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584B1 -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584B1
KR102112584B1 KR1020190111282A KR20190111282A KR102112584B1 KR 102112584 B1 KR102112584 B1 KR 102112584B1 KR 1020190111282 A KR1020190111282 A KR 1020190111282A KR 20190111282 A KR20190111282 A KR 20190111282A KR 102112584 B1 KR102112584 B1 KR 102112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oticon
text
processed
input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재
Original Assignee
김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재 filed Critical 김영재
Priority to KR1020190111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5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802D [Two Dimensional] animation, e.g. using spri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은, 컴퓨팅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이모티콘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컴퓨팅 장치의 입력 수단을 통하여, 텍스트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이모티콘 및 상기 텍스트를 합성하여 가공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가공 이모티콘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USTOMIZED EMOJIS}
본 발명은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맞춤형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PC 및 스마트폰 등 컴퓨팅 장치 상에서 다른 사용자와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채팅 어플리케이션 또는 메시징 어플리케이션들이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초기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들은 텍스트 기반의 커뮤니케이션을 주로 고려하여 제작되었으나, 일상적인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온라인 메시징의 비중이 점차 높아짐에 따라 대화 당사자의 감정을 보다 효과적이며 함축적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니즈가 증가하였고, 대화 상대방에게 다양한 감정과 의사를 표현하는 이미지 기반의 이모티콘을 전송하는 기능이 제공되기 시작했다.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들은, 사용자의 스마트폰 OS나 키보드 앱에서 제공하는 기본 이모티콘 세트, 전문적인 이모티콘 제작자가 제작하여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제공자가 유료 또는 무료로 제공하는 이모티콘 세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모티콘들은 대화 참여자들을 상대로 의사 전달, 감정 표현, 그리고 재미를 선사하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처럼 온라인 메시징에 있어서 이모티콘의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점점 더 다양하고 정교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이모티콘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함축적인 이미지만으로는 표현하기 어려운 내용을 이모티콘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모티콘 제작자들은 이미지 기반의 이모티콘에 특정 텍스트를 결합한 형태의 이모티콘들을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이모티콘도 개개인의 대화 당사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다양한 내용을 표현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미국공개특허 제2016/0092410호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맞춤형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에 따라 결정된 텍스트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이모티콘을 합성하여 맞춤형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대화 상대방을 지칭하는 텍스트가 포함된 사용자 맞춤형 이모티콘을 쉽고 빠르게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이모티콘에, 사용자 입력에 따른 텍스트가 더 합성되는 형태의 맞춤형 이모티콘을 생성함에 있어서, 상기 기존의 이모티콘의 디자인에 어울리도록 텍스트를 합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맞춤형 이모티콘을 생성하여 마켓 플레이스를 통해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은, 컴퓨팅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이모티콘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컴퓨팅 장치의 입력 수단을 통하여, 텍스트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이모티콘 및 상기 텍스트를 합성하여 가공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가공 이모티콘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텍스트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받는 단계는, 상기 이모티콘에 대한 가공 개시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텍스트의 입력을 위한 텍스트 레이어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텍스트 레이어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모티콘에 대한 상기 가공 개시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이모티콘을 확대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확대 표시된 이모티콘 상에서, 상기 가공 개시 입력이 해제 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드래그 입력을 제공 받는 단계와, 상기 가공 개시 입력이 해제되는 시점의 터치 지점을 기준으로 결정된 위치에 상기 텍스트 레이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공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레이어를 표시한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된 위치로, 상기 텍스트의 합성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공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모티콘의 배경 영역에 상기 텍스트를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공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모티콘이 제1 이모티콘인 경우, 제1 표시 속성을 갖도록 상기 텍스트를 렌더링하는 단계와, 상기 이모티콘이 제2 이모티콘인 경우, 제2 표시 속성을 갖도록 상기 텍스트를 렌더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공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의 표시 속성의 적어도 일부를 조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공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모티콘에 기 포함된 텍스트를 상기 텍스트로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모티콘은 둘 이상의 전자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애니메이션일 수 있으며, 상기 가공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를 상기 둘 이상의 전자 이미지 중 일부에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은, 송신측 단말이 송신측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이모티콘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측 단말이 상기 송신측 단말의 입력 수단을 통하여, 텍스트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송신측 단말이 상기 이모티콘 및 상기 텍스트를 송신하는 단계와, 수신측 단말이 상기 이모티콘 및 상기 텍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이모티콘 및 상기 텍스트를 합성하여 가공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측 단말이 상기 가공 이모티콘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텍스트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받는 단계는, 상기 이모티콘에 대한 가공 개시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텍스트의 입력을 위한 텍스트 레이어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텍스트 레이어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모티콘에 대한 상기 가공 개시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이모티콘을 확대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확대 표시된 이모티콘 상에서, 상기 가공 개시 입력이 해제 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드래그 입력을 제공 받는 단계와, 상기 가공 개시 입력이 해제되는 시점의 터치 지점을 기준으로 결정된 위치에 상기 텍스트 레이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공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레이어를 표시한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된 위치로, 상기 텍스트의 