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7285A -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7285A
KR20220037285A KR1020200120045A KR20200120045A KR20220037285A KR 20220037285 A KR20220037285 A KR 20220037285A KR 1020200120045 A KR1020200120045 A KR 1020200120045A KR 20200120045 A KR20200120045 A KR 20200120045A KR 20220037285 A KR20220037285 A KR 20220037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oticon
interactive
user text
input
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2689B1 (ko
Inventor
박성찬
이양우
신형민
유길상
정주연
박윤동
서원
김도훈
김진우
성명윤
김병주
민동욱
김민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밀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밀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밀리
Priority to KR1020200120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689B1/ko
Priority to PCT/KR2020/018568 priority patent/WO2022059863A1/ko
Priority to JP2021506761A priority patent/JP2022552026A/ja
Priority to CN202080004513.3A priority patent/CN114641776A/zh
Priority to US17/172,828 priority patent/US20220083206A1/en
Publication of KR20220037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9Font handling; Temporal or kinetic typograph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53Grammatical analysis; Style critiq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은 기본 이모티콘 을 선택받는 단계, 사용자 텍스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기본 이모티콘 및 상기 입력된 사용자 텍스트에 기초하여 전송될 대화형 이모티콘의 미리보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기본 이모티콘 및 상기 입력된 사용자 텍스트에 따른 대화형 이모티콘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화형 이모티콘의 미리보기를 표시하는 단계는 입력된 사용자 텍스트의 글자 수에 따라 폰트 크기 변경 또는 줄 바꿈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 및 방법{A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interactive emoticons}
본 발명은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PC 등에 설치된 메신저 상에서 대화형 이모티콘을 전송, 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률은 전 세계적으로 매우 높은 추세이며, 지인 간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SMS 보다 모바일 메신저를 선호하여 이를 중심으로 SNS,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등이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다. 특히, 모바일 메신저를 이용한 채팅(대화)에서 사용되는 이모티콘은 텍스트 만으로 전달하기 어려운 감정표현에 효과적으로 활용되며, 이모티콘의 캐릭터를 활용한 IP 콘텐츠 사업 등은 부가산업가치가 매우 높은 분야이다.
한편, 이모티콘은 고유의 캐릭터, 표정, 동작, 자국문자포함 등으로 기술적인 시도보다는 현지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창작자 영역에서 서비스 되고 있어, 다른 한편으로 이모티콘의 구성요소 중 자국문자로 인하여 이모티콘 콘텐츠들이 글로벌 서비스 확장에 장애 요소로 지적되고 있다.
한편, 종래 기술인 등록특허 제10-2112584호에서는 가공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사용자가 텍스트의 폰트 종류, 폰트 크기 등을 일일이 선택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특허문헌 1) KR10-2112584 B1
본 발명은 언어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국가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대화형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로의 텍스트 입력만으로 합성될 대화형 이모티콘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대화형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대화형 이모티콘을 다른 장치와 송/수신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대화형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은 기본 이모티콘 을 선택받는 단계, 사용자 텍스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기본 이모티콘 및 상기 입력된 사용자 텍스트에 기초하여 전송될 대화형 이모티콘의 미리보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기본 이모티콘 및 상기 입력된 사용자 텍스트에 따른 대화형 이모티콘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화형 이모티콘의 미리보기를 표시하는 단계는 입력된 사용자 텍스트의 글자 수에 따라 폰트 크기 변경 또는 줄 바꿈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폰트 크기 변경 또는 줄 바꿈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글자 수가 제1 개 이상이면 상기 폰트 크기를 제1 크기로 변경하고, 상기 글자 수가 제1 개 보다 많은 제2 개 이상이면 상기 폰트 크기를 제1 크기 보다 작은 제2 크기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화형 이모티콘의 미리보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글자 수에 따라 상기 선택된 기본 이모티콘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화형 이모티콘의 미리보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사용자 텍스트를 상기 선택된 기본 이모티콘 주변에 배치된 말풍선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은 말풍선 스타일을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화형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말풍선 스타일에 따라 상기 입력된 사용자 텍스트가 표시되는 말풍선을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 텍스트를 입력받는 단계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텍스트를 텍스트 입력 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될 대화형 이모티콘의 미리보기는 상기 텍스트 입력 창에 표시된 사용자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는 기본 이모티콘을 선택받고, 사용자 텍스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사용자 텍스트에 기초하여 전송될 대화형 이모티콘의 미리보기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선택된 기본 이모티콘 및 상기 입력된 사용자 텍스트에 따른 대화형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사용자 텍스트의 글자 수에 따라 폰트 크기 변경 또는 줄 바꿈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글자 수가 제1 개 이상이면 상기 폰트 크기를 제1 크기로 변경하고, 상기 글자 수가 제1 개 보다 많은 제2 개 이상이면 상기 폰트 크기를 제1 크기 보다 작은 제2 크기로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글자 수에 따라 상기 선택된 기본 이모티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사용자 텍스트를 상기 선택된 기본 이모티콘 주변에 배치된 말풍선 상에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는 말풍선 스타일을 더 선택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말풍선 스타일에 따라 상기 입력된 사용자 텍스트가 