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9788A - 산업 차량 - Google Patents

산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9788A
KR20220039788A KR1020227006580A KR20227006580A KR20220039788A KR 20220039788 A KR20220039788 A KR 20220039788A KR 1020227006580 A KR1020227006580 A KR 1020227006580A KR 20227006580 A KR20227006580 A KR 20227006580A KR 20220039788 A KR20220039788 A KR 20220039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ort
exhaust
pipe
tail pipe
exhaus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6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7126B1 (ko
Inventor
유헤이 오타
히데히토 곤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220039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01N13/082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of tailpipe, e.g. with means for mixing air with exhaust for exhaust cooling, dilution or evac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ai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4Counterwe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95Cooling arrangements for device or op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air, e.g. by mixing exhaust with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8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2007/0069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axle being perpendicular to the wheel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7Auxiliary drives
    • B60Y2400/89Cooling systems, e.g. fan 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60/0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N2260/02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oling the device
    • F01N2260/022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oling the device us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70/00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 F01N2470/02Tubes being perforated
    • F01N2470/04Tubes being perforated characterised by shape, disposition or dimensions of aper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70/00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 F01N2470/22Inlet and outlet tubes being positioned on the same side of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heavy duty applications, e.g. trucks, buses, tractors, locomotives

Abstract

포크리프트(1)는, 엔진(5)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대기 중에 방출하는 하류측 배기관(11)을 구비하고, 하류측 배기관(11)은, 차체(2)의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테일 파이프(14)를 갖고, 테일 파이프(14)의 선단부에는, 테일 파이프(14)의 개구를 폐색하는 폐색부(17)가 마련되어 있고, 테일 파이프(14)의 주위면부(14a)에는, 배기 가스를 차체(2)의 후방을 향하여 배출하는 제1 배기구(18)와, 제1 배기구(18)보다도 테일 파이프(14)의 선단측에 있어서 배기 가스를 차체(2)의 후방을 향하여 배출하는 제2 배기구(19)가 마련되어 있고,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는, 냉각풍이 흐르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테일 파이프(14) 내에 있어서의 제1 배기구(18)와 제2 배기구(19) 사이에는, 배기 가스의 유로 면적을 변화시키는 스로틀링부(20)가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산업 차량
본 개시는, 산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산업 차량으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포크리프트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포크리프트는, 디젤 엔진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입자상 물질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DPF와, 이 DPF의 배기 가스 송출측에 접속된 배기관과, 이 배기관에 관 조인트 구조를 통해 접속된 테일 파이프를 구비하고 있다. 배기관의 선단부가 테일 파이프의 개구부 내에 삽입되어 있음으로써, 배기관의 선단부와 테일 파이프의 개구부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배기관으로부터 테일 파이프로의 배기 시에는, 벤추리 효과에 의해 테일 파이프 내에 외기가 도입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9291호 공보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테일 파이프 내에 외기가 도입됨으로써, 배기 가스의 배기 온도가 저감된다. 그러나, 포크리프트 등의 산업 차량은, 옥외뿐만 아니라, 공장이나 창고 등의 옥내에서도 사용된다. 