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7377A - 접지용 부품 - Google Patents

접지용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7377A
KR20220037377A KR1020210123768A KR20210123768A KR20220037377A KR 20220037377 A KR20220037377 A KR 20220037377A KR 1020210123768 A KR1020210123768 A KR 1020210123768A KR 20210123768 A KR20210123768 A KR 20210123768A KR 20220037377 A KR20220037377 A KR 20220037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ase
plug
connector
grounding component
grou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4634B1 (ko
Inventor
코스케이 마에바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220037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ground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보다 향상된 내구성을 가지는 그라운드 회로를 형성할 수 있는 접지용 부품을 제공한다.
도전성을 가지는 접지용 부품이 제공된다. 당해 접지용 부품은 도전성을 가지는 제1 모터 케이스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 면, 제1 모터 케이스에 대향하여 마련되는 절연성을 가지는 제2 모터 케이스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면, 및 도전성을 가지는 플러그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3 면을 적어도 가지며, 제1 면 및 제3 면과 제2 면이 접지용 부품에서 표리의 관계이며, 제1 모터 케이스와 플러그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제1 면과 제3 면이 서로 연속하고, 제2 모터 케이스가 플러그와 결합 가능한 커넥터를 구비하고, 제2 모터 케이스에서 적어도 제3 면의 일부가 접촉 회피 형상을 가진다.

Description

접지용 부품{COMPONENT FOR GROUNDING}
본 개시는 도전성을 가지는 접지용 부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모터와 플러그 사이에 배치되어 그라운드 회로를 형성할 수 있는 접지용 부품에 관한 것이다.
도전 케이블에 연결된 플러그와 결합이 가능한 커넥터가 절연성 케이스 등의 부품을 통해 고정 된 모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 일본특허 제 6591125호 공보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등에 기재된 종래의 모터는 모터 본체를 덮는 "도체"로 구성된 케이스(제1 하우징)와 모터의 회전 등을 감지하는 인코더 등을 덮는 "절연체"로 구성된 케이스(제2 하우징)를 구비한다. 제2 하우징은 인코더에 연결되는 커넥터를 구비한다. 커넥터는 모터의 외부와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와 결합 가능하다. 모터는 이와 같은 플러그에 연결된 도전 케이블을 통해 모터의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모터는 "절연체"로 구성된 제2 하우징과 이 제2 하우징에 배치된 "도체"로 구성된 커넥터 사이에 "접지용 부품"으로 판상의 금구가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절연체"로 구성된 제2 하우징과 "도체"로 구성된 커넥터 사이에 판상의 금구를 개재하고, 이들을 나사로 함께 조인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의 도 3 참조). 한편, 이러한 판상의 금구는 "절연체"로 구성된 제2 하우징과 "도체"로 구성된 제1 하우징 사이에도 배치되도록 절곡되어 제1 하우징과도 접촉하여 도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의 도 4 참조). 종래의 모터는 이러한 판상의 금구에 의해 "도체"로 구성된 제1 하우스와 이와 마찬가지로 "도체"로 구성된 커넥터 사이에 그라운드 회로(GND 회로) 등의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한다.
본원 발명자는 종래의 모터에서 그라운드 회로 등의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하는 접지용 부품에 극복해야 할 과제가 있음을 알아내 이를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과제가 있다는 것을 본원 발명자들은 발견했다.
종래의 접지 금구로는, 예를 들어 모터의 장시간 사용 등에 의한 가혹한 온도 환경에서, 그라운드 회로를 유지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모터의 각 부품의 팽창, 더 구체적으로는 "절연체"로 구성된 제2 하우징 및 커넥터 등의 부품의 팽창이나 이러한 팽창 후의 수축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에 의해 접지 금구를 함께 조이는 나사 등이 느슨해짐으로써 그라운드 회로를 유지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일례로 100℃ 이상에서 일정 시간 이상의 가혹한 온도 환경에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105℃에서 10일간의 가혹한 온도 환경에서 그라운드 회로를 유지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또는 일례로 마이너스 55℃에서 85℃범위에서의 온도 사이클 시험(25시간)에서, 그라운드 회로를 유지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고온 시험기 내부에서의 팽창이나 고온 시험기에서 꺼낸 후 상온으로 돌아가는 과정에서의 수축 등에 의해 그라운드 회로를 유지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또한, 종래의 접지 금구는 "도체"로 구성된 커넥터와 "절연체"로 구성된 제2 하우징 사이에 판상의 접지 금구를 개재하여 나사로 함께 조인 점에 문제가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보수 점검 등을 위해 플러그를 탈부착할 때 커넥터나 제2 하우징, 이들 사이에 배치된 접지 금구가 파손되어 그라운드 회로를 유지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본 개시는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개시의 주된 목적은 보다 향상된 내구성을 가지는 그라운드 회로를 형성할 수 있는 접지용 부품의 제공이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 기술의 연장선상에서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방향에서 대처함으로써 상기 과제의 해결을 시도했다. 그 결과, 상기 주된 목적을 달성한 접지용 부품의 발명에 이르렀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지용 부품의 형상의 일부를 커넥터와 접촉하지 않는 형상(이하 "접촉 회피 형상"이라 함)으로 하여 접지용 부품과 커넥터의 직접적 또는 물리적인 접촉을 회피함으로써 접지용 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검토했다.
다음으로, 접지용 부품을 종래와 같이 커넥터가 아니라 도전성 플러그와 직접적 또는 물리적으로 접촉시킴으로써 플러그와 도전성 모터 케이스 사이에서 그라운드 회로 등의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하는 것을 검토했다.
예의 연구한 결과, 이러한 구성으로 가혹한 온도 환경에서도 그라운드 회로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개시에서는 도전성을 가지는 접지용 부품이 제공된다. 당해 접지용 부품은 도전성을 가지는 제1 모터 케이스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 면, 상기 제1 모터 케이스에 대향하여 마련되는 절연성을 가지는 제2 모터 케이스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면, 및 도전성을 가지는 플러그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3 면을 적어도 가지며,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2 면이 상기 접지용 부품에서 표리의 관계이며, 상기 제1 모터 케이스와 상기 플러그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3 면이 서로 연속하고, 상기 제2 모터 케이스가 상기 플러그와 결합 가능한 커넥터를 구비하고, 해당 제2 모터 케이스에서 적어도 상기 제3 면의 일부가 접촉 회피 형상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상기 접지용 부품을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 또는 간단하게 "접지용 부품"이라 한다.
