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8770A - 차량 다이얼 노브 - Google Patents

차량 다이얼 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8770A
KR20220028770A KR1020200110232A KR20200110232A KR20220028770A KR 20220028770 A KR20220028770 A KR 20220028770A KR 1020200110232 A KR1020200110232 A KR 1020200110232A KR 20200110232 A KR20200110232 A KR 20200110232A KR 20220028770 A KR20220028770 A KR 20220028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knob
vehicle
dial knob
switch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균
류재윤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0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8770A/ko
Publication of KR20220028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7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01H25/065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using separate operating parts, e.g. a push button surrounded by a rotating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차량 다이얼 노브가 개시된다. 차량 다이얼 노브는, 차량에 설치되는 다이얼 노브로서, 차량 내부의 센터페시아 위치에 설치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돌출되는 제1 중공 돌부를 포함하는 절연 케이스부와,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제1 마그네틱부재와, 제1 중공 돌부의 외부에 삽입되는 제2 중공 돌부를 포함하여 절연케이스의 외부에 삽입되며 제2 중공 돌부의 외표면에는 제1 방향을 따라 다단 걸림부가 돌출되는 절연축부와, 제2 중공 돌부의 외표면에 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노브 케이스부와, 노브 케이스의 외표면에서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누름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단이 다단 걸림부에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걸리는 스위치부재와, 노브 케이스부에 설치되어 스위치부재가 다단 걸림부에 걸림 해제시에 노브 케이스부가 절연 케이스부 방향으로 자력에 의해 이동되도록 하는 제2 마그네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다이얼 노브{DIAL KNOB FOR VEHICLE}
본 발명은 하나의 다이얼 노브를 이용하여 복합 기능의 제어가 가능한 차량 다이얼 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시보드와 같은 차량 실내의 내장재에는 공조장치에서 발생된 냉기 또는 온기를 차실내로 토출하기 위하여 에어벤트가 설치되고, 에어벤트의 측부에는 송풍량을 조절할 수 있는 다이얼 노브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다이얼 노브는 에어 벤트의 풍량 또는 실내 온도를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풍량 또는 온도의 조절을 위해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이얼 노브는 제어하고자 하는 온도 또는 풍량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설치되는 바, 미려한 센터페시아 디자인 구현이 제한되고 사용자 조작성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의 다이얼 노브를 이용하여 풍량 또는 실내 온도 등의 복합 기능의 제어가 가능하고 차량 내부의 센터페시아 위치의 미려한 디자인 구현이 가능한 차량 다이얼 노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설치되는 다이얼 노브로서, 차량 내부의 센터페시아 위치에 설치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돌출되는 제1 중공 돌부를 포함하는 절연 케이스부와,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제1 마그네틱부재와, 제1 중공 돌부의 외부에 삽입되는 제2 중공 돌부를 포함하여 절연케이스의 외부에 삽입되며 제2 중공 돌부의 외표면에는 제1 방향을 따라 다단 걸림부가 돌출되는 절연축부와, 제2 중공 돌부의 외표면에 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노브 케이스부와, 노브 케이스의 외표면에서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누름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단이 다단 걸림부에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걸리는 스위치부재와, 노브 케이스부에 설치되어 스위치부재가 다단 걸림부에 걸림 해제시에 노브 케이스부가 절연 케이스부 방향으로 자력에 의해 이동되도록 하는 제2 마그네틱부재를 포함한다.
다단 걸림부는 제2 중공 돌부의 외표면에 방사상의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단 걸림부는, 제2 중공 돌부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스위치부재의 단부가 다단으로 걸림 고정될 수 있다.
다단 걸림부는, 제2 중공 돌부의 외표면의 제1 위치에 형성되어 스위치부재의 단부가 제1 높이로 위치되는 제1 안착부와, 제1 안착부의 측면의 제2 위치에서 스위치부재의 단부가 제2 높이로 위치되는 제2 안착부와, 제2 안착부의 측면의 제3 위치에서 스위치부재의 단부가 제3 높이로 위치되는 제3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착부와 제2 안착부의 사이는 제1 경사돌부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안착부와 제3 안착부의 사이는 제1 경사돌부와 상이한 높이의 제2 경사돌부로 연결될 수 있다.