표시되는 말풍선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텍스트를 텍스트 입력 창 상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전송될 대화형 이모티콘의 미리보기는 상기 텍스트 입력 창에 표시된 사용자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는 기본 이모티콘의 종류 및 상기 사용자 텍스트의 글자 수 각각에 따라 생성될 대화형 이모티콘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대화형 이모티콘을 전송시 상기 선택된 기본 이모티콘의 종류 및 상기 사용자 텍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는 대화형 이모티콘을 수신시 수신된 기본 이모티콘의 종류 및 수신된 사용자 텍스트에 기초하여 대화형 이모티콘을 생성 및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언어의 종류 등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국가,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는 대화형 이모티콘의 송수신이 가능하므로, 대화형 이모티콘의 보편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로의 텍스트 입력만으로 합성될 대화형 이모티콘을 자동으로 결정되므로, 사용자가 폰트 종류, 폰트 크기 또는 이모티콘 크기 등을 일일이 선택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을 제공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른 장치로 대화형 이모티콘을 전송할 때 이미지 형식으로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 형식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대화형 이모티콘 송/수신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며, 데이터의 절약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들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100)(200)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본 이모티콘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텍스트 입력을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가 사용자 텍스트에 기초하여 폰트 크기 변경 또는 줄 바꿈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방법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가 말풍선 스타일을 선택받는 방법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가 따른 대화형 이모티콘을 합성하는 방법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가 언어에 구애받지 않고 대화형 이모티콘을 합성한 모습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는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실제로 필요한 경우 외에는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 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들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에는 제1 및 제2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100)(200)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해 예시로 든 것에 불과하며, 대화형 이모티콘을 송/수신하는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의 개수는 다양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100) 및 제2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200)은 네트워크를 통해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가상 네트워크, 원격 통신 등의 유무선 통신망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100)는 제2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200)로 대화형 이모티콘을 전송하고, 제2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200)는 제1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100)로부터 대화형 이모티콘을 수신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200)는 제1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100)로부터 대화형 이모티콘을 전송하고, 제1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100)는 제2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200)로 대화형 이모티콘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100) 및 제2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 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노트북, 태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100)(200)의 구성도이다.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는 제어부(11), 입력부(13), 디스플레이부(15), 통신부(17) 및 저장부(19)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입력부(13), 디스플레이부(15), 통신부(17) 및 저장부(19)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13)는 소정의 물리키, 또는 터치키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1)는 텍스트 입력, 이모티콘 선택 입력 등을 입력부(13)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는 입력된 텍스트, 선택된 기본 이모티콘에 따라 대화형 이모티콘을 합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통신부(17)는 다른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와 유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통신부(17)를 통해 텍스트 정보, 기본 이모티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1)는 통신부(17)를 통해 대화형 이모티콘 합성을 위한 텍스트 정보, 기본 이모티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수신된 텍스트 정보 및 기본 이모티콘 정보를 이용하여 대화형 이모티콘을 합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는 일반적으로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태블릿 PC(tablet PC) 등과 같은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범용 무선 통신 장치에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application software)가 설치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는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나, 예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장부(19)는 합성될 대화형 이모티콘의 규격화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9)는 기본 이모티콘의 종류 및 사용자 텍스트의 글자 수 각각에 따라 합성될 대화형 이모티콘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1)는 저장부(19)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기본 이모티콘이 A이고 사용자 텍스트의 글자 수가 10글자 이면 폰트 크기가 15인 대화형 이모티콘을 합성하고, 기본 이모티콘이 A이고 사용자 텍스트의 글자 수가 20글자 이면 폰트 크기가 10인 대화형 이모티콘을 합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가 포함하는 제어부(11), 입력부(13), 디스플레이부(15), 통신부(17) 및 저장부(19)는 이들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 및 이들 명령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제어부(11)는 입력부(13)를 통해 기본 이모티콘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10).