본 개시에서는 보다 향상된 내구성을 가지는 그라운드 회로 등의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할 수 있는 접지용 부품을 얻을 수 있다. 특히, 플러그와 도전성 모터 케이스 사이에서 보다 향상된 내구성을 가지는 그라운드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또한 부가적인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모터에 관련된 주요 부품과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접지용 부품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제1 모터 케이스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제2 모터 케이스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커넥터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플러그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접지용 부품, 제1 모터 케이스, 제2 모터 케이스, 제2 모터 케이스에 마련된 커넥터와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접지용 부품과 제1 모터 케이스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접지용 부품과 플러그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의 변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개시는 도전성을 가지는 접지용 부품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10)은 판상 또는 시트 형상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은,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면"(도 2의 부호 11로 나타낸 면), "제2 면"(도 2의 부호 12로 나타낸 면) 및 "제3 면"(도 2의 부호 13으로 나타낸 면)을 적어도 가진다.
제1 면(11)은 도전성을 가지는 제1 모터 케이스(1)에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 면이다.
제2 면(12)은 제1 모터 케이스(1)에 대향하여 마련되는 절연성을 가지는 제2 모터 케이스(2)에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 면이다.
제3 면(13)은 도전성을 가지는 플러그(3)에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 면이다(도 1A 참조).
제1 면 및 제3 면과 제2 면이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에서 표리의 관계이다(도 2 참조).
제1 모터 케이스(1)와 플러그(3)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제1 면(11)과 제3 면(13)이 서로 연속한다(도 2 참조).
제2 모터 케이스(2)는 플러그(3)와 결합 가능한 커넥터(4)를 구비하고, 제2 모터 케이스(2)에 있어서,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은 예를 들면 커넥터(4)의 주위에 위치할 수 있도록 커넥터(4)와 접촉하지 않는 형상, 예를 들면 위에서 봤을 때, 실질적으로 U자형 등의 "접촉 회피 형상"을 가진다(도 1A 및 도 2 참조). 또한, 당해 접지용 부품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실질적으로 U 자형 이외에도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프레임 형상), 실질적으로 C자형, 실질적으로 원형, 다각형 등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도전성"을 가지는 제1 모터 케이스(1, 도 4 참조)와 마찬가지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도전성"을 가지는 플러그(3, 도 7 참조) 사이에서 전기적인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절연성"을 가지는 제2 모터 케이스(2)에 배치된 "접지용 부품"을 통해 제1 모터 케이스(1)와 플러그(3) 사이에 그라운드 회로 등의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전기적인 연결은 보다 향상된 내구성을 가진다. 특히 가혹한 온도 환경에서 보다 향상된 내구성을 가지는 전기적인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은 도시한 형태에 한정하여 해석해서는 안 된다.
이하, 본 개시에서 사용하는 용어 및 모터의 주요 부품을 간단히 설명한 후,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전성"이란 전기 전도성을 칭할 수도 있으며, 일반적으로 전기를 통과시킬 수 있는 성질을 의미한다. "도전성"이라는 용어를 이하의 "절연성"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전기를 전달하기 쉬운 성질을 "도전성"이라 칭할 수 있다.
"절연성"이란 전기 절연성이라 칭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전기를 통과시킬 수 없는 성질을 의미한다. "절연성"이라는 용어를 상기의 "도전성"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전기를 전달하기 어려운 성질을 "절연성"이라고 칭할 수 있다.
"전기적 연결"이란 일반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전기적으로 도통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라운드"(GND)란 전압이 기준(예를 들어 0V)이 되는 전위점을 의미한다. 따라서, 그라운드 회로란 전압이 기준(예를 들어 0V)이 되는 전위점을 설치할 수 있는 회로 또는 경로를 의미한다.
"가혹한 온도 환경"이란 예를 들어,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모터의 장기간에 걸친 연속적 또는 단속적인 운전이나, 예를 들어 제조 과정 등에서 온도 부가 등에 의해 모터나 모터 주위의 온도가 상승한 환경 등을 의미한다. 가혹한 온도 환경은, 예를 들면 실온 이상의 온도를 포함하며, 일례로 제조 과정 등에서 50℃이상 200℃이하의 환경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조 과정 등에서 140℃에서 200℃정도의 온도에 노출되는 환경을 의미한다. 또한, 일례로 100℃이상에서 일정 시간 이상의 온도 환경, 보다 구체적으로는 105℃에서 10일간의 환경을 의미한다. 또는 가혹한 온도 환경에는 일례로 마이너스 55℃에서 85℃범위의 온도 사이클 시험(25시간)에서의 환경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본 개시는 이러한 "가혹한 온도 환경"에서도 전기적인 연결, 특히 그라운드 회로를 유지할 수 있다.
(모터)
"모터"란 전동기라고도 불리며, 전기적 에너지를 역학적 또는 기계적 에너지로 바꿀 수 있는 원동기를 의미한다. 모터에는 직류전동기 및 교류전동기 등이 포함된다. 모터로는 시판되는 모터를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모터는 일반적으로 모터 본체, 모터 본체를 덮는 제1 케이스(이하 "제1 모터 케이스"라 함), 및 이 제1 모터 케이스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는 제2 케이스(이하, "제2 모터 케이스"라 함)를 구비한다.
"모터 본체"는 기본적으로 회전자와 고정자를 구비한다. 모터 본체에는 회전을 외부에 전달하기 위한 회전축 등이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회전축에는 베어링이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베어링은 제1 모터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모터 케이스"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2 모터 케이스"에 대향하여 배치할 수 있는 부품이다. 제1 모터 케이스는 일반적으로 "도전성"을 가진다. 제1 모터 케이스는 예를 들어 금속 및/또는 합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터 케이스는 강도 및/또는 방열 등의 관점에서 금속 및/또는 합금을 포함하는 다이캐스트 등의 도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4에 본 개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제1 모터 케이스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낸 제1 모터 케이스(1)는 케이스 본체(1a)의 받침대부(1a')에 인코더부(1b)를 가질 수 있다.(도 4A).
여기서, 도 4(A)는 제1 모터 케이스(1)의 일 측면을 나타낸다. 도 4(B)는 인코더부(1b) 측에서 본 제1 모터 케이스(1)를 나타낸다. 도 4(C)는 인코더부(1b)의 반대 측에서 본 제1 모터 케이스(1)를 나타낸다(회전축 등은 도시하지 않음). 도 4(D)는 제1 모터 케이스(1)의 다른 측면을 나타낸다. 도 4(E)는 상측(제2 모터 케이스(2)에 커넥터(4)를 장착하는 측)에서 본 제1 모터 케이스(1)를 나타낸다. 도 4(F)는 하측(상측의 반대 측)에서 본 제1 모터 케이스(1)를 나타낸다. 제1 모터 케이스(1)는 도시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코더부(1b)에는 예를 들면 모터의 회전, 구체적으로는 회전자 및/또는 회전축의 회전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가 설치될 수 있다. 검출기에는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이용한 광 검출기 및/또는 자기를 이용한 자기 검출기 등이 포함된다. 인코더부(1b)는 외부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장치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인코더부(1b)를 통해 모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케이스 본체(1a)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 본체(1a)의 단면 형상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어도 되고, 실질적으로 구형이어도 된다.
