽입부들은 단부들 중 하나에서 폐쇄된다.
인터로킹 스파이크들은 구형 단부를 갖는 내부 샤프트, 내부 샤프트의 구형 단부를 감싸며 구형 단부에 대해 자유로운 회전 움직임이 제공되는 본체로서, 본체의 하부 부분은 반-원형인, 본체, 및 본체의 전방 및 후방 단부들에 부착되며 바닥에서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단부 플레이트들을 포함한다.
결합 위치에서, 인터로킹 스파이크들은, 인터로킹 스파이크의 각각의 본체의 하부 부분이 대응하는 금속 삽입부의 중공형 몸체의 내부 부분과 접촉하여 자체-상승 구조체의 중량을 타워에 전달하고 그 중량에 기인하여 이것의 위치를 유지하면서, 단부 플레이트들이 금속 삽입부들의 주변 단부 표면들에 대해 피팅(fit)되어 인터로킹 스파이크들의 임의의 수평 변위를 차단하여 인터로킹 스파이크들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금속 삽입부들 내로 삽입된다.
쌍으로 있는 경우에, 인터로킹 스파이크들은, 어셈블리의 주 지지부에 대해 샤프트에 의한 자유로운 회전 움직임이 제공되는, 중앙 암(arm)의 양쪽 단부들 상에 고정된다. 선택적으로, 인터로킹 스파이크들에는, 본체 및 단부 플레이트들 둘 모두 상에, 다수의 챔퍼(chamfer)들이 제공된다.
제시되는 이러한 자체-상승 구조체에 대한 앵커는 현재 이용할 수 있는 장비들에 비해 다수의 장점들을 제공하며, 가장 중요한 장점은, 자체-상승 구조체에 대한 앵커가 적절한 크기의 원형 금속 삽입부를 사용하기 때문에 수직 및 거의-수직 콘크리트 표면의 콘크리트 상의 인장 및 전단 하중들이 최소화된다는 점이다.
다른 현저한 장점은, 하중들의 균일한 중앙 집중 분포를 보장하기 위해, 지지 지점에서 그리고 지지부 상에서 동일한 반경을 갖는 구형 지지부가 사용되어 최대 접촉 및 최적 하중 분포를 보장한다는 점이다.
추가로, 자체-지지 구조체 내의 인터로킹 스파이크들 및 타워 내의 금속 삽입부들의 제조시의 임의의 오차들을 흡수하기 위해, 인터로킹 스파이크들에는 힘들의 최적 전달을 허용하는 동일한 반경의 표면들 사이의 총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관절(articulation)이 제공되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다른 중요한 장점은, 중앙 암의 흔들림 시스템이, 수직 또는 거의-수직 콘크리트 표면과 크레인 사이의 또는 타워 앵커들(또는 콘크리트 표면)과 크레인 상승 프레임 사이의 정렬 오차들이 특정 정도까지 흡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이다. "스파이크들"의 중앙 지지 암의 틸팅(tilting)과 함께 구형 지지부들의 틸팅은 이들이 중심에서 벗어날 때에도 지지를 제공하며 임의의 가능한 결합 위치 및 정렬 오차들의 자체-보정을 용이하게 한다.
수직 및 거의-수직 콘크리트 표면에 대한 인터로킹들의 오차들을 흡수하기 위한 이러한 성능에 더하여, 스파이크들의 바로 그 설계가 또한 수직 및 거의-수직 콘크리트 표면들 내로의 스파이크들의 진입 및 중앙 배치에 유리하다는 점이 또한 강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스파이크들은 스파이크들의 진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일련의 리드(lead) 챔퍼들을 가지며, 이러한 효과에 따라, 중앙 샤프트 상의 구형 지지부의 그리고 중앙 암의 자유로운 회전들이 금속 삽입부들 내로의 스파이크들의 진입 및 정확한 지지를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제조 및 정렬 오차들을 흡수할 수 있으며 수직 및 거의-수직 콘크리트 표면의 세그먼트의 중앙 구역에서 지지 하중들을 전달할 수 있는 인터로킹들 상의 구형 지지부가 존재하기 때문에, 세그먼트에 대한 하중 전달이 주로, 콘크리트가 가장 잘 견딜 수 있는 압축성이라는 점이다.
