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5670A - 성형성이 우수한 Al-Mg-Si계 알루미늄 합금판 - Google Patents

성형성이 우수한 Al-Mg-Si계 알루미늄 합금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5670A
KR20220025670A KR1020210107989A KR20210107989A KR20220025670A KR 20220025670 A KR20220025670 A KR 20220025670A KR 1020210107989 A KR1020210107989 A KR 1020210107989A KR 20210107989 A KR20210107989 A KR 20210107989A KR 20220025670 A KR20220025670 A KR 20220025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aluminum alloy
less
alloy plat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9408B1 (ko
Inventor
시웨이 강
류타로 아키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220025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5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22C21/02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silicon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22C21/12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copper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22C21/14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copper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with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22C21/12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copper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22C21/16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copper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with magne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02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by rapid cooling or quenching; cooling agents used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4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22F1/043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of alloys with silicon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 Metal Roll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과제] 파단 신도 및 가공 경화성이 함께 양호한, 성형성이 우수한 Al-Mg-Si계 알루미늄 합금판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에 따른 성형성이 우수한 Al-Mg-Si계 알루미늄 합금판은, Mg: 0.3질량% 이상 0.45질량% 이하, Si: 0.6질량% 이상 1.75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잔부가 Al 및 불가피적 불순물이며, 상기 Mg의 함유량을 질량%로 [Mg]로 하고, 상기 Si의 함유량을 질량%로 [Si]로 했을 때, [Si]/[Mg]가 2.5 초과이고, 시차 주사 열분석 곡선에 있어서, 210℃ 이상 260℃ 미만의 온도 범위 내에서 발현하는 제 1 발열 피크의 높이가, 20μW/mg 이상임과 함께, 260℃ 이상 370℃ 이하의 온도 범위 내에서 발현하는 제 2 발열 피크의 높이가, 18μW/mg 이상이다.

Description

성형성이 우수한 Al-Mg-Si계 알루미늄 합금판{Al-Mg-Si BASED ALUMINUM ALLOY SHEET HAVING EXCELLENT FORMABILITY}
본 발명은, 통상의 압연에 의해 제조되는 6000계 알루미늄 합금판으로서, 파단 신도 및 가공 경화성이 함께 양호한, 성형성이 우수한 Al-Mg-Si계 알루미늄 합금판에 관한 것이다.
근년, 지구 환경 등에 대한 배려로부터, 자동차 차체의 경량화의 사회적 요구는 더욱더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답할 수 있도록, 자동차 차체 중, 대형 보디 패널(아우터 패널, 이너 패널)에, 지금까지의 강판 등의 철강 재료 대신에, 알루미늄 합금 재료를 적용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상기 대형 보디 패널 중, 후드, 펜더, 도어, 루프, 트렁크 리드 등의 패널 구조체의, 아우터 패널(외판)이나 이너 패널(내판) 등의 패널에는, 박육이고 또한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판으로서, Al-Mg-Si계의 AA 내지 JIS 6000계(이하, 간단히 6000계라고도 한다.) 알루미늄 합금판이 사용되고 있다.
이 6000계(Al-Mg-Si계) 알루미늄 합금판은, Si, Mg를 필수로서 포함하고, 특히 과잉 Si형의 6000계 알루미늄 합금판은, 인공 시효 처리 시의 우수한 시효 경화능을 갖고 있다.
이들 자동차용 패널재에는 일반적으로 프레스 성형이 실시되기 때문에, 적용되는 알루미늄 합금판에는 우수한 성형성이 요구된다. 근년에는, 차체 디자인이나 캐릭터 라인의 다양화나 첨예화, 복잡화에 수반하여, 프레스 성형 가공이 복잡하고, 가공 조건이 엄격해지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프레스 성형성을 보다 향상시킬 것이 필요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에서는, Al-Mg-Si계 합금의 프레스 성형성을 높이기 위해, 파단 신도 및 가공 경화성의 향상이 필요하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종래부터, 이와 같은 자동차 부재의 소재로서의 6000계 알루미늄 합금판에 대하여, Mg-Si계 클러스터를 제어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클러스터나 강화상(相)을 시사하는 발열 피크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높은 소부(燒付) 도장 경화성 및 높은 파단 신도나 저내력에 의한 고성형성을 양립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2에서는, 과잉 Si형의 Al-Mg-Si 합금에 있어서, 경시(經時) 온도의 증가에 수반하여, GP 존(Guinier-Preston zone), 강화상, 중간상, 평형상 등의 여러 가지 석출상이 생성되는 것에 기초하여,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에 있어서의 발열 피크 높이를 제어함으로써, 합금 조직 제어가 가능하다는 것이 시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는, 시차 주사 열분석 곡선에 있어서, 150∼230℃의 온도 범위 내에 높이 A가 3∼10μW/mg인 흡열 피크가 존재함과 함께, 230℃ 이상 3 30℃ 미만의 온도 범위 내에 높이 B가 20∼50μW/mg인 발열 피크가 존재하고, 또한 상기 발열 피크 높이 B와 상기 흡열 피크 높이 A의 비 B/A가 3.5 초과 15.