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6563B1 - 만화컨텐츠의 다국어 자동편집 방법 - Google Patents

만화컨텐츠의 다국어 자동편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6563B1
KR101576563B1 KR1020150099606A KR20150099606A KR101576563B1 KR 101576563 B1 KR101576563 B1 KR 101576563B1 KR 1020150099606 A KR1020150099606 A KR 1020150099606A KR 20150099606 A KR20150099606 A KR 20150099606A KR 101576563 B1 KR101576563 B1 KR 101576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title
text
lines
data
ca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하
이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두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두커뮤니케이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두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to KR1020150099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65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563B1/ko
Priority to US15/580,685 priority patent/US20180189251A1/en
Priority to PCT/KR2016/001747 priority patent/WO201701064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17/280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9Font handling; Temporal or kinetic typograph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G06T11/203Drawing of straight lines or cur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8Use of machine translation, e.g. for multi-lingual retrieval, for server-side translation for client devices or for real-time trans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만화컨텐츠의 다국어 자동편집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만화컨텐츠의 다국어 자동편집 방법은 컴퓨터 시스템이, 자막 테이블로부터 현재 순번의 말풍선에 표시될 자막 데이터, 한계줄수, 가로 넓이를 인출하는 단계, 현재 폰트 사이즈와 상기 인출한 가로 넓이 값을 이용하여 한 줄에 들어갈 글자수를 계산하는 단계, 남은 자막 변수에 상기 자막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할당하고, 현재줄수 변수에 0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남은 자막 변수로부터 상기 한 줄에 들어갈 글자수 만큼의 텍스트를 제거하고, 현재줄수에 1을 더하여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남은 자막 변수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한계줄수와 현재줄수를 비교하되, 현재줄수가 한계줄수와 같거나 그 보다 작으면 해당 말풍선에 상기 인출한 자막의 표시를 처리하는 제170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만화컨텐츠의 다국어 자동편집 방법{Method of editing multi-language comic contents}
본 발명은 웹상에서 제공되는 만화 컨텐츠 또는 출판용 만화 컨텐츠의 편집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원본 컨텐츠를 변형하지 않고 다양한 언어로 자동으로 편집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소설이나 영화, 만화와 같은 저작물은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국경을 넘는다.
그런데, 소설이나 영화의 경우에는 한 명의 번역자가 자막이나 내용을 번역하면, 일반적인 경우 폰트의 크기나, 텍스트를 표시할 영역이나 위치에 대한 고려 없이 그것을 그대로 출판하거나, 영화의 자막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반면, 만화의 경우에는 편집과정이 사뭇 복잡하다.
특정 언어로의 번역이 완료되었다고 하더라도, 대사가 표시되는 영역이 컷 내부에 말풍선의 형태로 그려지는 일이 많으며, 대사의 길이가 제각각이기 때문에 폰트 사이즈는 어떻게 할 것인지, 몇 줄로 어떻게 표시할 것인지를 편집자가 결정해야 한다.
최근에는 저작물들이 디지털 미디어의 형태로 유통되면서 자막 데이터를 분리하여 실시간으로 언어를 선택하여 표시(예컨대, 다국어 지원 DVD 등)하는 경우도 있는데, 만화 컨텐츠의 경우에는 자막이 표시될 영역을 미리 설정한다고 하여도 각 언어별로 번역된 대사의 길이가 다르다거나 하는 까닭에 말풍선의 영역보다 옆으로 더 길어지거나, 또는 아래로 줄 수가 더 길어져 그림이 표시된 영역에 겹쳐 보이는 문제가 있다.