노브 케이스에는 스위치부재가 삽입되는 스위치홀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스위치부재의 측면에 돌출되는 판스프링과, 스위치홀의 내벽면에 다단으로 굴곡되어 돌출되며 스위치부재의 위치에 따라 다단으로 탄성 접촉되는 제1 탄성 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 돌부는, 스위치홀의 내벽면에 고정되는 고정 지지부와, 고정 지지부의 상단에서 굴곡된 상태로 연장되며 스위치부재가 제1 안착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판스프링이 접촉되는 제1 돌부와, 제1 돌부에 굴곡된 상태로 연장되며 스위치부재가 제3 안착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판스프링이 접촉되는 제2 돌부와, 제2 돌부에 굴곡된 상태로 연장되며 스위치부재가 제2 안착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판스프링이 접촉되는 제3 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부재의 외표면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는 스프링부재와, 스위치홀의 내벽면에서 스프링부재에 접촉되는 탄성 재질의 제2 탄성 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설치되는 다이얼 노브로서, 차량 내부의 센터페시아 위치에 설치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돌출되는 제1 중공 돌부를 포함하는 절연 케이스부와,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제1 마그네틱부재와, 제1 중공 돌부의 외부에 삽입되는 제2 중공 돌부를 포함하여 절연케이스의 외부에 삽입되며 제2 중공 돌부에는 제1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회전 걸림부가 회전 가능하게 돌출되는 절연축부와, 제2 중공 돌부의 외표면에 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노브 케이스부와, 노브 케이스의 내표면에 돌출되어 복수개의 회전 걸림부에 다단 접촉되는 걸림 돌부와, 노브 케이스부에 설치되어 걸림 돌부가 회전 걸림부에 걸림 해제시에 노브 케이스부가 절연 케이스부 방향으로 자력에 의해 이동되도록 하는 제2 마그네틱부재를 포함한다.
회전 걸림부는, 절연 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측면에는 걸림 돌부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걸림부는, 절연 축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표면에는 회전 각도에 따라 절연 축부의 외표면에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회전 바디와, 회전 바디에 회전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홈에는 걸림 돌부에 접촉하는 위치에 댐퍼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걸림 돌부는, 노브 케이스의 내표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 바디와, 걸림 바디에 회전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 스프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이얼 노브를 여러개 설치하지 않고 하나의 다이얼 노브를 이용하여 온도 또는 풍량 등의 복합 제어가 가능한 바,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고 다이얼 노브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미려한 디자인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다이얼 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 다이얼 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차량 다이얼 노브에 스위치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차량 다이얼 노브의 내부에 스위치부재가 탄성부재에 의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재의 1단 위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재의 2단 위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재의 3단 위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다이얼 노브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차량 다이얼 노브의 노브 케이스부의 슬라이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차량 다이얼 노브의 노브 케이스부가 더욱 슬라이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 걸림부와 걸림 돌부의 접촉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 걸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 걸림부와 걸림 돌부의 접촉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다이얼 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 다이얼 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차량 다이얼 노브에 스위치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차량 다이얼 노브의 내부에 스위치부재가 탄성부재에 의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다이얼 노브(100)는, 차량 내부의 센터페시아 위치에 설치된 베이스부(11)와 베이스부(11)에 돌출되는 제1 중공 돌부(13)를 포함하는 절연 케이스부(10)와, 베이스부(11)에 설치되는 제1 마그네틱부재(15)와, 제1 중공 돌부(13)의 외부에 삽입되는 제2 중공 돌부(21)를 포함하여 절연 케이스부(10)의 외부에 삽입되며 제2 중공 돌부(21)의 외표면에는 제1 방향을 따라 다단 걸림부(23)가 돌출되는 절연축부(20)와, 제2 중공 돌부(21)의 외표면에 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노브 케이스부(30)와, 노브 케이스부(30)의 외표면에서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누름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단이 다단 걸림부(23)에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걸리는 스위치부재(40)와, 노브 케이스부(30)에 설치되어 스위치부재(40)가 다단 걸림부(23)에 걸림 해제시에 노브 케이스부(30)가 절연 케이스부 방향으로 자력에 의해 이동되도록 하는 제2 마그네틱부재(31)를 포함한다.