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과 소부 도장 경화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합금판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에서는, 시차 주사 열분석 곡선에 있어서, 230∼330℃의 온도 범위 내에, 발열 피크가 1개만이거나, 또는 서로의 피크간의 온도차가 50℃ 이하인 발열 피크가 2개만 존재하고, 상기 1개만의 발열 피크의 높이나, 또는 상기 2개만의 발열 피크 중 피크 높이가 큰 쪽의 발열 피크의 높이가 20∼50μW/mg의 범위인 알루미늄 합금판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6306123호 공보 일본 특허 제6190307호 공보
사쿠라이 다케오 외 1명, 「자동차 패널용 알루미늄 합금판재의 개발 상황과 그의 성형 기술」, R&D 고베 제강 기보, 2001년, 제51권, 제1호, p. 9-12 마쓰다 겐지 외 1명, 「6000계 알루미늄 합금의 시효 현상에 관한 최근의 연구」, 경금속, 일본, 일반사단법인 경금속학회, 2000년, 제50권, 제1호, p. 23-36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시효 경화성과 파단 신도의 양립을 목적으로 해서, Mg를 첨가하여 시효 경화성을 높인 경우에는, 파단 신도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성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파단 신도 및 가공 경화성을 향상시킬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파단 신도 및 가공 경화성이 함께 양호한, 성형성이 우수한 Al-Mg-Si계 알루미늄 합금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성이 우수한 Al-Mg-Si계 알루미늄 합금판은, 하기 (1)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1) Mg: 0.3질량% 이상 0.45질량% 이하,
Si: 0.6질량% 이상 1.75질량% 이하
를 함유하고, 잔부가 Al 및 불가피적 불순물이며,
상기 Mg의 함유량을 질량%로 [Mg]로 하고, 상기 Si의 함유량을 질량%로 [Si]로 했을 때, [Si]/[Mg]가 2.5 초과이고,
시차 주사 열분석 곡선에 있어서, 210℃ 이상 260℃ 미만의 온도 범위 내에서 발현하는 제 1 발열 피크의 높이가, 20μW/mg 이상임과 함께,
260℃ 이상 370℃ 이하의 온도 범위 내에서 발현하는 제 2 발열 피크의 높이가, 18μW/mg 이상인, 성형성이 우수한 Al-Mg-Si계 알루미늄 합금판.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성이 우수한 Al-Mg-Si계 알루미늄 합금판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하기 (2)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2) 추가로, Cu, Fe, Mn 및 Ti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Cu: 0질량% 초과 0.8질량% 이하, Fe: 0.05질량% 이상 0.5질량% 이하, Mn: 0.05질량% 이상 0.3질량% 이하, Ti: 0질량% 초과 0.1질량% 이하의 범위로 함유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성형성이 우수한 Al-Mg-Si계 알루미늄 합금판.
본 발명에 의하면, 파단 신도 및 가공 경화성이 함께 양호한, 성형성이 우수한 Al-Mg-Si계 알루미늄 합금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발명예 No. 1, 발명예 No. 2 및 비교예 No. 1의 시차 주사 열분석 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치 범위를 나타내는 「∼」는, 그 전후에 기재된 수치를 하한치 및 상한치로서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종래의 알루미늄 합금판보다도 Si 함유량을 증가시키고, Mg 함유량을 저감함과 함께, 알루미늄 합금판 중의 Si 함유량과 Mg 함유량의 비를 적절히 제어하는 것이 유효한 것을 발견했다. 즉, 시차 주사 열분석 곡선에 있어서의 260℃ 이상 370℃ 이하의 온도 범위 내에 있어서, 피크의 높이가 18μW/mg 이상인 발열 피크(제 2 발열 피크)를 얻을 수 있고, 이에 의해 파단 신도 및 가공 경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용체화 처리 후에 담금질 처리하여 실온까지 냉각한 후, 1시간 이내에 30℃∼100℃의 온도역에서 5시간 이상 500시간 이하 유지하는 열처리를 실시하거나, 또는 용체화 처리 후에 담금질 처리하여 실온까지 냉각한 후, 1시간 이내에 100℃∼300℃의 온도역에서 5초 이상 300초 이하 유지하는 열처리를 실시한 다음, 30℃∼100℃의 온도역에서 5시간 이상 500시간 이하 유지하는 열처리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210℃ 이상 260℃ 미만의 온도 범위 내에 있어서, 피크의 높이가 20μW/mg 이상인 발열 피크(제 1 발열 피크)를 얻을 수 있고, 이에 의해 원하는 파단 신도를 확보함과 함께, 가공 경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성형성이 우수한 Al-Mg-Si계 알루미늄 합금판은, Mg: 0.3질량% 이상 0.45질량% 이하, Si: 0.6질량% 이상 1.75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잔부가 Al 및 불가피적 불순물이며, Mg의 함유량을 질량%로 [Mg]로 하고, Si의 함유량을 질량%로 [Si]로 했을 때, [Si]/[Mg]가 2.5 초과이고, 시차 주사 열분석 곡선에 있어서, 210℃ 이상 260℃ 미만의 온도 범위 내에서 발현하는 제 1 발열 피크의 높이가, 20μW/mg 이상임과 함께, 260℃ 이상 370℃ 이하의 온도 범위 내에서 발현하는 제 2 발열 피크의 높이가, 18μW/mg 이상이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알루미늄 합금판(성형 소재판)이란, 열간 압연판이나 냉간 압연판 등의 압연판이고, 이 압연판에 용체화 처리 및 담금질 처리 등의 조질(T4)이 실시된 판으로서, 사용되는 자동차 부재로 성형되기 전이고, 도장 소부 경화 처리 등의 인공 시효 처리(인공 시효 경화 처리)되기 전의, 소재 알루미늄 합금판을 말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성이 우수한 Al-Mg-Si계 알루미늄 합금판의 화학 성분 조성은, 자동차 대형 보디 패널 등의 자동차 부재의 소재로서, 요구되는 성형성이나 소부 도장 경화성을, 6000계 알루미늄 합금판의 조성으로 만족시키기 위해서 결정된다.
