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9540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9540A
KR20220029540A KR1020217025585A KR20217025585A KR20220029540A KR 20220029540 A KR20220029540 A KR 20220029540A KR 1020217025585 A KR1020217025585 A KR 1020217025585A KR 20217025585 A KR20217025585 A KR 20217025585A KR 20220029540 A KR20220029540 A KR 20220029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axis direction
length
less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5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 사타케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29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95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25Brushes with elastically deformable heads that change shape during use
    • A46B5/0029Head made of soft plastics, rubber or rubber inserts in plastics matrix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6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in the form of tapes, chains, flexible shafts, springs, ma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호한 조작성을 가짐과 아울러, 과잉한 브러싱압이 부하되었을 경우라도 적정한 브러싱압으로 닦을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파지부(30)에 배치되고, 식모면과 직교하는 제 1 방향의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변형부(70)와, 제 1 방향의 외력에 의해 비변형의 제 1 영역(A1)과, 제 1 방향의 외력에 의해 비변형의 제 2 영역(A2)을 갖는다. 변형부는, 경질 수지로 형성되어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연결하는 경질부(70H)와, 연질 수지로 형성되어 경질부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는 연질부를 갖는다. 경질부는 제 1 방향의 길이를 d로 하고, 장축 방향 및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의 길이를 W로 하면, 장축 방향에 걸쳐 W>d의 관계를 만족하고, 경질부의 제 1 방향의 길이(d)와 경질부의 제 2 방향 길이(W)의 적어도 일방은, 장축 방향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해 점차 확대됨과 아울러, 극대값을 지나 점차 축소된다.

Description

칫솔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9년 6월 28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9-121550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80세에서 20개의 치아를 갖는 사람의 비율은 약 5할로 된 한편으로, 고령자 충치(근면 우식)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근면 우식은 잇몸 퇴축에 의해 노출된 상아질의 충치이지만, 상아질은 에나멜질보다 유기 성분의 구성 비율이 높기 때문에, 충치의 진행이 빠르다. 상기 잇몸 퇴축의 원인의 하나로서, 적정값보다 큰 브러싱압으로 브러싱을 행하는 오버 브러싱을 들 수 있다.
종래, 과잉한 브러싱압을 저감하기 위한 칫솔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칫솔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칫솔은, 팜그립으로 쥐어서 브러싱했을 때에, 핸들부의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으로 쥐는 부위 중,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 부위가 식모면측으로 개구되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 부위의 주위가 엘라스토머 재료 등의 연질 수지로 피복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있어서의 상기 구성의 칫솔에 대해서는, 헤드부의 하중을 네크부뿐만 아니라 핸들부의 상기 부위에도 탄력을 부여함으로써, 잇몸을 다치게 하지않고, 치아와 잇몸에 부드럽게 맞고 편안한 조작성을 주면서, 과잉한 브러싱압을 저감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0-004944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칫솔은, 과잉한 브러싱압이 부하되었을 경우, 휨량이 작기 때문에, 과잉한 브러싱압을 저감할 수 있지 않아, 적정한 브러싱압의 범위에서 닦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사용하는 연질 수지의 양을 늘림으로써 휨량을 크게 하고, 과잉한 브러싱압을 저감시키는 방법이 생각되지만, 적정 브러싱압에 도달할 때까지의 휨량이 지나치게 크기 때문에 조작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양호한 조작성을 가짐과 아울러, 과잉한 브러싱압이 부하되었을 경우라도 적정한 브러싱압으로 닦을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따르면, 장축 방향의 선단측에 형성되어 식모면을 갖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보다 후단측에 배치된 파지부와, 상기 식모면과 상기 파지부 사이에 배치된 네크부를 갖고,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네크부는 경질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에 배치되고, 상기 식모면과 직교하는 제 1 방향의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변형부와, 상기 변형부의 상기 선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방향의 외력에 의해 비변형의 제 1 영역과, 상기 변형부의 상기 후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방향의 외력에 의해 비변형의 제 2 영역을 갖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장축 방향에서 적어도 상기 파지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 2 영역에 걸쳐서, 상기 장축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경질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변형부는, 상기 경질 수지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을 연결하는 경질부와, 연질 수지로 형성되어 상기 경질부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는 연질부를 갖고, 상기 경질부는, 상기 제 1 방향의 길이를 d로 하고, 상기 장축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의 길이를 W로 하면, 상기 장축 방향에 걸쳐 W>d의 관계를 만족하고, 상기 경질부의 상기 제 1 방향의 길이(d)와 상기 경질부의 상기 제 2 방향의 길이(W)의 적어도 일방은, 상기 장축 방향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해서 점차 확대됨과 아울러, 극대값을 지나 점차 축소되는 칫솔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른 칫솔에 있어서, 상기 경질부는 상기 장축 방향에 걸쳐 d≤3.5㎜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른 칫솔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의 길이(d)에 있어서의 상기 극대값을 a로 하고, 단부에 있어서의 최소값을 b로 하면, a/b로 나타내어지는 값은 1.1 이상,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른 칫솔에 있어서, 상기 극대값(a)은 1.5㎜ 이상, 3.