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3393B1 - 점퍼지지애자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점퍼지지애자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3393B1
KR102353393B1 KR1020200074137A KR20200074137A KR102353393B1 KR 102353393 B1 KR102353393 B1 KR 102353393B1 KR 1020200074137 A KR1020200074137 A KR 1020200074137A KR 20200074137 A KR20200074137 A KR 20200074137A KR 102353393 B1 KR102353393 B1 KR 102353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member
connection
support insulator
jumper
nu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6489A (ko
Inventor
고봉환
강수진
송철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74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393B1/ko
Publication of KR20210156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01B17/16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Abstract

본 발명은 점퍼지지애자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송전탑의 지지대에 설치되고, 원기둥 형상을 포함하는 제1 회동 연결부를 구비하는 제1 연결 금구와, 제1 회동 연결부와 면접촉되도록 연결되는 제2 회동 연결부와, 점퍼지지애자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3 회동 연결부를 구비하는 제2 연결 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점퍼지지애자 연결 장치{APPARATUS FOR JUMPER SUPPORT INSULATOR}
본 발명은 점퍼지지애자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동 연결부에서 면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접촉면적을 확장함으로써, 점퍼지지애자의 횡진으로 인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점퍼지지애자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송전선로는 지중에 전력선을 매설하는 지중선로와, 철탑 및 절연 애자를 이용하여 지상에서 소정 높이 위의 공중에 전력선을 지지 설치하는 가공선로 두 가지로 나뉜다.
가공선로는 실제 수용가에 공급되는 전력을 수송하기 위한 전력선과, 낙뢰로 인해 전력선에 유기되는 뇌전압을 감소시키기 위한 가공지선 및 불평형 요인으로 인한 발생전류를 유인하는 중성선으로 구성되어 있는바, 전력선의 지지방식에 따라, 크게 현수형과 내장형의 두 가지로 나누어질 수 있다.
내장형 방식의 경우에는 가공선로를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위에 이격 위치시키기 위한 별도의 내장 클램프를 통해 철탑의 양측에 전력선의 양 끝단을 각각 고정 지지한 후 점퍼선을 통해 전력선을 상호 접속시키게 된다. 이때 철탑의 양측을 가로지르게 되는 점퍼선을 철탑으로부터 이격 지지하기 위해 철탑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수평재용 강관을 고정 설치하고 강관 외주면에 점퍼선을 고정시킴으로써 점퍼선을 지지하도록 하는 점퍼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점퍼 장치가 설치된 후 점퍼선에 특정 방향으로 부는 바람에 의해서 점퍼 장치가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이러한 진동이 있을 경우 안전상 점퍼선과 점퍼 장치가 주변 설비와의 이격 거리가 증가하게 되므로, 이격 거리 축소를 위한 진동량 감소와 횡진 특성 개선을 위해 점퍼지지애자 또는 횡진방지용 추세트를 사용한다.
