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3719A - 에어 댐핑 마운트 - Google Patents

에어 댐핑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3719A
KR20220033719A KR1020200115925A KR20200115925A KR20220033719A KR 20220033719 A KR20220033719 A KR 20220033719A KR 1020200115925 A KR1020200115925 A KR 1020200115925A KR 20200115925 A KR20200115925 A KR 20200115925A KR 20220033719 A KR20220033719 A KR 20220033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ner core
damping mount
air chamber
ou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원
김화랑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5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3719A/ko
Publication of KR20220033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7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16F1/3828End stop features or buff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16F1/3842Method of assembly, production or treatment;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4/00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 F16F2224/04Fluids
    • F16F2224/046Fluids pneuma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댐핑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의 압축·팽창에 의한 소음을 개선할 수 있는 에어 댐핑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댐핑 마운트(1)는, 내측 코어(2); 내측 코어(2)와 동심축으로 내측 코어(2)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파이프(4); 내측 코어(2) 및 외측 파이프(4) 사이에 가류되고 내측에 공기 챔버(16)가 형성되는 메인 러버(6); 및 공기 챔버(16) 내에서 외측 파이프(4)에 의해 지지되고, 소음을 절연하도록 공기 챔버(16) 내측 및 외측으로 공기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방음 조립체(1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 댐핑 마운트{AIR DAMPED MOUNT}
본 발명은 에어 댐핑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의 압축·팽창에 의한 소음을 개선할 수 있는 에어 댐핑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엔진마운트는 차량에서 엔진을 지지하는 구성품으로서, 엔진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차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더 나아가 엔진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엔진마운트는 절연율이 우수한 러버를 포함한다. 이에 더해 댐핑의 크기 증가를 위해 내부 유체와 오리피스를 구성하여 보다 더 우수한 댐핑 성능을 갖는 유체마운트가 널리 적용되고 있다.
유체마운트는 큰 댐핑을 갖는 대신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데, 먼저, 동특성이 높다. 일반적인 러버 마운트에 비하여 동특성이 높아져서 가속 투과음, 화인(whine) 소음 등이 나빠진다. 둘째로 누유 문제가 존재한다. 유체마운트는 내부에 유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외부로 유체가 새지 않도록 실링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100만회 이상 거동하는 고무 제품은 반드시 크랙이 발생하기 마련이고 누유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마지막으로 유체마운트는 원가 및 중량 관점에서 불리하다. 즉, 유체마운트는 유체, 오리피스, 다이어프램, 멤브레인 등을 포함해야 하므로 원가와 중량 상승이 수반된다.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에어 댐핑 마운트가 등장한 바 있다. 에어 댐핑 마운트는 유체마운트보다는 댐핑 성능이 낮지만, 넓은 영역에서 댐핑을 갖고 유체마운트 대비 낮은 동특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원가 및 중량 측면에서 유리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댐핑 마운트(500)는 인슐레이터(510) 내부에 유체 대신 공기를 포함하여 공기의 흐름을 통한 댐핑을 제공한다. 공기가 다이채널(die channel, 520)을 지나면서 발생하는 마찰 댐핑에 의해 감쇄가 발생하는데, 이때 공기가 압축과 팽창을 반복하고 다이채널로 공기가 이동하면서 소음이 발생한다. 이 소음은 내부의 압축 공기가 대기압으로 나오면서 팽창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팽창음에서 기인한다. 즉, 이와 같은 소음 문제 때문에 에어 댐핑 마운트의 활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이점을 지닌 에어 댐핑 마운트를 적극 적용할 수 있도록 소음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하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03562호 (등록일자: 2013.08.2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 에어 댐핑 마운트에서 발생하는 팽창 소음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에어 댐핑 마운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 댐핑 마운트는 내측 코어; 상기 내측 코어와 동심축으로 상기 내측 코어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파이프; 상기 내측 코어 및 외측 파이프 사이에 가류되고 내측에 공기 챔버가 형성되는 메인 러버; 및 상기 공기 챔버 내에서 상기 외측 파이프에 의해 지지되고, 소음을 절연하도록 공기 챔버 내측 및 외측으로 공기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방음 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 댐핑 마운트는, 내측 코어; 상기 내측 코어와 동심축으로 상기 내측 코어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파이프; 상기 내측 코어 및 외측 파이프 사이에 가류되고 내측에 공기 챔버가 형성되는 메인 러버; 및 상기 공기 챔버 내에서 상기 외측 파이프에 의해 지지되는 방음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방음 조립체는, 상기 공기 챔버와 직접 이웃하고 표면을 관통하는 제1 통공을 포함하는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과의 사이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고, 표면을 관통하는 제2 통공을 포함하는 하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고, 중심부에 중심홀을 포함하는 중간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에어 댐핑 마운트에서 발생하는 팽창 소음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에어 댐핑 마운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에어 댐핑 마운트를 개괄적으로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댐핑 마운트의 단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댐핑 마운트의 방음조립체의 단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b는 도 3a의 분해도이고,
