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9000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9000A
KR20220039000A KR1020200121541A KR20200121541A KR20220039000A KR 20220039000 A KR20220039000 A KR 20220039000A KR 1020200121541 A KR1020200121541 A KR 1020200121541A KR 20200121541 A KR20200121541 A KR 20200121541A KR 20220039000 A KR20220039000 A KR 20220039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
bracket
coupled
heat exchanger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인범
오시영
정재혁
최석호
박근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1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9000A/ko
Publication of KR20220039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0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38Fan details of outdoor units, e.g. bell-mouth shaped inlets or fan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공기조화기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공기조화기는, 실내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실내기; 냉매배관을 통해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고,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실외열교환기가 설치되는 내부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실외기; 상기 내부 수용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실외기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실외기의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실외팬; 상기 내부 수용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상단에 인접하는 브라켓; 그리고, 일측에 상기 실외팬이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브라켓이 결합되는 마운트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제1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고정되거나, 상기 제1 위치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2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고정되고, 상기 마운트는, 상하방향에서 적어도 한번 밴딩되어, 상하방향에서 상기 마운트의 일측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 가능하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개시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개시는 실외열교환기의 높이 변화에 따라 브라켓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브라켓에 결합되는 실외팬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통해 실내를 냉난방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공기조화기의 실외열교환기가 응축기로 기능하되, 실내열교환기가 증발기로 기능하면, 실내는 냉방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공기조화기의 실외열교환기가 증발기로 기능하되, 실내열교환기가 응축기로 기능하면, 실내는 난방될 수 있다.
한편, 실외열교환기는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실외팬은 실외열교환기의 상단에 인접하여, 실외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킬 수 있다.
이때, 실외팬의 설치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면, 실외팬에 의해 실외열교환기의 높이를 변화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82612호 (공개일자: 2010-07-19)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실외열교환기의 높이 변화에 대응하여 실외팬이 결합되는 브라켓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브라켓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실외팬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실외팬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실내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실내기; 냉매배관을 통해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고,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실외열교환기가 설치되는 내부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실외기; 상기 내부 수용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실외기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실외기의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실외팬; 상기 내부 수용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상단에 인접하는 브라켓; 그리고, 일측에 상기 실외팬이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브라켓이 결합되는 마운트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제1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고정되거나, 상기 제1 위치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2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고정되고, 상기 마운트는, 상하방향에서 적어도 한번 밴딩되어, 상하방향에서 상기 마운트의 일측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 가능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하면, 실외열교환기의 높이 변화에 대응하여 실외팬이 결합되는 브라켓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하면, 브라켓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실외팬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실외팬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과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을 수행하는 동안의 냉매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실외기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실외팬이 마운트와 브라켓을 통해 실외기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실외팬이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의 마운트에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마운트가 브라켓에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의 브릿지가 마운트에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실외팬이 일정한 위치에서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의 마운트에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14는 실외열교환기의 높이 변화 또는 공기 유동의 저항체로 기능하는 실외열교환기와 실외팬 간의 거리 변화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에서 브라켓의 위치 또는 실외팬의 위치가 조절되는 다양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는 실외기(ODU, outdoor unit)와 실내기(IDU, indoor unit)를 구비할 수 있다. 실외기(ODU)는 압축기(2), 절환밸브(3), 실외열교환기(4), 팽창밸브(5) 그리고 어큐뮬레이터(7)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IDU)는 실내열교환기(6)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2)는 어큐뮬레이터(7)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냉매를 토출할 수 있다. 이때, 제1 배관(P1)은 어큐뮬레이터(7)와 압축기(2) 사이에 설치되어, 어큐뮬레이터(7)로부터 압축기(2)로 이어지는 냉매의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배관(P2)은 압축기(2)와 후술하는 절환밸브(3) 사이에 설치되어, 압축기(2)로부터 절환밸브(3)로 이어지는 냉매의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절환밸브(3)는 압축기(2)에서 토출되어 제2 배관(P2)을 통과한 냉매가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절환밸브(3)는 유입된 냉매를 실외열교환기(4) 또는 실내열교환기(6)로 선택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절환밸브(3)는 사방밸브일 수 있다. 한편, 제6 배관(P6)은 절환밸브(3)와 어큐뮬레이터(7) 사이에 설치되어, 절환밸브(3)로부터 어큐뮬레이터(7)로 이어지는 냉매의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4)는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시킬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4)에서 냉매와 실외공기 간의 열전달방향은 공기조화기(1)의 운전모드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실외팬(10)은 실외열교환기(4)의 일측에 배치되어 실외열교환기(4)에 제공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외팬(10)은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한편, 제3 배관(P3)은 절환밸브(3)와 실외열교환기(4) 사이에 설치되어, 절환밸브(3)와 실외열교환기(4)를 잇는 냉매의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6)는 냉매와 실내공기를 열교환시킬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6)에서 냉매와 실내공기 간의 열전달방향은 공기조화기(1)의 운전모드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실내팬(6a)은 실내열교환기(6)의 일측에 배치되어 실내열교환기(6)로 제공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팬(6a)은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한편, 제5 배관(P5)은 절환밸브(3)와 실내열교환기(6) 사이에 설치되어, 절환밸브(3)와 실내열교환기(6)를 잇는 냉매의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팽창밸브(5)는 실외열교환기(4)와 실내열교환기(6) 사이에 설치되어, 실외열교환기(4)와 실내열교환기(6)를 잇는 제4 배관(P4)에 설치될 수 있다. 팽창밸브(5)는 공기조화기(1)의 운전모드에 따라, 실외열교환기(4) 또는 실내열교환기(6)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저온, 저압의 상태로 팽창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팽창밸브(5)는 제4 배관(P4)의 유로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는 EEV(Electronic Expansion Valve)일 수 있다.
