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1021A - 휴대용 진공 청소기, 및 휴대용 진공 청소기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진공 청소기, 및 휴대용 진공 청소기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1021A
KR20220031021A KR1020227001770A KR20227001770A KR20220031021A KR 20220031021 A KR20220031021 A KR 20220031021A KR 1020227001770 A KR1020227001770 A KR 1020227001770A KR 20227001770 A KR20227001770 A KR 20227001770A KR 20220031021 A KR20220031021 A KR 20220031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leaner
sound
reduction zone
air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1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나-카린 그레이
요한 바델리우스
Original Assignee
에이비 엘렉트로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비 엘렉트로룩스 filed Critical 에이비 엘렉트로룩스
Publication of KR20220031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10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25Convertible suction cleaners, i.e. convertible between different types thereof, e.g. from upright suction cleaners to sledge-type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공기 유입구(3), 공기 토출구(5), 공기 유입구(3)로부터 공기 토출구(5)로 연장되는 공기 유로(9)를 통해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팬 축(ax)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팬(7), 및 공기 유로(9) 내에 배치되는 분리 장치(11)를 포함하는, 휴대용 진공 청소기(1)가 개시된다. 분리 장치(11)는 공기 유로(9)를 통해 흐르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공기 유로(9)는 팬(7)으로부터 연장 방향(d)으로 연장되는 음향 저감 구역(13)을 포함하고, 연장 방향(d)과 팬 축(ax) 사이의 각도(a1)는 45도 미만이다. 본 개시는 또한 휴대용 진공 청소기(1)를 위한 홀더(49)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2)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진공 청소기, 및 휴대용 진공 청소기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본 개시는 휴대용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또한 휴대용 진공 청소기를 위한 홀더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 청소기는 공기 펌프, 가장 빈번하게는 원심 팬을 사용하여 바닥, 카펫 등과 같은 표면으로부터 먼지 및 부스러기를 흡입하기 위해 부분 진공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다양한 종류의 진공 청소기가 알려져 있다. 그중에서도, 직립형/스틱형 진공 청소기 및 휴대용 진공 청소기가 있다. 이러한 유형의 진공 청소기는 일반적으로 일 단부에 노즐, 다른 단부에 손잡이를 갖는 세장형 바디를 구비한다. 팬 및 필터를 갖는 하우징이 세장형 바디에 부착될 수 있고, 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우징은 팬 및 모터, 집진기, 필터, 및 다른 필수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진공 청소기 및 직립형/스틱형 진공 청소기는 사용자가 비교적 용이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먼지 및 부스러기를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한손 파지로 작동될 수 있다. 휴대용 진공 청소기는 점점 더 인기를 얻고 있다. 이는 휴대용 진공 청소기가 사용이 간편하며 사용하지 않을 때 아주 적은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를 설계할 때 몇몇 과제 및 요건이 존재한다. 하나의 예로, 청소 효율이 있다. 진공 청소기의 사용자는 적은 노력으로 양호한 청소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높은 청소 효율을 기대한다. 다른 과제는 작동 중 소음 레벨이다. 진공 청소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은 대개 사용자 및 진공 청소기 주위의 사람들을 성가시게 한다. 또 다른 과제는 간단하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사용가능한 사용자-친화적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과제는 진공 청소기의 에너지 소비이다. 이러한 과제 및 요건은 일반적으로 충돌하는 과제 및 요건이다. 다시 말하면, 진공 청소기의 청소 효율을 증가시키는 용이한 방식은 팬의 전력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그 결과, 진공 청소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 뿐만 아니라 진공 청소기의 에너지 소비도 증가할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요즘 소비자 시장에서, 진공 청소기 및 진공 청소기 부품과 같은 제품들이 비용효율적인 방식으로 제조 및 조립되기에 적합한 조건 및/또는 특성을 가지는 경우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문제점 및 단점 중 적어도 일부를 극복하거나 적어도 완화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휴대용 진공 청소기로서, 공기 유입구, 공기 토출구, 및 공기 유입구로부터 공기 토출구로 연장되는 공기 유로를 통해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팬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팬을 포함하는, 휴대용 진공 청소기에 의해 달성된다. 진공 청소기는 공기 유로 내에 배치되는 분리 장치를 추가로 포함한다. 분리 장치는 공기 유로를 통해 흐르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공기 유로는 팬으로부터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음향 저감 구역을 포함하고, 연장 방향과 팬 축 사이의 각도는 45도 미만이다.
진공 청소기가 팬으로부터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음향 저감 구역을 포함하며 연장 방향과 팬 축 사이의 각도가 45도 미만이기 때문에, 팬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효율적인 방식으로 감쇠된다. 그로 인해, 작동 중에 더 적은 소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조건, 및 팬의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는 한편 더 적은 소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조건을 갖는 진공 청소기가 제공된다.
