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8443A - 무균 안과용 수성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 현탁액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무균 안과용 수성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 현탁액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8443A
KR20220038443A KR1020227006020A KR20227006020A KR20220038443A KR 20220038443 A KR20220038443 A KR 20220038443A KR 1020227006020 A KR1020227006020 A KR 1020227006020A KR 20227006020 A KR20227006020 A KR 20227006020A KR 20220038443 A KR20220038443 A KR 20220038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ticasone propionate
nanocrystals
nanosuspension
aqueous
adj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6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쟝-미첼 부코브스키
아크샤이 나드카르니
호세 엘. 보여
브리지트 듀케스로와-샤크룬
토마스 나브라틸
Original Assignee
니콕스 오프탈믹스,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콕스 오프탈믹스,아이엔씨. filed Critical 니콕스 오프탈믹스,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220038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84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6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not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arbon atom, e.g. estrane, estradiol
    • A61K31/567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not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arbon atom, e.g. estrane, estradiol substituted in position 17 alpha, e.g. mestranol, norethandrol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6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not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arbon atom, e.g. estrane, estradiol
    • A61K31/568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not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arbon atom, e.g. estrane, estradiol substituted in positions 10 and 13 by a chain having at least one carbon atom, e.g. androstanes, e.g. testosterone
    • A61K31/569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not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arbon atom, e.g. estrane, estradiol substituted in positions 10 and 13 by a chain having at least one carbon atom, e.g. androstanes, e.g. testosterone substituted in position 17 alpha, e.g. ethiste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61K47/183Amino acids, e.g. glycine, EDTA or aspart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61K47/18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e.g. benzalkonium chloride or cetrim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4Artificial tears; Irrigation 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13Crystalline forms, e.g. polymorph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31/00Normal steroids containing one or more sulfur atoms not belonging to a hetero ring
    • C07J31/006Normal steroids containing one or more sulfur atoms not belonging to a hetero ring not covered by C07J31/003

Abstract

무균 안과용 수성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 현탁액을 제조하는 방법
본 발명은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의 나노결정의 무균 국소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을 제조하는 개선된 방법과 관련있다. 무균 국소 안과용 나노현탁액은 눈꺼풀, 속눈썹 및 눈꺼풀 경계에 상기 나노현탁액의 국소 투여를 통해 안검염, 후안검염, 마이봄샘기능장애 및 안구 건조와 같은 눈 염증 상태의 치료에 유용하다.

Description

무균 안과용 수성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 현탁액을 제조하는 방법
본 발명은 수성 비히클에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의 나노결정을 함유하는 무균 국소 안과용 나노현탁액의 제조 방법와 관련된다. 이 공정은 대규모 생산을 위한 제조에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살균 균질 수성 나노현탁액을 생성한다.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을 함유하는 무균 국소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은 상기 나노현탁액(또는 나노결정 현탁액)을 눈꺼풀(예: 위 눈꺼풀 및 아래 눈꺼풀), 속눈썹 및 눈꺼풀 경계에 국소 투여함으로써 눈 염증 질환 또는 눈 염증 상태의 치료에 유용하다.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의 나노결정은 나노플레이트의 두께를 정의하는 표면에 실질적으로 노말인(substantially normal) [001] 결정학적 축(crystallographic)을 갖는 나노플레이트이다.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은 WO 2013/169647에 개시된 반용매 초음파 결정화 공정에 의해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동질이상형 1로부터 제조된다.
WO 2013/169647은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의 형태(A형)의 나노결정의 제조, 이들의 정제 및 또한 상기 나노결정을 함유하는 수성 현탁액의 제조를 개시한다.
간단히 말해서, WO 2013/169647(실시예 11 및 도 38)에 개시된 연속 초음파 동적 처리(flow-through) 규모 확대(scale-up) 공정에 따라,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의 나노결정은 초음파 처리 하에서 역용매 결정화에 이어 나노현탁액의 열 어닐링(annealing)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생성된 나노결정은 연속 유동 원심분리에 의해 정제되고, 나노현탁액의 비히클은 원심분리되고, 펠릿(pellet)은 세척 용액에 재분산되고 분산액은 다시 원심분리된다. 이 세척 절차는 원하는 수준의 정제를 달성하기 위해 여러 번 반복된다. 그 다음, 펠릿을 최종 제형 조성물에 분산시켜 필요한 투여량 강도에서 최종 생성물을 얻는다. 그러나 WO 2013/169647은 나노현탁액의 무균 시험과 관련된 어떠한 데이터도 보고하지 않는다.
출원인은 WO 2013/169647에 개시된 연속적인 초음파 동적 공정이 다량의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을 제조할 수 있지만, 무균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의 분산 때문에 대규모 제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다. 정제된 나노결정(펠렛)을 최종 수성 비히클(도 38 참조)에 넣는 것은 안구 전달을 위한 약제학적 제형에 의해 충족되어야 하는 무균 요건을 갖는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더욱이, 대규모 부피의 나노현탁액을 제조하는 동안, 정제된 나노결정을 최종 수성 비히클과 혼합하는 동안, 나노결정이 덩어리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어 탈응집되기 어려워서 균질한 나노현탁액을 수득하기 어렵게 만드는 경향이 있음이 밝혀졌다. 더욱이, 일부 효과적인 분해 및 균질한 나노현탁액이 즉석에서 얻은 경우에도 이러한 나노현탁액은 재응집되고 불안정한 경향을 나타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나노입자는 나노현탁액의 제조 및 보관 중에 덩어리를 형성하는 높은 표면 에너지로 인해 덩어리지는 경향이 높다.
나노 입자의 응집은 현탁액 제조 동안 중요한 측면일 뿐만 아니라; 응집은 다양한 이슈를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일관성 없는 투여 및 환자 비순응성. 특히, 눈꺼풀, 속눈썹 및 눈꺼풀 경계에 적용하기 위한 나노현탁액의 경우 덩어리가 환자의 내약성과 잠재적인 안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약물 나노현탁액의 적절한 물리적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몇 가지 전략은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안정제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특정 약물에 적합한 안정제를 선택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US 2018/0117064는 글루코코르티코스테로이드(glucocorticoid steroid) 화합물의 나노입자 및 분산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수성 현탁액의 제조를 개시하고 있다. US 2018/0117064는 안정제의 주요 기능이 약물 입자를 완전히 적셔서 나노현탁액의 Ostwald 숙성 및 응집을 방지하고 입체 또는 이온 장벽을 제공함으로써 물리적으로 안정한 제제를 형성하는 것이라고 개시한다. 나노현탁액에 사용되는 안정제의 전형적인 예는 셀룰로오스(cellulose), 폴록사머(poloxamer),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 레시틴(lecithin), 폴리올레이트(polyoleate) 및 포비돈(povidone)이다.
WO 2010/141834는 알레르기성 결막염(allergic conjunctivities) 및/또는 알레르기성 비결막염(allergic rhinoconjunctivities)을 치료하기 위한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의 국소 안과용 제형을 개시하고 있다. WO 2010/141834는 입자 크기가 30㎛ 이하인 현탁액을 함유하는 다양한 제형을 개시하고; 비히클의 예에는 포스페이트 완충액(phosphate buffer),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하이프로멜로스(hypromellose), 폴리소르베이트 80(polysorbate 80), 에데테이트 이나트륨(edetate disodium) 및 염화 벤잘코늄(benzalkonium chloride)이 함유된다.
그러나, WO 2010/141834는 안과용 제제의 제조 방법 및 안과용 제제의 안정성과 관련된 실험 결과를 보고하지 않는다.
WO 2013/025696은 하나 이상의 습윤제를 함유하는 수성 비히클에 현탁된 안과용 약물을 함유하는 안과용 제제에서 약물 응집체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고압 균질화의 사용을 개시한다. 특히 고압 균질화 단계는 약물 입자가 국소 적용에 적합한 입자 크기를 갖는 미분화된 형태로 이미 존재하는 경우 안과용 제제에서 약물 응집체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실제로 WO 2013/025696은 고압 균질화가 습윤제의 수용액에서 사전-미분화(pre-micronized)된 약물을 함유하는 현탁액에 적용될 수 있고 고압 균질화가 입자 크기 감소를 초래하지 않고 대신 이미 미분화된 약물을 안정화시키고, 따라서 약물 응집체의 형성을 방지한다는 것을 개시한다.
그러나, WO 2013/025696의 방법은 투여 형태의 비용을 증가시키는 고비용 기구의 사용을 의미하며, 또한 고압 균질화의 사용은 나노결정의 분해를 유발할 수 있다.
초음파 처리는 일반적으로 현탁액의 균질성과 안정성을 개선하는 데 필요한 수성 기반 매체에서 나노 물질을 탈응집 및 분산하는 데 사용된다. 광범위한 사용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나노현탁액의 제조를 위한 공정을 설정하는 동안 테스트된 초음파 처리는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나노결정을 탈응집 시키는데 효과적이지 않다.
따라서, 수성 비히클에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을 함유하는 안과용 나노현탁액(나노결정 현탁액)을 제조하기 위한 대규모 공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위에서 언급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행된 연구 결과,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의 나노결정을 고전단, 고속 조건에서 글리세린(글리세롤) 및 붕산을 함유하는 수성 비히클과 혼합하는 것이 나노결정을 안정화시키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어떤 이론에도 구속되지 않고, 글리세린과 붕산은 나노결정의 안정제로서 작용하는 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믿어지며; 붕산/글리세롤 복합체는 나노현탁액을 제조하는 동안 나노결정 응집체의 형성을 방지하고 보관하는 동안 나노현탁액을 안정화한다. 또한, 연구 결과는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의 나노결정을 미리 형성된 붕산/글리세롤 복합체를 함유하는 최종 비히클에 첨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글리세롤이 아닌 붕산을 함유하는 비히클 안에서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가 현탁되고 탈응집된 후 상기 글리세롤이 추가되어 나노현탁액이 제조될 때 관찰되지 않는 잔류 응집을 초래한다고 한다.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의 나노결정이 미리 형성된 붕산/글리세롤 복합체를 함유하는 최종 비히클에서 직접 현탁 및 탈응집될 때, 안정화 효과가 상실되고 나노결정의 탈응집은 저장시 달성하고 유지하기 더 어렵다.