제어부(C, 미도시)는 공기조화기(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C)는 공기조화기(1)의 각 구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C)는 공기조화기(1)의 운전모드에 따라, 절환밸브(3)와 팽창밸브(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C)는 공기조화기(1)의 운전모드에 따라, 압축기(2)의 운전 주파수(Hz)를 조절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 모드>
도 1의 좌측 그림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에 냉방운전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C)는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냉방운전 신호는 사용자가 임의로 입력하는 신호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냉방운전 신호는 실내측 온도센서가 감지한 실내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희망온도보다 일정수준 이상으로 높을 때, 실내공간에 구비된 써모스탯(thermostat)이 제어부(C)에 제공하는 신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큐뮬레이터(7)로부터 제1 배관(P1)을 통해 압축기(2)로 유입되는 저온, 저압의 냉매는 압축기(2)에서 고온, 고압의 상태로 토출될 수 있다. 압축기(2)에서 토출되는 냉매는 제2 배관(P2), 절환밸브(3) 그리고 제3 배관(P3)을 차례로 거쳐 실외열교환기(4)로 유입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4)에서 냉매로부터 실외공기로 열 에너지가 전달됨에 따라, 냉매는 응축될 수 있다. 이때, 실외열교환기(4)는 응축기로 기능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4)를 통과하며 응축된 냉매는 제4 배관(P4)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배관(P4)의 유로를 유동하는 냉매는 팽창밸브(5)를 통과하며 저온, 저압의 상태로 팽창되며, 실내열교환기(6)로 유입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6)에서 냉매로 실내공기의 열 에너지가 전달됨에 따라, 냉매는 증발될 수 있다. 이때, 실내열교환기(6)는 증발기로 기능할 수 있다. 그리고, 냉매와 실내공기 간의 열교환에 따라, 실내공간이 냉방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6)를 통과하며 증발된 냉매는 제5 배관(P5), 절환밸브(3), 제6 배관(P6), 어큐뮬레이터(7) 그리고 제1 배관(P1)을 차례로 거쳐 압축기(2)로 유입될 수 있다. 이로써, 전술한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을 위한 냉매 사이클이 완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 모드>
도 1의 우측 그림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에 난방운전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C)는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난방운전 신호는 사용자가 임의로 입력하는 신호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난방운전 신호는 실내측 온도센서가 감지한 실내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희망온도보다 일정수준 이상으로 낮을 때, 실내공간에 구비된 써모스탯(thermostat)이 제어부(C)에 제공하는 신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큐뮬레이터(7)로부터 제1 배관(P1)을 통해 압축기(2)로 유입되는 저온, 저압의 냉매는 압축기(2)에서 압축되어 고온, 고압의 상태로 토출될 수 있다. 압축기(2)에서 토출되는 냉매는 제2 배관(P2), 절환밸브(3) 그리고 제5 배관(P5)을 차례로 거쳐 실내열교환기(6)로 유입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6)에서 냉매로부터 실내공기로 열 에너지가 전달됨에 따라, 냉매는 응축될 수 있다. 이때, 실내열교환기(6)는 응축기로 기능할 수 있다. 그리고, 냉매와 실내공기 간의 열교환에 따라, 실내공간이 난방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6)를 통과하며 응축된 냉매는 제4 배관(P4)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배관(P4)의 유로를 유동하는 냉매는 팽창밸브(5)를 통과하며 저온, 저압의 상태로 팽창되고, 실외열교환기(4)로 유입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4)에서 냉매로 실외공기의 열 에너지가 전달됨에 따라, 냉매는 증발될 수 있다. 이때, 실외열교환기(4)는 증발기로 기능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4)를 통과하며 증발된 냉매는 제3 배관(P3), 절환밸브(3), 제6 배관(P6), 어큐뮬레이터(7) 그리고 제1 배관(P1)을 차례로 거쳐 압축기(2)로 유입될 수 있다. 이로써, 전술한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을 위한 냉매 사이클이 완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외기(ODU)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외열교환기(4), 실외팬(10) 등의 전술한 실외기(ODU)의 구성들은 하우징(100)의 내부 수용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외열교환기(4)는 냉매가 유동하는 배관을 구비하며,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인접하여 하우징(100)의 내부 둘레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실외팬(10)은 실외기(ODU)의 내부로 유입되어 실외기(ODU)의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100)의 측면에 외기가 유입되는 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실외팬(10)은 하우징(100)의 상면에 구비된 개구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실외팬(1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는 실외열교환기(4)를 통과하며 냉매와 열교환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외팬(10)은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팬모듈(11)과 제2 팬모듈(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쉬라우드(101, a first shroud)는 제1 팬모듈(11)의 측면 둘레를 감싸고, 제2 쉬라우드(102, a second shroud)는 제2 팬모듈(12)의 측면 둘레를 감쌀 수 있다. 