절연 케이스부(10)는 차량의 센터페시아에 설치되는 것으로, 베이스부(11)와 베이스부(11)에 돌출되는 제1 중공 돌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1)는 센터페시아 위치에 고정되는 것으로, 중앙에는 차량 내부 공간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중공 돌부(13)가 돌출될 수 있다.
제1 중공 돌부(13)는 관통홀이 형성된 관 타입으로 베이스부(11)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11)에는 제1 중공 돌부(13)가 형성된 하부 위치에 제1 마그네틱부재(15)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마그네틱부재(15)는 제1 중공 돌부(13)의 하부의 외표면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노브 케이스부(30)에 설치된 제2 마그네틱부재(31)와 작용하여 노브 케이스부(30)가 자력에 의해 이동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마그네틱부재(15)와 제2 마그네틱부재(31)는 사용자의 미조작시 노브 케이스부(30)가 원상태로 위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절연 케이스부(10)의 제1 중공 돌부(13)의 외부에는 절연축부(20)가 삽입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절연축부(20)는 제1 중공 돌부(13)의 외부에 삽입되는 제2 중공 돌부(21)가 형성되는 것으로, 절연 케이스부(10)의 외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절연축부(20)의 외표면에는 복수개의 다단 걸림부(2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단 걸림부(23)는 본 실시예에서 제2 중공 돌부(21)의 외표면 둘레에 4개가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중공 돌부(21)의 외표면에 복수개의 다단 걸림부(23)가 형성되는 것은, 후술하는 노브 케이스부(30)에 설치되는 스위치부재(40)의 단부가 선택적으로 걸려서 노브 케이스부(30)의 다단 슬라이딩 작동이 이루어지기 위함이다.
이러한 다단 걸림부(2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중공 돌부(21)의 외표면의 제1 위치에 형성되어 스위치부재(40)의 단부가 제1 높이로 위치되는 제1 안착부(23a)와, 제1 안착부(23a)의 측면의 제2 위치에서 스위치부재(40)의 단부가 제2 높이로 위치되는 제2 안착부(23b)와, 제2 안착부(23b)의 측면의 제3 위치에서 스위치부재(40)의 단부가 제3 높이로 위치되는 제3 안착부(23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안착부(23a)와 제2 안착부(23b) 및 제3 안착부(23c)는 제2 중공 돌부(21)의 외표면에서 제1 방향을 따라 긴 길이로 연결된 상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부재(40)는 사용자의 조작 제어에 따라 제1 안착부(23a)와 제2 안착부(23b) 및 제3 안착부(23c)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안착부(23a)와 제2 안착부(23b)의 사이는 제1 경사돌부(23d)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안착부(23b)와 제3 안착부(23c)의 사이는 제1 경사돌부(23d)와 상이한 높이의 제2 경사돌부(23e)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경사돌부(23d)와 제2 경사돌부(23e)가 다단 걸림부(23)에 상이한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바, 사용자가 한 쌍의 스위치부재(40)를 함께 눌러 파지한 상태에서 노브 케이스부(3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작동시 스위치부재(40)의 단부가 제1 경사돌부(23d)와 제2 경사돌부(23e)에 접촉되는 높이를 인지하여 이동 슬라이딩 이동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노브 케이스부(30)는 절연축부(20)의 외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절연축부(20)의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다단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노브 케이스부(30)의 다단 이동 작동은 3단으로 이동 작동되는 것으로, 1단은 온도 조절, 2단 및 3단은 풍량의 세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 이동 작동될 수 있다. 물론, 노브 케이스부(30)의 다단 이동 작동에 따라 온도 또는 풍량이 조절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음량 등의 소정의 기능의 변경 제어에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노브 케이스부(30)의 외표면에는 4개의 스위치홀(32)이 다단 걸림부(23)가 형성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홀(32)의 내부에는 스위치부재(40)가 누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스위치부재(40)는 일단은 손가락으로 누름 가능하게 스위치홀(32)의 외부에 돌출되고 타단은 스위치홀(32)의 내부에서 다단 걸림부(23)에 선택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부재(40)는 탄성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스위치부재(40)의 일단을 누르는 경우 