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0469A -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 - Google Patents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0469A
KR20220030469A KR1020200111300A KR20200111300A KR20220030469A KR 20220030469 A KR20220030469 A KR 20220030469A KR 1020200111300 A KR1020200111300 A KR 1020200111300A KR 20200111300 A KR20200111300 A KR 20200111300A KR 20220030469 A KR20220030469 A KR 20220030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junction
cable
conducting
conduct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9627B1 (ko
Inventor
김기수
이시현
김동원
이국주
Original Assignee
(주)에스브이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브이엠테크 filed Critical (주)에스브이엠테크
Priority to KR1020200111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627B1/ko
Publication of KR20220030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을 개시한다. 개시된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은, 터미널 접합 통전선을 구비하며, 이격된 배터리팩을 통전하는 통전 케이블과, 배터리팩의 접속단자에 접속되도록 터미널 접합 통전선과 접합되며 터미널 접합 통전선에 밀착 고정되는 케이블 터미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터리팩의 통전을 위한 통전 케이블과 이 통전 케이블에 연결되어 접속단자에 고정되는 케이블 터미널의 접합력과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CABLE UNIT FOR ELECTRIC CURRENT}
본 발명은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에 관한 것으로, 전기 기기나 배터리팩의 통전을 위한 통전 케이블과 이 통전 케이블에 연결되어 접속단자에 고정되는 케이블 터미널의 접합력과 결합력을 향상시켜 접촉저항을 최소화하여 통전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휴대형 전자기기와 같은 소형 장치뿐 아니라, 자동차나 전력저장장치와 같은 중대형 장치에도 이차 전지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중대형 장치에 이용되는 경우, 용량 및 출력을 높이기 위해 많은 수의 이차 전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이러한 중대형 장치에는 적층이 용이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파우치형 이차 전지가 많이 이용된다.
또한, 배터리 모듈 내부에서 이차 전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전극 리드가 상호 연결되고, 그러한 연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연결 부분이 용접될 수 있다. 더욱이, 배터리 모듈은 이차 전지들 간의 병렬 및/또는 직렬의 전기적 연결을 가질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전극 리드의 일단부는 각 이차 전지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버스바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접촉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동차 업계에서도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하여 전기 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대한 개발과 생산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는 배터리만을 동력원으로 사용하고, 하이브리드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는 기존의 내연기관과 배터리를 혼용하여 동력원으로 사용한다. 이때 전기 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자동차 모두 니켈 금속수소(Ni-MH) 전지나 리튬 이온전지 등을 이용하는 이차전지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차량용 배터리 모듈은 입출력 전압과 전류를 높일 수 있도록 복수의 배터리팩을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며, 배터팩을 연결할 때 안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동판에 의해 제작되는 버스바를 사용하게 된다. 최근에는 버스바를 대체하기 위하여 Flexible Flat Cable(FFC) 방식의 케이블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배터리 모듈 케이블은, 터미널과의 결합력과 접합력이 취약하여 분량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한편, 국내 등록특허 제10-2124643호(등록일:2020.06.12)에는 "멀티 배터리 셀 트레이"가 개시되어 있고, 국내 공개특허 제10-2001-0057626호(공개일:2001.07.05)에는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배터리의 통전을 위한 통전 케이블과, 이 통전 케이블에 연결되어 배터리의 접속단자에 고정되는 케이블 터미널의 접합력과 결합력을 향상시켜 사용 중 케이블 터미널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은, 터미널 접합 통전선을 구비하며, 전기부품을 통전하는 통전 케이블과, 상기 전기부품의 접속단자에 접속되도록 상기 터미널 접합 통전선과 접합되며, 상기 터미널 접합 통전선에 밀착 고정되는 케이블 