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8517A -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8517A
KR20220028517A KR1020200109610A KR20200109610A KR20220028517A KR 20220028517 A KR20220028517 A KR 20220028517A KR 1020200109610 A KR1020200109610 A KR 1020200109610A KR 20200109610 A KR20200109610 A KR 20200109610A KR 20220028517 A KR20220028517 A KR 20220028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martphone
drying
smart phon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9358B1 (ko
Inventor
김명관
정성은
김선주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09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358B1/ko
Publication of KR20220028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2Velocity of flow; Quantity of flow, e.g. by varying fan speed, by modifying cross flow ar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자동으로 소독할 수 있고, 스마트폰을 자동으로 소독하기 위해 분사하는 분사액의 건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놓인 스마트폰을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이송구간에 설치되어 상기 스마트폰측으로 소독액을 분사하는 소독부, 상기 소독부보다 후단에 위치하여 소독액이 분사된 상기 스마트폰을 건조시키는 건조부 및 상기 이송부, 소독부 및 건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Automatic smartphone disinfection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자동으로 소독하고, 분사하는 분사액의 건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코로나 19와 같은 감염병이 확산됨에 따라, 손소독제와 같은 개인방역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는 감염병이 비말을 통해 전염되기도 하지만, 사용자의 손을 통해 전염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사람의 손을 비롯하여 사람의 손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문의 손잡이, 승강기 버튼, 기타 장치 등에 항균필름을 부착함으로써 감염병 확산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스마트폰은 현대 시민에게 없어서는 안 되는 전자기기 중 하나로, 대부분의 사람이 하루에도 수십 번씩 스마트폰을 접촉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통한 감염병의 확산이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병원, 건물, 식당, 학교 등 공공시설의 출입구에는 손 소독을 위한 손세정제 또는 소독장비가 구비되어 있으나, 스마트폰 소독장치는 구비되어 있지 않아 소독효과가 저감되므로, 이러한 스마트폰을 자동으로 소독하기 위한 장치가 요구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1040호(“스마트폰 소독 세척 장치”, 공개일 2014.04.04.)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을 자동으로 신속하게 소독하기 위한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스마트폰을 자동으로 소독하기 위해 분사하는 소독액의 분사 및 건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초음파 진동에 의한 소독액의 미세분말화, 가압 분사, 스프레이 분사 등을 통해 스마트폰의 소독 및 건조를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는, 상부에 놓인 스마트폰을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이송구간에 설치되어, 상기 스마트폰측으로 소독액을 분사하는 소독부와, 상기 소독부보다 후단에 위치하여, 소독액이 분사된 상기 스마트폰을 건조시키는 건조부와, 상기 이송부, 소독부 및 건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롤러와 제2롤러, 상기 제1롤러 및 상기 제2롤러에 감겨 회전하며, 상부에 스마트폰이 놓이는 컨베이어벨트 및 상기 제1롤러 또는 상기 제2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벨트는 다수개의 홀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독부는, 상기 컨베이어벨트 중, 상부에 위치한 상부 벨트를 사이에 두고 각각 설치되는 상부 분사부와 하부 분사부 및 상기 상부 분사부 및 상기 하부 분사부로 상기 소독액을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부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켜 소독액을 미세분말화하는 진동자; 및 상기 미세분말화한 소독액을 고압으로 분사하는 가압분사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부는, 상기 컨베이어벨트 중, 상부 벨트와 하부 벨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1건조용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부는, 상기 상부 벨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2건조용 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부는, 상기 컨베이어벨트 주변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다수개가 일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마트폰이 상기 이송부에 놓이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 및 상기 이송부에 놓인 스마트폰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감지센서에서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이송부에 놓이면, 상기 이송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제2감지센서에서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소독부에 근접하도록 이동하면 상기 소독부를 동작시키며,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건조부에 근접하도록 이동하면 상기 건조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에 의하면, 자동으로 스마트폰을 소독함으로써, 스마트폰을 매개로 한 감염병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음파 진동에 의해 소독액을 미세분말화하고, 이를 고압으로 분사함으로써 스마트폰의 미세부분까지 소독 및 건조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컨베이어벨트에 형성된 홀을 통해, 스마트폰을 회전하지 않더라도 스마트폰의 상면과 하면 모두에 소독액을 분사하고, 건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컨베이어벨트에 