합성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공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모티콘의 배경 영역에 상기 텍스트를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공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모티콘이 제1 이모티콘인 경우, 제1 표시 속성을 갖도록 상기 텍스트를 렌더링하는 단계와, 상기 이모티콘이 제2 이모티콘인 경우, 제2 표시 속성을 갖도록 상기 텍스트를 렌더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공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의 표시 속성의 적어도 일부를 조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공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모티콘에 기 포함된 텍스트를 상기 텍스트로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모티콘은 둘 이상의 전자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애니메이션일 수 있으며, 상기 가공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를 상기 둘 이상의 전자 이미지 중 일부에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은, 컴퓨팅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일대일 대화방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단계와, 상기 일대일 대화방 인터페이스에서 이모티콘 입력 버튼이 선택됨에 따라, 복수의 이모티콘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이모티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이모티콘에 대한 이모티콘 가공 사용자 입력이 제공되는 단계와, 상기 이모티콘 가공 사용자 입력이 제공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이모티콘 및 상기 일대일 대화방 인터페이스 상의 상대방을 지칭하는 텍스트를 합성하여 가공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가공 이모티콘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공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이모티콘 중 제1 속성을 가진 이모티콘에 대한 이모티콘 가공 사용자 입력이 제공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가공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은, 컴퓨팅 장치의 입력 수단을 통하여 가공 대상 이모티콘 세트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가공 대상 이모티콘 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이모티콘 중 가공 대상 이모티콘을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가공 대상 이모티콘을 가공하여 가공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가공 이모티콘을 2개 이상 포함하는 가공 이모티콘 세트를 가공 이모티콘 마켓 플레이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공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팅 장치의 입력 수단을 통하여, 텍스트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이모티콘 및 상기 텍스트를 합성하여 상기 가공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 및 그 사용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2의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를 설명하고,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의 사용 환경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tablet PC), 스마트 워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100)는 상기 열거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스마트 TV 및 스마트 냉장고 등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가전 제품,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식 컴퓨팅 장치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1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모바일 컴퓨팅 장치(160) 등과 직접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100)는 온라인 채팅 플랫폼 서버(170)를 경유하여 다른 모바일 컴퓨팅 장치(160) 등과 메시지를 교환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외부 장치로부터 SMS 메시지, MMS 메시지, E-메일,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100)에 설치된 온라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교환되는 다양한 메시지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상기와 같이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이동통신 모듈,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100)가 고정식 컴퓨팅 장치인 경우, 통신부(110)는 유선 랜(LAN) 카드 등의 유선 네트워크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입력부(120)는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10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제공 받는다. 이를 위해 입력부(120)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드, 물리적 버튼, 및 정전식 또는 감압식 터치 스크린 등의 사용자 입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카메라, 오디오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마이크로폰, 근접 센서, 심도 센서, 가속도 센서, 지문인식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출력부(130)는 특히 디스플레이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5)는 감압식 또는 정전식 터치 감지 모듈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100)의 사용자에게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출력부(120)는, 오디오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발광 소자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 스크린은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100)의 사용자에게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범위에서 입력부(120)로써 기능할 수도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35)가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제스처뿐만 아니라,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등을 이용한 접촉 또는 비 접촉 제스처 입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터치 제스처는 탭(tap), 더블 탭,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touch), 드래그,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ipe)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 입력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생성된 맞춤형 이모티콘과 관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 장치로부터 전달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 또는 제어부(150)의 연산 결과를 임시적으로 또는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SD 메모리 카드,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 에서 저장부(140)는 별도의 구성으로 도시되었으나, 후술할 제어부(150)와 통합되어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10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1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모바일 프로세서(Mobile Processor),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35)에 표시된 이모티콘에 대한 사용자의 이모티콘 가공 개시 입력을 입력부(120)로부터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이모티콘에 합성할 텍스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이모티콘에 합성할 텍스트는 입력부(1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될 수도 있고, 다른 방식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 이모티콘과 상기 텍스트를 합성하여 가공 이모티콘을 생성하며, 이를 저장부(140)에 저장하거나 통신부(110)를 통해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한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100)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도 1에 대한 설명에서,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100)의 구성으로, 통신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가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 따르면,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35) 및 제어부(150)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 도 1을 참조하여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10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였다.