게다가, 음향 저감 구역의 연장 방향과 팬 축 사이의 각도가 45도 미만이기 때문에, 음향 저감 구역을 통해 흐르는 공기의 낮은 유동 저항이 제공되는 한편, 팬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의 효율적인 감쇠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저감 구역의 연장 방향과 팬 축 사이의 각도가 45도 미만이기 때문에, 본원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잘 균형 잡힌 중량 분포를 갖는 진공 청소기를 위한 조건이 제공되고, 이로써 진공 청소기의 사용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상기에 언급된 문제점 및 단점 중 적어도 일부를 극복하거나 적어도 완화하는 휴대용 진공 청소기가 제공된다. 그 결과, 상기에 언급된 목적이 달성된다.
선택적으로, 음향 저감 구역의 길이는 5 cm 초과이다. 그로 인해, 작동 중에 더 적은 소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조건, 및 팬의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는 한편 더 적은 소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조건을 갖는 진공 청소기가 제공된다. 게다가, 음향 저감 구역을 통해 흐르는 공기의 낮은 유동 저항이 제공되는 한편, 진공 청소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의 효율적인 감쇠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잘 균형 잡힌 진공 청소기를 위한 조건이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음향 저감 구역의 길이는 진공 청소기의 공기 유입구와 공기 토출구 사이의 거리의 적어도 20% 또는 적어도 30%이다. 그로 인해, 작동 중에 더 적은 소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조건, 및 팬의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는 한편 더 적은 소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조건을 갖는 진공 청소기가 제공된다. 게다가, 음향 저감 구역을 통해 흐르는 공기의 낮은 유동 저항이 제공되는 한편, 진공 청소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의 효율적인 감쇠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잘 균형 잡힌 진공 청소기를 위한 조건이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음향 저감 구역은 음향 저감 구역 내의 공기의 와류를 상쇄하기 위해 음향 저감 구역 내로 돌출되는 1개 이상의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그로 인해, 음향 저감 구역을 통해 흐르는 공기의 유동 저항이 현저히 감소된다. 그 결과, 진공 청소기의 에너지 소비가 감소되는 한편, 팬의 더 높은 전력 레벨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음향 저감 구역 내로 돌출되는 1개 이상의 블레이드로 인해, 진공 청소기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이 추가로 저감될 수 있다. 이는 음향 저감 구역 내의 공기의 난류가 현저히 감소되기 때문이다.
선택적으로, 1개 이상의 블레이드 중 각각의 블레이드는 팬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로 인해, 음향 저감 구역 내의 공기의 와류가 효율적인 방식으로 상쇄된다. 또한, 1개 이상의 블레이드는 비용효율적인 방식으로 제조되기에 적합한 조건 및 특성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음향 저감 구역은 제1 부분 및 제1 부분의 하류에 있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제2 부분의 단면적은 제1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다. 그로 인해, 진공 청소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감쇠된다.
선택적으로, 제2 부분의 단면적은 제1 부분의 단면적보다 적어도 30% 더 작다. 그로 인해, 진공 청소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감쇠되는 것이 보장된다.
선택적으로, 1개 이상의 블레이드는 제2 부분의 상류에 배치된다. 그로 인해, 음향 저감 구역의 제2 부분 내의 공기의 와류가 효율적인 방식으로 상쇄된다. 이의 결과로, 음향 저감 구역의 제2 부분을 통해 흐르는 공기의 유동 저항이 현저히 감소된다. 그 결과, 진공 청소기의 에너지 소비가 감소되는 한편, 팬의 더 높은 전력 레벨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의 다른 결과로, 진공 청소기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이 추가로 저감된다.
선택적으로, 음향 저감 구역은 제1 및 제2 부분 사이의 협소부를 포함한다. 그로 인해, 팬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감쇠된다.
선택적으로, 1개 이상의 블레이드는 협소부에 또는 이의 상류에 배치된다. 그로 인해, 음향 저감 구역의 협소부 및 협소부의 하류에 있는 제2 부분 내의 공기의 와류가 효율적인 방식으로 상쇄된다. 이의 결과로, 음향 저감 구역의 협소부 및 협소부의 하류에 있는 제2 부분을 통해 흐르는 공기의 유동 저항이 현저히 감소된다. 그 결과, 진공 청소기의 에너지 소비가 감소되는 한편, 팬의 더 높은 전력 레벨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의 다른 결과로, 진공 청소기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이 추가로 저감된다.
