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4893A -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4893A
KR20160014893A KR1020140096994A KR20140096994A KR20160014893A KR 20160014893 A KR20160014893 A KR 20160014893A KR 1020140096994 A KR1020140096994 A KR 1020140096994A KR 20140096994 A KR20140096994 A KR 20140096994A KR 20160014893 A KR20160014893 A KR 20160014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drying unit
microwave
unit
microwave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6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9511B1 (ko
Inventor
한충수
강태환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96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511B1/ko
Publication of KR20160014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4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using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 A23L3/01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using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using microwaves or di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1Details of apparatus, e.g. for transport, f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pressure feed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using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 A23L3/005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using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with infrared ray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5Food storage or conservation, e.g. cooling or 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 효율 및 건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를 위하여, 피건조물이 투입되는 투입부와, 상기 피건조물이 배출되는 배출부와, 상기 투입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위치하며, 두 개의 컨베이어 롤러 및 상기 두 개의 컨베이어 롤러를 감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투입부에 인접하고, 상기 컨베이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와, 상기 배출부에 인접하고, 상기 컨베이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와, 상기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 및 상기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와,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 상기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 및 상기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 사이에 배치된 원적외선 건조부와, 상기 컨베이어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고, 복수의 노즐 및 상기 복수의 노즐이 연결된 공급 파이프를 갖는 송풍 건조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Drying apparatus using far infrared rays and microwave}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건조 효율 및 건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확된 농수산물 또는 식품의 건조방법으로는 재래식 방법(자연건조)과 유류 등의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재래식 방법은 햇빛에 노출된 자연 상태에서 건조하는 방법으로서 농수산물의 우수한 건조 품질로 상품성이 뛰어나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건조시간이 길고, 품질관리가 어려우며, 기후 및 공간의 활용 측면에서 제약을 받는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유류 등의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건조방법은 연료를 연소시켜 발생하는 열로 열풍을 발생시켜 건조하는 방법으로 널리 보급되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방법이지만, 이는 대류에 의한 건조로 열효율이 낮고, 농수산물이나 기타 제품을 고온에서 장시간 노출하게 되어 품질이 떨어지므로 고품질의 제품생산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한편 원적외선은 세라믹 재료 등에서 방사되는 복사에너지로서 다른 열원에 의해서 가열되었을 때 방사된다. 그러므로 각종 열처리 특성에 맞추어 판형, 튜브형, 램프형 또는 코팅형태 등으로 내열성 소재표면에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을 코팅 또는 성형하고, 전기나 기타 연료를 이용하여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을 가열함으로써 원적외선을 방사시켜 건조에 이용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건조장치는 하나의 건조방식을 사용하여 건조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조 효율 및 건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피건조물이 투입되는 투입부와, 상기 피건조물이 배출되는 배출부와, 상기 투입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위치하며, 두 개의 컨베이어 롤러 및 상기 두 개의 컨베이어 롤러를 감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투입부에 인접하고, 상기 컨베이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와, 상기 배출부에 인접하고, 상기 컨베이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와, 상기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 및 상기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와,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 상기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 및 상기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 사이에 배치된 원적외선 건조부와, 상기 컨베이어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고, 복수의 노즐 및 상기 복수의 노즐이 연결된 공급 파이프를 갖는 송풍 건조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컨베이어는 다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는 상기 다층의 컨베이어 중 최상층에 인접하고, 상기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는 상기 다층의 컨베이어 중 최하층에 인접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노즐은 복수의 컨베이어 벨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방을 향해 상온풍 또는 열풍을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는 다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컨베이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피건조물을 뒤집는 전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환부는 상기 컨베이어 롤러에 인접하되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외측에 위치한 전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환 롤러는 두 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컨베이어 롤러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 효율 및 건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피건조물은 농수축산물 및/또는 식품일 수 있다. 그러나 피건조물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 이용한 건조장치는 산업용 제품의 생산 공정에서의 건조, 가열에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는 투입부(20), 배출부(30), 컨베이어(40),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51),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52),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3), 원적외선 건조부(70) 및 송풍 건조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는 피건조물(1)이 건조되는 건조실(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건조실(10)은 하우징 형태일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건조실(10)은 프레임 형태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투입부(20)는 피건조물(1)이 투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입부(20)는 건조실(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입구가 넓은 호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배출부(30)는 피건조물(1)이 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부(30)는 건조가 완료된 피건조물(1)을 건조물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부(30)는 건조실(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컨베이어(40)는 투입부(20)와 배출부(30) 사이에 위치하며, 피건조물(1)을 투입구로부터 배출구로 이송할 수 있다. 