즉, 대사 내용이 그림이 표시된 영역을 침범하는 일이 생기는데, 이에 따라 대사를 제대로 읽기 어려운 가독성의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언어의 변경 과정에서 그림이 가려져 제대로 감상할 수 어렵게 되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까닭에 만화 컨텐츠는 다른 유형의 컨텐츠와 달리 동적으로 언어를 선택하고 변경하는 것이 어려웠으며, 편집자에 의한 편집 작업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1. 미국특허공개 US20120202187 "METHOD FOR DISTRIBUTION ANDDISPLAY OF SEQUENTIAL GRAPHIC ART" 2. 미국특허공개 "US2013028315" DIGITAL COMIC VIEWER DEVICE, DIGITALCOMIC VIEWING SYSTEM,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HAVING VIEWER PROGRAM RECORDEDTHEREON, AND DIGITAL COMIC DISPLAYMETHOD 3. 미국등록특허 US 6,069,622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COMIC PANELS" 4. 미국특허공개 US20110310104 "Digital comic book frame transition metho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만화 컨텐츠의 언어를 선택하거나 또는 접속지역에 따라 자동으로 선택한 다음 말풍선 위치에 대응하는 자막 표시 영역에 최적의 크기와 비율로 표시해줌으로써 자동 편집해주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만화 컨텐츠의 다국어 버전 출판을 위한 출판 이미지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공하는 방법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만화 컨텐츠를 웹 상에서 제공하되 선택된 언어에 따라 동적으로 자동편집해주는 방법의 제공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만화컨텐츠의 다국어 자동편집 방법은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방법으로서,
클라이언트의 접속 ip 어드레스에 따라 접속지역 정보를 인출하는 제110 단계와,
다수의 레이어를 갖는 페이지 데이터(이때,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는 만화 그래픽 이미지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는 자막이 표시되는 영역 정보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는 특수효과 데이터를 포함한다.)를 메모리에 적재하는 제120 단계와,
자막 테이블로부터 현재 순번의 말풍선에 표시될 자막 데이터, 한계줄수, 가로 넓이, 가로 시작좌표와 세로 시작좌표를 인출(이때, 클라이언트의 접속 지역에 해당하는 자막 데이터를 인출한다.)하는 제130 단계와,
현재 폰트 사이즈와 상기 인출한 가로 넓이 값을 이용하여 한 줄에 들어갈 글자수를 계산하는 제140 단계와,
남은 자막 변수에 상기 자막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할당하고, 현재줄수 변수에 0을 할당하는 제150 단계와,
상기 남은 자막 변수로부터 상기 한 줄에 들어갈 글자수 만큼의 텍스트를 제거(이때, 한 줄에 들어갈 글자수 이내의 최대 길이의 텍스트로서, 상기 남은 자막 변수의 시작 위치로부터 어절이 끝나는 지점까지의 텍스트를 제거한다.)하고, 현재줄수에 1을 더하여 갱신하는 제160 단계와,
상기 남은 자막 변수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한계줄수와 현재줄수를 비교하되, 현재줄수가 한계줄수와 같거나 그 보다 작으면 해당 말풍선에 상기 인출한 자막의 표시를 처리하는 제170 단계를 포함한다.
자막의 표시는 상기 인출한 가로 시작좌표 및 세로 시작좌표부터 상기 자막 데이터에 포함된 텍스트를 한 줄씩 표시함으로써 처리된다.
한편, 제170 단계에서, 현재줄수가 한계줄수보다 많으면 폰트 크기를 단위 크기만큼 줄인 다음, 상기 제140 단계로 분기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해당 말풍선에 대한 자막이 표시되면, 말풍선 번호에 1을 더한 다음 제130 단계로 분기하는 제180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막이 표시되는 영역 정보를 갖는 레이어는,
상기 만화 그래픽 이미지 레이어에 그려진 하나 이상의 말풍선에 각각 대응하는 영역 정보를 가지되,
상기 영역 정보는 사각형상의 영역으로, 말풍선 번호에 의하여 식별된다.
이 경우, 상기 제130 단계에서, 상기 자막 테이블로부터 현재 말풍선 번호에 대응하는 자막 데이터를 인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특수효과 데이터는 텍스트와 그래픽 콤포넌트로 이루어지는 벡터 그래픽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는 상기 자막 테이블로부터 인출된, 클라이언트의 해당 접속지역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상기 벡터 그래픽 데이터의 디폴트 텍스트와 치환하여 상기 특수효과 레이어를 표시하는 제 단계와,
텍스트의 치환 후 상기 벡터 그래픽 데이터가 해당 컷의 외곽선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치환된 테스트의 폰트 크기를 단위 사이즈만큼 줄인 다음 상기 제171 단계로 분기하는 제172 단계를 를 더 실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만화컨텐츠의 다국어 자동편집 방법의 일 측면은 웹 상에서 만화 컨텐츠를 자동 편집하여 제공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상기 제170 단계에서 컴퓨팅 디바이스가 만화 그래픽 이미지 위에 상기 자막을 텍스트 형태로 오버레이하여 웹 페이지를 자동 생성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만화컨텐츠의 다국어 자동편집 방법의 다른 일 측면은 특정 언어로 자동편집된 출판용 만화 컨텐츠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상기 제170 단계에서 컴퓨팅 디바이스가 만화 그래픽 이미지 위에 