받침대부(1a')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원반 형태 또는 환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코더부(1b)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원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코더부(1b)는 도시한 양태와 같이 케이스 본체(1a)의 받침대부(1a')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도 4B 참조).
"제2 모터 케이스"는 제1 모터 케이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낸 케이스 본체(1a), 받침대부(1a') 및/또는 인코더부(1b)에 대향하여 배치할 수 있는 부품이다. 제2 모터 케이스는 예를 들면 도전 케이블(5)에 연결된 플러그(3)와 결합 가능한 커넥터(4) 등을 장착함으로써 "절연성"을 가진다(도 1A 참조).
제2 모터 케이스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등의 재료, 예를 들어 적절한 강도 및 내구성을 가지는 절연성 플라스틱 등의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본 개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제2 모터 케이스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낸 제2 모터 케이스(2)는 제1 모터 케이스(1)에 대향하여 바람직하게는 제1 모터 케이스(1)의 인코더부(1b)를 덮는 듯한 형상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모터 케이스(1)의 인코더부(1b)를 덮을 수 있는 실질적으로 원형인 부분과 제1 모터 케이스(1)의 본체 부분(1a)과 대향하여 접촉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태의 부분을 가진다. 또한, 제2 모터 케이스(2)는,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커넥터(4)를 장착하기 위한 스테이지(21)를 구비할 수 있다. 스테이지(21)는 커넥터(4)의 일부, 구체적으로는 바닥부의 일부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22)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도 5(A)는 외측(제1 모터 케이스(1)에 면하지 않는 측)에서 본 제2 모터 케이스(2)를 나타낸다. 도 5(B)는 상측(커넥터(4)를 장착하는 측)에서 본 제2 모터 케이스(2)를 나타낸다. 도 5(C)는 제1 모터 케이스(1)의 인코더부(1b)에 면하는 측에서 본 제2 모터 케이스(2)를 나타낸다. 도 5(D)는 제2 모터 케이스(2)의 일 측면을 나타낸다. 도 5(E)는 제2 모터 케이스(2)의 다른 측면을 나타낸다. 도 5(F)는 하측(상측의 반대 측)에서 본 제2 모터 케이스(2)를 나타낸다. 제2 모터 케이스(2)는 도시하는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2 모터 케이스(2)는 제1 모터 케이스(1)에 대향하여 배치할 수 있고, 서로를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모터 케이스(2)의 제1 모터 케이스(1)에 대한 결합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임의의 잠금 기구, 나사 등의 고정 수단, 감합 및/또는 계합에 의한 결합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커넥터)
"커넥터"는 제2 모터 케이스에 장착되어, 제1 모터 케이스에 수용될 수 있는 모터 본체 및/또는 제1 모터 케이스(1)에 포함될 수 있는 인코더부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부품이다. 커넥터로는 시판되는 커넥터를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본 개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커넥터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6(A)는 상측(플러그(3)와 결합하는 측)에서 본 커넥터(4)를 나타낸다. 도 6(B)는 하측(제2 모터 케이스(2)와 결합하는 측)에서 본 커넥터(4)를 나타낸다. 도 6(C)는 제1 모터 케이스(1)에 면하지 않은 측에서 본 커넥터(4)를 나타낸다. 도 6(D)는 제1 모터 케이스(1)에 면하는 측면에서 본 커넥터(4)를 나타낸다. 도 6(E)는 커넥터(4)의 일 측면을 나타낸다. 도 6(F)는 커넥터(4)의 다른 측면을 나타낸다. 커넥터(4)는 도시하는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커넥터(4)는 본체 부분의 일부가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이하 "연장부"라 함). 커넥터(4)의 연장부는 예를 들면, 제2 모터 케이스(2)의 스테이지(21)에 마련된 개구부(22)에 삽입할 수 있다(도 1A 및 도 5 참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커넥터(4)를 제2 모터 케이스(2)의 스테이지(21)에 재치할 수 있다. 커넥터(4)와 제2 모터 케이스(2)는 서로 결합하여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4)의 제2 모터 케이스(2)에 대한 고정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임의의 잠금 기구, 나사 등의 고정 수단, 감합 및/또는 계합에 의한 고정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커넥터(4)의 본체 부분은 도전성일 수도 있고, 절연성일 수도 있다. 커넥터(4)의 본체 부분은 예를 들면, 금속, 합금,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커넥터(4)는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플러그(3)와 결합 가능하다. 이로 인해, 플러그(3)에 연결된 도전 케이블(5)과의 전기적인 연결, 나아가 외부와의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커넥터(4)는 플러그(3)와 서로 상호 보완적인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러그(3)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플러그 커버(3a), 플러그 본체(3b) 및 콘택트(3c)로 구성될 수 있다(도 7 참조).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4)는 하나 이상의 콘택트(7)를 포함할 수 있다. 콘택트(7)는 플러그(3)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콘택트(3c, 도 7B 참조)와 서로 감합 및/또는 계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4)에 마련된 콘택트(7)와 플러그(3)에 마련된 콘택트(3c)는 서로 상호 보완적인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커넥터(4)의 콘택트(7)는 수형이고, 플러그(3)에 마련된 콘택트(3c)는 암형이지만, 커넥터(4)에 마련된 콘택트(7)가 암형이고, 플러그(3)에 마련된 콘택트(3c)가 수형일 수도 있다.
커넥터(4)에 마련될 수 있는 콘택트(7)는 커넥터(4)의 본체 부분을 관통하여 커넥터(4)의 제2 모터 케이스(2)와 면하는 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콘택트(7)는 제1 모터 케이스(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모터 본체 및/또는 제1 모터 케이스(1)에 포함될 수 있는 인코더부(1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은 직접적일 수도 있고, 간접적일 수도 있다.
(플러그)
"플러그"는 도전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커넥터와 결합하여 모터 본체 및/또는 인코더부 등에 전기 및/또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부품이다. 플러그로는 시판되는 플러그를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본 개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플러그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플러그(3)는 예를 들어 플러그 커버(3a), 플러그 커버(3a)에 배치될 수 있는 플러그 본체(3b), 및 플러그 본체(3b)에 배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콘택트(3c)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플러그(3)의 구성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플러그(3)는 도전 케이블(5)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전 케이블(5)에 포함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전선이 콘택트(3c)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전기적인 도통을 형성할 수 있다. 콘택트(3c)는 커넥터(4)에 배치될 수 있는 콘택트(7)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면 그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7(A)는 상측에서 본 플러그(3)를 나타낸다. 도 7(B)는 하측(상측의 반대 측으로 커넥터(4)에 결합하는 측)에서 본 플러그(3)를 나타낸다. 도 7(C)는 제1 모터 케이스(1)에 면하지 않은 측에서 본 플러그(3)를 나타낸다. 도 7(D)는 제1 모터 케이스(1)에 면한 측에서 본 플러그(3)를 나타낸다. 도 7(E)는 플러그(3)의 일 측면을 나타낸다. 도 7(F)는 플러그(3)의 다른 측면을 나타낸다. 플러그(3)는 도시하는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플러그(3)와 커넥터(4)의 결합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임의의 잠금 기구, 감합 및/또는 계합에 의한 결합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플러그(3)는 커넥터(4)가 결합된 제2 모터 케이스(2)에 고정될 수 있다. 플러그(3)의 제2 모터 케이스(2)에 대한 고정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시한 형태와 같이 나사 등의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플러그(3)를 제2 모터 케이스(2)에 고정할 수 있다(도 1 참조). 다르게는 나사 등의 고정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임의의 잠금 기구, 감합 및/또는 계합 등에 의해 플러그(3)를 제2 모터 케이스(2)에 고정할 수 있다.