터미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통전 케이블은, 상기 터미널 접합 통전선이 이격되게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블 터미널은, 상기 터미널 접합 통전선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터미널 접합 통전선과 용접되며, 상기 터미널 접합 통전선을 용접부위로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블 터미널은, 상기 터미널 접합 통전선과 접합되는 통전선 접합부와, 상기 통전선 접합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터미널 접합 통전선에 밀착 가능하도록 절곡되어 상기 터미널 접합 통전선을 고정하는 통전선 밀착 고정부와, 상기 전기부품의 상기 접속단자에 결합되도록 상기 통전선 접합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단자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블 터미널은, 상기 터미널 접합 통전선이 접합위치에 정렬하도록 상기 터미널 접합 통전선 사이에 위치하여 접합을 위한 상기 터미널 접합 통전선을 가이드하는 통전선 가이드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통전선 가이드핀부는, 방열홀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통전선 접합부 또는 상기 단자 결합부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블 터미널은, 상기 통전 케이블의 절연피복에 밀착 고정되도록 상기 통전선 접합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피복밀착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통전선 접합부와 상기 피복밀착 고정부 사이에는, 상기 절연피복의 끝단이 지지되는 피복지지단부가 단차지게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블 터미널은, 상기 통전선 접합부와 상기 단자 결합부 사이에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터미널 접합 통전선의 끝단이 삽입되는 통전선 지지홀부를 구비하는 통전선 가이드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통전선 밀착 고정부는, 상기 터미널 접합 통전선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 접합 통전선 사이를 지지하는 간격유지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통전선 밀착 고정부는, 상기 터미널 접합 통전선을 감싸도록 상기 통전선 접합부의 양측면에서 대응되게 각각 연장 형성되며, 서로 접하는 끝단부에 상호 걸려서 결합되는 걸림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피복밀착 고정부는, 상기 절연피복을 감싸도록 상기 통전선 접합부의 양측면에서 대응되게 각각 연장 형성되며, 서로 접하는 끝단부에 상호 걸려서 결합되는 걸림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걸림 고정부는, 상기 통전선 밀착 고정부에 구비되는 제1걸림부재와, 상기 피복밀착 고정부에 구비되는 제2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걸림부재는, 대응하는 상기 통전선 밀착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제1걸림돌부와, 상기 제1걸림돌부가 삽입되도록 다른 하나의 상기 통전선 밀착 고정부에 형성되는 제1걸림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걸림부재는, 대응하는 상기 피복밀착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제2걸림돌부와, 상기 제2걸림돌부가 삽입되도록 다른 하나의 상기 피복밀착 고정부에 형성되는 제2걸림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통전 케이블은, 상기 통전선 접합부와 접촉되는 일면에 보조 지지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통전선 접합부에는, 상기 보조 지지홈부에 삽입되는 케이블 지지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은 종래 기술과는 달리 배터리의 통전을 위한 통전 케이블과, 이 통전 케이블에 연결되어 배터리의 접속단자에 고정되는 케이블 터미널의 용접 접합력과 결합력이 향상되어 접촉저항을 줄임으로써, 발열이 저하되어 통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통전 케이블의 터미널 접합 통전선과 케이블 터미널의 접합 위치를 용이하게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어 접합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통전 케이블이 케이블 터미널에 안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통전 케이블이 케이블 터미널에 안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통전 케이블이 케이블 터미널에 안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100)은, 전기차량용 배터리 모듈(도시생략)에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을 이루는 개별 배터리팩(10)이 상호 통전되도록 배터리팩(10)의 접속단자(11)에 체결되어 접속된다.
이러한 제1실시 예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100)은, 통전을 위한 통전 케이블(110)과, 통전 케이블(110)의 양단부에 고정되어 접속단자(11)에 접속되는 케이블 터미널(120)을 포함한다.
통전 케이블(110)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FFC)이 복수개 적층되어 형성되는 터미널 접합 통전선(111)을 구비하며, 터미널 접합 통전선(111)이 절연피복(113)에 의해 보호된다.
터미널 접합 통전선(111)은, 절연피복(113)에 의해 절연되도록 복수개 이격되게 구비되며, 절연피복(113)에서 노출되어 케이블 터미널(120)에 접합 고정된다.