도 1을 참조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통하여 이해되는 기술적 사상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100)의 구성 및 동작에 반영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은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팅 장치는 도 1에서 설명된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100)일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에 포함된 각각의 동작의 주체가 생략된 경우, 그 주체는 컴퓨팅 장치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이모티콘 입력 개시 명령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이모티콘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다. 표시된 이모티콘 중에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가공 대상 이모티콘이 다른 이모티콘과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다(단계 S200).
단계 S220에서는 이모티콘의 가공에 사용될 텍스트의 결정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제공된다. 이모티콘의 가공에 사용될 텍스트는 한글, 알파벳 등의 일반 문자, 문장부호 및 수학 연산자 등의 기호 문자, 및 특수문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의 물리 키보드 또는 가상의 키보드가 제공하는 그림 문자 또는 이모지 또한 상기 텍스트에 포함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모티콘의 가공에 사용될 텍스트는 사용자에 의한 텍스트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텍스트 입력은, 물리적 키보드를 통한 타이핑 입력,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가상의 키보드를 통한 타이핑 입력, 컴퓨팅 장치의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된 텍스트를 붙여 넣는 입력, 상기 컴퓨팅 장치에 구비된 마이크로폰을 통한 음성을 음성 인식 기술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한 입력 등을 포함한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이모티콘의 가공에 사용될 텍스트는 대화 상대방을 지칭하는 명칭(이름, 닉네임, 애칭 등), 대화의 문맥으로부터 파악되는 상황이나 그로부터 예측되는 사용자의 의사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텍스트 입력 없이 결정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단계 S240에서는 가공 대상 이모티콘과 상기 텍스트이 합성됨으로써 가공 이모티콘이 생성된다. 가공 이모티콘의 생성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는 사용자의 의사가 반영된 표시 속성과 배치를 가지도록 렌더링되어 가공 대상 이모티콘과 합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텍스트는 가공 대상 이모티콘이 제공하는 전반적인 느낌 또는 룩앤필(look and feel)이 최대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표시 속성 및 배치를 가지도록 렌더링되어 가공 대상 이모티콘과 합성될 수 있다.
이때, 가공 대상 이모티콘은 그 자체에 텍스트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는데, 몇몇 실시예에서는 가공 대상 이모티콘에 기 포함된 텍스트가 상기 텍스트로 대체되는 방식으로 가공 이모티콘이 생성될 수 있다.
가공 대상 이모티콘에 이미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상기 텍스트를 부가되면 가공된 이모티콘이 지나치게 많은 텍스트를 포함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따라서는 가공 대상 이모티콘에 기 포함된 텍스트를 사용자가 결정한 텍스트로 대체하기를 희망할 수도 있다. 가공 이모티콘이 생성될 때, 가공 대상 이모티콘에 기 포함된 텍스트를 상기 텍스트로 대체함으로써, 가공된 이모티콘에 지나치게 많은 텍스트가 포함되는 문제를 해소하고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다.
한편, 가공 대상 이모티콘은 둘 이상의 전자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애니메이션 형식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가공 이모티콘이 생성될 때, 둘 이상의 전자 이미지 중 일부 이미지에만 상기 텍스트가 합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가공 대상 이모티콘이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장면들 중에서 상기 텍스트를 부가하고자 하는 일부 이미지만을 사용자가 선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이모티콘과 텍스트의 결합으로 인한 메시지 전달력의 증폭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 한편, 상기 텍스트와 상기 가공 대상 이모티콘의 합성은, 송신측 단말, 수신측 단말, 또는 송수신측 단말기들이 연결되는 온라인 채팅 플랫폼 서버 등에서 수행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상기 텍스트와 상기 이모티콘의 합성이 송신측 단말에서 수행될 경우, 수신측 단말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사양 및 버전에 상관없이 합성이 완료된 가공된 이모티콘이 수신측 단말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텍스트와 상기 이모티콘의 합성이 수신측 단말에서 수행될 경우, 수신측 단말의 사양(예컨대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등)에 부합하도록 합성된 가공 이모티콘이 수신측 단말에 표시될 수 있으며, 수신측 단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가공된 이모티콘의 표시 기능을 비활성화 할 수도 있다.
상기 텍스트와 상기 이모티콘의 합성이 온라인 채팅 플랫폼 서버에서 수행될 경우, 서버에 구비된 높은 사양의 하드웨어 자원을 활용하여 좀 더 많은 더 많은 연산이 수반되는 고품질의 합성 로직이 활용될 수 있고, 합성 로직의 개선시마다 각 사용자의 단말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을 업데이트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단계 S260에 관하여 설명한다.
