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068B1 - 진공청소기의 흡입조립체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흡입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068B1
KR100736068B1 KR1020060106152A KR20060106152A KR100736068B1 KR 100736068 B1 KR100736068 B1 KR 100736068B1 KR 1020060106152 A KR1020060106152 A KR 1020060106152A KR 20060106152 A KR20060106152 A KR 20060106152A KR 100736068 B1 KR100736068 B1 KR 100736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noise reduction
vacuum cleaner
suction port
side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6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철
이준화
윤태석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6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068B1/ko
Priority to AU2007201840A priority patent/AU2007201840A1/en
Priority to RU2007117382/12A priority patent/RU2007117382A/ru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흡입조립체가 개시된다. 개시된 흡입조립체는 진공청소기 본체에 설치된 진공원의 흡입력을 전달받아 피청소면의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 측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가이드유로가 형성된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과 결합하는 상부하우징; 및, 상기 가이드유로와 접하는 상기 흡입구의 양측벽중 적어도 하나의 벽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유로에서 유입되는 공기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는 제 1소음저감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공청소기, 흡입조립체, 공기, 유로, 충돌, 소음저감리브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흡입조립체{A suction nozzle of vacuum clean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조립체가 적용된 진공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흡입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흡입조립체의 하부하우징을 저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제 1소음저감리브에 다른 실시예를 각각 나타내는 흡입조립체의 하부하우징을 저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하부하우징을 II-II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흡입조립체가 적용된 진공청소기의 사이도이고,
도 7은 도 6의 흡입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8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흡입조립체가 적용된 따른 소음저감효과를 나타내는 실험데이터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
110... 진공청소기 본체 120... 흡입조립체
123... 상부하우징 124... 하부하우징
124a... 가이드유로 124a... 흡입구
127... 제 1 소음저감리브 130... 연장관
140... 연장관 커넥터 280... 제 2 소음저감리브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여 진공청소기 본체 내부로 이동시키는 진공청소기의 흡입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진공청소기는 본체에 내장된 진공원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오물을 수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진공원이 내장된 진공청소기 본체, 피청소면과 마주하여 오물을 흡입하는 흡입조립체 및, 흡입노즐에서 흡입한 오물을 진공청소기 본체로 안내하는 연장관 및 플렉시블호스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흡입조립체에는 오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력이 전달되는 흡입구가 흡입조립체의 대략 중앙에 설치된다. 따라서, 흡입구가 설치된 중앙부에는 흡입력이 강한 반면, 흡입구의 양측부로 갈수록 흡입력은 낮아진다. 이로 인해, 흡입구가 설치된 흡입노즐의 중앙부에는 피청소면의 오물을 잘 흡입할 수 있어 청소의 효율이 좋으나, 양측부에는 청소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흡입구의 양측부에 가이드유로를 설치하여 흡입구 양측부에도 상기 흡입구를 통한 흡입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 그런데, 양측부의 가이드유로에서 유입된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흡입구를 통과할 시, 유속이 증가하고 공기들의 상호 충돌로 인하여 흡입구측에서 소음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흡입구측에 흡음재나 차음재를 설치하여 소음발생을 억제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흡음재나 차음재의 설치는 흡입조립체의 제조비용을 상승시키고, 흡입조립체의 구조를 복잡하게 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흡입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흡입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조립체는 진공청소기 본체에 설치된 진공원의 흡입력을 전달받아 피청소면의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 측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가이드유로가 형성된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과 결합하는 상부하우징; 및, 상기 가이드유로와 접하 는 상기 흡입구의 양측벽중 적어도 하나의 벽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유로에서 유입되는 공기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는 제 1소음저감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소음저감리브가 상기 흡입구의 양 측벽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소음저감리브는 상기 흡입구의 양측벽의 중앙부에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입구의 양측벽은 높이방향으로 일정부분이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발명에 따른 흡입조립체는, 상기 제 1소음저감리브가 설치되는 흡입구의 양측벽과 직각으로 형성된 양측벽 중 어느 하나의 벽에 설치되는 제 2소음저감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소음저감리브는 제 1소음저감리브가 설치되는 흡입구의 양측벽과 직각으로 형성된 양측벽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소음저감리브 및 상기 제 2 소음저감리브의 하단은 상기 하부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조립체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조립체(120)가 적용된 진공청소기(100)는 진공원(미도시)이 내장된 진공청소기 본체(110), 상기 진공원에서 발생된 흡입력으로 피청소면의 오물을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조립체(120), 흡입조립체(120)와 연결되어 흡입조립체(120)에서 흡입된 오물을 진공청소기 본체(110)로 안내하는 연장관(130)을 포함한다. 연장관(130)의 일단에는 흡입조립체(12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장관커넥터(140)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진공청소기 본체(110)와 연결되는 플렉시블호스(150)가 연결된다.
