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3764A - 전선 착설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착설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3764A
KR20220033764A KR1020200116023A KR20200116023A KR20220033764A KR 20220033764 A KR20220033764 A KR 20220033764A KR 1020200116023 A KR1020200116023 A KR 1020200116023A KR 20200116023 A KR20200116023 A KR 20200116023A KR 20220033764 A KR20220033764 A KR 20220033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
support shaft
mounting
electric wire
eccentric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4203B1 (ko
Inventor
김영석
김태용
신근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116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203B1/ko
Publication of KR20220033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6Devices for removing snow or ice from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moisture, corrosion, chemical attack or weath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전선 착설 방지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전선 착설 방지장치는: 전선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장착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편심되어 장착부와 연결되는 편심 지지축부와, 편심 지지축부와 연결되고, 눈이 쌓이면 눈의 하중에 의해 탄성변형되고, 편심 지지축부의 중심으로 일측으로 기울어져 눈을 낙하시키는 착설방지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선 착설 방지장치{PREVENTING DEVICE OF SNOW ACCERTION FOR WIRE}
본 발명은 전선 착설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에 눈이 쌓여 착설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선 착설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은 전기를 전달하는 선으로, 눈이 오는 경우 전선 착설 현상이 발생된다. 전선착설은 전선에 눈이 부착하는 현상으로, 수분이 많은 눈이 전선에 부착되어 그 무게로 전선의 단선이나 전선을 지지하는 철탑 등의 주변 장치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3-028843호(발명의 명칭: 가공 절연 전선의 착설 방지 방법, 공개일: 1993.02.05.)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전선에 눈이 쌓여 착설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선 착설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선 착설 방지장치는: 전선에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편심되어 상기 장착부와 연결되는 편심 지지축부; 및 상기 편심 지지축부와 연결되고, 눈이 쌓이면 상기 눈의 하중에 의해 탄성변형되고, 상기 편심 지지축부의 중심으로 일측으로 기울어져 상기 눈을 낙하시키는 착설방지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크기가 상기 전선의 크기보다 작으며, 탄성복원력으로 상기 전선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전선의 외측을 감싸고, 상기 편심 지지축부가 편심되어 장착되는 장착부본체; 및 상기 장착부본체의 양단부에서 각각 연장형성되고, 탄성복원력으로 상기 전선을 그립하는 한 쌍의 그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편심 지지축부는, 상기 장착부본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편심되어 상기 장착부본체와 연결되는 제1편심 지지축부; 및 상기 제1편심 지지축부에서 상기 장착부본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착설방지판부와 연결되는 제2편심 지지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설방지판부는 상기 제2편심 지지축부에서 상기 전선을 감싸도록 라운드지게 연장형성되며, 상기 눈이 쌓이는 착설방지판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설방지판부는 상기 눈이 쌓이며, 상기 착설방지판본체에서 일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착설방지판본체의 편심을 촉진하는 편심촉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설방지판부는 자기윤활성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착설 방지장치는 눈이 쌓이게 되면 눈의 하중에 의해 편심 지지축부와 연결된 착설방지판부가 기울어져 눈이 낙하됨에 따라, 전선에 눈이 쌓여 착설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편심촉진부를 통해 착설방지판본체의 기울어짐이 가속화되어 착설방지판부에 쌓인 눈이 신속하게 낙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설방지판부가 자기윤활성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짐에 따라 착설방지판부에 쌓인 눈이 착설방지판부 따라 원활하게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낙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착설 방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착설 방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착설 방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착설 방지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착설 방지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착설 방지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착설 방지장치가 전선에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착설 방지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착설 방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착설 방지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착설 방지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착설 방지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착설 방지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착설 방지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착설 방지장치가 전선에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착설 방지장치(1)는 장착부(100), 편심 지지축부(200) 및 착설방지판부(300)를 포함한다.
장착부(100)는 전선(10)에 장착된다. 장착부(100)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탄성복원력에 의해 전선(10)에 장착된다.
편심 지지축부(200)는 장착부(100)의 중심부(O)를 기준으로 편심되어 장착부(100)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장착부(100)의 중심부(O)를 수직으로(도 3 기준) 연결한 Y축을 기준으로 좌측(도 4 기준)으로 편심되어 장착부(100)와 연결될 수 있다.
착설방지판부(300)는 편심 지지축부(200)와 연결되고, 눈(20)이 쌓이면 눈(20)의 하중에 의해 탄성변형되고, 편심 지지축부(200)의 중심으로 일측으로 기울어져 눈(20)을 낙하시킨다. 착설방지판부(300)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전선(10)을 감싸는 형상으로 일측부가 편심 지지축부(200)와 연결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눈(20)이 오는 경우, 착설방지판부(300)의 상측면(도 5, 도 6 기준)에 눈(20)이 쌓이게 된다. 착설방지판부(300)에 눈(20)이 설정두께 이상 쌓이게 되면, 눈(20)의 하중에 의해 착설방지판부(300)의 편심 지지축부(200)와 연결되지 않은 타측부가 탄성변형되어 기울어지면서 착설방지판부(300)의 외측면에 쌓인 눈(20)이 낙하된다.
