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8712A -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 및 차량의 단차 조정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 및 차량의 단차 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8712A
KR20220028712A KR1020200110085A KR20200110085A KR20220028712A KR 20220028712 A KR20220028712 A KR 20220028712A KR 1020200110085 A KR1020200110085 A KR 1020200110085A KR 20200110085 A KR20200110085 A KR 20200110085A KR 20220028712 A KR20220028712 A KR 20220028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oor
step adjustment
adjustment mechanism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태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0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8712A/ko
Publication of KR20220028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7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doors, windows, openable roofs, lids, bonnets, or weather strips or seal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25Measuring of vehicle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조립시 상기 도어의 단차를 조정하고 동시에 도어 인너패널 내측의 실링간격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 및 차량의 단차 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는, 차량의 제1부재에 조립되는 제2부재의 둘레와 인접한 다른 부재의 단차를 조정하는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의 일측에 부착되는 고정블록(21)과, 상기 제2부재의 내측면을 향하도록 상기 고정블록(21)의 일측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단차 조정 볼트(23)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부재가 상기 제1부재에 가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단차 조정 볼트(23)를 이동시켜, 상기 제2부재 둘레의 단차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 및 차량의 단차 조정 방법{APPARATUS FOR ADJUSTING STEP DIFFERENCE OF VEHICLE AND METHOD FOR ADJUSTING STEP DIFFERENC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조립시 상기 도어의 단차를 조정하고 동시에 도어 인너패널 내측의 실링간격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 및 차량의 단차 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측면에는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도어가 설치된다.
이러한 도어는 폐쇄시 인접한 다른 도어 또는 차체와 동일한 면에 위치하도록 단차를 조정하여 조립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차량의 도어는 강판(鋼板)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마그네트를 이용항 단차를 조정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그네트(120)를 프런트 도어(111)와 리어 도어(112)의 경계면에 부착시키고, 상기 프런트 도어(111)와 상기 리어 도어(112)의 단차를 조정한 후, 상기 도어(111)(112)를 조립한다.
최근에는 상기 도어(111)(112)의 재질로서, 비철(非鐵), 비금속(非金屬)이 채택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는데, 비자성체인 비철재료는 상기 마그네트(120)를 이용한 방식으로 단차를 조정할 수 없었다.
예컨대, 상기 도어(111)(112)를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하는 경우, 상기 마그네트(120)가 상기 도어(111)(112)의 표면에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마그네트(120)를 이용하여 단차를 조정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이렇게, 비철재료 또는 비금속재료의 도어(111)(112)가 장착된 차량에서 단차가 조정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도어(111)(112)가 조립됨에 따라, 상기 도어(111)(112)간 또는 상기 도어(111)(112)와 상기 차체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고, 이는 조립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는 차량의 도어(111)(112)뿐만 아니라, 후드, 트렁크리드의 조립시에도 발생할 수 있다.
KR 10-1438625 B1(2014.09.01, 명칭 : 차량용 갭 및 단차 측정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차량의 도어 조립시, 도어 프레임 측에 설치하여, 상기 도어와 상기 도어 프레임 간의 간격을 조정하고, 상기 도어와 인접한 다른 도어 또는 차체와의 단차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 및 차량의 단차 조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는, 차량의 제1부재에 조립되는 제2부재의 둘레와 인접한 다른 부재의 단차를 조정하는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의 일측에 부착되는 고정블록과, 상기 제2부재의 내측면을 향하도록 상기 고정블록의 일측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단차 조정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부재가 상기 제1부재에 가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단차 조정 볼트를 이동시켜, 상기 제2부재 둘레의 단차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제1부재에 부착되는 부착부와, 상기 단차 조정 볼트가 나사결합되는 볼트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착부에 자력으로 상기 고정블록을 상기 제1부재에 부착시키는 마그네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차 조정 볼트에 고정되어 상기 단차 조정 볼트와 함께 이동하는 측정게이지와, 상기 측정게이지의 위치에 의해 상기 제2부재의 내측면과 상기 