도 4a 내지 4e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댐핑 마운트의 조립 공정을 도시하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댐핑 마운트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며이고,
도 6은 유체마운트와 에어 댐핑 마운트의 동특성과 손실계수를 비교하는 그래프를 도시하고,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댐핑 마운트의 호환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댐핑 마운트(1)는 방음 조립체(1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음 조립체(100)에 의해 에어 댐핑 마운트(1)에서 압축된 공기가 팽창하면서 발생하는 공기 팽창음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방음 조립체(100)는 상부 하우징(110), 하부 하우징(120) 및 중간 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방음 조립체(100)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하부 하우징(120), 중간 플레이트(130), 상부 하우징(110)가 적층되는 구조를 가지고, 중간 플레이트(130)를 중심으로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이 대칭된다.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는 공간(S)이 형성된다. 공간(S) 내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의 사이에는 중간 플레이트(130)가 개재된다. 따라서, 중간 플레이트(130)는 공간(S)을 분할한다. 즉, 중간 플레이트(130)는 공간(S)을 상부 하우징(110)과 중간 플레이트(130)가 형성하는 상부 구역(112)과 하부 하우징(120)과 중간 플레이트(130)에 의해 형성되는 하부 구역(122)으로 분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팽창 챔버로서 분할된 공간(S)인 상부 구역(112) 및 하부 구역(122)을 구비함으로써 공기 팽창음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의하면, 상부 하우징(110) 및 하부 하우징(120)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은 동일하되 방음 조립체(100)에서 위치만 다르게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부 하우징(110) 및 하부 하우징(120)의 표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14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목부(140)는 상부 하우징(110)의 표면 및 하부 하우징(120)의 각 표면 전체에 걸쳐 복수 개 형성된다. 복수의 오목부(140)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목부(140)의 형성에 의해 소음 방사를 위한 표면적을 넓힘으로써 공기 팽창음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10) 및 하부 하우징(120)의 각각에는 또한, 공간(S) 내부와 공간(S)의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복수의 통공(150)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통공(150)은 상부 하우징(110) 및 하부 하우징(120)의 각각의 표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공(150)은 상부 하우징(110) 및 하부 하우징(120) 각각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통공(150)은 오목부(140)의 사이 사이에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통공(150)은 상부 하우징(110) 및 하부 하우징(120) 각각에 10개씩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통공(150)의 개수를 이에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중간 플레이트(130)는 중심부에 중심홀(132)을 포함한다. 중심홀(132)은 중간 플레이트(13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중심홀(132)에는 중공의 다이채널(160)이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이채널(160)은 중심홀(132)에 끼움결합될 수 있고, 억지끼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다이채널(160)은 중심홀(132)에 용접된다.
다이채널(160)의 일 단은 상부 구역(112)에 배치되고, 다이채널(160)의 타 단은 하부 구역(122)에 배치된다. 다이채널(160)의 일 단은 중간 플레이트(130)보다 더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상부 구역(112)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다이채널(160)의 타 단은 중간 플레이트(130)보다 더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하부 구역(122)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이채널(160)의 일 단은 상부 구역(112)과 직접적으로 연통하고, 다이채널(160)의 타 단은 하부 구역(122)과 직접적으로 연통한다. 따라서, 상부 구역(112)의 공기가 다이채널(160)의 일 단을 통해 다이채널(160)의 중공으로 유입되어 하부 구역(122)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하부 구역(122)의 공기가 다이채널(160)의 타 단을 통해 다이채널(160)의 중공을 거쳐 다이채널(160)의 일 단을 통해 상부 구역(112)으로 유동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댐핑 마운트(1)는 내측 코어(2), 외측 파이프(4) 및 메인 러버(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측 코어(2)의 내측에는 중공이 형성되고, 중공에는 차량 내지는 엔진에 결합을 위한 볼트(12)가 마련된다. 볼트(12)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이 메인 러버(6)의 탄성변형을 통해 감쇄되고, 메인 러버(6)의 탄성변형에 따라 공기 챔버(16) 내 공기가 방음 조립체(100)를 통해 방출되거나 외부 공기가 공기 챔버(16) 내로 유입되면서 댐핑이 이루어진다.
내측 코어(2)의 반경방향 외측에는 외측 파이프(4)가 배치된다. 외측 파이프(4)는 내측 코어(2)와 동심축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외측 파이프(4)의 일 단부는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벤딩되는 벤딩부(14)를 포함한다.