선택적으로, 음향 저감 구역은 제2 부분의 하류에 있는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제3 부분의 단면적은 제2 부분의 단면적보다 크다. 그로 인해, 팬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감쇠되는 한편, 음향 저감 구역을 통해 흐르는 공기의 낮은 유동 저항이 가능해진다. 또한, 잘 균형 잡힌 진공 청소기를 위한 조건이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제3 부분의 단면적은 제2 부분의 단면적보다 적어도 30% 더 크다. 그로 인해, 팬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감쇠되는 한편, 음향 저감 구역을 통해 흐르는 공기의 낮은 유동 저항이 가능해지는 것이 보장된다. 또한, 본원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잘 균형 잡힌 진공 청소기를 위한 조건이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팬 축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측정된 제2 부분의 길이는 3 cm 초과 또는 5 cm 초과이다. 그로 인해, 팬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효율적인 방식으로 감쇠되는 한편, 음향 저감 구역을 통해 흐르는 공기의 낮은 유동 저항이 가능해지는 것이 보장된다. 또한, 본원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잘 균형 잡힌 진공 청소기를 위한 조건이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제2 부분의 외면은 휴대용 진공 청소기의 사용자를 위한 손잡이를 형성한다. 그로 인해, 음향 저감 구역의 일부가 휴대용 진공 청소기의 사용자를 위한 손잡이를 형성하는 진공 청소기가 제공된다. 이의 결과로, 작동 중에 더 적은 소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조건을 갖는 한편, 비용효율적인 방식으로 제조 및 조립되기에 적합한 조건 및 특성을 갖는 진공 청소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원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조밀하고 잘 균형 잡힌 설계를 위한 조건을 갖는 진공 청소기가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팬 축을 중심으로 팬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모터를 포함하고, 모터는 음향 저감 구역의 제1 부분에 배치된다. 그로 인해, 모터는 진공 청소기의 작동 중에 음향 저감 구역을 통해 흐르는 공기에 의해 효율적인 방식으로 냉각된다. 따라서, 작동 중에 더 적은 소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조건을 갖는 한편, 비용효율적인 방식으로 제조 및 조립되기에 적합한 조건 및 특성을 갖는 진공 청소기가 제공된다. 또한, 조밀하고 잘 균형 잡힌 설계를 위한 조건을 갖는 진공 청소기가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모터에 전기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배터리는 음향 저감 구역의 제3 부분에 배치된다. 그로 인해, 배터리는 진공 청소기의 작동 중에 음향 저감 구역을 통해 흐르는 공기에 의해 효율적인 방식으로 냉각된다. 따라서, 작동 중에 더 적은 소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조건을 갖는 한편, 비용효율적인 방식으로 제조 및 조립되기에 적합한 조건 및 특성을 갖는 사용자-친화적 진공 청소기가 제공된다. 또한, 조밀하고 잘 균형 잡힌 설계를 위한 조건을 갖는 진공 청소기가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제3 부분은 공기 토출구를 포함한다. 그로 인해, 작동 중에 더 적은 소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조건을 갖는 진공 청소기가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공기 토출구는 실드를 포함한다. 그로 인해, 진공 청소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감쇠되는 한편, 음향 저감 구역을 통해 흐르는 공기의 낮은 유동 저항이 가능해진다.
선택적으로, 실드는 공기를 팬 축에 대해 각진 방향으로 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로 인해, 진공 청소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감쇠되는 한편, 음향 저감 구역을 통해 흐르는 공기의 낮은 유동 저항이 가능해진다. 또한, 공기 토출구를 통해 흐르는 공기를 진공 청소기의 사용자에게 더 적은 소란을 야기하는 방향으로 지향시키기 위한 조건이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실드는 공기를 팬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로 인해, 진공 청소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감쇠되는 한편, 음향 저감 구역을 통해 흐르는 공기의 낮은 유동 저항이 가능해진다. 또한, 공기 토출구를 통해 흐르는 공기를 진공 청소기의 사용자에게 더 적은 소란을 야기하는 방향으로 지향시키기 위한 조건이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음향 저감 구역에 배치되는 흡음 재료, 바람직하게는 통기성 흡음 재료로 제공되는 적어도 1개의 흡음부 또는 흡음 표면 코팅을 포함한다. 그로 인해, 진공 청소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감쇠되는 한편, 음향 저감 구역을 통해 흐르는 공기의 낮은 유동 저항이 가능해진다.
선택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음향 저감 구역의 제2 부분에 배치되는 흡음 재료, 바람직하게는 통기성 흡음 재료로 제공되는 적어도 1개의 흡음부 또는 흡음 표면 코팅을 포함한다. 그로 인해, 진공 청소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더욱더 효율적인 방식으로 감쇠되는 한편, 음향 저감 구역을 통해 흐르는 공기의 낮은 유동 저항이 가능해진다.
선택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음향 저감 구역의 제3 부분에 배치되는 흡음 재료, 바람직하게는 통기성 흡음 재료로 제공되는 적어도 1개의 흡음부 또는 흡음 표면 코팅을 포함한다. 그로 인해, 진공 청소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더욱더 효율적인 방식으로 감쇠되는 한편, 음향 저감 구역을 통해 흐르는 공기의 낮은 유동 저항이 가능해진다.