제1부재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눈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록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스케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케일은 상기 볼트설치부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정게이지는 상기 스케일의 상부면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차 조정 볼트의 헤드에 상기 단차 조정 볼트를 잡고 조작하는 노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차 조정 볼트에 상기 노브와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측정게이지의 단부를 구속하는 게이지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부재는 상기 차량의 도어 프레임이고, 상기 제2부재는 상기 도어 프레임에 힌지연결되어 조립되는 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도어 프레임의 일측에 부착되고, 상기 단차 조정 볼트는 상기 도어의 내측면으로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도어 프레임에서 탑승자가 출입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 도어 오프닝의 둘레를 형성하는 도어 플랜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는 알루미늄 합금을 재질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부재는 스틸(steel)을 재질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단차 조정 방법은, 상기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로 차량의 단차를 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고정블록을 제1부재의 일측에 부착시키는 부착 단계와, 제1부재에 가장착된 제2부재를 폐쇄시키는 폐쇄 단계와, 상기 단차 조정 볼트의 조정하면서, 상기 제2부재 둘레가 인접한 다른 부재와 같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단차를 제거하는 단차 조정 단계와, 가장착된 상기 제2부재를 상기 제1부재에 장착을 완료시키는 장착 완료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착 단계는, 상기 고정블록을 도어 프레임에서 도어 오프닝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된 도어 플랜지에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착 단계에서 상기 고정블록은 자력(磁力)으로 상기 제1부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 완료 단계이후, 상기 스케일의 상부면에서 상기 측정게이지의 단부가 위치한 지점의 눈금을 읽어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실링갭을 측정하는 실링갭 측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갭 측정 단계 이후, 상기 제1부재로부터 상기 단차 조정 기구를 탈거하는 탈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부재는 상기 차량의 도어 프레임이고, 상기 제2부재는 상기 도어 프레임에 힌지연결되어 조립되는 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착 단계에서 상기 단차 조정 기구는 상기 도어 프레임에서 탑승자가 출입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 도어 오프닝의 둘레를 형성하는 도어 플랜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에 따르면, 도어의 조립시, 인접한 다른 도어 또는 차체와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정할 수 있고, 도어와 차체 사이의 실링간격을 확인할 수 있다.
도어의 둘레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외관품질이 향상되고, 실링간격의 사전 확인으로 실링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차량의 도어의 재질에 상관없이, 단차 문제, 실링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의 단차를 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가 도어 프레임 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의 후면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를 이용하여 도어의 단차를 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단차 조정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 및 차량의 단차 조정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20)는, 차량의 제1부재의 일측에 부착되는 고정블록(21)과, 상기 차량의 제1부재에 조립되는 제2부재의 내측면을 향하도록 상기 고정블록(21)의 일측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단차 조정 볼트(23)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부재가 상기 제1부재에 가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단차 조정 볼트(23)를 이동시켜, 상기 제2부재 둘레의 단차를 조정한다.
이하에서는 제1부재를 차량의 도어 프레임(11)으로 하고, 제2부재를 상기 도어 프레임(12)에 조립되는 도어(13)를 예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20)는 상기 도어 프레임(11)과 상기 도어(13) 사이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조립되는 2개의 부재 사이의 단차를 확인하고 조정할 목적으로 사용가능한다. 예컨대, 차체와 상기 차체에 연결되어 엔진룸을 커버하는 후드 사이의 단차를 조정할 때에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차체와 상기 차체에 연결되어 트렁크를 커버하는 트렁크리드 사이의 단차를 조정할 때에도 사용될 수 있다.
고정블록(21)은 차량의 도어 프레임(11)의 일측에 부착된다.
상기 고정블록(21)은 상기 도어 프레임(11)에 부착되는 부착부(21a)와, 상기 부착부(21a)의 일측에 상기 부착부(21a)와 일체로 형성되고, 후술되는 단차 조정 볼트(23)가 나사결합되는 볼트설치부(21b)를 포함한다.
부착부(21a)는 블록의 형태, 즉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부착부(21a)의 일측면이 상기 도어 프레임(11)의 일측에 부착된다. 상기 부착부(21a)가 상기 도어 프레임(11)에 부착되는 부위는 도어 플랜지(12)가 된다. 상기 도어 플랜지(12)는 상기 차량의 차체에서 탑승자가 승하차하기 위해 관통되게 형성되고 도어(13)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 오프닝의 둘레를 형성한다.
상기 부착부(21a)의 일측면이 상기 도어 플랜지(12)에 면접촉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20)를 안정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다.
