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4475A - 조경용 플랜터 - Google Patents

조경용 플랜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4475A
KR20220034475A KR1020200116889A KR20200116889A KR20220034475A KR 20220034475 A KR20220034475 A KR 20220034475A KR 1020200116889 A KR1020200116889 A KR 1020200116889A KR 20200116889 A KR20200116889 A KR 20200116889A KR 20220034475 A KR20220034475 A KR 20220034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er
outer frame
landscaping
frame
pla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맹시호
Original Assignee
맹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맹시호 filed Critical 맹시호
Priority to KR1020200116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4475A/ko
Publication of KR20220034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44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원이나 실외 또는 실내 정원의 조경을 위하여 사용되는 플랜터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플라스틱이나 도기 화분 또는 목재로 만들어진 플랜터 박스와 달리 자연친화적인 느낌을 강하게 줄 수 있도록 망체로 이루어진 플랜터의 외곽에 자갈이나 파쇄석을 채워 장식한 것으로, 망체로 이루어진 외부 틀(10)과; 상기 외부 틀(10)의 내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식재 틀(20)과; 상기 외부 틀(10)과 식재 틀(20) 사이의 이격공간(S1)에 채워지는 자갈 또는 파쇄석 등의 치장재(30)와; 상기 식재 틀(20)의 내부공간(S2)에 채워지며 초목이 식재되는 천연 또는 인공 상토(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조경용 플랜터{Planter for landscape}
본 발명은 공원이나 광장 등의 실외 또는 실내 정원의 조경을 위하여 사용되는 플랜터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플라스틱이나 도기 화분 또는 목재로 만들어진 플랜터 박스와 달리 자연친화적인 느낌을 강하게 줄 수 있도록 망체로 이루어진 플랜터의 외곽에 자갈이나 파쇄석 등의 치장재를 채워 장식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이나 광장 또는 실내외 정원에서 보통의 화분보다 크게 초목류를 식재하는 조경용 플랜터는 목재나 합성수지 등을 사각 박스 또는 원형으로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대형 플랜터 박스는 실외에 설치한 경우 외부의 목재가 비나 눈에 의해 오래 지나지 않아 썩거나 부식되어 수명이 비교적 짧은 것은 물론, 방부처리를 한 목재를 사용하거나 오일 스테인을 도포하더라도 구조적인 강도의 저하로 인한 변형의 발생과 변색 및 기타 관리부실로 인한 수명 단축을 피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빗물과 흙이 튀면서 표면이 쉽게 더러워지게 되어 이의 관리도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플랜터 박스는 외부가 목재 또는 수지로 마감되어 있었으므로 주변 환경과의 부조화가 발생하여 조경효과가 저하될 우려도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 특허문헌 1의 '철망 녹화블록'은 철망 프레임의 내측 벽면에 망목밀도가 높은 보조망을 설치하고, 코코넛 섬유나 마섬유 등의 친환경소재로 된 식생보강매트와 종자펄프로 이루어진 녹화패드를 보조망 안쪽에 설치한 뒤, 내부에 양질의 흙 또는 피트모드 등의 인공 흙을 충진시킨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상하로 축조하게 되면 노출면이 잔디 등의 초본류나 각종 야생화, 넝쿨식물 등으로 녹화되어 환경친화적인 구조물로 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조경용 플랜터로 사용하기에는 그다지 적합하지 못하였다.
특허문헌 2의 '화분형 식생 돌망태'는 제방 등의 사면 또는 바닥면을 보호하기 위해 철망에 돌을 넣어 설치하는 것으로, 철망의 내부에 화분형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포트가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또한 돌망태 내부에 식재한 화분에서 식물 줄기가 외부로 뻗어나와 부분적으로 녹화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조경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고 돌망태에 어느 정도의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정도에 불과하였다.