그리고, 제1 쉬라우드(101)와 제2 쉬라우드(102)는 하우징(10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실외팬(10)은 1 개의 팬모듈을 구비하거나, 3 개 이상의 팬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홀들이 형성되는 토출그릴(미도시)이 실외팬(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팬모듈(11)과 제2 팬모듈(12)은 실외열교환기(4)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팬모듈(11)은 제1 모터(111)와 제1 팬(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팬모듈(12)은 제2 모터(121)와 제2 팬(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터(111)는 전기모터일 수 있다. 즉, 제1 모터(111)에 전력이 제공되면, 제1 모터(111)의 제1 회전축(111a, 미도시)이 회전될 수 있다. 제1 팬(112)은 제1 허브(미부호)와 복수개의 제1 블레이드들(미부호)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허브는 제1 회전축(111a)에 고정되어, 제1 회전축(111a)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제1 블레이드들은 상기 제1 허브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허브와 함께 회전되어 전술한 공기의 유동을 일으킬 수 있다.
제2 모터(121)는 전기모터일 수 있다. 즉, 제2 모터(121)에 전력이 제공되면, 제2 모터(121)의 제2 회전축(121a, 미도시)이 회전될 수 있다. 제2 팬(122)은 제2 허브(미부호)와 복수개의 제2 블레이드들(미부호)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허브는 제2 회전축(121a)에 고정되어, 제2 회전축(121a)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제2 블레이드들은 상기 제2 허브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2 허브와 함께 회전되어 전술한 공기의 유동을 일으킬 수 있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제1 팬모듈(11)은 제1 마운트(21)를 통해 브라켓(3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팬모듈(12)은 제2 마운트(22)를 통해 브라켓(3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브라켓(30)은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브라켓(31)과 제2 브라켓(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라켓(31)과 제2 브라켓(32)은 전체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제1 브라켓(31)은 하우징(100)의 전방 내면에 결합되되, 제2 브라켓(32)은 하우징(100)의 후방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브라켓(30)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제1 직선(AL1)을 따라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30)은 실외열교환기(4)의 상단에 인접하여 하우징(100)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팬모듈(11)과 제2 팬모듈(12)은 브라켓(3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브라켓(30)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제2 직선(AL2)을 따라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2 직선(AL2)은 전술한 제1 직선(AL1)보다 일정 높이(h)만큼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30)은 실외열교환기(4')의 상단에 인접하여 하우징(100)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팬모듈(11)의 일부와 제2 팬모듈(12)의 일부는 브라켓(3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하방향에서 실외열교환기의 상단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하우징(100)에 대한 브라켓(30)의 고정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4)의 상단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낮으면, 브라켓(30)은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서 하우징(100)의 내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4')의 상단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높으면, 브라켓(30)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서 하우징(100)의 내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외열교환기의 높이에 대응하여 브라켓(3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브라켓(30)은 상하방향에서 일정 높이(h)로 서로 이격되는 제1 직선(AL1)과 제2 직선(AL2) 중 어느 하나의 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브라켓(30)은 상하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는 3 개 이상의 가상의 직선 중 어느 하나의 직선 상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실외열교환기의 높이에 대응하여 브라켓(30)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브라켓(30)에 결합되는 제1 팬모듈(11)과 제2 팬모듈(12)의 위치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보다 상세히는 후술한다. 