플러그(3)가 제2 모터 케이스(2)에 고정되는 경우, 제2 모터 케이스(2)는 "절연성"을 가지기 때문에 플러그(3)는 도전성일 수도 있고, 절연성일 수도 있다. 플러그(3)는 일반적으로 도전성이다. 예를 들면 플러그 커버(3a)는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하나 이상의 콘택트(3c)를 수용할 수 있는 플러그 본체(3b)가 절연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플러그 커버(3a)가 도전성을 가지는 경우, 플러그 커버(3a)는 예를 들어 금속 및/또는 합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 커버(3a)는 강도 등의 관점에서 금속 및/또는 합금을 포함하는 다이캐스트 등의 도체로 구성할 수 있다. 다르게는, 플러그 커버(3a)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등의 절연성을 가지는 재료, 더 구체적으로는 적절한 강도 및 내구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등의 재료로 형성되고 그 표면을 금속 및/또는 합금 등의 도체로 피복하거나 도금하여 도전성을 가지도록 한 것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플러그 커버(3a)는 열 등의 영향으로 팽창 및/또는 수축할 수 있지만,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을 사용함으로써 플러그 커버(3a)와 제1 모터 케이스(1)간의 접지를 보다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플러그 커버(3a)가 도전성을 가지는 경우, 플러그 본체(3b)는 절연성을 가지는 재료, 예를 들면 적절한 강도 및 내구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등의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르게는 플러그 커버(3a)가 절연성을 가지는 경우, 플러그 본체(3b)가 도전성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도전성을 가지는 플러그"는 플러그 커버(3a) 또는 플러그 본체(3b) 중 어느 하나가 도전성을 가지는 플러그를 의미한다.
콘택트(3c)는 시판되는 콘택트를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플러그(3)와 도전 케이블(5)의 연결 부분에는 수분이나 먼지 등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 구체적으로는 도시한 바와 같은 벨로우즈 형상의 커버 등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플러그(3)와 제2 모터 케이스(2)의 접촉 부분에는 수분이나 먼지 등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 예를 들어 고무 패킹 및/또는 액체 패킹 등을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패킹은 플러그(3) 및 제2 모터 케이스(2) 중 어느 하나에 마련할 수 있다.
(도전 케이블)
"도전 케이블"은 외부의 전력 공급원 등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 가능한 부품이다. 도전 케이블은 그 내부에 하나 이상의 전선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전선에는 모터의 본체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 인코더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 통신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 등이 포함된다. 또한, 도전 케이블은 통신 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네트워크 통신선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 케이블은 시판되는 전선을 포함한 케이블을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접지용 부품)
"접지용 부품"은 일반적으로 도전성을 가지며, "전기적인 연결", 특히 "그라운드 회로"를 제공할 수 있는 부품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의 특징]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은,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성을 가지는 제1 모터 케이스(1)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 면(도 2의 부호 11로 표시한 면), 제1 모터 케이스(1)에 대향하여 마련되는 절연성을 가지는 제2 모터 케이스(2)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면(도 2의 부호 12로 표시한 면), 및 도전성을 가지는 플러그(3)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3 면(도 2의 부호 13으로 표시한 면)을 적어도 갖도록, 예를 들어 판상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은, 예를 들어 금속 및/또는 합금을 포함하는 재료를 펀칭한 판상의 재료를 접어서 제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은 스테인리스(SUS) 강, 인청동 등의 재료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은 도전성을 가지면 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플라스틱 등의 절연성을 가지는 재료, 예를 들어 적절한 강도 및 내구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한 후, 그 표면을 금속 및/또는 합금 등의 도체로 피복 또는 도금하여 도전성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에서 제1 면(11) 및 제3 면(13)은 제2 면(12)과 표리의 관계이다.
본 개시에서 "표리의 관계(front-back relation)"란 판상의 부재에서 대향하는 2개의 주된 면의 관계를 의미하고, 이 중 어느 하나가 표면일 수도 있고 이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면(11) 및 제3 면(13)을 표면이라 하면, 제1 면(11)의 뒤쪽에 제2 면(12a)이 존재하고 제3 면(13)의 뒤쪽에 제2 면(12b)이 존재한다.
도시한 형태로 알 수 있듯이,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은 주로 제1 면, 제2 면 및 제3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은 제1 면, 제2 면 및 제3 면 이외에 다른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에서, 적어도 제1 면(11) 및 제3 면(13)은 모두 도전성이며, 접지용 부품의 전면이 도전성이어도 된다.
제1 면(11)은 도전성이며, 동일하게 도전성인 제1 모터 케이스(1)에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 면이다. 따라서, 제1 면(11) 및 제1 모터 케이스(1)는 서로 일부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면(13)은 도전성이며, 동일하게 도전성인 플러그(3)에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 면이다. 따라서, 제3 면(13) 및 플러그(3)는 서로 일부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전성인 제1 면(11)과 동일하게 도전성인 제3 면(13)이 서로 연속함으로써(도 2 참조), 도전성인 제1 모터 케이스(1)와 동일하게 도전성인 플러그(3) 사이에서, 전기적인 연결,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라운드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도 1B 참조).
제2 면(12)은 절연성인 제2 모터 케이스(2)에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 면이기 때문에 도전성이어도 되고, 절연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은 제2 면(12)을 통해 제2 모터 케이스(2)에 재치될 수 있다(도 1A 참조). 제2 모터 케이스(2)는 플러그(3)와 결합 가능한 커넥터(4)를 구비하기 때문에(도 5 내지 도 7 참조),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의 적어도 일부는 "접촉 회피 형상"을 가지며, 구체적으로는 커넥터(4)와 접촉하지 않는 형상 등을 가진다. 제2 모터 케이스(2)에서,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은 예를 들어 커넥터(4)의 주위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참조).