따라서, 산업 차량에서는, 배기 가스의 배기 온도를 확실하게 또한 균등하게 저감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배기 가스의 배기 온도를 확실하게 또한 균등하게 저감 할 수 있는 산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태는, 차체의 후방부에 배치된 카운터 웨이트와, 카운터 웨이트의 전방측에 배치된 라디에이터와, 차체의 후방에 흐르는 냉각풍을 발생시키는 라디에이터 팬과, 카운터 웨이트 내에 배치되어, 엔진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대기 중에 방출하는 배기관을 구비한 산업 차량에 있어서, 배기관은, 차체의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테일 파이프를 갖고, 테일 파이프의 선단부에는, 테일 파이프의 개구를 폐색하는 폐색부가 마련되어 있고, 테일 파이프의 주위면부에는, 배기 가스를 차체의 후방을 향하여 배출하는 제1 배기구와, 제1 배기구보다도 테일 파이프의 선단측에 있어서 배기 가스를 차체의 후방을 향하여 배출하는 제2 배기구가 마련되어 있고, 제1 배기구 및 제2 배기구는, 냉각풍이 흐르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테일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제1 배기구와 제2 배기구 사이에는, 배기 가스의 유로 면적을 변화시키는 스로틀링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산업 차량에 있어서는, 테일 파이프의 주위면부에 마련된 제1 배기구 및 제2 배기구는, 카운터 웨이트 내에 있어서의 냉각풍이 흐르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배기구 및 제2 배기구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는, 카운터 웨이트 내에 있어서 냉각풍과 교반된 상태에서, 차체의 후방을 향하여 배출된다. 따라서, 배기 가스의 배기 온도를 확실하게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테일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제1 배기구와 제2 배기구 사이에는, 배기 가스의 유로 면적을 변화시키는 스로틀링부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테일 파이프 내의 압력이 균일화되기 때문에, 제1 배기구 및 제2 배기구로부터 균등하게 배기 가스가 배출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배기 가스의 배기 온도를 균등하게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 산업 차량에서는, 예를 들어 제2 배기구만으로부터 배기 가스가 배출되는 경우에 비하여, 배기 가스의 배출 유속이 저감되기 때문에, 배기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스로틀링부는, 테일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제1 배기구 및 제2 배기구의 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테일 파이프 내의 압력이 보다 균일화되기 때문에, 제1 배기구 및 제2 배기구로부터 더 균등하게 배기 가스가 배출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배기 가스의 배기 온도를 한층 균등하게 저감할 수 있다.
스로틀링부는, 테일 파이프에 고정된 대략 U자상의 판상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판상 부재의 제2 배기구측에는, 차체의 전후 방향 및 차폭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대략 U자상의 판상 부재에 의해, 스로틀링부를 용이하게 또한 저렴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판상 부재의 제2 배기구측에 경사부를 마련함으로써, 테일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스로틀링부의 근방에 소용돌이류(난류)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제1 배기구 및 제2 배기구로부터 배기 가스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폐색부는, 제1 배기구 및 제2 배기구의 반대측으로부터 제1 배기구 및 제2 배기구의 측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도록, 차체의 전후 방향 및 차폭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 부분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테일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폐색부의 근방에 소용돌이류(난류)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제1 배기구 및 제2 배기구로부터 배기 가스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테일 파이프는, 제1 배기구를 갖는 제1 파이프와, 제2 배기구를 갖는 제2 파이프를 갖고, 제1 파이프 및 제2 파이프의 한쪽의 일단부에는, 제1 파이프 및 제2 파이프의 다른 쪽과 끼워 맞추는 끼워 맞춤부가 마련되어 있고, 스로틀링부는, 끼워 맞춤부와 일체화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제1 배기구를 갖는 제1 파이프와 제2 배기구를 갖는 제2 파이프를 끼워 맞춤부에 의해 끼워 맞춤으로써, 제1 배기구와 제2 배기구 사이에 배치된 스로틀링부를 갖는 테일 파이프가 얻어진다. 따라서, 예를 들어 테일 파이프가 길어져도, 스로틀링부를 갖는 테일 파이프를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제1 배기구 및 제2 배기구는, 냉각풍이 흐르는 영역에 있어서 라디에이터 팬의 중심부에 대응하는 위치를 피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제1 배기구 및 제2 배기구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는, 카운터 웨이트 내에 있어서 냉각풍과 충분히 교반된 상태에서, 차체의 후방을 향하여 배출되는 것이 된다. 따라서, 배기 가스의 배기 온도를 보다 확실하게 저감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하면, 배기 가스의 배기 온도를 확실하게 또한 균등하게 저감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산업 차량인 포크리프트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크리프트의 후방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배기 정화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하류 배기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테일 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산업 차량인 포크리프트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포크리프트의 후방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배기 정화 장치를 포함하는 포크리프트의 확대 배면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테일 파이프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동등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산업 차량인 포크리프트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크리프트의 후방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의 포크리프트(1)는, 차체(2)와, 이 차체(2)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4개의 차륜(3)과, 차체(2)의 전단부에 설치된 하역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차체(2)의 후방부에는, 포크리프트(1)의 중량 균형을 잡기 위한 카운터 웨이트(4)가 배치되어 있다. 카운터 웨이트(4)의 전방측에는, 엔진(5)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의 엔진(5)은, 디젤 엔진이다.
