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0077A - 전기차 구동용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차 구동용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0077A
KR20220040077A KR1020200122836A KR20200122836A KR20220040077A KR 20220040077 A KR20220040077 A KR 20220040077A KR 1020200122836 A KR1020200122836 A KR 1020200122836A KR 20200122836 A KR20200122836 A KR 20200122836A KR 20220040077 A KR20220040077 A KR 20220040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molded
bonding
manufacturing
electr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8568B1 (ko
Inventor
오홍석
이영수
공군승
Original Assignee
성림첨단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림첨단산업(주) filed Critical 성림첨단산업(주)
Priority to KR1020200122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568B1/ko
Publication of KR20220040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3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havin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03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 H01F1/0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0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01F1/053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25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permanent magnets
    • H01F41/029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permanent magnets diffusion of rare earth elements, e.g. Tb, Dy or Ho, into permanent magn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ermanent Field Magnets Of Synchronous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 Hard Magnetic Materials (AREA)

Abstract

전기차 구동용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희토류 합금분말의 원료로 성형된 마그넷 소재를 다수개로 분할 성형하여 소결하는 소재소결단계; 다수개로 분할 성형되어 소결된 마그넷 소재를 본딩 및 적층하는 본딩적층단계; 본딩 및 적층된 마그넷 소재의 모서리부분은 둥글게 연마하는 연마단계; 마그넷 소재의 표면에 절연 또는 부식방지를 위한 도금층을 형성하는 도금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재소결단계에서 마그넷 소재가 하단부재, 다수의 중간부재, 상단부재의 형태로 분할 성형되거나 한 쌍의 마감부재, 다수의 중간부재, 접속부재의 형태로 분할 성형되는 기술 구성을 통해
본딩적층단계에서 다수개로 분할 성형된 마그넷 소재를 정밀하게 적층 조립할 수 있게 되고, 적층된 마그넷 소재의 외부 표면으로 절연접착제가 누설되는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생산성 향상과 원가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차 구동용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 {LAMINATIED RARE EARTH PERNANENT MAGNET MANUFACTURING METHOD FOR IMPROVEMENT ELECTRIC VEHICLE MOTOR}
본 발명은 전기차 구동용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와전류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희토류 합금분말의 원료로 성형된 마그넷 소재를 다수개로 분할 성형하여 소결한 후 마그넷 소재를 본딩 및 적층하고, 모서리 부분을 연마하고, 표면에 절연 또는 부식방지를 위한 도금층을 형성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자동차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등의 그린카에서 사용되고 있는 모터는 고속 고출력이 요구되므로 희토류 마그넷(Nd계열) 동기모터(PMSM)가 사용되고 있으며, 회전자와 고정자, 하우징 및 샤프트로 구성된다.
또한, 그린카를 비롯한 산업 전반에서 소형, 경량화가 필수적인 구동시스템에 고에너지적의 희토류계 마그넷을 적용한 모터가 널리 적용되고 있다.
희토류 마그넷은 높은 도전율을 갖기 때문에 모터 구동 중 와전류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와전류는 열손실로 나타나고, 발열로 인하여 마그넷의 성능저하 및 모터 효율이 저감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소형화를 위하여 모터의 속도는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이며, 그에 따라 와전류 손실도 증가된다.
특히 회전자의 발열은 구조상 냉각이 어렵고, 마그넷의 온도상승은 마그넷의 성능저하를 유발하므로 마그넷의 와전류를 저감하는 대안이 필요하다.
최근 전기차 구동용 모터는 와전류 저감 대책으로 와전류 저감을 위한 모터 형상 최적설계 및 마그넷의 분할조립을 한다.
그러나 마그넷을 분할하여 회전자를 제조할 경우 공정이 복잡해져 제조단가 상승의 원인이 되며, 이에 절연층을 포함하되, 하나의 블럭으로 형성되어 모터 제조가 용이하고 와전류를 저감할 수 있는 다층구조의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 설계와 제조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와전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분할 적층형 영구자석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분할 적층형 영구자석의 제조방법은 영구자석 모재를 분할하는 제1공정; 분할된 자석편의 전체면을 절연피막처리하는 제2공정; 절연피막처리된 자석편을 접합하는 제3공정; 접합체가 소정의 치수가 되도록 가공하는 제4공정; 가공 후의 접합체 전체면에 절연피막처리를 실시하는 제5공정;를 포함한다.