탄성부재(5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다단 걸림부(23)에 스위치부재(40)의 타단이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부재(40)는 누름 작동 해제시 탄성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최초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탄성부재(50)는 스위치부재(40)의 측면에 돌출되는 판스프링(51)과, 스위치홀(32)의 내벽면에 다단으로 굴곡되어 돌출되며 스위치부재(40)의 위치에 따라 다단으로 탄성 접촉되는 제1 탄성 돌부(53)와, 스위치부재(40)의 외표면 설치되는 스프링부재(56)에 접촉되어 스위치홀(32)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탄성 재질의 제2 탄성 돌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판스프링(51)은 일단은 스위치부재(40)의 측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 탄성 돌부(53) 방향으로 굴곡된 상태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판스프링(51)은 스위치부재(40)가 다단 걸림부(23)에서 높이가 상이하게 형성된 제1 안착부(23a)와 제2 안착부(23b) 또는 제3 안착부(23c)에 안착되는 높이에 따라 제2 탄성 돌부(55)에 접촉되는 위치를 달리하면서 접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탄성 돌부(53)는, 스위치홀(32)의 내벽면에 고정되는 고정 지지부(53a)와, 고정 지지부(53a)의 상부에 일체로 굴곡 연장 형성되는 제1 돌부(53b)와 제2 돌부(53c) 및 제3 돌부(53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부(53b)는 고정 지지부(53a)의 상단에서 굴곡된 상태로 연장되며 스위치부재(40)가 제1 안착부(23a)에 위치된 상태에서 판스프링(51)이 접촉될 수 있다.
제2 돌부(53c)는 제1 돌부(53b)의 하부에 굴곡된 상태로 연장되며 스위치부재(40)가 제3 안착부(23c)에 위치된 상태에서 판스프링(51)이 접촉될 수 있다.
제3 돌부(53d)는 제2 돌부(53c)의 하부에 굴곡된 상태로 연장되는 것으로, 스위치부재(40)가 제2 안착부(23b)에 위치된 상태에서 판스프링(51)이 접촉되도록 굴곡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스위치홀(32)의 내벽면에는 제1 탄성 돌부(53)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2 탄성 돌부(55)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탄성 돌부(55)는 스위치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한 이동 작동을 보조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스위치부재(40)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는 스프링부재(56)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탄성 돌부(55)는 스위치홀(32)의 내벽면에 판 스프링 타입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가 스프링부재(56)에 접촉되는 바, 스위치부재(40)이 이동 작동이 탄성력에 의해 보조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차량 다이얼 노브의 작동일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재의 1단 위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위치부재(40)의 일단을 눌러 가압하여 스위치부재(40)의 단부가 제1 안착부(23a)에 위치되도록 노브 케이스부(3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판스프링(51)은 제1 탄성 돌부(53)의 상부에 형성된 제1 돌부(53b)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부재(40)가 제1 안착부(23a)에 위치된 상태는 노브 케이스부(30)의 1단 조절 상태로서 본 실시예에서 온도 조절 상태로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재의 2단 위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위치부재(40)의 일단을 눌러 가압한 상태에서 노브 케이스부(30)의 위치를 제1 안착부(23a)로부터 제2 안착부(23b)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판스프링(51)은 제1 탄성 돌부(53)의 상부에 형성된 제3 돌부(53d)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안착부(23a)와 제2 안착부(23b)의 사이는 제1 경사돌부(23d)로 연결되는 바, 사용자는 스위치부재(40)를 누르면서 노브 케이스부(30)를 이동시는 경우 제1 경사돌부(23d)의 높이를 손가락으로 인지하면서 노브 케이스부(30)를 2단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부재(40)가 제2 안착부(23b)에 위치된 상태는 노브 케이스부(30)의 2단 조절 상태로서 본 실시예에서 풍량 조절 상태로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재의 3단 위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위치부재(40)의 일단을 눌러 가압한 상태에서 노브 케이스부(30)의 위치를 제2 안착부(23b)로부터 제3 안착부(23c)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판스프링(51)은 제1 탄성 돌부(53)의 상부에 형성된 제2 