볼트설치부(21b)도 블록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부착부(21a)의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볼트설치부(21b)는 상기 부착부(21a)의 또 다른 일측면, 즉 상기 부착부(21a)에서 상기 도어 플랜지(12)에 부착되는 면에 인접하는 다른 면에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부착부(21a)와 상기 볼트설치부(21b)는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볼트설치부(21b)에 상기 볼트설치부(21b)를 관통하는 형태로 관통공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마그네트(22)는 상기 고정블록(21)의 일측, 즉 상기 부착부(21a)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마그네트(22)가 상기 부착부(21a)를 상기 도어 프레임(11)의 일측에 자력(磁力)으로 부착되도록 한다. 상기 도어 프레임(11)은 강판(鋼板)을 재질로 하기 때문에, 상기 마그네트(22)를 이용하여, 부착부(21a)가 상기 도어 플랜지(12)에 부찰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단차 조정 기구(20)를 상기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22)를 이용하여, 상기 부착부(21a)를 상기 제1부재, 즉 상기 도어 프레임(11)의 도어 플랜지(12)에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제2부재, 예컨대 상기 도어(13)의 단차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부재는 재질에 상관없이 단차를 조정할 수 있다.
단차 조정 볼트(23)는 상기 고정블록(21)의 일측, 즉 상기 볼트설치부(21b)를 관통하고, 상기 볼트설치부(21b)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단차 조정 볼트(23)는 헤드는 상기 차량의 내측을 향하도록 위치하고, 단부는 상기 차량의 외측을 향하도록 위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단차 조정 볼트(23)의 단부는 상기 제2부재, 즉 상기 도어(13)의 내측면에 인접하거나 접하도록 위치한다.
상기 단차 조정 볼트(23)는 상기 볼트설치부(21b)에 나사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단차 조정 볼트(23)를 회전시키면, 상기 단차 조정 볼트(23)는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단차 조정 볼트(23)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단차 조정 볼트(23)는 상기 제2부재에 인접하는 방향과 이격되는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이에 따라, 상기 볼트설치부(21b)에서 상기 단차 조정 볼트(23)의 위치를 조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제2부재의 단차를 조정한다.
상기 단차 조정 볼트(23)의 헤드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단차 조정 볼트(23)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노브(23a)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 조정 볼트(23)에서 상기 노브(23a)와 이격된 위치에 측정게이지(24)를 고정시키기 위한 게이지 고정부(23b)가 형성된다. 측정게이지(24)의 단부가 상기 단차 조정 볼트(23)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게이지 고정부(23b)에 의해 상기 측정게이지(24)가 고정된다.
측정게이지(24)와 스케일(25)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사이의 간격, 즉 실링갭을 확인하기 위해 구비된다.
측정게이지(24)는 상기 단차 조정 볼트(23)에 고정되어, 상기 단차 조정 볼트(23)와 일체로 이동한다. 상기 측정게이지(24)는 'ㄱ'자형상을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고, 단부가 상기 단차 조정 볼트(23)가 관통하고 있으며, 상기 게이지 고정부(23b)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다. 이에 따라 상기 측정게이지(24)는 상기 단차 조정 볼트(23)와 일체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사이의 간격, 즉 상기 도어 프레임(11)가 상기 도어(13)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여, 단차를 조정할 수 있다.
스케일(25)은 상기 볼트설치부(21b)의 상부면에 형성된다. 상기 스케일(25)에 상기 실링갭이 눈금으로 표시되어 있고, 상기 스케일(25)의 상부에서 상기 측정게이지(24)가 슬라이딩함으로써, 실링갭을 수치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단차 조정 볼트(23)를 이동시키고, 상기 스케일(25)을 통하여 실링갭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차종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차종에 적용할 수 있다. 즉, 각 차량의 제원에 맞게 상기 단차 조정 볼트(23)를 이동시킴으로써, 여러 종류의 차종의 실링갭을 확인하면서, 단차를 없앨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단차 조정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부착 단계(S110)는 단차 조정 기구(20)를 상기 제1부재의 일측에 부착시킨다. 특히, 상기 부착부(21a)의 내부에는 복수의 마그네트(22)가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고정블록(21)은 상기 제1부재에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블록(21)이 부착되는 제1부재는 도어 프레임(11)이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고정블록(21)은 상기 도어 플랜지(12)에 부착된다.