카운터 웨이트(4)와 엔진(5) 사이에는, 엔진 냉각수를 냉각하는 라디에이터(6)가 배치되어 있다. 라디에이터(6)의 전방측에는, 차체(2)의 후방에 흐르는 냉각풍을 발생시키는 라디에이터 팬(7)이 배치되어 있다. 라디에이터 팬(7)은, 복수매의 블레이드(7a)를 갖고 있다. 라디에이터 팬(7)의 각 블레이드(7a)가 회전하면, 차체(2)의 후방에 흐르는 냉각풍이 발생하고, 그 냉각풍이 라디에이터(6)를 통과함으로써, 라디에이터(6) 내를 흐르는 고온의 엔진 냉각수가 냉각된다.
또한, 포크리프트(1)는, 엔진(5)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배기 정화 장치(8)를 구비하고 있다. 배기 정화 장치(8)는, 도 3에도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류측 배기관(9)과, DPF(Diesel Particulate Filter)(10)와, 하류측 배기관(11)을 갖고 있다. 상류측 배기관(9)은, 엔진(5)과 DPF(10)의 입구부(10a)를 접속한다.
DPF(10)는, 엔진(5)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입자상 물질(PM)을 포집하여 제거한다. DPF(10)는, 카운터 웨이트(4)에 덮이도록 배치되어 있다. 카운터 웨이트(4) 내에는, DPF(10)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DPF 가드(12)가 배치되어 있다.
하류측 배기관(11)은, DPF(10)의 출구부(10b)와 접속된 연결 파이프(13)와, 이 연결 파이프(13)의 선단부와 접속된 테일 파이프(14)를 갖고 있다. 즉, 테일 파이프(14)는, 연결 파이프(13)보다도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DPF(10) 및 연결 파이프(13)끼리는, 볼트(15)(도 4 참조)로 연결되어 있다. 연결 파이프(13) 및 테일 파이프(14)끼리는, 볼트(16)로 연결되어 있다.
연결 파이프(13)는, 대략 U자상으로 구부러져 있다. 테일 파이프(14)는, DPF(10)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테일 파이프(14)는, 라디에이터 팬(7)의 중심부에 대응하는 위치보다도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테일 파이프(14)는, 차체(2)의 차폭 방향(Y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테일 파이프(14)의 선단부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테일 파이프(14)의 개구를 폐색하는 폐색부(17)가 마련되어 있다. 테일 파이프(14)의 주위면부(14a)의 후방측 부분에는,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가 상하 2개씩 마련되어 있다. 제1 배기구(18)는, 테일 파이프(14) 내를 흐르는 배기 가스를 차체(2)의 후방을 향하여 배출한다. 제2 배기구(19)는, 제1 배기구(18)보다도 테일 파이프(14)의 선단측(하류측)에 있어서, 테일 파이프(14) 내를 흐르는 배기 가스를 차체(2)의 후방을 향하여 배출한다.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는, 예를 들어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는, 차체(2)의 차폭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2 배기구(19)는, 제1 배기구(18)보다도 차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는, 라디에이터 팬(7)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냉각풍이 흐르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는, 라디에이터 팬(7)의 블레이드(7a)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는, 냉각풍이 흐르는 영역에 있어서 라디에이터 팬(7)의 중심부에 대응하는 위치를 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테일 파이프(14)의 주위면부(14a)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는, 약간 비스듬하게 위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테일 파이프(14)의 주위면부(14a)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는, 약간 비스듬하게 아래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는, 카운터 웨이트(4) 내에 있어서 확산 및 분산되기 쉬워진다.