강조될 가장 중요한 장점들 중 다른 장점은, 단순히 용접되는 금속 삽입부들을 추가함으로써 수직 및 거의-수직 콘크리트 표면 상의 지지부가 세그먼트의 내부 보강재에 와이어 또는 다른 수단을 가지고 고정되며 그 결과 측방 하중들이 콘크리트 보강재를 통해 콘크리트로 전달되고, 금속 삽입부들은, 가장 단순한 해법으로, 제조 프로세스 동안 세그먼트가 콘크리트로 굳혀질 때 몰드에 고정될 수 있는 둥글게 다듬어진(turned) 부분들이며, 여기에서 비용의 변동이나 또는 증가가 사실상 없다는 점이다.
다른 추가적인 장점은, 단추 구멍 형상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더 큰 정렬 오차들이 흡수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이들의 상단 부분에서 더 큰 진입 허용 오차들이 존재하고, 이러한 방식은, 인터로킹 스파이크들이 타워에 진입하고 그런 다음, 하강 시에, 마치 인터로킹 스파이크들이 완전히 둥근 형상인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지지하고 중심을 잡는다는 것에 대한 훨씬 더 양호한 보장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본원에서 제시되는 발명이, 예를 들어, 크레인 또는 작업 플랫폼과 같은 임의의 장치 또는 기계를 지지하는 임의의 자체-상승 구조체에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상승될 구역 또는 구조체에 대해 적응된, 가변 길이의 진행들 또는 개별적인 움직임들을 가지고, 자유로운 형태 및 다양한 경사를 갖는 평평하거나 또는 만곡된 수직 또는 거의-수직 표면들 둘 모두에 적용될 수 있으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강조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에 대한 더 양호한 이해를 획득하기 위하여, 자체-상승 구조체에 대한 앵커의 선호되는 실제적인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다.
상기 도면들에서, 도 1은, 이러한 예에서, 크레인을 지지하는 자체-상승 구조체를 갖는 모듈식 사전 성형 콘크리트 타워로 구성된 수직 또는 거의-수직 콘크리트 표면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자체-상승 구조체를 따라 이동가능하며 자체-동력형의 상단 결합의 확대된 세부사항, 자체-상승 구조체의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은 중간 결합의 확대된 세부사항, 및 사전 성형 콘크리트 타워의 세그먼트들 중 하나에서 일부 금속 삽입부들의 확대된 세부사항을 도시한다.
도 2는 자체-상승 구조체의 중앙 부분의 확대된 세부사항을 도시하며, 여기에서 인출된 인터로킹 스파이크들을 갖는 프레임들 중 하나의 프레임 및 금속 삽입부들 내에 삽입된 인터로킹 스파이크들을 갖는 이전의 프레임 아래에 위치된 다른 프레임이 보일 수 있다.
도 3은, 벽 내에 스루-홀 개구부들을 갖는 실시예에서, 타워의 내부로부터 보이는, 금속 삽입부들에 진입하는 인터로킹 스파이크들의 세부사항을 도시한다.
도 4는 어셈블리의 인터로킹 스파이크들의 세트, 중앙 암 및 주 지지부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내부 요소들을 보여주기 위해 인터로킹 스파이크들 중 하나 및 중앙 암의 부분이 절단도로 도시된 상태의, 어셈블리의 인터로킹 스파이크들의 세트, 중앙 암 및 주 지지부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내부 요소들을 보여주기 위해 중앙 암, 주 지지부 및 샤프트가 절단도로 도시된 상태의, 어셈블리의 인터로킹 스파이크들의 세트, 중앙 암 및 주 지지부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7a는 금속 삽입부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7b는 절단도로 금속 삽입부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면들 둘 모두에서, 벽 내에 스루-홀 개구부들을 갖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a는 금속 삽입부를 향한 인터로킹 스파이크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8b는 이러한 동일한 요소들을 수직 절단도로 도시하고, 도 8c는 이들을 수평 절단도로 도시한다.
도 9a, 도 9b, 도 9c, 도 9d, 및 도 9e는, 인터로킹 스파이크들 및 중앙 암들 둘 모두의 회전 축들을 갖는 중앙 암 상의 2개의 인터로킹 스파이크들 및 2개의 금속 삽입부들의 간략화된 도면들을 도시하며, 인터로킹 스파이크들의 삽입 및 금속 삽입부들의 위치 둘 모두에서, 이들이 다양한 수평 및 수직 오정렬들을 오프셋할 수 있는 방법을 보여준다.