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른 칫솔에 있어서, 제 2 방향의 길이(W)에 있어서의 상기 극대값을 e로 하고, 단부에 있어서의 최소값을 f로 하면, e/f로 나타내어지는 값은 1.2 이상, 7.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른 칫솔에 있어서, 상기 극대값(e)은 5.0㎜ 이상, 15.0㎜ 이하이며, 상기 최소값(f)은 2.0㎜ 이상, 8.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른 칫솔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의 상기 제 1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의 상기 장축 방향의 길이는, 상기 파지부의 상기 장축 방향의 길이의 10% 이상,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양호한 조작성을 가짐과 아울러, 과잉한 브러싱압이 부하되었을 경우라도 적정한 브러싱압으로 닦을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칫솔(1)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동 칫솔(1)을 폭방향의 중심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동 칫솔(1)을 구성하는 경질부(H)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A-A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경질부(H)에 있어서의 경질부(70H)의 주변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7은 헤드부에 배면측으로 하중을 부여했을 때의 변위와 하중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칫솔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일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는, 각 구성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실제의 구조와 각 구조에 있어서의 축척이나 수 등을 다르게 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측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의 식모면과 직교하는 쪽을 두께 방향으로 하고,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식모면측을 정면측, 식모면과 역측을 배면측으로 해서 적당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칫솔(1)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칫솔(1)을 폭방향(도 1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중심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칫솔(1)을 구성하는 경질부(H)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칫솔(1)은, 장축 방향의 선단측(이하, 단지 선단측이라 칭한다)에 배치되어 용모의 모속(도시하지 않음)이 식모된 헤드부(10)와, 헤드부(10)의 장축 방향 후단측(이하, 단지 후단측이라 칭한다)에 연장 형성된 네크부(20)와, 네크부(20)의 후단측에 연장 형성되어 변형부(70)를 갖는 파지부(30)(이하, 헤드부(10), 네크부(20) 및 파지부(30)를 합쳐서 핸들체(2)라고 칭한다)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의 칫솔(1)은, 경질 수지로 형성된 경질부(H)와, 연질 수지로 형성된 연질부(E)가 일체로 성형된 성형체이다. 경질부(H)는, 헤드부(10), 네크부(20), 파지부(30) 및 변형부(70)의 각각에 대해서 적어도 일부를 구성한다. 연질부(E)는 파지부(30) 및 변형부(70)의 각각에 대해서 일부를 구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헤드부(10) 및 네크부(20)는 경질 수지로 각각 형성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표면의 일부가 상기 연질 수지로 피복되어 있는 등, 일부가 상기 연질 수지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변형부(70)를 포함하는 파지부(30)는, 일부가 경질 수지와 연질 수지의 쌍방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상세한 것은 후술).
[헤드부(10)]
헤드부(10)는 두께 방향(도 1에 있어서의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의 일방측에 식모면(11)을 갖고 있다. 또한, 이후, 상기 두께 방향에서 식모면(11)측을 정면 방향의 정면측으로 하고, 식모면과 반대측을 배면측으로 하고, 상기 두께 방향 및 장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폭방향(또는 적당히, 측면 방향)으로 한다. 식모면(11)에는 식모 구멍(12)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식모 구멍(12)에는 용모의 모속(도시하지 않음)이 심어 형성되어 있다.
헤드부(10)의 폭, 즉 정면측에 있어서 식모면(11)과 평행하고, 장축 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의 길이(이하, 단지 폭이라 칭한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7㎜ 이상, 13㎜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모속을 심어 형성하는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이 보다 높여진다.
헤드부(10)의 장축 방향의 길이(이하, 단지 길이라고 칭한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0㎜ 이상, 33㎜ 이하가 바람직하다. 헤드부(10)의 길이가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모속을 심어 형성하는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이 보다 높여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네크부(20)와 헤드부(10)의 장축 방향의 경계는, 네크부(20)로부터 헤드부(10) 방향을 향해서, 네크부(20)의 폭이 최소값으로 된 위치로 한다. 네크부(20)의 폭이 최소값으로 되는 영역이 일정한 길이로 존재할 경우(네크부(20)의 폭이 최소값으로 되는 위치가 1개소는 아닐 경우), 네크부(20)와 헤드부(10)의 장축 방향의 경계는, 네크부(20)의 폭이 최소값으로 되는 가장 헤드 선단측의 위치로 한다.
헤드부(10)의 두께 방향의 길이(이하, 단지 두께라 칭한다)는, 재질 등을 감안해서 결정할 수 있고, 2.0㎜ 이상, 4.0㎜ 이하가 바람직하다. 헤드부(10)의 두께가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헤드부(10)의 강도가 보다 높여진다. 헤드부(10)의 두께가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어금니의 안으로의 도달성이 높여짐과 아울러,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이 보다 높여진다.
모속은 복수의 용모를 묶은 것이다. 식모면(11)으로부터 모속의 선단까지의 길이(모장)는, 모속에 요구하는 모 허리 등을 감안해서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6~13㎜로 된다. 모든 모속은 동일 모장이어도 좋고, 서로 달라도 좋다.
모속의 굵기(모속 지름)은 모속에 요구하는 모 허리 등을 감안해서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1~3㎜로 된다. 모든 모속은 동일 모속 지름이어도 좋고, 서로 달라도 좋다.
모속을 구성하는 용모로서는, 예를 들면, 모 끝을 향해 점차 그 지름이 작아지고, 모 끝이 첨예화된 용모(테이퍼모), 식모면(11)으로부터 털 끝을 향해 그 지름이 거의 동일한 용모(스트레이트모) 등을 들 수 있다. 스트레이트모로서는, 모 끝이 식모면(11)에 대략 평행한 평면으로 된 것이나, 모 끝이 반구 형상으로 둥글게 된 것을 들 수 있다.
