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2443A -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2443A
KR20070032443A KR1020050086670A KR20050086670A KR20070032443A KR 20070032443 A KR20070032443 A KR 20070032443A KR 1020050086670 A KR1020050086670 A KR 1020050086670A KR 20050086670 A KR20050086670 A KR 20050086670A KR 20070032443 A KR20070032443 A KR 20070032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ort
noise reduction
vacuum cleaner
suction
reduction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6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주
히로유키 우라타니
양동헌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6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2443A/ko
Publication of KR20070032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4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이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은, 하부하우징과, 상부하우징 및 소음저감리브를 포함한다. 하부하우징은 중앙부에 소정 높이를 갖는 흡입구가 형성되며, 흡입구 양측에 배치되어 흡입구 측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가이드유로가 형성된다. 상부하우징은 하부하우징과 결합시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진공청소기의 연장관커넥터로 이동시키는 통로를 제공한다. 소음저감리브는 흡입구에 설치되어, 양 가이드유로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을 저감시킨다.
진공청소기, 흡입노즐, 공기, 유로, 충돌, 소음저감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A suction nozzle of vacuum clean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노즐이 적용된 진공청소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흡입노즐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흡입노즐의 하부하우징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흡입노즐의 하부하우징의 Ⅳ-Ⅳ에서 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흡입노즐의 하부하우징의 Ⅴ-Ⅴ에서 본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노즐이 적용되었을 때의 소음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10. 진공청소기 본체 120. 흡입노즐
140. 연장관커넥터 160. 하부하우징
162. 흡입구 164. 가이드유로
170. 상부하우징 180. 소음저감리브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여 진공청소기 본체 내부로 이동시키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에 관한 것이다.
진공청소기는 본체에 내장된 진공원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오물을 수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진공원이 내장된 진공청소기 본체, 피청소면과 마주하여 오물을 흡입하는 흡입노즐 및, 흡입노즐에서 흡입한 오물을 진공청소기 본체로 안내하는 연장관 및 플렉시블호스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흡입노즐에는 오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력이 전달되는 흡입구가 흡입노즐의 대략 중앙에 설치된다. 따라서, 흡입구가 설치된 중앙부에는 흡입력이 강한 반면, 흡입구의 양측부로 갈수록 흡입력은 낮아진다. 이로 인해, 흡입구가 설치된 흡입노즐의 중앙부에는 피청소면의 오물을 잘 흡입할 수 있어 청소의 효율이 좋으나, 양측부에는 청소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흡입구의 양측부에 가이드유로를 설치하여 흡입구 양측부에도 상기 흡입구를 통한 흡입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 그런데, 양측부의 가이드유로에서 유입된 집진공기가 흡입구에서 한꺼번에 모아져, 이로 인해 유속의 증가 및 공기의 상호 충돌시 발생하는 와류로 인해 소음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상호 충돌시 발생하는 와류를 억제하여 소음이 저감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조립체는, 진공청소기 본체에 설치된 진공원의 흡입력을 전달받아 피청소면의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여 연장관커넥터로 이동시키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에 있어서, 중앙부에 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 측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가이드유로가 형성되는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과 결합되며, 상기 하부하우징과 결합시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연장관커넥터로 이동시키는 통로를 제공하는 상부하우징; 및, 상기 흡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양 가이드유로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저감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음저감리브는 상기 연장관커넥터와 가까운 상기 흡입구의 일측벽에 고정되며, 상기 흡입구를 높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소음저감리브는 상기 흡입구의 세로폭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소음저감리브의 소정 폭은 상기 흡입구의 세로폭의 1/3~1/2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음저감리브의 하부 소정구간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오물이 상기 소음저감리브에 걸리는 것을 방지를 위해,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가늘어지는 곡선구조의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소음저감리브의 하단은 상기 하부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노즐(120)이 적용된 진공청소기(100)는, 진공원(미도시)이 내장된 진공청소기 본체(110), 상기 진공원에서 발생된 흡입력으로 피청소면의 오물을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노즐(120), 흡입노즐(120)과 연결되어 흡입노즐(120)에서 흡입된 오물을 진공청소기 본체(110)로 안내하는 연장관(130)을 포함한다. 연장관(130)의 일단에는 흡입노즐(12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장관커넥터(140)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진공청소기 본체(110)와 연결되는 플렉시블호스(150)가 연결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흡입노즐(120)은 하부하우징(160)과, 상부하우징(170) 및 소음저감리브(180)를 포함한다.
하부하우징(160) 중앙부에는 피청소면의 오물을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162)가 형성된다. 흡입구(162)는 대략 사각 형상을 가지며, 소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흡입구(162)의 하단은 하부하우징(16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흡입구(162)의 양측에는 흡입구(162)에서부터 하부하우징(160)의 양 끝단까지 연장되게 하부하우징(160)의 가로폭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유로(164)가 대칭되게 형성된다. 가이드유로(164)는 하부하우징(160)의 세로폭 방향으로 소정 폭을 가지며, 하부하우징(16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갖도록 설치된다. 가이드유로(164)는 하부하우징(160)의 양 끝단에서부터 흡입구(162)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적으로 높아진다. 따라서, 진공원(미도시)의 흡입력이 흡입구(162)를 통해 상기 가이드유로(164)로 전달되어, 흡입구(162)의 전방뿐만 아니라 흡입구(162)의 측부에 있는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가이드유로(164)를 통해 흡입구(162)로 유입될 수 있다.