단계 S260에서는 가공 이모티콘을 포함하는 메시지가 송신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가공 이모티콘을 포함하는 메시지는 상기 텍스트가 결합된 하나의 새로운 이모티콘일 수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가공 이모티콘을 포함하는 메시지는, 가공 대상 이모티콘과 상기 텍스트의 합성에 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은, 사용자의 스마트폰 제작사 또는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사업자가 제공하는 이모티콘들로는 표현하지 못하는 다양한 의사와 감정을 사용자의 개성에 따라 독창적으로 표현하는 맞춤형 이모티콘을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모티콘이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이름 등을 가공 이모티콘에 합성하여 표현할 경우, 이모티콘을 수신하는 상대방의 주목도가 상승하고 이모티콘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의사와 감정이 보다 더 효율적이고 즉각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단계 S220에 관해서 도 3의 순서도 및 도 4a 내지 4c의 개념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이모티콘 가공 개시 입력(420a)이 제공될 수 있다(단계 S222). 이모티콘 가공 개시 입력은 가공 대상 이모티콘(도 4a의 402)이 표시된 위치 상에서의 일정 시간 이상의 롱 터치(long-touch) 또는 홀드(hold) 제스처 입력, 터치 앤 홀드(touch-and-hold) 제스처 입력 등 다양한 터치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24에서는 이모티콘 가공 개시 입력에 응답하여, 가공 대상 이모티콘이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다(도 4b의 404). 이때 가공 대상 이모티콘은 기존의 위치를 그대로 유지한 채로 확대되며, 이모티콘 가공 개시를 유발한 터치 입력(도 4b의 420a)은 여전히 가공 대상 이모티콘의 표시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된다. 단계 S224에서 가공 대상 이모티콘이 확대됨으로써, 후술할 단계 S226 및 S228에서 드래그 입력을 통해 텍스트 레이어의 표시 위치가 결정될 때 사용자로 하여금 그 위치를 보다 쉽고 정교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확대 표시된 이모티콘 상에서, 이모티콘 가공 개시를 유발한 터치 제스처가 입력이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입력으로부터 연속된 드래그 입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단계 S226). 드래그 입력은 터치 또는 클릭 상태를 유지한 채로 터치 지점을 이동시킬 수 있다(도 4b의 420a 및 420b 참조). 이때 터치 지점이 이동 가능한 영역은 상기 확대된 이모티콘이 표시된 영역(404) 또는 그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의 영역으로 제한될 수 있다.
단계 S228에서는, 상기 이모티콘 가공 개시 입력으로부터 연속된 드래드 입력이 해제되는 지점에(도 4b의 420b), 합성 대상 텍스트의 입력을 위한 텍스트 레이어(도 4c의 406)가 표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단계 S228에서 가공 대상 이모티콘 상에 상기 텍스트 레이어가 표시된 위치에 단계 S240에서 텍스트가 합성되어 가공 이모티콘이 생성될 수 있다.
단계 S222 내지 S228을 따르는 몇몇 실시예에서는, 이모티콘 가공 개시 명령으로부터 텍스트 위치 결정까지의 과정에 있어서, 복잡한 안내 화면과 여러 단계의 사용자 상호 작용을 거치지 않고서도, 사용자로 하여금 가공 대상 이모티콘과 텍스트의 상대적인 배치를 하나의 연속된 터치 제스처를 통해 간결하고 직관적으로 지정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의 터치 제스처 입력이 이용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마우스, 트랙패드, 터치패드, 터치 펜, 접촉식 스타일러스 펜, 비접촉식 스타일러스 펜 등의 물리적인 포인팅 장치를 통한 입력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계 S222에서의 이모티콘 가공 개시 입력은, 가공 대상 이모티콘이 마우스, 트랙패드, 터치패드, 터치 펜, 접촉식 스타일러스 펜, 비접촉식 스타일러스 펜 등의 포인팅 장치에 의해 포인팅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 클릭 또는 푸시 입력일 수도 있다.
또한 단계 S224에서의 드래그 입력은 상기 클릭 또는 푸시 입력이 지속된 상태로 포인팅 지점을 이동하는 입력일 수 있다.