도 2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흡입조립체(120)는 하부하우징(124)과, 상부하우징(123) 및 제 1 소음저감리브(127)를 포함한다.
하부하우징(124) 중앙부에는 피청소면의 오물을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124b)가 형성된다. 흡입구(124b)는 대략 사각 형상을 가지며, 소정 높이를 갖고 일측벽(124c)이 라운드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흡입구(124b)의 하단은 하부하우징(124)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흡입구(124b)의 양측에는 흡입구(124b)에서부터 하부하우징(124)의 양 끝단까지 연장되게 하부하우징(124)의 가로폭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유로(124a)가 대칭되게 형성된다. 가이드유로(124a)는 하부하우징(124)의 세로폭 방향으로 소정 폭을 가지며, 하부하우징(124)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갖도록 설치된다. 가이드유로(124a)는 하부하우징(124)의 양 끝단에서부터 흡입구(124b)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적으로 높아진다. 따라서, 진공원(미도시)의 흡입력이 흡입구(124b)를 통해 상기 가이드유로(124a)로 전달되어, 흡입구(124b)의 전방뿐만 아니라 흡입구(124b)의 측부에 있는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가이드유로(124a)를 통해 흡입구(124b)로 유입될 수 있다.
상부하우징(123)은, 유로커버(121) 및 상부커버(12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부하우징(12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커버(121)와 상부커버(122)가 별도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체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유로커버(121)는 후술될 상부커버(122)의 상부에 결합되어, 흡입구(124b)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연장관 커넥터(140, 도1 참조)로 안내한다. 유로커버(121)는 후방 즉, 연장관 커넥터(140)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진다. 한편, 유로커버(121)의 재질은 외부에서 흡입된 오물의 유동을 관찰하여 오물의 걸림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부커버(122)는 흡입조립체(12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도록 하부하우징(124)에 결합된다. 상부커버(122)에는 유로커버(12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개된 절개부(122a)가 형성된다. 절개부(122a)를 통해 유로커버(121)는 상부커버(122)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3 및 도 5을 참조하면, 제 1 소음저감리브(127)는 가이드유로(124a)와 접하고 흡입구(124b)를 형성하는 라운드 형상의 양측벽(124c)을 따라 각각 고정설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소음저감리브(127)은 양측벽(124c)에 각각 설치되어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제 1소음저감리브(127)이 양측벽(124c)중 어느 하나의 벽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1소음저감리브(127)는 양측벽(124c)의 어느 위치에 설치되든 상관없으나 양측벽(124c)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3참조).
또한, 도 4a에서와 같이 제 1소음저감리브(127)는 양측벽(124c)에만 설치되 지 않고 가이드유로(124a)를 따라 소정길이 연장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4b에서와 같이 제 1소음저감리브(127)는 양측벽(124c)에 각각 하나만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양측벽(124c) 각각에 두 개 씩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양측벽(124c)에 제 1소음저감리브(127)가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양측벽(124c)과 제 1소음저감리브(127)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조립체(120)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진공청소기 본체(110)에 내장된 진공원(미도시)으로 부터 발생된 흡입력은 플렉시블호스(150), 연장관(130), 연장관커넥터(140)를 통하여 흡입조립체(120)의 흡입구(124b)에 전달된다.