돌부(53c)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안착부(23b)와 제3 안착부(23c)의 사이는 제1 경 돌부(23d)와 상이한 높이인 제2 경사돌부(23e)로 연결되는 바, 사용자는 스위치부재(40)를 누르면서 노브 케이스부(30)를 이동시는 경우 제2 경사돌부(23e)의 높이를 손가락으로 인지하면서 노브 케이스부(30)를 3단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스위치부재(40)를 누르지 않는 경우, 제1 마그네틱부재(15)와 제2 마그네틱부재(31)의 자력에 의해 노브 케이스부(30)는 최초 위치로 이동 작동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위치부재(40)를 눌러 가압한 상태에서 노브 케이스부(30)의 1단 내지 3단의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시켜 온도 또는 풍량 조절 등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차량 다이얼 노브(100)는, 다이얼 노브를 여러개 설치하지 않고 하나의 다이얼 노브를 이용하여 온도 또는 풍량 등의 복합 제어가 가능한 바,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고 다이얼 노브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미려한 디자인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다이얼 노브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차량 다이얼 노브의 노브 케이스부의 슬라이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차량 다이얼 노브의 노브 케이스부가 더욱 슬라이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 걸림부와 걸림 돌부의 접촉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다이얼 노브(200)는, 차량에 설치되는 다이얼 노브로서, 차량 내부의 센터페시아 위치에 설치된 베이스부(11)와 베이스부(11)에 돌출되는 제1 중공 돌부(21)를 포함하는 절연 케이스부(10)와, 베이스부(11)에 설치되는 제1 마그네틱부재(15)와, 제1 중공 돌부(21)의 외부에 삽입되는 제2 중공 돌부(21)를 포함하여 절연 케이스부(10)의 외부에 삽입되며 제2 중공 돌부(21)에는 제1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회전 걸림부(110)가 회전 가능하게 돌출되는 절연축부(20)와, 제2 중공 돌부(21)의 외표면에 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노브 케이스부(30)와, 노브 케이스부(30)의 내표면에 돌출되어 복수개의 회전 걸림부(110)에 다단 접촉되는 걸림 돌부(120)와, 노브 케이스부(30)에 설치되어 걸림 돌부(120)가 회전 걸림부(110)에 걸림 해제시에 노브 케이스부(30)가 절연 케이스부(10) 방향으로 자력에 의해 이동되도록 하는 제2 마그네틱부재(31)를 포함한다.
회전 걸림부(110)는, 절연 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측면에는 걸림 돌부(120)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걸림부(110)는 절연 축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 걸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 걸림부와 걸림 돌부의 접촉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걸림부(110)는, 절연 축부(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표면에는 회전 각도에 따라 절연 축부(20)의 외표면에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회전 바디(111)와, 회전 바디(111)에 회전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부재(113)를 포함한다.
회전 바디(111)는 절연 축부(2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즉, 회전 바디(111)는 절연 축부(20)의 내부에 힌지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걸림 돌부(120)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회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바디(111)에는 걸림 돌부(120)에 걸리는 걸림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바디(111)는 절연 축부(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회전 각도에 따라 걸림홈(112)이 절연 축부(20)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 바디(111)의 측면에는 걸림홈(112) 위치에 노출되도록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홈(112)에는 댐퍼부재(115)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댐퍼부재(115)는 걸림 바디(121)와 회전 바디(111)의 걸림 작동 과정에서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 바디(111)에는 제1 스프링부재(113)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스프링부재(113)는 회전 바디(111)가 최초 상태로 유지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노브 케이스부(30)의 내표면에 돌출되어 복수개의 회전 걸림부에 다단 접촉되는 걸림 돌부(120)가 설치될 수 있다.