하지만 풍압에 의해 점퍼지지애자가 상시 횡진함으로 인해, 점퍼지지애자를 연결하는 연결 장치에서 급속한 마모가 진행되어, 점퍼지지애자가 연결 장치로부터 탈락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6859호(2013.05.08. 공개, 발명의 명칭: 가공송전 선로용 점퍼선 횡진 제한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회동 연결부에서 면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접촉면적을 확장함으로써, 점퍼지지애자의 횡진으로 인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점퍼지지애자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점퍼지지애자 연결 장치는: 송전탑의 지지대에 설치되고, 원기둥 형상을 포함하는 제1 회동 연결부를 구비하는 제1 연결 금구와, 제1 회동 연결부와 면접촉되도록 연결되는 제2 회동 연결부와, 점퍼지지애자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3 회동 연결부를 구비하는 제2 연결 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회동 연결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볼트 부재와, 제1 볼트 부재에 결합되는 제1 너트 부재와, 제1 너트 부재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제1 볼트 부재에 설치되는 제1 탈락 방지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회동 연결부는 제1 볼트 부재를 수용하는 장 길이를 갖는 원형의 수용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회동 연결부의 일측에는 제3 회동 연결부가 결합되는 결합 홀이 구비된 점퍼지지애자 연결 블록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 회동 연결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 볼트 부재와, 제2 볼트 부재에 결합되는 제2 너트 부재와, 제2 너트 부재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제2 볼트 부재에 설치되는 제2 탈락 방지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연결 금구는 송전탑의 지지대에 제3 볼트 부재와 제3 너트 부재를 매개로 연결되는 연결 플레이트와, 연결 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되고, 제1 볼트 부재가 결합되는 결합 홀이 구비된 연결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점퍼지지애자 연결 장치는, 회동 연결부에서 면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접촉면적을 확장함으로써, 점퍼지지애자의 횡진으로 인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지지애자 연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지지애자 연결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지지애자 연결 장치의 일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지지애자 연결 장치의 다른 일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지지애자 연결 장치가 송전탑에 설치되어 점퍼지지애자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지지애자 연결 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지지애자 연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지지애자 연결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지지애자 연결 장치의 일측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지지애자 연결 장치의 다른 일측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지지애자 연결 장치가 송전탑에 설치되어 점퍼지지애자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지지애자 연결 장치는 점퍼 장치가 설치된 후 점퍼선에 특정 방향으로 부는 바람에 의해서 점퍼 장치가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 진동하게 되는 경우, 점퍼지지애자가 상시 횡진함으로써, 점퍼지지애자를 연결하는 연결 장치에서 급속한 마모가 진행되어 점퍼지지애자가 연결 장치로부터 탈락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연결 장치를 대신해서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지지애자 연결 장치는 제1 연결 금구(100)와, 제2 연결 금구(200)를 포함한다.
제1 연결 금구(10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송전탑의 지지대(10)에 설치되고, 원기둥 형상을 포함하는 제1 회동 연결부를 구비한다.
제2 연결 금구(20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1 연결 금구(100)의 제1 회동 연결부와 면접촉되도록 연결되는 제2 회동 연결부(210)를 구비한다.
또한, 제2 연결 금구(200)는 점퍼지지애자(20)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3 회동 연결부를 구비한다.
제1 회동 연결부는 제1 볼트 부재(150)와, 제1 너트 부재(160)와, 제1 탈락 방지 핀(170)을 포함한다.
제1 볼트 부재(15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볼트 부재(150)는 단일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철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합금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내마모성 및 내부식성을 향상시킨 합금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너트 부재(160)는 제1 볼트 부재(150)에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제1 너트 부재(160)는 단일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철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합금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내마모성 및 내부식성을 향상시킨 합금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탈락 방지 핀(170)은 제1 너트 부재(160)가 제1 볼트 부재(150)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지하기 위해 마련되며, 제1 볼트 부재(150)에는 제1 탈락 방지 핀(170)이 삽입될 수 있는 핀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 금구(100)는 연결 플레이트(110)와, 연결 블록(120)을 포함한다. 연결 플레이트(110)는 송전탑의 지지대(10)에 연결되며,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 플레이트(110)는 단일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철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합금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내마모성 및 내부식성을 향상시킨 합금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110)는 제3 볼트 부재(130)와 제3 너트 부재(140)를 매개로 송전탑의 지지대(10)에 설치되며, 연결 플레이트(110)에는 제3 볼트 부재(13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설치 홀(111)이 형성된다.
연결 플레이트(110)에 작용하는 하중을 고려하고 안정적인 연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3 볼트 부재(130)와 설치 홀(111)은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 너트 부재(140)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송전탑의 지지대(10)의 양 측면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 각각의 제3 볼트 부재(130)에 한 쌍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블록(120)은 연결 플레이트(110)의 일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돌출되고,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연결 블록(120)은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라운드 진 형상부를 포함하는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 블록(120)은 단일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철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합금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내마모성 및 내부식성을 향상시킨 합금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연결 금구(200)의 제2 회동 연결부(210)는 제1 연결 금구(100)의 제1 볼트 부재(150)를 수용하는 장 길이를 갖는 원형의 수용 홀(211)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대략의 반원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을 따라 수용 홀(211)이 형성된다.