선택적으로, 음향 저감 구역의 연장 방향과 팬 축 사이의 각도는 25도 미만, 또는 10도 미만, 또는 약 0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진공 청소기로서, 샤프트부, 및 본 개시의 일부 구현예에 따른 착탈식 휴대용 진공 청소기를 포함하고, 샤프트부는 손잡이, 2개의 관부, 바닥 노즐, 및 2개의 관부 사이에 배치되는 휴대용 진공 청소기를 위한 홀더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에 의해 달성된다.
진공 청소기가 일부 구현예에 따른 착탈식 휴대용 진공 청소기를 포함하기 때문에, 작동 중에 더 적은 소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조건, 및 팬의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는 한편 더 적은 소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조건을 갖는 진공 청소기가 제공된다. 게다가, 휴대용 진공 청소기의 음향 저감 구역이 팬으로부터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되, 연장 방향과 팬 축 사이의 각도가 45도 미만이기 때문에, 음향 저감 구역을 통해 흐르는 공기의 낮은 유동 저항이 제공되는 한편, 휴대용 진공 청소기의 팬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의 효율적인 감쇠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에 언급된 문제점 및 단점 중 적어도 일부를 극복하거나 적어도 완화하는 진공 청소기가 제공된다. 그 결과, 상기에 언급된 목적이 달성된다.
선택적으로, 휴대용 진공 청소기의 공기 토출구는 휴대용 진공 청소기가 홀더에 부착될 때 2개의 관부 사이에 위치한다. 그로 인해, 휴대용 진공 청소기의 공기 토출구를 통해 흐르는 공기를 진공 청소기의 사용자에게 더 적은 소란을 야기하는 방향으로 지향시키는 한편, 공기 토출구를 통해 흐르는 공기의 낮은 유동 저항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조건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청구범위 및 하기 상세한 설명을 검토할 때 명확해질 것이다.
특정 특징 및 이점을 비롯한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가 첨부 도면 및 하기 상세한 설명에 논의된 예시적인 구현예로부터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일부 구현예에 따른 휴대용 진공 청소기의 제1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일부 부품이 제거된, 도 1에 도시된 진공 청소기의 제2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진공 청소기의 제3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현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일부 구현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양태가 보다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전체에 걸쳐,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간결함 및/또는 명료함을 위해, 공지된 기능 또는 구성이 반드시 상세히 설명되진 않을 것이다.
도 1은 일부 구현예에 따른 휴대용 진공 청소기(1)의 제1 단면도를 도시한다. 간결함 및 명료함을 이유로, 휴대용 진공 청소기(1)는 본원의 몇몇 다른 부분에서 "진공 청소기"로 지칭된다. 진공 청소기(1)는 공기 유입구(3), 공기 토출구(5), 및 팬(7)을 포함한다. 팬(7)은 전기 모터(27)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전기 모터(27)는 팬 축(ax)을 중심으로 팬(7)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1의 단면도는 팬 축(ax)을 포함하는 평면을 통해 만들어진 것이다. 팬(7)은 공기 유로(9)를 통해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팬 축(ax)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공기 유로(9)는 공기 유입구(3)로부터 공기 토출구(5)로 연장된다. 전기 모터(27)는 볼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고, 진공 청소기(1)의 하우징(6)에 대해 고무 현수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진공 청소기(1)의 작동 중에 더 적은 소음이 발생된다.
진공 청소기(1)는 공기 유로(9) 내에 배치되는 분리 장치(11)를 추가로 포함한다. 분리 장치(11)는 공기 유로(9)를 통해 흐르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분리 장치(11)는 먼지 봉투, 필터, 사이클론 분리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유로(9)는 팬(7)의 하류에 배치되는 음향 저감 구역(13)을 포함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향 저감 구역(13)은 팬(7)으로부터 연장 방향(d)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구현예에 따르면, 음향 저감 구역(13)은 팬 축(ax)과 실질적으로 동심이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음향 저감 구역(13)의 연장 방향(d)과 팬 축(ax) 사이의 각도(a1)는 45도 미만, 또는 25도 미만, 또는 10도 미만, 또는 약 0도일 수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본원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팬(7)과 전기 모터(27)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효율적인 방식으로 감쇠된다. 또한, 본원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균형 잡힌 중량 분포를 갖는 사용자-친화적 진공 청소기(1)를 위한 조건이 제공된다. 음향 저감 구역(13)이 팬 축(ax)과 실질적으로 동심이라는 특징은, 본원에 언급된 바와 같이, 팬 축(ax)과 음향 저감 구역(13) 사이의 거리가 음향 저감 구역(13)의 범위를 따라 5 cm 미만이라는 것을 포괄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저감 구역(13)이 팬 축(ax)과 실질적으로 동심이라는 특징은 팬 축(ax)과 음향 저감 구역(13)의 범위 사이의 각도가 10도 미만이라는 것을 포괄할 수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 따르면, 음향 저감 구역(13)의 길이(L1)는 진공 청소기(1)의 공기 유입구(3)와 공기 토출구(5) 사이의 거리(L2)의 약 53.5%이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음향 저감 구역(13)의 길이(L1)는 진공 청소기(1)의 공기 유입구(3)와 공기 토출구(5) 사이의 거리(L2)의 적어도 10%, 적어도 20%, 또는 적어도 30%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음향 저감 구역(13)의 길이(L1)는 5 cm 초과 또는 7 cm 초과이다. 그로 인해, 팬(7)과 전기 모터(27)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효율적인 방식으로 감쇠되는 한편, 음향 저감 구역(13)을 통해 흐르는 공기의 낮은 유동 저항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본원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균형 잡힌 중량 분포를 갖는 사용자-친화적 진공 청소기(1)를 위한 조건이 제공된다.