이때,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의 방향은, 예를 들어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가 카운터 웨이트(4)의 내벽면에 닿지 않는 것과 같은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배기 가스에 의해 카운터 웨이트(4)의 도장이 박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테일 파이프(14)의 폐색부(17)는,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의 반대측으로부터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의 측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도록, 차체(2)의 전후 방향(X 방향) 및 차폭 방향(Y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 부분(17a)과, 이 경사 부분(17a)보다도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의 측에 배치된 화살형 부분(17b)을 갖고 있다.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의 측 부분의 선단은,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의 반대측의 부분의 선단보다도 차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테일 파이프(14) 내에 있어서의 제1 배기구(18)와 제2 배기구(19) 사이에는, 배기 가스의 유로 면적을 변화시키는 스로틀링부(20)가 배치되어 있다. 스로틀링부(20)는, 테일 파이프(14)에 고정된 대략 U자상의 판상 부재(21)로 구성되어 있다. 판상 부재(21)는, 테일 파이프(14) 내에 있어서의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의 측(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판상 부재(21)의 양단부는, 테일 파이프(14)의 내측으로부터 테일 파이프(14)의 주위면부(14a)를 관통한 상태에서, 주위면부(14a)에 용접 접합되어 있다. 판상 부재(21)의 양단부는, 테일 파이프(14)의 주위면부(14a)로부터 테일 파이프(14)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판상 부재(21)의 제2 배기구(19)측에는, 차체(2)의 전후 방향 및 차폭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부(21a)가 마련되어 있다. 경사부(21a)는, 폐색부(17)의 경사 부분(17a)에 대하여 대략 평행으로 되어 있다. 경사 부분(17a) 및 경사부(21a)를 마련함으로써, 스로틀링부(20)를 통과한 배기 가스가 제2 배기구(19)를 향하여 흐르기 쉬워진다.
이렇게 테일 파이프(14) 내에 스로틀링부(20)를 배치함으로써, 테일 파이프(14) 내에 있어서의 제1 배기구(18)와 제2 배기구(19) 사이에서 배기 가스의 유로가 차단되고, 테일 파이프(14) 내의 압력이 균일화된다. 이때, 테일 파이프(14) 내를 흐르는 배기 가스가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로부터 거의 동일한 유속으로 배출되도록,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의 개구 면적과 스로틀링부(20)의 배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기구(18)의 개구 면적은, 제2 배기구(19)의 개구 면적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스로틀링부(20)는, 제2 배기구(19)보다도 제1 배기구(18)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배기 가스가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로부터 거의 동일한 유속으로 배출되는 것이라면,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의 개구 면적과 스로틀링부(20)의 배치 위치는, 특별히 상기 구성으로는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상과 같은 포크리프트(1)에 있어서, 엔진(5)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는, 상류측 배기관(9) 내를 흘러서 DPF(10)에 공급된다. 배기 가스는, DPF(10)에 있어서 PM이 제거된 상태에서 하류측 배기관(11) 내를 흐른다. 그리고, 하류측 배기관(11) 내를 흐르는 배기 가스는, 테일 파이프(14)의 주위면부(14a)에 마련된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로부터 차체(2)의 후방을 향하여 배출된다.
그런데, DPF(10)의 재생으로서는, 포크리프트(1)의 주행 중에 배기 온도를 높여서 PM을 연소시키는 자동 재생과, 포크리프트(1)의 정차 중에 배기 온도를 높여서 PM을 연소시키는 수동 재생이 있다. 포크리프트(1)는, 옥외만에서 사용되는 것으로는 한정되지는 않고, 공장이나 창고 등의 옥내에서도 사용된다. 따라서, 포크리프트(1)에서는, 배기 가스가 대기 중에 방출되기 전에, 배기 가스의 배기 온도를 저감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요구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테일 파이프(14)의 주위면부(14a)에 마련된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는, 카운터 웨이트(4) 내에 있어서의 냉각풍이 흐르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는, 카운터 웨이트(4) 내에 있어서 냉각풍과 교반된 상태에서, 차체(2)의 후방을 향하여 배출된다. 따라서, 배기 가스의 배기 온도를 확실하게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테일 파이프(14) 내에 스로틀링부(20)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배기의 관성에 의해 테일 파이프(14) 내의 하류측(제2 배기구(19)측)의 압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제2 배기구(19)만으로부터 배기 가스가 배출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는, 배기 가스의 배출 유속이 높아지기 때문에, 큰 소음 및 이음이 발생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테일 파이프(14) 내에 있어서의 제1 배기구(18)와 제2 배기구(19) 사이에는, 배기 가스의 유로 면적을 변화시키는 스로틀링부(20)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테일 파이프(14) 내의 압력이 균일화되기 때문에,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로부터 균등하게 배기 가스가 배출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배기 가스의 배기 온도를 균등하게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배기구(19)만으로부터 배기 가스가 배출되는 경우에 비하여, 배기 가스의 배출 유속이 저감되기 