도 10a는 원형 금속 삽입부들을 도시하며, 반면 도 10b는 단추 구멍 형상을 갖는 금속 삽입부들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형태 및 특성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된 다음의 설명에서 더 양호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에서 보일 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사전 성형 콘크리트 타워(1)의 조립 및 유지 보수에서, 수직 및 거의-수직 콘크리트 표면 들 상에서 사용되는 유형의 자체-상승 구조체(2)에 대한 앵커가 예시되며, 자체-상승 구조체(2)는 크레인들(3), 플랫폼들, 및 다른 보조 요소들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 도 2, 도 3, 도 4, 도 5 및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자체-상승 구조체에 대한 앵커는,
- 수직 또는 거의-수직 콘크리트 표면(1) 상의 상이한 높이들에 분포된 세그먼트의 벽 내에 개구부들을 형성하는, 수직 또는 거의-수직 콘크리트 표면(1) 상의 상기 세그먼트의 내부 보강재에 고정된 복수의 금속 삽입부들(5),
- 자체-상승 구조체(2)의 프레임들(4a, 4b 및 4c) 내에 위치되며 금속 삽입부들(5) 내로의 삽입 및 결합에 적절한 분포 및 치수들을 갖는 상기 자체-상승 구조체(2) 내의 인터로킹 스파이크들(6)로서, 인터로킹 스파이크들(6)에는 수평 및 수직 변위 수단(7) 및 수직 또는 거의-수직 콘크리트 표면(1)에 대한 접근 및 이격 수단(8)이 구비되는, 인터로킹 스파이크들을 포함한다.
벽 내의 개구부들은 스루-홀 개구부들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금속 삽입부들(5)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 스루-홀 개구부를 획정하는, 더 큰 크기의 2개의 주변 단부 표면들(16)에 의해 양측 단부에서 마감된 중공형 몸체(15)로서 성형된다. 벽 개구부들이 스루-홀들이 아니라 중공 또는 틈새의 형태를 취하는 대안적인 실시예가 구상된다. 두 경우에서, 벽 개구부들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 형상을 취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부분이 하부 부분보다 넓고 하부 부분인 반-원 형상인 단추 구멍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인터로킹 스파이크들(6)은, 도 8a, 도 8b, 및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 구형 단부가 구비된 내부 샤프트(13),
- 내부 샤프트(13)의 구형 단부를 감싸며, 구형 단부에 대해 자유로운 회전 움직임이 제공되는 본체(12)로서, 본체(12)의 하부 부분은 반-원형인, 본체,
- 본체(12)의 전방 및 후방 단부들에 부착되며, 바닥에서 상기 본체(12)로부터 돌출하는 단부 플레이트들(14)을 포함하고,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은 결합 위치에서, 인터로킹 스파이크들(6)은, 인터로킹 스파이크들(6)의 각각의 본체(12)의 하부 부분이 대응하는 금속 삽입부(5)의 중공형 몸체(15)의 내부 부분과 접촉하면서 단부 플레이트들(14)이 금속 삽입부들(5)의 주변 단부 표면들(16)에 대해 피팅된 채로 남아 있는 방식으로, 금속 삽입부들(5) 중 일부 내로 삽입된다.
선호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인터로킹 스파이크들(6)은 각각의 프레임(4a, 4b 및 4c) 상에서 동일한 높이에 쌍으로 분포되며, 금속 삽입부들(5)은 수직 또는 거의-수직 콘크리트 표면(1) 상에서 결합을 위해 설정된 각각의 높이에서, 동일한 높이의 2개의 금속 삽입부들의 그룹들로 수직으로 정렬되어 분포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인터로킹 스파이크들(6)은 프레임(4a, 4b 및 4c)마다 하나씩 분포되며, 금속 삽입부들(5)은 수직 또는 거의-수직 표면(1) 상의 결합을 위해 설정된 각각의 높이에 하나씩 수직으로 정렬되어 분포된다. 각각의 프레임 상의 3개 이상의 인터로킹 스파이크들(6)의 그룹들 및 상응하여 각각의 높이에 3개 이상의 금속 삽입부들(5)의 그룹들을 갖는 다른 변형예를 수행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가능하다.