내측 코어(2)와 외측 파이프(4)의 사이에는 메인 러버(6)가 가류되고, 메인 러버(6)의 내측에는 공기 챔버(16)가 형성된다.
방음 조립체(100)는 공기 챔버(16) 내에서 외측 파이프(4)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음 조립체(100)는 외측 파이프(4)의 벤딩부(1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음 조립체(100)는 팽창음을 절연하도록 공기 챔버(16)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공기 유동 경로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댐핑 마운트(1)는 내측 코어(2), 외측 파이프(4), 메인 러버(6) 및 방음 조립체(100)를 내부에 수용하는 마운팅 브라켓(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내지 4e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댐핑 마운트(1)의 조립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내측 코어(2)의 중공에는 볼트(12)가 결합된다(도 4a). 조립된 내측 코어(2) 및 볼트(12)의 외측에 외측 파이프(4)를 배치하고, 내측 코어(2) 및 외측 파이프(4)의 일부를 감싸도록 내측 코어(2) 및 외측 파이프(4)의 사이에 메인 러버(6)를 가류한다(도 4b). 조립된 방음 조립체(100)를 공기 챔버(16) 내 외측 파이프(4)의 내측에 장착한다(도 4c 및 4d). 내측 코어(2), 외측 파이프(4), 메인 러버(6) 및 방음 조립체(100)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외측에 마운팅 브라켓(8)을 장착함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도 4e).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댐핑 마운트(1)의 소음 방사 작동을 설명한다. A 및 B로 표시되는 화살표는 소음 방사 방향을 나타내고, 점선으로 표시되는 화살표는 공기 유동 경로를 나타낸다.
공기 챔버(16)의 압력에 따라 부압일 경우에는 화살표 A와 같이 상부 구역(112)에서 방사를 통해 소음이 절연된다. 즉, 부압일 경우 공기 유동은 하부 하우징(120)의 통공(150)을 통해 하부 구역(122)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다이채널(160)을 통해 상부 구역(112)으로 이동하며, 상부 하우징(110)에 형성되는 통공(150)을 통해 공기 챔버(16)로 유입된다.
반대로 정압일 경우에는 B로 표시되는 화살표와 같이 하부 구역(122)에서 방사를 통해 소음이 절연될 수 있다. 공기 챔버(16) 내의 공기는 상부 하우징(110)의 통공(150)을 통해 상부 구역(112)으로 유입된 뒤 다이채널(160)을 통과하고 하부 구역(122)을 지나 하부 하우징(120)의 통공(140)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대비 공기 유동 경로가 길어지고 오목부(140)를 통해 확장된 소음 방사 면적을 구비함으로써 기존 팽창 소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댐핑 마운트(1)는 유체마운트에 비하여 손실계수(tan(δ는))는 작지만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손실계수를 보유한다. 또한, 유체마운트에 비하여 낮은 동특성을 가지므로 절연율 증대에 보다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 댐핑 마운트에서 발생하는 공기 팽창 이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댐핑 마운트는 넓은 영역에서 댐핑을 가지므로 주행 진동, 시동 진동, 급발진 거동 등 모든 주파수 영역에서 절연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댐핑 마운트는 낮은 동특성을 유지하므로 유체마운트에 비하여 더 높은 절연율을 보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댐핑 마운트는 유체마운트와 달리 실링이 필요 없으므로 강건한 구조의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도 7a 및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유체마운트의 유체 시스템 부분(P)을 방음 조립체(100)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원화 적용이 간이하고 원가 및 중량 측면에서 훨씬 유리하다. 또한, 기존 부품들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부품의 강건성이 우수하다.
또한 유체마운트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댐핑 마운트는 원가 절감 및 중량 감소의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에어 댐핑 마운트 2: 내측 코어
4: 외측 파이프 6: 메인 러버
8: 마운팅 브라켓 12: 볼트
14: 벤딩부 16: 공기 챔버
100: 방음 조립체 110: 상부 하우징
112: 상부 구역 120: 하부 하우징
122: 하부 구역 130: 중간 플레이트
132: 중심홀 140: 오목부
150: 통공 160: 다이채널
S: 공간

Claims (13)

  1. 내측 코어;
    상기 내측 코어와 동심축으로 상기 내측 코어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파이프;
    상기 내측 코어 및 외측 파이프 사이에 가류되고 내측에 공기 챔버가 형성되는 메인 러버; 및
    상기 공기 챔버 내에서 상기 외측 파이프에 의해 지지되고, 소음을 절연하도록 공기 챔버 내측 및 외측으로 공기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방음 조립체;
    를 포함하는 것인 에어 댐핑 마운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음 조립체의 상부 및 하부 표면은,
    각 표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오목부; 및
    상기 방음 조립체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통공;
    을 포함하는 것인 에어 댐핑 마운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방음 조립체는,
    상기 방음 조립체 내부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상부 구역 및 하부 구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방음 조립체의 상부와 하부를 연통시키도록 구성되는 중심홀이 중심부에 형성되는 중간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인 에어 댐핑 마운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중심홀에는 중공의 다이채널이 결합되고,
    상기 다이채널의 일 단부는 상기 상부 구역에 배치되고, 상기 다이채널의 타 단부는 상기 하부 구역에 배치되는 것인 에어 댐핑 마운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 파이프의 일 단부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벤딩되는 벤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음 조립체는 상기 벤딩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인 에어 댐핑 마운트.