붕산과 폴리하이드록실 화합물의 복합체(보레이트-폴리올 복합체 borate-polyol complexes)는 잘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항균 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안과용 조성물에서 보레이트-폴리올 착물의 사용이 알려져 있다.
WO 93/21903은 콘택트 렌즈 소독 용액에서 보조 소독제로서 만니톨(mannitol), 글리세롤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보레이트-폴리올 복합체을 개시한다.
WO 2010/148190은 다회 투여 안과용 조성물의 보존 향상을 위해 2개의 상이한 폴리올을 함유하는 보레이트-폴리올 착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수성 비히클에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의 나노결정을 함유하는 무균 국소 안과용 나노현탁액의 제조 방법와 관련된다. 이 공정은 대규모 생산을 위한 제조에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무균 균질 수성 나노현탁액을 생성한다.
본 발명에서,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은 100 nm 내지 1000 nm의 평균 입자 크기, 약7.8, 15.7, 20.8, 23.7, 24.5 및 32.5도 2θ, 및 약9.9, 13.0, 14.6, 16.0, 16.9, 18.1 및 34.3도 2θ에서 피크를 함유하는 X선 분말 회전 패턴를 갖고, 상기 나노결정은 나노플레이트의 두께를 정의하는 표면에 실질적으로 노말인 [001] 결정학적 축을 갖는 나노플레이트이다.
도1: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의 XRPD 패턴
도2: T에서 입자 크기 분포 그래프 = 40°C에서 1주; 미리 형성된 붕산 1% w/w/글리세롤 복합체 0.25% w/w 를 함유하는 비히클 내의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 0.25% (비교예).
도3: T에서 입자 크기 분포 그래프= 40°C에서 1주; 미리 형성된 붕산 1% w/w/ 글리세롤 1% w/w 을 함유하는 비히클 내의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 0.25% (비교예).
도 4: T에서 입자 크기 분포 그래프= 40°C에서 1주, 40°C에서 초기 분석 후 5°C에서 20시간 동안 냉장 보관했을 때; 글리세롤 0.25% w/w을 함유하는 비히클 내의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 0.25% w/w (비교예).
본 발명은 100nm 내지 1000nm의 평균 입자 크기 및 0.001% w/w 내지 1% w/w인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을 함유하는 살균 국소 안과용(topical ophthalmic) 수성 나노현탁액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a) 메틸셀룰로오스 4000 cpP 0.5% w/w, 붕산 1.0% w/w, 에데테이트 이나트륨 이수화물 0.1% w/w, 염화 나트륨 0.1% w/w, 염화 벤잘코늄 0.01% w/w, 폴리소르베이트 80 0.2% w/w, pH 7.3 내지 7.5로 조정하기 위한 1N 염산 및/또는 1N 수산화 나트륨과 100% w/w로 맞추는 물을 함유하는 수성 비히클 1를 제조하는 단계;
b) 2% w/w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농도를 함유하는 슬러리(slurry)를 얻기 위해 100 nm 내지 1000 nm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일정량의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나노결정 A형을 일정량의 수성 비히클 1과 혼합하는 단계;
c) 단계 b)의 슬러리에 고전단, 고속 혼합 10분 이상 가하는 단계;
d) 글리세린 1.8% w/w, 메틸셀룰로오스 4000 cpP 0.5% w/w, 붕산 1.0% w/w, 에데테이트 이나트륨 이수화물 0.1% w/w, 염화 나트륨 0.055% w/w, 염화 벤잘코늄 0.01% w/w, 폴리소르베이트 80 0.2% w/w, pH 7.3 내지 7.5로 조정하기 위한 1N 염산 및/또는 1N 수산화 나트륨과 100% w/w로 맞추기 위한 적량의 물을 함유하는 수성 비히클 2를 제조하는 단계;
e) 약 1% w/w의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슬러리를 얻기 위해 단계 c)의 슬러리에 수성 비히클 2의 분취량을 가하는 단계;
f) 타겟 평균 입자 크기를 얻기 위해 단계 e)의 슬러리에 고전단, 고속 혼합을 가하는 단계;
g) 단계 f)의 나노현탁액을 오토클레이빙으로 살균하는 단계;
h) 글리세린 0.9% w/w, 메틸셀룰로오스 4000 cpP 0.9% w/w, 붕산 1.0% w/w, 에데테이트 이나트륨 이수화물 0.1% w/w, 염화 나트륨 0.055% w/w, 염화 벤잘코늄 0.01% w/w, 폴리소르베이트 80 0.01% w/w, pH 7.3 내지 7.5로 조정하기 위한 1N 염산 및/또는 1N 수산화 나트륨과 100% w/w로 맞추기 위한 적량의 물을 함유하는 수성 비히클 3를 제조하고; 상기 수성 비히클 3을 여과하여 살균하는 단계;
i) 단계 g)의 살균된 나노현탁액에 무균 수성 비히클 3의 분취량을 무균적으로 가하여 타켓 농도의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나노결정 A형을 함유하는 살균 국소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의 나노결정은 약7.8, 15.7, 20.8, 23.7, 24.5 및 32.5도 2θ, 및 약9.9, 13.0, 14.6, 16.0, 16.9, 18.1 및 34.3도 2θ에서 피크를 함유하는 X선 분말 회전 패턴를 갖고, 상기 나노결정은 나노플레이트의 두께를 정의하는 표면에 실질적으로 노말인 [001] 결정학적 축을 갖는 나노플레이트인 제조방법이다.
단계 c)에서,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의 나노결정을 함유하는 슬러리와 글리세린을 함유하지 않는 수성 비히클 1의 고전단, 고속 혼합은 최종 나노현탁액의 균일한 분포를 보장하기 위해 수행되어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나노결정의 균질성이 개선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c) 및 f)에서 고전단, 고속 혼합이 6000 RPM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f)에서 고전단, 고속 혼합이 10분 이상 가해진다.
바람직하게는, 1% w/w의 농도의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를 함유하는 단계 f)의 나노현탁액의 단계 g)의 살균은 약 40분 동안 약 122 ℃에서 유리병 내의 나노현탁액을 오토클레이빙함으로써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수성 비히클 1 및 2는 각각 단계 b) 및 e)에서 사용하기 전에 0.2㎛ 필터를 통해 여과된다.
선택적으로, 글리세린 1.8% w/w을 함유하는 수성 비히클 2는 글리세린 1.8% w/w 의 최종 농도를 얻기 위해 0.2㎛ 필터를 통해 여과된 비히클 1의 분취량에 일정량의 글리세린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최종 무균 국소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에서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의 농도는 0.001% 내지 0.5% w/w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의 농도는 0.5% w/w, 0.25% w/w, 0.20% w/w, 0.10% w/w, 0.05% w/w, 0.03% w/w, 0.01% w/w 또는 0.005% w/w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의 농도는 0.20% w/w 또는 0.10% w/w 또는 0.05% w/w이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은 살균된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 및 살균된 비히클 1 내지 3을 사용하는 완전 무균 제조 조건 하에 수행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태양은 100 nm 내지 1000 nm의 평균 입자 크기 및 0.001% w/w 내지 1% w/w의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농도를 갖는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을 함유하는 무균 국소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a-1) 100 nm 내지 1000 nm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을 살균하는 단계;
b-1) 메틸셀룰로오스 4000 cpcP 0.5% w/w, 붕산 1.0% w/w, 에데테이트 이나트륨 이수화물 0.1% w/w, 염화 나트륨 0.1% w/w, 염화 벤잘코늄 0.01% w/w, 폴리소르베이트 80 0.2% w/w, pH 7.3 내지 7.5로 조정하기 위한 1N 염산 및/또는 1N 수산화 나트륨과 100% w/w로 맞추기 위한 적량의 물을 함유하는 수성 비히클 1를 제조하고; 상기 수성 비히클 1를 여과로 살균하는 단계;
c-1) 2% w/w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농도를 함유하는 슬러리를 얻기 위해 무균적으로 살균된 일정량의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나노결정 A형을 일정량의 살균된 수성 비히클 1과 혼합하는 단계;
d-1) 단계 c-1)의 슬러리에 고전단, 고속 혼합을 10분 이상 가하는 단계;
e-1) 글리세린 1.8% w/w, 메틸셀룰로오스 4000 cpP 0.5% w/w, 붕산 1.0% w/w, 에데테이트 이나트륨 이수화물 0.1% w/w, 염화 나트륨 0.055% w/w, 염화 벤잘코늄 0.01% w/w, 폴리소르베이트 80 0.2% w/w, pH 7.3 내지 7.5로 조정하기 위한 1N 염산 및/또는 1N 수산화 나트륨과 100% w/w로 맞추기 위한 적량의 물을 함유하는 수성 비히클 2를 제조하고; 상기 수성 비히클 2를 여과로 살균하는 단계;
f-1) 약 1% w/w의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슬러리를 얻기 위해 단계 d-1)의 슬러리에 수성 비히클 2의 분취량을 가하는 단계;
g-1) 타겟 평균 입자 크기를 얻기 위해 단계 f-1)의 슬러리에 고전단, 고속 혼합을 가하는 단계;
h-1) 글리세린 0.9% w/w, 메틸셀룰로오스 4000 cpP 0.9% w/w, 붕산 1.0% w/w, 에데테이트 이나트륨 이수화물 0.1% w/w, 염화 나트륨 0.055% w/w, 염화 벤잘코늄 0.01% w/w, 폴리소르베이트 80 0.01% w/w, pH 7.3 내지 7.5로 조정하기 위한 1N 염산 및/또는 1N 수산화 나트륨과 100% w/w로 맞추기 위한 적량의 물을 함유하는 수성 비히클 3를 제조하고; 상기 수성 비히클 3을 여과하여 살균하는 단계;
