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2512A - 면 수용 장치 - Google Patents

면 수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2512A
KR20220032512A KR1020217022638A KR20217022638A KR20220032512A KR 20220032512 A KR20220032512 A KR 20220032512A KR 1020217022638 A KR1020217022638 A KR 1020217022638A KR 20217022638 A KR20217022638 A KR 20217022638A KR 20220032512 A KR20220032512 A KR 20220032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nel
container
bowl
boiled noodles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2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유키 모리모토
미츠오 노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닛신 세이훈 구루프혼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닛신 세이훈 구루프혼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닛신 세이훈 구루프혼샤
Publication of KR20220032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5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 B65D85/2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for macaroni, spaghetti or like flou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25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 B65D2581/3401Cooking or heating method specially adapted to the contents of the package
    • B65D2581/3402Cooking or heating method specially adapted to the contents of the packag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to be heated or cooked
    • B65D2581/3404Cooking pasta dishes, e.g. noo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odle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삶은 면(4)을 용기(6) 내에 충전하는 면 수용 장치(2)이며, 상기 삶은 면을 수용하는 보울(22a 내지 22d)과, 상기 보울 내에 있는 상기 삶은 면을 투입하는 투입구(24a) 및 상기 삶은 면을 상기 용기에 배출하는 배출구(24b)를 갖는 깔때기(24)와, 상기 배출구의 하방으로 상기 용기를 반송하는 반송부(14)와, 상기 깔때기를 보울과 상기 반송부 사이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반송부에 의해 상기 용기가 상기 배출구의 하방으로 반송된 후에 상기 깔때기를 하강시키고, 상기 삶은 면을 상기 용기에 충전한 후에 상기 깔때기를 상승시키고, 상기 반송부에, 상기 깔때기가 하강하고 나서 상승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용기의 반송을 정지시키고, 상기 깔때기가 상승한 후, 상기 용기의 반송을 재개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면 수용 장치
본 발명은 삶은 면을 용기에 충전하기 위한 면 수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저출산 고령화, 핵가족화, 개식화(個食化), 혼밥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한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에 의해, 간편히 먹을 수 있는 우동, 소바, 라면 등의 조리면이 개발되고, 매장에 진열되어 있다.
이러한 조리면의 제조 현장에서는, 짧은 상품 변환이나 다품종에의 대응을 위해 자동화가 곤란하므로, 삶은 면은 주로 사람 손에 의해 식품 트레이 등의 용기에 충전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리면의 제조 현장에 있어서도 노동 인구의 감소에 의해 만성적인 노동력 부족에 빠져 있고, 자동화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삶은 면이 투입된 수용 접시를 자전 동작시키면서, 풀림제를 분무하고, 수용 접시로부터 배출된 삶은 면을 면 수용 가이드를 거쳐서 용기에 충전하는 삶은 면의 풀림 장치(면 수용 장치)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3-9795 호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풀림 장치를 이용하여 용기에 삶은 면을 충전하면, 면이 용기에서 불거져 나오고, 불거져 나온 면을 사람이 수정해야 해서, 생력화, 생인화를 실현할 수 없었다. 또한, 상품에 의해 용기의 형상, 삶은 면이 들어가는 영역 등이 상이하기 때문에, 용기마다 결정된 영역에 삶은 면을 충전시킬 필요가 있지만, 상술의 풀림 장치에서는 정확하게 또한 확실하게 용기의 결정된 영역에 삶은 면을 공급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삶은 면을 용기 안에 정확하게 또한 확실하게 충전할 수 있는 면 수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면 수용 장치는, 삶은 면을 용기 내에 충전하는 면 수용 장치로서, 상기 삶은 면을 수용하는 보울과, 상기 보울 내에 있는 상기 삶은 면을 투입하는 투입구 및 상기 삶은 면을 상기 용기에 배출하는 배출구를 갖는 깔때기와, 상기 배출구의 하방에 상기 용기를 반송하는 반송부와, 상기 깔때기를 보울과 상기 반송부 사이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반송부에 의해 상기 용기가 상기 배출구의 하방으로 반송된 후에 상기 깔때기를 하강시키고, 상기 삶은 면을 상기 용기에 충전한 후에 상기 깔때기를 상승시키고, 상기 반송부에, 상기 깔때기가 하강하고 나서 상승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용기의 반송을 정지시키고, 상기 깔때기가 상승한 후, 상기 용기의 반송을 재개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면 수용 장치는, 상기 삶은 면을 상기 용기에 충전하고 나서 상기 깔때기를 상승시킬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투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를 향해서 상기 깔때기의 내벽면에 에어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면 수용 장치가 구비하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깔때기를 하강시키는 타이밍을 위해서, 상기 삶은 면이 상기 보울에 투입된 것을 검지하는 면 투입 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면 수용 장치는, 상기 용기를 상기 반송부에 공급하는 용기 공급부와, 상기 용기 공급부로부터 상기 용기가 상기 반송부에 공급된 것을 검지하는 용기 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면 수용 장치의 깔때기는, 상기 배출구가 상기 용기 내에 위치할 때까지 하강하고, 상기 배출구가 상기 용기 상연부보다 상방에 위치할 때까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삶은 면을 용기 내에 정확하게 또한 확실하게 충전할 수 있는 면 수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면 수용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면 수용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깔때기의 내벽면에의 에어 분사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면 수용 장치를 이용하여 1번째의 삶은 면을 1번째의 트레이에 충전할 때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면 수용 장치에 있어서의 초기 대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면 수용 장치에 있어서의 초기 대기 상태로부터 1인칭(inching) 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면 수용 장치에 있어서의 초기 대기 상태로부터 2인칭 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면 수용 장치에 있어서의 초기 대기 상태로부터 3인칭 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면 수용 장치를 이용하여 n번째의 삶은 면을 n번째의 트레이에 충전할 때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면 수용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면 수용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면 수용 장치(2)는 우동, 소바 및 라면 등의 조리된 삶은 면(4)을 트레이(용기)(6)에 충전하기 위한 장치이며,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트레이 공급기(8), 분무 장치(10), 상류측 컨베이어(12), 면 수용 컨베이어(14) 및 하류측 컨베이어(16)를 구비하고 있다.