용모의 재질은, 예를 들면, 6-12나일론(6-12NY), 6-10나일론(6-10NY)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PBN)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등의 엘라스토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 재료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용모로서는, 심부와 상기 심부의 외측에 형성된 적어도 1층 이상의 초부를 갖는 다중 심구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제 용모를 들 수 있다.
용모의 횡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진원형, 타원형 등의 원형, 다각형, 성형, 세잎클로버형, 네잎클로버형 등으로 해도 좋다. 모든 용모의 단면 형상은 동일해도 좋고, 달라도 좋다.
용모의 굵기는 재질 등을 감안해서 결정할 수 있고, 횡단면이 원형일 경우, 예를 들면, 6~9mil(1mil=1/1000inch=0.025㎜)로 된다. 또한, 사용감, 이닦기감, 청소 효과, 내구성 등을 고려해서, 굵기가 다른 복수개의 용모를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네크부(20)]
네크부(20)의 길이는 조작성의 점에서 40㎜ 이상, 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네크부(20)의 폭은, 일례로서, 최소값으로 되는 위치로부터 후단측으로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네크부(20)는, 폭이 최소값으로 되는 위치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네크부(20)의 두께는, 최소로 되는 위치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네크부(20)는, 최소로 되는 위치에 있어서의 폭과 두께는 모두 3.0㎜ 이상, 4.5㎜ 이하가 바람직하다. 최소로 되는 위치에 있어서의 네크부(20)의 폭과 두께가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네크부(20)의 강도가 보다 높여지고,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입술이 닫히기 쉽고, 또한 어금니로의 도달성이 높여짐과 아울러,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이 보다 높여진다. 최소값으로 되는 위치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네크부(20)의 폭 및 두께는, 재질 등을 감안해서 적당히 결정할 수 있다.
네크부(20)의 측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의 정면측은,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정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고 있다. 네크부(20)의 측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의 배면측은,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배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고 있다. 네크부(20)는, 정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폭방향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커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네크부(20)와 파지부(30)의 경계는, 정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폭방향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의 증가가 종료된 위치로 한다. 여기에서는, 네크부(20)로부터 파지부(30)를 향해서 폭이 정면 및 측면으로 볼 때의 쌍방에서 원호 형상의 윤곽으로 확대되고, 상기 원호의 곡률 중심의 위치가 변화된 장축 방향의 위치와 일치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네크부(20)와 파지부(30)의 경계는, 도 1에 나타내는 정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는, 곡률 중심이 원호 형상의 윤곽의 외측에서 후단측으로 변화된 장축 방향의 위치와 일치하고 있다. 또한, 네크부(20)와 파지부(30)의 경계는, 도 2에 나타내는 측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는, 곡률 중심이 원호 형상의 윤곽의 외측에서 후단측으로 변화된 장축 방향의 위치와 일치하고 있다.
[파지부(30)]
파지부(30)는 장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지부(30)의 폭방향의 길이는, 네크부(20)와의 경계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좁아진 후에, 대략 일정한 길이로 연장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지부(30)의 두께 방향의 길이는, 네크부(20)와의 경계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좁아진 후에, 대략 일정한 길이로 연장되어 있다.
파지부(30)의 폭방향의 길이가 네크부(20)와의 경계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좁아진 후에 대략 일정한 길이로 되는 장축 방향의 위치와, 파지부(30)의 두께 방향의 길이가 네크부(20)와의 경계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좁아진 후에 대략 일정한 길이로 되는 장축 방향의 위치는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파지부(30)에 있어서의 변형부(70)의 장축 방향의 선단측 단부의 위치는, 네크부(20)와 파지부(30)의 경계이다. 변형부(70)의 장축 방향의 후단측 단부의 위치는, 네크부(20)와의 경계로부터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좁아진 후에, 대략 일정한 길이로 된 위치이며, 후술하는 연질부(70E)와 경질부(30H)의 경계이다.
파지부(30)는, 변형부(70)의 후단측 단부보다 후단측에, 정면측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중앙에 연질부(31E)를 갖고 있다. 연질부(31E)는 연질부(E)의 일부를 구성한다. 연질부(31E)는, 정면으로 보아 대략 일정한 폭으로 장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정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연질부(31E)의 측 가장자리와 파지부(30)의 폭방향 외측의 측 가장자리는 대략 일정한 거리로 형성되어 있다.
파지부(30)는, 변형부(70)에 형성된 경질부(70H)와, 변형부(70)보다 후단측에 형성된 경질부(30H)를 갖고 있다. 경질부(30H, 70H)는 경질부(H)의 일부를 구성한다. 경질부(30H)는, 정면측에 연질부(31E)가 매설되는 구덩이(31H)를 갖고 있다. 구덩이(31H)는, 정면으로 보아 변형부(70)와의 경계로부터 후단측에 대략 일정한 길이로 장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구덩이(31H)에 매설된 연질부(31E)는 정면측에 노출되는 경질부(30H)와 대략 같은 높이이다.
파지부(30)는 배면측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중앙에 연질부(32E)를 갖고 있다 (도 1, 도 2 참조). 연질부(32E)는 연질부(E)의 일부를 구성한다. 연질부(32E)는 정면으로 보아 연질부(31E)의 외형 윤곽과 대략 동일한 외형 윤곽을 갖고 있다. 즉, 연질부(32E)는 정면으로 보아 대략 일정한 폭에서 장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배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연질부(32E)의 측 가장자리와 파지부(30)의 폭방향 외측의 측 가장자리는 대략 일정한 거리로 형성되어 있다.