i-1) 살균된 수성 비히클 3의 분취량을 단계 g-1)의 나노현탁액에 무균적으로 첨가하여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나노결정 A형의 최종 농도를 함유하는 무균 국소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상기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의 나노결정은 약7.8, 15.7, 20.8, 23.7, 24.5 및 32.5도 2θ, 및 약9.9, 13.0, 14.6, 16.0, 16.9, 18.1 및 34.3도 2θ에서 피크를 함유하는 X선 분말 회전 패턴를 갖고, 상기 나노결정은 나노플레이트의 두께를 정의하는 표면에 실질적으로 노말인 [001] 결정학적 축을 갖는 나노플레이트인 제조방법이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a-1)에서 사용되는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은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농도가 2% 내지 20% w/w인 주사용수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의 현탁액을 오토클레이빙함으로써 살균되고, 바람직하게는 수중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의 현탁액은 약 30분 동안 약 122℃에서 오토클레이빙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d-1) 및 g-1)에서 고전단, 고속 혼합이 6000 RPM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g-1)의 고전단, 고속 혼합을 10분 이상 동안 가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무균 국소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에서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의 농도는 0.001% 내지 0.5% w/w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의 농도는 0.5% w/w, 0.25% w/w, 0.20% w/w, 0.10% w/w, 0.05% w/w, 0.03% w/w, 0.01% w/w 또는 0.005% w/w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20% w/w 또는 0.10% w/w 또는 0.05% w/w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은 하기에 보고된 일반적인 방법으로서:
1)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동질이상형(polymorph) 1 0.45% w/w,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400(PEG400) 23.2% w/w, 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 400(PPG400) 68.8% w/w, 폴리소르베이트 80(Tween 80) 7.6% w/w을 포함하는 상 Ⅰ 용액을 제조하고; 0.8/0.2 ㎛ 폴리에터설폰(PES)필터로 여과하는 단계;
2) 염화 벤잘코늄 0.01% w/w, 메틸셀룰로오스 15 cP 0.40% w/w,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스테아레이트 40(PEG-40 stearate), pH 3.4 내지 3.8로 조정하기 위한 시트르산 완충액과 100% w/w로 맞추기 위한 적량의 물을 포함하는 상 Ⅱ 용액을 제조하고; 0.8/0.2 ㎛ 폴리에터설폰(PES) 필터로 여과하는 단계;
3) 여과된 상 Ⅰ 및 상 Ⅱ 용액을 0 내지 4°C로 냉각하는 단계;
4) 상 Ⅲ 나노결정 현탁액을 얻기 위해 초음파변환기(QSonica Q2000 초음파 변환기)가 장착된 반응기에서 상 Ⅰ 및 상 Ⅱ 과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로서:
-상 I 용액 및 상 Ⅱ 용액을 각각 600 ml/분(상 I 용액) 및 2400 ml/분(상 Ⅱ 용액)의 유속으로 반응기 내로 연속적으로 펌핑하여 상 Ⅲ 현탁액을 수득;
- 상 Ⅰ 대 상 Ⅱ 의 부피 비율은 1:4;
- 60%의 출력으로 혼합하면서 초음파 처리;
-상 Ⅲ 현탁액의 평균 온도는 약 11°C;
5) 초음파 처리가 없는 상태에서 최소 30분 동안 실온에서 소용돌이를 생성하기에 충분한 속도로 단계 4)의 저전단 상 Ⅲ 현탁액 혼합 단계;
6) 상 Ⅲ 현탁액을 40°C에서 16시간 이상의 기간에 걸쳐 어닐링(annealing)하는 단계;
7) 폴리에틸렌 글리콜 스테아레이트(PEG-40 stearate) 0.2% w/w, 폴리소르베이트 80(Tween 80) 0.2% w/w, 염화 벤잘코늄 0.001% w/w, 제1인산나트륨 1수화물(sodium phosphate monobasic monohydrate) 0.05% w/w, 제2인산나트륨 2수화물(sodium phosphate dibasic dihydrate) 0.02% w/w 및 pH 6.3 ± 0.2로 조정하기 위한 100% w/w로 맞추기 위한 적량의 물을 포함하는 완충용액을 제조하고; 0.8/0.2 ㎛ 폴리에터설폰(polyethersulfone) 필터로 여과하는 단계;
8) 단계 6)의 상Ⅲ 현탁액을 여과된 완충 용액으로 상기 완충용액 대 상 Ⅲ용액 부피 비가 1:1이 되도록 희석하는 단계;
9) 희석된 상 Ⅲ 현탁액을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나노결정 A형를 회수하기 위해 원심분리하고 회수된 나노결정을 세척하는 단계;
10) 수집된 나노결정을 주사용수로 세척하는 단계;
본 발명의 방법이 완전 무균 제조 조건 하에 수행되는 경우, 단계 10)의 세척된 나노결정을 무균 국소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의 제조를 위해 사용하기 전에 살균하고; 예를 들어, 세척된 나노결정은 2% 내지 20% w/w 사이의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농도로 주사용수에 현탁되고 약 122°C에서 30분 동안 오토클레이빙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눈꺼풀, 속눈썹 또는 눈꺼풀 경계에 국소적으로 투여될 수 있는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에 관한 것으로:
(a)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 0.001% 내지 1% w/w;
(b) 메틸셀룰로오스 4000 cpP 0.50% w/w;
(c) 폴리소르베이트 80 0.2% w/w;
(d) 에데테이트 이나트륨 이수화물 0.10% w/w;
(e) 붕산 1.0% w.w;
(f) 글리세린 0.9% w/w;
(g) 염화 벤잘코늄 0.01% w/w;
(h) 염화 나트륨 0.055% w/w;
(i) pH 7.3내지 7.5로 조정하기 위한 염산 (1N) 및/또는 수산화 나트륨 (1N); 및
(j) 100% w/w로 맞추기 위한 적량의 물로 구성되면서,
상기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은 100 nm 내지 1000 nm의 평균 입자 크기, 약7.8, 15.7, 20.8, 23.7, 24.5 및 32.5도 2θ, 및 약9.9, 13.0, 14.6, 16.0, 16.9, 18.1 및 34.3도 2θ에서 피크를 함유하는 X선 분말 회전 패턴를 갖고, 상기 나노결정은 나노플레이트의 두께를 정의하는 표면에 실질적으로 노말인 [001] 결정학적 축을 갖는 나노플레이트이다.
바람직하게는, 국소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에서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의 농도는 0.001% 내지 0.5% w/w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의 농도는 0.5% w/w, 0.25% w/w, 0.20% w/w, 0.1% w/w, 0.05% w/w, 0.03% w/w, 0.01% w/w 또는 0.005% w/w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국소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에서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의 농도는 0.1% w/w, 0.20% w/w 또는 0.05% w/w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눈꺼풀, 속눈썹 또는 눈꺼풀 경계에 국소적으로 투여될 수 있는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에 관한 것으로:
(a)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 0.1% w/w, 또는 0.5% w/w, 또는 0.25% w/w, 또는 0.20% w/w 또는 0.05% w/w;
(b) 메틸셀룰로오스 4000 cpP 0.50% w/w;
(c) 폴리소르베이트 80 0.2% w/w;
(d) 에데테이트 이나트륨 이수화물 0.10% w/w;
(e) 붕산 1.0% w.w;
(f) 글리세린 0.9% w/w;
(g) 염화 벤잘코늄 0.01% w/w;
(h) 염화 나트륨 0.055% w/w;
(i) pH 7.3내지 7.5로 조정하기 위한 염산 (1N) 및/또는 수산화 나트륨 (1N); 및
(j) 100% w/w로 맞추기 위한 적량의 물로 구성되면서,
상기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은 100 nm 내지 1000 nm의 평균 입자 크기, 약7.8, 15.7, 20.8, 23.7, 24.5 및 32.5도 2θ, 및 약9.9, 13.0, 14.6, 16.0, 16.9, 18.1 및 34.3도 2θ에서 피크를 함유하는 X선 분말 회전 패턴를 갖고, 상기 나노결정은 나노플레이트의 두께를 정의하는 표면에 실질적으로 노말인 [001] 결정학적 축을 갖는 나노플레이트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눈꺼풀, 속눈썹 또는 눈꺼풀 경계에 국소적으로 투여될 수 있는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에 관한 것으로:
(a)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 0.1% w/w, 또는 0.20% w/w 또는 0.05% w/w;
(b) 메틸셀룰로오스 4000 cpP 0.50% w/w;
(c) 폴리소르베이트 80 0.2% w/w;
(d) 에데테이트 이나트륨 이수화물 0.10% w/w;
(e) 붕산 1.0% w/w;
(f) 글리세린 0.9% w/w;
(g) 염화 벤잘코늄 0.01% w/w;
(h) 염화 나트륨 0.055% w/w;
(i) pH 7.3내지 7.5로 조정하기 위한 염산 (1N) 및/또는 수산화 나트륨 (1N); 및
(j) 100% w/w로 맞추기 위한 적량의 물로 구성되면서,
상기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은 100 nm 내지 1000 nm의 평균 입자 크기, 약7.8, 15.7, 20.8, 23.7, 24.5 및 32.5도 2θ, 및 약9.9, 13.0, 14.6, 16.0, 16.9, 18.1 및 34.3도 2θ에서 피크를 함유하는 X선 분말 회전 패턴를 갖고, 상기 나노결정은 나노플레이트의 두께를 정의하는 표면에 실질적으로 노말인 [001] 결정학적 축을 갖는 나노플레이트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살균 국소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제는 몇 가지 이점, 예를 들어 작은 입자 크기 및 약물의 유지로 인해 눈꺼풀(예를 들어, 위 및 아래 눈꺼풀), 속눈썹 또는 눈꺼풀 경계에 투여시 투여되는 활성 성분의 양을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에 대한 전신 노출을 감소시켜 눈의 다른 구조에 대한 노출을 감소시키는 장기간에 걸친 내약성을 갖는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안압상승(IOP), 각막두께 증가, 동공, 안검하수, 백내장, 녹내장, 부신억제, 골밀도 감소 등의 부작용이 있으며; 따라서 전반적인 눈의 낮은 전신 노출은 특히 장기간 또는 반복적인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치료를 필요로 하는 치료 적용을 위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의 중요한 이점이다.
본 발명의 무균 국소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은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활성 성분의 전신 흡수와 관련된 원치 않는 부작용 없이 높은 효능 및 국소 내약성을 갖는다.