트레이 공급기(8)는 상류측 컨베이어(12)를 거쳐서, 트레이(6)를 면 수용 컨베이어(14)에 공급하는 트레이 공급부이며, 트레이(6)를 수용하는 수용부(18)를 구비하고 있다. 트레이 공급기(8)는 수용부(18)에 수용되어 있는 트레이(6)를 상류측 컨베이어(12)에 공급한다. 상류측 컨베이어(12)는 트레이 공급기(8)로부터 공급된 트레이(6)를 도 1에 나타내는 화살표(a1)의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반송하고, 면 수용 컨베이어(14)에 인도한다.
면 수용 컨베이어(14)는 상류측 컨베이어(12)로부터 인도된 트레이(6)를 도 1에 나타내는 화살표(a1)의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분무 장치(10)까지 반송하는 예를 들면, 2열 벨트 컨베이어(반송부)이며, 분무 장치(10)가 구비하는 깔때기(24)의 배출구(24b)(도 1 참조)의 하방으로 트레이(6)를 반송한다. 또한, 면 수용 컨베이어(14)는 분무 장치(10)에 있어서 트레이(6) 내에 삶은 면(4)이 충전된 후, 트레이(6)를 화살표(a1)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반송하고, 하류측 컨베이어(16)에 인도한다. 면 수용 컨베이어(14)는 단시간의 구동과 정지를 반복하는 인칭 동작에 의해 이동한다. 하류측 컨베이어(16)는 면 수용 컨베이어(14)로부터 인도된 트레이(6)를 도 1에 나타내는 화살표(a1)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분무 장치(10)는 4개의 보울(22a 내지 22d) 및 깔때기(24)를 구비하고 있다. 4개의 보울(22a 내지 22d)의 각각은 사발 형상의 보울이며, 삶은 면 투입구(26)로부터 삶은 면(4)을 수용하는 개구부를 위를 향해서, 회전반(27)의 주연부에 90도 간격으로 장착되어 있다. 회전반(27)은, 회전반(27)의 중심을 축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90도 간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4개의 보울(22a 내지 22d)은 회전반(27)의 간헐 회전에 의해, 4개의 포지션(A 내지 D) 중 어느 하나에 위치 결정된다. 도 1에 있어서는, 제 1 보울(22a)이 제 1 포지션(A)에, 제 2 보울(22b)이 제 4 포지션(D)에, 제 3 보울(22c)이 제 3 포지션(C)에, 제 4 보울(22d)이 제 2 포지션(B)에 위치 결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보울(22a 내지 22d)의 각각은 회전반(27)의 반(盤)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축으로 하여 자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보울(22a 내지 22d)의 각각은 제 4 포지션(D)에 위치 결정되었을 때에 수평 방향을 축으로 하여 반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포지션(A)에 위치 결정된 보울(도 1에 있어서는, 제 1 보울(22a))에는 삶은 면 투입구(26)로부터 삶은 면(4)이 투입되고, 제 1 보울(22a) 내의 삶은 면(4)에는 풀림액이 분무된다. 풀림액은 예를 들면, 수용성 대두 다당류나 샐러드유이며, 삶은 면(4)이 경단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보울(22a) 내의 삶은 면(4)은 제 1 보울(22a)의 자전에 의해 교반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보울(22a) 내에 분무된 풀림액은 삶은 면(4)에 남김없이 부착한다. 또한, 삶은 면에 따라서는, 풀림액을 사용하지 않는 것도 있다.