폐쇄 단계(S120)는 가장착된 제2부재를 폐쇄시킨다. 상기 제1부재에 대하여 가장착된 제2부재를 폐쇄시킨다. 예컨대, 상기 도어 프레임(11)에 가장착된 상기 도어(13)를 닫는다. 이상적으로 상기 제2부재가 장착된 상태라면, 상가 제2부재와 인접한 다른 부재 사이에 단차가 없다. 하지만, 조립공차 등으로 인하여, 단차가 발생한다. 즉, 상기 제2부재의 둘레와 인접한 다른 부재, 예컨대 상기 제1부재와 동일한 면에 있지않고, 서로 다른 면에 위치한다.
단차 조정 단계(S130)는 상기 제2부재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단차 조정 볼트(23)를 조작하여 상기 제2부재의 둘레가 인접한 다른 부재와 높이가 일치하도록 조정한다.
상기 제2부재가 폐쇄되고 상기 단차 조정 볼트(23)의 단부가 상기 제2부재의 내측면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단차 조정 볼트(23)를 조작하면서, 상기 차량의 외부에서, 상기 제2부재의 단차가 없어지도록 단차를 조정한다.
상기 제2부재를 닫은 상태로 상기 단차 조정 볼트(23)를 돌려 상기 제2부재와 인접한 다른 부재의 단차가 없어지도록 한다. 만약, 상기 제2부재의 둘레가 더 돌출되었다면, 상기 제2부재의 둘레를 내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와 함께 상기 노브(23a)를 조작하여, 상기 단차 조정 볼트(23)의 단부도 상기 제2부재의 내측면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1부재의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조정한다.
또는, 상기 제2부재의 둘레가 주변보다 낮다면, 상기 노브(23a)를 조작하여 상기 단차 조정 볼트(23)의 단부를 상기 제1부재의 외측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2부재의 둘레도 상기 제1부재의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단차 조정 단계(S130)에서는 상기 단차 조정 볼트(23)를 조작함과 동시에 상기 제2부재의 둘레가 인접한 다른 부재와 단차가 없어지도록 조정한다.
장착 완료 단계(S140)는 상기 제2부재의 장착을 완료한다. 이전의 단계들을 통하여 상기 제2부재의 둘레의 단차가 제거되었으므로, 볼트,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의 체결을 완료하여 상기 제2부재의 장착을 완료한다.
실링갭 측정 단계(S150)는 상기 단차 조정 기구(20)를 통하여, 상기 제2부재의 실링간격, 즉 실링갭을 측정한다. 상기 실링갭은 상기 제2부재의 내측면과 상기 제1부재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이 되는데, 상기 단차 조정 기구(20)의 상기 측정게이지(24)와 상기 스케일(25)을 통하여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스케일(25)에서 상기 측정게이지(24)의 단부가 위치하는 곳의 눈금을 읽으면, 상기 실링갭이 된다.
탈거 단계(S160)는 상기 제2부재에 대한 단차 조정과 상기 실링갭의 측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1부재로부터 상기 단차 조정 기구(20)를 탈거한다. 상기 단차 조정 기구(20)는 상기 마그네트(22)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별도의 공구없이, 간편하게 작업자가 탈거할 수 있다.
11 : 도어 프레임 12 : 도어 플랜지
13 : 도어 20 : 단차 조정 기구
21 : 고정블록 21a : 부착부
21b : 볼트설치부 22 : 마그네트
23 : 단차 조정 볼트 23a : 노브
23b : 게이지 고정부 24 : 측정게이지
25 : 스케일 111 : 프런트 도어
112 : 리어 도어 120 : 마그네트
S110 : 부착 단계 S120 : 폐쇄 단계
S130 : 단차 조정 단계 S140 : 장착 완료 단계
S150 : 실링갭 측정 단계 S160 : 탈거 단계

Claims (20)

  1. 차량의 제1부재에 조립되는 제2부재의 둘레와 인접한 다른 부재의 단차를 조정하는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의 일측에 부착되는 고정블록과,
    상기 제2부재의 내측면을 향하도록 상기 고정블록의 일측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단차 조정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부재가 상기 제1부재에 가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단차 조정 볼트를 이동시켜, 상기 제2부재 둘레의 단차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제1부재에 부착되는 부착부와,
    상기 단차 조정 볼트가 나사결합되는 볼트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에 자력(磁力)으로 상기 고정블록을 상기 제1부재에 부착시키는 마그네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 조정 볼트에 고정되어 상기 단차 조정 볼트와 함께 이동하는 측정게이지와,
    상기 측정게이지의 위치에 의해 상기 제2부재의 내측면과 상기 제1부재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눈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록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스케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은 상기 볼트설치부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게이지는 상기 스케일의 상부면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 조정 볼트의 헤드에 상기 단차 조정 볼트를 잡고 조작하는 노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 조정 볼트에 상기 노브와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측정게이지의 단부를 구속하는 게이지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상기 차량의 도어 프레임이고,
    상기 제2부재는 상기 도어 프레임에 힌지연결되어 조립되는 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도어 프레임의 일측에 부착되고,
    상기 단차 조정 볼트는 상기 도어의 내측면으로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도어 프레임에서 탑승자가 출입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 도어 오프닝의 둘레를 형성하는 도어 플랜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알루미늄 합금을 재질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스틸(steel)을 재질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