또 다른 실시형태 에서, 본 발명의 나노현탁액은 필요로 하는 피험자의 눈꺼풀, 속눈썹 또는 눈꺼풀 경계에 상기 조성물의 국소 투여에 의해 안검염, 후안검염, 마이봄샘기능장애 또는 안구건조증과 같은 안구 염증 질환 또는 안구 염증 상태와 관련된 증상 및/또는 임상 징후를 치료하거나 감소시키는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안검염, 후안검염, 마이봄샘기능장애, 안구건조증의 치료 방법은 본 발명의 나노현탁액의 유효량을 피험자의 눈꺼풀, 속눈썹 또는 눈꺼풀 경계에 국소적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안검염, 후안검염, 마이봄샘기능장애 또는 안구건조증과 관련된 증상 및/또는 임상 징후를 치료 및/또는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안과적 수성 나노현탁액 조성물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량을 피험자에게 투여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방법으로;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 0.001% 내지 1% w/w, 메틸셀룰로오스 4000 cpP 0.50% w/w, 폴리소르베이트 80 0.2% w/w, 에데테이트 이나트륨 이수화물 0.10% w/w, 붕산1.0% w/w, 글리세린 0.9% w/w, 염화 벤잘코늄 0.01% w/w, 염화 나트륨 0.055% w/w, pH 7.3내지 7.5로 조정하기 위한 1N 염산 및/또는 1N 수산화 나트륨, 및 100% w/w로 맞추기 위한 적량의 물로 구성되면서, 상기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은 100 nm 내지 1000 nm의 평균 입자 크기, 약7.8, 15.7, 20.8, 23.7, 24.5 및 32.5도 2θ, 및 약9.9, 13.0, 14.6, 16.0, 16.9, 18.1 및 34.3도 2θ에서 피크를 함유하는 X선 분말 회전 패턴를 갖고, 상기 나노결정은 나노플레이트의 두께를 정의하는 표면에 실질적으로 노말인 [001] 결정학적 축을 갖는 나노플레이트이고, 상기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은 눈꺼풀 상부 및/또는 하부 눈꺼풀 경계, 마이봄샘관 속눈썹 또는 눈꺼풀 해부학의 임의의 영역에 국소적으로 투여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제는 0.5% w/w, 0.25% w/w, 0.20% w/w, 0.10% w/w, 0.05% w/w, 0.03% w/w, 0.01% w/w 또는 0.005% w/w 농도의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을 함유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 중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의 농도는 0.1% w/w, 0.20% w/w, 0.25% w/w, 0.5% w/w, 0.05% w/w 또는 0.01% w/w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의 농도는 0.1% w/w, 0.20% w/w 또는 0.05% w/w이다.
안검염 및 마이봄샘기능장애와 관련된 전형적인 임상 징후는 눈꺼풀 파편, 눈꺼풀 경계의 충혈, 눈꺼풀 붓기, 마이봄샘 폐쇄 및 또는 마이봄샘 분비의 정성적/정량적 변화를 포함한다.
건성 각결막염이라고도 하는 안구 건조와 관련된 가장 흔한 증상은 안구 건조, 안구 불편감, 안구 충혈, 따끔거림, 타고 있는 또는 긁힌 느낌, 물에 젖은 눈, 빛에 대한 과민성, 흐린 시력, 통증 또는 눈의 피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피험자에서 비-감염성, 염증성 안검염 또는 마이봄샘 기능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피험자에게 본 발명의 국소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을 하루에 적어도 1회 투여하고, 바람직하게는 피험자에게 제약 제제를 하루에 1회 투여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피험자는 적어도 2주, 2주 초과, 적어도 3주, 또는 적어도 4주 동안 하루에 한 번 이상 본 발명의 국소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을 투여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a)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을 함유하는 상기 보고된 국소 투여가능한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 및 (b) 나노현탁액을 눈꺼풀, 속눈썹 또는 눈꺼풀 경계에 도포하기 위한 면봉 또는 스펀지를 함유하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들
본 명세서에서 조성물 및 실시예에서 사용된 백분율(%)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중량 백분율(w/w)을 의미한다. 본문과 예에서 글리세린과 글리세롤이라는 용어는 동의어로 사용된다.
실시예 1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의 제조
상 Ⅰ 용액의 제조
2L 공정 용기에서, 폴리소르베이트 80(Tween 80) 106.26g,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400(PPG 400) 963.34g,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PEG 400) 324.10g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모든 성분이 용해될 때까지 함께 교반하고, 그 다음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동질이상형 1 6.3g을 용액에 첨가하고 투명한 용액이 얻어질 때까지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0.8/0.2 ㎛ 폴리에테르설폰(PES)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사용할 때까지 2-8°C에서 냉장 보관하였다.
상 Ⅱ 용액의 제조
8L 공정 용기에 초기 양의 정제수 약 5276g을 첨가하고 오버헤드 믹서(over head mixer)로 교반하여 와류를 발생시켰다.
폴리에틸렌 글리콜 40 스테아레이트(PEG-40 stearate) 6.01g, 염화 벤잘코늄(용액 10%) 5.98g 및 메틸셀룰로오스 15cP 24.02g을 첨가하고 메틸셀룰로오스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한다. 시트르산 완충액을 첨가하여 pH를 3.5-4.0으로 조정하고 물 585.8g을 첨가하였다. 상 ± 용액의 최종 pH는 3.83이였다.
그런 다음 상 Ⅱ 를 0.8/0.2㎛ 폴리에터설폰(PES)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사용할 때까지 2-8°C에서 냉장 보관하였다.
희석 완충액의 제조
20L 공정 용기에 폴리소르베이트 80(Tween 80) 12.0g을 넣고 정제수 5374g을 넣고 오버헤드 믹서로 교반하여 와류를 발생시켰다.
제1인산나트륨 1수화물 3.24g, 제2인산나트륨 2수화물 1.14g, 폴리에틸렌 글리콜 40 스테아레이트(PEG-40 stearate) 12.00g, 염화 벤잘코늄(용액 10%) 0.6g을 첨가하고,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고, 물 597g을 첨가하였다. 완충액의 최종 pH는 6.4였다. 이 용액을 0.8/0.2 ㎛ 폴리에터설폰(PES)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사용할 때까지 2-8°C에서 냉장 보관하였다.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의 제조
480g의 상 Ⅱ 를 반응기의 챔버에 도입한다. 상 I 940g 및 상 Ⅱ 3780g은 냉각기에 연결된 재킷 용기에서 2-4°C의 타겟 온도로 냉각되도록 허용하였다.
연동 보정 펌프를 사용하여 진폭이 60%(Q Sonica Q1375 W)로 설정된 초음파 변환기가 장착된 반응기를 통해 상 I 및 상 Ⅱ 을 펌핑하였다(상 I 및 상 Ⅱ에 대한 펌프 유속은 각각 600ml/분 및 2400ml/분이다).
반응기로부터의 유출물(상 Ⅲ: 5201.7g)을 실온에서 깨끗한 용기에 수집하였다. 상 Ⅲ의 온도는 약 11°C였다.
그런 다음 상 Ⅲ를 수집 용기에서 약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여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나노결정의 균일한 현탁액을 얻었다(최종 상 Ⅲ).
어닐링(annealing) 방법
최종 상 Ⅲ은 밀폐된 용기로 옮겨졌다. 용기를 인큐베이터에 넣고 적어도 16시간 동안 40°C에서 유지하였다.
나노결정의 정제 및 분리
어닐링된 상 Ⅲ 5167g을 공정 용기에 옮기고 희석 완충용액에 대한 상 Ⅲ의 비율이 1:1이 되도록 등량의 희석 완충용액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저전단 혼합기로 30분 동안 교반하여 나노결정의 균질한 현탁액(희석된 상 Ⅲ)을 얻었다.
희석된 상 Ⅲ의 불연속 원심분리에 의해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을 먼저 수집하였다. 그런 다음 나노결정을 주사용수로 여러 번(4회 세척 주기) 세척하였다.
분리된 나노결정의 입자 크기는 레이저 산란 입자 크기 분포 분석기(Horiba LA-950)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D50은 0.2153 ㎛이고 D90은 0.6073 ㎛였다.
나노결정의 특성화는 XRPD 및 Rietveld 정제에 의해 수행되었다. 결과는 Rietveld 정제에서 얻은 극점도에 의해 확인된 WO 2013/169647에 정의된 바와 같이 표면에 실질적으로 노말인 강하게 선호된 배향 및 c-축을 갖는 결정 습성을 갖는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의 전형적인 패턴을 보여주는 도 1(XRPD)에 제공되어 있다.
실시예 2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의 무균 국소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의 제조
Figure pct00001
단계 1) 비히클 1(글리세린이 없는 비히클)의 제조
20L 공정 용기에서, 주사용수 17600g을 80°C로 가열하고, 메틸셀룰로오스 4000cpP 100.0g 를 천천히 첨가하고, 혼합물을 메틸셀룰로오스가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용액을 40°C에서 냉각시키고, 붕산 200.0g을 첨가하고, 수산화나트륨(1N)으로 pH를 7.4로 조정하였다.
하기 부형제를 특정한 순서로 첨가하였다: 에데테이트 이나트륨 이수화물 20.0g, 염화나트륨 11.0g, 염화 벤잘코늄(용액 50%) 4.0g, 폴리소르베이트 80(Tween 80) 40.0g; 다음 부형제를 첨가하기 전에 각 부형제가 완전히 용해되고 용액의 제조는 약 40°C내지 실온의 온도에서 수행되었다. pH를 테스트하고 염산(1N) 또는 수산화나트륨(1N)을 사용하여 7.3-7.5로 선택적으로 조정하였다. pH 조정 후, 최종 중량이 19800g이 되도록 주사용수를 첨가하였다. 2-8°C에서 보관되는 균일한 용액을 얻기 위해 생성된 용액이 10분 이상 혼합되었다.
단계 2) 2%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나노결정 슬러리의 제조
4000g의 비히클 1를 PES 0.2㎛ 매체를 통한 여과에 의해 교반 막대를 함유하는 10L 공정 용기에 도입하고 추가 사용을 위해 따로 두었다.