제 2 포지션(B) 및 제 3 포지션(C)에 위치 결정된 보울(도 1에 있어서는 제 4 보울(22d) 및 제 3 보울(22c)) 내의 삶은 면(4)에는 풀림액이 분무된다. 제 4 보울(22d) 및 제 3 보울(22c) 내의 삶은 면(4)은 제 4 보울(22d) 및 제 3 보울(22c)의 자전에 의해 교반되어 있기 때문에, 제 4 보울(22d) 및 제 3 보울(22c) 내에 분무된 풀림액은 삶은 면(4)에 남김없이 부착한다.
제 4 포지션(D)에 위치 결정된 보울(도 1에 있어서는 제 2 보울(22b))은, 개구부가 아래를 향하도록 수평 방향을 축으로 하여 반전하고, 제 2 보울(22b) 내의 삶은 면(4)은 깔때기(24)에 투입된다.
또한, 회전반(27)은 제 1 포지션(A)에 위치 결정된 제 1 보울(22a) 내에 풀림액이 분무되면(제 2 포지션(B) 및 제 3 포지션(C)에 위치 결정된 제 4 보울(22d) 및 제 3 보울(22c) 내에 풀림액이 분무되고, 제 4 포지션(D)에 위치 결정된 제 2 보울(22b) 내의 삶은 면(4)이 배출되면),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다. 즉, 제 1 보울(22a)은 제 2 포지션(B)으로, 제 4 보울(22d)은 제 3 포지션(C)으로, 제 3 보울(22c)은 제 4 포지션(D)으로, 제 2 보울(22b)은 제 1 포지션(A)으로 이동한다.
깔때기(24)는 역원추 사다리꼴 통 형상이며, 제 4 포지션(D)에 위치 결정된 보울(도 1에 있어서는 제 2 보울(22b)) 내에 있는 삶은 면(4)을 투입하는 투입구(24a) 및 삶은 면(4)을 트레이(6)에 배출하는 배출구(24b)를 갖고 있다. 깔때기(24)는 이동부(25)에 접속되어 있고, 이동부(25)는 깔때기(24)를 제 2 보울(22b)과 면 수용 컨베이어(14) 사이, 즉, 도 1에 나타내는 화살표(a2)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깔때기(24)는 제 4 포지션(D)에 위치 결정된 제 2 보울(22b)로부터 삶은 면(4)이 배출되는 것을 대기하고 있는 대기 상태일 때, 도 1에 도시되는 위치, 즉, 배출구(24b)가 트레이(6)의 상연부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깔때기(24)는 제 4 포지션(D)에 위치 결정된 제 2 보울(22b)로부터 삶은 면(4)이 배출되기 직전이며 면 수용 컨베이어(14)에 의해 트레이(6)가 배출구(24b)의 하방으로 반송된 후, 배출구(24b)가 트레이(6) 내에 위치할 때까지 하강한다(도 9 참조). 그리고, 깔때기(24)는 삶은 면(4)이 투입구(24a)로부터 투입되어서 배출구(24b)로부터 배출된 후, 배출구(24b)가 트레이(6)의 상연부보다 상방에 위치(도 1에 도시되는 위치)까지 상승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면 수용 장치(2)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면 수용 장치(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30)는 면 수용 장치(2)의 각 부를 통괄적으로 제어하고, 특히 제 4 포지션(D)에 위치 결정되어 있는 보울(도 1에 있어서는 제 2 보울(22b))과 면 수용 컨베이어(14) 사이를 이동하는 깔때기(24)의 이동을 제어한다. 제어부(30)에는, 트레이 공급부(32), 트레이 검지 센서(20), 컨베이어 구동부(34), 면 투입 검지 센서(28), 공전 구동부(36), 제 1 자전 구동부(38), 제 2 자전 구동부(40), 제 3 자전 구동부(42), 제 4 자전 구동부(44), 제 1 풀림액 분무부(46), 제 2 풀림액 분무부(48), 제 3 풀림액 분무부(50), 깔때기 구동부(60), 및 에어 분사부(62)가 접속되어 있다.
트레이 공급부(32)는 트레이 공급기(8)의 트레이 수용부(18)에 수용되어 있는 트레이(6)를 1매씩 소정 간격으로 상류측 컨베이어(12) 상에 공급한다. 제어부(30)는 트레이 공급부(32)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트레이 공급기(8)를 가동시킨다. 트레이 검지 센서(20)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면 수용 컨베이어(14)의 반송로 근방에 마련되어 있고, 트레이 공급기(8)로부터 트레이(6)가 면 수용 컨베이어(14)에 공급된 것을 검지한다. 즉, 트레이 검지 센서(20)는 면 수용 컨베이어(14) 상의 포지션 P1에 트레이(6)가 있는지 없는지를 검지한다. 제어부(30)는 트레이 검지 센서(20)로부터의 검지 결과를 취득하고, 취득한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깔때기(24)를 하강시키는 거리를 제어한다.