설치되는 보강부를 통해, 컨베이어벨트에 형성되는 홀로 인한 벨트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부가 제1감지센서 및 제2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이송부, 소독부 및 건조부를 제어하기 때문에,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를 효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부가 소정의 수단을 통해 스마트폰의 크기를 인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이송부의 이송속도, 소독부에서 분사하는 소독액의 양, 건조부를 달리 제어하기 때문에,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의 컨베이어벨트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의 측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의 측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의 측면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 의한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는, 이송부, 소독부, 건조부 및 제어부(도번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10)을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송부는 제1롤러(110), 제2롤러(120), 컨베이어벨트(130) 및 구동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에 포함되는 제1롤러(110)와 제2롤러(120)는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컨베이어벨트(130)는 제1롤러(110)와 제2롤러(120)에 감길 수 있다. 제1롤러(110)와 제2롤러(120)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컨베이어벨트(130)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컨베이어벨트(130)의 상부에 놓인 스마트폰(10)이 일측(도 1을 기준으로 우하측)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구동부(140)는 제2롤러(120)에 연결되어 제2롤러(12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며, 제2롤러(120)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모터; 및 모터와 제2롤러(120)를 연결하기 위한 기어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터의 출력제어를 통해 제2롤러(120)의 회전속도는 제어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부(140)가 제2롤러(120)만을 회전시키나, 본 발명은 구동부(140)가 회전시키는 대상을 제2롤러(120)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롤러(110)만을 회전시키거나, 제1롤러(110)와 제2롤러(120) 모두를 회전시키는 등의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소독부는 이송부의 이송구간, 즉 컨베이어벨트(130)의 주변에 설치되어 스마트폰(10)측으로 소독액을 분사하여, 스마트폰(10)을 소독하며,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분사부(210), 하부 분사부(220), 소독액 공급라인(230) 및 공급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분사부(210)와 하부 분사부(220)는 컨베이어벨트(130)의 상부 벨트(131)를 사이에 두고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부 분사부(210)와 하부 분사부(220)는 서로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단일의 소독액 공급라인(230)을 통해 공급부(240)로부터 소독액을 공급받아, 상부 분사부(210)와 하부 분사부(220)에 구비된 노즐을 통해 소독액을 스마트폰(10)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소독액은 고압기체 또는 비말의 형태로 분사될 수 있다.
상부 분사부(210) 및 하부 분사부(220)는 다수개의 노즐을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의 노즐을 통해 소독액이 분사될 수 있다. 이때 노즐의 개수, 직경 및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수개의 노즐 중에서 가운데 부분의 노즐의 직경을 외곽 부분보다 작게 하여, 스마트폰의 가운데 부분으로 분사되는 소독액의 압력을 크게 함으로써 소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노즐의 분사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스마트폰의 상면, 하면 및 측면에 소독액을 분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즐의 분사각도를 수직으로 하면 스마트폰의 상면 및 하면만을 소독할 수 있고, 노즐의 분사각도를 컨베이어벨트(130)의 진행방향 및/또는 진행반대방향으로 일정정도 기울인 상태로 하면, 스마트폰(10)의 상면, 하면, 전방측면 및 후방측면에도 충분한 양의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분사부(210)와 하부 분사부(220)의 길이를 컨베이어벨트(130)의 폭보다 길게 형성하고, 컨베이어벨트(130)의 영역보다 외측에 위치한 노즐의 분사각도를 컨베이어벨트(130)측으로 일정정도 기울어진 형태로 하면, 스마트폰(10)의 측면에도 충분한 양의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공급부(240)는 상부 분사부(210)와 하부 분사부(220)를 통해 분사되는 소독액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소독액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에탄올, 물, 항균제 및 향료를 혼합한 소독액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에탄올의 함량은 전체 소독액 중량 대비 50~80중량%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공급부(240)에는 소독액을 충전하기 위한 별도의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소독액의 잔량을 확인하기 위해, 공급부(240)의 일부 또는 전체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소독액의 잔량을 센싱할 수 있는 별도의 센서가 공급부(240) 내부에 설치되고, 해당 센서에서 센싱된 소독액의 잔량정보를 상술한 제어부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부(240)는 스프레이 분사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소독액은 상기 스프레이 분사장치에 의하여 노즐을 통하여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부(240)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켜 소독액을 미세분말화하는 진동자; 및 상기 미세분말화한 소독액을 고압으로 분사하는 가압분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자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초음파 진동에 의하여 소독액을 구성하는 분자들이 진동함으로써 소독액이 미세분말화 된다.