선호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들 중 2개의 프레임들(4b 및 4c)은 자체-동력형이고 자체-상승 구조체(2)를 따라 이동가능하며,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은 자체-상승 구조체(2)에 고정된 프레임(4a)이다. 프레임들(4a, 4b 및 4c) 모두가 자체-동력형이며 자체-상승 구조체(2)를 따라 이동가능한 대안적인 실시예가 또한 구상된다.
쌍으로 그룹화된 경우, 인터로킹 스파이크들(6)은,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셈블리의 주 지지부(10)에 대해 샤프트(11)에 의해 자유로운 회전 움직임이 제공되는, 중앙 암(9)의 양 단부 상의 내부 샤프트(13)의 후방 단부에 의해 쌍으로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인터로킹 스파이크들(6)에는, 본체(12) 및 단부 플레이트들(14) 둘 모두 상에 다수의 챔퍼들이 제공된다.
당업자는, 조합이 기술적으로 가능하다면, 상이한 실시예들의 특성들이 다른 가능한 실시예들의 특성들과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예들 또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는 모든 정보가 본 발명의 설명의 부분을 형성한다.

Claims (12)

  1. 수직 또는 거의-수직 콘크리트 표면 상의 자체-상승 구조체에 대한 앵커(anchor)로서,
    - 상기 수직 또는 거의-수직 콘크리트 표면(1) 상의 상이한 높이들에 분포된 세그먼트의 벽 내에 개구부들을 형성하는, 상기 수직 또는 거의-수직 콘크리트 표면(1) 상의 상기 세그먼트의 내부 보강재에 고정된 복수의 금속 삽입부들(5),
    - 상기 자체-상승 구조체(2)의 프레임들(4a, 4b 및 4c) 내에 위치되며 상기 금속 삽입부들(5) 내로의 삽입 및 결합에 적절한 분포와 치수들을 갖는 상기 자체-상승 구조체(2) 내의 인터로킹 스파이크(interlocking spike)들(6)로서, 상기 인터로킹 스파이크들(6)에는 수평 및 수직 변위 수단(7) 및 상기 수직 또는 거의-수직 콘크리트 표면(1)에 대한 접근 및 이격 수단(8)이 구비되는, 상기 인터로킹 스파이크들을 포함하며,
    상기 인터로킹 스파이크들(6)은,
    - 구형 단부가 구비된 내부 샤프트(13),
    - 상기 내부 샤프트(13)의 구형 단부를 감싸며, 상기 구형 단부에 대해 자유로운 회전 움직임이 제공되는 본체(12)로서, 상기 본체(12)의 하부 부분은 반-원형인, 상기 본체, 및
    - 상기 본체(12)의 전방 및 후방 단부들에 부착되며, 바닥에서 상기 본체(12)로부터 돌출하는 단부 플레이트들(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상승 구조체에 대한 앵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삽입부들(5)은, 공통 스루-홀(through-hole) 개구부를 획정하는, 더 큰 크기의 2개의 주변 단부 표면들(16)에 의해 양측 단부에서 마감된 중공형 몸체(15)로서 성형되는, 자체-상승 구조체에 대한 앵커.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삽입부들(5)에 의해 형성된 상기 벽 내의 상기 개구부들은 스루-홀 개구부들인, 자체-상승 구조체에 대한 앵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삽입부들(5)에 의해 형성된 상기 벽 내의 상기 개구부들은 스루-홀 개구부들이 아니며, 중공 또는 틈새를 형성하는, 자체-상승 구조체에 대한 앵커.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로킹 스파이크들(6)은 각각의 프레임(4a, 4b 및 4c)마다 하나씩 분포되며, 상기 금속 삽입부들(5)은 상기 수직 또는 거의-수직 표면(1) 상의 결합을 위해 설정된 각각의 높이에 하나씩 수직으로 정렬되어 분포되는, 자체-상승 구조체에 대한 앵커.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로킹 스파이크들(6)은 각각의 프레임(4a, 4b 및 4c) 상에서 동일한 높이에 쌍으로 분포되며, 상기 금속 삽입부들(5)은, 상기 수직 또는 거의-수직 콘크리트 표면(1) 상에서 결합을 위해 설정된 각각의 높이에서, 동일한 높이의 2개의 금속 삽입부들의 그룹들로 수직으로 정렬되어 분포되는, 자체-상승 구조체에 대한 앵커.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터로킹 스파이크들(6)은, 어셈블리의 주 지지부(10)에 대해 샤프트(11)에 의해 자유로운 회전 움직임이 제공되는, 중앙 암(9)의 양측 단부 상의 상기 내부 샤프트(13)의 후방 단부에 의해 쌍으로 고정되는, 자체-상승 구조체에 대한 앵커.