걸림 돌부(120)는, 노브 케이스부(30)의 내표면에 설치되는 걸림 바디(121)와, 걸림 바디(121)에 회전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 스프링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바디(121)는 노브 케이스부(30)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바, 노브 케이스부(30)의 이동 과정에서 회전 바디(111)의 걸림홈(112)에 선택적으로 걸림 작용될 수 있다.
제2 스프링부재(123)는 걸림 바디(121)의 걸림 해체시 최초 상태로 회전 복원되도록 걸림 바디(121)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노브 케이스부(30)의 다단 작동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시켜 온도 또는 풍량 조절 등을 실시하는 경우, 회전 걸림부(110)와 걸림 돌부(120)의 서로간의 걸림 작용을 사용자가 인지하여 안정적인 온도 또는 풍량 조절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절연 케이스부 11...베이스부
13...제1 중공 돌부 15...제1 마그네틱부재
20...절연축부 21...제2 중공 돌부
23...다단 걸림부 23a..제1 안착부
23b..제2 안착부 23c..제3 안착부
23d..제1 경사돌부 23e..제2 경사돌부
30...노브 케이스부 31...제2 마그네틱부재
32...스위치홀 40...스위치부재
50...탄성부재 51..판스프링
53...제1 탄성돌부 53a..고정 지지부
53b..제1 돌부 53c..제2 돌부
53d..제3 돌부 110..회전 걸림부
111..회전 바디 113..제1 스프링부재
120..걸림 돌부 121...걸림 바디
123..제2 스프링부재

Claims (15)

  1. 차량에 설치되는 다이얼 노브로서,
    차량 내부의 센터페시아 위치에 설치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돌출되는 제1 중공 돌부를 포함하는 절연 케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제1 마그네틱부재;
    상기 제1 중공 돌부의 외부에 삽입되는 제2 중공 돌부를 포함하여 상기 절연케이스의 외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2 중공 돌부의 외표면에는 제1 방향을 따라 다단 걸림부가 돌출되는 절연축부;
    상기 제2 중공 돌부의 외표면에 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노브 케이스부;
    상기 노브 케이스의 외표면에서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누름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단이 상기 다단 걸림부에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걸리는 스위치부재; 및
    상기 노브 케이스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부재가 상기 다단 걸림부에 걸림 해제시에 상기 노브 케이스부가 상기 절연 케이스부 방향으로 자력에 의해 이동되도록 하는 제2 마그네틱부재;
    를 포함하는 차량 다이얼 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 걸림부는 상기 제2 중공 돌부의 외표면에 방사상의 복수개로 형성되는 차량 다이얼 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 걸림부는,
    상기 제2 중공 돌부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스위치부재의 단부가 다단으로 걸림 고정되는 차량 다이얼 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 걸림부는,
    상기 제2 중공 돌부의 외표면의 제1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부재의 단부가 제1 높이로 위치되는 제1 안착부;
    상기 제1 안착부의 측면의 제2 위치에서 상기 스위치부재의 단부가 제2 높이로 위치되는 제2 안착부; 및
    상기 제2 안착부의 측면의 제3 위치에서 상기 스위치부재의 단부가 제3 높이로 위치되는 제3 안착부;
    를 포함하는 차량 다이얼 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부와 상기 제2 안착부의 사이는 제1 경사돌부로 연결되는 차량 다이얼 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착부와 상기 제3 안착부의 사이는 상기 제1 경사돌부와 상이한 높이의 제2 경사돌부로 연결되는 차량 다이얼 노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케이스에는 상기 스위치부재가 삽입되는 스위치홀이 형성되는 차량 다이얼 노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스위치부재의 측면에 돌출되는 판스프링; 및
    상기 스위치홀의 내벽면에 다단으로 굴곡되어 돌출되며, 상기 스위치부재의 위치에 따라 다단으로 탄성 접촉되는 제1 탄성 돌부;
    를 포함하는 차량 다이얼 노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돌부는,
    상기 스위치홀의 내벽면에 고정되는 고정 지지부;
    상기 고정 지지부의 상단에서 굴곡된 상태로 연장되며 상기 스위치부재가 상기 제1 안착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판스프링이 접촉되는 제1 돌부;
    상기 제1 돌부에 굴곡된 상태로 연장되며 상기 스위치부재가 상기 제3 안착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판스프링이 접촉되는 제2 돌부; 및
    상기 제2 돌부에 굴곡된 상태로 연장되며 상기 스위치부재가 상기 제2 안착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판스프링이 접촉되는 제3 돌부;
    를 포함하는 차량 다이얼 노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재의 외표면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는 스프링부재; 및
    상기 스위치홀의 내벽면에서 상기 스프링부재에 접촉되는 탄성 재질의 제2 탄성 돌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 다이얼 노브.