때문에, 배기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로틀링부(20)는, 테일 파이프(14) 내에 있어서의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의 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테일 파이프(14) 내의 압력이 보다 균일화되기 때문에,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로부터 더 균등하게 배기 가스가 배출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배기 가스의 배기 온도를 한층 균등하게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략 U자상의 판상 부재(21)에 의해, 스로틀링부(20)를 간단하게 또한 저렴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판상 부재(21)의 제2 배기구(19)측에 경사부(21a)를 마련함으로써, 테일 파이프(14) 내에 있어서의 스로틀링부(20)의 근방에 소용돌이류(난류)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로부터 배기 가스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테일 파이프(14)의 폐색부(17)는,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의 반대측으로부터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의 측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도록 경사진 경사 부분(17a)을 갖고 있다. 따라서, 테일 파이프(14) 내에 있어서의 폐색부(17)의 근방에 소용돌이류(난류)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로부터 배기 가스를 보다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는, 라디에이터 팬(7)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냉각풍이 흐르는 영역에 있어서 라디에이터 팬(7)의 중심부에 대응하는 위치를 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는, 카운터 웨이트(4) 내에 있어서 냉각풍과 충분히 교반된 상태에서, 차체(2)의 후방을 향하여 배출되는 것이 된다. 따라서, 배기 가스의 배기 온도를 보다 확실하게 저감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산업 차량인 포크리프트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포크리프트의 후방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의 포크리프트(1A)는, 상기 실시 형태의 포크리프트(1)와는 타입이 다르다.
포크리프트(1A)는, 상기 실시 형태의 포크리프트(1)와 마찬가지로, 카운터 웨이트(4), 엔진(5), 라디에이터(6), 라디에이터 팬(7) 및 배기 정화 장치(8)를 구비하고 있다. 라디에이터 팬(7)은, 라디에이터(6)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배기 정화 장치(8)는, 도 8에도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상류측 배기관(9)과, DPF(10)와, 하류측 배기관(11)을 갖고 있다. 하류측 배기관(11)은, DPF(10)의 출구부(10b)와 접속된 연결 파이프(13)와, 이 연결 파이프(13)의 선단부와 접속된 테일 파이프(14)를 갖고 있다. 테일 파이프(14)는, DPF(1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테일 파이프(14)는, 라디에이터 팬(7)의 중심부(7b)의 바로 뒤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테일 파이프(14)는, 차체(2)의 차폭 방향(Y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테일 파이프(14)는, 설치 막대(30)를 통해 차체(2)에 고정되어 있다.
테일 파이프(14)의 주위면부(14a)에는,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가 상하 2개씩 마련되어 있다.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는, 라디에이터 팬(7)의 블레이드(7a)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는, 라디에이터 팬(7)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냉각풍이 흐르는 영역에 있어서 라디에이터 팬(7)의 중심부(7b)에 대응하는 위치를 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테일 파이프(14) 내에 있어서의 제1 배기구(18)와 제2 배기구(19) 사이에는,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배기 가스의 유로 면적을 변화시키는 스로틀링부(20)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의 개구 면적은, 거의 동등해지고 있다. 또한, 스로틀링부(20)는, 제2 배기구(19)보다도 제1 배기구(18)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테일 파이프(14)의 주위면부(14a)에 마련된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는, 카운터 웨이트(4) 내에 있어서의 냉각풍이 흐르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는, 카운터 웨이트(4) 내에 있어서 냉각풍과 교반된 상태에서, 차체(2)의 후방을 향하여 배출된다. 따라서, 배기 가스의 배기 온도를 확실하게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테일 파이프(14) 내에 있어서의 제1 배기구(18)와 제2 배기구(19) 사이에는, 배기 가스의 유로 면적을 변화시키는 스로틀링부(20)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테일 파이프(14) 내의 압력이 균일화되기 때문에,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로부터 균등하게 배기 가스가 배출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배기 가스의 배기 온도를 균등하게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배기 가스의 배출 유속이 저감되기 때문에, 배기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테일 파이프(14)는, 라디에이터 팬(7)의 중심부(7b)의 바로 뒤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는, 라디에이터 팬(7)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냉각풍이 흐르는 영역에 있어서 라디에이터 팬(7)의 중심부(7b)에 대응하는 위치를 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는, 카운터 웨이트(4) 내에 있어서 냉각풍과 충분히 교반된 상태에서, 차체(2)의 후방을 향하여 배출되는 것이 된다. 따라서, 배기 가스의 배기 온도를 보다 확실하게 저감할 수 있다.