특허문헌 3의 '게비온 화분'은 망체의 내측에 부직포 재질로 된 내측커버가 둘러지고, 망체의 외측에는 폴리에스터 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외측커버를 씌운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으므로 외관이 기존의 플랜터 박스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으며, 다만, 망체를 전개하여 쉽게 많이 운반할 수 있고, 현장에서 박스형태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을 뿐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48614호(2016.05.04. 공개) 한국등록실용 제20-0281895호(2002.06.29. 등록) 한국공개실용 제20-2016-0003411호(2016.10.06.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목재나 합성수지 또는 도기 재질의 화분이나 대형 플랜터가 갖고 있던 식상함에서 벗어나 친환경적이면서도 오염이나 파손의 우려가 없고, 시간의 경과에도 불구하고 더욱 자연스러워지며, 주변환경과 잘 어울리는 공간의 연출이 가능한 새로운 개념의 조경용 플랜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망체로 이루어진 외부 틀과; 상기 외부 틀의 내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식재 틀과; 상기 외부 틀과 식재 틀 사이의 이격공간에 채워지는 자갈, 파쇄석, 통나무 또는 숯 등으로 이루어진 치장재와; 상기 식재 틀의 내부에 채워지며 초목이 식재되는 천연 또는 인공 상토;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경용 플랜터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조경용 플랜터는 원형이나 다각형 단면 또는 구형(球形)을 이루며, 상기 식재 틀은 금속 또는 비금속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측부의 소정 높이에 배수 겸 통기구멍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조경용 플랜터의 외형이 원형이나 사각형 또는 구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도 외곽에 자갈 또는 파쇄석을 포함하는 각종 치장재가 채워져 있으므로 외관이 오래도록 질리지 않는 자연적이면서도 중후한 질감을 느끼게 하며, 외부의 충격에 의한 파손의 우려 또한 적고 내구성 및 내후성이 우수하며, 내부에 식재된 초목류도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인 자연 환경을 갖는 망체로 이루어진 틀 안에서 건강하게 생육할 수 있게 되고, 무엇보다도 녹색의 초목류와 자연적 질감을 갖는 돌망태 또는 돌담 형태로 이루어진 플랜터 본체와의 조화에 의해 실내외 조경을 더욱 빛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원형 플랜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형 플랜터의 식재상태도,
도 3은 도 2의 A - 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원형 플랜터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사각 플랜터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사각 플랜터의 식재상태도
도 7은 도 6의 B - B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구형 플랜터의 일부 분리상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구형 플랜터의 식재상태도,
도 10은 도 9의 C - C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조경용 플랜터의 다양한 실물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4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원형 플랜터(1)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망체로 이루어진 외부 틀(10)과; 상기 외부 틀(10)의 내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식재 틀(20)과; 상기 외부 틀(10)과 식재 틀(20) 사이의 이격공간(S1)에 채워지는 자갈 또는 파쇄석으로 이루어진 치장재(30)와; 상기 식재 틀(20)의 내부공간(S2)에 채워지며 초목이 식재되는 천연 또는 인공 상토(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조경용 플랜터(1)는 평면상에서 볼 때 원형 단면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약 1~1.2m정도의 직경과 40~60cm의 높이를 이루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규격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규격으로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이격공간(S1)의 외부 틀(10)과 식재 틀(20) 사이의 간격은 대략 5~10cm 내외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와 형태가 다양한 자갈이나 파쇄석을 빙 둘러서 돌담을 쌓듯이 채워주게 되면 기존의 목재 플랜터에서 느낄 수 없던 전혀 새로운 느낌의 중후하면서도 자연적인 질감을 갖는 일종의 게비온(돌망태)와 같은 외관을 가지면서도 상부에서 조경용 초목류(P)가 식재되어 자라게 됨으로써 위치 이동은 가능하지만 제자리에서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조경용 플랜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식재 틀(20)은 금속 또는 비금속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측부의 소정 높이에 배수 겸 통기구멍(22)이 형성되어 있어서, 초목류의 식재 초기에 어느 정도의 물을 주입하여 현장에 설치하게 되면 별도의 급수관리를 하지 않더라도 자체가 보유한 수분 및 설치 후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빗물 등에 의해 안정적인 생장환경을 보유할 수 있게 되며, 가뭄이 심한 경우이거나 외부로부터 빗물 등의 유입이 불가능한 장소에 설치된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적정한 급수를 실시해주면 된다.