이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성형성이 우수한 Al-Mg-Si계 알루미늄 합금판의 화학 성분 조성은, Mg: 0.3질량% 이상 0.45질량% 이하, Si: 0.6질량% 이상 1.75질량% 이하를 함유하고, 잔부가 Al 및 불가피적 불순물이며, Mg의 함유량을 질량%로 [Mg]로 하고, Si의 함유량을 질량%로 [Si]로 했을 때, [Si]/[Mg]가 2.5 초과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성형성이 우수한 Al-Mg-Si계 알루미늄 합금판은, 추가로, Cu, Fe, Mn 및 Ti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Cu: 0질량% 초과 0.8질량% 이하, Fe: 0.05질량% 이상 0.5질량% 이하, Mn: 0.05질량% 이상 0.3질량% 이하, Ti: 0질량% 초과 0.1질량% 이하의 범위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성형성이 우수한 Al-Mg-Si계 알루미늄 합금판의 화학 성분 조성에 대하여, 각 원소의 한정 이유를 포함시켜, 상세히 설명한다.
(Si: 0.6질량% 이상 1.75질량% 이하)
Si는 Mg와 함께, 고용 강화와, 소부 도장 처리 등의 인공 시효 처리 시에, 강도 향상에 기여하는 Mg-Si계 석출물 등의 시효 석출물을 형성하여, 시효 경화능을 발휘한다. 또한, 합금 중의 Si 첨가량의 증가에 수반하여, 파단 신도 및 가공 경화성이 증가한다. 그 때문에, Si는 필요한 강도(내력) 및 파단 신도와 가공 경화성을 얻기 위한 필수의 원소이다.
알루미늄 합금판 중의 Si 함유량이 0.6질량% 미만이면, 파단 신도가 저하됨과 함께, 인공 시효 열처리 후의 Mg-Si계 석출물의 생성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BH(Bake Hardening)성이 현저히 저하되어, 강도가 부족하다. 따라서, 알루미늄 합금판 중의 Si 함유량은, 알루미늄 합금판 전체 질량에 대해서 0.6질량% 이상으로 하고, 1.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알루미늄 합금판 중의 Si 함유량이 1.75질량%를 초과하면, 조대한 Si계 석출물이 형성되고, 연성(延性)이 저하되어, 소재판 성형 시의 깨짐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알루미늄 합금판 중의 Si 함유량은, 알루미늄 합금판 전체 질량에 대해서 1.75질량% 이하로 하고, 1.6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Mg: 0.3질량% 이상 0.45질량% 이하)
Mg도 Si와 함께, 고용 강화와, 소부 도장 처리 등의 인공 시효 열처리 시에, 강도 향상에 기여하는 Mg-Si계 석출물 등의 시효 석출물을 형성하여, 시효 경화능을 발휘하고, 필요한 강도를 얻기 위한 필수의 원소이다.
알루미늄 합금판 중의 Mg 함유량이 0.3질량% 미만이면, Mg-Si계 석출물의 생성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BH성이 현저히 저하되어, 강도가 부족하다. 따라서, 알루미늄 합금판 중의 Mg 함유량은, 알루미늄 합금판 전체 질량에 대해서 0.3질량% 이상으로 한다.
한편, 알루미늄 합금판 중의 Mg 함유량이 0.45질량%를 초과하면, 성형 시의 소재 강도가 높아져, 파단 신도 및 가공 경화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알루미늄 합금판 중의 Mg 함유량은, 알루미늄 합금판 전체 질량에 대해서 0.45질량% 이하로 한다.
([Si]/[Mg]: 2.5 초과)
본 발명자들은, 첨가 Si량에 대해서 첨가 Mg량이 적을수록, 고용 Si량이 증가하는 것을 발견했다. 즉, Si 고용량의 지표로서, Si 함유량과 Mg 함유량의 비로 정리가 가능한 것을 발견하고, 상기 비의 값을 적절히 한정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파단 신도를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알루미늄 합금판 중의 Mg의 함유량을 알루미늄 합금판 전체 질량에 대한 질량%로 [Mg]로 하고, Si의 함유량을 알루미늄 합금판 전체 질량에 대한 질량%로 [Si]로 했을 때, [Si]/[Mg]가 2.5 이하이면, Mg 함유량에 대해서 Si 함유량이 적어지고, Si 고용량이 저하되기 때문에, 파단 신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Si]/[Mg]는 2.5 초과로 하고, 2.7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성이 우수한 Al-Mg-Si계 알루미늄 합금판은, 상기 Si를 0.6질량% 이상 1.75질량% 이하, Mg를 0.3질량% 이상 0.45질량% 이하 함유하고, 잔부를 Al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하지만, 상기 Si 및 Mg 외에, Cu, Fe, Mn 및 Ti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 원소는, 공통적으로, 알루미늄 합금판을 고강도화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마찬가지의 효과를 갖는 원소로 간주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함유시키지만, 그 구체적인 기구에는, 공통되는 부분도, 상이한 부분도 물론 있다.