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들(4a, 4b 및 4c)은 자체-동력형이며 상기 자체-상승 구조체(2)를 따라 이동가능한, 자체-상승 구조체에 대한 앵커.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들 중 2개의 프레임들(4b 및 4c)은 자체-동력형이고 상기 자체-상승 구조체(2)를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은 상기 자체-상승 구조체(2)에 고정된 프레임(4a)인, 자체-상승 구조체에 대한 앵커.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로킹 스파이크들(6)에는, 상기 본체(12) 및 상기 단부 플레이트들(14) 둘 모두 상에 다수의 챔퍼(chamfer)들이 제공되는, 자체-상승 구조체에 대한 앵커.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삽입부들(5)은, 상단 부분이 바닥 부분보다 넓고 상기 바닥 부분이 반-원 형상인 단추 구멍 형상 및 원 형상에 의해 형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형상을 취하는, 자체-상승 구조체에 대한 앵커.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 위치에서, 상기 인터로킹 스파이크들(6)은, 상기 인터로킹 스파이크들(6)의 각각의 본체(12)의 하부 부분이 대응하는 금속 삽입부(5)의 중공형 몸체(15)의 내부 부분과 접촉하면서 상기 단부 플레이트들(14)이 상기 금속 삽입부들(5)의 주변 단부 표면들(16)에 대해 피팅(fit)된 채로 남아 있는 방식으로, 상기 금속 삽입부들(5) 중 일부 내로 삽입되는, 자체-상승 구조체에 대한 앵커.
KR1020227002661A 2019-07-30 2020-07-16 자체-상승 구조체에 대한 앵커 KR202200404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S201930707A ES2804038B2 (es) 2019-07-30 2019-07-30 Anclaje para estructura autotrepante
ESP-2019-30707 2019-07-30
PCT/ES2020/070463 WO2021019114A1 (es) 2019-07-30 2020-07-16 Anclaje para estructura autotrepan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457A true KR20220040457A (ko) 2022-03-30

Family

ID=74215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2661A KR20220040457A (ko) 2019-07-30 2020-07-16 자체-상승 구조체에 대한 앵커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220251858A1 (ko)
EP (1) EP4006265A4 (ko)
JP (1) JP2022542026A (ko)
KR (1) KR20220040457A (ko)
CN (1) CN114599848A (ko)
AU (1) AU2020320042A1 (ko)
BR (1) BR112022001486A2 (ko)
CA (1) CA3145781A1 (ko)
CL (1) CL2022000059A1 (ko)
ES (1) ES2804038B2 (ko)
MX (1) MX2022000537A (ko)
WO (1) WO2021019114A1 (ko)
ZA (1) ZA2022002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95626B2 (es) * 2017-06-30 2020-05-19 Hws Concrete Towers S L Dispositivo auto-trepante por superficies de hormigón verticales y cuasi-verticales y procedimiento de operació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085196B1 (es) 1992-11-12 1998-01-16 Tecnologias Mecanicas De Const Sistema de encofrado autotrepante y sostenimiento continuo del hormigon.
FR2750464B3 (fr) * 1996-06-25 1998-06-05 Chiou Hsiu Hsing Attache de securite
JP2000303695A (ja) * 1999-04-16 2000-10-31 Kumagai Gumi Co Ltd 免震ビル構築用タワークレーン及びその据付け方法
ES1042982Y (es) * 1999-05-26 2000-02-16 Peri S A Anclaje para andamios trepadores.