  14.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로 차량의 단차를 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고정블록을 제1부재의 일측에 부착시키는 부착 단계와,
    제1부재에 가장착된 제2부재를 폐쇄시키는 폐쇄 단계와,
    상기 단차 조정 볼트의 조정하면서, 상기 제2부재 둘레가 인접한 다른 부재와 같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단차를 제거하는 단차 조정 단계와,
    가장착된 상기 제2부재를 상기 제1부재에 장착을 완료시키는 장착 완료 단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단차 조정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단계는, 상기 고정블록을 도어 프레임에서 도어 오프닝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된 도어 플랜지에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단차 조정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단계에서 상기 고정블록은 자력(磁力)으로 상기 제1부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단차 조정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완료 단계이후,
    상기 스케일의 상부면에서 상기 측정게이지의 단부가 위치한 지점의 눈금을 읽어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실링갭을 측정하는 실링갭 측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단차 조정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갭 측정 단계 이후,
    상기 제1부재로부터 상기 단차 조정 기구를 탈거하는 탈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단차 조정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상기 차량의 도어 프레임이고,
    상기 제2부재는 상기 도어 프레임에 힌지연결되어 조립되는 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단차 조정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단계에서 상기 단차 조정 기구는 상기 도어 프레임에서 탑승자가 출입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 도어 오프닝의 둘레를 형성하는 도어 플랜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단차 조정 방법.

KR1020200110085A 2020-08-31 2020-08-31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 및 차량의 단차 조정 방법 KR202200287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085A KR20220028712A (ko) 2020-08-31 2020-08-31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 및 차량의 단차 조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085A KR20220028712A (ko) 2020-08-31 2020-08-31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 및 차량의 단차 조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712A true KR20220028712A (ko) 2022-03-08

Family

ID=80812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085A KR20220028712A (ko) 2020-08-31 2020-08-31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 및 차량의 단차 조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871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625B1 (ko) 2013-03-26 2014-09-1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갭 및 단차 측정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625B1 (ko) 2013-03-26 2014-09-1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갭 및 단차 측정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0638A (en) Method of mounting an outer skin to an inner panel of a vehicle door
US6092271A (en) Method and tool for aligning a striker with a latch
US6634141B2 (en) Window operator
JP2001179142A (ja) 自動車用ペインティングブースの無人化装置
US20120110918A1 (en) Fastening arrangement for mounting a decorative panel
US6098265A (en) Setting fixture
US5819473A (en) Vehicle door
US6029335A (en) Method and tool for aligning a striker with a latch
US20050218671A1 (en) Structure for attaching striker, having attachment bracket including base and protruding portion
KR20220028712A (ko) 차량의 단차 조정 기구 및 차량의 단차 조정 방법
JPS6059101B2 (ja) 自動車の組立方法
US4794734A (en) Window track assembly for modular vehicle door
JP3377017B2 (ja) 自動車用ドアフレームの組立構造
US5829114A (en) Aligning a motor-vehicle door
JP2821021B2 (ja) 自動車用ドア
KR100186648B1 (ko)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검사용 게이지
JP2014180998A (ja) 車両用ステップ装置
JP3680503B2 (ja) フューエルリッドの取付構造
KR102189024B1 (ko) 프레임 이너커버 시험용 지그
JPH0664574A (ja) 自動車のドアガラス組付方法
JPH06297949A (ja) ドアサッシュの取付構造
JP3881828B2 (ja) 自動車におけるドア取り付け方法
KR100456890B1 (ko) 차량용 후드 개방 및 보정장치
JPS6017474Y2 (ja) 自動車の開閉ドアにおけるインサイドロツクの表示装置
JP2573254Y2 (ja) 扉の車体への取付調整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