(Cu: 0질량% 초과 0.8질량% 이하)
Cu는, 고용 강화에 의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성분이다. 알루미늄 합금판 중의 Cu 함유량이, 알루미늄 합금판 전체 질량에 대해서 0질량% 초과이면,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알루미늄 합금판 중에 Cu를 함유시키는 경우의 Cu 함유량은, 알루미늄 합금판 전체 질량에 대해서 0질량% 초과로 하고, 0.02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1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알루미늄 합금판 중의 Cu 함유량이 알루미늄 합금판 전체 질량에 대해서 0.8질량%를 초과하면, 상기 효과가 포화될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합금판의 내식성이 열화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알루미늄 합금판 중에 Cu를 함유시키는 경우의 Cu 함유량은, 알루미늄 합금판 전체 질량에 대해서 0.8질량% 이하로 하고, 0.6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Fe: 0.05질량% 이상 0.5질량% 이하)
Fe는 화합물을 생성하여, 재결정립의 핵이 되고, 결정립을 미세화시켜, 강도를 향상시킨다. 알루미늄 합금판 중의 Fe 함유량이 알루미늄 합금판 전체 질량에 대해서 0.05질량% 이상이면,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알루미늄 합금판 중에 Fe를 함유시키는 경우의 Fe 함유량은, 알루미늄 합금판 전체 질량에 대해서 0.05질량% 이상으로 한다.
한편, 알루미늄 합금판 중의 Fe 함유량이 알루미늄 합금판 전체 질량에 대해서 0.5질량%를 초과하면, 조대한 화합물을 형성하여, 파괴의 기점이 되어, 성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알루미늄 합금판 중에 Fe를 함유시키는 경우의 Fe 함유량은, 알루미늄 합금판 전체 질량에 대해서 0.5질량% 이하로 하고, 0.3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Mn: 0.05질량% 이상 0.3질량% 이하)
Mn은, 주괴 및 최종 제품으로서의 알루미늄 합금판의 결정립을 미세화하여 강도 향상에 기여한다. 알루미늄 합금판 중의 Mn 함유량이 알루미늄 합금판 전체 질량에 대해서 0.05질량% 이상이면,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알루미늄 합금판 중에 Mn을 함유시키는 경우의 Mn 함유량은, 알루미늄 합금판 전체 질량에 대해서 0.05질량% 이상으로 한다.
한편, 알루미늄 합금판 중의 Mn 함유량이 알루미늄 합금판 전체 질량에 대해서 0.3질량%를 초과하면, 조대한 화합물을 형성하여, 연성을 열화시키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알루미늄 합금판 중에 Mn을 함유시키는 경우의 Mn 함유량은, 알루미늄 합금판 전체 질량에 대해서 0.3질량% 이하로 하고, 0.2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Ti: 0질량% 초과 0.1질량% 이하)
Ti는, 조대한 화합물을 형성하여 기계적 특성을 열화시키는 원소이다. 단, 알루미늄 합금판에 미량으로 Ti를 함유시키는 것에 의해, 알루미늄 합금 주괴의 결정립을 미세화하는 것에 의해, 성형성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6000계 합금으로서 JIS 규격 등에서 규정하는 범위로, Ti를 함유시켜도 된다. 알루미늄 합금 주괴의 결정립을 미세화하는 효과는, 알루미늄 합금판 중에 미량의 Ti를 함유시키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알루미늄 합금판 중에 Ti를 함유시키는 경우의 Ti 함유량은, 알루미늄 합금판 전체 질량에 대해서 0질량% 초과로 한다.
한편, 알루미늄 합금판 중의 Ti 함유량이 알루미늄 합금판 전체 질량에 대해서 0.1질량%를 초과하면, 조대한 화합물을 형성하여, 기계적 특성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알루미늄 합금판 중에 Ti를 함유시키는 경우의 Ti 함유량은, 알루미늄 합금판 전체 질량에 대해서 0.1질량% 이하로 하고, 0.0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잔부: Al 및 불가피적 불순물)
본 발명에 따른 성형성이 우수한 Al-Mg-Si계 알루미늄 합금판은, 상기 Mg 및 Si와, 바람직하게는, Cu, Fe, Mn 및 Ti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함유하고, 잔부가 Al 및 불가피적 불순물이다. 불가피적 불순물로서는, B, Cr, Zn, Zr, Ni, Bi 및 Sn 등을 들 수 있다.
B는, 조대한 화합물을 형성하여 기계적 특성을 열화시키는 원소이기 때문에, 불가피적 불순물로서의 B는 0.03질량% 이하로 규제한다.
또한, 불가피적 불순물로서의 Cr, Zn, Zr, Ni, Bi 및 Sn은, 각각 0.1질량% 이하로 규제한다.
(소재 판 조직)
이상의 합금 조성을 전제로, 본 발명에서는, 알루미늄 합금판의 조직을, 이 판을 소재로 하는 부재에 있어서의 인공 시효 석출물의 존재 상태를 미리 나타내는 지표로서,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으로 얻어진 시차 주사 열분석 곡선에 의해 규정한다.
즉, 본 발명은, 파단 신도 및 가공 경화성을 함께 양호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 시차 주사 열량 측정으로 얻어진 시차 주사 열분석 곡선에 의해 규정한다.