이하,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제1 팬모듈(11)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대한 설명은 제2 팬모듈(12)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제1 마운트(21)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좌측 마운트(211)와 우측 마운트(2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 마운트(211)와 우측 마운트(212)는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팬모듈(11)의 제1 모터(111)는 좌측 마운트(211)와 우측 마운트(2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축(111a)은 제1 모터(111)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좌측 마운트(211)는 상하방향에서 적어도 한번 밴딩되고,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 마운트(211)는 제1 파트(211a), 제2 파트(211b), 제3 파트(21c), 제4 파트(211d) 그리고 제5 파트(211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211a)는 길게 연장되고, 제2 파트(211b)는 제1 파트(211a)로부터 밴딩되어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3 파트(211c)는 제2 파트(211b)로부터 밴딩되어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4 파트(211d)는 제3 파트(311c)로부터 밴딩되어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5 파트(211e)는 제4 파트(211d)로부터 밴딩되어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트(211a), 제3 파트(211c) 그리고 제5 파트(211e) 각각의 길이방향은 전후방향에 평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파트(211a)는 제3 파트(211c)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되, 상하방향에서 제5 파트(211e)와 동일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파트(211b)의 길이방향은 제1 파트(211a)의 길이방향과 제3 파트(211c)의 길이방향에 교차할 수 있다. 또한, 제4 파트(211d)의 길이방향은 제3 파트(211c)의 길이방향과 제5 파트(211e)의 길이방향에 교차할 수 있다. 이 경우, 좌측 마운트(211)는 제3 파트(211c)의 중심을 지나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중심선에 대해 전후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우측 마운트(212)는 상하방향에서 적어도 한번 밴딩되고,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우측 마운트(212)는 전술한 좌측 마운트(211)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우측 마운트(212)는 제1 파트(212a), 제2 파트(212b), 제3 파트(212c), 제4 파트(212d) 그리고 제5 파트(212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212a)는 길게 연장되고, 제2 파트(212b)는 제1 파트(212a)로부터 밴딩되어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3 파트(212c)는 제2 파트(212b)로부터 밴딩되어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4 파트(212d)는 제3 파트(212c)로부터 밴딩되어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5 파트(212e)는 제4 파트(212d)로부터 밴딩되어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트(212a), 제3 파트(212c) 그리고 제5 파트(212e) 각각의 길이방향은 전후방향에 평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파트(212a)는 제3 파트(212c)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되, 상하방향에서 제5 파트(212e)와 동일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파트(212b)의 길이방향은 제1 파트(212a)의 길이방향과 제3 파트(212c)의 길이방향에 교차할 수 있다. 또한, 제4 파트(212d)의 길이방향은 제3 파트(212c)의 길이방향과 제5 파트(212e)의 길이방향에 교차할 수 있다. 이 경우, 우측 마운트(212)는 제3 파트(212c)의 중심을 지나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중심선에 대해 전후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좌측 마운트(211)와 우측 마운트(212)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하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마운트(21)의 제1 상태에서, 좌측 마운트(211)의 제3 파트(211c)는 제1 파트(211a)의 상측에 위치하고, 우측 마운트(212)의 제3 파트(212c)는 제1 파트(212a)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도 6의 점선으로 도시된 사항 참조).
다른 예를 들면, 제1 마운트(21)의 제2 상태에서, 좌측 마운트(211)의 제3 파트(211c)는 제1 파트(211a)의 하측에 위치하고, 우측 마운트(212)의 제3 파트(212c)는 제1 파트(212a)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도 6의 실선으로 도시된 사항 참조).