음향 저감 구역(13)은 제1 부분(21) 및 제1 부분(21)의 하류에 있는 제2 부분(22)을 포함한다. 또한, 음향 저감 구역(13)은 제1 및 제2 부분(21, 22) 사이의 협소부(21')를 포함한다. 게다가, 음향 저감 구역(13)은 제2 부분(22)의 하류에 있는 제3 부분(23)을 포함한다. 도시된 구현예에 따르면, 음향 저감 구역(13) 및 이의 부분들(21, 21', 22, 23)은 진공 청소기(1)의 하우징(6)의 내면에 의해 형성된다. 하우징(6)은 고분자 재료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부분(22)의 단면적(A2)은 제1 부분(21)의 단면적(A1)보다 작다. 도시된 구현예에 따르면, 제1 부분(21)의 단면적(A1)은 약 9045 ㎟이며 제2 부분(22)의 단면적(A2)은 약 910 ㎟이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제1 부분(21)의 단면적(A1)은 8000 내지 12000 ㎟의 범위일 수 있고, 제2 부분(22)의 단면적(A2)은 700 내지 1500 ㎟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제2 부분(22)의 단면적(A2)은 제1 부분(21)의 단면적(A1)보다 적어도 30% 더 작을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부분(23)의 단면적(A3)은 제2 부분(22)의 단면적(A2)보다 크다. 도시된 구현예에 따르면, 제3 부분(23)의 단면적(A3)은 약 6901 ㎟이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제3 부분(23)의 단면적(A3)은 4500 내지 9000 ㎟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제3 부분(23)의 단면적(A3)은 제2 부분(22)의 단면적(A2)보다 적어도 30% 더 클 수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 따르면, 모터(27)는 음향 저감 구역(13)의 제1 부분(21)에 배치된다. 또한, 진공 청소기(1)는 모터(27)에 전기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29)를 포함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터리(29)는 음향 저감 구역(13)의 제3 부분(23)에 배치된다. 진공 청소기(1)는 배터리(29)와 모터(27) 사이에 전기를 전달하기 위한 전선(28)을 포함한다. 전선(28)은 음향 저감 구역(13)의 제2 부분(22)을 통해 연장된다.
도 2는 음향 저감 구역(13) 및 이의 특징들의 보다 양호한 시각을 제공하기 위해 일부 부품이 제거된, 도 1에 도시된 진공 청소기(1)의 제2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향 저감 구역(13)은 음향 저감 구역(13) 내로 돌출되는 블레이드(15) 세트를 포함한다. 블레이드들(15)은 음향 저감 구역(13) 내의 공기의 와류를 상쇄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구현예에 따르면, 블레이드(15) 세트의 블레이드들(15)은 제2 부분(22)의 상류 및 협소부(21')의 상류에 배치된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블레이드(15) 세트의 블레이드들(15)은 협소부(21')에 또는 이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음향 저감 구역(13)의 제2 부분(22) 내의 공기의 와류가 효율적인 방식으로 상쇄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진공 청소기(1)의 제3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의 제3 단면도는 음향 저감 구역(13)의 제1 부분(21)에서 팬 축(ax)에 수직인 평면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도 3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블레이드(15) 세트의 각각의 블레이드(15)는 팬 축(ax)과 평행한 방향으로 음향 저감 구역(13) 내로 돌출된다. 이런 방식으로, 공기가 제1 부분(21)으로부터 협소부(21')를 통해 제2 부분(22)으로 흐를 때 공기의 와류가 효율적으로 상쇄된다. 또한, 블레이드(15) 세트의 각각의 블레이드(15)가 팬 축(ax)과 평행한 방향으로 음향 저감 구역(13) 내로 돌출되기 때문에, 비용효율적인 방식으로 제조되기에 적합한 조건 및 특성을 갖는 진공 청소기(1)가 제공된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현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공 청소기(1)는 활성화 버튼(32) 및 배터리 레벨 표시기(34)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동시에 참조한다. 도 1 및 도 2 뿐만 아니라 도 4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음향 저감 구역(13)의 제2 부분(22)의 외면(25)은 휴대용 진공 청소기(1)의 사용자를 위한 손잡이를 형성한다. 도시된 구현예에 따르면, 팬 축(ax)과 일치하는 방향(d)으로 측정된 제2 부분(22)의 길이(L3)는 사용자 손의 적어도 4개의 손가락을 수용하기에 충분하다.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팬 축(ax)과 일치하는 방향(d)으로 측정된 제2 부분(22)의 길이(L3)는 3 cm 초과 또는 5 cm 초과이다.