컨베이어 구동부(34)는 면 수용 컨베이어(14)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30)는 컨베이어 구동부(34)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면 수용 컨베이어(14)를 구동시킨다. 즉, 제어부(30)는 컨베이어 구동부(34)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깔때기(24)가 하강하고 나서 상승할 때까지의 동안에, 면 수용 컨베이어(14)의 구동을 정지하는 것에 의해 트레이(6)의 반송을 정지하고, 깔때기(24)가 상승한 후, 면 수용 컨베이어(14)를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트레이(6)의 반송을 재개한다. 마찬가지로, 제어부(30)는 도시되지 않은 상류측 컨베이어 구동부 및 하류측 컨베이어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류측 컨베이어(12) 및 하류측 컨베이어(16)의 각각을 구동시킨다.
면 투입 검지 센서(28)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삶은 면 공급구(26)의 근방에 마련되어 있고, 깔때기(24)를 하강시키는 타이밍을 위해서, 삶은 면(4)이 제 1 포지션(A)에 위치 결정되어 있는 보울에 투입된 것을 검지한다. 즉, 면 투입 검지 센서(28)는 삶은 면 공급구(26)로부터 분무 장치(10)에 대해서 삶은 면(4)이 공급되었는지 아닌지를 검지한다. 제어부(30)는 면 투입 검지 센서(28)로부터의 검지 결과를 취득하고, 취득한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깔때기(24)를 하강시키는 타이밍을 제어한다.
공전 구동부(36)는 회전반(27)의 회전을 제어한다. 제어부(30)는 공전 구동부(36)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회전반(27)을 간헐 회전시킨다. 제 1 자전 구동부(38)는 제 1 보울(22a)의 회전(자전)을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자전 구동부(40), 제 3 자전 구동부(42) 및 제 4 자전 구동부(44)의 각각은, 제 2 보울(22b), 제 3 보울(22c) 및 제 4 보울(22d)의 각각의 회전(자전)을 제어한다. 제어부(30)는 제 1 자전 구동부(38), 제 2 자전 구동부(40), 제 3 자전 구동부(42) 및 제 4 자전 구동부(44)의 각각을 제어하는 것으로써, 제 1 보울(22a), 제 2 보울(22b), 제 3 보울(22c) 및 제 4 보울(22d)의 각각을 자전시킨다.
제 1 풀림액 분무부(46)는 제 1 포지션(A)에 위치 결정된 보울(도 1에 있어서는 제 1 보울(22a)) 내에 풀림액을 분무한다. 마찬가지로, 제 2 풀림액 분무부(48) 및 제 3 풀림액 분무부(50)의 각각은, 제 2 포지션(B) 및 제 3 포지션(C)의 각각에 위치 결정된 보울(도 1에 있어서는 제 4 보울(22d) 및 제 3 보울(22c)) 내에 각각에 풀림액을 분무한다. 제어부(30)는 제 1 풀림액 분무부(46), 제 2 풀림액 분무부(48) 및 제 3 풀림액 분무부(50)의 각각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제 1 보울(22a), 제 4 보울(22d) 및 제 3 보울(22c)(제 1 포지션(A), 제 2 포지션(B) 및 제 3 포지션(C)에 위치 결정된 보울) 내에 삶은 면(4)이 투입된 후, 삶은 면(4)에 대해서 각각 풀림액을 분무시킨다.
깔때기 구동부(60)는 이동부(25)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30)는 깔때기 구동부(60)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깔때기(24)를 상하 방향(도 1에 나타내는 화살표(a2)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제어부(30)는 깔때기 구동부(60)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면 수용 컨베이어(14)에 의해 트레이(6)가 깔때기(24)의 배출구(24b)의 하방으로 반송된 후에 깔때기(24)를 하강시키고, 깔때기(24)를 거쳐서 삶은 면(4)을 트레이(6)에 충전한 후에 깔때기(24)를 상승시킨다.
에어 분사부(62)는 도 3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깔때기(24)의 투입구(24a)로부터 배출구(24b)를 향해서 깔때기(24)의 내벽면에 에어를 분사한다. 제어부(30)는 에어 분사부(62)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삶은 면(4)을 트레이(6)에 충전하고 나서 깔때기(24)를 상승시킬 때까지의 동안에, 에어를 분사시킨다. 에어 분사 강도, 분사 시간, 및 분사 횟수는 깔때기(24)의 내벽면에 잔존하는 삶은 면(4)을 배출구(24b)로부터 확실히 배출시킬 수 있도록, 또한 트레이(6) 내에 수용된 삶은 면(4)이 에어 분사되는 것에 의해 불거져 나오지 않도록 사전 설정된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면 수용 장치(2)를 이용하여, 삶은 면(4)을 트레이(6)에 충전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면 수용 장치(2)의 제어부(30)가 1번째의 삶은 면(4a)을 1번째의 트레이(6a)에 충전하기 위해서 실행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우선, 제어부(30)는 도 5에 도시되는 초기 대기 상태가 되도록, 트레이 공급기(8), 상류측 컨베이어(12) 및 면 수용 컨베이어(14)를 가동시킨다. 즉, 제어부(30)는 도시되지 않은 상류측 컨베이어 구동부 및 컨베이어 구동부(34)에 대해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류측 컨베이어(12) 및 면 수용 컨베이어(14)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제어부(30)는 트레이 공급부(32)에 대해서 트레이 공급기(8)의 트레이 수용부(18)의 가장 아래에 수용되어 있는 트레이(6a)를 상류측 컨베이어(12) 상에 공급하도록 지시하고, 트레이(6a)를 상류측 컨베이어(12) 상에 공급시킨다(단계(S1)). 또한, 제어부(30)는 트레이 공급부(32)에 대해서 사전 설정된 간격으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트레이 공급부(32)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트레이(6b, 6c …)를 차례대로 상류측 컨베이어(12) 상에 공급한다.