텍스트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한 다음 머지(Merge)하여 출력용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할 때, 편집자의 수작업에 의한 편집과정 없이 만화 컨텐츠를 다양한 언어로 동적으로 자동 편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자막이 말풍선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최적의 가독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효과음 표시의 경우에도 컷을 벗어나거나 그림 이미지를 훼손하고 가리지 않도록 동적으로 언어 변경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만화 컨텐츠의 출판을 위한 출판용 이미지의 자동편집 및 생성이 가능해지며, 간단히 언어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해당 언어 버전으로의 출판을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웹 상에서 제공되는 만화 컨텐츠의 자동편집 및 생성이 가능해지며, 접속 지역에 따라서 해당 언어를 인출하여 동적으로 화면에 표시해줌으로써 별도의 수작업에 의한 편집과정 없이 단일 소스를 가지고서 전세계 각지의 사용자들에게 동시에 서비스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행되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구조를 설명하는 기능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이 실행되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연결관계를 예시하는 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만화컨텐츠의 다국어 자동편집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4는 다수의 컷과 말풍선으로 이루어지는 레이아웃을 예시하는 도면,
도 5는 말풍선과 자막 표시 영역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자막 표시 영역 내에 자막이 표시된 모습을 예시하는 도면,
도 7은 벡터 그래픽으로 처리되는 효과음의 언어변경이 처리되는 과정을 예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만화컨텐츠의 다국어 자동편집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9는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에서 특수효과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수단", "~부", "~모듈", "~블록"으로 명명된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들 각각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개시되는 컴퓨팅 디바이스 및 방법의 일 측면은 웹 상에서 제공되는 다국어 만화 컨텐츠의 편집기술을 제시한다.
이하에서 개시되는 컴퓨팅 디바이스 및 방법의 다른 측면은 출판을 위한 만화 컨텐츠의 다국어 자동 편집기술을 제시한다.
이하에서, 컴퓨팅 디바이스란 메모리에 컴퓨터 프로그램을 적재하여, 프로세서를 통해 컴퓨터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어를 실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컨대, 개인용 컴퓨터나 서버, 스마트폰 등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의 정의를 만족한다면 그 형태나 명칭에 제한을 두지 아니한다.
이하에서, 만화 컨텐츠란 컷의 내부에 그림과 효과음 표시, 자막이 표시된 형태의 컨텐츠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컷이란 구획지어진 영역으로 대체로 그 내부에 그림과 효과음 표시, 자막이 표시되는 단위를 의미한다. 페이지 단위로 제작되는 만화 컨텐츠인 경우 매 페이지에 다수의 컷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 자막이란 캐릭터의 대사나 설명 등 컷 내부에 정렬되어 표시되는 텍스트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말풍선이란 컷 내부에 텍스트로 표시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대체로 캐릭터의 대사를 표시하기 위해 말풍선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말풍선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반드시 말풍선의 형태가 아니어도, 또는 말풍선이라고 불리지 않더라도 대사나 설명 등의 텍스트가 표시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말풍선 또는 그 균등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컴퓨팅 디바이스의 구조를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스토리지(130), 디스플레이 장치(140) 및 입력장치(150)를 갖는다.
프로세서(110)는 통상 CPU(Central Processing Unit)이라 지칭되며, 컴퓨터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어들을 실행한다.
프로세서(110)는 페이지 데이터와 자막 데이터를 인출하여 메모리(120)에 적재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은 방법으로 선택된 언어에 따른 만화 컨텐츠의 표시를 처리한다.
메모리(120)는 실행할 컴퓨터 프로그램 데이터를 적재하기 위한 공간이다. 공지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가 이에 해당한다.
스토리지(130)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원의 공급이 끊어져도 저장된 데이터가 소멸하지 않는다. 예컨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나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플래쉬 메모리 등이 이에 해당한다.
스토리지(130)는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페이지 데이터와, 자막 테이블을 저장한다.