US6557817B2 (en) * 2000-01-18 2003-05-06 Wilian Holding Company Wall climbing form hoist
GB2363817B (en) * 2001-06-22 2002-05-15 Shire Precast Erection Ltd Modular building element
DE102005030335A1 (de) 2005-06-29 2007-01-04 Peri Gmbh Kletterzylinder einer Selbstkletterschalung
DE102006040092A1 (de) * 2006-08-28 2008-03-06 Putzmeister Ag Anordnung zum Fördern von Beton mit höhenverstellbarem Betonverteilermast
DE102006055374B3 (de) 2006-11-23 2008-07-10 Doka Industrie Gmbh Kletter-oder Führungsschuh eines Klettersystems im Bauwesen und Klettersystem mit einem derartigen Kletter-oder Führungsschuh
DE102008015682A1 (de) 2008-03-25 2009-10-08 Peri Gmbh Schienengeführtes Selbstkletterschalungssystem mit Kletterschienen-Verlängerungsstücken
PL2365159T3 (pl) 2010-03-05 2013-07-31 Ulma C Y E S Coop Samowznoszący, obwodowy system zabezpieczania dla prac budowlanych w budynkach
AU2015212355B2 (en) * 2014-01-31 2019-05-16 Gregory John Neighbours A concrete tower and related formwork and related method of construction
CN204024009U (zh) * 2014-07-16 2014-12-17 中国电建集团西北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风力发电预制混凝土塔架拼装操作平台
IL238098A (en) * 2015-04-01 2016-04-21 Sky Line Cranes & Technologies Ltd Modular equipment is adjustable and foldable for climbing crane
KR102640571B1 (ko) * 2015-10-01 2024-02-23 라거웨이 윈드 비브이 풍력 터빈을 설치하기 위한 호이스팅 시스템
CN105484505B (zh) * 2015-11-24 2017-07-21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一种可变角度竖向混凝土结构爬升装置及其使用方法
CN205314542U (zh) * 2015-11-27 2016-06-15 中南城建(海南)建设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液压模板爬升装置
CN107512668A (zh) * 2016-06-17 2017-12-26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重力自锁式附墙爬升装置
ES2695626B2 (es) * 2017-06-30 2020-05-19 Hws Concrete Towers S L Dispositivo auto-trepante por superficies de hormigón verticales y cuasi-verticales y procedimiento de operació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2001486A2 (pt) 2022-06-07
EP4006265A4 (en) 2023-07-19
ES2804038B2 (es) 2021-11-18
CL2022000059A1 (es) 2022-08-26
CA3145781A1 (en) 2021-02-04
EP4006265A1 (en) 2022-06-01
JP2022542026A (ja) 2022-09-29
ZA202200286B (en) 2022-09-28
WO2021019114A1 (es) 2021-02-04
CN114599848A (zh) 2022-06-07
US20220251858A1 (en) 2022-08-11
MX2022000537A (es) 2022-02-10
ES2804038A1 (es) 2021-02-02
AU2020320042A1 (en)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47512B1 (en) Self-climbing device for vertical and quasi-vertical concrete surfaces
CN111535197B (zh) 墩柱施工方法
KR20220040457A (ko) 자체-상승 구조체에 대한 앵커
US20230076691A1 (en) Foundation for a wind turbine
CN111206604A (zh) 一种圆形并联抗滑桩及施工方法
CN109137990A (zh) 一种陆上后浇连接分块式预制承台及其生产和安装方法
KR100390369B1 (ko) 개착(開鑿)식으로 시공되는 지하철 및 공동구의 아치형 구조 시공 방법
US4282696A (en) Method for fabricating and erecting unitary structural elements
CN211816333U (zh) 一种圆形并联抗滑桩
CN210481900U (zh) 竖向格构式预制拼装节段及其拼装而成的高铁路基
CN211849547U (zh) 装配式钢筋混凝土条形基础模块体系
CN111472266A (zh) 一种装配式预应力y形空心桥墩
CN112554075A (zh) 一种一体式预制墩柱安装调整现浇装置及施工方法
CN220504566U (zh) 一种混凝土柱顶悬挑钢梁的卸料平台
CN218893398U (zh) 一种高空塔柱施工用塔吊基础结构
CN103669364A (zh) 深基坑内坑中坑水平支撑结构及其施工方法
CN217205504U (zh) 一种新型结构柱接长连接节点的建筑加固结构
KR102653955B1 (ko) 건축용 작업대
CN215442785U (zh) 一种分体式预制装配式楼梯
CN212357959U (zh) 一种装配式预应力y形空心桥墩
KR102376067B1 (ko) 코아용 안전 케이지 및 그 시공방법
CN215858262U (zh) 一种装配式混凝土的梁板连接构造结构
CN219839942U (zh) 一种索塔侧壁上的钢结构电梯基础结构
CN212405472U (zh) 一种装配式框架结构十字型节点连接结构
CN116905838A (zh) 一种混凝土柱顶悬挑钢梁的卸料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