상부하우징(170)은, 유로커버(171) 및 상부커버(17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부하우징(1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커버(171)와 상부커버(173)가 별도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체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유로커버(171)는 흡입구(162)가 형성된 하부하우징(160)의 상부에 결합되어, 흡입구(162)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연장관커넥터(140, 도1 참조)로 안내한다. 유로커버(171)는 후방 즉, 연장관커넥터(140)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진다. 한편, 유로커버(171)의 재질은 외부에서 흡입된 오물의 유동을 관찰하여 오물의 걸림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부커버(173)는 흡입노즐(12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도록 하부하우징(160) 상부에 결합된다. 상부커버(173)에는 유로커버(17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개된 절개부(174)가 형성된다. 절개부(174)를 통해 유로커버(171)는 흡입노즐(120)의 외부로 노출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소음저감리브(180)는 연장관커넥터(140, 도1 참 조)와 가까운 흡입구(162)의 일측벽(163)에 고정 설치된다. 소음저감리브(180)는 상기 흡입구(162)를 높이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소정 높이(H2)를 가지며 또한, 흡입구(162)의 세로폭(W1)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소정 폭(W2)을 갖는다. 상기 소음저감리브(180)의 소정 폭(W2)의 돌출방향은 가이드유로(164)를 통해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대략 수직으로 형상된다. 이렇게, 소음저감리브(180)가 소정 폭(W2)을 갖도록 설치됨으로 인해, 양 가이드유로(164)를 통해 흡입구(162)로 유입되는 양측의 공기는 서로 충돌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양측의 공기가 상호 충돌하게 됨에 따라 발생하는 유속증가 및 와류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저감리브(180)의 상단이 흡입구(162)의 상단에 돌출되도록, 소음저감리브(180)의 높이(H2)는 상기 흡입구(162)의 높이(H1)보다 더 높게 하는 것이 좋다. 이는 흡입구(162) 내에서 공기가 섞이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소음저감리브(180)의 소정 폭(W2)은 흡입구(162)의 세로폭(W1)의 1/3~1/2 이 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음저감리브(180)를 흡입구(162)의 세로폭(W1)을 가로질러 즉, 소음저감리브(180)의 소정 폭(W2)이 흡입구(162)의 세로폭(W1)과 같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소음저감리브(180)를 기준으로 흡입구(162)의 양쪽에 동일하게 흡입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머리카락이나 이물질이 상기 소음저감리브(180)의 하단에 걸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유속의 흐름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지만 반복적인 실험 결과, 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소음저감리브(180)가 설치되는 영역 즉, 흡입구(162)의 세로폭(W1)의 1/3~1/2 지점에서 양 가이드유로(164)를 통해 유입되는 양측의 공기가 제일 많이 충돌하게 된다. 따라서, 양 가이드유로(164)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소음저감리브(180)의 소정 폭(W2)은 흡입구(162)의 세로폭(W1)의 1/3~1/2 이 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좋다.
한편, 흡입구(162)를 통해 유입되는 오물 즉, 머리카락이나 이물질이 소음저감리브(180)의 하부에 걸리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소음저감리브(180)의 하부 소정구간(R)은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가늘어지는 곡선 구조의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정구간(R)은 소음저감리브(180) 전체 길이(H2)의 대략 1/2 이하되는 곳에서부터 폭이 가늘어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좋다. 곡선구조를 갖는 것은 공기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가이드하기 위함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소음저감리브(180)의 상단부 역시 곡선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소정구간(R)으로 인해, 머리카락이나 이물질이 소음저감리브(180)의 하부에 걸리지 않고 흡입구(162)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소음저감리브(180)의 하단은 하부하우징(16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좋다. 하부하우징(160)의 바닥면은 피청소면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소음저감리브(180)의 하단이 하부하우징(160)의 바닥면에 닿는 경우, 즉 피청소면에 닿는 경우, 피청소면과의 마찰에 의해 마모 또는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120)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진공청소기 본체(110)에 내장된 진공원(미도시)으로부터 발생된 흡입력은 플렉시블호스(150), 연장관(130), 연장관커넥터(140)를 통하여 흡입노즐(120)의 흡입구(162)에 전달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흡입구(162)에 전달된 흡입력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흡입구(162)의 전방에서 유입되는 집진공기와, 화살표 B, C방향으로 흡입구(162)의 양측부에서 유입되는 집진공기가 상기 흡입구(162)로 유입된다. 여기서, 흡입구(162)에 유입되는 집진공기는 상기 소음저감리브(180)에 의해 분산되어 상승하면서 흡입구(162)를 빠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소음저감리브(180)에 의해 서로 다른 기류의 공기가 흡입구(162)에 한꺼번에 몰리면서 충돌함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화살표 B, C 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소음저감리브(180)에 충돌하면서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나, 이는 화살표 B, C 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서로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소음에 비해 매우 작게 된다. 왜냐하면, 서로 다른 방향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충돌하면서 와류가 발생하게 되어 서로 혼합되게 되는데, 이로 인한 소음이 제일 크기 때문이다. 화살표 A 방향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일부도 화살표 B, C 에서 유입되는 공기와 충돌함에 따라 소음이 발생할 여지는 있으나, 그 충돌되는 공기의 유량이 많지 않고 또한, 공기의 유동방향이 서로 유사한 부분이 있으므로, 이 역시 화살표 B, C 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서로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소음에 비해 매우 작게 된다
도 6은 반복적인 실험에 의해, 본 발명의 소음저감리브(180)가 설치되었을 때와, 설치되지 않았을 때의 소음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저감리브(180)가 없는 경우 화살표 E와 같이 전체소음이 평균 78.5dB로 측정되었으나, 소음저감리브(180)가 흡입구(162)에 설치된 경우 화살표 F와 같이 77.0dB로 측정되었다. 결과적으로, 소음저감리브(180)가 설치된 경우 평균 1.5dB의 소음 저감 효과가 나타난다.