다음에, 제어부(30)는 트레이 검지 센서(20)에서 트레이(6a)가 포지션 P1에 위치한 것을 검지하는 검지 결과를 취득하면(단계(S2)), 면 투입 검지 센서(28)에서 삶은 면(4a)이 투입되었다고 검지될 때까지, 일단 상류측 컨베이어(12) 및 면 수용 컨베이어(14)의 구동을 정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0)는 도시되지 않은 상류측 컨베이어 구동부 및 컨베이어 구동부(34)에 대해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류측 컨베이어(12) 및 면 수용 컨베이어(14)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제어부(30)는 트레이 검지 센서(20)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3피치 앞, 즉, 트레이(6a)가 깔때기(24)의 하방에 위치 결정되었을 때의 깔때기(24)의 하강 거리를 결정한다(단계(S3)).
또한, 깔때기(24)의 하강 거리는 트레이 검지 센서(20)에서 트레이(6)가 포지션 P1에 있는지 없는지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면 수용 장치(2)는 면 투입 검지 센서(28)에서 삶은 면(4)이 투입되었다고 검지되면, 트레이(6)가 포지션 P1에 없는 경우여도, 분무 장치(10) 및 면 수용 컨베이어(14)는 인칭 동작을 개시한다. 따라서, 어떠한 사고에 의해 트레이 공급기(8)에서 트레이(6)가 공급되지 않고, 트레이 검지 센서(20)에 의해 트레이(6)가 포지션 P1에 없다고 검지되었을 경우여도, 삶은 면 공급구(26)에서 삶은 면(4)이 공급되면, 분무 장치(10) 및 면 수용 컨베이어(14)는 동작한다. 그래서, 제어부(30)는 트레이 검지 센서(20)에서 트레이(6)가 포지션 P1에 없다고 검지되었을 경우에는, 깔때기(24)의 배출구(24b)가 2열 벨트 컨베이어인 면 수용 컨베이어(14)의 벨트 사이에 확실하게 면을 떨어뜨릴 수 있는 위치까지 하강하도록 하강 거리를 설정한다. 배출구(24b)를 면 수용 컨베이어(14)의 하측까지 하강시키는 것에 의해, 배출구(24b)로부터 배출되는 삶은 면(4)을 확실하게 회수하고, 면 수용 컨베이어(14) 상에 삶은 면(4)이 잔존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제어부(30)는 트레이 검지 센서(20)에서 트레이(6)가 포지션 P1에 있다고 검지되었을 경우에는, 깔때기(24)의 배출구(24b)가 트레이(6) 내(배출구(24b)가 트레이(6)의 상연부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하강 거리를 설정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삶은 면(4)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직사각형상의 수용구를 갖는 트레이(6)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고 있지만, 트레이(6) 이외의 삶은 면(4)을 수용하는 용기, 예를 들면, 사발형의 용기여도 좋다. 깔때기(24)의 하강 거리는 용기의 형상(삶은 면(4)을 수용하는 영역이나 용기의 깊이 등)에 따라 사전 설정되어 있고, 도시되지 않은 기억부 등에 기억되어 있다. 제어부(30)는 용기에 따른 깔때기(24)의 하강 거리를 기억부 등으로부터 읽어내서 결정한다.
도 5에 도시하는 초기 대기 상태에 있어서, 제어부(30)는 면 투입 검지 센서(28)에 의한 검지 결과를 취득하고, 삶은 면(4a)이 제 1 보울(22a)에 투입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단계(S4)). 삶은 면(4a)이 제 1 보울(22a)에 투입되면(단계(S4), 예), 제어부(30)는 제 1 풀림액 분무부(46)에 대해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제 1 보울(22a) 내에 있는 삶은 면(4a)에 풀림액을 분무시킨다(단계(S5)). 그리고, 제어부(30)는 공전 구동부(36)에 대해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도 6에 도시되는 상태가 되도록, 회전반(27)을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제 1 보울(22a)을 제 1 포지션(A)으로부터 제 2 포지션(B)으로 이동시킨다(단계(S6)).