자막 테이블은 페이지 번호, 말풍선 번호, 언어 코드 및 각 언어 코드에 해당하는 각 언어별로 번역된 자막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40)는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로서,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니터나 터치스크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입력장치(150)는 사용자가 컴퓨팅 디바이스(100)를 조작하기 위한 수단으로, 키보드나 마우스, 조이스틱 등이 이에 해당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실행되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연결관계를 예시하는 망 구성도이다.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스탠드 얼론으로 실행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언어로 만화 컨텐츠를 자동으로 편집할 수 있으며, 편집된 만화 컨텐츠는 출판물이나 웹 컨텐츠의 형태로 퍼블리싱 될 수 있다.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 망에 연결된 서버의 형태일 수 있으며, 원격지에서 접속한 클라이언트(200)로 해당 클라이언트(200)의 접속 지역에 해당하는 언어로 자동 편집된 만화 컨텐츠를 웹 상에서 제공하거나, 또는 원격지에서 접속한 클라이언트(200)를 위해 특정 언어로 자동 편집된 만화 컨텐츠의 출판용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200)는 원격지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100)에 접속하기 위한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예컨대 개인용 컴퓨터나 스마트폰, 타블렛 컴퓨터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100)에서 실행되거나,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00)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만화컨텐츠의 다국어 자동편집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팅 디바이스(100)가 웹 상에서 만화 컨텐츠를 자동 편집하여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은 컴퓨팅 디바이스(100)에 의하여 실행되는 방법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에 예시된 바에 의할 때, 우선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원격지에서 클라이언트(200)가 접속해옴에 따라, 클라이언트(200)의 접속 ip 어드레스에 따라 접속지역 정보를 인출한다(S110).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속지역에 부합하는 국가의 언어를 자막으로 인출하기 위함인데, 접속 지역에 따른 자동 언어 선택 기능이 필요없는 경우라면 디폴트로 설정된 특정 언어의 자막을 인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비로소 타 언어로 변경하여 자동편집하여 웹 컨텐츠의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후,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표시하고자 하는 페이지 데이터를 인출한다(S120).
웹 상에서 제공되는 만화 컨텐츠는 아래로 길게 스크롤되어 표시되는 하나의 페이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또는 여러 페이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4는 다수의 컷과 말풍선으로 이루어지는 페이지의 레이아웃을 예시한다.
도 4에 예시된 페이지는 다수의 컷(10)과 각 컷의 내부에 표시되는 말풍선(11)을 포함한다.
한편, 페이지 데이터는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레이어를 갖는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는 만화 그래픽 이미지를 포함한다.
만화 그래픽 이미지는 대사나 효과음 표시를 제외한 나머지에 해당한다. 칼라이거나 흑백일 수 있으며, 컷(10)의 윤곽선이나 말풍선(11)을 포함할 수 있다.
만화 그래픽 이미지는 컴퓨팅 디바이스(100)에 의한 자동 편집과정에서 변화하지 않는 부분이며, 컨텐츠 원본 그 자체라 볼 수 있다.
한편, 페이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는 자막이 표시되는 영역 정보를 가진다.
도 5는 말풍선과 자막 표시 영역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컷(10)에 그려진 말풍선(11)은 만화 그래픽 이미지 레이어에 속한다.
한편, 자막 표시 영역(12)은 자막 표시 영역 정보를 갖는 레이어에 속한다.
이때, 자막 표시 영역(12)은 말풍선(11)을 벗어나지 않는 사각형 형상의 영역이다.
바람직하게는 자막 표시 영역(12)은 말풍선(11)의 크기 이내에서 적당한 크기로 미리 설정되거나, 또는 자동으로 설정되는 사각형의 영역이다.
자막 표시 영역(12)의 자동 설정 과정을 별도로 후술한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는 특수효과 데이터를 포함한다.
도 7은 벡터 그래픽으로 표현되는 특수효과를 예시한다.
특수효과 데이터는 만화 내에서 효과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벡터 그래픽으로 구현한 것이다.
S120 단계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이러한 다수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페이지 데이터를 인출하여 메모리에 적재하는 것이다.
한편,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페이지 데이터를 메모리에 적재한 다음, 해당 페이지에 말풍선(11)들에 대해 순서대로 자막 표시를 처리한다.
우선,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첫 번째 말풍선(11)에 대하여, 해당 말풍선(11)에 표시될 자막 데이터, 한계줄수, 가로 넓이, 가로 시작좌표와 세로 시작좌표를 인출한다(S130).
이때, 자막 테이블로부터 클라이언트(200)의 접속 지역에 해당하는 자막 데이터를 인출할 수도 있다.
도 5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각 말풍선(11)마다 자막 표시영역(12)이 연결되며,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실제로는 특정 자막 표시영역(12)과 관련하여 자막표시를 처리하게 된다.
각 자막 표시 영역(12)은 말풍선 번호에 의하여 식별될 수 있다.
페이지 데이터 이외에 자막 데이터를 갖는 자막 테이블이 더 준비될 수 있다.