제1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터미널(120)은, 통전 케이블(110)에 결합되어 배터리팩(10)의 접속단자(11)에 체결되어 접속되며, 터미널 접합 통전선(111)과 통전하도록 터미널 접합 통전선(111)과 절연피복(113)에 밀착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케이블 터미널(120)은, 복수의 터미널 접합 통전선(111)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용접 등과 같은 접합방식을 통해 터미널 접합 통전선(111)과 접합되며, 터미널 접합 통전선(111)과의 용접부위를 긴밀하게 밀착고정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터미널(120)은, 터미널 접합 통전선(111)과 접합되는 통전선 접합부(121)와, 통전선 접합부(121)에서 연장 형성되어 터미널 접합 통전선(111)을 감싸면서 고정하는 통전선 밀착 고정부(122)와, 배터리팩(10)의 접속단자(11)에 결합되는 단자 결합부(123)를 포함한다.
또한, 케이블 터미널(120)은, 터미널 접합 통전선(111)의 접합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통전선 가이드핀부(124)와, 통전 케이블(110)의 절연피복(113)에 밀착 고정되는 피복밀착 고정부(125)를 더 포함한다.
통전선 접합부(121)는 터미널 접합 통전선(111)이 노출되는 절연피복(113)의 일부분까지 올려지도록 판 형상을 가지며, 터미널 접합 통전선(111)과 용접을 통해 접합된다. 이러한 통전선 접합부(121)의 양측단에는 단자 결합부(123)와 피복밀착 고정부(125)가 각각 연장 형성된다. 또한, 통전선 접합부(121)에는 통전선 가이드핀부(124)가 절곡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통전선 가이드핀부(124)는, 터미널 접합 통전선(111)이 통전선 접합부(121)의 정확한 접합위치에 정렬되도록 통전선 접합부(121)에서 상측으로 벤딩되어 돌출된다. 이러한 통전선 가이드핀부(124)는, 터미널 접합 통전선(111) 사이로 삽입되어 이격된 터미널 접합 통전선(111)을 지지하며, 통전선 접합부(121)와 터미널 접합 통전선(111)이 용접될 때 터미널 접합 통전선(111)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통전선 가이드핀부(124)는 통전선 접합부(121)에 방열홀부(124b)가 형성되도록 통전선 접합부(121)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상측으로 절곡됨에 따라 형성된다. 방열홀부(124b)는 통전선 접합부(121)와 터미널 접합 통전선(111)을 용접할 때 발생되는 열과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100)을 사용할 때 통전선 접합부(121)와 터미널 접합 통전선(111)의 접합 부위에서 발생되는 열을 원활하게 방열시킨다.
제1실시 예에 따른 통전선 밀착 고정부(122)는, 통전선 접합부(121)에서 연장 형성되어 터미널 접합 통전선(111)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절곡된다. 이러한 통전선 밀착 고정부(122)는, 통전선 접합부(121)의 양측에서 대응되게 연장 형성되어 터미널 접합 통전선(111)측으로 절곡되며, 그 넓이가 터미널 접합 통전선(111)의 노출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터미널 접합 통전선(111)을 완전하게 커버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통전선 밀착 고정부(122)는, 통전 케이블(110)을 구부리거나 케이블 터미널(120)을 접속단자(11)에 연결할 때 통전선 접합부(121)에 접합된 터미널 접합 통전선(111)이 움직이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통전 케이블(110)과 케이블 터미널(12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실시 예에 따른 단자 결합부(123)는, 통전선 접합부(121)에서 연장 형성되며, 접속단자(11)가 삽입되는 단자삽입홀부(123a)가 형성된다. 이러한 단자 결합부(123)는 단자삽입홀부(123a)에 접속단자(11)가 삽입되도록 배터리팩(10)에 위치된 후, 접속단자(11)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해 접속단자(11)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피복밀착 고정부(125)는, 통전선 접합부(121)에 안착되는 통전 케이블(110)의 절연피복(113) 부위를 밀착 고정하도록 통전선 접합부(121)의 양 측면에서 대응되게 연장 형성되며, 절연피복(113)측으로 절곡되어 절연피복(113)를 감싸는 형태로 밀착된다. 이러한 피복밀착 고정부(125)는 통전선 밀착 고정부(122)와 함께 통전 케이블(110)과 케이블 터미널(120)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피복밀착 고정부(125)는, 통전선 밀착 고정부(122)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절연피복(113)에 밀착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100)이 배터리팩(10)에 적용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고전압 전기부품을 통전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을 설명함에 있어 제1실시 예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과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100)은, 통전 케이블(110)과 이에 결합되는 케이블 터미널(120)을 포함한다. 이때, 제2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터미널(120)은 통전 케이블(110)에 용이하게 결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2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터미널(120) 통전선 접합부(121)와, 통전선 밀착 고정부(122)와, 단자 결합부(123)와, 피복밀착 고정부(125)를 포함하며, 통전선 접합부(121)에 단차지게 절곡되는 피복지지단부(126)가 형성되고, 통전선 접합부(121)와 단자 결합부(123) 사이에 단차지게 절곡되어 통전선 가이드단부(127)가 형성된다.