경질부(30H)는, 배면측에 연질부(32E)가 매설되는 구덩이(32H)(도 2 참조)를 갖고 있다. 구덩이(32H)는 정면으로 보아 대략 일정한 폭으로 장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질부(32E)는 배면측에 노출되는 경질부(30H)와 대략 같은 높이이다.
파지부(30)의 정면측에 연질부(31E)가 형성되고, 배면측에 연질부(32E)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파지부(30)를 파지했을 때의 그립성이 향상된다.
[변형부(70)]
도 4는 변형부(70)의 장축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도로서, 도 1에 있어서의 A-A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변형부(70)는 식모면(11)과 직교하는 제 1 방향의 외력에 의해 변형된다. 변형부(70)는 경질부(70H)와 연질부(70E)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질부(70H)는 주위가 연질부(70E)로 피복되어 있다.
경질부(70H)의 단면 형상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이 두께 이상이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경질부(70H)의 폭을 W로 하고, 경질부(70H)의 두께를 d로 하면, 경질부(70H)는 장축 방향에 걸쳐서 폭(W)>두께(d)의 관계를 만족한다. 또한, 경질부(70H)는 장축 방향에 걸쳐서 d≤3.5㎜의 관계를 만족한다.
브러싱압의 저감에는, 두께 방향으로는 휘기 쉽고, 폭방향으로는 휘기 어렵다는 이방성을 갖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경질부(70H)가 폭(W)<두께(d)일 경우, 폭방향으로 휘기 쉬워지기 때문에, 과잉한 브러싱압을 저감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d>3.5㎜에서는 경질 수지가 휘기 어려워지고, 휨 거동의 초기 단계에 있어서, 적정한 브러싱압에 달할 때까지의 휨량이 작기 때문에, 양호한 조작성을 실현할 수 있지만, 후기 단계에서 과잉한 브러싱압을 저감할 수 없다.
경질부(70H)의 폭(W)과 두께(d)가 장축 방향에 걸쳐 상기 관계를 만족함으로써, 경질부(70H)는, 두께 방향으로 구부러지기 쉽고, 폭방향으로 구부러지기 어려워진다는 굽힘 거동을 갖게 된다.
경질부(70H)의 두께 방향의 중심 위치는, 변형부(70)의 두께 방향의 중심 위치보다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경질부(70H)는, 두께 방향에 관해서 배면측에 편심해서 배치되어 있다.
도 5는 경질부(H)에 있어서의 경질부(70H)의 주변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경질부(70H)는, 선단측에 있어서 네크부(20)의 경질부(20H)에 접속되고, 후단측에 있어서 파지부(30)의 경질부(30H)와 접속되어 있다. 즉, 경질부(70H)는, 선단측에 배치된 네크부(20)의 경질부(20H)와 후단측에 있어서 배치된 파지부(30)의 경질부(30H)를 장축 방향으로 연결하고 있다.
경질부(70H)와 접속된 경질부(20H)는, 폭, 두께 및 두께 방향의 굽힘 강도가 경질부(70H)보다 크고 강직인 제 1 영역(A1)을 구성한다. 경질부(70H)와 접속된 경질부(30H)는, 폭, 두께 및 두께 방향의 굽힘 강도가 경질부(70H)보다 크고 강직인 제 2 영역(A2)을 구성한다.
파지부(30)는, 장축 방향에서 적어도 파지부(30)의 선단으로부터 제 2 영역(A2)에 걸쳐서, 장축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부가 경질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 1 영역(A1) 및 제 2 영역(A2)은, 각각 장축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연질 수지보다 경질 수지가 차지하는 비율이 크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영역(A1)은, 경질 수지가 차지하는 비율은 100%이다. 또한, 제 2 영역(A2)은, 경질 수지가 차지하는 비율은 약 80% 이상이다.
경질부(70H)의 두께와 폭의 적어도 일방은, 장축 방향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해 점차 확대됨과 아울러, 극대값을 지나 점차 축소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질부(70H)는, 두께와 폭의 쌍방에서, 장축 방향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해 점차 확대됨과 아울러, 장축 방향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극대값을 지나 점차 축소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변형부(70)는, 두께가 극대값을 나타내는 장축 방향의 위치와, 폭이 극대값을 나타내는 장축 방향의 위치가 동일하다.