단계 S226에서 드래그 입력의 해제는 상기 이모티콘 가공 개시를 유발한 클릭 또는 푸시 입력의 해제일 수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로부터의 드래그 입력 없이 텍스트의 위치가 자동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단계 S240에서 상기 텍스트의 위치가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는 방법에 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가공 대상 이모티콘과 합성될 텍스트(502)는 가공 대상 이모티콘의 배경 영역(504)에 자동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이모티콘의 배경 영역은 이모티콘이 표현하는 주된 객체(506)의 바깥 쪽 영역일 수 있다. 가공 대상 이모티콘의 배경 영역은 빈 공간일 수도 있지만, 이모티콘이 표현하는 주된 객체 이외의 텍스트나 패턴이 표현된 영역일 수도 있다. 가공 대상 이모티콘의 배경 영역은 불투명하거나 반투명한 배경색을 가지는 영역이거나 투명한 영역일 수 있다. 가공 대상 이모티콘의 배경 영역은 이모티콘을 표현한 전자 이미지의 면적을 정의하는 가상의 선(508)과 이모티콘이 표현하는 주된 객체의 최외곽선(510)의 사이에 형성되는 영역일 수 있다.
도 5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텍스트(502)가 전부 가공 대상 이모티콘의 배경 영역(504)에 배치되는 모습이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는 텍스트(502)의 일부는 배경 영역(504) 상에 배치되고 상기 텍스트(502)의 나머지 일부는 이모티콘이 표현하는 주된 객체(506)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이모티콘의 배경 영역(504)의 면적보다 텍스트(502)의 표현에 필요한 면적이 더 클 경우, 텍스트(502)의 크기가 기본값보다 작게 표현되거나, 텍스트(502)의 일부는 이모티콘이 표현하는 주된 객체(506)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가공 대상 이모티콘과 합성될 텍스트(502)의 전부 또는 대부분이 가공 대상 이모티콘의 배경 영역(504)에 배치됨으로써, 텍스트와 이모티콘 사이의 시각적 간섭이 최소화되고, 텍스트와 이모티콘 각각을 통해 표현하고자 한 사상이 이모티콘의 수신자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단계 S240에서 텍스트의 표시 속성이 결정되고 이미지로 렌더링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텍스트의 표시 속성이 결정된다. 텍스트의 표시 속성은 텍스트의 위치, 색상, 서체, 크기, 윤곽선 구비 여부 및 윤곽선의 색상 등을 포함한다.
만약 가공 대상 이모티콘에 사전 설정된 텍스트 표시 속성 메타데이터가 이용 가능할 경우, 텍스트의 표시 속성은 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텍스트 표시 속성 메타데이터는, 서로 다른 이모티콘에 대하여 또는 서로 다른 이모티콘 세트에 속한 이모티콘 그룹들에 대하여 상이하게 지정될 수 있다. 텍스트 표시 속성 메타데이터는 각각의 가공 대상 이모티콘이 제공하는 전반적인 느낌과 분위기가 최대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표시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공 대상 이모티콘과 서로 시각적으로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텍스트 표시 속성에 관한 메타데이터가 이모티콘에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만약 가공 대상 이모티콘에 사전 설정된 텍스트 표시 속성 메타데이터가 이용 가능하지 않을 경우 텍스트의 표시 속성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텍스트 표시 속성이 결정된 후에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텍스트 표시 속성이 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a 및 6b를 참조하여 이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텍스트의 위치와 배치가 조정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텍스트의 위치는 텍스트 레이어(600)의 임의의 지점 또는 텍스트 레이어 외곽선의 임의의 지점을 사용자가 터치 또는 클릭한 후 원하는 위치로 드래깅함으로써 지정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레이어(600)의 모서리(602)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터치 또는 클릭한 후 드래깅하여 텍스트 레이어의 크기가 조정될 수 있고, 텍스트 레이어의 크기에 맞추어 텍스트 레이어 내부의 텍스트의 배치가 조정될 수 있다.
도 6b는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텍스트의 서체, 크기, 색상이 조정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되는 서체 선택 가이드 UI(604), 크기 선택 가이드 UI(606), 및 색상 선택 가이드 UI(608)를 터치 또는 탭 하거나 슬라이딩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텍스트 표시 속성을 지정할 수 있다.
도 6b에는 텍스트 표시 속성에 관한 가이드 UI가 화면의 하단에 표시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었지만, 터치 스크린 상의 제스처 입력을 활용한 다양한 방식을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텍스트 표시 속성이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 레이어(600) 영역을 제외한 터치 스크린 상의 영역에서, 일정 거리 이상 지속되는 수평 방향의 스와이핑 제스처에 응답하여 텍스트의 서체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일정 거리 이상 지속되는 수직 방향의 스와이핑 제스처에 응답하여 텍스트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가상의 다이얼을 터치 스크린 상에서 일정 각도 이상 돌리는 회전 제스처에 응답하여 텍스트의 색상이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는 서체 선택 가이드 UI(604), 크기 선택 가이드 UI(606), 및 색상 선택 가이드 UI(608) 등의 표시 여부 및 그 위치에 상관없이 터치 스크린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의 터치 제스처를 통해 텍스트 표시 속성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와이핑 또는 다이얼을 돌리는 제스처에 응답하여 텍스트의 속성이 변경되는 중에만 텍스트 표시 속성에 관한 가이드 UI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가공 이모티콘의 생성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이 보다 간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이모티콘의 생성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공 대상 이모티콘과 텍스트가 수신측 단말에 의해 합성되어 가공 이모티콘이 생성되고, 상기 가공된 이모티콘이 수신측 단말에 디스플레이 된다.
