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9420A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9420A
KR20220029420A KR1020210111303A KR20210111303A KR20220029420A KR 20220029420 A KR20220029420 A KR 20220029420A KR 1020210111303 A KR1020210111303 A KR 1020210111303A KR 20210111303 A KR20210111303 A KR 20210111303A KR 20220029420 A KR20220029420 A KR 20220029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ttachment part
sensor
vehicle body
work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모시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29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94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60R19/483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with obstacle sensors of electric or electronic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4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means of movable mas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B51/00 - A01B75/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08Improving mounting or assembling, e.g. frame elements, disposition of all the components on the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8Counter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장해물 센서의 검지 정밀도의 저하를 저감할 수 있는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실시형태의 일형태에 따른 작업 차량(1)은, 주행 차체(2)와, 웨이트(14)와, 웨이트 부착부(13)와, 센서 부착부(40)를 구비한다. 주행 차체(2)는 적어도 후방부에 작업기(W)가 장착 가능하다. 웨이트(14)는, 판 형상이며, 기체에 있어서의 전후 중량의 밸런스를 조정한다. 웨이트 부착부(13)는, 주행 차체(2)의 전단에 있어서 엔진(E)보다 하방에 설치되고, 웨이트(14)의 주면이 주행 차체(2)의 전후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부착된다. 센서 부착부(40)는 웨이트 부착부(13)에 고정되고, 웨이트(14)의 전방에 장해물 센서(20)가 부착된다.

Description

작업 차량{WORKING VEHICLE}
본 발명은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기체의 전방부에 장해물 센서가 배치된 작업 차량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09-118846호 공보
그러나, 종래는, 주행 차체의 전방부에 기체의 전후 중량의 밸런스를 조정하는 웨이트나, 웨이트 부착부가 부착된 경우, 웨이트나 웨이트 부착부에 의해 검지범위가 좁아짐으로써 검지 정밀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장해물 센서의 검지 정밀도의 저하를 저감할 수 있는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시형태의 일형태에 따른 작업 차량(1)은, 주행 차체(2)와, 웨이트(14)와, 웨이트 부착부(13)와, 센서 부착부(40)를 구비한다. 상기 주행 차체(2)는 적어도 후방부에 작업기(W)가 장착 가능하다. 상기 웨이트(14)는, 판 형상이며, 기체에 있어서의 전후 중량의 밸런스를 조정한다. 상기 웨이트 부착부(13)는, 상기 주행 차체(2)의 전단에 있어서 엔진(E)보다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웨이트(14)의 주면이 상기 주행 차체(2)의 전후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부착된다. 상기 센서 부착부(40)는 상기 웨이트 부착부(13)에 고정되고, 상기 웨이트(14)의 전방에 장해물 센서(20)가 부착된다.
실시형태의 일형태에 의하면, 장해물 센서의 검지 정밀도의 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작업 차량의 설명도이며, 작업 차량의 개략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웨이트 부착부 및 센서 부착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웨이트 부착부 및 센서 부착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트랙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트랙터의 상면도이다.
도 6은 변형예에 따른 웨이트 부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변형예에 따른 웨이트 부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각 고정판의 사이에 1개의 웨이트가 배치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본원이 개시하는 작업 차량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작업 차량(트랙터)(1)의 전체 구성>
우선, 도 1을 참조해서 작업 차량(1)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작업 차량(1)의 설명도이며, 작업 차량(1)의 개략 좌측면도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작업 차량(1)으로서 트랙터를 예로 설명한다. 작업 차량인 트랙터(1)는 자주하면서 포장 등에서 작업을 행하는 농용 트랙터이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전후 방향이란, 트랙터(1)의 직진시에 있어서의 진행 방향이며, 진행 방향의 전방측을 「전」, 후방측을 「후」라고 규정한다. 트랙터(1)의 진행 방향이란, 직진시에 있어서, 후술하는 조종석(8)으로부터 스티어링휠(9)을 향하는 방향이다(도 1 참조).