2L 비이커에, 15.04g의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을 일부 비히클 1과 함께 도입하였다. 이 슬러리를 균질성을 위해 혼합하고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함량(31.6mg/g)에 대해 분석한 다음 비히클 1로 추가 희석하여,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의 타겟 농도가 20mg/ml(2% w/w 슬러리)이 되도록 하였다. 이 농축된 슬러리는 10분 동안 6000 ± 10 RPM에서 고전단, 고속 혼합을 거쳤고 입자 크기 분포는 Horiba LA-950S2 PSD 분석기에서 레이저 회절로 테스트되었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Figure pct00002
단계 3) 비히클 2(1.8% w/w 글리세린을 함유하는 비히클)의 제조
4L 비이커에 1600g의 여과된 비히클 1을 도입하고 36g의 글리세린을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pH를 테스트하고 수산화나트륨(1N)으로 7.3-7.5로 조정하고 비히클 1를 추가하여 최종 중량을 2000g으로 조정하여 1.8% w/w 글리세린 용액을 생성하였다.
단계 4) 1%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나노결정 슬러리의 제조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나노결정 1% 슬러리는 단계 2)에서 제조된 2% 농축된 슬러리를 비히클 2를 추가로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의 농도가 1% w/w로 희석하여 제조하였다.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 1% w/w 슬러리를 10분 동안 6000 ± 10 RPM에서 고전단, 고속 혼합하고 입자 크기 분포를 Horiba LA-950S2 PSD 분석기를 사용하여 레이저 회절로 테스트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Figure pct00003
단계 5) 비히클 3(0.9% w/w 글리세린 함유하는 비히클)의 제조
20L 용기에 11200g의 비히클 1을 도입하고 126g의 글리세린을 교반하면서 첨가한 다음 pH를 수산화나트륨으로 7.3-7.5로 조정하고 비히클 1의 분취량을 추가로 첨가하여 최종 중량을 14000g로 하여 0.9% w/w 글리세롤 용액으로 제조하였다. 이 용액을 균일하고 살균 여과될 때까지 10분 이상 혼합하여 다른 수용 용기로 여과하였다.
단계 6) 0.1% w/w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나노현탁액의 제조
ISO 5 환경에서, 단계 4)의 오토클레이빙된 무균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나노결정 1% w/w을 함유하는 병의 내용물을 무균 상태로 옮기고 최종 배합 용기에 모았다.
용기에 옮겨진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나노결정 1% 슬러리의 중량을 기록하였다(1366.3g).
11774.2g의 무균 비히클 3을 첨가하여 최종 0.1% 무균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나노결정 현탁액을 얻었다.
최종 무균 나노현탁액을 교반 플레이트에서 15분 이상 교반하였다.
입자 크기 분포는 Horiba LA-950S2 PSD 분석기를 사용하여 레이저 회절에 의해 테스트되었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Figure pct00004
0.5% w/w, 0.25% w/w, 0.20% w/w, 0.1% w/w, 0.05% w/w, 0.03% w/w, 0.01% w/w 및 0.005% w/w와 같은 상이한 농도의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을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현탁액은 최종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농도를 얻기 위해 단계 6)에 개시된 수성 비히클 3의 분취량으로 단계 4)의 덩어리가 없어진 1%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나노현탁액을 희석하여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2의 나노현탁액의 안정성 평가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나노현탁액 조성물은 세 가지 다른 온도 및 습도 조건(5°C, 25°C/40% RH; 40°C/25% RH)에서 나노현탁액을 보관하여 보관안정성 시험을 거쳤다. 나노현탁액의 재현탁성,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함량, 입도 분포 및 염화 벤잘코늄 함량을 1개월 및 3개월 시점에서 평가하였다.
표 2 및 3에 보고된 결과는 나노현탁액이 제조 및 보관 시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안정함을 보여준다. 보관 시 나노현탁액의 물리적 외관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나노현탁액은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의 화학적 분석이 보관 시 라벨 표시의 90% - 110% 한도 내에 있기 때문에 화학적 분해의 징후를 나타내지 않았다. 관련 물질 및 총 불순물은 보관 시 규정된 한계 내에서 4% 이하로 유지되었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실시예 4(비교예)
이 연구의 결과는 붕산을 함유하지만 글리세린은 함유하지 않는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의 나노현탁액이 안정적이지 않고 응집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을 이전 실시예 2에서와 정확히 동일한 농도의 붕산 및 메틸셀룰로오스를 함유하지만 글리세롤을 함유하지 않는 비히클에 현탁시켰다.
시험한 나노현탁액의 조정은 표 4에 보고되어 있다.
Figure pct00007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 현탁액의 제조
일정한 양의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은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의 타겟 농도를 얻기 위해 메틸셀룰로오스 4000 cpP 0.50% w/w, 폴리소르베이트 80 0.2% w/w, 에데테이트 이나트륨 이수화물 0.10% w/w, 붕산 1.0% w/w, 염화 벤잘코늄 0.01% w/w 및 100% w/w로 맞추기 위한 물로 구성된 비히클의 분취량에 현탁되었다(표 4 참조). 일단 나노결정이 현탁되면, 고속, 고전단 Silverson 혼합 장치를 사용하여 탈응집을 위해 현탁액을 500mL 유리 비커에 부었다. 입자 크기 분포 사양이 충족될 때까지 현탁액을 6000 RPM에서 혼합하였다. 나노현탁액의 입자 크기 분포 및 점도를 측정하였다.
나노현탁액을 40°C에서 안정성에 놓고 입자 크기 분포(PDS) 및 점도를 2주 시점에서 측정하였다.
표 5-1 및 5-2에 보고된 결과는 2주의 짧은 기간 동안에만 평균 입자 크기 및 D90의 증가가 있음을 보여주며, 이는 나노현탁액에서 응집체 형성을 반영한다. 역으로 실시예 3에 보고된 안정성 결과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나노현탁액이 최대 3개월까지 가속 조건하에서 안정함을 보여준다.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실시예 5(비교예)
이 연구의 결과는 미리 형성된 붕산/글리세롤 복합체를 함유하는 비히클에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을 첨가하는 것이 상기 글리세롤을 혼합 탈응집된 2%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나노결정 슬러리 고속, 고전단으로 첨가하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나노현탁액을 제조할 때 관찰되지 않는 잔류 응집을 유도함을 확인시켜 주었다(실시예 2- 4단계 참조).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은 미리 형성된 붕산/글리세롤 복합체(붕산 1.0% w/w/글리세롤 0.25% w/w 및 붕산 1.0% w/w/글리세롤 1.0 % w/w)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의 최종 농도가 0.25% w/w가 되도록 한다.
2개의 시험된 나노현탁액의 비히클 조성은 표 6에 보고되어 있다.
Figure pct00010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 나노현탁액의 제조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을 미리 형성된 붕산/글리세롤 복합체를 함유하는 표 6에 보고된 2개의 비히클에 현탁시키고 교반 막대를 사용하여 자기 교반 플레이트 상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일단 나노결정이 현탁되면, 고속, 고전단, Silverson 혼합 장치를 사용하여 탈응집을 위해 현탁액을 500mL 유리 비이커에 부었다. 입자 크기 분포 사양이 충족될 때까지 현탁액을 6000 RPM에서 혼합하였다.
2개의 제형을 40°C에서 안정상태에 놓고 입자 크기 분포를 1주 시점에서 꺼낸 샘플에서 측정하였다. 샘플은 안정성 챔버에서 꺼낸 직후 분석되었다. 결과는 샘플에서 많은 집계를 보여준다(도 2 및 3 참조).
샘플이 냉각되었을 때 응집이 부분적으로 가역적이었지만 여전히 상당한 잔류 응집 수준이 있었다(도 4 참조). 이러한 열 가역적 응집은 온도가 증가할 때 메틸셀룰로오스의 용해도 감소와 관련이 있다. 메틸셀룰로오스 용액이 30-50°C 범위에서 감지할 수 있는 입자 없이 시각적으로 깨끗하더라도, 폴리머 사슬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크기가 커지는 느슨하게 연결된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클러스터는 40°C에서 나노결정의 응집의 일부를 담당할 가능성이 있다.
위에서 보고된 바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는 글리세롤이 분리된 나노결정의 응집을 방지하는 붕산과 복합체을 형성함으로써 안정화제 역할을 하는 것을 입증하였다. 미리 형성된 복합 붕산/글리세롤을 함유하는 비히클에 나노결정을 현탁시켜 나노현탁액을 제조하면 복합물의 안정화 효과가 감소한다.
실시예 6
체외 용출 시험
본 발명의 나노현탁액의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의 용출 속도를 평가하고 표준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1형 미분화 물질(참조 샘플)의 용해 속도와 비교하였다.
본 발명의 2개의 나노현탁액의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및 미분화된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1형의 나노결정의 용출 프로파일은 용출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의 입자 크기는 0.434 ㎛(D50 - 중앙값)이고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1형 미분화 물질의 입자 크기는 4.64 ㎛(D50 - 중앙값)이다.
연구는 투석막 및 싱크(sink) 조건을 통한 구획 확산 분석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싱크 조건은 5% HPβCD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하는 pH 7.4의 30mM 포스페이트 완충액을 함유하는 수용체 유체를 사용하고 포화점 미만을 유지하기 위해 24시간마다 완충액을 완전히 교체함으로 성취되었다. 이러한 실험 조건에서 포화점은 5μg/g으로 추정되었으며 완충액 교체와 함께 수행된 측정에서는 최대 농도가 1.5μg/g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는 37°C의 온도에서 수행되었다. 용출 시험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2개의 0.1% w/w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현탁액의 제형 비히클(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모든 제형 부형제를 함유하는 위약 용액)을 사용한 5배 희석을 수행하여 투석장치 내부에서 0.02% w/w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의 최종 농도를 얻었다.
미분화된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1형을 투석 시스템의 수용 구획에서 사용된 동일한 포스페이트 완충액에 현탁시켰다.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방출은 1-2 RPM에서 수행되었다.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1, 3, 5, 20, 24, 48, 72시간)에 1ml의 샘플 분취량을 회수하고 동일한 부피의 용출 매질로 교체하여 50ml 튜브에서 39ml의 일정한 총 부피를 유지하였다.