즉, 제2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터미널(120)은 절연피복(113)의 끝단이 통전선 접합부(121)에 지지되도록 통전선 접합부(121)가 단차지게 절곡되어 피복지지단부(126)를 형성하고, 터미널 접합 통전선(111)이 가이드되도록 통전선 가이드단부(127)에 의해 통전선 접합부(121)와 단자 결합부(123)가 단차지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케이블 터미널(120)이 3단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므로, 케이블 터미널(120)과 통전 케이블(110)을 접합 및 결합위치로 간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터미널(120)은 피복지지단부(126)에 의해 통전선 밀착 고정부(122)와 피복밀착 고정부(125)가 단차를 가지게 된다.
제2실시 예에 따른 통전선 가이드단부(127)는 터미널 접합 통전선(111)의 끝단부가 삽입되도록 통전선 지지홀부(127a)가 관통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터미널(120)은 통전 케이블(110)의 상측에서 안착되어 통전선 접합부(121)와 터미널 접합 통전선(111)이 용접되고, 통전선 밀착 고정부(122)와 피복밀착 고정부(125)가 각각 하측으로 절곡되어 터미널 접합 통전선(111)과 절연피복(113)에 밀착 고정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통전 케이블이 케이블 터미널에 안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을 설명함에 있어 제1실시 예 및 제2실시 예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과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100)은, 통전 케이블(110)과 이에 결합되는 케이블 터미널(120)을 포함한다. 이때, 제3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터미널(120)은 통전선 밀착 고정부(122)와 터미널 접합 통전선(111)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되고, 터미널 접합 통전선(111)의 유동이 완전하게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제3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터미널(120)은, 통전선 밀착 고정부(122)에 이격된 터미널 접합 통전선(111) 사이로 삽입되어 터미널 접합 통전선(111) 사이를 지지하는 간격유지 지지부(128)가 형성된다.
간격유지 지지부(128)는 통전선 밀착 고정부(122)에서 돌출하도록 통전선 밀착 고정부(122)가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간격유지 지지부(128)에 의해 통전선 밀착 고정부(122)가 터미널 접합 통전선(111)의 상면은 물론 측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므로, 통전선 밀착 고정부(122)와 터미널 접합 통전선(111)의 결합력이 더욱 형성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을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을 설명함에 있어 제1실시 예와 제2실시 예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과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100)은, 통전 케이블(110)과 이에 결합되는 케이블 터미널(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3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터미널(120)은 통전선 밀착 고정부(122)와 피복밀착 고정부(125)에 걸림 고정부(130)가 형성되어 그 결합력이 더욱 향상시킨다.
제4실시 예에 따른 걸림 고정부(130)는 통전선 밀착 고정부(122)와 피복밀착 고정부(125)에 각각 구비되며, 통전선 밀착 고정부(122)의 대응하는 양 끝단부 및 피복밀착 고정부(125)의 대응하는 양 끝단부가 서로 걸려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4실시 예에 따른 걸림 고정부(130)는, 통전선 밀착 고정부(122)에 구비되는 제1걸림부재(131)와, 피복밀착 고정부(125)에 구비되는 제2걸림부재(133)를 포함한다.