이때 가압분사장치의 압력에 의하여 미세분말화된 소독액이 고압으로 노즐을 통하여 분사될 수 있다.
초음파에 의한 진동 가압 방식을 통해 소독액을 아주 작게 쪼개어 튕겨내는 방법으로 소독액을 분사함으로써 소독액의 밀도를 높이고 스마트폰의 미세부분까지 소독 및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소독액의 잔량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자에게 알림으로써 소독액을 충전하도록 안내할 수 있으며, 소독액의 잔량정보를 통하여 분사되는 소독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독부에서 소요되는 시간이 2~5초인 것이 바람직하고, 건조부에서 소요되는 시간이 1~5초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컨베이어벨트(130)만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분사부(220)에서 상측에 위치한 스마트폰(10)을 향해 소독액을 분사하더라도, 컨베이어벨트(130)에 막혀 스마트폰(10)의 하면으로는 소독액이 도포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컨베이어 벨트(130)의 표면에 홀(133)이 형성되어, 상부 벨트(131)의 하부에서 상측에 위치한 스마트폰(10)을 향해 소독액을 분사하면, 소독액이 스마트폰(10)의 하면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홀(133)의 크기, 형상 및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 가능하며, 이를 통해 스마트폰(10)의 하면 중, 홀(133)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과 맞닿는 부분에도 소독액이 충분히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벨트(130)에 다수개의 홀(133)이 형성될 경우, 내구성이 약해져 충분한 장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컨베이어벨트(130)에 손상이 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컨베이어벨트(130)의 길이 방향으로 보강재(134)가 형성되어, 컨베이어 벨트(13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보강재(134)는 컨베이어 벨트(130)를 구성하는 재질보다 강한 강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강재(134)를 구성하는 재질의 일예로서, 금속재질의 와이어 또는 스트립이거나, 코팅된 금속층일 수 있다. 도 2에서 보강재(134)는 컨베이어벨트(13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보강재(134)의 위치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컨베이어벨트(13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 뿐 아니라, 중간 부분에도 보강재(134)가 형성되는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벨트(130)는 보강재(134)가 구비되는 종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종이는 일반적인 A4 용지나 다른 종이에 비해 기공이 큰 한지와 같은 종류일 수 있거나, 다수개의 홀(133)이 형성된 종이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소독부에서 스마트폰(10)의 상면과 하면으로만 소독액을 분사하는 방식식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스마트폰(10)의 측면으로도 소독액을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분사부(210)와 하부 분사부(220)의 길이가 컨베이어벨트(130)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고, 컨베이어벨트(130)의 영역보다 외측에 위치한 노즐들은 수직한 방향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형성되지 않고, 컨베이어벨트(130)측으로 일정정도 기울어진 형태로 설치되어 소독액을 분사함으로써, 스마트폰(10)의 측면에도 충분한 양의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불어, 상부 분사부(210) 및 하부 분사부(220) 각각에 형성된 노즐들은 컨베이어벨트(130)의 진행방향 및/또는 진행반대방향으로 일정정도 기울어져, 스마트폰(10)의 전방측면 및 후방측면에도 충분한 양의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의 측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건조부는 소독부보다 후단에 위치하여, 소독액이 분사된 상태의 스마트폰(10)을 건조한다. 