도 9는, 상기의 테일 파이프(14)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에 있어서, 본 변형예의 테일 파이프(14)는, 연결 파이프(13)와 접속된 제1 파이프(41)와, 이 제1 파이프(41)와 접속된 제2 파이프(42)를 갖고 있다. 제2 파이프(42)는, 제1 파이프(41)보다도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파이프(41) 및 제2 파이프(42)의 외경은 동등하다. 제1 파이프(41)는, 상기의 제1 배기구(18)를 갖고 있다. 제2 파이프(42)는, 상기의 제2 배기구(19)를 갖고 있다.
제2 파이프(42)의 상류측 단부(일단부)에는, 제1 파이프(41)와 끼워 맞추는 단차상의 끼워 맞춤부(43)가 마련되어 있다. 끼워 맞춤부(43)의 선단부의 외경은, 제1 파이프(41)의 내경과 동등하다. 끼워 맞춤부(43)의 선단부에는, 원뿔대상의 스로틀링부(44)가 일체화되어 있다. 스로틀링부(44)는, 테일 파이프(40) 내에 있어서의 제1 배기구(18)과 제2 배기구(19) 사이에 배치되고, 배기 가스의 유로 면적을 변화시킨다. 끼워 맞춤부(43)의 선단부의 외주면은, 제1 파이프(41)의 내주면에 용접 접합되어 있다.
이러한 본 변형예에서는, 제1 배기구(18)를 갖는 제1 파이프(41)와 제2 배기구(19)를 갖는 제2 파이프(42)를 끼워 맞춤부(43)에 의해 끼워 맞춤으로써, 제1 배기구(18)와 제2 배기구(19) 사이에 배치된 스로틀링부(44)를 갖는 테일 파이프(14)가 얻어진다. 따라서, 예를 들어 테일 파이프(14)가 길어져도, 스로틀링부(44)를 갖는 테일 파이프(14)를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하류측의 제2 파이프(42)에 끼워 맞춤부(43)가 마련되어 있고, 제2 파이프(42)의 끼워 맞춤부(43)가 상류측의 제1 파이프(41)와 끼워 맞추고 있지만, 특히 그 형태로는 한정되지는 않고, 상류측의 제1 파이프(41)에 끼워 맞춤부(43)를 마련하여, 제1 파이프(41)의 끼워 맞춤부(43)를 하류측의 제2 파이프(42)에 끼워 맞춰도 된다.
이상,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몇 가지 설명해 왔지만, 본 개시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스로틀링부(20)를 구성하는 대략 U자상의 판상 부재(21)는, 차체(2)의 전후 방향 및 차폭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부(21a)를 갖고 있지만, 그러한 경사부(21a)는 특별히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테일 파이프(14) 내에 있어서의 제1 배기구(18)와 제2 배기구(19) 사이에 배치되는 스로틀링부로서는, 특별히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변형예의 구조로는 한정되지는 않고, 배기 가스의 유로 면적을 변화시키는 구조라면, 다양한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테일 파이프(14)의 폐색부(17)는, 차체(2)의 전후 방향 및 차폭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 부분(17a)을 갖고 있지만, 폐색부(17)로서는, 특히 경사 부분(17a)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단순한 원형판 구조여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테일 파이프(14)에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가 2개씩 마련되어 있지만,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의 수로서는, 특별히 그것으로는 한정되지는 않고, 1개씩이어도 된다. 또한, 제1 배기구(18) 및 제2 배기구(19)의 수 및 형상이 달라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배기 정화 장치(8)는, 엔진(5)으로부터의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 DPF(10)를 갖고 있지만, 본 개시는, 배기 가스의 배기 온도가 높아지는 것이라면, DPF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포크리프트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엔진(5)이 디젤 엔진이지만, 본 개시는, 배기 가스의 배기 온도가 높아지는 것이라면, 예를 들어 가솔린 엔진이 탑재된 포크리프트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는, 하역 장치를 구비한 포크리프트(1)이지만, 본 개시는, 카운터 웨이트, 라디에이터, 라디에이터 팬 및 배기관을 구비하고, 배기관 내를 흐르는 배기 가스의 배기 온도가 상승하는 산업 차량이라면, 적용 가능하다.