이로 인해, 전선(10)에 눈(20)이 쌓여 착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착설방지판부(300)의 외측면에 쌓인 눈(20)이 낙하되면, 눈(20)의 하중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고, 착설방지판부(300)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된다.
장착부(100)는 크기가 전선(10)의 크기보다 작으며, 탄성복원력으로 전선(10)에 장착된다. 장착부(100)는 전선(10)에 장착되면서 탄성변형되어 크기가 증가된다(도 8 참조). 이후, 장착부(100)가 전선(10)에 장착되면 장착부(100)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전선(10)에 밀착되어 장착된다. 그 결과, 전선 착설 방지장치(1)가 전선(10)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장착부(100)는 장착부본체(110)와 한 쌍의 그립부(120)를 포함한다. 장착부본체(110)는 전선(10)의 외측을 감싸고, 편심 지지축부(200)가 편심되어 장착된다.편심 지지축부(200)는 장착부본체(110)의 중심부(O)를 기준으로 장착부본체(110)의 일측으로 편심되어 장착된다.
한 쌍의 그립부(120)는 장착부본체(110)의 양단부에서 각각 연장형성되고, 탄성복원력으로 전선(10)을 그립한다. 한 쌍의 그립부(120)는 전선(10)에 장착되면서 탄성변형되나, 전선(10)에 장착되면 전선(10)에 밀착되어 전선(10)을 그립한다.
한 쌍의 그립부(120)는 제1그립부(121)와 제2그립부(122)를 포함한다. 제1그립부(121)는 장착부본체(110)의 일단부에서 연장형성되고, 탄성복원력으로 전선(10)을 그립한다. 제2그립부(122)는 장착부본체(110)의 타단부에서 연장형성되고, 탄성복원력으로 전선(10)을 그립한다.
편심 지지축부(200)는 제1편심 지지축부(210)와 제2편심 지지축부(220)를 포함한다. 제1편심 지지축부(210)는 장착부본체(110)의 중심부(O)를 기준으로 편심되어 장착부본체(110)와 연결된다. 제1편심 지지축부(210)는 장착부본체(110)의 의 중심부(O)를 수직으로(도 4 기준) 연결한 Y축을 기준으로 좌측(도 4 기준)으로 편심되어 장착부본체(1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편심 지지축부(220)는 제1편심 지지축부(210)에서 장착부본체(11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착설방지판부(300)와 연결된다. 달리 말해, 제2편심 지지축부(220)는 제1편심 지지축부(210)에서 전선(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일측부에 착설방지판부(300)가 일체로 형성된다(도 2 내지 도 4 참조). 이때, 착설방지판부(300)는 제2편심 지지축부(220)의 일측부에서 전선(10)을 감싸도록 연장형성된다.
착설방지판부(300)는 착설방지판본체(310)와 편심촉진부(320)를 포함한다. 착설방지판본체(310)는 제2편심 지지축부(220)에서 전선(10)을 감싸도록 라운드지게 연장형성되며, 눈(20)이 쌓인다. 착설방지판부(300)는 제2편심 지지축부(220)에서 우측(도 4 기준)으로 라운드지게 연장형성된다. 착설방지판부(300)에 눈(20)이 설정두께 이상 쌓이게 되면, 눈(20)의 하중에 의해 편심 지지축부(200)를 중심기준으로 착설방지판부(300)가 하측(도 7 기준)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착설방지판부(300)는 도 6을 참조하면 Z축을 기준으로 좌측(도 6 기준)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착설방지판부(300)에 쌓인 눈(20)이 낙하되어 전선(10)에 눈(20)이 쌓여 착설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착설방지판부(300)에 쌓인 눈(20)이 낙하되면, 착설방지판부(300)를 눈(20)의 하중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고, 착설방지판부(300)는 탄성본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된다.
편심촉진부(320)는 눈(20)이 쌓이며, 착설방지판본체(310)에서 일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착설방지판본체(310)의 편심을 촉진한다. 착설방지판본체(310)에서 착설방지판본체(310)의 하측으로(도 4 기준) 돌출형성된다. 이로 인해, 눈(20)이 오면, 편심촉진부(320)에도 역시 눈(20)이 쌓이게 되면서 착설방지판본체(310)의 기울어짐을 가속화한다. 이에 따라, 착설방지판부(300)에 쌓인 눈(20)이 신속하게 낙하될 수 있다.