한편, 식재공간(S2) 내에 과도한 수분이 공급될 경우에는 배수 겸 통기구멍(22)을 통해 과잉의 물이 배수되며, 배수된 물은 외측의 자갈 또는 파쇄석에서 자연스럽게 흡수하여 분산시키게 되므로 배수과정에서 흙의 유실을 방지함은 물론 바닥의 오염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예에 의한 조경용 플랜터(1)는 외부 틀(10)과 식재 틀(20)의 하부를 지지하는 바닥(50)의 저면에 지면과의 이격을 위한 복수의 다리(60)가 부착되어 있는데, 상기 다리(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설치되고, 각각의 다리(60) 높이를 설치 현장의 바닥 기울기에 따라서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조경용 플랜터(1)가 시각적으로 수평을 유지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다리(60)는 바닥(50)의 저면에 방사상으로 부착된 바닥 프레임(52)의 외측에 일단이 용접된 말굽 형태를 이루고 있는데, 말굽 형태를 이루는 다리(60)의 타단은 바닥 프레임(52)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어서 이를 낮추고자 할 경우 상부에서 강하게 누르거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힘을 가하게 되면 다리(5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될 것이고, 외측으로 잡아당기면 다리(50)의 높이가 높아지게 될 것이므로 설치현장의 바닥 기울기에 맞추어 복수의 다리(50) 높이를 임의로 조절해주면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외부 틀(10) 및 식재 틀(20)은 그 상단부에 원형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지지하기 위한 보강 림(12,24;rim)이 용접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 54는 바닥(10)의 외곽에 둘러지는 보강 림이며, 외부 틀(10)을 형성하는 망체의 하단과 상단은 각각 바닥 보강 림(54)과 상부의 보강 림(12) 내측에 용접됨으로써 외부에서 용접부위 및 철선의 절단부위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관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외부 틀(10)을 형성하는 망체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선이 격자로 용접된 철선 격자망 외에도 철판망(expended metal)이나 합성수지망 등으로도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철선 격자망이나 철판망으로 제작된 경우에는 아연도금에 의해 쉽게 부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조경용 플랜터(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에 자갈 또는 파쇄석이 낮은 돌담과 같은 형태 또는 돌망태와 같은 형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무게감이 있는 것은 물론, 자연석 질감이 주는 친환경적인 느낌에 내측 상부에 식재된 초목류(P)와 자연스럽게 조화되어 기존의 목재 플랜터에서 느낄 수 없었던 새로운 미감을 주게 되어 조경 또는 인테리어효과의 극대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외곽에 둘러진 자갈이나 파쇄석은 그 양이 그다지 많이 소요되지 않으므로 전체적인 중량은 많이 나가지 않아 이의 이동과 운반도 크게 어렵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조경용 플랜터(1)는 이격공간(S1)에 채워지는 자갈 또는 파쇄석을 돌담을 쌓듯이 쌓을 수도 있는 것은 물론, 자갈 또는 파쇄석의 질감과 색감이 다른 것을 혼합하여 소정의 패턴, 외부로 노출되는 패턴을 물결패턴이나 전통문양인 회문(回文), 뇌문, 각종 문자, 기업이나 지자체의 로고 등을 비롯한 다양한 도형과 문자 및 특이한 문양을 형성할 수도 있으므로 같은 원형 플랜터이더라도 주문자의 요구나 제작자의 소질에 따라서 그리고 이의 설치장소에 적합하게 매우 다양한 패턴을 갖도록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자갈 또는 파쇄석이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공의 자갈이나 인공 파쇄석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천연의 자갈 또는 파쇄석을 사용하지 않고도 저렴한 비용으로 그리고 중량을 훨씬 가볍게 제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고, 소정 두께 즉, 이격공간(S1)폭 정도로 절단된 통나무나 절단된 통숯 등을 치장재(30)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 7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사각 플랜터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 의한 플랜터는 형태만 사각으로 변경되고 구조는 제1실시 예의 원형 플랜터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10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의한 플랜터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 의한 플랜터(1)는 구형(球形)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부 틀(10)이 격자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마치 