이와 같은 지견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서는, 파단 신도 및 가공 경화성을 함께 양호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 시차 주사 열분석 곡선에 있어서, 210℃ 이상 260℃ 미만의 온도 범위 내에서 발현하는 제 1 발열 피크의 높이가, 20μW/mg 이상임과 함께, 260℃ 이상 370℃ 이하의 온도 범위 내에서 발현하는 제 2 발열 피크의 높이가, 18μW/mg 이상인 것으로 한다.
(제 1 발열 피크의 높이: 20μW/mg 이상)
210℃ 이상 260℃ 미만의 온도 범위 내에서 발현하는 제 1 발열 피크는, 강화상(β'')의 생성을 나타낸다. 제 1 발열 피크의 높이가 높다는 것은, 시차 주사 열분석 중에, 강화상이 많이 생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고, 바꾸어 말하면, 시차 주사 열분석 중에 강화상의 핵이 되는 클러스터의 형성이 적은 것을 의미한다.
제 1 발열 피크의 높이가 20μW/mg 미만이면, 시차 주사 열분석 전의 단계에서 강화상, 또는 강화상의 핵이 되는 클러스터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강도가 지나치게 높아짐과 함께, 파단 신도와 가공 경화성도 저하된다. 따라서, 210℃ 이상 260℃ 미만의 온도 범위 내에서 발현하는 제 1 발열 피크의 높이는 20μW/mg 이상으로 한다.
한편, 제 1 발열 피크의 높이의 상한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지만, 강화상의 생성을 제어하여, 알루미늄 합금판의 강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제 1 발열 피크의 높이는 5 0μW/mg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5μW/mg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발열 피크의 높이: 18μW/mg 이상)
260℃ 이상 370℃ 이하의 온도 범위 내에서 발현하는 제 2 발열 피크는, 중간상(β' 등)의 생성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Si]/[Mg]의 증가에 수반하여, 시차 주사 열분석 중에 있어서의 제 2 발열 피크의 높이가 높아지는 것을 밝혔다. 즉, 제 2 발열 피크의 높이가 높다고 하는 것은, [Si]/[Mg]가 증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이에 의해, 합금 중의 Si 고용량이 증가하여, 파단 신도 및 가공 경화성이 향상된다고 생각했다.
제 2 발열 피크의 높이가 18μW/mg 미만이면, 합금 중의 Si 고용량이 적은 것으로 생각되어, 파단 신도가 낮아지기 쉽고, 파단 신도 및 가공 경화성의 양립에 의한 성형성 향상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260℃ 이상 370℃ 이하의 온도 범위 내에서 발현하는 제 2 발열 피크의 높이는, 18μW/mg 이상으로 한다.
한편, 제 2 발열 피크의 높이가 지나치게 높으면, 석출물이 생기기 쉬워, 파단 신도와 가공 경화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제 2 발열 피크의 상한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지만, 제 2 발열 피크의 높이는 50μW/mg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소재판의 단계에서 시차 주사 열분석 곡선으로 규정한 조직은, 소재판의 파단 신도 및 가공 경화성, 즉 이 소재판으로부터 제조된 자동차 패널 등의 부재의 성형성에 상관하고 있다. 그 결과, 소재판의 단계에서, 시차 주사 열분석 곡선에 의한 발열 피크의 높이를 제어하면, 소재판의 성형성을 평가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소재판의 단계에서 시차 주사 열분석 곡선으로 규정되는 조직은, 이 소재판을 성형 소재로 한 부재에 있어서의 성형성의 지표가 될 수 있다.
(시차 주사 열분석 곡선의 피크 높이의 제어 방법)
상기 시차 주사 열분석 곡선의 제 1 발열 피크에 의해 특정된 조직은, 알루미늄 합금판 중의 Mg 함유량을 0.3질량% 이상 0.45질량%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성분이 조정된 알루미늄 합금 냉연판을, 용체화 처리 후에 담금질 처리하여 실온까지 냉각한 후 1시간 이내에, 30℃∼100℃의 온도역에서 5시간 이상 500시간 이하 유지하는 열처리를 실시한다. 또는, 용체화 및 담금질 처리하여 실온까지 냉각한 후 1시간 이내에, 100℃∼300℃의 온도역에서 5초 이상 300초 이하 유지하는 열처리를 실시한 다음, 30℃∼100℃의 온도역에서 5시간 이상 500시간 이하 유지하는 열처리를 실시하여 행하는 것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시차 주사 열분석 곡선의 제 2 발열 피크의 높이에 대해서는, [Si]/[Mg]의 값을 2.5 초과로 하고, Si 고용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제조 방법)
본 발명의 6000계 알루미늄 합금판은, 주괴를 균열(均熱) 처리 후에 열간 압연되고, 추가로 냉간 압연된 냉연판으로서, 추가로 용체화 처리 등의 조질이 실시되는, 통상적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즉, 주조, 균열 처리, 열간 압연의 통상의 각 제조 공정을 거쳐 제조되어, 판 두께가 2∼10mm 정도인 알루미늄 합금 열연판이 된다. 이어서, 냉간 압연되어 판 두께가 4mm 이하인 냉연판이 된다. 또한, 균열 처리 후에 일단 냉각해도 되고, 그 경우는 균열 처리 후의 냉각 속도를 20℃/hr 이상 100℃/hr 미만으로 하고, 350∼450℃의 범위의 소정의 온도까지 재가열하고 나서, 열간 압연을 개시하면 된다. 냉간 압연 시에는 필요에 따라서, 소둔 및 중간 소둔을 행해도 된다.