컨베이어(40)는 적어도 두 개의 컨베이어 롤러(41)와, 이에 결합된 컨베이어 벨트(4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40)는 모터 등의 구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두 개의 컨베이어 롤러(41)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 벨트(43)는 두 개의 컨베이어 롤러(41)를 감을 수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 벨트(43)는 상부에 피건조물(1)이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 롤러(41)가 회전됨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43)가 회전되어, 피건조물(1)을 이송할 수 있다. 이때, 컨베이어 벨트(43)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컨베이어 롤러(41) 사이에 롤러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 벨트(43)는 메쉬형 벨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컨베이어(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로 이루어져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된 바와 다르게, 컨베이어(40)는 복수로 이루어져 전후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컨베이어(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컨베이어는 상하로 적층된 상태이며, 상호 소정의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피건조물(1)으 이송경로를 지그재그로 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는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51),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52) 및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3) 및 원적외선 건조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컨베이어(40)의 진행방향 순으로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51), 원적외선 건조부(70),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3) 원적외선 건조부(70),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52)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피건조물의 조건에 따라 제1마크로파 건조부(51), 제2마크로파 건조부(52) 및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3)는 각각 건조 라인 배치에서 제외되어 2개의 마이크로파 건조부를 조합하여 배치할 수 있으며, 또한 각각 독립적으로 마이크로파 건조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51)는 투입부(20)에 인접하며 컨베이어(4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51)는 컨베이어(40)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51)는 컨베이어 벨트(43)의 사이 또는 컨베이어(40)의 하방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52)는 배출부(30)에 인접하며 컨베이어(4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52)는 컨베이어(40)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52)는 컨베이어 벨트(43)의 사이 또는 컨베이어(40)의 하방에 위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컨베이어(4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52)가 인접한 컨베이어(40)는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51)가 인접한 컨베이어(40)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3)는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51)와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5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3)는 컨베이어(40) 중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3)는 컨베이어(40)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3)는 컨베이어 벨트(43)의 사이 또는 컨베이어(40)의 하방에 위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컨베이어(4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3)가 인접한 컨베이어(40)는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51)가 인접한 어느 한 컨베이어(40)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또는,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3)가 인접한 컨베이어(40)는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52)가 인접한 컨베이어(40)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이러한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51),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52)및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3)는 각각 마그네트론을 포함하여, 피건조물(1)에 함유된 물분자를 진동시켜 피건조물(1)을 건조할 수 있다. 마그네트론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구성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원적외선 건조부(70)는 피건조물(1)에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피건조물(1)을 건조할 수 있다. 이러한 원적외선 건조부(70)는 원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는 일체의 모든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원적외선 건조부(70)는 컨베이어(4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적외선 건조부(70)는 컨베이어(40)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원적외선 건조부(70)는 컨베이어 벨트(43)의 사이 또는 컨베이어(40)의 하방에 위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컨베이어(4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원적외선 건조부(70)가 인접한 어느 한 컨베이어(40)는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51) 내지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3)가 인접한 컨베이어(40)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또한, 원적외선 건조부(70)는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51),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70) 및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컨베이어(40)이 단층으로 이루어진 경우,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51), 원적외선 건조부(70) 및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3)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3), 원적외선 건조부(70) 및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52)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피건조물(1)은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51), 원적외선 건조부(70),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3), 원적외선 건조부(70),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52) 순으로 통과할 수 있다.
이때,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51)는 단층의 컨베이어(40)의 선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3)는 단층의 컨베이어(40)의 중간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52)는 단층의 컨베이어(40)의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원적외선 건조부(70)는 제1 내지 제3 마이크로파 건조부(51, 52, 53) 사이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40)는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51)는 다층의 컨베이어(40)의 최상층에 배치될 수 있다.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3)는 다층의 컨베이어(40)의 중간층에 배치될 수 있따. 그리고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52)는 다층의 컨베이어(40)의 최하층에 배치될 수 있다 .원적외선 건조부(70)는 제1 내지 제3 마이크로파 건조부(51, 52, 53) 사이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피건조물(1)은 1차로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51)를 이용하여 피건조물(1)을 예건 및 브랜칭 된 후, 2차로 원적외선 건조부(70)에서 가열 및 건조되고, 이후 3차로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3)에 가열 및 건조되며, 4차로 다시 원적외선 건조부(70)를 거쳐 마지막으로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52)에서 마무리 건조될 수 있다.