이 경우, 좌측 마운트(211)가 제3 파트(211c)의 중심을 지나면서 제3 파트(211c)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z)을 기준으로 시계방향(R)으로 회전되면서, 우측 마운트(212)가 제3 파트(212c)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z)을 기준으로 시계방향(R)으로 회전되어, 제1 마운트(21)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좌측 마운트(211)가 중심축(z)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우측 마운트(212)가 중심축(z)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 마운트(21)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마운트(21)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경되거나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변경되더라도, 상하방향에서 좌측 마운트(211)의 제3 파트(211c)의 위치와 우측 마운트(212)의 제3 파트(212c)의 위치는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마운트(21)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제1 직선(AL1) 상에 위치하는 브라켓(30)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제2 직선(AL2) 상에 위치하는 브라켓(3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외열교환기의 상단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낮으면 제1 마운트(21)는 상기 제1 상태로 제1 직선(AL1) 상에 위치하는 브라켓(3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외열교환기의 상단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높으면 제1 마운트(21)는 상기 제2 상태로 제2 직선(AL2) 상에 위치하는 브라켓(3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좌측 마운트(211)의 전단은 제1 파트(211a)의 끝단에 형성되고, 좌측 마운트(211)의 후단은 제5 파트(211e)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우측 마운트(212)의 전단은 제1 파트(212a)의 끝단에 형성되고, 우측 마운트(212)의 후단은 제5 파트(212e)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좌측 마운트(211)의 전단과 우측 마운트(212)의 전단은 제1 브라켓(31)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좌측 마운트(211)의 후단과 우측 마운트(212)의 후단은 제2 브라켓(32)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좌측 마운트(211)의 전단(210)이 제1 브라켓(31)에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나머지 제1 마운트(21)의 끝단이 브라켓(30)에 결합되는 구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제1 브라켓(31)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바디(3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310)는 제1 바디(311)의 일부에 형성되어, 좌측 마운트(211)의 전단(210)과 마주할 수 있다.
제1 결합부(310)와 좌측 마운트(211)의 전단(210)은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결합부(310)와 좌측 마운트(211)의 전단(210)은 볼트(B)와 너트(N)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결합부(310)는 제1 결합부(310)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브라켓 홀(310a)이 형성되고, 좌측 마운트(211)의 전단(210)은 전단(210)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마운트 홀(21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B)는 브라켓 홀(310a)과 마운트 홀(210a)을 차례로 관통하고, 전단(210)의 후방에 위치하는 너트(N)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써, 좌측 마운트(211)의 전단(210)이 제1 브라켓(3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마운트 홀(210a)의 중심으로부터 제1 파트(211a)의 상단까지의 거리(t1)는 마운트 홀(210a)의 중심으로부터 제1 파트(211a)의 하단까지의 거리(t2)와 동일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마운트(21)의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 모두에서, 마운트 홀(210a)과 브라켓 홀(310a)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제1 안착부(312)는 제1 바디(311)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좌측 마운트(211)의 제1 파트(211a)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안착부(312)에 안착될 수 있다.
도 6 및 9를 참조하면, 제1 팬모듈(11)은 제1 모터(11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브릿지들(13, 14, 15, 1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브릿지들(13, 14, 15, 16)은 좌측 마운트(211)의 제3 파트(211c)에 결합되는 제1 브릿지(13)와 제2 브릿지(1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브릿지들(13, 14, 15, 16)은 우측 마운트(212)의 제3 파트(212c)에 결합되는 제3 브릿지(15)와 제4 브릿지(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1 브릿지(13)가 좌측 마운트(211)의 제3 파트(211c)에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나머지 브릿지들이 제1 마운트(21)에 결합되는 구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제1 브릿지(13)는 제3 파트(211c)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브릿지(13)와 제3 파트(211c)는 체결부재(Sr)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체결부재(Sr)는 스크류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브릿지(13)는 제1 브릿지(13)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브릿지 홀(13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파트(211c)는 제3 파트(211c)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내주면에 나사산(23a1, 23b1)이 형성되는 보스(23a, 2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부재(Sr)가 브릿지 홀(13a)을 거쳐 보스(23a, 23b)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브릿지(13)가 제3 파트(211c)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보스(23a, 23b)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보스(23a)와 제2 보스(2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스(23a)는 내주면에 제1 나사산(23a1)이 형성되고, 제3 파트(211c)의 내면으로부터 제1 길이(da)만큼 돌출될 수 있다. 