(용체화 및 담금질 처리)
냉간 압연 후, 용체화 처리와, 이에 계속되는, 실온까지의 담금질 처리를 행한다. 이 용체화 담금질 처리에 대하여, Mg, Si 등의 각 원소의 충분한 고용량을 얻기 위해서는, 500℃ 이상, 용융 온도 이하의 용체화 처리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성형성을 저하시키는 조대한 입계 화합물 형성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용체화 온도로부터, 실온의 담금질 정지 온도까지의 평균 냉각 속도를 20℃/s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체화 처리 후의 실온까지의 담금질 처리의 평균 냉각 속도가 작으면, 냉각 중에 조대한 Mg2Si 및 단상 Si가 생성되어 버려, 굽힘 가공성이 열화되어 버린다. 또한, 용체화 후의 고용량이 저하되어, BH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이 냉각 속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담금질 처리는, 팬 등의 공랭, 미스트, 스프레이, 침지 등의 수랭 수단이나 조건을 각각 선택하여 이용한다.
이와 같은 용체화 처리 후에 담금질 처리하여 실온까지 냉각한 후, 1시간 이내에 30℃∼100℃의 온도역에서 5시간 이상 500시간 이하 유지하는 열처리를 실시한다. 또는, 1시간 이내에 냉연판을 100℃∼300℃의 온도역에서 5초 이상 300초 이하 유지하는 열처리를 실시한 다음, 30℃∼100℃의 온도역에서 5시간 이상 500시간 이하 유지하는 열처리를 실시한다. 이에 의해, 상기 시차 주사 열분석 곡선의 피크의 높이를 제어하여, 파단 신도 및 가공 경화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에 적합할 수 있는 범위에서 변경을 가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여러 가지 조성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판을 제조한 후, 실온에서 7일간 유지한 후에,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을 실시하여, 발열 피크가 발현하는 온도 범위 및 피크의 높이를 측정했다. 또한, 얻어진 알루미늄 합금판에 대해서 인장 시험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파단 신도를 측정함과 함께, 가공 경화성의 지표가 되는 가공 경화 지수(n값)를 측정했다. 이들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한편, 표 1 중의 각 원소의 함유량의 난에 있어서, 「-」의 표시는, 그 함유량이 검출 한계 이하였던 것을 나타낸다.
(알루미늄 합금판의 제조 조건)
알루미늄 합금판의 구체적인 제조 조건을 이하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내는 각 조성의 알루미늄 합금 주괴를 금형 주조에 의해 공통적으로 용제했다. 계속해서, 면삭을 실시한 후의 주괴를 540℃×4시간의 균열 처리를 한 후, 그 온도에서 열간 압연을 행하여 열간 압연판으로 했다. 이 열간 압연판을 냉간 압연하여, 두께 1.0mm의 냉연판으로 했다.
추가로, 이 각 냉연판을 540℃에서 1분의 용체화 처리를 행하고, 그 후 수랭하여 실온까지 냉각했다. 이 냉각 후 30분 이내에, 200℃ 이상에서 1분 이내의 열처리, 및 50℃에서 5시간의 열처리를 행하고, 열처리 후는 냉각을 행했다.
이들 조질 처리 후, 7일간 실온 방치한 후의 각 공시판에 대하여 시차 주사 열량 측정을 실시했다.
(시차 주사 열량 측정)
공시판의 판 두께 중앙부에 있어서의 조직에 대하여, 시차 주사 열량 측정을 실시하여, 알루미늄 합금 공시판의 발열 피크의 온도(℃) 및 높이(μW/mg)를 측정했다.
이들 각 공시판의 각 측정 개소에 있어서의 시차 주사 열량 측정의 측정 조건을 이하에 나타낸다.
시험 장치: HITACHI DSC7020
표준 물질: 알루미늄
시료 용기: 알루미늄
승온 조건: 10℃/min
분위기: 아르곤(60ml/min)
시료 중량: 39.0∼42.0mg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의 동일한 조건에서 시차 주사 열량 측정을 실시하고, 얻어진 열류(μW)를 공시판의 중량(mg)으로 나누어 규격화한(μW/mg) 후에, 0∼100℃의 온도 범위 내에 있어서, 시차 주사 열분석 곡선이 수평이 되는 영역을 0의 기준 레벨로 하고, 이 기준 레벨로부터의 발열 피크 높이를 측정했다.
[성형성]
<파단 신도>
상기 공시판의 성형성을 판단하는 시험으로서, JIS Z 2241에 준거해서 인장 시험을 실시하여, 파단 신도(%)를 측정했다. 인장 시험은, 각 공시판으로부터, 각각 JIS Z 2241에 규정되는 13B호 시험편(평행부의 폭 12.5mm×표점 거리 50mm×판 두께)을 채취하여, 실온에서 실시했다. 시험편의 인장 방향은, 압연 방향에 대해서 직각의 방향으로 했다. 또한, 인장 속도는, 변형량이 0.5%까지는 3mm/분, 그 후는 20mm/분으로 했다. 한편, 1매의 알루미늄 합금판으로부터 4매의 시험편을 채취하여, 평균치를 산출했다.