제2 회동 연결부(210)의 일측(도면 2 기준으로 하측)에는 제3 회동 연결부가 결합되는 결합 홀(221)이 구비된 점퍼지지애자 연결 블록(220)이 형성된다.
제3 회동 연결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 볼트 부재(230)와, 제2 볼트 부재(230)에 결합되는 제2 너트 부재(240)와, 제2 너트 부재(240)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제2 볼트 부재(230)에 설치되는 제2 탈락 방지 핀(250)을 포함한다.
제2 볼트 부재(230)에는 제2 너트 부재(240)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231)이 형성되고, 제2 너트 부재(240)의 나사산(231)에는 제2 탈락 방지 핀(250)이 삽입되는 핀 홀(232)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지지애자 연결 장치의 작동원리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지지애자 연결 장치는 송전탑의 지지대(10)에 설치되고, 원기둥 형상을 포함하는 제1 회동 연결부를 구비하는 제1 연결 금구(100)와, 제1 회동 연결부와 면접촉되도록 연결되는 제2 회동 연결부(210)와, 점퍼지지애자(20)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3 회동 연결부를 구비하는 제2 연결 금구(2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지지애자 연결 장치의 제1 회동 연결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볼트 부재(150)와, 제1 볼트 부재(150)에 결합되는 제1 너트 부재(160)와, 제1 너트 부재(160)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제1 볼트 부재(150)에 설치되는 제1 탈락 방지 핀(170)을 포함하며, 제2 회동 연결부(210)는 제1 볼트 부재(150)를 수용하는 장 길이를 갖는 원형의 수용 홀(211)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지지애자 연결 장치의 제3 회동 연결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 볼트 부재(230)와, 제2 볼트 부재(230)에 결합되는 제2 너트 부재(240)와, 제2 너트 부재(240)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제2 볼트 부재(230)에 설치되는 제2 탈락 방지 핀(250)을 포함한다.
따라서 점퍼지지애자(20)의 횡진시, 제1 볼트 부재(150)는 제2 회동 연결부(210)의 결합 홀(221)과 면접촉하게 된다. 즉, 제2 회동 연결부(210)의 결합 홀(221)의 내주면 전체는 제1 볼트 부재(150)의 외주면 전체와 면접촉된다. 그러므로 점퍼지지애자(20)의 횡진이 반복되더라도 면접촉으로 인해 마모율을 낮출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송전선로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회동 연결부에서 면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접촉면적을 확장함으로써, 점퍼지지애자의 횡진으로 인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지지대 20: 점퍼지지애자
100: 제1 연결 금구 110: 연결 플레이트
111: 설치 홀 120: 연결 블록
130: 제3 볼트 부재 140: 제3 너트 부재
200: 제2 연결 금구 210: 제2 회동 연결부
220: 연결 블록 230: 제2 볼트 부재
231: 나사산 232: 핀홀
240: 제2 너트 부재 250: 제2 탈락 방지 핀

Claims (6)

  1. 송전탑의 지지대에 설치되고, 원기둥 형상을 포함하는 제1 회동 연결부를 구비하는 제1 연결 금구; 및
    상기 제1 회동 연결부와 면접촉되도록 연결되는 제2 회동 연결부와, 점퍼지지애자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3 회동 연결부를 구비하는 제2 연결 금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동 연결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볼트 부재;
    상기 제1 볼트 부재에 결합되는 제1 너트 부재; 및
    상기 제1 너트 부재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볼트 부재에 설치되는 제1 탈락 방지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회동 연결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 볼트 부재;
    상기 제2 볼트 부재에 결합되는 제2 너트 부재; 및
    상기 제2 너트 부재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볼트 부재에 설치되는 제2 탈락 방지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금구는,
    송전탑의 지지대에 제3 볼트 부재와 제3 너트 부재를 매개로 연결되는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볼트 부재가 결합되는 결합 홀이 구비된 연결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너트 부재는 상기 제3 볼트 부재에 한 쌍이 설치되고,