먼저, 송신측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이모티콘이 표시되고, 송신측 단말의 입력 수단을 통하여, 텍스트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받는다. 이 과정은 도 2의 단계 S200 및 S220에 관하여 설명된 방법을 참고하여 수행될 수 있다. 송신측 단말에 의해 상기 이모티콘과 상기 텍스트를 포함하는 정보가 송신된다.
수신측 단말은, 송신측 단말 또는 온라인 메시징 플랫폼 서버로부터, 상기 이모티콘과 상기 텍스트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측 단말은, 상기 이모티콘과 상기 텍스트를 합성하여 가공 이모티콘을 생성한다.
가공 이모티콘의 생성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는 가공 대상 이모티콘이 제공하는 전반적인 느낌 또는 룩앤필(look and feel)이 최대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표시 속성 및 배치를 가지도록 렌더링되어 가공 대상 이모티콘과 합성될 수 있다. 이때, 가공 대상 이모티콘은 그 자체에 텍스트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는데, 몇몇 실시예에서는 가공 대상 이모티콘에 기 포함된 텍스트가 상기 텍스트로 대체되는 방식으로 가공 이모티콘이 생성될 수 있다.
이어서 수신측 단말은 가공된 이모티콘을 수신측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측 단말은 수신된 상기 이모티콘 및 상기 텍스트 중에 우선 상기 이모티콘만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된 이모티콘 상의 사용자 입력이 있을 경우에 한하여 상기 표시된 이모티콘을 대체하여 상기 가공 이모티콘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이모티콘 상에서의 터치 입력, 더블 탭 입력, 일정 시간 이상의 롱 터치(long-touch) 또는 홀드(hold) 제스처 입력, 터치 앤 홀드(touch-and-hold) 제스처 입력, 및 상기 이모티콘이 표시된 영역의 일정 비율 이상을 스크래치하는 터치 제스처 입력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수신측 단말의 사용자는 대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이모티콘과의 능동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비로소 상기 이모티콘에 부가된 텍스트의 내용을 알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이모티콘을 포함하여 대화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상기 이모티콘을 송신한 사용자가 부가하고자 한 텍스트에 담긴 의사가 수신측 단말의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표출되지 않고 궁금증을 유발함으로써, 오히려 수신측 단말의 사용자에게 색다른 재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공 대상 이모티콘과 텍스트를 수신측 단말이 합성하여 가공 이모티콘을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수신측 단말의 사양(디스플레이의 크기, 해상도 등)에 부합되는 가공 이모티콘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수신측 단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가공된 이모티콘의 표시 기능이 비활성화 되고 가공 이전의 이모티콘만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일대일 대화방에서 대화 상대방에게 맞춤형 이모티콘을 생성하여 송신하는 경우에, 대화 상대방을 지칭하는 텍스트가 합성된 이모티콘을 쉽게 생성하여 송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우선 일대일 대화방 인터페이스(800)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다(단계 S700). 일대일 대화방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에 의해 이모티콘 입력 버튼이 선택되면, 전송 가능한 복수의 이모티콘(802)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다(단계 S720).
복수의 이모티콘 중에 어느 하나가 표시된 위치에서 이모티콘 가공을 개시하는 사용자 입력이 제공될 수 있다(단계 S740).
상기 사용자 입력은, 가공 대상 이모티콘(804)이 표시된 위치 상에서의 일정 시간 이상의 롱 터치(long-touch) 또는 홀드(hold) 제스처 입력, 터치 앤 홀드(touch-and-hold) 제스처 입력, 더블 탭 입력 등 다양한 터치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은, 가공 대상 이모티콘(804)이 마우스 및 스타일러스 펜 등의 포인팅 장치에 의해 포인팅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 클릭 또는 푸시 입력일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이모티콘(804)에 상기 일대일 대화방의 대화 상대방을 지칭하는 텍스트(806)가 합성된 가공 이모티콘(808)이 생성될 수 있다(단계 S760). 이때, 대화 상대방을 지칭하는 텍스트(806)는 대화 상대방의 이름, 애칭, 또는 대화 상대방이 임의로 지정한 대화명 등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모티콘에 상기 텍스트가 합성되는 과정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텍스트의 배치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모티콘에 합성될 텍스트 상기 이모티콘의 배경 영역에 자동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텍스트의 일부만이 상기 이모티콘의 배경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모티콘에 상기 텍스트가 합성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모티콘에 사전 설정된 텍스트 표시 속성 메타데이터가 이용 가능할 경우, 상기 텍스트의 표시 속성은 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가공 이모티콘이 생성된 이후에는, 사용자의 송신 입력에 응답하여 가공 이모티콘(808)을 포함하는 메시지가 송신될 수 있다(단계 S780).