제2 보스(23b)는 내주면에 제2 나사산(23b1)이 형성되고, 제3 파트(211c)의 내면으로부터 제2 길이(db)만큼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길이(da)와 제2 길이(db)는 동일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마운트(21)의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 모두에서, 제1 브릿지(13)가 제3 파트(211c)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마운트(21)의 상기 제1 상태에서, 체결부재(Sr)가 제1 보스(23a)에 체결되어 제1 브릿지(13)가 제3 파트(211c)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마운트(21)의 상기 제2 상태에서, 체결부재(Sr)가 제2 보스(23b)에 체결되어 제1 브릿지(13)가 제3 파트(211c)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강성부(2110)는 좌측 마운트(211)의 일부가 함몰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강성부(2110)는 좌측 마운트(211)의 비틀림 강성 및/또는 굽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마운트(21)의 상기 제2 상태에서, 제1 연장선(EL1)은 좌측 마운트(211)의 제1 파트(211a)의 중심을 지나면서 제1 파트(211a)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마운트(21)의 상기 제1 상태에서, 제2 연장선(EL2)은 좌측 마운트(211)의 제1 파트(211a)의 중심을 지나면서 제1 파트(211a)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마운트(21)의 상기 제1 상태 또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제3 연장선(EL3)은 좌측 마운트(211)의 제3 파트(211c)의 상단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제1 마운트(21)의 상기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에서, 제4 연장선(EL4)은 좌측 마운트(211)의 제3 파트(211c)의 하단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제1 마운트(21)의 상기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에서, 제5 연장선(EL5)은 좌측 마운트(211)의 제3 파트(211c)의 중심을 지나면서 제3 파트(211c)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선(EL1)은 제2 연장선(EL2)보다 일정 높이(h)만큼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연장선(EL1)은 제3 연장선(EL3)보다 제1 높이(h1)만큼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연장선(EL1)은 제4 연장선(EL4)보다 제2 높이(h2)만큼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연장선(EL3)은 제2 연장선(EL2)보다 제2 높이(h2)만큼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연장선(EL3)은 제4 연장선(EL4)보다 제3 높이(t)만큼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일정 높이(h)는 제1 높이(h1)와 제2 높이(h2)의 합과 동일하면서, 제1 높이(h1)의 2 배와 제3 높이(t)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마운트(21)의 상태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경되거나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변경되더라도, 상하방향에서 제3 파트(211c)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복수개의 브릿지들(13, 14, 15, 16)을 통해 제3 파트(211c)에 결합되는 제1 모터(111)의 위치도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제1 마운트(21)의 상기 제2 상태에서, 제6 연장선(EL6)은 좌측 마운트(211)의 제2 파트(211b)의 중심을 지나면서 제2 파트(211b)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마운트(21)의 상기 제2 상태에서, 제7 연장선(EL7)은 좌측 마운트(211)의 제4 파트(211d)의 중심을 지나면서 제4 파트(211d)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마운트(21)의 상기 제2 상태에서, 제8 연장선(EL8)은 좌측 마운트(211)의 제5 파트(211e)의 중심을 지나면서 제5 파트(211e)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6 연장선(EL6)은 제1 연장선(EL1)으로부터 아래로 제1 각도(theta 1)만큼 굽어질 수 있다. 제5 연장선(EL5)은 제6 연장선(EL6)으로부터 위로 제2 각도(theta 2)만큼 굽어질 수 잇다. 그리고, 제6 연장선(EL6)과 제7 연장선(EL7)은 제5 연장선(EL5)의 중심을 지나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중심선(ML)에 대해 전후로 대칭될 수 있다.
도 5 및 11을 참조하면, 제1 마운트(21)는 상기 제1 상태로 제1 직선(AL1) 상에 위치하는 브라켓(3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마운트(22)는 상기 제1 상태로 제1 직선(AL1) 상에 위치하는 브라켓(3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팬모듈(11)은 제5 연장선(EL5)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1 마운트(21)의 좌측 마운트(211)의 제3 파트(211c)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팬모듈(12)은 제5 연장선(EL5)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2 마운트(22)의 우측 마운트(222)의 제3 파트(222c)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좌측 마운트(211)의 제1 파트(211a)는 좌측 마운트(211)의 하단을 형성하면서, 제2 연장선(EL2)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파트(211a)는 실외열교환기(4)의 상단으로부터 제1 길이(d1)만큼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우측 마운트(222)의 제5 파트(222e)는 우측 마운트(222)의 하단을 형성하면서, 제2 연장선(EL2)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5 파트(222e)는 실외열교환기(4)의 상단으로부터 제1 길이(d1)만큼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5 및 12를 참조하면, 실외열교환기(4')의 상단은 도 11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외열교환기(4)의 상단보다 일정 높이(Mv)만큼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마운트(21)는 상기 제2 상태로 제2 직선(AL2) 상에 위치하는 브라켓(3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마운트(22)는 상기 제2 상태로 제2 직선(AL2) 상에 위치하는 브라켓(3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팬모듈(11)은 제5 연장선(EL5)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1 마운트(21)의 좌측 마운트(211)의 제3 파트(211c)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팬모듈(12)은 제5 연장선(EL5)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2 마운트(22)의 우측 마운트(222)의 제3 파트(222c)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좌측 마운트(211)의 제3 파트(211c)는 좌측 마운트(211)의 하단을 형성하면서, 제5 연장선(EL5)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파트(211c)는 실외열교환기(4')의 상단으로부터 제2 길이(d2)만큼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우측 마운트(222)의 제3 파트(222c)는 우측 마운트(222)의 하단을 형성하면서, 제5 연장선(EL5)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파트(222c)는 실외열교환기(4')의 상단으로부터 제2 길이(d2)만큼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5 및 13을 참조하면, 제1 마운트(21)는 상기 제1 상태로 제1 직선(AL1) 상에 위치하는 브라켓(3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마운트(22)는 상기 제2 상태로 제2 직선(AL2) 상에 위치하는 브라켓(3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팬모듈(11)은 제5 연장선(EL5)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1 마운트(21)의 좌측 마운트(211)의 제3 파트(211c)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팬모듈(12)은 제5 연장선(EL5)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2 마운트(22)의 우측 마운트(222)의 제3 파트(222c)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좌측 마운트(211)의 제1 파트(211a)는 좌측 마운트(211)의 하단을 형성하면서, 제2 연장선(EL2)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파트(211a)는 실외열교환기(4)의 상단으로부터 제1 길이(d1)만큼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우측 마운트(222)의 제3 파트(222c)는 우측 마운트(222)의 하단을 형성하면서, 제5 연장선(EL5)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파트(222c)는 실외열교환기(4)의 상단으로부터 제3 길이(d3)만큼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길이(d3)는 제1 길이(d1)보다 클 수 있다.