하기의 특허문헌 2에는 절결홈을 따라 파단 분할함으로써 형성한 복수의 자석편끼리를, 파단면 사이에 접착제를 개재시키고, 서로 정렬시켜서 결합하는 회전 전기 기기에 배치되는 영구자석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3에는 2개 이상의 분할 영구자석을 집합시켜 제조하는 영구자석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은 장방형으로 소결된 마그넷 소재를 본딩 및 적층한 후 표면을 연마하고, 도금하는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134750호 (2003년 05월 09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0915호 (2013년 03월 04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6849호 (2012년 10월 23일 공개)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은 본딩 및 적층과정에서 마그넷 소재의 정밀한 적층이 어렵게 되고, 적층용 지그로 마그넷 소재를 가압 밀착시키는 과정에서 마그넷 소재의 접착면에 도포되는 절연접착제가 마그넷 소재의 외부로 누설되기 때문에 본딩 및 적층공정 이후에 수행되는 연마과정에서 마그넷 소재의 표면을 절삭 연마하여 누설된 절연접착제를 제거하는 동시에 평평도 및 칫수를 보정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은 작업공수가 많게 되고, 작업인력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생산성이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원목마루의 표면 브러싱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이 다수개로 분할 성형되어 소결된 마그넷 소재를 효율적으로 본딩 및 적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제조공정수를 축소함으로써 생산성 향상과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차 구동용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구동용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은 희토류 합금분말의 원료로 성형된 마그넷 소재를 다수개로 분할 성형하여 소결하는 소재소결단계; 다수개로 분할 성형되어 소결된 마그넷 소재를 본딩 및 적층하는 본딩적층단계; 본딩 및 적층된 마그넷 소재의 모서리부분은 둥글게 연마하는 연마단계; 마그넷 소재의 표면에 절연 또는 부식방지를 위한 도금층을 형성하는 도금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재소결단계에서 마그넷 소재가 하단부재, 다수의 중간부재, 상단부재의 형태로 분할 성형되거나 한 쌍의 마감부재, 다수의 중간부재, 접속부재의 형태로 분할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구동용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은 소재소결단계에서 마그넷 소재가 하단부재, 다수의 중간부재, 상단부재로 분할 성형되고, 이때 하단부재는 상단 중앙에 끼움돌기가 마련된 형태로 성형되고, 다수의 중간부재는 하단 중앙에 하단부재의 끼움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끼움홈이 마련되는 동시에 상단 중앙에 끼움돌기가 마련되는 형태로 성형되고, 상단부재는 하단 중앙에 상단 중간부재의 끼움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끼움홈이 마련된 형태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구동용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은 본딩도표단계에서 하단부재의 끼움돌기의 외부 표면, 각 중간부재의 끼움돌기의 외부표면에만 절연접착제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구동용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은 소재소결단계에서 마그넷 소재가 한 쌍의 마감부재, 다수의 중간부재, 접속부재로 분할 성형되고, 이때 마감부재는 상단 중앙 또는 하단 중앙에 접속부재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끼움홈이 마련된 형태로 성형되고, 다수의 중간부재는 중앙에 접속부재가 관통되는 끼움구멍이 마련된 형태로 성형되고, 접속부재는 막대 형태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구동용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은 본딩접착단계에서 막대 형태의 접속부재의 외부 표면에만 절연접착제를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구동용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본딩적층단계에서 다수개로 분할 성형된 마그넷 소재를 정밀하게 적층 조립할 수 있게 되고, 적층된 마그넷 소재의 외부 표면으로 절연접착제가 누설되는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본당적층단계 이후에 마그넷 소재의 외부 표면을 연마하여 누설된 절연접착제를 제거하거나 칫수를 보정하는 공정이 필요없게 되는 등 제작공적수를 줄일 수 있게 되고, 그에 필요한 작업인력 및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되어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생산성 향상과 원가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구동용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의 공정순서도,
도 2는 전기차 구동용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의 마그넷 소재의 제1실시형태의 정면도 및 평면도,
도 3은 전기차 구동용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의 마그넷 소재의 제2실시형태의 정면도 및 평면도
도 4는 전기차 구동용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의 마그넷 소재의 제1실시형태의 본딩적층 분해 단면도 및 결합단면도,
도 5는 전기차 구동용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의 마그넷 소재의 제2실시형태의 본딩적층 분해 단면도 및 결합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구동용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다.