이후, 도 1 및 도 2을 참조하면, 흡입구(162)를 지난 집진공기는 상부하우징(170)에 가이드되어 흡입노즐(120)을 빠져나와, 연장관커넥터(140), 연장관(130), 플렉시블호스(150)를 거쳐 진공청소기 본체(110)로 이동되어, 먼지는 수거되고, 먼지와 분리된 공기는 진공청소기 본체(110) 외부로 빠져나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에 의하면, 흡입구에 소음저감리브를 설치함으로 인해, 양 방향에서 유입되는 집진공기가 흡입구에 모여 유속의 증가 및 상호충돌로 인한 와류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어, 이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되어 정숙한 청소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 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진공청소기 본체에 설치된 진공원의 흡입력을 전달받아 피청소면의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여 연장관커넥터로 이동시키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에 있어서,
    중앙부에 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 측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가이드유로가 형성되는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과 결합되며, 상기 하부하우징과 결합시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연장관커넥터로 이동시키는 통로를 제공하는 상부하우징; 및,
    상기 흡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양 가이드유로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저감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저감리브는,
    상기 연장관커넥터와 가까운 상기 흡입구의 일측벽에 고정되며, 상기 흡입구를 높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저감리브는 상기 흡입구의 세로폭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소음저감리브의 폭은 상기 흡입구의 세로폭의 1/3~1/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저감리브의 하부 소정구간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오물이 상기 소음저감리브에 걸리는 것을 방지를 위해,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가늘어지는 곡선구조의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저감리브의 하단은 상기 하부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1020050086670A 2005-09-16 2005-09-16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200700324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670A KR20070032443A (ko) 2005-09-16 2005-09-16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670A KR20070032443A (ko) 2005-09-16 2005-09-16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443A true KR20070032443A (ko) 2007-03-22

Family

ID=41560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6670A KR20070032443A (ko) 2005-09-16 2005-09-16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244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2395A1 (en) * 2009-03-13 2010-09-16 G.B.D. Corp. Surface cleaning head
WO2021004618A1 (en) * 2019-07-08 2021-01-14 Aktiebolaget Electrolux Handheld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comprising a handheld vacuum clean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2395A1 (en) * 2009-03-13 2010-09-16 G.B.D. Corp. Surface cleaning head
US9027203B2 (en) 2009-03-13 2015-05-12 G.B.D. Corp. Surface cleaning apparatus
WO2021004618A1 (en) * 2019-07-08 2021-01-14 Aktiebolaget Electrolux Handheld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comprising a handheld vacuum cleaner
CN114040698A (zh) * 2019-07-08 2022-02-11 伊莱克斯公司 手持式真空吸尘器及包括手持式真空吸尘器的真空吸尘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2075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100613102B1 (ko) 흡입구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101622271B1 (ko) 진공 청소기용 노즐
KR101457162B1 (ko) 진공청소기
JP5073840B2 (ja) 吸引捕集装置
US20060093501A1 (en) Suction port assembly of vacuum cleaner
TWI629040B (zh) Hard floor nozzle for absorbing coarse particles and fine dust
TWI615121B (zh) 用於吸收粗顆粒和細粉塵的吸嘴
TWI626033B (zh) 用於吸收粗顆粒和細粉塵的吸嘴
KR20070032443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100736068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조립체
CN101478908B (zh) 湿式吸尘器
KR19980086439A (ko) 전기청소기용 솔
KR20040105163A (ko) 청소기의 흡입노즐 구조
KR100254073B1 (ko)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청소기
RU2410997C1 (ru) Насадка для пылесоса
EP1276410B1 (en) Vacuum cleaner nozzle
KR20060034897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
KR101185263B1 (ko) 진공 청소기
EP3225144B1 (en) Vacuum cleaner
KR100240761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쉬
KR20070068165A (ko) 진공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