이 분취량을 즉시 원심분리하고 HPLC로 측정을 수행하였다.
표 7 내지 9에 보고된 결과는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및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1형 미분화 물질의 나노결정의 용해 프로파일이 2개의 시험 샘플 및 기준 샘플이 상이한 입자 크기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유사함을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의 입자 크기는 미분화된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형태 1(D50 = 4.64㎛)의 입자 크기보다 10배 더 작다(D50 = 0.434㎛).
화합물의 용해도는 종종 본질적으로 입자 크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입자가 작을수록 표면적 대 부피 비율이 증가하여 용해도가 증가하는 용매와의 더 큰 상호 작용이 발생하므로 본 연구 결과는 다음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안과용 수성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의 독특한 특성, 즉 작은 입자 크기(나노입자)는 한편으로는 안과용 제형의 편안함 및 내약성을 개선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활성제의 느린 용출 속도 원리는 스테로이드의 전신 흡수와 관련된 원치 않는 부작용과 관련된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의 빠르고 높은 흡수를 방지한다.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실시예 7
비글견(Beagle dog)에서 국소 안과용 수성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 현탁액의 14일 반복 투여 연구
이 연구의 목적은 비글견의 양쪽 눈 위 및 아래눈꺼풀 테두리(여백)에 직접 국소 도포된 본 발명의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현탁액(하기 표 10 참조)의 독성동태(toxicokinetic)를 평가하는 것이었다.
Figure pct00014
방법
50마리의 순종 비글견(수컷 25마리 및 암컷 25마리), 약 5-6개월, 연구 시작 시 체중 5.7-8.8kg인 수컷 및 암컷이 치료군(그룹 1-4)과 비히클군에 할당되었다.
수컷 및 암컷 비글견에게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1.6, 9.6 및 32μg/일(양측 QD 국소 도포) 또는 64μg/일(양측 BID 국소 도포)을 눈꺼풀 도포기를 통해 연속 14일 동안 두 눈을 매일 1회 또는 2회(투여 간격 최소 6시간) 위 및 아래 눈꺼풀에 직접 도포하였다.
독성동태 평가를 위한 혈액은 1일 및 14일에 선택된 시점에서 모든 동물로부터 수집되었다.
치료 시작 전, 도포 첫 번째 및 두 번째 주 동안 및 회복 마지막 주 동안 안과 검사를 수행하였다. 수정된 Draize 척도에 따라 매일 1회 눈을 채점하였다.
결과 및 결론
그룹 평균 혈장 독성동태 변수는 아래 표 11에 요약되어 있다.
결과는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에 대한 노출이 용량 증가에 따라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했음을 보여준다. 수컷과 암컷 동물에 축적되었다는 명확한 증거는 없었다. 노출에서 식별 가능한 성별 관련 차이는 없었다. 개의 14일 흡입 독성 연구에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관련 발견과 관련된 가장 낮은 관찰된 부작용 수준에서 전신 노출(AUC)은 개의 14일 국소 안구 독성 연구(Advair-Diskuss-NDA-021077)의 0.1% QD 및 BID의 안구 용량에서 관찰된 것보다 14배 및 9배 더 높았다.
국소 또는 전신 독성의 증거는 없었다.
Figure pct00015
실시예 8
안검염의 급성 악화 치료를 위한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현탁액의 효능 및 안전성 평가
이 연구의 목적은 안검염이 있는 피험자에서 징후 및 증상을 감소시키는 데 있어서 본 발명의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현탁액의 수성 안과용 제형의 효능 및 안전성을 위약과 비교하는 것이었다.
시험 제형(이하 FP-Form A-NS)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 0.1% w/w (100 nm 내지 1000 nm의 평균 입자 크기), 메틸셀룰로오스 4000 cpP 0.50% w/w, 폴리소르베이트 80 0.2% w/w, 에데테이트 이나트륨 이수화물 0.10% w/w, 붕산 1.0% w/w, 글리세린 0.9% w/w, 염화 벤잘코늄 0.01% w/w, w/w 염화나트륨 0.055%, pH 7.3-7.5에 충분한 양의 조정제로서 염산(1N) 및/또는 수산화나트륨(1N), 100% w/w로 맞추기 위한 적정량의 물.
위약 제형
메틸셀룰로오스 4000 cpP 0.50% w/w, 폴리소르베이트 80 0.2% w/w, 에데테이트 이나트륨 이수화물0.10% w/w, 붕산 1.0% w/w, 글리세린 0.9% w/w, 염화 벤잘코늄 0.01% w/w, 염화나트륨 0.055% w/w, pH 7.3-7.5에 충분한 양의 조정제로서 염산(1N) 및/또는 수산화나트륨(1N),100% w/w로 맞추기 위한 적정량의 물.
연구 설계
이것은 안검염의 징후 및 증상의 치료를 위해 1일 1회 0.1%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현탁액의 안전성과 효능을 평가하는 2상 다기관, 무작위, 이중 은폐(double-masked), 위약 대조 연구다.
이 연구의 대상 인구는 양쪽 눈의 눈꺼풀 경계 충혈(Eyelid Margin Redness), 눈꺼풀 잔해(Eyelid Debris), 눈꺼풀 불편감(Eyelid Discomfort) 각각에 대해 스크리닝 및 기준선 방문(Screening and Baseline Visit)에서 최소 점수 '1'(4점 척도에서)로 정의된 급성 안검염 악화를 경험한 문서화된 안검염 이력이 있는 성인 남성과 여성이었다. 총 15명의 피험자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대상 연령은 55세에서 80세 사이였으며 평균 연령은 70.8세였다.
미국 전역의 3개 임상 현장에서 15명의 환자가 무작위 배정되었으며, 10명의 환자는 FP-Form A-NS를, 5명의 환자는 양쪽 눈 모두에 대해 하루에 한 번 저녁에 위약을 받았다.
연구 방문은 다음과 같았다: 스크리닝(-7일에서 -3일), 기준선/1일, 4일(±1일), 8일(±1일), 11일(±1일), 14일(-1일; 치료의 마지막 날), 및 28일/종료(± 2일; 후속 방문).
시험 나노현탁액(눈당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16μg) 또는 위약을 하루에 한 번 저녁에 도포하였다. 연구 약물은 피험자에 의해 자가 도포되었다.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현탁액의 효능 및 안전성 평가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현탁액(FP-Form A-NS)의 효능 및 안전성은 연구 기간 동안 각각의 투여 후 방문에서 위약과 비교되었다. 이 연구는 안검염의 징후와 증상 외에도 안검염이 있는 피험자에게서 흔히 관찰되는 안구건조증의 특징적인 징후와 증상을 평가하였다.
효능
표 12 및 13에 보고된 연구 결과는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현탁액 치료가 안검염이 있는 피험자의 징후와 증상을 일관되게 개선했으며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현탁액으로 치료한 피험자가 위약으로 치료된 피험자에 비해 기준선에서 잔해, 충혈 및 불편감의 복합 점수에서 감소를 나타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표 12 및 13에 제시된 결과는 연구에서 안검염의 징후 및 증상과 관련이 있다. 눈은 14일 후 치료되고 매일 눈꺼풀 소독(scrub) 절차 전에 수행되었다.
피험자는 다음과 같은 안구 건조 증상을 VAS(Visual Analog Scales)로 평가하였다: 안구 건조, 충혈, 이물감, 가려움증, 눈부심, 통증 및 시야 흐림. 표 14에 보고된 복합 VAS 점수(이러한 증상의 개별 점수의 평균)는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현탁액 치료가 위약에 비해 안구 건조 증상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
안정성
본 발명의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현탁액을 사용한 치료는 내약성이 매우 우수하여 모든 환자가 치료를 완료하였다. 심각한 부작용(SAE)은 없었고 특히 치료 중 또는 치료 중단 후 최대 2주까지 피험자의 안압에서 임상적으로 관련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본 발명의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현탁액이 안검염 및 안구 건조증의 징후 및 증상을 모두 감소시킬 수 있고 치료 및 도포 방법이 안전한 내약성 프로파일을 갖는다는 것을 입증한다.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실시예 9
실시예 2의 나노현탁액의 안정성 평가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나노현탁액 조성물은 세 가지 다른 온도 및 습도 조건(5°C, 25°C/40% RH; 40°C/25% RH)에서 나노현탁액을 보관하여 보관안정성 시험을 거쳤다. 나노현탁액의 재현탁성,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의 함량, 입자 크기 분포 및 염화 벤잘코늄의 함량을 1개월 및 3개월 시점(실시예 3 및 표 2 및 3에 보고된 결과 참조), 5개월 시점 40°C에서(표 15), 최대 12개월 5°C 및 25°C에서 평가되었다(표 16).