그리고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정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칭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구현 예(態樣, aspect)(또는 실시 예)들을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주지 또는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상방", "하방", "전방" 및 "후방" 및 그 외 다른 방향성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구동용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의 공정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구동용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은 소재소결단계, 본딩적층단계, 연마단계, 도금단계를 포함한다.
소재소결단계는 희토류 합금분말의 원료로 성형된 마그넷 소재(100)를 다수개로 분할 성형하여 소결하는 단계이다.
도 2는 전기차 구동용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의 마그넷 소재의 제1실시형태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3은 전기차 구동용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의 마그넷 소재의 제2실시형태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소재소결단계에서 마그넷 소재(100)는 하단부재(110), 다수의 중간부재(120), 상단부재(130)의 제1실시형태로 분할 성형되거나 한 쌍의 마감부재(140), 다수의 중간부재(150), 접속부재(160)의 제2실시형태로 분할 성형될 수 있디.
마그넷 소재(100)가 하단부재(110), 다수의 중간부재(120), 상단부재(130)의 제1실시형태로 분할 성형된 경우, 하단부재(110)는 상단 중앙에 끼움돌기(111)가 마련된 형태로 성형되고, 다수의 중간부재(120)는 하단 중앙에 하단부재(110)의 끼움돌기(111)가 삽입 결합되는 끼움홈(121)이 마련되는 동시에 상단 중앙에 끼움돌기(122)가 마련되는 형태로 성형되고, 상단부재(130)는 하단 중앙에 상단 중간부재(120)의 끼움돌기(122)가 삽입 결합되는 끼움홈(131)이 마련된 형태로 성형된다.
제1실시형태에서 하단부재(110)의 끼움돌기(111), 중간부재(120)의 끼움홈(121) 및 끼움돌기(122), 그리고 상단부재(130)의 끼움홈(131)은 정밀한 적층을 도모할 수 있도록 사각형의 평면 형상으로 성형되지만 그밖의 다른 평면 형상으로 성형될 수도 있다.
또한, 마그넷 소재(100)가 한 쌍의 마감부재(140), 다수의 중간부재(150), 접속부재(160)의 제2실시형태로 분할 성형된 경우, 마감부재(140)는 상단 중앙 또는 하단 중앙에 접속부재(16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끼움홈(141)이 마련된 형태로 성형되고, 다수의 중간부재(150)는 중앙에 접속부재(160)가 관통되는 끼움구멍(151)이 마련된 형태로 성형되고, 접속부재(160)는 막대 형태로 성형된다.
제2실시형태에서 마감부재(140)의 끼움홈(141), 중간부재(150)의 끼움구멍(151), 그리고 막대 형태의 접속부재(160)는 정밀한 적층을 도모할 수 있도록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사각형의 평면 형상으로 성형되지만 그밖의 다른 평면 형상으로 성형될 수도 있다.
본딩적층단계는 다수개로 분할 성형되어 소결된 마그넷 소재(100)를 본딩 및 적층하는 단계이다.
도 4는 전기차 구동용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의 마그넷 소재의 제1실시형태의 본딩적층 분해 단면도 및 결합단면도이고, 도 5는 전기차 구동용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의 마그넷 소재의 제2실시형태의 본딩적층 분해 단면도 및 결합단면도이다.
본딩적층단계에서 마그넷 소재의 제1실시형태의 경우, 하단부재(110)의 끼움돌기(111) 부위 및 각 중간부재(120)의 끼움돌기(122) 부위에만 절연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하단부재(110)에 다수의 중간부재(120)를 차례로 적층 결합하고, 상단 중간부재(120)에 상단부재(120)를 적층 결합한 후 적층용 지그로 하단부재(110)의 하단과 상단부재(130)의 상단을 중간부재(120) 방향으로 가압 접착한다.