건조부가 스마트폰(10)을 건조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는 바람을 이용하여 스마트폰(10)의 표면에 위치한 소독액을 건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을 위해, 본 실시예에서 건조부는 제1건조용 팬(3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건조용 팬(310)은 컨베이어벨트(130)의 상부 벨트(131)와 하부 벨트(132) 사이에 위치하여, 상측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제1건조용 팬(310)을 통해 상부 벨트(131) 측으로 공급되는 바람은 홀(133)을 통해 스마트폰(10)의 하면에 위치한 소독액을 건조시킬 수 있다. 제1건조용 팬(310)은 스마트폰(10)의 하면으로만 공기를 공급하기 때문에, 스마트폰(10)의 상면은 건조하기 못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에서 건조부는 상부 벨트(131)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측에 위치한 스마트폰(10)의 상면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2건조용 팬(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폰(10)의 경우, 외면에는 이어폰 단자나 충전단자와 같이, 전기적 접촉이 필요한 부분이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자부분에 소독액이 분사된 상태에서 소독액이 제대로 건조되지 않을 경우, 인식불량이나 오작동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단자는 주로 스마트폰(10)의 측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건조부는 제1건조용 팬(310) 및 제2건조용 팬(320) 외에도, 측면에서 스마트폰(10) 측으로 바람을 발생시키는 추가적인 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건조용 팬(310), 제2건조용 팬(320) 및 추가적인 팬을 통합한 환 형상의 팬을 사용할 수 있다. 환 형상의 팬은 내주면측으로 바람을 공급하는 방식의 팬으로, 날개 없는 팬과 같이 압축된 공기를 배출하는 방식으로, 환 형상의 팬 가운데로 상부 벨트(131)가 지나가도록 구성함으로써, 스마트폰(10)의 상면, 하면 및 측면 모두를 건조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스마트폰(10)의 전체에 걸쳐 소독액을 충분히 건조시키지 못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건조부는, 상술한 건조용 팬 외에도, 온도를 이용해 소독액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컨베이어벨트(130) 주변을 가열하는 가열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수단은 제1건조용 팬(310) 및 제2건조용 팬(320)과 인접하게 설치됨으로써, 제1건조용 팬(310) 및 제2건조용 팬(320)에서 열풍을 공급하도록 해,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술한 이송부, 소독부 및 건조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이송부, 소독부 및 건조부를 제어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스마트폰이 컨베이어벨트(130)에 놓이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미도시) 및 컨베이어벨트(130)에 놓이는 위치를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감지센서는 컨베이어벨트(1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스마트폰(10)에 의한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압력감지 센서로 구현되거나, 영상처리 방식을 이용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1감지센서에서 스마트폰(10)이 컨베이어벨트(130)에 놓였다고 판단될 경우, 이송부를 동작시킬 수 있으며, 스마트폰(10)이 컨베이어벨트(130)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경우, 이송부를 정지시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감지센서는 상부 분사부(210)에 설치되는 적외선 센서 방식으로 구현되거나, 제1감지센서와 마찬가지로 영상처리 방식을 이용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2감지센서를 통해,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스마트폰(10)이 소독부, 특히 상부 분사부(210)에 인접하게 위치했다고 판단될 때, 소독부를 동작시켜 소독액을 분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10)이 상부 분사부(210) 및 하부 분사부(220)에서 일정거리 멀어질 경우, 소독부의 동작을 멈추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감지센서는 건조부의 동작에도 동일한 형태로 활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에서 이송부는, 제1실시예의 롤러 및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해 구현되는 것이 아닌, 이송롤러(150)를 통해 구현된다.