자막 테이블은 페이지 번호, 말풍선 번호, 언어 코드 및 각 언어 코드에 해당하는 각 언어별로 번역된 자막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자막 테이블로부터 말풍선 번호에 대응하는 자막 데이터를 인출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레이어를 겹쳐서 표시함으로써 말풍선(11) 내부에 자막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자막 데이터는 특정 말풍선(11)에 해당하는 자막 표시영역(12)에 표시될 텍스트를 의미한다.
한계줄수란 해당 자막 표시영역(12)에 최대 몇 줄의 텍스트가 표시될 수 있을 것인지를 미리 정한 값을 의미한다.
가로 시작좌표와 세로 시작좌표는 자막 표시영역(12)이 시작되는 좌표를 의미한다. 예컨대, 자막 표시영역(12)의 네 꼭지점 가운데 좌측 상단 꼭지점의 좌표를 나타낼 수도 있다.
물론, 좌표계의 특성이나 표시방법에 따라서는 자막 표시영역(12)의 우측 상단이나, 우측 하단 꼭지점의 좌표점이 될 수도 있다.
가로 넓이는 자막 표시영역(12)의 가로 넓이를 의미한다.
자막 표시영역(12)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가로 넓이를 미리 설정하는 대신에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자동계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S130 단계에서, 해당 순번의 말풍선의 내부에서 위치하며, 상기 말풍선의 외곽선에 접하는 사각형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인출한 자막 데이터의 길이에 따라서 상기 사각형의 가로길이와 세로길이의 비율을 정한다.
상기 자막 데이터는 텍스트 포맷의 데이터이며, 글자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글자수에 대해 구간을 미리 정하여 글자수가 속하는 구간에 따라서 가로길이의 비율이 세로길이보다 더 커지도록 한다.
예컨대, 글자수가 최고구간에 속하는 경우(예컨대, 60자 이상인 경우) 가로길이와 세로길이의 비율을 4:1로 설정할 수 있다. 그 다음 구간에 속하는 경우 3:1. 최소구간에 속하는 경우(예컨대, 10자 미만인 경우)에는 1:1로 설정하여 사각형을 생성할 수 있다.
가로 세로 비율을 결정하여 생성한 사각형의 윗변 또는 아랫변의 길이를 가로 넓이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현재 폰트 사이즈와 상기 인출한 가로 넓이 값을 이용하여 한 줄에 들어갈 글자수를 계산한다(S140).
아직 폰트 사이즈의 변경이 없었다면 현재 폰트 사이즈는 디폴트 폰트 사이즈가 된다. 각 페이지 데이터가 디폴트 폰트 사이즈 값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이 계산된 한 줄에 들어갈 글자수는 상기 자막 표시영역(12)의 가로 넓이에 최대한 표시될 수 있는 음절의 수를 의미한다. 띄어쓰기를 하는 경우 빈 칸의 개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빈 칸은 글자수 1개로 계산될 수도 있지만, 빈 칸이 차지하는 크기에 따라서는 글자수 0.5개로 카운트 될 수도 있다.
이후,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남은 자막 변수에 상기 자막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할당하고, 현재줄수 변수에 0을 할당한다(S150).
남은 자막 변수는 자막 표시영역(12)에 표시될 자막을 어느 정도 크기의 폰트로, 몇 줄로 나타낼지를 계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변수이다.
현재줄수는 한계줄수를 넘지 않으면서 가장 가독성이 좋은 폰트 크기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변수로서, 현재 몇 줄째인지를 카운트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후,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남은 자막 변수로부터 상기 한 줄에 들어갈 글자수 만큼의 텍스트를 제거하고, 현재줄수에 1을 더하여 갱신한다(S160).
이때, 띄어쓰기가 있는 언어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글자수 만큼의 텍스트를 제거하는 대신에 한 줄에 들어갈 글자수 이내의 최대 길이의 텍스트로서, 상기 남은 자막 변수의 시작 위치로부터 어절이 끝나는 지점까지의 텍스트를 제거한다.
즉, 띄어쓰기 앞에서 자르고 다음 줄로 넘어가는 것이다.
남은 자막 변수의 값이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한다.
즉, 남은 자막 변수에 할당되었던 텍스트들이 모두 제거될 때까지 상기 과정이 반복된다.
한편, 남은 자막 변수 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한계줄수와 현재줄수를 비교한다.
만일, 현재줄수가 한계줄수와 같거나 또는 그보다 작으면 해당 말풍선에 상기 인출한 자막의 표시를 처리한다(S170).