본딩적층단계에서 마그넷 소재의 제2실시형태의 경우, 접속부재(160)의 외부 표면에만 절연접착제를 도포하고 하부 마감부재(140)의 끼움홈(141)에 접속부재(160)를 삽입 결합한 상태에서 각 중간부재(150)를 접속부재(160)에 투입하여 하부 마감부재(140)의 상부에 다수의 중간부재(150)를 차례로 적층 결합하고, 상단 중간부재(150)의 상단으로 돌출된 접속부재(160)에 상부 마감부재(140)를 삽입 결합하여 상단 중간부재(150)에 상부 마감부재(140)를 적층 결합한 후 적층용 지그로 하부 마감부재(140)의 하단과 상부 마감부재(140)의 상단을 중간부재(150) 방향으로 가압 접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구동용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에서는 분할 성형된 마그넷 소재(100)의 끼움돌기(111)(122) 또는 접속부재(160)에만 절연접착제를 도포하기 때문에 본딩적층단계에서 충분한 접착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면서도 적층용 지그로 본딩 및 적층된 마그넷 소재(100)를 가압 밀착시켜 접착킬 때에 잉여 절연접착제가 마그넷 소재(100)의 외부 표면으로 누설되지 않게 된다.
연마단계는 본딩적층단계에서 본딩 및 적층된 마그넷 소재(100)의 모서리부분은 둥글게 연마하는 단계이다.
연마단계에서는 구슬모양의 연마부재가 충전된 배럴에 본딩 및 적층된 마그넷 소재(100)를 넣고 회전시켜 마그넷 소재(100)의 모서리 부위를 연마하는 배럴연마(Barrel Finishing)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도금단계는 연마단계를 마친 마그넷 소재(100)의 표면에 절연 또는 부식방지를 위한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도금단계에서 마그넷 소재(100)의 표면에 도금되는 금속은 니켈, 티타늄, 알루미늄, 그밖의 내식성이 뛰어난 금속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구동용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은 소재소결단계에서 마그넷 소재(100)를 하단부재(110), 다수의 중간부재(120), 상단부재(130)의 형태로 분할 성형하거나 한 쌍의 마감부재(140), 다수의 중간부재(150), 접속부재(160)의 형태로 분할 성형한다.
그리고, 본딩적층단계에서 끼움돌기(111)(122), 끼움홈(121)(131)(141), 끼움구멍(151)을 통해 다수개로 분할 성형된 마그넷 소재(100)를 정밀하게 적층 조립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딩적층단계에서 끼움돌기(111)(122) 또는 접속부재(160)에만 절연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적층과정에서 마그넷 소재(100)의 외부 표면으로 절연접착제가 누설되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구동용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본당적층단계 이후에 마그넷 소재(100)의 외부 표면을 연마하여 누설된 절연접착제를 제거하거나 칫수를 보정하는 공정이 필요없게 되는 등 제작공적수를 줄일 수 있게 되고, 그에 필요한 작업인력 및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되어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생산성 향상과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마그넷 소재
110 : 하단부재
111, 122 : 끼움돌기
120, 150 : 중간부재
121, 131, 141 : 끼움홈
130 : 상단부재
140 : 마감부재
151 : 끼움구멍
160 : 접속부재

Claims (5)

  1. 희토류 합금분말의 원료로 성형된 마그넷 소재(100)를 다수개로 분할 성형하여 소결하는 소재소결단계;
    다수개로 분할 성형되어 소결된 마그넷 소재(100)를 본딩 및 적층하는 본딩적층단계;
    본딩 및 적층된 마그넷 소재(100)의 모서리부분은 둥글게 연마하는 연마단계;
    마그넷 소재(100)의 표면에 절연 또는 부식방지를 위한 도금층을 형성하는 도금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재소결단계에서 마그넷 소재(100)는 하단부재(110), 다수의 중간부재(120), 상단부재(130)의 형태로 분할 성형되거나 한 쌍의 마감부재(140), 다수의 중간부재(150), 접속부재(160)의 형태로 분할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구동용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소재소결단계에서 마그넷 소재(100)가 하단부재(110), 다수의 중간부재(120), 상단부재(130)로 분할 성형되고,
    하단부재(110)가 상단 중앙에 끼움돌기(111)가 마련된 형태로 성형되고,
    다수의 중간부재(120)가 하단 중앙에 하단부재(110)의 끼움돌기(111)가 삽입 결합되는 끼움홈(121)이 마련되는 동시에 상단 중앙에 끼움돌기(122)가 마련되는 형태로 성형되고,
    상단부재(130)가 하단 중앙에 상단 중간부재(120)의 끼움돌기(122)가 삽입 결합되는 끼움홈(131)이 마련된 형태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구동용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본딩도표단계에서 하단부재(110)의 끼움돌기(111)의 외부 표면, 각 중간부재(120)의 끼움돌기(122)의 외부표면에만 절연접착제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구동용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소재소결단계에서 마그넷 소재(100)가 한 쌍의 마감부재(140), 다수의 중간부재(150), 접속부재(160)로 분할 성형되고,
    마감부재(140)가 상단 중앙 또는 하단 중앙에 접속부재(16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끼움홈(141)이 마련된 형태로 성형되고,
    다수의 중간부재(150)가 중앙에 접속부재(160)가 관통되는 끼움구멍(151)이 마련된 형태로 성형되고,
    접속부재(150)가 막대 형태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구동용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본딩접착단계에서 막대 형태의 접속부재(160)의 외부 표면에만 절연접착제를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구동용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