착설방지판부(300)는 윤활제를 공급하지 않더라도 마찰 저항이 적은 재료인 자기윤활성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착설방지판부(300)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장착부(100)와 편심 지지축부(200) 역시 자기윤활성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장착부(100)와 편심 지지축부(200)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착설방지판부(300)가 자기윤활성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짐에 따라 착설방지판부(300)에 쌓인 눈(20)이 착설방지판부(300) 따라 원활하게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낙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전선 착설 방지장치 10 : 전선
20 : 눈 100 : 장착부
110 : 장착부본체 120 : 그립부
121 : 제1그립부 122 : 제2그립부
200 : 편심 지지축부 210 : 제1편심 지지축부
220 : 제2편심 지지축부 300 : 착설방지판부
310 : 착설방지판본체 320 : 편심촉진부

Claims (7)

  1. 전선에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편심되어 상기 장착부와 연결되는 편심 지지축부; 및
    상기 편심 지지축부와 연결되고, 눈이 쌓이면 상기 눈의 하중에 의해 탄성변형되고, 상기 편심 지지축부의 중심으로 일측으로 기울어져 상기 눈을 낙하시키는 착설방지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착설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크기가 상기 전선의 크기보다 작으며, 탄성복원력으로 상기 전선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착설 방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전선의 외측을 감싸고, 상기 편심 지지축부가 편심되어 장착되는 장착부본체; 및
    상기 장착부본체의 양단부에서 각각 연장형성되고, 탄성복원력으로 상기 전선을 그립하는 한 쌍의 그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착설 방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지지축부는,
    상기 장착부본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편심되어 상기 장착부본체와 연결되는 제1편심 지지축부; 및
    상기 제1편심 지지축부에서 상기 장착부본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착설방지판부와 연결되는 제2편심 지지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착설 방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착설방지판부는 상기 제2편심 지지축부에서 상기 전선을 감싸도록 라운드지게 연장형성되며, 상기 눈이 쌓이는 착설방지판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착설 방지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착설방지판부는 상기 눈이 쌓이며, 상기 착설방지판본체에서 일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착설방지판본체의 편심을 촉진하는 편심촉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착설 방지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설방지판부는 자기윤활성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착설 방지장치.
KR1020200116023A 2020-09-10 2020-09-10 전선 착설 방지장치 KR102574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023A KR102574203B1 (ko) 2020-09-10 2020-09-10 전선 착설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023A KR102574203B1 (ko) 2020-09-10 2020-09-10 전선 착설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764A true KR20220033764A (ko) 2022-03-17
KR102574203B1 KR102574203B1 (ko) 2023-09-05

Family

ID=80936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023A KR102574203B1 (ko) 2020-09-10 2020-09-10 전선 착설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20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059B1 (ko) * 2016-01-26 2017-02-09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갤로핑 방지 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059B1 (ko) * 2016-01-26 2017-02-09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갤로핑 방지 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4203B1 (ko) 202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547B1 (ko) 안테나 접속장치
WO2001063985A3 (en) Electronic supports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forming apertures in electronic supports
KR20220033764A (ko) 전선 착설 방지장치
JPH10504939A (ja) サージ防止器
US3539139A (en) Appliance for linear bodies
KR20130032118A (ko) 스페이서 댐퍼
EA000186B1 (ru) Подвесной зажим для подвески проводов высоковольтных воздушных кабелей на опорную конструкцию
JP5686807B2 (ja) 鉄道レールファスニングクリップ用インシュレータ及びこのインシュレータとともに使用するための鉄道レールファスニングクリップ
KR200433235Y1 (ko) 다도체 송전선로용 스페이서 댐퍼
CN110137019A (zh) 一种动触刀装置及其隔离开关
US6356428B1 (en) Suspension device for line-mounted surge arrester
KR102259566B1 (ko)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CN1372692A (zh) 具有开关箱和可活动式触头支承的低压断路器
JP2001233432A (ja) ベルトコンベヤのスカート部構造
KR102353393B1 (ko) 점퍼지지애자 연결 장치
EP1732186A1 (en) Electrical connection arrangement
CN219852729U (zh) 一种防摔焊台中控
KR200451147Y1 (ko) 래들 대차용 리미트스위치 장착구조
CN104779736A (zh) 用于洗衣机的电机端盖和电机组件及具有其的洗衣机
JPH11205980A (ja) 架空送電線用連結金具
KR200303205Y1 (ko) 컷아웃스위치 고정구조
KR101535951B1 (ko) 배전선로와 안정적으로 결합하는 지중배전기
CN203787915U (zh) 一种防振锤线夹
CN116598152B (zh) 融冰装置
KR200495730Y1 (ko) 전자기기 거치용 벽 고정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