  11. 차량에 설치되는 다이얼 노브로서,
    차량 내부의 센터페시아 위치에 설치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돌출되는 제1 중공 돌부를 포함하는 절연 케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제1 마그네틱부재;
    상기 제1 중공 돌부의 외부에 삽입되는 제2 중공 돌부를 포함하여 상기 절연케이스의 외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2 중공 돌부에는 제1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회전 걸림부가 회전 가능하게 돌출되는 절연축부;
    상기 제2 중공 돌부의 외표면에 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노브 케이스부;
    상기 노브 케이스의 내표면에 돌출되어 상기 복수개의 회전 걸림부에 다단 접촉되는 걸림 돌부; 및
    상기 노브 케이스부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 돌부가 상기 회전 걸림부에 걸림 해제시에 상기 노브 케이스부가 상기 절연 케이스부 방향으로 자력에 의해 이동되도록 하는 제2 마그네틱부재;
    를 포함하는 차량 다이얼 노브.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걸림부는,
    상기 절연 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측면에는 상기 걸림 돌부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차량 다이얼 노브.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걸림부는,
    상기 절연 축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표면에는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절연 축부의 외표면에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회전 바디;및
    상기 회전 바디에 회전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부재;
    를 포함하는 차량 다이얼 노브.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에는 상기 걸림 돌부에 접촉하는 위치에 댐퍼부재가 설치되는 차량 다이얼 노브.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부는,
    상기 노브 케이스의 내표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 바디; 및
    상기 걸림 바디에 회전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 스프링부재;
    를 포함하는 차량 다이얼 노브.
KR1020200110232A 2020-08-31 2020-08-31 차량 다이얼 노브 KR202200287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232A KR20220028770A (ko) 2020-08-31 2020-08-31 차량 다이얼 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232A KR20220028770A (ko) 2020-08-31 2020-08-31 차량 다이얼 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770A true KR20220028770A (ko) 2022-03-08

Family

ID=80812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232A KR20220028770A (ko) 2020-08-31 2020-08-31 차량 다이얼 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877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00771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CN105719882B (zh) 具有电容感测技术的复合式摇杆按钮
KR200474744Y1 (ko) 자동차용 에어벤트 다이얼
US20070103887A1 (en) Switching device and arrangement for detecting various positions of a door element
KR20220028770A (ko) 차량 다이얼 노브
KR100361785B1 (ko) 스위치 장치
KR101767967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의 그립 핸들
JP2007048478A (ja) スイッチ装置
JP2506435Y2 (ja) 換気装置
US3231732A (en) Illuminated cabinet structure
EP3772079A1 (en) Knob assembly
JP2002150878A (ja) 電気スイッチ
JP7530828B2 (ja) スイッチ装置
KR200363766Y1 (ko) 공조장치용 슬라이드 타입 스위치
JP2000123690A (ja) 複合スイッチ
JP2500429Y2 (ja) スイツチ装置
KR100248235B1 (ko) 캠코더의 렌즈 커버 개폐장치
JP2566917Y2 (ja) スイッチ装置
JP2000311554A (ja) スイッチ装置
WO2018180292A1 (ja) 操作装置
KR101766128B1 (ko) 기계식 히터 컨트롤 장치
KR100254606B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레치 구동장치
JP2571580Y2 (ja) スイッチ装置の節度機構
JPS6110288Y2 (ko)
JP2590447Y2 (ja) 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