자막의 표시는 상기 인출한 가로 시작좌표 및 세로 시작좌표부터 상기 자막 데이터에 포함된 텍스트를 한 줄씩 표시함으로써 처리된다.
도 6은 자막 표시 영역 내에 자막이 여러 줄로 나뉘어 표시되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띄어쓰기가 있는 언어의 예이다. 각 줄의 길이가 조금씩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디폴트 폰트 크기로 띄어쓰기를 고려하여 문장을 여러 줄로 나누는 것이 성공하면 상기 예와 같이 자막 데이터를 적당한 길이로 나눠 화면에 표시한다.
그런데, 디폴트 폰트 크기로 자막 표시영역(12)에 전체 자막 데이터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S170 단계에서, 현재줄수가 한계줄수보다 크면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폰트 크기를 단위 크기만큼 줄인 다음, 상기 S140 단계로 분기한다.
예컨대, 폰트 크기를 2만큼 줄인 다음, S140 단계로 분기하여 각 줄에 들어갈 최대 길이의 텍스트들을 잘라서 나누기를 반복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각 자막 표시영역(12)에 최대 크기의 폰트 사이즈로 전체 자막 데이터가 표시된다.
해당 말풍선에 대한 자막이 표시되면,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말풍선 번호에 1을 더한 다음 S130 단계로 분기한다(S180).
즉, 해당 페이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모든 말풍선에 대해 자막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는 웹 상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의 형태로 자동 편집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S170 단계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만화 그래픽 이미지 위에 상기 자막을 텍스트 형태로 오버레이하여 웹 페이지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실시예 2]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만화컨텐츠의 다국어 자동편집 방법의 다른 일 측면은 특정 언어로 자동편집된 출판용 만화 컨텐츠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이다.
상기 실시예 1과는 달리, 접속 지역에 따른 자동 언어 변환은 불필요하다.
따라서,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S110 단계를 생략하고, S120 단계부터 S170 단계까지를 순차 실행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출판용 데이터를 자동 편집하여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170 단계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0)가 만화 그래픽 이미지 위에 텍스트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한 다음 머지(Merge)하여 출력용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하에서는, S170 단계에서 자막 데이터의 표시를 처리함에 있어, 특수효과를 처리하는 과정을 부연한다.
도 9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2에서 특수효과의 처리 과정을 부연하는 플로우차트이다.
페이지 데이터는 특수효과 데이터 레이어를 포함하는데, 이때 특수효과 데이터 레이어는 텍스트와 그래픽 콤포넌트로 이루어지는 벡터 그래픽 데이터를 포함한다.
특수효과는 바람직하게는 만화를 더욱 실감나게 표시하기 위해 효과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한 것으로, 도 7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몇 가닥의 선과 "멍멍"과 같은 의성어로 이루어지는 것이 전형적이다.
우선,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상기 자막 테이블로부터 인출된, 클라이언트(100)의 해당 접속지역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상기 벡터 그래픽 데이터의 디폴트 텍스트와 치환한다(S171).
도 7의 (b)와 같이 "멍멍"이 "Bowwow"로 바뀐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한글 "멍멍"은 불과 2음절이지만, "Bowwow"는 알파벳 6개로 이뤄져 있어 그 길이가 훨씬 길다.
이에 따라, 도 7의 (b)에서는 해당 효과음 표시(13)가 컷(10)을 벗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텍스트의 치환 후 상기 벡터 그래픽 데이터가 해당 컷의 외곽선을 벗어남에 따라, 상기 치환된 테스트의 폰트 크기를 단위 사이즈만큼 줄인 다음 상기 S171 단계로 분기한다(S172).
이러한 과정을 거쳐 도 7의 (c)와 같이 컷(10)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효과음 표시(13)의 언어 변환이 자동으로 처리된다.