제2 부분(22)의 외면(25)이 휴대용 진공 청소기(1)의 사용자를 위한 손잡이를 형성하고, 배터리(29)가 음향 저감 구역(13)의 제3 부분(23)에 배치되며 모터(27)가 음향 저감 구역(13)의 제1 부분(21)에 배치되기 때문에, 잘 균형 잡힌 중량 분포를 갖는 진공 청소기(1)가 제공되고, 이로써 진공 청소기(1)의 사용이 용이해진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부분(23)은 공기 토출구(5)를 포함한다. 또한, 도시된 구현예에 따르면, 공기 토출구(5)는 실드(31)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드(31)는 공기 토출구(5)를 통해 흐르는 공기를 팬 축(ax)에 대해 각진 방향(d2)으로 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구현예에 따르면, 실드(31)는 공기를 팬 축(ax)에 대해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d2)으로 지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진공 청소기(1)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추가로 감쇠되고, 공기 토출구(5)를 통해 흐르는 공기는 진공 청소기(1)의 사용자에게 더 적은 소란을 야기할 것이다. 게다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된 구현예에 따르면, 진공 청소기(1)는 공기가 진공 청소기(1)의 상측을 향해 흐르는 것을 차단하는 구역(36)을 포함하는데, 진공 청소기(1)의 상측은 사용자가 의도된 파지 방향으로 진공 청소기(1)의 손잡이를 파지할 때 사용자의 전완에 대향하는 측이다. 또한, 진공 청소기(1)의 상측은 활성화 버튼(32) 및 배터리 레벨 표시기(34)를 포함한다. 공기가 진공 청소기(1)의 상측을 향해 흐르는 것을 차단하는 구역(36)으로 인해, 공기 토출구(5)를 통해 흐르는 공기는 진공 청소기(1)의 사용자에게 훨씬 더 적은 소란을 야기할 것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공 청소기(1)는 음향 저감 구역(13)에 배치되는 흡음 재료로 제공되는 적어도 1개의 흡음부(33, 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 따르면, 진공 청소기(1)는 음향 저감 구역(13)의 제2 부분(22)에 배치되는 흡음 재료로 제공되는 흡음부(33), 및 음향 저감 구역(13)의 제3 부분(23)에 배치되는 흡음 재료로 제공되는 흡음부(35)를 포함한다. 흡음부들(33, 35)은 각각 발포 재료와 같은 통기성 재료로 제공될 수 있다. 흡음부들(33, 35)은 또한 음향 저감 구역(13)의 제1 내지 제3 부분(21, 22, 23) 중 임의의 것의 내부의 표면 코팅일 수 있다. 흡음부들(33, 35)로 인해, 진공 청소기(1)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감쇠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부 구현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2)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진공 청소기(2)는 스틱형 진공 청소기(2)이다. 진공 청소기(2)는 샤프트부(41), 및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구현예에 따른 착탈식 휴대용 진공 청소기(1)를 포함한다. 샤프트부(41)는 손잡이(43), 2개의 관부(45), 바닥 노즐(47), 및 2개의 관부(45) 사이에 배치되는 휴대용 진공 청소기(1)를 위한 홀더(49)를 포함한다. 도 5에서, 휴대용 진공 청소기(1)는 진공 청소기(2)의 홀더(49)에 부착된다. 이 위치에 있을 때, 휴대용 진공 청소기(1)의 공기 유입구는 바닥 노즐(47)에 유체 연결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용 진공 청소기(1)의 공기 토출구(5)는 휴대용 진공 청소기(1)가 홀더(49)에 부착될 때 2개의 관부(45) 사이에 위치한다. 이런 방식으로, 공기 토출구(5)를 통해 흐르는 공기는 진공 청소기(2)의 사용자에게 더 적은 소란을 야기하는 한편, 휴대용 진공 청소기(1)의 공기 토출구(5)를 통해 흐르는 공기의 낮은 유동 저항이 가능해질 것이다.