한편, 송풍 건조부(80)는 피건조물(1)을 향해 상온풍 또는 열풍을 분사하여, 피건조물(1)을 건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풍 건조부(80)는 피건조물(1)을 향해 상온풍 또는 열풍을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81)과, 복수의 노즐(81)이 연결된 공급 파이프(8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송풍 건조부(80)는 상온풍 또는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송풍 히터(미도시), 송풍기(8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 히터(미도시)는 원적외선 및 마이크로파 건조기로부터 배출되는 폐열을 회수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독립적인 히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는 송풍 건조부(8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송풍 건조부(80))의 위치에 대해 설명한다.
송풍 건조부(80)는 컨베이어(40)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 건조부(80)는 제1 내지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1, 52, 53) 및 원적외선 건조부(70)과 간섭되지 않기 위하여 컨베이어(40)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노즐(81)은 상부에 컨베이어 벨트(43)의 일부가 배치되고, 하부에 컨베이어 벨트(43)의 다른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노즐(81)는 컨베이어 벨트(4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노즐(81)은 상방을 향해 상온풍 또는 열풍을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컨베이어 벨트(43)가 메쉬 형상이기 때문에, 노즐(81)에서 분사된 상온풍 또는 열풍이 컨베이어 벨트(43)를 통과하여 피건조물(1)을 건조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노즐(81)은 공급 파이프(83)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노즐(81)은 분사구가 상방을 향하도록 공급 파이프(83)의 양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공급 파이프(83)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파이프이며, 컨베이어(40)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어느 한 컨베이어(40)의 아래 배치된 공급 파이프(83)는 복수로 이루어져, 컨베이어(40)의 면적 전체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급 파이프(83)는 열풍을 공급하는 송풍기(85)와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항 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는 컨베이어(40)이 다층으로 이루어지며, 전환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환부(90)는 피건조물(1)을 뒤집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환부(90)는 복수의 컨베이어(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환부(90)는 전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를 참조하면, 전환 롤러는 어느 한 컨베이어(40)와, 이에 인접한 다른 컨베이어(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컨베이어(40)는 상하로 이격되어 될 수 있다. 그리고 전환 롤러는 컨베이어 롤러(41)에 인접할 수 있으며, 피건조물(1)이 이송되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환 롤러는 상방에 배치된 컨베이어 롤러(41)에 인접하고, 하방에 배치된 컨베이어(40)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전환 롤러가 회전함에 따라, 상방에서 이송되는 피건조물(1)은 전환 롤러에 의해 뒤집어져 하방에 배치된 컨베이어(40)에 놓일 수 있다. 이때, 전환 롤러와 컨베이어 롤러(41)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전환 롤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컨베이어 롤러(41)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피건조물(1)을 원활히 뒤집기 위하여 전환 롤러의 회전 속도가 컨베이어 롤러(41)의 회전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4b를 참조하면, 전환 롤러는 두 개로 이루어지며, 컨베이어 롤러(41)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전환 롤러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외측에 위치한 전환 롤러의 회전속도가 더 빠를 수 있다.
따라서 피건조물(1)은 상면이 건조된 후, 전환부(90)에 의해 하면이 위로 위치하여 건조되므로 균일하게 건조될 수 있다.