좌우 방향이란, 전후 방향에 대하여 수평으로 직교하는 방향이다. 이하에서는, 「전」측을 향해서 좌우를 규정한다. 즉, 트랙터(1)의 조종자(「작업자」라고도 한다)가 조종석(8)에 착석해서 전방을 향한 상태에서, 왼손측이 「좌」, 오른손측이 「우」이다.
상하 방향이란 연직 방향이다.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은 서로 직교한다. 또한, 각 방향은 설명의 편의상 정의한 것이며, 이들 방향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는, 트랙터(1)를 가리켜서 「기체」라고 할 경우가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랙터(1)는 주행 차체(2)와 작업기(W)를 구비한다. 주행 차체(2)는, 프론트 범퍼(12)와, 전륜(4)과, 후륜(5)과, 보닛(6)과, 엔진(E)과, 조종부(7)와, 미션 케이스(10)를 구비한다. 주행 차체(2)의 전방부는 주로 엔진(E)과 프론트 범퍼(12)에 의해 지지되고, 후방부는 주로 미션 케이스(10)에 의해 지지된다.
전륜(4)은, 좌우 한쌍이며, 주로 조타용의 차륜, 즉, 조타륜이 된다. 후륜(5)은, 좌우 한쌍이며, 주로 구동용의 차륜, 즉, 구동륜이 된다. 트랙터(1)는, 후륜(5)이 구동하는 이륜 구동(2WD)과, 전륜(4) 및 후륜(5)이 함께 구동하는 사륜 구동(4WD)을 스위칭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구동륜은 전륜(4) 및 후륜(5)의 양방이다.
보닛(6)은 주행 차체(2)의 전방부에 있어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닛(6)은, 후방부를 회동 중심으로 해서, 도면 중, 화살선(R)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개폐) 가능하다. 또한, 보닛(6)은 닫힌 상태에서 미션 케이스(10)에 연결된 엔진(E)의 상부를 덮는다. 엔진(E)은 트랙터(1)의 구동원이며, 디젤 기관이나 가솔린 기관 등의 열기관이다.
조종부(7)는, 주행 차체(2)의 상부에 설치되고, 조종석(8)이나 스티어링 휠(9) 등을 구비한다. 또한, 조종부(7)는 주행 차체(2)의 상부에 설치된 캐빈(7a)에 덮임으로써 형성되어도 좋다. 조종석(8)은 조종자의 좌석이다. 스티어링 휠(9)은 조타륜인 전륜(4)을 조타할 경우에 조종자에 의해 조작된다. 또한, 조종부(7)는스티어링 휠(9)의 전방에,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미터 패널)를 구비한다.
또한, 조종부(7)는, 전후진 레버, 액셀 레버, 주변속 레버, 부변속 레버 등의 각종 조작 레버나, 액셀 페달, 브레이크 페달, 클러치 페달 등의 각종 조작 페달을 구비한다.
미션 케이스(10)는 트랜스미션(변속 기구)을 수용하고 있다. 트랜스미션은, 엔진(E)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회전 동력)을 적당히 감속해서 구동륜인 후륜(5)이나, 후술하는 PTO(Power Take-off)축(11)에 전달한다.
PTO축(11)은 미션 케이스(1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PTO축(11)은, 트랜스미션에 의해 적당히 감속된 회전 동력을, 주행 차체(2)의 적어도 후방부에 장착된 작업기(W)에 전달한다. 작업기(W)는 포장 내에서 작업을 행하는 기계이며, 예를 들면, 경전 작업을 행하는 로터리 경운기나, 시비 작업을 행하는 시비기이다.
또한, 트랙터(1)는 웨이트 부착부(13)를 구비한다. 웨이트 부착부(13)는 주행 차체(2)의 프론트 범퍼(12)의 전방에 설치된다. 프론트 범퍼(12)는 엔진(E)을 덮는 보닛(6)보다 하방에 배치되는 부재이다. 즉, 웨이트 부착부(13)는, 주행 차체(2)의 전단에 있어서 엔진(E)보다 하방에 설치된다. 또한, 웨이트 부착부(13)에는, 주행 차체(2)의 후방부에 작업기(W)가 장착된 트랙터(1)에 있어서의 전후 중량의 밸런스를 조정하는 판 형상의 웨이트(14)가 부착된다. 또한, 웨이트(14)는, 주면이 주행 차체(2)의 전후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부착되지만, 이러한 점에 대해서는 도 8에서 후술한다.