즉, 경질부(70H)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의측 가장자리가, 장축 방향의 각 단부로부터 중앙을 향해서, 폭방향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점차 길어지고, 장축 방향의 대략 중앙에 있어서 폭방향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최대로 되는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질부(70H)의 선단측 단부의 폭과 후단측 단부의 폭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경질부(70H)의 선단측 단부의 폭은, 경질부(70H)보다 폭방향의 외측의 연질부(70E)의 두께에 따라, 네크부(20)의 경질부(20H)의 후단측 단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경질부(70H)의 후단측 단부의 폭은, 경질부(70H)보다 폭방향의 외측의 연질부(70E)의 두께에 따라, 경질부(30H)의 선단측 단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경질부(70H)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의 측 가장자리가, 장축 방향의 각 단부로부터 중앙을 향해서, 두께 방향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점차 길어지고, 장축 방향의 대략 중앙에 있어서 두께 방향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최대로 되는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질부(70H)의 선단측 단부의 두께와 후단측 단부의 두께는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경질부(70H)의 선단측 단부의 두께는, 경질부(70H)보다 두께 방향의 외측의 연질부(70E)의 두께에 따라, 네크부(20)의 경질부(20H)의 후단측 단부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경질부(70H)의 후단측 단부의 두께는, 경질부(70H)보다 두께 방향의 외측의 연질부(70E)의 두께에 따라, 경질부(30H)의 선단측 단부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경질부(H)의 소재로서는, 일례로서, 굽힘 탄성률(JIS7171)이 1500㎫ 이상, 3500㎫ 이하인 수지를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 수지(POM)를 들 수 있다. 경질부(H)의 굽힘 탄성률로서는 2000㎫ 이상, 35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경질부(H)의 굽힘 탄성률이 1500㎫보다 작으면, 변형부(70)가 유연해지기 때문에, 휨 거동의 초기 단계에서 적정한 브러싱압에 달할 때까지의 휨량이 커지고, 조작성이 저하된다. 또한, 경질부(H)의 굽힘 탄성률이 3500㎫보다 클 경우에는, 변형부(70)가 지나치게 강직해져서 휘기 어려워지고, 휨 거동의 후기 단계에서 과잉한 브러싱압을 저감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경질부(H)의 굽힘 탄성률을 1500㎫ 이상, 3500㎫ 이하로 함으로써, 양호한 조작성과 브러싱압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질부(70E)의 단면은, 경질부(70H)가 매설된 대략 육각형상의 외형 윤곽이다. 6개의 정점 중, 두께 방향의 중도에 배치된 2개의 정점은, 변형부(70)(연질부(70E))의 두께 방향의 중심보다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장축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변형부(70)의 단면적에 대한 경질부(70H)의 단면적의 점유율은, 장축 방향에 걸쳐서 35% 이하, 바람직하게는 25% 이하이다. 경질부(70H)의 단면적의 점유율을 장축 방향에 걸쳐서 35% 이하 함으로써, 배면측으로의 변형부(70)의 굽힘 강도를 작게 할 수 있다.
연질부(E)의 소재로서는, 쇼어 경도 A가 90 이하가 바람직하고, 쇼어 경도 A가 40 이상, 8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쇼어 경도 A가 40 미만일 경우, 휨 거동의 초기 단계에서 적정한 브러싱압에 달할 때까지의 휨량이 커져, 조작성이 저하된다. 쇼어 경도 A가 90을 초과하면, 휨 거동의 후기 단계에서 과잉한 브러싱압을 저감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쇼어 경도 A를 40 이상, 90 이하로 함으로써, 양호한 조작성과 브러싱압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연질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예를 들면,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 실리콘을 들 수 있다. 폴리아세탈 수지와의 혼화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스티렌계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다.
상기 칫솔(1)에 있어서, 파지부(30)를 파지한 상태에서 헤드부(10)에 배면측으로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변형부(70)의 선단측의 제 1 영역(A1) 및 후단측의 제 2 영역(A2)은, 굽힘 강도가 경질부(70H)보다 크고 강직이기 때문에 비변형으로 되고, 제 1 영역(A1)과 제 2 영역(A2) 사이에 배치된 변형부(70)가 변형된다.
변형부(70)가 변형될 때의 휨 거동으로서는, 적정한 브러싱압에 달할 때까지의 초기 단계에서는, 장축 방향의 대략 중앙에서 응력 집중이 일어난다. 또한, 변형부(70)에 부하되는 압력이 증가하는 후기 단계에서는, 대략 중앙으로부터 양단을 향해서 응력이 가해지는 범위가 진전되어 간다. 여기에서, 변형부(70)는, 폭 및 두께의 쌍방에서 경질부(70H)의 장축 방향 중앙이 극대값으로 단면 2차 모멘트가 크기 때문에, 초기 단계에서의 휨량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적정한 브러싱압에 달할 때까지의 초기 단계에서는 양호한 조작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변형부(70)는, 폭 및 두께의 쌍방에서 경질부(70H)의 장축 방향 양단이 최소값으로 단면 2차 모멘트가 작기 때문에, 부하되는 압력이 증가하는 후기 단계에서는 단부측에서의 휨량이 커짐으로써 브러싱압을 저감한 상태에서 닦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경질부(70H)의 폭에 있어서의 극대값을 e로 하고, 선단측 단부의 폭을 f1로 하고, 후단측 단부의 폭을 f2로 하고, 폭(f1, f2) 중 최소값을 f로 하면, e/f로 나타내어지는 값은 1.2 이상, 7.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상, 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e/f로 나타내어지는 값이 1.2 미만에서는, 브러싱압에 따라 휨량이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는 거동에 접근하기 때문에, 휨 거동의 초기 단계 및 후기 단계가 존재하지 않고, 양호한 조작성과 브러싱압의 저감의 양립을 실현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한편, e/f로 나타내어지는 값이 7.5를 초과하면, 중앙부가 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낮은 브러싱압이 부하되어 있는 초기 단계에서 양단부로부터 휘기 시작해 버리고, 적정 하중에 달할 때까지의 휨량이 커져 버린다. 따라서, e/f로 나타내어지는 값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적정 하중에 달할 때까지의 휨량이 지나치게 커지지 않고, 양호한 조작성과 브러싱압의 저감의 양립을 실현할 수 있다.