    상기 제1 탈락 방지 핀은 상기 제1 너트 부재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너트 부재를 지지하는 머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탈락 방지 핀은 상기 제2 너트 부재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너트 부재를 지지하는 머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퍼지지애자 연결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동 연결부는 상기 제1 볼트 부재를 수용하는 장 길이를 갖는 원형의 수용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퍼지지애자 연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동 연결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3 회동 연결부가 결합되는 결합 홀이 구비된 점퍼지지애자 연결 블록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퍼지지애자 연결 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200074137A 2020-06-18 2020-06-18 점퍼지지애자 연결 장치 KR102353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137A KR102353393B1 (ko) 2020-06-18 2020-06-18 점퍼지지애자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137A KR102353393B1 (ko) 2020-06-18 2020-06-18 점퍼지지애자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489A KR20210156489A (ko) 2021-12-27
KR102353393B1 true KR102353393B1 (ko) 2022-01-21

Family

ID=79177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137A KR102353393B1 (ko) 2020-06-18 2020-06-18 점퍼지지애자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3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5024A (ja) 1999-02-23 2000-09-08 Chubu Electric Power Co Inc 通り装柱を振分け装柱に変更する工法および活線振分け金具
JP2011259587A (ja) * 2010-06-08 2011-12-22 Asahi Electric Works Ltd 楔型引留クランプ
JP2012253870A (ja) * 2011-06-01 2012-12-2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架空配電線の装柱金具
JP2017221068A (ja) 2016-06-10 2017-12-14 北海道電力株式会社 架線装柱金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2053B1 (ko) * 1999-09-20 2002-02-06 김우철, 홍강표 전선 케이블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5024A (ja) 1999-02-23 2000-09-08 Chubu Electric Power Co Inc 通り装柱を振分け装柱に変更する工法および活線振分け金具
JP2011259587A (ja) * 2010-06-08 2011-12-22 Asahi Electric Works Ltd 楔型引留クランプ
JP2012253870A (ja) * 2011-06-01 2012-12-2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架空配電線の装柱金具
JP2017221068A (ja) 2016-06-10 2017-12-14 北海道電力株式会社 架線装柱金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489A (ko) 2021-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77890A (zh) 一种孔径可调的悬挂线夹
CN112103888A (zh) 一种可防止风力吹动摇曳磨损的高空电缆线以及固定装置
KR100783808B1 (ko) 송·배전용 철탑의 현수 애자
KR102353393B1 (ko) 점퍼지지애자 연결 장치
KR100880880B1 (ko) 송전 가공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CN1053865C (zh) 电力牵引车架空导线及其承力索的悬挂装置
KR102076853B1 (ko) 안정기능이 향상된 가공 배전선로 연결애자
KR102185455B1 (ko) 가변식 가공지선 지지대
KR20130046859A (ko) 가공송전 선로용 점퍼선 횡진 제한 장치
KR100515970B1 (ko) 송전 가공 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KR100871328B1 (ko) 송전 가공선로용 점퍼선 연결 고정장치
KR101831428B1 (ko) 송전전용 특고압 가공 전선의 철탑고정식 완철
CN114069527A (zh) 一种架空线路电杆电缆悬挂支架
KR100834772B1 (ko) 송배전 가공 선로용 점퍼선 연결고정장치
GB889961A (en) Improved means for connecting overhead high tension electrical cables to the insulators of transmission towers
KR102259566B1 (ko)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CN105679623A (zh) 一种跌落式熔断器安装支架
US1863539A (en) Pole top pin
CN109327001B (zh) 一种输电线路中的端头金具
CN208507327U (zh) 一种便于固定的故障指示型复合柱式防断线绝缘子
CA2348590C (en) Adaptable, overhead line vibration damping/sag adjustment device
KR19990049129A (ko) 가공송전선로용 점퍼장치
US1841656A (en) Cable support
US1690185A (en) Transmission-line device
JPS61218443A (ja) 曲線引金具のば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