본 개시에서 "접촉 회피 형상(contact-avoiding shape)"이란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의 적어도 일부(즉, 전부 또는 일부), 구체적으로는 제3 면과 커넥터가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형상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은 커넥터(4)와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점선으로 나타낸 커넥터(4)를 배치하기 위한 영역의 주위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은 위에서 봤을 때, 커넥터(4)에서 이격되어 커넥터(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는 형상일 수 있다(도 2 및 도 3A 참조).
"접촉 회피 형상"에는, 예를 들면 위에서 봤을 때 커넥터(4)와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는 형상으로,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U자형과 같이 알파벳 'U'와 같은 2개의 단부가 서로 이격된 형상이나 2개의 단부가 크게 벌어진 V자형이나 둥그스름한 말굽 모양 등의 형상도 포함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프레임 형상), 실질적으로 C자형, 실질적으로 원형, 다각형 등 2개의 단부가 없는(서로 이격되지 않음) 형상이나 단부가 크게 벌어지지 않은 형상일 수도 있고, 위에서 봤을 때 커넥터(4)와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는 형상도 포함될 수 있다.
"접촉 회피 형상"에서, 예를 들어, 위에서 봤을 때 실질적으로 U자형, 실질적으로 V자형, 실질적으로 C자형 등인 경우, 서로 대향하는 부분(구체적으로는 2개의 단부) 사이에 공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공간의 치수(구체적으로 대향하는 2개의 단부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의 치수)가 커넥터(4)의 치수(구체적으로는 커넥터(4) 본체의 장변의 치수)보다 큰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의 형상, 특히 위에서 봤을 때의 형상은 커넥터(4)와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은 접촉 회피 형상, 구체적으로는 커넥터와 접촉하지 않는 형상으로, 예를 들면 위에서 봤을 때 실질적으로 U자 모양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에서 봤을 때 제3 면(13)이 실질적으로 U자 모양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을 위에서 봤을 때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하는 커넥터를 위에서 봤을 때의 형상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은, 제2 모터 케이스(2)에 설치한 상태에서 적어도 제3 면(13)의 일부가 "접촉 회피 형상"을 가지는 것, 구체적으로는 커넥터와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에는 제2 모터 케이스(2)와 커넥터(4) 사이에 접지 금구를 개재하여 배치하고, 나사로 함께 조였기 때문에(특허 문헌 1의 도 3 참조), 커넥터(4)와 플러그(3)를 탈부착할 때 커넥터(4)가 파손되어 커넥터(4)와 접지 금구의 전기적인 연결이 파괴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은 "접촉 회피 형상"으로 인해 커넥터(4)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파손의 우려가 없으며 전기적인 연결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개시에 의해 보다 향상된 내구성을 가지는 전기적인 연결, 특히 그라운드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에 따르면, 제2 모터 케이스(2)에 커넥터(4)를 압입하여 단독으로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커넥터(4) 아래쪽의 연장부를 도 5에 나타낸 제2 모터 케이스(2)의 스테이지(21)에 마련된 개구부(22)에 삽입함으로써 커넥터(4)를 제2 모터 케이스(2)에 압입하여 설치할 수 있다(도 8 참조).
또한,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에 따르면, 제2 모터 케이스(2)의 스테이지(21)에서 접지용 부품(10)와 커넥터(4) 사이에 예를 들어 고무 패킹 또는 액체 패킹 등의 패킹을 배치할 수 있다(도 2 및 도 8 참조). 이러한 패킹을 배치함으로써 수분이나 먼지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어 전기적인 연결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패킹은 커넥터(4)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도 7B 참조).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은, 예를 들면 도 1A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면(11)을 제1 모터 케이스(1)에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제2 면(12)을 제2 모터 케이스(2)에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제3 면(13)을 플러그(3)에 대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면(11)은 제1 모터 케이스(1)와 제2 모터 케이스(2) 사이에 개재되고 제3 면(13)은 제2 모터 케이스(2)와 플러그(3)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도 1B 및 도 8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의 제1 면(11) 및 제3 면(13)은 모두 도전성을 가지며, 서로 연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참조).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의 제1 면(11) 및 제3 면(13)은 서로 연속하며 직교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참조).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의 제1 면(11)은 적어도 일부가 도전성인 제1 모터 케이스(1), 구체적으로는 도전성인 케이스 본체(1a)의 일부와 접촉되어 있을 수 있다(도 4 및 도 9 참조).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의 제3 면(13)은 적어도 일부가 도전성인 플러그(3), 구체적으로는 도전성인 플러그 커버(3a)와 접촉되어 있을 수 있다(도 7 참조).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을 통해 플러그(3)와 제1 모터 케이스(1)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이들 사이에서 그라운드(GND)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전 케이블(5)에 가까운 플러그(3)와 도전성인 제1 모터 케이스(1)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그라운드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은 커넥터(4)와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전기적인 연결, 특히 그라운드 회로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된다.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내구성을 가지는 전기적인 연결, 특히 그라운드(GND)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플러그(3) 내부에 쉘을 마련하지 않고 전자기 방해 감수(EMS(electromagnetic susceptibility)) 및/또는 전자기 방해(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차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3) 내부에 그라운드용 콘택트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도 없다. 그리고, 그라운드용 리드도 필요 없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을 사용함으로써 플러그(3)를 보다 소형화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접지용 부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형태)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접지용 부품은, 도전성을 가지며, 예를 들면 도 3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성을 가지는 제1 모터 케이스(1)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 면(11), 제1 모터 케이스(1)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절연성을 가지는 제2 모터 케이스(2)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면(12a, 12b), 및 도전성을 가지는 플러그(3)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3 면(13)을 적어도 가진다(도 3 및 도 8 참조).
제1 면(11) 및 제3 면(13)과 제2 면(12a, 12b)은 접지용 부품(10)에 있어서 표리의 관계이다(도 2 참조). 제1 모터 케이스(1)와 플러그(3)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제1 면(11)과 제3 면(13)이 서로 연속되어 있다(도 3 참조).
제2 모터 케이스(2)는 플러그(3)와 결합 가능한 커넥터(4)를 구비한다(도 5, 도 6 및 도 7 참조).
제2 모터 케이스(2)에서, 접지용 부품(10)은 커넥터(4)의 주위에 위치할 수 있도록 커넥터(4)와 접촉하지 않는 실질적으로 U자 형상을 가진다(도 3, 도 8 및 도 9 참조).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접지용 부품(10)에서, 제1 면(11)은 제1 모터 케이스(1)와 접촉할 수 있는 스프링 유사 부분(14)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도 3A 및 도 3B 참조).
본 개시에서, "스프링 유사 부분(spring-like portion)"이란 외부의 힘을 받아 스프링처럼 변위할 수 있는 탄성을 가지는 부분, 즉, 탄성부를 의미한다.