경질부(70H)의 폭에 있어서의 극대값(e)으로서는, 5.0㎜ 이상,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이상, 13.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극대값(e)이 5.0㎜ 미만에서는, 휨 거동의 초기 단계에 있어서 적정 브러싱압에 달할 때까지의 휨량이 커져, 조작성이 나빠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극대값(e)이 18.0㎜를 초과하면, 초기 단계에서 장축 방향으로 중앙부가 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중앙으로부터 양단을 향해서 응력 집중이 진전되어 가는 후기 단계에 있어서, 브러싱압을 저감하는 것이 곤란해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극대값(e)을 5.0㎜ 이상, 15.0㎜ 이하로 함으로써, 양호한 조작성과 브러싱압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경질부(70H)의 폭에 있어서의 최소값(f)으로서는 2.0㎜ 이상,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이상, 7.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최소값(f)이 2.0㎜ 미만에서는, 장축 방향 중앙부보다 먼저 양단부가 휘기 시작해 버리기 때문에, 초기 단계 및 후기 단계가 존재하지 않고, 양호한 조작성을 얻는 것이 곤란해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최소값(f)이 8.0㎜를 초과하면, 경질부(70H)의 양단부가 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후기 단계에 있어서 브러싱압을 저감하는 것이 곤란해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최소값(f)을 2.0㎜ 이상, 8.0㎜ 이하로 함으로써, 양호한 조작성과 브러싱압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경질부(70H)의 두께에 있어서의 극대값을 a로 하고, 선단측 단부의 두께를 b1로 하고, 후단측 단부의 두께를 b2로 하고, 두께(b1, b2) 중 최소값을 b로 하면, a/b로 나타내어지는 값은 1.1 이상,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상, 2.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a/b로 나타내어지는 값이 1.1 미만에서는, 브러싱압 에 따라 휨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휨 거동의 초기 단계 및 후기 단계가 존재하지 않고, 양호한 조작성과 브러싱압의 저감의 양립을 실현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한편, a/b로 나타내어지는 값이 2.0을 초과하면, 중앙부가 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낮은 브러싱압이 부하되어 있는 초기 단계에서 양단부로부터 휘기 시작해 버려, 적정 하중에 달할 때까지의 휨량이 커져 버린다. 따라서, a/b로 나타내어지는 값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적정 하중에 달할 때까지의 휨량이 지나치게 커지지 않고, 양호한 조작성과 브러싱압의 저감의 양립을 실현할 수 있다.
경질부(70H)의 두께에 있어서의 극대값(a)으로서는, 1.5㎜ 이상, 3.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상, 3.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극대값(a)이 1.5㎜ 미만에서는, 휨 거동의 초기 단계에 있어서 적정 브러싱압에 달할 때까지의 휨량이 커져, 조작성이 나빠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극대값(a)이 3.5㎜를 초과하면, 초기 단계에서 장축 방향으로 중앙부가 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중앙으로부터 양단을 향해서 응력 집중이 진전되어 가는 후기 단계에 있어서, 브러싱압을 저감하는 것이 곤란해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극대값(a)을 1.5㎜ 이상, 3.5㎜ 이하로 함으로써, 양호한 조작성과 브러싱압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경질부(70H)의 두께에 있어서의 최소값(b)으로서는, 1.5㎜ 이상,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상, 2.0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최소값(b)이 1.5㎜ 미만에서는, 장축 방향 중앙부보다 먼저 양단부가 휘기 시작해 버리기 때문에, 초기 단계 및 후기 단계가 존재하지 않고, 양호한 조작성을 얻는 것이 곤란해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최소값(b)이 2.5㎜를 초과하면, 경질부(70H)의 양단부가 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후기 단계에 있어서 브러싱압을 저감하는 것이 곤란해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최소값(b)을 1.5㎜ 이상, 2.5㎜ 이하로 함으로써, 양호한 조작성과 브러싱압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정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의 변형부(70)의 장축 방향의 최대 길이는, 파지부(30)의 장축 방향의 길이의 10% 이상,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상, 2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변형부(70)의 최대 길이가 파지부(30)의 길이의 10% 미만에서는, 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휨 거동의 후기 단계에 있어서 브러싱압을 저감할 수 없다. 한편, 변형부(70)의 최대 길이가 파지부(30)의 길이의 30%보다 클 경우에는, 용이하게 휘기 때문에 적정한 브러싱압에 달할 때까지의 휨량이 크고, 양호한 조작성을 실현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변형부(70)의 최대 길이를 파지부(30)의 길이의 10% 이상, 30% 이하로 함으로써, 양호한 조작성과 브러싱압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하게 변경해서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1~8, 비교예 1~5)
[표 1]에 나타내는 사양에 따라 실시예 1~8의 샘플을 제작하고, [표 2]에 나타내는 사양에 따라 비교예 1~5의 샘플을 제작했다. 비교예 1은 변형부를 갖지 않는 칫솔을 샘플로 했다(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제, 클리니카 어드벤티지 하브러시). 비교예 2는, 변형부가 연질 수지만으로 형성된 칫솔을 샘플로 했다. 비교예 3 및 비교예 4는, 경질부가 극대값을 갖지 않고 일정 폭 및 일정 두께로 형성된 변형부를 갖는 칫솔을 샘플로 했다.