도 5 및 14를 참조하면, 제1 마운트(21)는 상기 제1 상태로 제2 직선(AL2) 상에 위치하는 브라켓(3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마운트(22)는 상기 제2 상태로 제2 직선(AL2) 상에 위치하는 브라켓(3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팬모듈(11)은 제9 연장선(EL9)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1 마운트(21)의 좌측 마운트(211)의 제3 파트(211c)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팬모듈(12)은 제5 연장선(EL5)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2 마운트(22)의 우측 마운트(222)의 제3 파트(222c)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9 연장선(EL9)은 제5 연장선(EL5)보다 제5 높이(h5)만큼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좌측 마운트(211)의 제1 파트(211a)는 좌측 마운트(211)의 하단을 형성하면서, 제1 연장선(EL1)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파트(211a)는 실외열교환기(4')의 상단으로부터 제4 길이(d4)만큼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우측 마운트(222)의 제3 파트(222c)는 우측 마운트(222)의 하단을 형성하면서, 제5 연장선(EL5)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파트(222c)는 실외열교환기(4')의 상단으로부터 제2 길이(d2)만큼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길이(d2)는 제4 길이(d4)보다 작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실내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실내기; 냉매배관을 통해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고,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실외열교환기가 설치되는 내부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실외기; 상기 내부 수용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실외기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실외기의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실외팬; 상기 내부 수용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상단에 인접하는 브라켓; 그리고, 일측에 상기 실외팬이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브라켓이 결합되는 마운트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제1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고정되거나, 상기 제1 위치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2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고정되고, 상기 마운트는, 상하방향에서 적어도 한번 밴딩되어, 상하방향에서 상기 마운트의 일측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 가능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마운트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파트; 상기 제1 파트로부터 밴딩되어, 길게 연장되는 제2 파트; 그리고, 상기 제2 파트로부터 밴딩되어,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3 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파트의 길이방향은 전후방향에 교차하고,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고, 상기 제3 파트는 상기 실외팬에 결합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3 파트는, 상기 마운트의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파트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마운트의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파트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마운트는, 상기 제3 파트의 중심을 지나면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경되거나,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브라켓에 결합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실외팬은: 회전축을 구비하는 모터;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고, 복수개의 블레이드들을 구비하는 팬; 그리고, 상기 모터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브릿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는 상기 제3 파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브릿지는: 상기 브릿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브릿지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파트는: 상기 제3 파트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스의 내주면은, 상기 브릿지 홀을 관통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보스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보스와 제2 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는, 상기 마운트의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보스에 결합되고, 상기 마운트의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보스에 결합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 파트의 일단에 마주하고, 상기 제1 파트의 일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부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브라켓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트의 일단은: 상기 제1 파트의 일단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마운트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홀과 상기 마운트 홀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 파트가 결합되는 제1 브라켓; 그리고, 상기 제1 브라켓의 후방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고정되는 제2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운트는: 상기 제3 파트로부터 밴딩되어, 길게 연장되는 제4 파트; 그리고, 상기 제4 파트로부터 밴딩되어,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제2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5 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파트는, 상기 제3 파트의 중심을 지나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파트에 대칭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마운트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좌측 마운트와 우측 마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외팬은, 상기 좌측 마운트와 상기 우측 마운트 사이에서 상기 좌측 마운트와 상기 우측 마운트에 결합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1)

  1. 실내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실내기;
    냉매배관을 통해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고,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실외열교환기가 설치되는 내부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실외기;
    상기 내부 수용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실외기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실외기의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실외팬;
    상기 내부 수용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상단에 인접하는 브라켓; 그리고,