도 2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흡입구(124b)에 전달된 흡입력에 의해, 흡입구(124b)의 전방에서 오물을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며, 또한, 오물을 포함한 공기는 가이드유로(124a)를 통해 흡입구(124b)의 양측벽(124c)를 따라 유입된다. 이 경우, 가이드유로(124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양측벽(124c)측에서 흐름이 변화하고, 양측벽(124c)측에서의 빠른 유속으로 인하여 공기 입자들끼리 서로 충돌하면서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제 1소음저감리브(127)가 설치됨으로써, 가이드유로(124a)를 따라 이동하는 오물을 포함한 공기입자들은 흡입구(124b)의 양측벽(124c)부근에서 상호 충돌하지 않고 분산된 후, 흐름이 변환되어 흡입구(124b)로 유입된다. 이때, 흡입구(124b)의 양측 벽(124c)이 높이 방향을 따라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공기는 라운드형상의 양측벽(124c)을 따라 곡선 이동한다.
이처럼, 본발명에 따른 흡입조립체는 제 1소음저감리브(127)가 설치되고, 가이드유로(124a)와 접하는 흡입구(124b)의 양측벽(124c)이 높이 방향으로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소음을 감소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흡입조립체(22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흡입조립체(220)는 제 1실시예의 흡입구(124b)에 제 2 소음저감리브(280)를 더 설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에 따른 흡입조립체(220)와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흡입조립체(220)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부호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흡입조립체(220)는 제 2소음저감리브(280)가 연장관커넥터와 가까운 흡입구(162)의 일측벽(224d)에 고정 설치된다. 제 2소음저감리브(280)는 상기 흡입구(224b)를 높이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소정 높이를 가지며 또한, 흡입구(224b)의 세로폭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소정 폭을 갖는다. 제 2 소음저감리브(280)의 소정 폭의 돌출방향은 가이드유로(224a)를 통해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대략 수직으로 형상된다. 이렇게, 제 2소음저감리브(280)가 설치됨으로 인해, 양 가이드유로(224a)를 통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흡입구(224b)로 유입되는 양측의 공기는 서로 충돌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양측의 공기가 상호 충돌하게 됨에 따라 발생하는 유속증가 및 와류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8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흡입조립체가 적용된 따른 소음저감효과를 나타내는 실험데이터 그래프이다. 일반적으로 흡입조립체의 소음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도 7에서 본발명의 흡입조립체를 설치하기 전의 소음성분데이터에서 보는 바와 같이, 30dBA이상의 소음레벨성분으로 이루어지는 4000Hz이하의 주파수대역에서 결정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입조립체가 적용되면, 4000Hz이하의 주파수대역에서 소음레벨(dBA)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 1소음저감리브(127) 및 제 2소음저감리브(280)가 설치된 흡입조립체(220)는 제 1 및 제 2 소음저감리브가 설치되지 않은 흡입조립체에 비해서 4000Hz이하의 주파수대역의 소음레벨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흡입조립체의 소음을 감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조립체에 의하면, 흡입구에 소음저감리브를 설치함으로 인해, 흡입조립체의 흡입구에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의 증가 및 이 때문에 발생되는 공기입자들의 충돌로 인한 소음발생이 방지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진공청소기 본체에 설치된 진공원의 흡입력을 전달받아 피청소면의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 측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가이드유로가 형성된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과 결합하는 상부하우징; 및,
    상기 가이드유로와 접하는 상기 흡입구의 양측벽중 적어도 하나의 벽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유로에서 유입되는 공기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는 제 1소음저감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소음저감리브가 상기 흡입구의 양 측벽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흡입조립체.