1, 1A: 포크리프트(산업 차량),
2: 차체,
4: 카운터 웨이트,
5: 엔진,
6: 라디에이터,
7: 라디에이터 팬,
7a: 블레이드,
7b: 중심부,
11: 하류측 배기관(배기관),
14: 테일 파이프,
14a: 주위면부,
17: 폐색부,
17a: 경사 부분,
18: 제1 배기구,
19: 제2 배기구,
20: 스로틀링부,
21: 판상 부재,
21a: 경사부,
41: 제1 파이프,
42: 제2 파이프,
43: 끼워 맞춤부,
44: 스로틀링부.

Claims (6)

  1. 차체의 후방부에 배치된 카운터 웨이트와,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전방측에 배치된 라디에이터와,
    상기 차체의 후방에 흐르는 냉각풍을 발생시키는 라디에이터 팬과,
    상기 카운터 웨이트 내에 배치되어, 엔진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대기 중에 방출하는 배기관을 구비한 산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은, 상기 차체의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테일 파이프를 갖고,
    상기 테일 파이프의 선단부에는, 상기 테일 파이프의 개구를 폐색하는 폐색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테일 파이프의 주위면부에는, 상기 배기 가스를 상기 차체의 후방을 향하여 배출하는 제1 배기구와, 상기 제1 배기구보다도 상기 테일 파이프의 선단측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를 상기 차체의 후방을 향하여 배출하는 제2 배기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 배기구 및 상기 제2 배기구는, 상기 냉각풍이 흐르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테일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배기구와 상기 제2 배기구 사이에는, 상기 배기 가스의 유로 면적을 변화시키는 스로틀링부가 배치되어 있는, 산업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링부는, 상기 테일 파이프 내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배기구 및 상기 제2 배기구의 측에 배치되어 있는, 산업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링부는, 상기 테일 파이프에 고정된 대략 U자상의 판상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판상 부재의 상기 제2 배기구측에는, 상기 차체의 전후 방향 및 차폭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부가 마련되어 있는, 산업 차량.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부는, 상기 제1 배기구 및 상기 제2 배기구의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제1 배기구 및 상기 제2 배기구의 측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도록, 상기 차체의 전후 방향 및 차폭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 부분을 갖는, 산업 차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 파이프는, 상기 제1 배기구를 갖는 제1 파이프와, 상기 제2 배기구를 갖는 제2 파이프를 갖고,
    상기 제1 파이프 및 상기 제2 파이프의 한쪽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 파이프 및 상기 제2 파이프의 다른 쪽과 끼워 맞추는 끼워 맞춤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스로틀링부는, 상기 끼워 맞춤부와 일체화되어 있는, 산업 차량.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기구 및 상기 제2 배기구는, 상기 냉각풍이 흐르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 팬의 중심부에 대응하는 위치를 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산업 차량.
KR1020227006580A 2019-08-07 2020-07-06 산업 차량 KR1026371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45543A JP7302365B2 (ja) 2019-08-07 2019-08-07 産業車両
JPJP-P-2019-145543 2019-08-07
PCT/JP2020/026466 WO2021024676A1 (ja) 2019-08-07 2020-07-06 産業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788A true KR20220039788A (ko) 2022-03-29
KR102637126B1 KR102637126B1 (ko) 2024-02-14

Family

ID=74502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6580A KR102637126B1 (ko) 2019-08-07 2020-07-06 산업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90604A1 (ko)
EP (1) EP4005844B1 (ko)
JP (1) JP7302365B2 (ko)
KR (1) KR102637126B1 (ko)
CN (1) CN114174097B (ko)
WO (1) WO202102467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5836U (ko) * 1986-03-11 1987-09-14
JPH0643218U (ja) * 1992-11-16 1994-06-07 カルソニック株式会社 テールチューブ
JP2013019291A (ja) 2011-07-09 2013-01-31 Tcm Corp 産業車両用排気処理装置の管継手構造
KR101317048B1 (ko) * 2011-07-29 2013-10-11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차의 배기 장치
JP2015165097A (ja) * 2014-02-28 2015-09-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の排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87781A (en) * 1930-09-06 1932-11-15 Automotive Accessories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sediment from automobile cooling systems