또한, 트랙터(1)는 장해물 센서(20)와 센서 부착부(40)를 더 구비한다. 장해물 센서(20)는, 예를 들면,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Laser Imaging Detection and Ranging)이며, 트랙터(1)의 전방에 존재하는 장해물을 검지한다. 센서 부착부(40)는, 장해물 센서(20)가 부착되는 부재이며, 웨이트(14)와 함께 웨이트 부착부(13)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장해물 센서(20)는, 웨이트 부착부(13)보다 하방에 있어서, 웨이트(14)의 전방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장해물 센서(20)가 웨이트 부착부(13)보다 하방에 배치되고, 또한, 웨이트(14)보다 전방에 배치됨으로써, 웨이트 부착부(13) 및 웨이트(14)에 의해 검지 범위가 좁아지기 어렵기 때문에, 장해물 센서(20)의 검지 정밀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웨이트 부착부(13) 및 센서 부착부(40)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웨이트 부착부(13) 및 센서 부착부(40)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는, 웨이트 부착부(13)에 센서 부착부(40)만(웨이트(14)가 없는 상태)을 부착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이트 부착부(13)는 상하 방향이 개구된 프레임 형상이다. 구체적으로는, 웨이트 부착부(13)는, 전방벽(13a), 후방벽(13b) 및 측방벽(13c, 13d)을 갖는 상면으로 보아 직사각형상의 프레임 형상이다.
전방벽(13a)은 웨이트 부착부(13)에 있어서의 전단에 위치한다. 후방벽(13b)은, 전방벽(13a)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프론트 범퍼(12)와 접촉하는 부위이다. 측방벽(13c)은 우측방에 위치하고, 전방벽(13a) 및 후방벽(13b)의 우단과 연결한다. 측방벽(13d)은 좌측방에 위치하고, 전방벽(13a) 및 후방벽(13b)의 좌단과 연결한다.
센서 부착부(40)는 프레임 형상인 웨이트 부착부(13)의 개구에 삽입된 위치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센서 부착부(40)는 판 형상의 부재이며, 양단이 양측의 측방벽(13c, 13d)에 협지된 상태에서 배치된다.
또한, 센서 부착부(40)는 웨이트 부착부(13)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연장되어 있다. 즉, 센서 부착부(40)는 웨이트 부착부(13)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는다. 그리고 장해물 센서(20)는 센서 부착부(40)의 돌출부에 부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센서 부착부(40)의 돌출부는, 웨이트 부착부(13)의 하방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전방을 향해서 굴곡되어 있다. 즉, 센서 부착부(40)의 돌출부는 측면으로 보아 L자 형상이다. 그리고, 장해물 센서(20)는 센서 부착부(40)의 돌출부 중 전방으로 굴곡된 선단부에 배치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 부착부(40)에는 구멍부(41)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멍부(41)는 장해물 센서(20)의 바로 뒤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장해물 센서(20)의 배선을 구멍부(41)에 통과시켜서 주행 차체(2)의 각종 제어 장치에 배색할 수 있다.
또한, 웨이트 부착부(13) 및 센서 부착부(40)는, 일체로 구성되어도 좋고, 각각 별도의 부재로 구성해서 나사 등의 체결구에 의해 고정해도 좋다.