스프링 유사 부분(14)은 제1 면(11)에서 연장될 수 있다. 스프링 유사 부분(14)은 탄성을 가지는 한, 그 형상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단면이 실질적으로 V자 또는 실질적으로 U자의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산부 및/또는 골짜기부를 가지는 형상일 수 있다(도 3A 및 도 3D 참조). 스프링 유사 부분(14)에서, 산부 및/또는 골짜기부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산부는 제1 면(11)에서 융기하여 그 정점 부분이 제1 모터 케이스(1)와 접촉할 수 있으면 그 높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도 3A, 도 3D 및 도 9 참조).
스프링 유사 부분(14)은 가혹한 온도 환경에서도 그 탄성으로 인해 제1 모터 케이스(1)와의 접촉을 더욱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터 케이스(1)와의 전기적 연결을 더욱 적절히 유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그라운드 회로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스프링 유사 부분(14)은, 예를 들어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면(11)에 연결되는 고정단(T2)과 자유단(T1)을 모두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단(T2)과 자유단(T1)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산부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 유사 부분(14)의 산부의 정점 부분은 제1 면(11)을 포함하는 평면의 레벨보다 높은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프링 유사 부분(14), 특히 산부는 굴곡 및/또는 성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 유사 부분(14)은 고정단(T2)과 자유단(T1)을 모두 가짐으로써 스프링 유사 부분(14)의 변위를 더욱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터 케이스(1)와의 전기적 연결을 더욱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그라운드 회로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지용 부품(10)을 제2 모터 케이스(2)의 스테이지(21)에 재치한 후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모터 케이스(1)와 제2 모터 케이스(2)를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스프링 유사 부분(14)을 제1 모터 케이스(1)의 본체(1a)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때, 스프링 유사 부분(14)의 산부가 케이스 본체(1a)와 접촉하면서 접지용 부품(10)의 제1 면의 적어도 일부가 케이스 본체(1a)와 접촉할 수 있다(도 9B 참조). 또한, 케이스 본체(1a)가 스프링 유사 부분(14)에 접촉하는 곳에 오목부나 홈을 마련하여 더 적절히 스프링 유사 부분(14)의 산부와 케이스 본체(1a)를 접촉시킬 수 있다.
접지용 부품(10)의 제1 면(11)은, 예를 들어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계합부(16), 구체적으로는 제1 계합부(16a) 및 제2 계합부(16b)를 가질 수 있다. 제1 계합부(16a) 및 제2 계합부(16b)는 모두 제1 면(11)의 뒤쪽인 제2 면(12a)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 부분이다(도 3E 및 도 3F 참조).
제2 면(12a)에 대향하는 제2 모터 케이스(2)에는 제1 계합부(16a) 및 제2 계합부(16b)가 배치 될 수 있는 위치에 이들과 상호 보완적인 형상을 가지는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제2 모터 케이스(2)에 마련된 적어도 2 개의 오목부에 제1 계합부(16a) 및 제2 계합부(16b)가 각각 감합함으로써 접지용 부품(10)의 제2 모터 케이스(2)에서의 불필요한 변위를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접지용 부품(10)에서, 제3 면(13)은 플러그(3)와 접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유사 부분(15), 구체적으로는 제1 스프링 유사 부분(15a) 및 제2 스프링 유사 부분(15b)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도 3 참조).
제1 스프링 유사 부분(15a) 및 제2 스프링 유사 부분(15b)은 각각 제3 면(13)에서 연장될 수 있다. 스프링 유사 부분(15a, 15b)은 탄성을 가지는 한, 그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면이 실질적으로 U자 또는 실질적으로 V자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산부 및/또는 골짜기부를 가지는 형상일 수 있다. 스프링 유사 부분(15a, 15b)의 산부 및/또는 골짜기부의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스프링 유사 부분(15a) 및 제2 스프링 유사 부분(15b)는 각각 자유단(T3)과 고정단(T4)을 모두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유단(T3)과 고정단(T4)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골짜기부가 존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스프링 유사 부분(15a, 15b)의 자유단(T3)이 제3 면(13)을 포함하는 평면보다 플러그(3) 측으로 돌출하여 플러그(3), 구체적으로는 플러그 커버(3a)와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0 참조).
스프링 유사 부분(15a, 15b)의 자유단(T3)의 선단부 또는 에지는 제3 면(13)을 포함하는 평면의 레벨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도 10B 참조). 이러한 스프링 유사 부분(15a, 15b)의 자유단(T3)은 굴곡 및/또는 성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프링 유사 부분(15a, 15b)의 자유단(T3)은 접지용 부품(10)의 두께에 대해 약 0.5배 이상 5배 이하의 높이로 제3 면(13)을 포함한 평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스프링 유사 부분(15a, 15b)은 자유단(T3)과 고정단(T4)을 모두 가짐으로써 스프링 유사 부분의 변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스프링 유사 부분(15a, 15b)의 각각의 자유단(T3)이 플러그(3), 구체적으로는 플러그 커버(3a),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러그 커버(3a)의 바닥부와 접촉함으로써, 보다 가혹한 온도 환경에서도 플러그(3)와의 접촉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3)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보다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그라운드 회로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을 제2 모터 케이스(2)의 스테이지(21)에 재치한 후, 예를 들어 도 1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모터 케이스(2)의 스테이지(21)에 플러그(3)를 고정하여 스프링 유사 부분(15a, 15b)의 자유단(T3)을 플러그(3)와 접촉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10B 및 도 10C는 도 10A의 X-X'에서의 고정 전과 고정 후의 플러그(3) 및 제2 모터 케이스(2)의 단면을 각각 나타낸다. 이 때, 스프링 유사 부분(15a, 15b)의 자유단(T3)의 에지가 플러그 커버(3a)의 바닥부과 접촉하면서 접지용 부품의 제3 면이 플러그 커버(3a)의 바닥부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커버(3a)의 바닥부가 스프링 유사 부분(15a, 15b)의 자유단(T3)의 에지에 접촉하는 곳에 오목부를 마련함으로써 보다 적절하게 스프링 유사 부분(15a, 15b)의 자유단(T3)의 에지와 플러그 커버(3a)의 바닥부과 접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유사 부분(15a, 15b)은 제3 면(13)의 뒤쪽 즉, 제2 면(12b)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산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산부는 제3 면(13) 측에서 보면 골짜기부이다. 이러한 산부의 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도시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U자형일 수 있다(도 3E 및 도 3F 참조). 이러한 제2 면(12b)에 대향하는 제2 모터 케이스(2)의 스테이지(21)에는 스프링 유사 부분(15a, 15b)의 산부에 대응할 수 있는 위치에 이들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23)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도 5B 참조). 제2 모터 케이스(2)의 스테이지(21)에 마련된 오목부(23)에 스프링 유사 부분(15a, 15b)의 산부가 감합됨으로써 스프링 유사 부분(15a, 15b)의 고정단(T4)이 스테이지(21)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계합되어 더욱 적절히 스프링 유사 부분(15a, 15b)의 자유단(T3)을 변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오목부(23)는 그 내부에서 스프링 유사 부분의 산부의 정점 부분과 접촉하지 않는 치수, 형상 및 공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형태에서는, 접지용 부품(10)을 통해 플러그(3) 및 제2 모터 케이스(2)는 서로 나사(6) 등의 고정 수단으로 고정할 수 있다(도 10 참조). 나사(6)의 다리부 또는 스크류부는 제2 모터 케이스(2)에 마련된 나사 구멍(20)에 배치되어 제2 모터 케이스(2)와 결합할 수 있다(도 5, 도 8 및 도 10 참조). 플러그(3)의 제2 모터 케이스(2)에 대한 고정은 나사(6)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한 고정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한 잠금 기구, 감합 및/또는 계합 등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접지용 부품(10)의 제3 면(13)은 위에서 봤을 때, 그 면적의 80% 이상이 플러그(3)로 덮여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면(13)의 대부분이 플러그(3)로 덮여짐으로써 플러그(3)와의 접촉을 더욱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전기적인 연결을 더욱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그라운드 회로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접지용 부품(10)은 제3 면(13)에 적어도 하나의 협폭부(17)를 가질 수 있다(도 3A 참조). 접지용 부품(10)의 제3 면(13)에 협폭부(17)를 마련함으로써 플러그(3)와 제2 모터 케이스(2)의 결합 부분, 예를 들면 나사 및 잠금 기구 등을 적절히 회피할 수 있다.