기본 이모티콘이란, 대화형 이모티콘에 합성될 이모티콘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본 이모티콘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는 메신저 상(100)에 기본 이모티콘의 종류(110)를 표시할 수 있다. 기본 이모티콘의 종류(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제어부(11)는 기본 이모티콘의 종류(1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음으로써 기본 이모티콘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는 선택된 기본 이모티콘(111)을 메신저 상(100)에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설명한다.
제어부(11)는 입력부(13)를 통해 텍스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20).
텍스트 입력은 사용자가 대화형 이모티콘에 포함되도록 입력한 사용자 텍스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는 입력된 사용자 텍스트(121)를 선택된 기본 이모티콘(111) 주변에 배치된 말풍선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텍스트 입력을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입력부(13)는 메신저(100)의 텍스트 입력창(120)을 통해 텍스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텍스트 입력창(120)에는 입력부(13)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텍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는 텍스트 입력창(12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텍스트(121)를 선택된 기본 이모티콘(111)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송될 대화형 이모티콘의 미리보기는 텍스트 입력창(120)에 표시된 사용자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메신저(100) 상의 텍스트 입력창(120)을 통해 사용자는 텍스트를 입력하며, 입력된 사용자 텍스트는 대화형 이모티콘의 미리보기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대화형 이모티콘의 미리보기를 통해 텍스트를 입력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텍스트의 위치, 크기 등을 일일이 설정하지 않아도 되어 편리한 이점이 있다.
한편, 이 경우 사용자 텍스트(121)의 폰트 크기 변경, 폰트 종류 변경 및 줄 바꿈 등은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10과 단계 S20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즉, 제어부(11)는 순서에 구애받지 않고 기본 이모티콘 및 사용자 텍스트를 입력받으며, 기본 이모티콘 및 사용자 텍스트가 입력되면 전송될 대화형 이모티콘의 미리보기를 표시하며, 이 때 사용자 텍스트의 글자 수에 따라 폰트 크기 변경, 폰트 종류 변경 및 줄 바꿈 등은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가 사용자 텍스트에 기초하여 폰트 크기 변경 또는 줄 바꿈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방법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도 6의 예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는 텍스트 입력창(120)을 통해 입력되는 텍스트의 글자 수가 증가할수록 사용자 텍스트(121)의 폰트 크기가 작아지도록 폰트 크기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1)는 글자 수가 제1 개 이상이면 폰트 크기를 제1 크기로 변경하고, 글자 수가 제1 개 보다 많은 제2 개 이상이면 폰트 크기를 제1 크기 보다 작은 제2 크기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는 텍스트 입력창(120)을 통해 입력되는 텍스트의 글자 수가 기 설정된 글자 수를 초과할 때마다 사용자 텍스트(121)의 줄 바꿈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1)는 선택된 기본 이모티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는 사용자 텍스트의 글자 수가 기설정된 최대 글자 수를 초과할 경우에는 기본 이모티콘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대화형 이모티콘의 미리보기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텍스트의 폰트 크기가 너무 작아 대화형 이모티콘을 수신한 사용자가 사용자 텍스트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설명한다.
제어부(11)는 입력부(13)를 통해 말풍선 스타일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3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가 말풍선 스타일을 선택받는 방법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는 말풍선 스타일의 종류(122)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복수의 말풍선 스타일의 종류(122a)(122b)(122c)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말풍선 스타일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선택된 말풍선 스타일에 따라 입력된 사용자 텍스트가 표시되는 말풍선을 변경하여 대화형 이모티콘 미리보기를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설명한다.
제어부(11)는 대화형 이모티콘을 합성할 수 있다(S40).