위도선과 경도선이 표시된 지구본과 같은 외형을 이루고 있어 매우 독특한 미감을 주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외부 틀(10)은 물론 내측의 식재 틀(20)도 망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외부 틀(10)과 식재 틀(20)의 상단부만이 일부 개방되어 있는바, 상기 외부 틀(10)은 자갈 또는 파쇄석 채움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반구(10a)와 하반구(10b)가 분리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분리형으로 이루어진 상,하반구(10a,10b)는 자갈 또는 파쇄석의 채움 후 용접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으며, 식재 틀(20)의 내벽에는 상토의 유실 방지를 위한 부직포나 비닐 등을 비롯한 다양한 재질의 차수용 시트(T)를 둘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상,하반구(10a,10b)는 완전히 절반 크기로 분할될 수도 있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반구(10b)가 상반구(10a)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반구(10a)가 분리된 상태에서 하반구(10b)의 내측에 자갈이나 파쇄석을 대부분 채운 후, 상반구(10a)를 하반구(10b) 위에 올려 용접 또는 기타 방법으로 일체가 되도록 결합한 후, 상부의 개방된 공간을 통해서 자갈이나 파쇄석을 마저 채워주는 것이 작업상 유리하다.
또,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은 구형으로 이루어진 외부 틀(10)은 상,하반구로 분할시킬 수도 있고, 상,하반구는 일체로 제작하고, 상반구 외곽에 일부 개방부를 형성하여 이 개방부를 통해 자갈이나 파쇄석을 채워넣고 다시 개방부에 일치되는 크기의 덮개망을 부착하여 폐쇄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구형으로 이루어진 조경용 플랜터는 다리를 부착하지 않고 바닥(50)이 직접 지면에 닿도록 제작하는 것이 미관상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조경용 플랜터는 상술한 실시 예에서 도시된 형태에 국한되지 않고, 도 11의 실물사진에서와 같이 다양한 형태와 규격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들 플랜터는 독립적으로 설치되거나 상호 연속 설치에 의해 공원이나 광장 또는 실내외 정원에서 낮게 돌담을 쌓은 형태처럼 매우 자연친화적이면서도 중후하고 오염의 우려도 적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도 매우 우수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장기적인 조경효과를 지속적으로 거둘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
1 : 플랜터
10 : 외부 틀
10a : 상반구
10b : 하반구
12 : 보강 림(rim)
20 : 식재 틀
22 : 배수 겸 통기구멍
24 : 보강 림
30 : 치장재(자갈, 파쇄석, 통나무, 통숯 등)
40 : 상토
50 : 바닥
52 : 바닥 프레임
54 : 보강 림
60 : 다리
P : 초목류
S1 : 이격공간
S2 : 내부공간
T : 차수용 시트

Claims (10)

  1. 망체로 이루어진 외부 틀(10);
    상기 외부 틀(10)의 내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식재 틀(20);
    상기 외부 틀(10)과 식재 틀(20) 사이의 이격공간(S1)에 채워지는 치장재(30);
    상기 식재 틀(30)의 내부에 채워지며 초목이 식재되는 천연 또는 인공 상토(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플랜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랜터는 원형이나 다각형 단면 형태를 이루며, 상기 식재 틀(20)은 금속 또는 비금속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측부의 소정 높이에 배수 겸 통기구멍(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플랜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플랜터는 외부 틀(10)과 식재 틀(20)의 하부를 지지하는 바닥(50)의 저면에 지면과의 이격을 위한 복수의 다리(60)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플랜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다리(60)는 방사상으로 설치되고, 각각의 다리(60)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플랜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랜터는 구형(球形)으로 이루어지고, 외부 틀(10)과 식재 틀(20)은 모두 망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 틀(10)과 식재 틀(20)의 상단부만이 개방되되 상기 외부 틀(10)은 치장재(30)의 채움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반구(10a)와 하반구(10b)가 분리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플랜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부 틀(10) 및 식재 틀(20)은 상단부에 형태 지지를 위한 보강 림(12,24; rim)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플랜터.