협폭부(17)는, 예를 들어 도 3A에 나타낸 같이 접지용 부품(10)의 제3 면(13)의 일부를 잘라내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제3 면(13)에 직사각형, 원형 등의 형상을 가지는 개구부를 마련함으로써 협폭부(17)를 형성할 수도 있다. 협폭부(17)는 스프링 유사 부분(15a, 15b)의 고정단(T4)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협폭부(17)는 플러그(3)와 제2 모터 케이스(2) 사이에 개재되어 플러그(3)로 덮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스프링 유사 부분(15a, 15b)의 고정단(T4)을 더욱 적절히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3 면(13)에 마련된 스프링 유사 부분(15a, 15b)의 자유단(T3)의 변위를 보다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접지용 부품(10)의 제1 면(11) 및 제3 면(13)은 서로 연속하여 제2 모터 케이스(2)의 스테이지(21)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굴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도 8 및 도 9 참조). 제2 모터 케이스(2)에 마련될 수 있는 스테이지(21)의 형상 및 치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스테이지(21)는 플러그(3)를 위에서 봤을 때의 형상 및 치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조금 큰 형상 및 치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모터 케이스(2)의 스테이지(21)에 접지용 부품(10)을 배치하는 경우, 접지용 부품(10)을 배치 한 후의 높이와 접지용 부품(10)이 배치되지 않는 부분의 높이가 동일해지도록 스테이지(21)의 접지용 부품(10)이 배치되지 않는 부분의 높이를 접지용 부품(10)의 두께만큼 한 단 높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스테이지(21)에서 접지용 부품(10)을 배치하는 부분의 높이를 접지용 부품(10)의 두께만큼 한 단 낮출 수 있다.
접지용 부품(10)은 단일 부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지용 부품(10)이 단일 부품이기 때문에 보다 향상된 내구성을 가지는 전기적인 연결, 특히 그라운드(GND)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본 개시에 따른 일 실시 형태의 접지용 부품(10)은 플러그(3)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제3 면(13)에 2개의 스프링 유사 부분(15a, 15b)을 가진다(도 3 참조). 이러한 2개의 스프링 유사 부분(15a, 15b)은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U자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형상을 가지는 스프링 유사 부분을 "타입 15A"의 스프링 유사 부분이라 한다(도 11A 참조). 타입 15A의 스프링 유사 부분은 자유단의 변위량이 크고, 그 조절도 용이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따른 일 실시 형태의 접지용 부품(10)의 변형으로, 도 11B 내지 도 11D에 나타낸 "타입 15B", "타입 15C" 및 "타입 15D"의 스프링 유사 부분을 가지는 접지용 부품을 예로 들 수 있다.
"타입 15B"의 스프링 유사 부분은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V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11B 참조). 스프링 유사 부분의 자유단은 제3 면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돌출되어 있다. 또한, 고정단은 제2 모터 케이스의 가장자리부의 형상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타입 15C"의 스프링 유사 부분은 그 단면이 실질적으로 V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11C 참조). 스프링 유사 부분의 자유단은 제3 면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돌출되어 있다.
"타입 15D"의 스프링 유사 부분은 그 위치가 타입 15A ~ 15C와는 다르다. 스프링 유사 부분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V자 형상을 가지지만, 산부는 제3 면에서 플러그(3)를 향해 위쪽으로 돌출되고 산부의 정점이 플러그(3)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11D 참조).
또한 "타입 15D"의 스프링 유사 부분은 타입 15A 및 타입 15B의 스프링 유사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타입 15A 및 15B의 고정단과 동일한 형상 부분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부분이 제2 모터 케이스(2)의 가장자리부의 형상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제2 모터 케이스(2)와 더욱 적절히 계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은 각종 모터, 특히 산업용 모터의 접지에 이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은 가혹한 온도 환경(특히 105℃에서 10일간 등)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은 이런 환경에서도 보다 향상된 내구성을 가지는 전기적인 연결, 특히 그라운드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개시의 접지용 부품은 인코더 등을 포함하는 산업용 서보모터에서 특히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절삭 가공기, 특히 CMC 절삭 가공기의 서보모터 등에 보다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제1 모터 케이스
1a 케이스 본체
1a' 받침대부
1b 인코더부
2 제2 모터 케이스
3 플러그
3a 플러그 커버
3b 플러그 본체
3c 콘택트(플러그 측의 콘택트)
4 커넥터
5 도전 케이블
6 나사
7 콘택트(커넥터 측의 콘택트)
10 접지용 부품
11 제1 면
12 제2 면
12a 제2 면(제1 면의 이면)
12b 제2 면(제3 면의 이면)
13 제3 면
14 스프링 유사 부분
15 스프링 유사 부분
15a 제1 스프링 유사 부분
15b 제2 스프링 유사 부분
16 계합부
16a 제1 계합부
16b 제2 계합부
17 협폭부
20 나사 구멍
21 스테이지
22 개구부
23 오목부
T1, T3 자유단
T2, T4 고정단

Claims (6)

  1. 도전성을 가지는 접지용 부품으로,
    도전성을 가지는 제1 모터 케이스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 면;
    상기 제1 모터 케이스에 대향하여 마련되는 절연성을 가지는 제2 모터 케이스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면; 및
    도전성을 가지는 플러그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3 면;
    을 적어도 가지며,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2 면이 상기 접지용 부품에서 표리의 관계이며, 상기 제1 모터 케이스와 상기 플러그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3 면이 서로 연속하고,
    상기 제2 모터 케이스가 상기 플러그와 결합 가능한 커넥터를 구비하고, 해당 제2 모터 케이스에서 적어도 상기 제3 면의 일부가 접촉 회피 형상을 가지는, 접지용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회피 형상은 위에서 봤을 때 실질적으로 U자형인, 접지용 부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용 부품의 제1 면이 상기 제1 모터 케이스와 접촉하는 스프링 유사 부분을 가지고, 해당 스프링 유사 부분이 고정단과 자유단을 모두 가지는, 접지용 부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용 부품의 제3 면이 상기 플러그와 접촉하는 스프링 유사 부분을 가지고, 해당 스프링 유사 부분이 고정단과 자유단을 모두 가지는, 접지용 부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단이 상기 플러그와 접촉하는, 접지용 부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일 부품인 접지용 부품.