이어서, 도 4 및 도 5를 이용하여, 웨이트(14)의 부착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트랙터(1)의 측면도이다. 도 5는 트랙터(1)의 상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이트(14)는 센서 부착부(40)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장해물 센서(20)의 검지 범위가 좁아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이트(14)는, 주면이 전후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부착됨과 아울러, 전후 방향으로 배열하여 복수 배치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이트(14)는 웨이트 부착부(13)에 대하여 좌우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웨이트(14)는, 웨이트 부착부(13)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측방벽(13c, 13d)에 맞물린 상태에서 고정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서는, 측방벽(13c, 13d) 각각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6개(합계 12개)의 웨이트(14)가 부착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벽(13a)은 장해물 센서(20)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즉, 웨이트 부착부(13)의 전단은 장해물 센서(20)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전방의 장해물 등이 장해물 센서(20)에 접촉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장해물 센서(20)는, 웨이트 부착부(13)보다 하방에 배치됨과 아울러, 검지 범위가 전방의 수평 방향의 범위이기 때문에, 웨이트 부착부(13)의 전단에 의해 검지 범위가 좁아질 일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따른 트랙터(1)는, 주행 차체(2)와, 웨이트 부착부(13)와, 웨이트(14)와, 센서 부착부(40)를 구비한다. 주행 차체(2)는 적어도 후방부에 작업기(W)가 장착 가능하다. 웨이트(14)는 판 형상이며, 기체에 있어서의전후 중량의 밸런스를 조정한다. 웨이트 부착부(13)는, 주행 차체(2)의 전단에 있어서 엔진(E)보다 하방에 설치되고, 웨이트(14)의 주면이 주행 차체(2)의 전후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부착된다. 센서 부착부(40)는 웨이트 부착부(13)에 고정되고, 웨이트(14)의 전방에 장해물 센서(20)가 부착된다. 이것에 의해, 장해물 센서(20)의 검지 정밀도의 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웨이트 부착부(13)의 형상은 일례이며, 예를 들면,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형상을 채용해도 좋다. 도 6 및 도 7을 이용하여 웨이트 부착부(13)의 다른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변형예에 따른 웨이트 부착부(13)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이트 부착부(13)는 센서 부착부(40)의 후방에 칸막이판(131)을 가져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칸막이판(131)은 웨이트(14)(도시하지 않음) 및 센서 부착부(40)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웨이트(14)가 전방으로 미끄러져 이동했다고 해도 센서 부착부(40)에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칸막이판(131)은 웨이트 부착부(13)의 양측의 측방벽(13c, 13d)에 협지된 상태에서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웨이트 부착부(13)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센서 부착부(40) 및 칸막이판(131)은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웨이트(14)가 칸막이판(131)에 접촉했을 때에 센서 부착부(40)를 통해서 장해물 센서(20)에 전해지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이트 부착부(13)는, 칸막이판(131)에 추가해서,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웨이트(14) 각각을 고정하는 고정판(132)을 가져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고정판(132)은 전후 방향으로 이웃하는 웨이트(14)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웨이트(14)끼리가 미끄러져서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정판(132)은, 칸막이판(131)과 마찬가지로, 웨이트 부착부(13)의 양측의 측방벽(13c, 13d)에 협지된 상태에서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웨이트 부착부(13)의 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각 고정판(132)의 전후 방향의 간격은, 웨이트 1개분의 두께라도 좋고, 웨이트 복수개분의 두께라도 좋다. 즉, 각 고정판(132)의 사이에 1개의 웨이트(14)가 배치되어도 좋고, 복수의 웨이트(14)가 배치되어도 좋다.
도 8은, 각 고정판(132)의 사이에 1개의 웨이트(14)가 배치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각 고정판(132)의 사이에는 좌우 양측에 2개의 웨이트(14)가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각 웨이트(14)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우러,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2개의 웨이트(14)의 위치를 맞출 수 있기 때문에,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량 밸런스의 편차를 저감할 수 있다.