제1걸림부재(131)는, 대응하는 통전선 밀착 고정부(12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제1걸림돌부(131a)와, 제1걸림돌부(131a)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다른 하나의 통전선 밀착 고정부(122)에 형성되는 제1걸림홈부(131b)를 구비한다. 이때 제1걸림돌부(131a)와 제1걸림돌부(131a)는 그 이탈이 방지되도록 이탈방지 경사면이 각각 형성된다.
제2걸림부재(133)는, 대응하는 피복밀착 고정부(125)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제2걸림돌부(133a)와, 제2걸림돌부(133a)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다른 하나의 피복밀착 고정부(125)에 형성되는 제2걸림홈부(133b)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2걸림돌부(133a)와 제2걸림돌부(133a)에는 그 이탈이 방지되도록 이탈방지 경사면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터미널(120)은 통전선 접합부(121)와 절연피복(113)의 지지력이 더욱 향상되도록 통전선 접합부(121)에 접촉되는 통전 케이블(110)의 절연피복(113) 일면에 보조 지지홈부(115)가 형성되고, 보조 지지홈부(115)에 삽입되는 케이블 지지돌부(129)가 통전선 접합부(121)에 돌출 형성된다. 이때 케이블 지지돌부(129)는 통전선 접합부(121)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측으로 절곡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케이블 터미널(120)과 통전 케이블(110)이 안정되게 지지된 상태에서 터미널 접합 통전선(111)과 통전선 접합부(121)를 서로 용접하여 접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통전선 접합부(121)에 케이블 지지돌부(129)가 형성되고, 절연피복(113)에 보조 지지홈부(115)가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케이블 지지돌부(129)가 절연피복(113)에 형성되고, 보조 지지홈부(115)가 통전선 접합부(121)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 10 : 배터리팩
11 : 접속단자 110 : 통전 케이블
111 : 터미널 접합 통전선 113 : 절연피복
115 : 보조 지지홈부 120 : 케이블 터미널
121 : 통전선 접합부 122 : 통전선 밀착 고정부
123 : 단자 결합부 123a : 단자삽입홀부
124 : 통전선 가이드핀부 124a : 방열홀부
125 : 피복밀착 고정부 125 : 피복밀착 고정부
126 : 피복지지단부 127 : 통전선 가이드단부
127a : 통전선 지지홀부 128 : 간격유지 지지부
129 : 케이블 지지돌부 130 : 걸림 고정부
131 : 제1걸림부재 131a : 제1걸림돌부
131b : 제1걸림홈부 133 : 제2걸림부재
133a : 제2걸림돌부 133b : 제2걸림홈부

Claims (12)

  1. 터미널 접합 통전선을 구비하며, 전기부품을 통전하는 통전 케이블; 및
    상기 전기부품의 접속단자에 접속되도록 상기 터미널 접합 통전선과 접합되며, 상기 터미널 접합 통전선에 밀착 고정되는 케이블 터미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 케이블은, 상기 터미널 접합 통전선이 이격되게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 터미널은, 상기 터미널 접합 통전선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터미널 접합 통전선과 용접되며, 상기 터미널 접합 통전선을 용접부위로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터미널은, 상기 터미널 접합 통전선과 접합되는 통전선 접합부;
    상기 통전선 접합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터미널 접합 통전선에 밀착 가능하도록 절곡되어 상기 터미널 접합 통전선을 고정하는 통전선 밀착 고정부; 및
    상기 전기부품의 상기 접속단자에 결합되도록 상기 통전선 접합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단자 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터미널은, 상기 터미널 접합 통전선이 접합위치에 정렬하도록 상기 터미널 접합 통전선 사이에 위치하여 접합을 위한 상기 터미널 접합 통전선을 가이드하는 통전선 가이드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 케이블은, 상기 터미널 접합 통전선이 이격되게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 터미널은, 상기 터미널 접합 통전선이 접합위치에 정렬되도록 상기 터미널 접합 통전선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터미널 접합 통전선을 가이드하는 통전선 가이드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선 가이드핀부는, 방열홀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통전선 접합부 또는 상기 단자 결합부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터미널은, 상기 통전 케이블의 절연피복에 밀착 고정되도록 상기 통전선 접합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피복밀착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전선 접합부에는 상기 절연피복의 끝단이 지지되는 피복지지단부가 단차지게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터미널은, 상기 통전선 접합부와 상기 단자 결합부 사이에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터미널 접합 통전선의 끝단이 삽입되는 통전선 지지홀부를 구비하는 통전선 가이드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 케이블은, 상기 터미널 접합 통전선이 이격되게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통전선 밀착 고정부는, 상기 터미널 접합 통전선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 접합 통전선 사이를 지지하는 간격유지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선 밀착 고정부는, 상기 터미널 접합 통전선을 감싸도록 상기 통전선 접합부의 양측면에서 대응되게 각각 연장 형성되며, 서로 접하는 끝단부에 상호 걸려서 결합되는 걸림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밀착 고정부는, 상기 절연피복을 감싸도록 상기 통전선 접합부의 양측면에서 대응되게 각각 연장 형성되며, 서로 접하는 끝단부에 상호 걸려서 결합되는 걸림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 케이블은, 상기 통전선 접합부와 접촉되는 일면에 보조 지지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통전선 접합부에는, 상기 보조 지지홈부에 삽입되는 케이블 지지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