  6. 내측 코어;
    상기 내측 코어와 동심축으로 상기 내측 코어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파이프;
    상기 내측 코어 및 외측 파이프 사이에 가류되고 내측에 공기 챔버가 형성되는 메인 러버; 및
    상기 공기 챔버 내에서 상기 외측 파이프에 의해 지지되는 방음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방음 조립체는, 상기 공기 챔버와 직접 이웃하고 표면을 관통하는 제1 통공을 포함하는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과의 사이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고, 표면을 관통하는 제2 통공을 포함하는 하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고, 중심부에 중심홀을 포함하는 중간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인 에어 댐핑 마운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은, 각각, 표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인 에어 댐핑 마운트.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플레이트는 상기 공간을 상부 구역 및 하부 구역으로 분할하는 것인 에어 댐핑 마운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중심홀에는 중공의 다이채널이 결합되고,
    상기 다이채널의 일 단부는 상기 상부 구역과 연통하도록 상부 구역에 배치되고 상기 다이채널의 타 단부는 상기 하부 구역과 연통하도록 하부 구역에 배치되는 것인 에어 댐핑 마운트.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통공은 상부 하우징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제2 통공은 하부 하우징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인 에어 댐핑 마운트.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목부는 각 표면에 일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되는 것인 에어 댐핑 마운트.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공기 챔버 내 부압 발생 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제2 통공을 통해 하부 구역으로 유입되어 다이채널 및 상부 구역을 순차적으로 유동한 공기는 제1 통공을 통해 공기 챔버 내로 유동하는 것인 에어 댐핑 마운트.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공기 챔버 내 정압 발생 시, 상기 상부 하우징의 제1 통공을 통해 공기 챔버로부터 상부 구역으로 유입되어 다이채널 및 하부 구역을 순차적으로 유동한 공기는 제2 통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인 에어 댐핑 마운트.
KR1020200115925A 2020-09-10 2020-09-10 에어 댐핑 마운트 KR202200337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925A KR20220033719A (ko) 2020-09-10 2020-09-10 에어 댐핑 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925A KR20220033719A (ko) 2020-09-10 2020-09-10 에어 댐핑 마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719A true KR20220033719A (ko) 2022-03-17

Family

ID=80936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925A KR20220033719A (ko) 2020-09-10 2020-09-10 에어 댐핑 마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371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562B1 (ko) 2012-05-04 2013-09-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 댐핑 마운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562B1 (ko) 2012-05-04 2013-09-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 댐핑 마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9622B2 (en) Engine mou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314213B2 (en) Fluid-filled vibration damping device
JP5154579B2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WO2012160805A1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EP2623818B1 (en) Vibration damping device
US20060043658A1 (en) Fluid-filled vibration damping device
JPWO2007116976A1 (ja) 防振装置
JP6537932B2 (ja) 防振装置
JP5431982B2 (ja) 液封入式防振装置
KR20220033719A (ko) 에어 댐핑 마운트
JP3039102B2 (ja) 流体封入式マウント装置
KR20200142181A (ko)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트
JP2644430B2 (ja) 液体減衰式ゴム支承装置
JP5801040B2 (ja) 防振装置
JP7346189B2 (ja) 防振装置
JP4528661B2 (ja) 防振装置
JP2509353B2 (ja) 流体封入式パワ―ユニットマウント装置
JP6482160B2 (ja) 液封入式防振装置
JP2574632B2 (ja) 弾性支承体
KR101938628B1 (ko) 액실 삽입형 중량체를 구비한 엔진 마운트
JP5801041B2 (ja) 防振装置
JP2537850Y2 (ja) センターベアリングサポート
JPH0349316Y2 (ko)
JP2001041277A (ja) 液体封入型防振装置
JPH07180743A (ja) 流体封入式マウ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