표 15 및 16에 보고된 결과는 나노현탁액이 저장 시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안정함을 보여준다. 보관 시 나노현탁액의 물리적 외관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나노현탁액은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의 화학적 분석이 보관 시 라벨 표시의 90% - 110% 한도 내에 있기 때문에 화학적 분해의 징후를 나타내지 않았다. 관련 물질 및 총불순물은 보관 시 규정된 한도 내에서 4% 이하로 남아 있었다.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Claims (23)

100nm 내지 1000nm의 평균 입자 크기 및 0.001% w/w 내지 1% w/w인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을 함유하는 무균 국소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a) 메틸셀룰로오스 4000 cpcP 0.5% w/w, 붕산 1.0% w/w, 에데테이트 이나트륨 이수화물 0.1% w/w, 염화 나트륨 0.1% w/w, 염화 벤잘코늄 0.01% w/w, 폴리소르베이트 80 0.2% w/w, pH 7.3 내지 7.5로 조정하기 위한 1N 염산 및/또는 1N 수산화 나트륨과 100% w/w로 맞추는 물을 함유하는 수성 비히클 1를 제조하는 단계;
b) 2% w/w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농도를 함유하는 슬러리를 얻기 위해 100 nm 내지 1000 nm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일정량의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나노결정 A형을 일정량의 수성 비히클 1과 혼합하는 단계;
c) 단계 b)의 슬러리에 고전단, 고속 혼합을 10분 이상 가하는 단계;
d) 글리세린 1.8% w/w, 메틸셀룰로오스 4000 cpcP 0.5% w/w, 붕산 1.0% w/w, 에데테이트 이나트륨 이수화물 0.1% w/w, 염화 나트륨 0.055% w/w, 염화 벤잘코늄 0.01% w/w, 폴리소르베이트 80 0.2% w/w, pH 7.3 내지 7.5로 조정하기 위한 1N 염산 및/또는 1N 수산화 나트륨과 100% w/w로 맞추기 위한 적정량의 물을 함유하는 수성 비히클 2를 제조하는 단계;
e) 약 1% w/w의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슬러리를 얻기 위해 단계 c)의 슬러리에 수성 비히클 2의 분취량을 가하는 단계;
f) 타겟 평균 입자 크기를 얻기 위해 단계 e)의 슬러리에 고전단, 고속 혼합을 가하는 단계;
g) 단계 f)의 나노현탁액을 오토클레이빙으로 살균하는 단계;
h) 글리세린 0.9% w/w, 메틸셀룰로오스 4000 cpcP 0.9% w/w, 붕산 1.0% w/w, 에데테이트 이나트륨 이수화물 0.1% w/w, 염화 나트륨 0.055% w/w, 염화 벤잘코늄 0.01% w/w, 폴리소르베이트 80 0.01% w/w, pH 7.3 내지 7.5로 조정하기 위한 1N 염산 및/또는 1N 수산화 나트륨과 100% w/w로 맞추기 위한 적량의 물을 함유하는 수성 비히클 3를 제조하고; 상기 수성 비히클 3을 여과하여 살균하는 단계;
i) 단계 g)의 살균된 나노현탁액에 무균 수성 비히클 3의 분취량을 무균적으로 가하여 타켓 농도의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나노결정 A형을 함유하는 살균 국소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의 나노결정은 약7.8, 15.7, 20.8, 23.7, 24.5 및 32.5도 2θ, 및 약9.9, 13.0, 14.6, 16.0, 16.9, 18.1 및 34.3도 2θ에서 피크를 함유하는 X선 분말 회전 패턴를 갖고, 상기 나노결정은 나노플레이트의 두께를 정의하는 표면에 실질적으로 노말인 [001] 결정학적 축을 갖는 나노플레이트인 제조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최종 무균 국소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의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의 농도가 0.001% w/w 내지 0.5% w/w인 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최종 무균 국소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의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의 농도가 0.5% w/w, 0.25% w/w, 0.2% w/w, 0.1% w/w, 0.05% w/w, 0.03% w/w, 0.01% w/w 또는 0.005% w/w인 방법.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c)와 단계 f)에서의 고전단, 고속 혼합이 6000RPM에서 수행되는 방법.
청구항 4에 있어서, 단계 f)에서 고전단, 고속 혼합이 10분 이상 가해지는 방법.
청구항 1 내지 5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비히클 1 및 2가 사용되기 전 0.2 ㎛ 필터를 통해 여과되는 방법.
청구항 1 내지 6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g)의 살균이 단계 f)의 나노현탁액을 약 122°C에서 약 40분동안 오토클레이빙하여 수행되는 방법.
100 nm 내지 1000 nm의 평균 입자 크기 및 0.001% w/w 내지 1% w/w의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농도를 갖는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을 함유하는 무균 국소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의 제조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a-1) 100 nm 내지 1000 nm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을 살균하는 단계;
b-1) 메틸셀룰로오스 4000 cpcP 0.5% w/w, 붕산 1.0% w/w, 에데테이트 이나트륨 이수화물 0.1% w/w, 염화 나트륨 0.1% w/w, 염화 벤잘코늄 0.01% w/w, 폴리소르베이트 80 0.2% w/w, pH 7.3 내지 7.5로 조정하기 위한 1N 염산 및/또는 1N 수산화 나트륨과 100% w/w로 맞추기 위한 적량의 물을 함유하는 수성 비히클 1를 제조하고; 상기 수성 비히클 1를 여과로 살균하는 단계;
c-1) 2% w/w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농도를 함유하는 슬러리를 얻기 위해 무균적으로 살균된 일정량의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나노결정 A형을 일정량의 살균된 수성 비히클 1과 혼합하는 단계;
d-1) 단계 c-1)의 슬러리에 고전단, 고속 혼합을 10분 이상 가하는 단계;
e-1) 글리세린 1.8% w/w, 메틸셀룰로오스 4000 cpcP 0.5% w/w, 붕산 1.0% w/w, 에데테이트 이나트륨 이수화물 0.1% w/w, 염화 나트륨 0.055% w/w, 염화 벤잘코늄 0.01% w/w, 폴리소르베이트 80 0.2% w/w, pH 7.3 내지 7.5로 조정하기 위한 1N 염산 및/또는 1N 수산화 나트륨과 100% w/w로 맞추기 위한 적량의 물을 함유하는 수성 비히클 2를 제조하고; 상기 수성 비히클 2를 여과로 살균하는 단계;
f-1) 약 1% w/w의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슬러리를 얻기 위해 단계 d-1)의 슬러리에 수성 비히클 2의 분취량을 가하는 단계;
g-1) 타겟 평균 입자 크기를 얻기 위해 단계 f-1)의 슬러리에 고전단, 고속 혼합을 가하는 단계;
h-1) 글리세린 0.9% w/w, 메틸셀룰로오스 4000 cpcP 0.9% w/w, 붕산 1.0% w/w, 에데테이트 이나트륨 이수화물 0.1% w/w, 염화 나트륨 0.055% w/w, 염화 벤잘코늄 0.01% w/w, 폴리소르베이트 80 0.01% w/w, pH 7.3 내지 7.5로 조정하기 위한 1N 염산 및/또는 (1N) 수산화 나트륨과 100% w/w로 맞추기 위한 적량의 물을 함유하는 수성 비히클 3를 제조하고; 상기 수성 비히클 3을 여과하여 살균하는 단계;
i-1) 살균된 수성 비히클 3의 분취량을 단계 g-1)의 나노현탁액에 무균적으로 첨가하여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나노결정 A형의 최종 농도를 함유하는 무균 국소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의 나노결정은 약7.8, 15.7, 20.8, 23.7, 24.5 및 32.5도 2θ, 및 약9.9, 13.0, 14.6, 16.0, 16.9, 18.1 및 34.3도 2θ에서 피크를 함유하는 X선 분말 회전 패턴를 갖고, 상기 나노결정은 나노플레이트의 두께를 정의하는 표면에 실질적으로 노말인 [001] 결정학적 축을 갖는 나노플레이트인 제조방법.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최종 무균 국소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의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의 농도가 0.001% w/w 내지 0.5% w/w인 방법.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최종 무균 국소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의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의 농도가 0.5% w/w, 0.25% w/w, 0.2% w/w, 0.1% w/w, 0.05% w/w, 0.03% w/w, 0.01% w/w 또는 0.005% w/w인 방법.
청구항 8 내지 10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a-1)에서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이 2% w/w 내지 20% w/w의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농도를 갖는 주사용수 중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의 현탁액을 오토클레이빙함으로써 살균하는 방법.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물에서의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의 현탁액이 약 122°C에서 약 30분 동안 오토클레이빙되는 방법.
청구항 8 내지 12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d-1) 및 단계 g-1)에서의 고전단, 고속 혼합이 6000RPM에서 수행되는 방법.
청구항 13에 있어서, 단계 g-1)의 고전단, 고속 혼합이 10분이상 가해지는 방법.
청구항 1 내지 1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나노결정 A형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1)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동질이상형(polymorph) 1 0.45% w/w,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400(PEG400) 23.2% w/w, 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 400(PPG400) 68.8% w/w, 폴리소르베이트 80(Tween 80) 7.6% w/w을 포함하는 상 Ⅰ 용액을 제조하고; 0.8/0.2 ㎛ 폴리에터설폰(PES)필터로 여과하는 단계;
2) 염화 벤잘코늄 0.01% w/w, 메틸셀룰로오스 15 Cp 0.40% w/w,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스테아레이트 40(PEG-40 stearate), pH 3.4 내지 3.8로 조정하기 위한 시트르산 완충액 및 100% w/w로 맞추기 위한 적량의 물을 포함하는 상 Ⅱ 용액을 제조하고; 0.8/0.2 ㎛ 폴리에터설폰(PES) 필터로 여과하는 단계;
3) 여과된 상 Ⅰ 과 상 Ⅱ 용액을 0 내지 4°C로 냉각하는 단계;
4) 상 Ⅲ 나노결정 현탁액을 얻기 위해 초음파변환기(QSonica Q2000 초음파 변환기)가 장착된 반응기에서 상 Ⅰ 및 상 Ⅱ과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로서:
- 상 I 용액 및 상 Ⅱ 용액을 각각 600 ml/분(상 I 용액) 및 2400 ml/분(상 Ⅱ 용액)의 유속으로 반응기 내로 연속적으로 펌핑하여 상 Ⅲ 현탁액을 수득;
- 상 Ⅰ 대 상 Ⅱ 의 부피 비율은 1:4;
- 60%의 출력으로 혼합하면서 초음파 처리;
- 상 Ⅲ 현탁액의 평균 온도는 약 11°C; 및
5) 초음파 처리가 없는 상태에서 최소 30분 동안 실온에서 소용돌이를 생성하기에 충분한 속도로 단계 4)의 저전단 상Ⅲ 현탁액 혼합 단계;
6) 상 Ⅲ 현탁액을 40°C에서 16시간 이상의 기간에 걸쳐 어닐링(annealing)하는 단계;
7) 폴리에틸렌 글리콜 스테아레이트(PEG-40 stearate) 0.2% w/w, 폴리소르베이트 80(Tween 80) 0.2% w/w, 염화 벤잘코늄 0.001% w/w, 제1인산나트륨 1수화물(sodium phosphate monobasic monohydrate) 0.05% w/w, 제2인산나트륨 2수화물(sodium phosphate dibasic dihydrate) 0.02% w/w 및 100% w/w로 맞추기 위한 적량의 물을 포함하고 pH가 6.3±0.2인 완충용액을 제조하고; 0.8/0.2 ㎛ 폴리에터설폰(PES) 필터로 완충 용액 여과하는 단계;
8) 단계 6)의 상 Ⅲ 현탁액을 여과된 완충 용액으로 상기 완충용액 대 상 Ⅲ용액 부피 비가 1:1이 되도록 희석하는 단계;
9) 희석된 상 Ⅲ 현탁액을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나노결정 A형을 회수하기 위해 원심분리하고 회수된 나노결정을 세척하는 단계;
10) 수집된 나노결정을 주사용수로 세척하는 단계
에 따른 방법.