S170에서 자막 표시 레이어에 대해 자막을 처리함에 있어,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특수효과 레이어에 대한 처리를 별개로 수행하고, 이들 레이어를 겹쳐서 표시하는 것에 의해 다국어 자동편집 과정을 마무리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화컨텐츠의 다국어 자동편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은 웹을 통한 컨텐츠 제공 기술 또는 컴퓨터를 이용하는 출판 기술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100 : 컴퓨팅 디바이스
200 : 클라이언트
10 : 컷
11 : 말풍선
12 : 자막 표시영역
13 : 효과음 표시

Claims (12)

  1. 컴퓨팅 디바이스가,
    다수의 레이어를 갖는 페이지 데이터 -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는 만화 그래픽 이미지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는 자막표시 영역에 대한 정보를 가짐. - 를 메모리에 적재하는 제120 단계;
    자막 테이블로부터 현재 순번의 말풍선에 표시될 자막 데이터, 한계줄수, 가로 넓이를 인출하는 제130 단계;
    현재 폰트 사이즈와 상기 인출한 가로 넓이 값을 이용하여 한 줄에 들어갈 글자수를 계산하는 제140 단계;
    남은 자막 변수에 상기 자막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할당하고, 현재줄수 변수에 0을 할당하는 제150 단계;
    상기 남은 자막 변수로부터 상기 한 줄에 들어갈 글자수 만큼의 텍스트를 제거하고, 현재줄수에 1을 더하여 갱신하는 제160 단계; 및
    상기 남은 자막 변수의 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한계줄수와 현재줄수를 비교하되, 현재줄수가 한계줄수와 같거나 그 보다 작으면 해당 말풍선에 상기 인출한 자막의 표시를 처리하는 제170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70단계는, 상기 자막 테이블로부터 인출된, 클라이언트의 해당 접속지역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벡터 그래픽 데이터의 디폴트 텍스트와 치환하여 특수효과 레이어를 표시하는 제171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페이지 데이터의 레이어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는 특수효과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특수효과 데이터는 텍스트와 그래픽 콤포넌트로 이루어지는 벡터 그래픽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화컨텐츠의 다국어 자동편집 방법.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이 표시되는 영역 정보를 갖는 레이어는,
    상기 만화 그래픽 이미지 레이어에 그려진 하나 이상의 말풍선에 각각 대응하는 자막표시 영역에 대한 정보를 가지되,
    상기 자막표시 영역 정보는 사각형상의 영역으로, 말풍선 번호에 의하여 식별되며,
    상기 제130 단계에서, 상기 자막 테이블로부터 현재 말풍선 번호에 대응하는 자막 데이터를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화컨텐츠의 다국어 자동편집 방법.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71 단계에서, 텍스트의 치환 후 상기 벡터 그래픽 데이터가 해당 컷의 외곽선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치환된 테스트의 폰트 크기를 단위 사이즈만큼 줄인 다음 상기 제171 단계로 분기하는 제172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화컨텐츠의 다국어 자동편집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70 단계에서, 상기 만화 그래픽 이미지 위에 상기 자막을 텍스트 형태로 오버레이하여 웹 페이지를 자동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화컨텐츠의 다국어 자동편집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70 단계에서, 상기 만화 그래픽 이미지 위에 텍스트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한 다음 머지(Merge)하여 출력용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화컨텐츠의 다국어 자동편집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30 단계에서, 가로 시작좌표와 세로 시작좌표를 더 인출하며,
    상기 제170 단계에서, 상기 인출한 가로 시작좌표 및 세로 시작좌표부터 상기 자막 데이터에 포함된 텍스트를 한 줄씩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화컨텐츠의 다국어 자동편집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60 단계에서, 한 줄에 들어갈 글자수 이내의 최대 길이의 텍스트로서, 상기 남은 자막 변수의 시작 위치로부터 어절이 끝나는 지점까지의 텍스트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화컨텐츠의 다국어 자동편집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70 단계에서, 현재줄수가 한계줄수보다 많으면 폰트 크기를 단위 크기만큼 줄인 다음, 상기 제140 단계로 분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화컨텐츠의 다국어 자동편집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30 단계 이전에, 클라이언트의 접속 ip 어드레스에 따라 접속지역 정보를 인출하는 제110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30 단계에서는, 상기 자막 테이블로부터 해당 접속지역에 해당하는 자막을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화컨텐츠의 다국어 자동편집 방법.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70 단계 이후, 말풍선 번호에 1을 더한 다음 제130 단계로 분기하는 제180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화컨텐츠의 다국어 자동편집 방법.