파단 신도는 26% 이상에서 합격으로 했다. 한편, 프레스 성형성의 평가인 파단 신도는, 25%와 26%의, 불과 1%의 차이가, 예를 들면, 자동차의 아우터 패널의 형상이 첨예화 혹은 복잡화된 코너부나 캐릭터 라인을, 변형이나 주름이 없이, 아름답고 선예(鮮銳)한 곡면 구성으로 성형할 수 있는지 여부에 크게 영향을 준다.
<가공 경화 지수(n값)>
상기 공시판의 성형성을 판단하는 다른 시험으로서, JIS Z 2253에 준거해서 인장 시험을 실시하여, 가공 경화 지수(n값)를 측정했다. 가공 경화 지수(n값)는, 진변형과 진응력을 계산하여, 가로축을 변형, 세로축을 응력으로 한 대수 눈금 상에 플롯하고, 측정점이 나타내는 직선의 구배를, 공칭 변형 4∼6%의 소성 변형역에서 진응력과 진변형의 대수에 최소 제곱법으로 계산하여, n값(4-6%)으로 했다.
한편, n값은 0.29 이상에서 합격으로 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표 1 및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명예 No. 1∼No. 8은, 알루미늄 합금판의 화학 성분이 본 발명에 규정하는 범위 내이기 때문에, 시차 주사 열분석 곡선에 있어서의 제 1 발열 피크의 온도·피크 높이 및 제 2 발열 피크의 온도 및 피크 높이가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범위 내가 되어, 파단 신도 및 n값이 모두 양호한 값이 되었다.
구체적으로는, 파단 신도가 26% 이상의 높은 값이 되고, n값은 0.29 이상의 높은 값이 되어, 성형성이 우수한 것이 되었다.
비교예 No. 1 및 No. 5는, 알루미늄 합금판의 Mg 함유량이 본 발명 범위의 상한을 초과하고 있음과 함께, [Si]/[Mg]가 2.5 이하이기 때문에, 제 1 발열 피크의 높이 및 제 2 발열 피크의 높이의 양방이 본 발명 범위의 하한 미만이 되고, 그 결과, n값이 낮은 것이 되었다.
비교예 No. 2 및 No. 4는, 알루미늄 합금판의 Mg 함유량이 본 발명 범위의 상한을 초과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발열 피크의 높이가 본 발명 범위의 하한 미만이 되고, 그 결과, n값이 낮은 것이 되었다.
비교예 No. 3은, [Si]/[Mg]가 2.5 이하이기 때문에, 제 2 발열 피크의 높이가 본 발명 범위의 하한 미만이 되고, 그 결과, 파단 신도가 저하되었다.
비교예 No. 6은, 알루미늄 합금판의 Si 함유량이 본 발명 범위의 하한 미만임과 함께, [Si]/[Mg]가 2.5 이하이기 때문에, 제 1 피크가 발현하지 않고, 제 2 발열 피크의 높이도 본 발명 범위의 하한 미만이 되었다. 그 결과, 파단 신도가 저하되었다. 한편, 비교예 No. 6에서는 제 1 피크가 발현하지 않았기 때문에, 표 2의 비교예 No. 6에 있어서의 「제 1 발열 피크 온도」 및 「제 1 발열 피크 높이」를 「-」로 표시하고 있다.
발명예 No. 1, 발명예 No. 2 및 비교예 No. 1의 시차 주사 열분석 곡선을 도 1에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 굵은 실선이 발명예 No. 1, 굵은 점선(파선)이 발명예 No. 2, 가는 점선이 비교예 No. 1을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대로, 발명예 No. 1 및 No. 2에서는, 210℃ 이상 260℃ 미만의 온도 범위 내에서 제 1 발열 피크가 발현하고 있고, 그 높이는 20μW/mg 이상이다. 또한, 260℃ 이상 370℃ 이하의 온도 범위 내에서 제 2 발열 피크가 발현하고 있고, 그 높이는 18μW/mg 이상이다.
한편, 비교예 No. 1은, 소정의 온도 범위 내에서 제 1 발열 피크 및 제 2 발열 피크가 발현하고 있지만, 그들의 높이가 낮아, 양호한 성형성을 얻을 수 없었다.

Claims (2)

  1. Mg: 0.3질량% 이상 0.45질량% 이하,
    Si: 0.6질량% 이상 1.75질량% 이하
    를 함유하고, 잔부가 Al 및 불가피적 불순물이며,
    상기 Mg의 함유량을 질량%로 [Mg]로 하고, 상기 Si의 함유량을 질량%로 [Si]로 했을 때, [Si]/[Mg]가 2.5 초과이고,
    시차 주사 열분석 곡선에 있어서, 210℃ 이상 260℃ 미만의 온도 범위 내에서 발현하는 제 1 발열 피크의 높이가, 20μW/mg 이상임과 함께,
    260℃ 이상 370℃ 이하의 온도 범위 내에서 발현하는 제 2 발열 피크의 높이가, 18μW/mg 이상인, 성형성이 우수한 Al-Mg-Si계 알루미늄 합금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Cu, Fe, Mn 및 Ti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Cu: 0질량% 초과 0.8질량% 이하, Fe: 0.05질량% 이상 0.5질량% 이하, Mn: 0.05질량% 이상 0.3질량% 이하, Ti: 0질량% 초과 0.1질량% 이하의 범위로 함유하는, 성형성이 우수한 Al-Mg-Si계 알루미늄 합금판.