눈꺼풀, 속눈썹 또는 눈꺼풀 경계에 국소적으로 투여할 수 있는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에 있어서:
(a)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 0.001% 내지 1% w/w;
(b) 메틸셀룰로오스 4000 cpcP 0.50% w/w;
(c) 폴리소르베이트 80 0.2% w/w;
(d) 에데테이트 이나트륨 이수화물 0.10% w/w;
(e) 붕산1.0% w.w;
(f) 글리세린 0.9% w/w;
(g) 염화 벤잘코늄 0.01% w/w;
(h) 염화 나트륨 0.055% w/w;
(i) pH 7.3내지 7.5로 조정하기 위한 1N 염산 및/또는 1N 수산화 나트륨; 및
(j) 100% w/w로 맞추기 위한 적량의 물로 구성되면서,
상기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은 100 nm 내지 1000 nm의 평균 입자 크기, 약7.8, 15.7, 20.8, 23.7, 24.5 및 32.5도 2θ, 및 약9.9, 13.0, 14.6, 16.0, 16.9, 18.1 및 34.3도 2θ에서 피크를 함유하는 X선 분말 회전 패턴를 갖고, 상기 나노결정은 나노플레이트의 두께를 정의하는 표면에 실질적으로 노말인 [001] 결정학적 축을 갖는 나노플레이트인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의 농도가 0.001% w/w 내지 0.5% w/w인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의 농도가 0.5% w/w, 0.25% w/w, 0.2% w/w, 0.1% w/w, 0.05% w/w, 0.03% w/w, 0.01% w/w 또는 0.005% w/w인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의 농도가 0.2% w/w 또는 0.1% w/w 또는 0.05% w/w인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
청구항 16 내지 19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검염, 후안검염, 마이봄샘기능장애 또는 안구건조증의 치료방법에 사용하기 위해 효과적인 양의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을 눈꺼풀, 속눈썹, 또는 눈꺼풀 경계에 국소 도포 방법 포함하는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
청구항 16 내지 19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검염, 후안검염, 마이봄샘기능장애 또는 안구건조증과 관련된 증상/또는 임상징후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사용하기 위해 효과적인 양의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을 눈꺼풀, 속눈썹, 또는 눈꺼풀 경계에 국소 도포 방법 포함하는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
청구항 16에 있어서, 청구항 20 또는 21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에 있어서, 상기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이
(a)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태 나노결정 0.1% w/w;
(b) 메틸셀룰로오스 4000 cpcP 0.50% w/w;
(c) 폴리소르베이트 80 0.2% w/w;
(d) 에데테이트 이나트륨 이수화물 0.10% w/w;
(e) 붕산 1.0% w/w;
(f) 글리세린 0.9% w/w
(g) 염화 벤잘코늄 0.01% w/w;
(h) 염화 나트륨 0.055% w/w;
(i) pH 7.3 내지 7.5위한 충분한 양의 조정제로서 1N 염산 및/또는 1N 수산화 나트륨과 100% w/w 로 맞추기 위한 적량의 물로 구성되고
상기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은 100 nm 내지 1000 nm의 평균 입자 크기, 약7.8, 15.7, 20.8, 23.7, 24.5 및 32.5도 2θ, 및 약9.9, 13.0, 14.6, 16.0, 16.9, 18.1 및 34.3도 2θ에서 피크를 함유하는 X선 분말 회전 패턴를 갖고, 상기 나노결정은 나노플레이트의 두께를 정의하는 표면에 실질적으로 노말인 [001] 결정학적 축을 갖는 나노플레이트인 나노현탁액.
청구항 20 내지 22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눈꺼풀, 속눈썹, 또는 눈꺼풀 경계에 하루에 한번 이상 2주 이상 국소적으로 도포되는 방법을 포함하는 안과용 수성 나노현탁액.

KR1020227006020A 2019-07-23 2020-07-21 무균 안과용 수성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 현탁액을 제조하는 방법 KR202200384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77599P 2019-07-23 2019-07-23
US62/877,599 2019-07-23
US201962942551P 2019-12-02 2019-12-02
US62/942,551 2019-12-02
PCT/IB2020/056832 WO2021014348A1 (en) 2019-07-23 2020-07-21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terile ophthalmic aqueous fluticasone propionate form a nanocrystals suspens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443A true KR20220038443A (ko) 2022-03-28

Family

ID=71738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6020A KR20220038443A (ko) 2019-07-23 2020-07-21 무균 안과용 수성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a형 나노결정 현탁액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3) US11406596B2 (ko)
EP (1) EP3769753B1 (ko)
JP (2) JP7021301B2 (ko)
KR (1) KR20220038443A (ko)
CN (2) CN111821261B (ko)
AU (1) AU2020317084A1 (ko)
CA (1) CA3145055A1 (ko)
CY (1) CY1124930T1 (ko)
DK (1) DK3769753T3 (ko)
ES (1) ES2905793T3 (ko)
HR (1) HRP20220165T1 (ko)
HU (1) HUE057416T2 (ko)
LT (1) LT3769753T (ko)
MD (1) MD3769753T2 (ko)
MX (1) MX2022000928A (ko)
PL (1) PL3769753T3 (ko)
PT (1) PT3769753T (ko)
RS (1) RS62932B1 (ko)
SI (1) SI3769753T1 (ko)
TW (1) TW202116326A (ko)
WO (1) WO20210143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54238A (zh) * 2022-10-25 2023-01-03 苏州欧康维视生物科技有限公司 眼用混悬液及其制备方法
CN115887372A (zh) * 2022-10-25 2023-04-04 苏州欧康维视生物科技有限公司 丙酸氟替卡松混悬液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7218B2 (ja) * 1992-05-06 2002-10-21 アルコン ラボラ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眼科用組成物におけるホウ酸塩−ポリオール複合体の使用
JP3450805B2 (ja) * 2000-08-08 2003-09-29 わかもと製薬株式会社 水性医薬組成物
US6900184B2 (en) * 2003-04-14 2005-05-31 Wyeth Holdings Corporation Compositions containing pipercillin and tazobactam useful for injection
US20060229219A1 (en) * 2005-04-11 2006-10-12 Advanced Medical Optics, Inc. Borate-polyol mixtures as a buffering system
US8010032B2 (en) * 2005-05-23 2011-08-30 Xerox Corporation Fuser member comprising deflocculated material
CA2764473A1 (en) 2009-06-05 2010-12-09 Aciex Therapeutics, Inc. Ophthalmic formulations of fluticasone and methods of use
TWI489997B (zh) 2009-06-19 2015-07-01 Alcon Res Ltd 含有硼酸-多元醇錯合物之水性藥學組成物
US20130065888A1 (en) * 2011-08-15 2013-03-14 Biserka Cetina-Cizmek Ophthalmic formulations 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CN104350063B (zh) * 2012-05-08 2018-01-05 尼科斯眼药公司 疏水性治疗剂的制剂、其制备方法及应用
BR112015014262A8 (pt) * 2012-12-17 2019-10-08 Glaxo Group Ltd formulação farmacêutica, dispositivo adaptado para distribuição intranasal de uma formulação farmacêutica, e, uso de uma formulação farmacêutica
TWI773641B (zh) 2015-05-08 2022-08-11 日商活效製藥股份有限公司 含有糖皮質類固醇(glucocorticoids)之奈米微粒子之水性懸浮液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69753B1 (en) 2021-11-17
CN115120557A (zh) 2022-09-30
TW202116326A (zh) 2021-05-01
ES2905793T3 (es) 2022-04-12
AU2020317084A1 (en) 2022-03-03
HUE057416T2 (hu) 2022-05-28
US11406596B2 (en) 2022-08-09
SI3769753T1 (sl) 2022-04-29
JP2022062172A (ja) 2022-04-19
CN111821261B (zh) 2022-07-26
PT3769753T (pt) 2022-02-15
US20220323352A1 (en) 2022-10-13
CN115120557B (zh) 2024-05-07
RS62932B1 (sr) 2022-03-31
MD3769753T2 (ro) 2022-04-30
JP7021301B2 (ja) 2022-02-16
US20210023001A1 (en) 2021-01-28
CN111821261A (zh) 2020-10-27
MX2022000928A (es) 2022-02-22
WO2021014348A1 (en) 2021-01-28
CY1124930T1 (el) 2023-01-05
LT3769753T (lt) 2022-05-10
HRP20220165T1 (hr) 2022-04-29
CA3145055A1 (en) 2021-01-28
DK3769753T3 (da) 2022-01-31
JP2021017449A (ja) 2021-02-15
US20220241296A1 (en) 2022-08-04
PL3769753T3 (pl) 2022-04-04
EP3769753A1 (en)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55917B2 (ja) 眼科用活性医薬成分送達のためのシクロデキストリン固体複合体の製造
JP5558582B2 (ja) 眼科用医薬組成物の調製方法
WO2018036522A1 (zh) 羊毛甾醇类化合物眼用制剂
US20220323352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terile ophthalmic aqueous fluticasone propionate form a nanocrystals suspensions
KR20180004164A (ko) 글루코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나노미립자를 함유하는 수성 현탁액제
JP2013508420A (ja) 点眼製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450020B1 (ko) 약물 전달 및 전안부 보호를 위한 안구용 제제
JP6655018B2 (ja) 点眼用懸濁製剤
KR20220031909A (ko) 약물을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의 pH를 안정화하는 방법
KR102271247B1 (ko) 안과용 현탁액 조성물의 제조방법
WO2022195382A1 (en) A stable ophthalmic nanosupension of brinzolamide
CN115837027A (zh) 一种眼用地塞米松药物组合物
JPH1036253A (ja) 水性懸濁点眼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