또한, 제 1 자전 구동부(38)는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상시 제 1 보울(22a)을 자전시키고 있기 때문에, 삶은 면(4a) 및 풀림액은 제 1 보울(22a)의 자전에 의해 교반되고, 풀림액은 삶은 면(4a)에 남김없이 부착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자전 구동부(39)는 제 2 보울(22b)을, 제 3 자전 구동부(40)는 제 3 보울(22c)을, 제 4 자전 구동부(41)는 제 4 보울(22d)을,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상시 자전시키고 있다.
또한, 삶은 면(4a)이 제 1 보울(22a)에 투입되면(단계(S4), 예), 제어부(30)는 단계(S5) 및 단계(S6)의 처리와 동시에, 상류측 컨베이어(12) 및 면 수용 컨베이어(14)의 구동을 재개하고,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트레이(6a)를 포지션 P1로부터 포지션 P2로 이동시킨다(단계(S7)). 또한, 제어부(30)는 상류측 컨베이어(12) 및 면 수용 컨베이어(14)의 구동을 재개시키는 동시에, 도시되지 않은 하류측 컨베이어 구동부에 대해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하류측 컨베이어(16)를 구동시킨다.
다음에, 제어부(30)는 면 투입 검지 센서(28)에 의한 검지 결과를 취득하고, 삶은 면(4b)이 제 2 보울(22b)에 투입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단계(S8)). 삶은 면(4b)이 제 2 보울(22b)에 투입되면(단계(S8), 예), 제어부(30)는 제 2 풀림액 분무부(47)에 대해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제 1 보울(22a) 내에 있는 삶은 면(4a)에 풀림액을 분무시킨다(단계(S9)). 그리고, 제어부(30)는 공전 구동부(36)에 대해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도 7에 도시하는 상태가 되도록, 회전반(27)을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제 1 보울(22a)을 제 2 포지션(B)으로부터 제 3 포지션(C)으로 이동시킨다(단계(S10)). 제 1 자전 구동부(38)는 상시 제 1 보울(22a)을 자전시키고 있기 때문에, 삶은 면(4a) 및 풀림액은 제 1 보울(22a)의 자전에 의해 교반되고, 풀림액은 삶은 면(4a)에 남김없이 부착한다.
또한, 삶은 면(4b)이 제 2 보울(22b)에 투입되면(단계(S8), 예), 제어부(30)는 단계(S9) 및 단계(S10)의 처리와 동시에, 트레이(6a)를 포지션 P2로부터 포지션 P3로 이동시킨다(단계(S11)).
다음에, 제어부(30)는 면 투입 검지 센서(28)에 의한 검지 결과를 취득하고, 삶은 면(4c)이 제 3 보울(22c)에 투입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단계(S12)). 삶은 면(4c)이 제 3 보울(22c)에 투입되면(단계(S12), 예), 제어부(30)는 제 3 풀림액 분무부(48)에 대해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제 1 보울(22a) 내에 있는 삶은 면(4a)에 풀림액을 분무시킨다(단계(S13)). 그리고, 제어부(30)는 공전 구동부(36)에 대해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도 8에 도시되는 상태가 되도록, 회전반(27)을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제 1 보울(22a)을 제 3 포지션(C)으로부터 제 4 포지션(D)으로 이동시킨다(단계(S14)). 제 1 자전 구동부(38)는 상시 제 1 보울(22a)을 자전시키고 있기 때문에, 삶은 면(4a) 및 풀림액은 제 1 보울(22a)의 자전에 의해 교반되고, 풀림액은 삶은 면(4a)에 남김없이 부착한다.
또한, 삶은 면(4c)이 제 3 보울(22c)에 투입되면(단계(S12), 예), 제어부(30)는 단계(S13) 및 단계(S14)의 처리와 동시에, 트레이(6a)를 포지션 P3로부터 포지션 P4로 이동시킨다(단계(S15)).
다음에, 제어부(30)는 깔때기 구동부(60)에 대해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단계(S3)에 있어서 결정한 하강 거리만큼, 이동부(25)를 거쳐서 깔때기(24)를 하강시킨다(단계(S16)). 제 1 보울(22a)은 단계(S14)의 처리에 의해 제 4 포지션(D)에 위치 결정된 시점에서 개구부가 위에서 아래를 향하도록 수평 방향을 축으로 하여 반전하고, 제 1 보울(22a) 내의 삶은 면(4a)은 투입구(24a)로부터 깔때기(24)에 투입된다. 삶은 면(4a)은 깔때기(24)의 배출구(24b)로부터 배출되고, 트레이(6) 내에 충전된다. 제어부(30)는 에어 분사부(62)에 대해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깔때기(24)의 내벽면에 에어를 분사시키고(단계(S18)), 깔때기(24) 내에 잔존하는 삶은 면(4a)을 배출시킨다. 그리고, 제어부(30)는 깔때기 구동부(62)에 대해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이동부(25)를 거쳐서 깔때기(24)를 상승시킨다(단계(S19)).