KR1020210107989A 2020-08-24 2021-08-17 성형성이 우수한 Al-Mg-Si계 알루미늄 합금판 KR1025894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41228A JP7473423B2 (ja) 2020-08-24 2020-08-24 成形性に優れたAl-Mg-Si系アルミニウム合金板
JPJP-P-2020-141228 2020-08-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5670A true KR20220025670A (ko) 2022-03-03
KR102589408B1 KR102589408B1 (ko) 2023-10-13

Family

ID=80270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989A KR102589408B1 (ko) 2020-08-24 2021-08-17 성형성이 우수한 Al-Mg-Si계 알루미늄 합금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056559A1 (ko)
JP (1) JP7473423B2 (ko)
KR (1) KR102589408B1 (ko)
CN (1) CN114086034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0307U (ko) 1984-11-17 1986-06-12
JPS636123U (ko) 1986-06-27 1988-01-16
KR20160127113A (ko) * 2014-03-31 2016-11-02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성형성과 베이킹 도장 경화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합금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56481A1 (en) * 2004-11-25 2006-06-01 Corus Aluminium Nv Aluminium alloy sheet for automotive applications
JP6227222B2 (ja) * 2012-02-16 2017-11-0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焼付け塗装硬化性に優れたアルミニウム合金板
KR101927596B1 (ko) * 2014-03-06 2018-12-10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알루미늄 합금 선재, 알루미늄 합금연선, 피복전선, 와이어 하네스, 알루미늄 합금 선재의 제조방법 및 알루미늄 합금 선재의 측정방법
JP6306123B2 (ja) * 2016-03-30 2018-04-0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アルミニウム合金板及びアルミニウム合金板の製造方法
JP2017179470A (ja) 2016-03-30 2017-10-0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熱硬化型塗膜の耐久性に優れたアルミニウム合金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0307U (ko) 1984-11-17 1986-06-12
JPS636123U (ko) 1986-06-27 1988-01-16
KR20160127113A (ko) * 2014-03-31 2016-11-02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성형성과 베이킹 도장 경화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합금판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마쓰다 겐지 외 1명, 「6000계 알루미늄 합금의 시효 현상에 관한 최근의 연구」, 경금속, 일본, 일반사단법인 경금속학회, 2000년, 제50권, 제1호, p. 23-36
사쿠라이 다케오 외 1명, 「자동차 패널용 알루미늄 합금판재의 개발 상황과 그의 성형 기술」, R&D 고베 제강 기보, 2001년, 제51권, 제1호, p. 9-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086034A (zh) 2022-02-25
CN114086034B (zh) 2023-03-28
JP2022036826A (ja) 2022-03-08
US20220056559A1 (en) 2022-02-24
JP7473423B2 (ja) 2024-04-23
KR102589408B1 (ko) 2023-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27222B2 (ja) 焼付け塗装硬化性に優れたアルミニウム合金板
JP5918158B2 (ja) 室温時効後の特性に優れたアルミニウム合金板
WO2002079533A1 (fr) Feuille en alliage aluminium a aptitude au formage et durcissabilite excellentes au cours de la cuisson de revetement, et procede de production
JP6810508B2 (ja) 高強度アルミニウム合金板
EP3662091A1 (en) 6xxxx-series rolled sheet product with improved formability
US20180187293A1 (en) Aluminum alloy plate having excellent moldability and bake hardening properties
JP5148930B2 (ja) プレス成形用Al−Mg−Si系アルミニウム合金板の製造方法、及びプレス成形用Al−Mg−Si系アルミニウム合金板
JP3590685B2 (ja) 自動車外板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の製造方法
WO2018206696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al-si-mg alloy rolled sheet product with excellent formability
JP4117243B2 (ja) 焼付け塗装硬化性に優れたアルミニウム合金板
CN112981191B (zh) 汽车结构构件用铝合金板及其制造方法和汽车结构构件
JP3833574B2 (ja) 曲げ加工性とプレス成形性に優れたアルミニウム合金板
JP3740086B2 (ja) 室温時効後のヘム加工性に優れた、張出成形後にヘム加工されるアルミニウム合金板の製造方法
CN106661680B (zh) 铝合金板
US4140556A (en) Aluminum alloy sheet
JPH06340940A (ja) プレス成形性、焼付硬化性に優れたアルミニウム合金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6340170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板及びアルミニウム合金部材
JP6306123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板及びアルミニウム合金板の製造方法
WO2017170835A1 (ja) アルミニウム合金板及びアルミニウム合金板の製造方法
KR20220025670A (ko) 성형성이 우수한 Al-Mg-Si계 알루미늄 합금판
JP4386393B2 (ja) 耐食性に優れた輸送機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
JP2024075695A (ja) 成形性に優れたAl-Mg-Si系アルミニウム合金板の製造方法
JP2003247040A (ja) フラットヘム加工性に優れたアルミニウム合金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2000026B2 (en) Aluminum alloy sheet for automotive structural member, automotive structural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luminum alloy sheet for automotive structural member
JPH05247610A (ja) 成形性、形状凍結性及び塗装焼付硬化性に優れた異方性の少ないアルミニウム合金材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