제어부(11)는 선택된 기본 이모티콘 및 입력된 사용자 텍스트에 따른 대화형 이모티콘을 합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는 저장부(19)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기본 이모티콘 및 사용자 텍스트에 따라 이모티콘의 위치 및 크기, 사용자 텍스트의 위치 및 크기 등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대화형 이모티콘 합성에 필요한 정보를 다른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S5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가 따른 대화형 이모티콘을 합성하는 방법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제어부(11)는 선택된 기본 이모티콘(132)과 사용자 텍스트(131)를 합성함으로써 대화형 이모티콘(130)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는 대화형 이모티콘을 전송할 때, 대화형 이모티콘의 이미지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선택된 기본 이모티콘의 종류 및 사용자 텍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화형 이모티콘을 수신하는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는 대화형 이모티콘을 수신시 대화형 이모티콘을 이미지 형식으로 수신하지 않고, 기본 이모티콘의 종류 및 사용자 텍스트를 수신하며, 수신된 이모티콘의 종류 및 수신된 사용자 텍스트에 기초하여 대화형 이모티콘을 생성 및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모티콘에 합성될 텍스트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므로, 언어의 종류 등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국가,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는 대화형 이모티콘의 송수신이 가능하므로, 대화형 이모티콘의 보편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가 언어에 구애받지 않고 대화형 이모티콘을 합성한 모습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텍스트만으로 합성될 대화형 이모티콘을 자동으로 결정되므로, 사용자가 폰트 종류, 폰트 크기 또는 이모티콘 크기 등을 일일이 선택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을 제공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대화형 이모티콘을 전송할 때 대화형 이모티콘 합성에 필요한 정보를 전송하므로, 이미지 형식의 대화형 이모티콘을 전송할 때 보다 이모티콘 송/수신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며, 데이터의 절약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 등이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또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법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의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에 있어서,
    기본 이모티콘을 선택받는 단계;
    사용자 텍스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기본 이모티콘 및 상기 입력된 사용자 텍스트에 기초하여 전송될 대화형 이모티콘의 미리보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기본 이모티콘 및 상기 입력된 사용자 텍스트에 따른 대화형 이모티콘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화형 이모티콘의 미리보기를 표시하는 단계는
    입력된 사용자 텍스트의 글자 수에 따라 폰트 크기 변경 또는 줄 바꿈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폰트 크기 변경 또는 줄 바꿈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글자 수가 제1 개 이상이면 상기 폰트 크기를 제1 크기로 변경하고, 상기 글자 수가 제1 개 보다 많은 제2 개 이상이면 상기 폰트 크기를 제1 크기 보다 작은 제2 크기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형 이모티콘의 미리보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글자 수에 따라 상기 선택된 기본 이모티콘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형 이모티콘의 미리보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사용자 텍스트를 상기 선택된 기본 이모티콘 주변에 배치된 말풍선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말풍선 스타일을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화형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말풍선 스타일에 따라 상기 입력된 사용자 텍스트가 표시되는 말풍선을 변경하는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텍스트를 입력받는 단계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텍스트를 텍스트 입력 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될 대화형 이모티콘의 미리보기는 상기 텍스트 입력 창에 표시된 사용자 텍스트를 포함하는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
  7.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에 있어서,
    기본 이모티콘을 선택받고, 사용자 텍스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사용자 텍스트에 기초하여 전송될 대화형 이모티콘의 미리보기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선택된 기본 이모티콘 및 상기 입력된 사용자 텍스트에 따른 대화형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사용자 텍스트의 글자 수에 따라 폰트 크기 변경 또는 줄 바꿈을 수행하는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글자 수가 제1 개 이상이면 상기 폰트 크기를 제1 크기로 변경하고, 상기 글자 수가 제1 개 보다 많은 제2 개 이상이면 상기 폰트 크기를 제1 크기 보다 작은 제2 크기로 변경하는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글자 수에 따라 상기 선택된 기본 이모티콘의 크기를 조절하는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사용자 텍스트를 상기 선택된 기본 이모티콘 주변에 배치된 말풍선 상에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말풍선 스타일을 더 선택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말풍선 스타일에 따라 상기 입력된 사용자 텍스트가 표시되는 말풍선을 변경하는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텍스트를 텍스트 입력 창 상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전송될 대화형 이모티콘의 미리보기는 상기 텍스트 입력 창에 표시된 사용자 텍스트를 포함하는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이모티콘의 종류 및 상기 사용자 텍스트의 글자 수 각각에 따라 생성될 대화형 이모티콘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대화형 이모티콘을 전송시 상기 선택된 기본 이모티콘의 종류 및 상기 사용자 텍스트를 전송하는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대화형 이모티콘을 수신시 수신된 기본 이모티콘의 종류 및 수신된 사용자 텍스트에 기초하여 대화형 이모티콘을 생성 및 표시하는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