KR1020210123768A 2020-09-17 2021-09-16 접지용 부품 KR1026146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56684A JP7494070B2 (ja) 2020-09-17 2020-09-17 モーター
JPJP-P-2020-156684 2020-09-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377A true KR20220037377A (ko) 2022-03-24
KR102614634B1 KR102614634B1 (ko) 2023-12-19

Family

ID=80627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768A KR102614634B1 (ko) 2020-09-17 2021-09-16 접지용 부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42718B2 (ko)
JP (1) JP7494070B2 (ko)
KR (1) KR102614634B1 (ko)
CN (1) CN114204741A (ko)
TW (1) TW202226714A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7300A (ko) * 1991-02-22 1992-09-26 정용문 접지 스프링
JPH09102336A (ja) * 1995-10-03 1997-04-15 Sumitomo Wiring Syst Ltd アース端子の取付け構造
KR20010024918A (ko) * 1998-12-17 2001-03-26 클라우스 포스 자동차 장치 구동용 전기 기어 모터
KR100595767B1 (ko) * 2005-02-26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접지터미널을 구비한 단상유도전동기
KR20110129164A (ko) * 2010-05-25 2011-12-01 한국파워트레인 주식회사 접지구조를 갖는 모터
KR20150061571A (ko) * 2013-11-27 2015-06-04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모터용 커넥터 및 모터용 커넥터 조립체
JP2016031931A (ja) * 2014-07-28 2016-03-07 タイコ エレクトロニクス (シャンハ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電気コネクタ
KR20160025485A (ko) * 2014-08-27 2016-03-08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모터 및 이에 사용하는 암형 커넥터
KR101915677B1 (ko) * 2017-11-06 2018-11-06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모터의 노이즈 저감구조
JP6591125B1 (ja) * 2018-08-03 2019-10-16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機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06926A1 (de) * 1986-03-04 1987-10-01 Kress Elektrik Gmbh & Co Elektrohandwerkzeug
DE502008001484D1 (de) * 2008-08-04 2010-11-18 Siemens Ag Dynamoelektrische Maschine mit einem mehrteiligen Steckergehäuse
DE102012103928A1 (de) * 2012-05-04 2013-11-07 Pierburg Gmbh Gleichstrommotor zum Antrieb von Aggregaten eines Kraftfahrzeugs
CN105207416B (zh) 2014-06-23 2019-03-15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电机接地连接装置
CN106415935B (zh) * 2015-11-09 2020-02-14 捷和电机制品(深圳)有限公司 电机及其emc元件和/或esd元件的接地结构
KR101771705B1 (ko) * 2016-02-01 2017-08-25 뉴모텍(주) 모터 접지구조
DE102017200206A1 (de) * 2017-01-09 2018-07-12 Phoenix Contact Gmbh & Co. Kg Steckverbindungsvorrichtung mit autarker stromversorgung
CN112514213A (zh) 2018-08-03 2021-03-16 三菱电机株式会社 电动机单元
CN109286091B (zh) * 2018-08-23 2021-01-08 广州市昊志机电股份有限公司 用于直线电机的接线装置、直线电机及直线电机系统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7300A (ko) * 1991-02-22 1992-09-26 정용문 접지 스프링
JPH09102336A (ja) * 1995-10-03 1997-04-15 Sumitomo Wiring Syst Ltd アース端子の取付け構造
KR20010024918A (ko) * 1998-12-17 2001-03-26 클라우스 포스 자동차 장치 구동용 전기 기어 모터
KR100595767B1 (ko) * 2005-02-26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접지터미널을 구비한 단상유도전동기
KR20110129164A (ko) * 2010-05-25 2011-12-01 한국파워트레인 주식회사 접지구조를 갖는 모터
KR20150061571A (ko) * 2013-11-27 2015-06-04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모터용 커넥터 및 모터용 커넥터 조립체
JP2016031931A (ja) * 2014-07-28 2016-03-07 タイコ エレクトロニクス (シャンハ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電気コネクタ
KR20160025485A (ko) * 2014-08-27 2016-03-08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모터 및 이에 사용하는 암형 커넥터
KR101915677B1 (ko) * 2017-11-06 2018-11-06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모터의 노이즈 저감구조
JP6591125B1 (ja) * 2018-08-03 2019-10-16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機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42718B2 (en) 2023-08-29
KR102614634B1 (ko) 2023-12-19
US20220085687A1 (en) 2022-03-17
JP7494070B2 (ja) 2024-06-03
TW202226714A (zh) 2022-07-01
JP2022050215A (ja) 2022-03-30
CN114204741A (zh) 2022-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06305B (zh) 用于异形安装轨的桥接模块
US7753734B2 (en) Cable terminal device for transmitting electrical drive power
EP2221927A2 (en) Sealed and grounded electrical connector and sealed and groun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10873153B2 (en) Plug-in connector
CN108432059B (zh) 分支连接器
CN102593631A (zh) 电源端子、电源连接器及电源连接器组件
KR20220037377A (ko) 접지용 부품
CN112514213A (zh) 电动机单元
US10553963B1 (en) Insulation crimp with lead-in projection
US8172624B2 (en) Wiring device assembly with contact stabilizing structure
EP3654453A1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and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assembly for high performance electrical connections
US2895002A (en) Copper to aluminum stirrup
CN102405566B (zh) 用于导引导体通过壁体的电气连接端子
US20050191905A1 (en) Electrical connector
US10693260B2 (en) Mounting frame comprising a PE contact
JPH04220971A (ja) 電気式の差込みコネクタ
US20100175254A1 (en) Wiring device assembly with contact stabilizing structure
CN217507669U (zh) 连接弹片、具有连接弹片的供电单元及供电设备
CN221126305U (zh) 一种动力电池高压端子
CN218940269U (zh) 一种岸电电缆绞车滑环箱
US20220190519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 bus bar
US3209304A (en) Lampholder
JP5416561B2 (ja) コネクタ
JP2022064561A (ja) 端子接続構造
CN111641511A (zh) 一种智慧型电箱器件数据传输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