한편,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이모티콘 중에는 텍스트 합성에 적합한 이모티콘과 그렇지 않은 이모티콘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대화 상대방을 지칭하는 텍스트를 결합할 경우 수신자에게 불쾌감을 줄 염려가 있는 일부 이모티콘들은 본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합성이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이모티콘 제공 업체의 과금 정책에 따라서는 텍스트 합성 가능한 속성을 가지는 이모티콘은 그렇지 않은 이모티콘 보다 더 높은 가격에 판매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부 이모티콘은 텍스트 합성 가능 속성이 지정되어 있을 수 있고, 나머지 이모티콘은 텍스트 합성 가능 속성이 지정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위와 같은 상황을 고려하여 텍스트 합성 가능 속성이 미리 설정된 이모티콘이 사용자에 의해 가공 대상 이모티콘으로서 결정된 경우에 한하여, 이모티콘의 가공 및 가공된 이모티콘의 송신 단계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둘 이상의 이모티콘이 포함된 이모티콘 세트를 사용자가 가공하여, 가공 이모티콘 세트를 마켓 플레이스에서 판매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우선 복수의 이모티콘 세트 중에 가공 대상 이모티콘 세트를 결정한다(단계 S900). 가공 대상 이모티콘 세트의 결정은, 가공 대상 이모티콘 세트를 대표하는 이모티콘 또는 가공 대상 이모티콘 세트의 특징을 표현할 있도록 별도로 제작된 아이콘 등의 이미지 상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 등이 제공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 가공 대상 이모티콘 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이모티콘들이 표시되고, 가공 대상 이모티콘이 사용자 입력에 의해 결정된다(단계 S920).
단계 S940에서는 상기 가공 대상 이모티콘에 합성할 텍스트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제공되고, 단계 S960에서는 상기 가공 대상 이모티콘 및 상기 텍스트를 합성하여 가공 이모티콘이 생성된다. 이 과정은 도 2의 단계 S220 및 S240에 관하여 앞서 설명된 방법을 참고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결정된 가공 대상 이모티콘 세트에 포함된 또 다른 이모티콘을 대상으로 상술한 텍스트 결정 및 가공 이모티콘 생성 단계가 반복될 수 있다. 가공 이모티콘을 생성하고자 하는 모든 이모티콘에 대한 가공이 완료될 때까지 상술한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모든 이모티콘에 대한 가공이 완료되면 사용자에 의해 가공된 이모티콘 세트는 마켓 플레이스 서버에 전송된다(단계 S980).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통하여, 전문적인 이모티콘 제작자에 의해 제작되어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된 이모티콘 세트를 기반으로 일반 사용자에 의해 가공된 이모티콘 세트가 생성되어 마켓 플레이스에 등록됨으로써, 사용자의 개성과 창의력이 반영된 다양하고 독특한 이모티콘 세트가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판매 또는 공유될 수 있다.
온라인 채팅 플랫폼 사업자 및 이모티콘 제작사는, 하나의 이모티콘 세트를 기반으로 다양한 사용자들의 2차 창작이 부가된 이모티콘 세트가 마켓 플레이스에서 판매되는 수익을 공유받음으로써, 하나의 이모티콘 세트로부터 창출되는 수익이 증대될 수 있으며, 하나의 이모티콘 세트의 제작에 더 많은 자원을 투입하여 결과적으로 더 높은 품질의 이모티콘 세트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선순환을 만들어 낼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된 컴퓨터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컴퓨팅 장치로부터 제2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컴퓨팅 장치 및 상기 제2 컴퓨팅 장치는, 서버 장치, 데스크탑 피씨와 같은 고정식 컴퓨팅 장치,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피씨와 같은 모바일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한 순서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실행되어야만 하거나 또는 모든 도시 된 동작들이 실행되어야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상황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도 있다.