전술한 내용은 다양한 예시적인 구현예를 예시하고,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의됨을 이해해야 한다.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 없이, 예시적인 구현예들이 수정될 수 있고, 예시적인 구현예들의 상이한 특징들이 결합되어 본원에 설명된 구현예들 외의 구현예를 형성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포함하는" 또는 "포함한다"는 개방형 용어이며, 1개 이상의 명시된 특징, 요소, 단계, 부품, 또는 기능을 포함하지만, 1개 이상의 다른 특징, 요소, 단계, 부품, 기능, 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Claims (26)

  1. 휴대용 진공 청소기(1)로서,
    - 공기 유입구(3),
    - 공기 토출구(5),
    - 상기 공기 유입구(3)로부터 상기 공기 토출구(5)로 연장되는 공기 유로(9)를 통해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팬 축(ax)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팬(7), 및
    - 상기 공기 유로(9) 내에 배치되며, 상기 공기 유로(9)를 통해 흐르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분리 장치(11)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유로(9)는 상기 팬(7)으로부터 연장 방향(d)으로 연장되는 음향 저감 구역(13)을 포함하며, 상기 연장 방향(d)과 상기 팬 축(ax) 사이의 각도(a1)는 45도 미만인, 진공 청소기(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저감 구역(13)의 길이(L1)는 5 cm 초과인, 진공 청소기(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저감 구역(13)의 길이(L1)는 상기 진공 청소기(1)의 상기 공기 유입구(3)와 상기 공기 토출구(5) 사이의 거리(L2)의 적어도 20% 또는 적어도 30%인, 진공 청소기(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저감 구역(13)은 상기 음향 저감 구역(13) 내의 공기의 와류를 상쇄하기 위해 상기 음향 저감 구역(13) 내로 돌출되는 1개 이상의 블레이드(15)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1개 이상의 블레이드(15) 중 각각의 블레이드(15)는 상기 팬 축(ax)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진공 청소기(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저감 구역(13)은 제1 부분(21) 및 상기 제1 부분(21)의 하류에 있는 제2 부분(2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22)의 단면적(A2)은 상기 제1 부분(21)의 단면적(A1)보다 작은, 진공 청소기(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22)의 단면적(A2)은 상기 제1 부분(21)의 단면적(A1)보다 적어도 30% 더 작은, 진공 청소기(1).
  8. 제4항 또는 제5항 및 제6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개 이상의 블레이드(15)는 상기 제2 부분(22)의 상류에 배치되는, 진공 청소기(1).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저감 구역(13)은 상기 제1 및 제2 부분(21, 22) 사이의 협소부(21')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1).
  10. 제9항 및 제4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개 이상의 블레이드(15)는 상기 협소부(21')에 또는 이의 상류에 배치되는, 진공 청소기(1).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저감 구역(13)은 상기 제2 부분(22)의 하류에 있는 제3 부분(23)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부분(23)의 단면적(A3)은 상기 제2 부분(22)의 단면적(A2)보다 큰, 진공 청소기(1).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분(23)의 단면적(A3)은 상기 제2 부분(22)의 단면적(A2)보다 적어도 30% 더 큰, 진공 청소기(1).
  13. 제6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팬 축(ax)과 일치하는 방향(d)으로 측정된 상기 제2 부분의 길이(L3)는 3 cm 초과 또는 5 cm 초과인, 진공 청소기(1).
  14. 제6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22)의 외면(25)은 상기 휴대용 진공 청소기(1)의 사용자를 위한 손잡이를 형성하는, 진공 청소기(1).
  15. 제6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청소기(1)는 상기 팬 축(ax)을 중심으로 상기 팬(7)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모터(27)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27)는 상기 제1 부분(21)에 배치되는, 진공 청소기(1).
  16. 제15항 및 제1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청소기(1)는 상기 모터(27)에 전기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29)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29)는 상기 제3 부분(23)에 배치되는, 진공 청소기(1).
  17. 제11항, 제12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분(23)은 상기 공기 토출구(5)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1).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토출구(5)는 실드(31)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1).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31)는 공기를 상기 팬 축(ax)에 대해 각진 방향(d2)으로 지향시키도록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1).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31)는 공기를 상기 팬 축(ax)에 대해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d2)으로 지향시키도록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1).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청소기(1)는 상기 음향 저감 구역(13)에 배치되는 흡음 재료, 바람직하게는 통기성 흡음 재료로 제공되는 적어도 1개의 흡음부(33, 35) 또는 흡음 표면 코팅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1).
  22. 제6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청소기(1)는 상기 음향 저감 구역(13)의 상기 제2 부분(22)에 배치되는 흡음 재료, 바람직하게는 통기성 흡음 재료로 제공되는 적어도 1개의 흡음부(33) 또는 흡음 표면 코팅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1).
  23. 제11항, 제12항,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청소기(1)는 상기 음향 저감 구역(13)의 상기 제3 부분(23)에 배치되는 흡음 재료, 바람직하게는 통기성 흡음 재료로 제공되는 적어도 1개의 흡음부(35) 또는 흡음 표면 코팅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1).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방향(d)과 상기 팬 축(ax) 사이의 각도는 25도 미만, 또는 10도 미만, 또는 약 0도인, 진공 청소기(1).
  25. 진공 청소기(2)로서,
    샤프트부(41), 및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착탈식 휴대용 진공 청소기(1)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부(41)는 손잡이(43), 2개의 관부(45), 바닥 노즐(47), 및 상기 2개의 관부(45)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휴대용 진공 청소기(1)를 위한 홀더(49)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2).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진공 청소기(1)의 공기 토출구(5)는 상기 휴대용 진공 청소기(1)가 상기 홀더(49)에 부착될 때 상기 2개의 관부(45) 사이에 위치하는, 진공 청소기(2).