[평가 항목]
헤드부에 200g의 하중을 배면측에 가했을 때의 휨량과, 헤드부의 휨량이 13㎜로 될 때의 배면측으로의 하중, 사용감을 각각 실시예 1~8, 비교예 1~5에 대하여 평가했다. 또한, 헤드부에 200g의 하중을 배면측에 가했을 때의 휨량의 평가가 양호하지 않았던 샘플에 대해서는, 헤드부의 휨량이 13㎜로 될 때의 배면측으로의 하중 평가는 실시하지 않았다.
[시험 방법]
각 샘플에 대하여 헤드부의 식모면에 두께 방향 배면측으로의 하중을 부여하는 시험을 행했다. 샘플에 대해서는 3개씩(n=3) 각 시험을 행했다. 각 시험은, 오토그래프 시험기(AGS-X, SHIMADZU사제)를 평가 기기로서 사용했다. 하중 부여 시험에 있어서는, 헤드부가 측면으로 보아 수평으로 되도록, 변형부와 파지부의 경계로부터 파지부측을 척킹하고, 측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의 헤드부의 각 중심 부위에 대하여 연직 하방으로 200g의 하중을 가했을 때(로드셀: 100N, 시험 속도 20㎜/min)의 휨량을 측정했다. 또한, 휨 부여 시험에 있어서는, 헤드부의 휨량이 13㎜로 될 때의 배면측으로의 하중을 측정했다.
[평가 방법]
헤드부에 200g의 하중을 배면측에 가했을 때의 휨량을 평가했다.
○(Good): 9㎜ 이상~11㎜ 이하,
△(Not Bad): 7㎜ 이상~9㎜ 미만 또는 11㎜ 초과~13㎜ 이하,
×(Bad): 7㎜ 미만 또는 13㎜ 초과.
또한, 헤드부의 휨량이 13㎜로 될 때의 배면측으로의 하중을 평가했다.
○(Good): 200g 이상~220g 이하,
△(Not Bad): 220g 초과 ~240g 이하,
×(Bad): 240g 초과.
-: 200g 하중을 가했을 때의 휨량이 ×일 경우는 미측정.
[사용감 평가 방법]
전문 패널(5명)이 각 샘플을 사용하여 브러싱하고, 「적당한 브러싱 하중을 유지하고, 과잉한 브러싱 하중을 완화하고 있는 실감」에 대해서, 실사용에서 5단계 평가하고, 그 평균점으로 평가했다. 평점의 평균값은, 소수점 둘째자리를 사사 오입하고, 소수점 첫째자리까지의 자릿수로 했다.
[평점]
5점: 매우 느낀다, 4점: 약간 느낀다, 3점: 어느쪽도 아니다, 2점: 그다지 느끼지 않는다, 1점: 전혀 느끼지 않는다
[평가] ◎(Very Good): 4.5 이상~5.0 이하, ○(Good): 4.0 이상~4.5 미만, △(Not Bad): 3.0 이상~4.0 미만, ×(Bad): 3.0점 미만
평가 결과에 대해서는, ◎, ○, △를 합격(OK)으로 하고, ×를 불합격(NG)으로 했다.
또한, 측정된 하중에 관한 평가는, 사용자가 칫솔을 사용하여 브러싱할 때의 하중의 추장값이 일반적으로 200g인 것을 기초로 해서 설정했다. 또한, 조작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상한의 휨량을 13㎜로 하고, 상기 휨량에 있어서의 하중을 상기 평가에 의거하여 판정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표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장축 방향에 걸쳐서 폭(W)>두께(d), 또한, d≤3.5㎜의 관계를 만족하고, 두께의 극대값(a) 및 폭의 극대값(e)을 갖는 실시예 1~실시예 8의 샘플에서는, 헤드부에 200g의 하중을 배면측에 가했을 때의 휨량과, 헤드부의 휨량이 13㎜로 될 때의 배면측으로의 하중에 관해서, 모두 양호한 평가가 얻어졌다.
한편, [표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변형부를 갖지 않는 비교예 1의 샘플, 변형부가 연성 수지만으로 형성된 비교예 2의 샘플, 경질부가 극대값을 갖지 않고 일정 폭 및 일정 두께로 형성된 변형부를 갖는 비교예 4의 샘플, 경질부의 폭(W)이 두께(d)보다 작은 비교예 5의 샘플에 대해서는, 헤드부에 200g의 하중을 배면측에 가했을 때의 휨량과, 헤드부의 휨량이 13㎜로 될 때의 배면측으로의 하중에 관해서, 모두 양호한 평가가 얻어지지 않았다. 또한, 경질부가 극대값을 갖지 않고 일정 폭 및 일정 두께로 형성된 변형부를 갖는 비교예 3의 샘플에 대해서는, 헤드부의 휨량이 13㎜로 될 때의 배면측으로의 하중에 관해서, 양호한 평가가 얻어지지 않았다.
도 7은 헤드부에 배면측으로의 하중을 부여했을 때의 변위와 하중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에 대해서는, 적정한 브러싱압이 부하되었을 때의 변위가 작고, 과잉한 브러싱압으로부터 과잉한 브러싱압이 부하되었을 때의 변위(휨)가 거의 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과잉한 브러싱압을 저감하는 것이 곤란하다. 한편, 실시예 6에 대해서는, 적정한 브러싱압으로부터 과잉한 브러싱압이 부하되었을 때의 변위가 크기 때문에, 과잉한 브러싱압을 저감할 수 있고, 적정한 브러싱압의 범위에서 닦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도면에 있어서의 실시예 6은, 단면 2차 모멘트의 추이로부터 산출한 시뮬레이션 결과에 의한 것이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술한 예에 있어서 나타낸 각 구성 부재의 여러 형상이나 조합 등은 일례이며, 본 발명의 주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설계 요구 등에 의거하여 여러가지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경질부(70H)가 폭 및 두께의 쌍방에서 극대값과 최소값을 갖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폭 및 두께 중 일방만이 극대값과 최소값을 갖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 구성을 채용할 경우, 폭 및 두께의 타방은, 예를 들면,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연질부(70E)가 경질부(70H)의 주위를 전체 둘레에 걸쳐서 피복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경질부(70H)의 일부가 피복되지 않고 노출되는 구성이라도 좋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칫솔에 적용할 수 있다.