KR1020200122836A 2020-09-23 2020-09-23 전기차 구동용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 KR102428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836A KR102428568B1 (ko) 2020-09-23 2020-09-23 전기차 구동용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836A KR102428568B1 (ko) 2020-09-23 2020-09-23 전기차 구동용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077A true KR20220040077A (ko) 2022-03-30
KR102428568B1 KR102428568B1 (ko) 2022-08-03

Family

ID=80948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836A KR102428568B1 (ko) 2020-09-23 2020-09-23 전기차 구동용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56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880A (ja) * 1991-07-15 1993-0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動機
JP2003134750A (ja) 2001-10-24 2003-05-09 Railway Technical Res Inst 永久磁石の製造方法、永久磁石片、及び永久磁石
JP4241890B2 (ja) * 2006-03-03 2009-03-18 日立金属株式会社 R−Fe−B系希土類焼結磁石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116849A (ko) 2011-02-02 2012-10-23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영구 자석, 모터용 로터 또는 스테이터, 회전 전기 기기
KR20130020915A (ko) 2010-06-17 2013-03-04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회전 전기 기기에 배치되는 영구 자석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3243886A (ja) * 2012-05-22 2013-12-05 Nitto Denko Corp 永久磁石モータ、永久磁石モータの製造方法及び永久磁石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880A (ja) * 1991-07-15 1993-0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動機
JP2003134750A (ja) 2001-10-24 2003-05-09 Railway Technical Res Inst 永久磁石の製造方法、永久磁石片、及び永久磁石
JP4241890B2 (ja) * 2006-03-03 2009-03-18 日立金属株式会社 R−Fe−B系希土類焼結磁石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20915A (ko) 2010-06-17 2013-03-04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회전 전기 기기에 배치되는 영구 자석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116849A (ko) 2011-02-02 2012-10-23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영구 자석, 모터용 로터 또는 스테이터, 회전 전기 기기
JP2013243886A (ja) * 2012-05-22 2013-12-05 Nitto Denko Corp 永久磁石モータ、永久磁石モータの製造方法及び永久磁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8568B1 (ko) 202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73119B2 (ja) 永久磁石片
US10050481B2 (en) Permanent magnet type mo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ermanent magnet type motor
US7981359B2 (en) Rotor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293828B2 (ja) ロータ磁石、ロータ及びロータ製造方法
US20140339952A1 (en) Rotor structure of drive motor
JP5337548B2 (ja) 永久磁石モータ
US10666102B2 (en) Rotary electric machine
JP2012039746A (ja) 磁石挿入方法、ロータ及び電動機
US20170170696A1 (en) Motor
KR102018013B1 (ko) 회전자, 착자 방법, 전동기 및 스크롤 압축기
JP2008283823A (ja) 回転電機のロ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59231A (ja) 界磁極用永久磁石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界磁極用永久磁石を備える永久磁石型回転電機
CN110138115B (zh) 异步起动同步磁阻电机转子结构、电机及压缩机
JP3731872B2 (ja) 永久磁石の製造方法及び永久磁石
KR101534706B1 (ko)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모터
JP6788779B2 (ja) 電動機要素、電動機、装置
KR102428568B1 (ko) 전기차 구동용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적층분할형 희토류 마그넷의 제조방법
JP2005198365A (ja) モータ用希土類永久磁石とその製造方法
JP2009240109A (ja) 電動モータ
KR101768206B1 (ko) 다층 마그넷 제조방법
EP3032554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split type non-magnetized permanent magnets
JP2006136130A (ja) 永久磁石式回転電機、それに用いる永久磁石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方法を用いた永久磁石式回転電機の製造方法
JP2019083679A (ja) 永久磁石及びモータ
WO2023186859A1 (en) Rotor for an axial flux machine
JP6995183B1 (ja) モーターのコ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