이송롤러(150)는 다수개가 일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프레임(160)은 다수개의 이송롤러(150)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수개의 이송롤러(150)는 별도의 구동부를 통해 동작할 수 있으며, 다수개의 이송롤러(150)가 일정 간격 이격되는 것은, 서로 인접한 두 이송롤러(150) 사이의 공간으로 하부 분사부(210)에서 분사하는 소독액이 스마트폰(10)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개의 이격된 이송롤러(150)를 사용함으로써, 상술한 컨베이어벨트(130)의 홀(133)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개의 이송롤러(150)를 사용함으로써, 컨베이어벨트(130)와 밀착되어 이동하는 제1실시예와 달리, 이송롤러(150)를 통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스마트폰(10)의 하면 전체가 순차적으로 노출되므로, 스마트폰(10)의 하면을 건조하는 과정이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보다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5에 도시된 이송롤러(150)는 별도의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회전할 수 있으나, 중력에 의해 스마트폰(10)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이송롤러(150) 및 이송롤러(150)들이 결합되어 프레임(160)의 경사도를 조절하기 위한 틸팅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틸팅장치를 이용해 프레임(160)의 좌측 단부를 우측 단부보다 높도록 제어하여, 별도의 구동부 없이 스마트폰(10)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10)들의 정보, 특히 스마트폰(10)의 크기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스마트폰(10)의 크기에 따라 분사되는 소독액의 양이 달라지기 때문에, 최적의 소독액의 분사량을 결정하거나, 이송부의 이동속도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수단을 통해 이송부에 놓이는 스마트폰(10)의 종류를 파악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스마트폰의 정보를 이용해, 해당 스마트폰(10)의 소독에 필요한 최적의 소독액 분사량과 이송부의 이동속도 및 건조부의 건조시간을 결정하여, 이송부, 소독부 및 건조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폰(10)의 종류를 판별하는 소정의 수단이란, 스마트폰(10)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컨베이어벨트(130)의 하부에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해당 무선통신 모듈에서 스마트폰(10)으로부터 해당 스마트폰의 기기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별도의 저장부 없이 단순히 영상처리방식으로 스마트폰(10)의 크기를 판별하는 실시예 또한 있을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컨베이어벨트(130)의 상면(스마트폰이 놓이는 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격자형태의 보조선이 그려질 수 있으며, 소정의 카메라는 컨베이어벨트(130)에 놓이는 스마트폰(10)이 해당 격자들을 얼마만큼 점유하고 있는지를 통해, 스마트폰(10)의 크기를 도출하고, 제어부는 상술한 방식을 통해 도출된 스마트폰(10)의 크기정보를 이용해 이송부, 소독부 및 건조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스마트폰
110 : 제1롤러
120 : 제2롤러
130 : 컨베이어벨트
131 : 상부 벨트
132 : 하부 벨트
140 : 구동부
150 : 이송롤러
160 : 프레임
210 : 상부 분사부
220 : 하부 분사부
230 : 소독액 공급라인
240 : 공급부
310 : 제1건조용 팬
320 : 제2건조용 팬

Claims (7)

  1. 상부에 놓인 스마트폰을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의 이송구간에 설치되어, 상기 스마트폰측으로 소독액을 분사하는 소독부;
    상기 소독부보다 후단에 위치하여, 소독액이 분사된 상기 스마트폰을 건조시키는 건조부; 및
    상기 이송부, 소독부 및 건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롤러와 제2롤러;
    상기 제1롤러 및 상기 제2롤러에 감겨 회전하며, 상부에 스마트폰이 놓이는 컨베이어벨트; 및
    상기 제1롤러 또는 상기 제2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는 다수개의 홀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부는,
    상기 컨베이어벨트 중, 상부에 위치한 상부 벨트를 사이에 두고 각각 설치되는 상부 분사부와 하부 분사부; 및
    상기 상부 분사부 및 상기 하부 분사부로 상기 소독액을 공급하는 공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상기 컨베이어벨트 중, 상부 벨트와 하부 벨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1건조용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상기 상부 벨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2건조용 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스마트폰이 상기 이송부에 놓이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 및