다음에, 제어부(30)는 면 투입 검지 센서(28)에 의한 검지 결과를 취득하고, 삶은 면(4d)이 제 4 보울(22d)에 투입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단계(S20)). 삶은 면(4d)이 제 4 보울(22d)에 투입되면(단계(S20), 예), 제어부(30)는 공전 구동부(36)에 대해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회전반(27)을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제 1 보울(22a)을 제 4 포지션(D)으로부터 제 1 포지션(A)으로 이동시킨다(단계(S21)). 또한, 제어부(30)는 트레이(6a)를 포지션 P4(면 수용 컨베이어(14))로부터 하류측 컨베이어(16)로 반송시킨다(단계(S22)).
또한, 제어부(30)가 1번째의 삶은 면(4a)을 1번째의 트레이(6a)에 충전하기 위해서 실행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제어부(30)는 이러한 처리와 동시에, 1 피치마다(삶은 면(4)이 삶은 면 투입구(26)로부터 투입될 때마다) 2번째 이후의 삶은 면(4b, 4c, 4d …)을 2번째 이후의 트레이(6b, 6c, 6d …)에 충전하기 위한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즉,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n+2)번째의 삶은 면(4n+2)이 분무 장치(2)에 투입되고 나서 도시되지 않은 (n+3)번째의 삶은 면(4n+3)이 분무 장치(2)에 투입될 때까지의 동안에(n는 1 이상의 자연수), 제어부(30)는 n번째의 삶은 면(4n)에 대해서 도 4에 나타내는 단계(S13, S14, S16 내지 S19)의 처리를 실행하고, n번째의 트레이(6n)에 대해서 도 4에 나타내는 단계(S15)의 처리를 실행한다.
동시에, 제어부(30)는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n+5)번째의 트레이(6n+5)에 대해서 도 4에 나타내는 단계(S1)의 처리를 실행하고, (n+3)번째의 트레이(6n+3)에 대해서 도 4에 나타내는 단계(S2 내지 S3)의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동시에, 제어부(30)는 (n+2)번째의 삶은 면(4n+2)에 대해서 도 4에 나타내는 단계(S5, S6)의 처리를 실행하고, (n+2)번째의 트레이(6n+2)에 대해서 도 4에 나타내는 단계(S7)의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동시에, 제어부(30)는 (n+1)번째의 삶은 면(4n+1)에 대해서 도 4에 나타내는 단계(S9, S10)의 처리를 실행하고, (n+1)번째의 트레이(6n+1)에 대해서 도 4에 나타내는 단계(S11)의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차례대로 상술의 처리를 반복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면 수용 장치(2)에 의하면, 깔때기(24)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삶은 면(4)을 트레이(6) 안에 정확하게 또한 확실하게 충전할 수 있다. 즉, 트레이(6)가 깔때기(24)의 하방에 배치된 후, 배출구(24b)가 트레이(6) 안에 위치할 때까지 깔때기(24)를 하강시키고 나서, 삶은 면(4)을 깔때기(24)의 투입구(24a)에 투입하기 때문에, 삶은 면(4)이 트레이(6)로부터 불거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6) 내에 삶은 면(4)을 수용하는 영역과는 별도로 소바용 맛간장(麵汁) 컵을 세트하는 영역이나 양념을 수용하는 영역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여도, 삶은 면(4)을 수용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삶은 면(4)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삶은 면(4)이 트레이(6)에 충전된 후, 깔때기(24)는 상승하기 때문에, 트레이(6)가 면 수용 컨베이어(14) 상을 이동할 때, 깔때기(24)와 트레이(6)가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면 수용 장치(2)에 의하면, 삶은 면(4)이 깔때기(24)에 투입된 후, 깔때기(24)의 내벽면에 에어를 분사하기 때문에, 깔때기(24) 내를 미끄러져서 떨어지지 않고 잔존한 삶은 면(4)을 트레이(6) 안에 확실하게 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삶은 면(4)을 트레이(6)에 충전하는 처리의 자동화할 때 문제가 되고 있던 트레이(6)로부터의 삶은 면(4)의 불거져 나옴을 해소할 수 있어서, 생력화·생인화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5)

  1. 삶은 면을 용기 내에 충전하는 면 수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삶은 면을 수용하는 보울과,
    상기 보울 내에 있는 상기 삶은 면을 투입하는 투입구 및 상기 삶은 면을 상기 용기에 배출하는 배출구를 갖는 깔때기와,
    상기 배출구의 하방으로 상기 용기를 반송하는 반송부와,
    상기 깔때기를 보울과 상기 반송부 사이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반송부에 의해 상기 용기가 상기 배출구의 하방으로 반송된 후에 상기 깔때기를 하강시키고, 상기 삶은 면을 상기 용기에 충전한 후에 상기 깔때기를 상승시키고, 상기 반송부에, 상기 깔때기가 하강하고 나서 상승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용기의 반송을 정지시키고, 상기 깔때기가 상승한 후, 상기 용기의 반송을 재개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수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삶은 면을 상기 용기에 충전하고 나서 상기 깔때기를 상승시킬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투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를 향해서 상기 깔때기의 내벽면에 에어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수용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깔때기를 하강시키는 타이밍을 위해서, 상기 삶은 면이 상기 보울에 투입된 것을 검지하는 면 투입 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수용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를 상기 반송부에 공급하는 용기 공급부와,
    상기 용기 공급부로부터 상기 용기가 상기 반송부에 공급된 것을 검지하는 용기 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수용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는 상기 배출구가 상기 용기 내에 위치할 때까지 하강하고, 상기 배출구가 상기 용기의 상연부보다 상방에 위치할 때까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수용 장치.