보다 나은 효과나 변형예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보다 광범한 형태는, 이상과 같이 나타내고 또한 기술한 특정의 상세 및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첨부의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의되는 총괄적인 발명의 개념의 정신 또는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1 : 트랙터
2 : 주행 차체
3 : 차체 프레임
4 : 전륜
5 : 후륜
6 : 보닛
7 : 조종부
7a : 캐빈
8 : 조종석
9 : 스티어링 휠
10 : 미션 케이스
11 : PTO축
12 : 프론트 범퍼
13 : 웨이트 부착부
14 : 웨이트
20 : 장해물 센서
40 : 센서 부착부
41 : 구멍부
131 : 칸막이판
132 : 고정판
E : 엔진
W : 작업기

Claims (7)

  1. 적어도 후방부에 작업기가 장착 가능한 주행 차체와,
    기체에 있어서의 전후 중량의 밸런스를 조정하는 판 형상의 웨이트와,
    상기 주행 차체의 전단에 있어서 엔진보다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웨이트의 주면이 상기 주행 차체의 전후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부착되는 웨이트 부착부와,
    상기 웨이트 부착부에 고정되고, 상기 웨이트의 전방에 장해물 센서가 부착되는 센서 부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상기 센서 부착부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부착부는,
    상기 웨이트 부착부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장해물 센서는,
    상기 돌출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 부착부는,
    상기 웨이트 및 상기 센서 부착부의 사이에 칸막이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상기 전후 방향으로 배열하여 복수 배치되고,
    상기 웨이트 부착부는,
    이웃하는 상기 웨이트의 사이에 고정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 부착부는,
    상기 주행 차체의 상하 방향이 개구된 프레임 형상이며,
    상기 웨이트는,
    상기 웨이트 부착부에 있어서의 상기 주행 차체의 좌우 방향의 측방벽에 맞물린 상태에서 고정되고,
    상기 센서 부착부는,
    양측의 상기 측방벽에 협지된 상태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 부착부의 전단은,
    상기 장해물 센서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KR1020210111303A 2020-08-28 2021-08-24 작업 차량 KR202200294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44795A JP7396232B2 (ja) 2020-08-28 2020-08-28 作業車両
JPJP-P-2020-144795 2020-08-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420A true KR20220029420A (ko) 2022-03-08

Family

ID=80440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303A KR20220029420A (ko) 2020-08-28 2021-08-24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396232B2 (ko)
KR (1) KR20220029420A (ko)
CN (1) CN11410412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8846A (ja) 2008-11-25 2009-06-04 Iseki & Co Ltd 乗用型田植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0787A (en) * 1968-06-06 1970-01-20 Tygart Ind Inc Tractor counterweight assembly
US4232883A (en) * 1979-03-19 1980-11-11 Ford Motor Company Counterweight assembly for a vehicle
JP2007125948A (ja) * 2005-11-01 2007-05-24 Yanmar Co Ltd トラクタのウエイトハンガーバー
DE102012011265A1 (de) * 2012-06-07 2013-12-12 Andreas Röcker Modulares Kontergewicht
JP2017171253A (ja) * 2016-03-25 2017-09-28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作業車輌
JP6863358B2 (ja) * 2018-10-26 2021-04-21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8846A (ja) 2008-11-25 2009-06-04 Iseki & Co Ltd 乗用型田植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104126A (zh) 2022-03-01
JP2022039658A (ja) 2022-03-10
JP7396232B2 (ja) 202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123364A (ja) 草刈機
JP2000335452A (ja) 作業機の運転部構造
EP3643588B1 (en) Work vehicle
US20110303045A1 (en) Control Lever Device for Work Vehicle
KR20220029420A (ko) 작업 차량
JP7396234B2 (ja) 作業車両
JPS6223299Y2 (ko)
JP7484390B2 (ja) 作業車両
KR20220059402A (ko) 작업 차량
JP2021096601A (ja) 作業車両
US5038885A (en) Four-wheel drive work vehicle
JP2017182715A (ja) 作業機
EP3842273B1 (en) Working vehicle
JP2021165064A (ja) 作業車
US20230347739A1 (en) Display device and work vehicle
JP7196807B2 (ja) 作業車両
US20230371423A1 (en) Work vehicle
JP2024053256A (ja) 作業車両
KR102709728B1 (ko) 작업 차량
JP6881394B2 (ja) 作業車両
JPH0613027Y2 (ja) 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
JPH07290983A (ja) 乗用管理機
CN116945897A (zh) 显示装置以及作业车辆
JP2023179943A (ja) 作業車両
JP2020093625A (ja) 作業車両、および燃料タンクの機体への組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