1…칫솔, 2…핸들체, 10…헤드부, 11…식모면, 20…네크부, 30…파지부, 70…변형부, A1…제 1 영역, A2…제 2 영역, E, 31E, 32E, 70E…연질부, H, 20H, 31H, 32H, 70H…경질부

Claims (7)

  1. 장축 방향의 선단측에 형성되어 식모면을 갖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보다 후단측에 배치된 파지부와, 상기 식모면과 상기 파지부 사이에 배치된 네크부를 갖고,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네크부는 경질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에 배치되고, 상기 식모면과 직교하는 제 1 방향의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변형부와,
    상기 변형부의 상기 선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방향의 외력에 의해 비변형의 제 1 영역과,
    상기 변형부의 상기 후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방향의 외력에 의해 비변형의 제 2 영역을 갖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장축 방향에서 적어도 상기 파지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 2 영역에 걸쳐서, 상기 장축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경질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변형부는, 상기 경질 수지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을 연결하는 경질부와,
    연질 수지로 형성되어 상기 경질부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는 연질부를 갖고,
    상기 경질부는, 상기 제 1 방향의 길이를 d로 하고, 상기 장축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의 길이를 W로 하면, 상기 장축 방향에 걸쳐서 W>d의 관계를 만족하고,
    상기 경질부의 상기 제 1 방향의 길이(d)와 상기 경질부의 상기 제 2 방향의 길이(W)의 적어도 일방은, 상기 장축 방향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해 점차 확대됨과 아울러, 극대값을 지나 점차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부는 상기 장축 방향에 걸쳐서 d≤3.5㎜의 관계를 만족하는 칫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의 길이(d)에 있어서의 상기 극대값을 a로 하고, 단부에 있어서의 최소값을 b로 하면, a/b로 나타내어지는 값은 1.1 이상, 2.0 이하인 칫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극대값(a)은 1.5㎜ 이상, 3.5㎜ 이하인 칫솔.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방향의 길이(W)에 있어서의 상기 극대값을 e로 하고, 단부에 있어서의 최소값을 f로 하면, e/f로 나타내어지는 값은 1.2 이상, 7.5 이하인 칫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극대값(e)은 5.0㎜ 이상, 15.0㎜ 이하이며,
    상기 최소값(f)은 2.0㎜ 이상, 8.0㎜ 이하인 칫솔.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의 상기 제 1 방향으로 볼 때에 있어서의 상기 장축 방향의 길이는, 상기 파지부의 상기 장축 방향의 길이의 10% 이상, 30% 이하인 칫솔.
KR1020217025585A 2019-06-28 2020-06-23 칫솔 KR202200295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21550 2019-06-28
JP2019121550 2019-06-28
PCT/JP2020/024545 WO2020262352A1 (ja) 2019-06-28 2020-06-23 歯ブラ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540A true KR20220029540A (ko) 2022-03-08

Family

ID=74061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5585A KR20220029540A (ko) 2019-06-28 2020-06-23 칫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378472B2 (ko)
KR (1) KR20220029540A (ko)
TW (1) TW202128056A (ko)
WO (1) WO202026235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4944A (ja) 1998-06-26 2000-01-11 Lion Corp 歯ブラ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8516B1 (en) 1998-03-06 2001-10-09 Gillette Canada Company Toothbrushes
JP4159739B2 (ja) 2000-11-21 2008-10-01 花王株式会社 ブラシ用ハンドル
CA2872007A1 (en) * 2012-05-17 2013-11-21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al care implement
JP6512703B2 (ja) * 2015-06-10 2019-05-15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4944A (ja) 1998-06-26 2000-01-11 Lion Corp 歯ブラ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28056A (zh) 2021-08-01
WO2020262352A1 (ja) 2020-12-30
JPWO2020262352A1 (ko) 2020-12-30
CN114025642A (zh) 2022-02-08
JP7378472B2 (ja) 202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06922B2 (ja) 歯ブラシ
KR102424854B1 (ko) 칫솔
WO2022239598A1 (ja) 歯ブラシ
CN215603803U (zh) 牙刷
JP2023026518A (ja) 歯ブラシ
KR20220029540A (ko) 칫솔
JP7433310B2 (ja) 歯ブラシ
JP7407091B2 (ja) 歯ブラシ
CN114025642B (zh) 牙刷
WO2022130770A1 (ja) 歯ブラシ
WO2020262341A1 (ja) 歯ブラシ
JP7466539B2 (ja) 歯ブラシ
WO2021131553A1 (ja) 歯ブラシ
CN214127439U (zh) 牙刷
CN216932264U (zh) 牙刷
WO2022137971A1 (ja) 歯ブラシ
JP7285832B2 (ja) 歯ブラシ
JP2024021493A (ja) 歯ブラ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