    일측에 상기 실외팬이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브라켓이 결합되는 마운트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제1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고정되거나, 상기 제1 위치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2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고정되고,
    상기 마운트는,
    상하방향에서 적어도 한번 밴딩되어, 상하방향에서 상기 마운트의 일측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 가능한 공기조화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마운트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파트;
    상기 제1 파트로부터 밴딩되어, 길게 연장되는 제2 파트; 그리고,
    상기 제2 파트로부터 밴딩되어,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3 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파트의 길이방향은 전후방향에 교차하고,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고,
    상기 제3 파트는 상기 실외팬에 결합되는 공기조화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파트는,
    상기 마운트의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파트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마운트의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파트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마운트는,
    상기 제3 파트의 중심을 지나면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경되거나,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변경되는 공기조화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공기조화기.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팬은:
    회전축을 구비하는 모터;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고, 복수개의 블레이드들을 구비하는 팬; 그리고,
    상기 모터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브릿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는 상기 제3 파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기조화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는:
    상기 브릿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브릿지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파트는:
    상기 제3 파트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스의 내주면은,
    상기 브릿지 홀을 관통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보스와 제2 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는,
    상기 마운트의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보스에 결합되고, 상기 마운트의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보스에 결합되는 공기조화기.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 파트의 일단에 마주하고, 상기 제1 파트의 일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부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브라켓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트의 일단은:
    상기 제1 파트의 일단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마운트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홀과 상기 마운트 홀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 공기조화기.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 파트가 결합되는 제1 브라켓; 그리고,
    상기 제1 브라켓의 후방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고정되는 제2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운트는:
    상기 제3 파트로부터 밴딩되어, 길게 연장되는 제4 파트; 그리고,
    상기 제4 파트로부터 밴딩되어,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제2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5 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파트는,
    상기 제3 파트의 중심을 지나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파트에 대칭되는 공기조화기.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좌측 마운트와 우측 마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외팬은,
    상기 좌측 마운트와 상기 우측 마운트 사이에서 상기 좌측 마운트와 상기 우측 마운트에 결합되는 공기조화기.
KR1020200121541A 2020-09-21 2020-09-21 공기조화기 KR202200390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541A KR20220039000A (ko) 2020-09-21 2020-09-21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541A KR20220039000A (ko) 2020-09-21 2020-09-21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000A true KR20220039000A (ko) 2022-03-29

Family

ID=80997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541A KR20220039000A (ko) 2020-09-21 2020-09-21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900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2612A (ko) 2009-01-09 2010-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팬모터 장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2612A (ko) 2009-01-09 2010-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팬모터 장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60957A1 (ja) 熱交換器、室内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AU2015338177B2 (en) Outdoor unit of a refrigerating apparatus
WO2018138770A1 (ja) 熱源側ユニット、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2007507383A (ja) 車両とくにバス用の屋根搭載空調装置
WO2022003869A1 (ja) 室外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装置
JP3196341B2 (ja) 空調装置
US5361601A (en) Air conditioner
KR20220039000A (ko) 공기조화기
JP5452426B2 (ja) 室外ユニット及び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WO2018163373A1 (ja) 熱交換器および空気調和機
JP3432108B2 (ja) 電気自動車用空調装置
US6871508B2 (en) Air conditioner with reduced number of piping accessories
EP3715734A1 (en) Outdoor unit of gas heat pump system
US11859883B2 (en) Flow disturbance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same
WO2017119136A1 (ja) 圧縮機支持装置、冷凍サイクル装置の室外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CN110173763B (zh) 空调室内机和空调器
CN113251493B (zh) 空调内机及空调器
CN210292115U (zh) 空调系统及空调器
WO2018011911A1 (ja) 室外機及び空気調和機
JP2013232519A (ja) 冷媒配管の取付構造
CN112902487A (zh) 制冷系统
US11994352B2 (en) Heat exchanger
CN220707543U (zh) 一种侧出风的室外机空调器
CN213542650U (zh) 一种室内空调器
US20220412618A1 (en) Outdoor unit of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