    상기 이송부에 놓인 스마트폰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감지센서에서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이송부에 놓이면, 상기 이송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제2감지센서에서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소독부에 근접하도록 이동하면 상기 소독부를 동작시키며,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건조부에 근접하도록 이동하면 상기 건조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
KR1020200109610A 2020-08-28 2020-08-28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 KR102419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610A KR102419358B1 (ko) 2020-08-28 2020-08-28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610A KR102419358B1 (ko) 2020-08-28 2020-08-28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517A true KR20220028517A (ko) 2022-03-08
KR102419358B1 KR102419358B1 (ko) 2022-07-08

Family

ID=80813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610A KR102419358B1 (ko) 2020-08-28 2020-08-28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35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6851A (ko) * 1999-02-26 2000-09-15 양철근 자외선 살균장치
KR100337773B1 (ko) * 2000-03-08 2002-05-30 김재권 과일 세척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의한 세척장치
KR20140041040A (ko) 2012-09-27 2014-04-04 김대중 스마트폰 소독 세척 장치
KR20160014893A (ko) * 2014-07-30 2016-02-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
KR20170116832A (ko) * 2016-04-12 2017-10-20 주식회사 창림 휴대폰 자동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6851A (ko) * 1999-02-26 2000-09-15 양철근 자외선 살균장치
KR100337773B1 (ko) * 2000-03-08 2002-05-30 김재권 과일 세척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의한 세척장치
KR20140041040A (ko) 2012-09-27 2014-04-04 김대중 스마트폰 소독 세척 장치
KR20160014893A (ko) * 2014-07-30 2016-02-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
KR20170116832A (ko) * 2016-04-12 2017-10-20 주식회사 창림 휴대폰 자동 세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358B1 (ko) 2022-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7767B1 (ko) 이중 모터 클렌징 브러시
KR101821359B1 (ko) 휴대폰 자동 세척장치
KR100836781B1 (ko) 컵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ATE394066T1 (de) Oberflächenbehandlungsvorrichtung mit reinigungssystem auf patronengrundlage
KR101545608B1 (ko) 계수기 수납형 지폐 소독기
KR20220000279U (ko) 이동식 터널 세정기
IT1309676B1 (it) Dispositivo per il caricamento di film su macchine perl'avvolgimento di prodotti
KR20190061963A (ko) 가상현실 장비의 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KR102231994B1 (ko) 소독 분무기
KR20110056178A (ko) 에어 샤워 장치
KR102457226B1 (ko) 실내에서 초음파를 이용하여 소독제를 무화하는 장치
KR102419358B1 (ko)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
KR20060080163A (ko) 일회용 물수건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190072966A (ko) 에어 샤워 장치
KR20160053434A (ko) 파우더 화장품에 수용된 중간 캡을 구성하는 스크린 망과 환상부재의 초음파 융착 장치
US20130056030A1 (en) Beverage can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0423025B1 (ko) 지폐소독장치
KR102493428B1 (ko) 초미세입자 수분과포화 분무방식의 바이러스 소독장치
KR101618456B1 (ko) 이동형 연무 방제 장치
KR100462790B1 (ko) 스크린 프린터 세척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KR102356064B1 (ko) 수평유지장치를 갖춘 이동 가능한 소독기
JP3231605U (ja) 除菌装置
JP7338928B1 (ja) 液体噴霧装置
CN217792949U (zh) 一种擦鞋装置
KR102464376B1 (ko) 숟가락 및 젓가락 자동포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