한편, 건조장치는 보조 컨베이어(47)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컨베이어(47)는 컨베이어(40)의 외측에 배치되며, 하방으로 기울려질 수 있다. 따라서 전환부(90)가 보다 원활하게 피건조물(1)을 뒤집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피건조물 10: 건조실
20: 투입부 30: 배출부
40: 컨베이어 41: 컨베이어 롤러
43: 컨베이어 벨트 47: 보조 컨베이어
51: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 52: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
53: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 70: 원적외선 건조부
80: 송풍 건조부 81: 노즐
83: 공급 파이프 85: 송풍기
90: 전환부

Claims (6)

  1. 피건조물이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피건조물이 배출되는 배출부;
    상기 투입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위치하며, 두 개의 컨베이어 롤러 및 상기 두 개의 컨베이어 롤러를 감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상기 투입부에 인접하고, 상기 컨베이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
    상기 배출부에 인접하고, 상기 컨베이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
    상기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 및 상기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
    상기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 및 상기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 사이에 각각 배치된 원적외선 건조부; 및
    상기 컨베이어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고, 복수의 노즐 및 상기 복수의 노즐이 연결된 공급 파이프를 갖는 송풍 건조부;
    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다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는 상기 다층의 컨베이어 중 최상층에 인접하고,
    상기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는 상기 다층의 컨베이어 중 최하층에 인접하는,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즐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방을 향해 상온풍 또는 열풍을 분사하는,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다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컨베이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피건조물을 뒤집는 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상기 컨베이어 롤러에 인접하되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외측에 위치한 전환 롤러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롤러는 두 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컨베이어 롤러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
KR1020140096994A 2014-07-30 2014-07-30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 KR102409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994A KR102409511B1 (ko) 2014-07-30 2014-07-30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994A KR102409511B1 (ko) 2014-07-30 2014-07-30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893A true KR20160014893A (ko) 2016-02-12
KR102409511B1 KR102409511B1 (ko) 2022-06-15

Family

ID=55354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6994A KR102409511B1 (ko) 2014-07-30 2014-07-30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51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0413A (ko) * 2016-08-18 2018-02-28 서승완 원적외선 방사체 제조장치
KR101867714B1 (ko) * 2016-12-12 2018-06-14 주식회사 포스코 환원용 가열로
KR102191043B1 (ko) * 2020-04-02 2020-12-14 주식회사 우정이엔지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장치
KR20210152338A (ko) * 2020-06-08 2021-12-15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엔토모 유충 건조 장치
KR20220028517A (ko) * 2020-08-28 2022-03-08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7332A (ko) * 2009-05-26 2010-12-06 (주)부전 농수산물 건조 시스템
KR20130030403A (ko) * 2011-09-19 2013-03-27 정천섭 다목적 고추건조기
JP2014023512A (ja) * 2012-06-19 2014-02-06 Shigeru Matoba 蒸茶葉の乾燥装置
KR101415966B1 (ko) * 2013-04-10 2014-07-04 최종민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1741205B1 (ko) * 2017-01-24 2017-05-29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농수산물용 냉·온풍 제습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7332A (ko) * 2009-05-26 2010-12-06 (주)부전 농수산물 건조 시스템
KR20130030403A (ko) * 2011-09-19 2013-03-27 정천섭 다목적 고추건조기
JP2014023512A (ja) * 2012-06-19 2014-02-06 Shigeru Matoba 蒸茶葉の乾燥装置
KR101415966B1 (ko) * 2013-04-10 2014-07-04 최종민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1741205B1 (ko) * 2017-01-24 2017-05-29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농수산물용 냉·온풍 제습건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0413A (ko) * 2016-08-18 2018-02-28 서승완 원적외선 방사체 제조장치
KR101867714B1 (ko) * 2016-12-12 2018-06-14 주식회사 포스코 환원용 가열로
KR102191043B1 (ko) * 2020-04-02 2020-12-14 주식회사 우정이엔지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장치
KR20210152338A (ko) * 2020-06-08 2021-12-15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엔토모 유충 건조 장치
KR20220028517A (ko) * 2020-08-28 2022-03-08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자동 소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511B1 (ko) 202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4893A (ko)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
JP3206741U (ja) 循環型穀物乾燥機
JP2011526734A5 (ko)
WO2011037376A2 (ko) 원적외선 세라믹히터를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기
JP2006149382A (ja) 茶葉乾燥火入焙煎装置
KR20060039409A (ko) 원적외선 염착장치
CN103919250A (zh) 果蔬烘干机
KR20170011309A (ko) 마이크로파 및 열풍을 이용한 복합 건조기
JP3400308B2 (ja) 火入乾燥機及び焼海苔製造装置
KR101058229B1 (ko) 폐기물 고형연료화용 건조장치
WO2015192890A1 (en) Drying station of ceramic products and drying method thereof
KR200419355Y1 (ko) 농수산물 건조기
KR20090132156A (ko) 건조장치
CN109282590B (zh) 一体式烘干设备
KR101108593B1 (ko) 건조기
JP5976517B2 (ja) 連続蒸気殺菌装置
CN105865184A (zh) 可连续循环作业的烘干系统
JP2007068789A (ja) 食品の加熱装置
KR101910427B1 (ko) 스파이럴 오븐기용 세척장치
KR20170004622A (ko) 건조기
KR101110698B1 (ko) 슬러지 건조용 이송 컨베이어
KR20080025590A (ko) 회전식 건조장치
KR100655857B1 (ko) 원적외선 방사체와 제습장치를 이용한 제습배기 및예열공기를 이용한 연속식 원적외선 건조장치
KR100717254B1 (ko) 코팅된 판재용 건조기
KR101792774B1 (ko) 연속식 회전 태양광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