US3415338A (en) * 1967-01-23 1968-12-10 Arvin Ind Inc Anti-whistle pipe connection
JPS5639324U (ko) * 1979-09-03 1981-04-13
JPS60160229U (ja) * 1984-04-03 1985-10-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産業車両の排気構造
JP3653788B2 (ja) * 1995-05-19 2005-06-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排気微粒子処理装置
US6283162B1 (en) * 1999-09-09 2001-09-04 Boyd L. Butler Thin boom tube exhaust pipes, method of sheet metal construction thereof, and exhaust systems which utilize such exhaust pipes for increased ground clearance on race cars
JP2005256644A (ja) * 2004-03-09 2005-09-22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排気系におけるテールパイプ構造
US7703573B2 (en) * 2005-08-05 2010-04-27 Paccar Inc Ported aerodynamic exhaust tailpipe
US8459017B2 (en) * 2008-04-09 2013-06-11 Woodward, Inc. Low pressure drop mixer for radial mixing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exhaust flows, combustor incorporating same, and methods of mixing
JP2010120514A (ja) * 2008-11-19 2010-06-03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車両の排気管構造
JP5473362B2 (ja) * 2009-03-16 2014-04-16 ユニキャリア株式会社 産業用車両
KR20130130760A (ko) * 2010-12-27 2013-12-02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용 배기가스 처리장치
JP5886552B2 (ja) * 2011-07-19 2016-03-1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排気構造
JP5911758B2 (ja) * 2011-07-29 2016-04-27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排気装置
JP5783216B2 (ja) * 2013-10-15 2015-09-24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排気構造
WO2016027345A1 (ja) * 2014-08-21 2016-02-25 ニチユ三菱フォークリフト株式会社 産業用車両
CN110801139A (zh) * 2018-08-06 2020-02-18 品强科技精密有限公司 金属伸缩吸管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5836U (ko) * 1986-03-11 1987-09-14
JPH0643218U (ja) * 1992-11-16 1994-06-07 カルソニック株式会社 テールチューブ
JP2013019291A (ja) 2011-07-09 2013-01-31 Tcm Corp 産業車両用排気処理装置の管継手構造
KR101317048B1 (ko) * 2011-07-29 2013-10-11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차의 배기 장치
JP2015165097A (ja) * 2014-02-28 2015-09-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の排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90604A1 (en) 2022-09-15
JP7302365B2 (ja) 2023-07-04
EP4005844B1 (en) 2024-02-21
EP4005844A1 (en) 2022-06-01
WO2021024676A1 (ja) 2021-02-11
JP2021024480A (ja) 2021-02-22
KR102637126B1 (ko) 2024-02-14
CN114174097B (zh) 2023-10-27
EP4005844A4 (en) 2022-10-26
CN114174097A (zh)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7481B2 (en) Enclosed volume exhaust diffuse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20070144158A1 (en) Exhaust dispersion device
US9683348B2 (en) Engine device
US1079262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ixing exhaust gases and reductant in an aftertreatment system
WO2014192403A1 (ja) 作業車両
CN104847497A (zh) 用于工作车辆的控制单元的引擎罩下安装结构
US8083822B2 (en) System for treating exhaust gas
JP6308053B2 (ja) 内燃機関の排気ガス還流装置
JP6430833B2 (ja) 建設機械
US20110151760A1 (en) Exhaust stack with baffles
KR20220039788A (ko) 산업 차량
JP6508301B2 (ja) エンジンの排気装置
JP2017053255A (ja) 建設機械の排気装置
GB2569339A (en) Exhaust treatment system for an engine
JP6508302B2 (ja) エンジンの排気装置
CN112145255A (zh) 一种曲轴箱通风系统
JP6908340B2 (ja) 作業車両および作業車両の排気浄化装置
KR101707555B1 (ko) 배기가스의 배출을 촉진시키는 자동차용 배기가스 배출 유도장치
JP2019157828A (ja) 車両の遮熱構造
JP7086333B2 (ja) 排気浄化装置
KR20200008153A (ko) 배기 첨가제 분배 장치 및 시스템
JP6508300B2 (ja) エンジンの排気装置
WO2013058683A1 (en) Vehicle exhaust gas diluting device
CN111022165A (zh) 一种发动机排气结构
KR101850550B1 (ko) 건설기계용 dpf 커버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