  7. 청구항 1 내지 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틀(10)을 형성하는 망체는 철선 격자망 또는 철판망(expended metal)이나 합성수지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플랜터.
  8. 청구항 1 내지 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장재(30)는 자갈, 파쇄석, 절단된 통나무, 통숯 중의 어느 하나이고, 질감과 색감이 다른 것을 혼합하여 소정의 패턴이나 문양 또는 문자를 형성하도록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플랜터.
  9. 청구항 1 내지 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장재(30)인 자갈 또는 파쇄석은 천연석 또는 인공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플랜터.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외부 틀(10)은 위도선과 경도선이 표시된 지구본과 같은 외형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플랜터.
KR1020200116889A 2020-09-11 2020-09-11 조경용 플랜터 KR202200344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889A KR20220034475A (ko) 2020-09-11 2020-09-11 조경용 플랜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889A KR20220034475A (ko) 2020-09-11 2020-09-11 조경용 플랜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475A true KR20220034475A (ko) 2022-03-18

Family

ID=80936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889A KR20220034475A (ko) 2020-09-11 2020-09-11 조경용 플랜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447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8614A (ko) 2014-10-24 2016-05-04 곽선경 철망 녹화블록
KR20160003411U (ko) 2015-03-25 2016-10-06 허영철 개비온 화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8614A (ko) 2014-10-24 2016-05-04 곽선경 철망 녹화블록
KR20160003411U (ko) 2015-03-25 2016-10-06 허영철 개비온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432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vering Surfaces with a Planting Module
KR101099361B1 (ko) 벽면녹화용 다공패널 구조체
KR20160048614A (ko) 철망 녹화블록
JPH06253684A (ja) 建物壁面植栽方法及び植栽具
KR101203135B1 (ko)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 및 공법
JP5208079B2 (ja) 緑化ポール
KR20220034475A (ko) 조경용 플랜터
US20040187418A1 (en) Decorative floating island
JP3890532B2 (ja) 多目的緑化盤及び緑化方法
KR100192709B1 (ko) 하천의 조경조성방법 및 조경조성을 위한 구조물
KR100902663B1 (ko) 트레이형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218789489U (zh) 一种屋顶绿化乔木固定结构
KR101335543B1 (ko) 식생형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KR101297778B1 (ko) 주거단지의 도로에 설치되는 텃밭조성용 홈통
JPH1025753A (ja) 植生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とこれを用いた覆工構造
JP3749007B2 (ja) 植物育成用補助具および植物育成方法
JP2007306859A (ja) 緑地の植栽方法
JP3733611B2 (ja) 構造物の緑化工法
KR100558468B1 (ko) 도로 조경용 화단
JP2579745B2 (ja) 人工水苔装置
JPH03254610A (ja) 簡易植裁方法及びプランター
JP2824472B2 (ja) 植物栽培用人工床
KR100457781B1 (ko) 토양 적층방식을 이용한 식생방음벽 공법 및 그 식생방음벽
KR200281859Y1 (ko) 화분형 식생 돌망태
KR101067685B1 (ko) 트레이형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