KR1020200111300A 2020-09-01 2020-09-01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 KR102509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300A KR102509627B1 (ko) 2020-09-01 2020-09-01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300A KR102509627B1 (ko) 2020-09-01 2020-09-01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469A true KR20220030469A (ko) 2022-03-11
KR102509627B1 KR102509627B1 (ko) 2023-03-16

Family

ID=80814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300A KR102509627B1 (ko) 2020-09-01 2020-09-01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962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0609A (ja) * 2000-03-07 2001-09-14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とフラットケーブルの接続構造
JP2008235095A (ja) * 2007-03-22 2008-10-0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アース用ジョイントコネクタおよび電線接続構造
KR20090013249U (ko) * 2008-06-23 2009-12-3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접지용 링터미널
JP2017208211A (ja) * 2016-05-18 2017-11-2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
JP2020057493A (ja) * 2018-10-01 2020-04-09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電線の端子接続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0609A (ja) * 2000-03-07 2001-09-14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とフラットケーブルの接続構造
JP2008235095A (ja) * 2007-03-22 2008-10-0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アース用ジョイントコネクタおよび電線接続構造
KR20090013249U (ko) * 2008-06-23 2009-12-3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접지용 링터미널
JP2017208211A (ja) * 2016-05-18 2017-11-2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
JP2020057493A (ja) * 2018-10-01 2020-04-09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電線の端子接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9627B1 (ko)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53060B (zh) 汇流条模块和汇流条模块制造方法
US8785781B2 (en) Connecting tab of battery pack,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connecting tab and wire, and coupling method thereof
US9105912B2 (en) Boltless battery cell connection
US8574003B2 (en) Busbar
CN110710027B (zh) 汇流条组件和包括该汇流条组件的电池模块
CN117895258A (zh) 电池模块
EP1587149A2 (en) A terminal box for a solar battery module and a method of mounting it
US10957894B2 (en) Battery bus bar module
KR101831816B1 (ko) 용접 강도 특성이 향상된 전지 모듈
WO2016010150A1 (ja) バスバーモジュール及びバスバー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1864290B1 (ko) 고전압 배터리의 icb 모듈 조립구조
JP2018536789A (ja) バッテリジャンプスタート装置用バッテリコネクタ装置
US20200058917A1 (en) Automotive bus bar module and power supply device
JP2019520686A (ja) バッテリシステム用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2017027926A (ja) 配線モジュール、及び蓄電モジュール
JP2013080620A (ja) 電池用配線モジュール
KR101666876B1 (ko) 이차 전지 및 그 모듈
US20240014501A1 (en) Wiring module
JP3821085B2 (ja) 組電池
CN115735299A (zh) Ffc汇流条
KR102509627B1 (ko) 통전용 접속 케이블 유닛
US20120106026A1 (en) Electrical storage device
CN110739562B (zh) 汇流条与电线的连接结构和汇流条模块
JP7344454B2 (ja) 蓄電モジュール
WO2011155369A1 (ja) 電池接続プレ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