더욱이, 위에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구성들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고, 설명된 프로그램 컴포넌트들 및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지 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발명이가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
110: 통신부
120: 입력부
130: 출력부
135: 디스플레이부
140: 저장부
150: 제어부
160: 모바일 컴퓨팅 장치
170: 온라인 채팅 플랫폼

Claims (13)

  1.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컴퓨팅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이모티콘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장치의 입력 수단을 통하여, 텍스트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받는 단계;
    상기 이모티콘 및 상기 텍스트를 합성하여 가공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공 이모티콘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텍스트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받는 단계는, 상기 이모티콘에 대한 가공 개시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이모티콘을 확대 표시하는 단계;
    상기 확대 표시된 이모티콘 상에서, 상기 가공 개시 입력이 해제 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드래그 입력을 제공 받는 단계; 및
    상기 가공 개시 입력이 해제되는 시점의 터치 지점을 기준으로 결정된 위치에, 상기 텍스트의 입력을 위한 텍스트 레이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레이어를 표시한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된 위치로, 상기 텍스트의 합성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모티콘의 배경 영역에 상기 텍스트를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모티콘이 제1 이모티콘인 경우, 제1 표시 속성을 갖도록 상기 텍스트를 렌더링하는 단계; 및
    상기 이모티콘이 제2 이모티콘인 경우, 제2 표시 속성을 갖도록 상기 텍스트를 렌더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의 표시 속성의 적어도 일부를 조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모티콘에 기 포함된 텍스트를 상기 텍스트로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모티콘은 둘 이상의 전자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애니메이션이며,
    상기 가공 이모티콘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를 상기 둘 이상의 전자 이미지 중 일부에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90111282A 2019-09-09 2019-09-09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112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282A KR102112584B1 (ko) 2019-09-09 2019-09-09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282A KR102112584B1 (ko) 2019-09-09 2019-09-09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2584B1 true KR102112584B1 (ko) 2020-05-19

Family

ID=70913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282A KR102112584B1 (ko) 2019-09-09 2019-09-09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58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467A (ko) 2020-08-21 2022-03-02 최라지 컨텐츠 업사이클링 시스템 및 방법
WO2022059863A1 (ko) * 2020-09-17 2022-03-24 주식회사 비밀리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 및 방법
CN114942715A (zh) * 2021-02-10 2022-08-26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动态表情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2211509A1 (ko) * 2021-04-01 2022-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입력에 기초하여 스티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8509A (ko) * 2013-12-11 2015-06-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메신저 프로그램에서의 이미지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60092410A (ko) 2015-01-27 2016-08-0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손목착용형 전자기기용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20170026273A (ko) * 2015-08-28 2017-03-08 스타십벤딩머신 주식회사 이미지 텍스트 삽입 장치 및 삽입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8509A (ko) * 2013-12-11 2015-06-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메신저 프로그램에서의 이미지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60092410A (ko) 2015-01-27 2016-08-0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손목착용형 전자기기용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20170026273A (ko) * 2015-08-28 2017-03-08 스타십벤딩머신 주식회사 이미지 텍스트 삽입 장치 및 삽입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467A (ko) 2020-08-21 2022-03-02 최라지 컨텐츠 업사이클링 시스템 및 방법
WO2022059863A1 (ko) * 2020-09-17 2022-03-24 주식회사 비밀리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220037285A (ko) 2020-09-17 2022-03-24 주식회사 비밀리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 및 방법
JP2022552026A (ja) * 2020-09-17 2022-12-15 株式会社ビミリ 対話型エモーティコン生成装置および方法
KR102482689B1 (ko) * 2020-09-17 2022-12-29 주식회사 비밀리 대화형 이모티콘 생성 장치 및 방법
CN114942715A (zh) * 2021-02-10 2022-08-26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动态表情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2211509A1 (ko) * 2021-04-01 2022-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입력에 기초하여 스티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42799B2 (ja) ユーザ構成可能グラフィック構造体の共有
KR102112584B1 (ko) 맞춤형 이모티콘 생성 방법 및 장치
US11494072B2 (en) Displaying options, assigning notification, ignoring messages, and simultaneous user interface displays in a messaging application
US20220291793A1 (en)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user input
US10613745B2 (en)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user input
EP2570909B1 (en) Electronic device, synchronization method thereof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60261675A1 (en) Sharing user-configurable graphical constructs
US20200379617A1 (en) User interfaces for electronic voice communications
US11782571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3D objects on a 2D screen
US20150324100A1 (en) Preview Reticule To Manipulate Coloration In A User Interface
US11393164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generating CGR objects
KR102668638B1 (ko) 사용자 구성가능한 그래픽 구조들의 공유
KR20190012464A (ko) 텍스트 메시지에 감정을 표시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40074022A (ko) 사용자 구성가능한 그래픽 구조들의 공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