  15.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을 실행시키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120045A 2020-09-17 2020-09-17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482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045A KR102482689B1 (ko) 2020-09-17 2020-09-17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 및 방법
PCT/KR2020/018568 WO2022059863A1 (ko) 2020-09-17 2020-12-17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 및 방법
JP2021506761A JP2022552026A (ja) 2020-09-17 2020-12-17 対話型エモーティコン生成装置および方法
CN202080004513.3A CN114641776A (zh) 2020-09-17 2020-12-17 互动型表情符号生成装置及方法
US17/172,828 US20220083206A1 (en) 2020-09-17 2021-02-10 Device and method for creating interactive emotic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045A KR102482689B1 (ko) 2020-09-17 2020-09-17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285A true KR20220037285A (ko) 2022-03-24
KR102482689B1 KR102482689B1 (ko) 2022-12-29

Family

ID=80626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045A KR102482689B1 (ko) 2020-09-17 2020-09-17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083206A1 (ko)
JP (1) JP2022552026A (ko)
KR (1) KR102482689B1 (ko)
CN (1) CN114641776A (ko)
WO (1) WO2022059863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2955A (ko) * 2014-07-02 2016-11-21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정보 전송 방법 및 전송 장치
KR101852901B1 (ko) * 2015-08-28 2018-04-27 스타십벤딩머신 주식회사 이미지 텍스트 삽입 장치 및 삽입 방법
KR20190131355A (ko) * 2018-05-16 2019-11-26 김진욱 대화용 애플리케이션의 운영 방법
KR102112584B1 (ko) 2019-09-09 2020-05-19 김영재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98983B2 (en) * 2010-01-25 2015-12-01 Alnylam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expression of Mylip/Idol gene
JP5674450B2 (ja) * 2010-12-22 2015-02-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子コミックのビューワ装置、電子コミックの閲覧システム、ビューワプログラム、該ビューワ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ならびに電子コミックの表示方法
KR101869053B1 (ko) * 2011-10-25 2018-06-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증강 방송 콘텐츠 수신 방법 및 장치,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1576563B1 (ko) * 2015-07-14 2015-12-22 주식회사 위두커뮤니케이션즈 만화컨텐츠의 다국어 자동편집 방법
US10360716B1 (en) * 2015-09-18 2019-07-23 Amazon Technologies, Inc. Enhanced avatar animation
CN105871695B (zh) * 2016-05-19 2019-03-2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表情发送方法和装置
US20180300542A1 (en) * 2017-04-18 2018-10-18 Nuance Communications, Inc. Drawing emojis for insertion into electronic text-based messages
JP2021152861A (ja) * 2020-03-23 2021-09-30 株式会社リコー 入力装置、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2955A (ko) * 2014-07-02 2016-11-21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정보 전송 방법 및 전송 장치
KR101852901B1 (ko) * 2015-08-28 2018-04-27 스타십벤딩머신 주식회사 이미지 텍스트 삽입 장치 및 삽입 방법
KR20190131355A (ko) * 2018-05-16 2019-11-26 김진욱 대화용 애플리케이션의 운영 방법
KR102112584B1 (ko) 2019-09-09 2020-05-19 김영재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9863A1 (ko) 2022-03-24
CN114641776A (zh) 2022-06-17
JP2022552026A (ja) 2022-12-15
KR102482689B1 (ko) 2022-12-29
US20220083206A1 (en)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125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459793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2349046B (zh) 用于选择文本信息的方法和设备
US9164649B2 (en) Presenting context information in a computing device
WO2017096509A1 (zh) 一种显示、处理的方法及相关装置
KR20080068491A (ko)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140092873A (ko) 적응식 입력 언어 전환
US201301917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keyboard layout using touch
KR20170014589A (ko)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822768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based guide user interface
KR10265652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2014031754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ouchscreen by Using Virtual Trackball
CN114741146A (zh) 多设备协作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10427138A (zh) 翻译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40080788A (ko)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입력장치
KR102482689B1 (ko)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90063853A (ko) 입력 필드의 이동 방법 및 장치
US20230009807A1 (en) Text entry method and mobile device
KR20080096732A (ko)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및 그 방법
US20160062633A1 (en)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and recording medium and character input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105743769B (zh) 讯息图文显示方法
KR102222770B1 (ko) 메시지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US20170277501A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14006279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메시지 전달 방법
CN111258691B (zh) 一种输入法界面的处理方法、装置和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