KR1020227001770A 2019-07-08 2019-07-08 휴대용 진공 청소기, 및 휴대용 진공 청소기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KR202200310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9/068267 WO2021004618A1 (en) 2019-07-08 2019-07-08 Handheld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comprising a handheld vacuum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021A true KR20220031021A (ko) 2022-03-11

Family

ID=67226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1770A KR20220031021A (ko) 2019-07-08 2019-07-08 휴대용 진공 청소기, 및 휴대용 진공 청소기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73146A1 (ko)
EP (1) EP3996563A1 (ko)
JP (1) JP7485468B2 (ko)
KR (1) KR20220031021A (ko)
CN (1) CN114040698A (ko)
WO (1) WO20210046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34579A1 (de) * 2020-12-22 2022-06-23 Vorwerk & Co. Interholding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Haushaltsgerät mit einem Gebläse und einem Strömungskanal
JP2023130923A (ja) * 2022-03-08 2023-09-21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および電気掃除機用消音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005Y2 (ko) * 1985-09-20 1993-05-07
JPH0473030A (ja) * 1990-07-16 1992-03-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JP2001218706A (ja) * 2000-02-14 2001-08-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JP2002355196A (ja) * 2001-05-31 2002-1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JP2003245226A (ja) * 2002-02-27 2003-09-02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その本体、延長管、集塵ホースおよび吸込口体
US7159273B2 (en) * 2003-04-17 2007-01-09 The Hoover Company Muffler assembly for a bagless vacuum cleaner
CN1565368A (zh) * 2003-06-23 2005-01-19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吸尘器
KR20070032443A (ko) * 2005-09-16 2007-03-2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100809738B1 (ko) * 2007-03-12 2008-03-0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GB2468299B (en) * 2009-03-03 2012-06-20 Dyson Technology Ltd Noise reduction arrangement for a cleaning appliance.
KR101198522B1 (ko) * 2010-12-21 2012-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US20120186036A1 (en) * 2011-01-25 2012-07-26 Kegg Steven W Diffuser for a vacuum cleaner motor-fan assembly
US9402517B2 (en) * 2012-10-09 2016-08-02 Koninklijke Philips N.V. Exhaust grille
EP3113662A1 (en) * 2014-03-07 2017-01-11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Surface cleaning apparatus
CN106049329A (zh) * 2015-04-10 2016-10-26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吹吸装置和切割刀片
KR20160079277A (ko) * 2014-12-26 201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7006284A (ja) * 2015-06-19 2017-01-12 日本電産株式会社 ドライヤ
EP3383241B1 (en) * 2015-12-04 2022-05-18 Aktiebolaget Electrolux A vacuum cleaner
AU2017101264A4 (en) * 2016-09-29 2017-10-26 Bissell Inc. Vacuum cleaner
WO2018065069A1 (en) * 2016-10-07 2018-04-12 Aktiebolaget Electrolux Low noise stick vaccum cleaner
CN108903792B (zh) * 2018-08-29 2024-03-26 宁波富佳实业股份有限公司 吸尘器降噪结构
DE212019000449U1 (de) * 2018-12-13 2021-07-21 Koki Holdings Co., Ltd. Reiniger
JP7231423B2 (ja) 2019-01-30 2023-03-01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栓付き電線の製造装置
EP3738494A1 (en) * 2019-05-14 2020-11-18 Koninklijke Philips N.V. Noise redu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04618A1 (en) 2021-01-14
EP3996563A1 (en) 2022-05-18
JP2022539743A (ja) 2022-09-13
JP7485468B2 (ja) 2024-05-16
US20220273146A1 (en) 2022-09-01
CN114040698A (zh) 2022-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7344B2 (en) Cleaning appliance
JP4549677B2 (ja) 排気アセンブリ
JP4146351B2 (ja) フィルターハウジング
US9451855B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295995B2 (en) Cyclone such as for use in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227151B2 (en) Cyclone such as for use in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820621B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102061517B1 (ko) 청소기
US20140237965A1 (en) Cyclone such as for use in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20140237764A1 (en) Cyclone such as for use in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20140237955A1 (en) Cyclone such as for use in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20220031021A (ko) 휴대용 진공 청소기, 및 휴대용 진공 청소기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KR102099346B1 (ko) 팬모터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US20240032745A1 (en) Vacuum cleaner
CN111588303B (zh) 吸尘器
JP2007205202A (ja) 電動送風機および電気掃除機
JP2012145088A (ja) 電動送風機および電気掃除機
WO2024099570A1 (en) Vacuum cleaner
JP2017051387A (ja) 電気掃除機
KR20140119660A (ko) 청소기
JP2011074869A (ja) 電動送風機
JPH1156712A (ja) 電気掃除機
JPWO2014115588A1 (ja) サイクロン分離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