KR1020217022638A 2019-07-11 2020-05-25 면 수용 장치 KR202200325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28919 2019-07-11
JP2019128919 2019-07-11
PCT/JP2020/020479 WO2021005901A1 (ja) 2019-07-11 2020-05-25 麺受け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512A true KR20220032512A (ko) 2022-03-15

Family

ID=74113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2638A KR20220032512A (ko) 2019-07-11 2020-05-25 면 수용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357677B2 (ko)
KR (1) KR20220032512A (ko)
CN (1) CN113395905A (ko)
TW (1) TW202102132A (ko)
WO (1) WO202100590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9795A (ja) 2001-07-05 2003-01-14 Nissey Delica Corp 茹麺のほぐ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767A (ja) * 1991-07-10 1993-01-26 Tanabe Seiyaku Co Ltd 粉粒体の移送方法及び装置
JPH11290219A (ja) * 1998-04-06 1999-10-26 Fuji Seisakusho:Kk 食品の油揚げ装置
JP2002360198A (ja) 2001-06-08 2002-12-17 Kinrei:Kk 冷凍茹で麺の製造方法及び茹で麺用箱盛装置並びにこれを備える冷凍茹で麺製造装置
JP3287832B1 (ja) * 2001-07-05 2002-06-04 株式会社ニッセーデリカ 茹麺のほぐし方法
JP4129146B2 (ja) * 2002-05-29 2008-08-06 株式会社イシダ 味付け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商品生産システム
JP4162965B2 (ja) * 2002-10-08 2008-10-08 株式会社紀文食品 麺状食品の製造装置
JP5205740B2 (ja) * 2006-10-05 2013-06-05 シマダヤ株式会社 茹麺の自動計量方法及びその装置
CN103750082B (zh) * 2014-01-24 2015-02-11 于敬伟 一种全自动煮面机及其使用方法
WO2016129296A1 (ja) 2015-02-12 2016-08-18 日清フーズ株式会社 茹麺の自動計量装置および茹麺
CN205813507U (zh) * 2016-05-31 2016-12-21 广东春晓食品有限公司 一种自动给料的米线机
JP7016143B2 (ja) * 2017-11-07 2022-02-04 株式会社愛産製作所 冷菓の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9795A (ja) 2001-07-05 2003-01-14 Nissey Delica Corp 茹麺のほぐ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395905A (zh) 2021-09-14
JPWO2021005901A1 (ko) 2021-01-14
WO2021005901A1 (ja) 2021-01-14
JP7357677B2 (ja) 2023-10-06
TW202102132A (zh) 2021-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3827B2 (en) Apparatus for packaging of foodstuffs in containers of various dimensions
KR20220032512A (ko) 면 수용 장치
WO2019085215A1 (zh) 一种炒菜机
EP0746998A1 (en) Machine for automatically shelling fresh eggs
JP2006296603A (ja) 炊飯水交換装置とそれを用いる炊飯システム
DK0547183T3 (da) Apparat til fremstilling af iscremeprodukter
JP2017003421A (ja) 分散トレイ及びこれを備えた組合せ秤
JP5701670B2 (ja) 組合せ秤
CN108852837B (zh) 一种医疗用药水自动搅拌混合封装一体化设备
CN105446169B (zh) 刀削面自动化加工控制系统和其控制方法
US11582975B2 (en) Food processing system and a food processing method
KR101556567B1 (ko) 생오이 피클 제조장치
US20070039489A1 (en) Material immersion apparatus
CN107624876B (zh) 自动化食品卤制生产线及方法
JP6355569B2 (ja) 物品充填装置
KR101571894B1 (ko) 생오이 피클 제조장치
JP2009159941A (ja) 容器入り豆腐の加熱装置及び加熱方法並びに製造方法
JP7146626B2 (ja) 計量装置
CN212766978U (zh) 玉米豆包装给料联动控制装置
WO2023187631A1 (en) Device and method for squeezing juice from fruits
JP5694005B2 (ja) 組合せ秤
KR20120001778U (ko) 버퍼의 곤도라에 탑재된 제품의 배출장치
TWM645230U (zh) 米飯自動定量裝置及含有米飯自動定量裝置之自動配餐系統
JP5352424B2 (ja) 米飯撹拌装置とそれを備えた炊飯システム
JPS62294053A (ja) めん線のほぐし方法及びその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