KR1020150099606A 2015-07-14 2015-07-14 만화컨텐츠의 다국어 자동편집 방법 KR101576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606A KR101576563B1 (ko) 2015-07-14 2015-07-14 만화컨텐츠의 다국어 자동편집 방법
US15/580,685 US20180189251A1 (en) 2015-07-14 2016-02-23 Automatic multi-lingual editing method for cartoon content
PCT/KR2016/001747 WO2017010649A1 (ko) 2015-07-14 2016-02-23 만화컨텐츠의 다국어 자동편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606A KR101576563B1 (ko) 2015-07-14 2015-07-14 만화컨텐츠의 다국어 자동편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6563B1 true KR101576563B1 (ko) 2015-12-22

Family

ID=55081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606A KR101576563B1 (ko) 2015-07-14 2015-07-14 만화컨텐츠의 다국어 자동편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80189251A1 (ko)
KR (1) KR101576563B1 (ko)
WO (1) WO20170106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07661B (zh) * 2020-12-15 2023-06-06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文字特效的实现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9622A (en) 1996-03-08 2000-05-30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comic panels
KR20060122004A (ko) * 2005-05-25 2006-11-30 주식회사 유텍 다중언어를 지원하는 인터넷 만화 서비스 방법 및 그시스템
KR100736750B1 (ko) * 2006-03-07 2007-07-06 케이티하이텔솔루션(주) 모바일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45337A (ko) * 2008-10-23 2010-05-03 엔에이치엔(주) 번역 결과가 합성된 만화 컨텐츠를 제공하고 이러한 만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키워드 검색에 노출시키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10310104A1 (en) 2010-06-18 2011-12-22 Dicke Ronald Digital comic book frame transition method
US20120202187A1 (en) 2011-02-03 2012-08-09 Shadowbox Comics, Llc Method for distribution and display of sequential graphic art
US20130028315A1 (en) 2010-04-14 2013-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ree-dimensional image data encoding and decoding method and device
KR20150003982A (ko) * 2013-07-01 2015-01-12 공현식 만화 데이터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379B1 (ko) * 2000-11-29 2007-11-08 강민수 네트워크 사용자의 접속 위치 관련 정보 활용한 사용자 최적화된 콘텐츠 제공 방법
JP2003022269A (ja) * 2001-07-09 2003-01-24 Kyodo Printing Co Ltd 漫画翻訳装置及びそのシステム並びに漫画翻訳方法
JP5674451B2 (ja) * 2010-12-22 2015-02-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ビューワ装置、閲覧システム、ビューワ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9622A (en) 1996-03-08 2000-05-30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comic panels
KR20060122004A (ko) * 2005-05-25 2006-11-30 주식회사 유텍 다중언어를 지원하는 인터넷 만화 서비스 방법 및 그시스템
KR100736750B1 (ko) * 2006-03-07 2007-07-06 케이티하이텔솔루션(주) 모바일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45337A (ko) * 2008-10-23 2010-05-03 엔에이치엔(주) 번역 결과가 합성된 만화 컨텐츠를 제공하고 이러한 만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키워드 검색에 노출시키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30028315A1 (en) 2010-04-14 2013-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ree-dimensional image data encoding and decoding method and device
US20110310104A1 (en) 2010-06-18 2011-12-22 Dicke Ronald Digital comic book frame transition method
US20120202187A1 (en) 2011-02-03 2012-08-09 Shadowbox Comics, Llc Method for distribution and display of sequential graphic art
KR20150003982A (ko) * 2013-07-01 2015-01-12 공현식 만화 데이터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10649A1 (ko) 2017-01-19
US20180189251A1 (en)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37702C (en) Emphasizing a portion of the visible content elements of a markup language document
US11216253B2 (en) Application prototyping tool
US8234392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viding a hardware accelerated web engine
KR101121070B1 (ko) 큰 오브젝트를 작은 디스플레이 위에 표현
US20070216712A1 (en) Image transformation based on underlying data
KR102523843B1 (ko) 폰트 렌더링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CN103678631A (zh) 页面渲染方法及装置
KR20150079867A (ko) Html5-프로토콜 기반 웹페이지 표시 방법 및 장치
JP2010532513A (ja) データ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30100161A1 (en) Digital comic editor,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US20130262987A1 (en) Document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editor
US9495348B2 (en) Template application error detection
CN111857878B (zh) 骨架屏页面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arsen Mastering SVG: Ace web animations, visualizations, and vector graphics with HTML, CSS, and JavaScript
KR101576563B1 (ko) 만화컨텐츠의 다국어 자동편집 방법
US11126799B2 (en) Dynamically adjusting text strings based on machine translation feedback
KR101401973B1 (ko) 렌더링 방법 및 장치
US697623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graphics
Libby Beginning SVG: A Practical Introduction to SVG Using Real-world Examples
Hassan et al. The browser as a document composition engine
KR101496691B1 (ko) 그리드 라인 유지 기반의 스프레드시트 문서 표시 장치 및 방법
JP6619691B2 (ja) 映像編集装置
Mueller CSS3 for Dummies
KR2016011521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방법
JP2024020975A (ja) 情報処理装置、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