  3. 제 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소음저감리브는 상기 흡입구의 양측벽의 중앙부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조립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의 양측벽은 높이방향으로 일정부분이 라운도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조립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조립체는,
    상기 제 1소음저감리브가 설치되는 흡입구의 양측벽과 직각으로 형성된 양측벽 중 어느 하나의 벽에 설치되는 제 2소음저감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조립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소음저감리브는 제 1소음저감리브가 설치되는 흡입구의 양측벽과 직각으로 형성된 양측벽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조립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소음저감리브 및 상기 제 2 소음저감리브의 하단은 상기 하부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조립체.
KR1020060106152A 2006-10-31 2006-10-31 진공청소기의 흡입조립체 KR100736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6152A KR100736068B1 (ko) 2006-10-31 2006-10-31 진공청소기의 흡입조립체
AU2007201840A AU2007201840A1 (en) 2006-10-31 2007-04-26 Suction nozzle of vacuum cleaner
RU2007117382/12A RU2007117382A (ru) 2006-10-31 2007-05-11 Всасывающая насадка пылесос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6152A KR100736068B1 (ko) 2006-10-31 2006-10-31 진공청소기의 흡입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6068B1 true KR100736068B1 (ko) 2007-07-06

Family

ID=38503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6152A KR100736068B1 (ko) 2006-10-31 2006-10-31 진공청소기의 흡입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736068B1 (ko)
AU (1) AU2007201840A1 (ko)
RU (1) RU20071173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162B1 (ko) * 2007-11-16 2014-11-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KR101456961B1 (ko) 2008-01-02 2014-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 브러시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의 흡입 노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05768A (ja) * 1990-01-08 1991-09-09 Fujitsu Ltd 端子板の電子部品実装構造
JPH07231866A (ja) * 1993-08-30 1995-09-05 Hitachi Ltd 電気掃除機の吸口体及び吸口体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19980085380A (ko) * 1997-05-28 1998-12-05 구자홍 진공청소기의 상용흡입구 소음 감소장치
KR19990001322A (ko) * 1997-06-13 1999-01-15 구자홍 진공청소기의 흡음재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05768A (ja) * 1990-01-08 1991-09-09 Fujitsu Ltd 端子板の電子部品実装構造
JPH07231866A (ja) * 1993-08-30 1995-09-05 Hitachi Ltd 電気掃除機の吸口体及び吸口体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19980085380A (ko) * 1997-05-28 1998-12-05 구자홍 진공청소기의 상용흡입구 소음 감소장치
KR19990001322A (ko) * 1997-06-13 1999-01-15 구자홍 진공청소기의 흡음재 설치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162B1 (ko) * 2007-11-16 2014-11-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KR101456961B1 (ko) 2008-01-02 2014-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 브러시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의 흡입 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7201840A1 (en) 2008-05-15
RU2007117382A (ru) 2008-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3102B1 (ko) 흡입구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100642075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100642076B1 (ko) 흡입구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US20060093501A1 (en) Suction port assembly of vacuum cleaner
KR101457162B1 (ko) 진공청소기
TWI629040B (zh) Hard floor nozzle for absorbing coarse particles and fine dust
EP1969984A2 (en) Vacuum cleaner with noise reduction device
KR100736068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조립체
TWI615121B (zh) 用於吸收粗顆粒和細粉塵的吸嘴
KR20070032443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CN102131434B (zh) 吸尘器
CA2461879A1 (en) Nozzle assembly with air flow acceleration channels
KR100254073B1 (ko)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청소기
KR100784712B1 (ko) 진공 청소기용 모터 케이스 구조
KR20040105163A (ko) 청소기의 흡입노즐 구조
KR100767116B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구 조립체
KR20060034897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조립체
CN212755484U (zh) 一种应用于吸尘器的消音排风机构
KR100205687B1 (ko) 진공청소기의 배기구조
KR100416781B1 (ko) 팬하우징
KR20070068165A (ko) 진공 청소기
JP2013135784A (ja) 電気掃除機
JPH11128126A (ja) 電気掃除機用吸込み具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KR20060107617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시
JP2017156075A (ja) 空気清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