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4861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4861A
KR20220024861A KR1020227002260A KR20227002260A KR20220024861A KR 20220024861 A KR20220024861 A KR 20220024861A KR 1020227002260 A KR1020227002260 A KR 1020227002260A KR 20227002260 A KR20227002260 A KR 20227002260A KR 20220024861 A KR20220024861 A KR 20220024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recording material
secondary transfer
curren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2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타카 가케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9206569A external-priority patent/JP7383458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24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48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6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 G03G15/16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 G03G15/167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bias applied in the transfer nip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29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copy material characteristics, e.g. weight, thicknes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33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photoconductor characteristics, e.g. temperature, or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the photoconductor
    • G03G15/5041Detecting a toner image, e.g. density, toner coverage, using a test patc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62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the copy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4Electronic sequencing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전사 부재(8)에 인가하는 전압을 정전압 제어함과 함께, 전류 검지부(21)의 검지 결과가 소정 범위 내로 되도록 전류 검지부(21)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전사 부재(8)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하는 리미터 제어를 실행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100)는, 토너상을 기록재(P)에 전사하는 제1 모드와, 다른 복수의 전압을 전사 부재(8)에 인가하여 복수의 시험 토너상을 기록재(P)에 전사하는 제2 모드를 실행 가능하고, 제어부(50)는, 제1 모드의 실행 시에는, 기록재(P)가 전사부(8)를 통과하고 있는 동안에 리미터 제어를 실행 가능하고, 제2 모드의 실행 시에는, 복수의 시험 토너상이 전사되는 영역이 전사부(N2)를 통과하고 있는 동안은 리미터 제어를 행하지 않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본 발명은 전자 사진 방식이나 정전 기록 방식을 사용한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장치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 사진 방식 등을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감광체나 중간 전사체 등의 상 담지체로부터 종이 등의 기록재에 토너상을 정전적으로 전사하는 일이 행해진다. 이 전사는, 상 담지체와 맞닿아 전사부를 형성하는 전사 롤러 등의 전사 부재에 전사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행해지는 경우가 많다. 전사 전압이 지나치게 낮으면, 전사가 충분히 행해지지 않아 원하는 화상 농도가 얻어지지 않는 「화상 농도 엷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전사 전압이 지나치게 높으면, 전사부에서 방전이 발생하고, 그 방전의 영향으로 토너상의 토너의 전하의 극성이 반전되거나 하여, 토너상이 부분적으로 전사되지 않는 「백색 스폿」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고품질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전사 부재에 적절한 전사 전압을 인가할 것이 요구된다.
전사에 필요한 전하량은 기록재의 사이즈나 토너상의 면적률에 따라 다양하게 변동된다. 그 때문에, 전사 전압은, 소정의 전류 밀도에 대응한 일정 전압을 인가하는 정전압 제어로 인가되는 경우가 많다. 전사 전압을 정전압 제어로 인가하는 경우에는, 기록재의 외측이나 기록재 상의 토너상이 없는 부분을 흐르는 전류와는 무관하게, 목적의 토너상이 있는 부분에 소정의 전압에 따른 전사 전류를 확보하기 쉽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사부를 구성하는 전사 부재의 전기 저항은, 제품의 변동, 부재 온도, 누적 사용 시간 등에 따라 변화하고, 전사부를 통과하는 기록재의 전기 저항도, 기록재의 종류, 주위 환경(온도ㆍ습도) 등에 따라 변화한다. 그 때문에, 전사 전압을 정전압 제어하는 경우, 전사 부재나 기록재의 전기 저항의 변동에 대응하여 전사 전압을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17920호 공보에서는, 전사 전압을 정전압 제어하는 구성에 있어서의, 다음과 같은 전사 전압의 제어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연속 화상 형성의 개시 직전에 기록재가 없는 상태의 전사부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여 전류값을 검지하여, 소정의 목표 전류가 얻어지는 전압값을 구한다. 그리고, 이 전압값에 기록재의 종류에 따른 기록재 분담 전압을 가산하여, 전사 시에 정전압 제어로 인가할 전사 전압값을 설정한다. 이러한 제어에 의해, 전사 부재 등의 전사부의 전기 저항값의 변동, 기록재의 전기 저항값의 변동에 구애되지 않고, 원하는 목표 전류에 따른 전사 전압을 정전압 제어로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기록재의 종류에는, 예를 들어 상질지, 코팅지와 같은 기록재의 표면의 평활성의 차이에 따른 종류나, 박지(薄紙), 후지(厚紙)와 같은 기록재의 두께의 차이에 따른 종류가 있다. 기록재 분담 전압은, 예를 들어 이러한 기록재의 종류에 따라 미리 구해 둘 수 있다. 그러나, 유통되고 있는 기록재의 종류는 매우 많다. 또한, 기록재의 전기 저항은 기록재의 습한 상태(기록재의 함유 수분량)에 따라서도 다른데, 기록재의 함유 수분량은 환경(온도ㆍ습도)이 동일해도 환경에 놓인 시간 등에 따라 변동된다. 그 때문에, 기록재 분담 전압을 미리 고정밀도로 구하는 것은 곤란한 경우가 많다. 기록재의 전기 저항의 변동분도 포함시켜 전사 전압이 적절한 값이 아니면,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 농도 엷음, 백색 스폿과 같은 화상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과제에 대하여,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0225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75946호 공보에서는, 전사 전압을 정전압 제어하는 구성에 있어서, 전사부를 기록재가 통과하고 있을 때에 전사부에 공급되는 전류의 상한값 및 하한값을 마련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제어에 의해, 전사부를 기록재가 통과하고 있을 때에 전사부에 공급되는 전류를 소정의 범위의 전류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전사 전류의 부족 또는 과잉에 의한 화상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02258호 공보에서는, 상한값을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구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75946호 공보에서는, 환경 이외에 기록재의 표리, 기록재의 종류, 기록재의 사이즈에 따라 상한값 및 하한값을 구하고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에 대하여, 통상의 화상 형성과는 별도로 조정 동작을 행함으로써 전사 전압을 조정하는 방법도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37185호 공보에서는, 1매의 기록재에 복수의 시험 화상(이하, 「패치」라고도 함)을 전사 전압을 전환하면서 형성하여, 각 패치의 농도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전사 전압을 조정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0225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75946호 공보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방법에서는, 화상 형성 중에 전사 전압이 자동적으로 조정된다. 그 때문에, 전사 전압을 조정하기 위한 유저의 부담, 전사 전압을 조정하기 위한 시간, 혹은 전사 전압의 조정에 필요한 기록재(테스트 용지)를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실제로 기록재 상에 형성된 화상을 보거나, 그 농도를 검지하거나 하여 전사 전압을 조정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 때문에, 출력된 화상의 농도가 유저의 기호에 맞지 않는 등, 원하는 결과로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0225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75946호 공보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자동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필요에 따라 일본 특허 공개 제2013-37185호 공보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실제로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여 조정을 행하는 조정 모드를 실행 가능하게 하는 것이, 여러 가지 유저의 요망에 따르기 위해서는 바람직하다.
그러나, 전사부를 기록재가 통과하고 있을 때에 검지된 전류에 기초하여 전사 전압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구조를 갖는 구성에서는, 패치가 상정된 조건에서 출력되지 않아, 적절한 조정을 행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즉, 예를 들어 패치마다 전사 전압의 절댓값을 계단상으로 상승시키면서, 1매의 기록재에 복수의 패치를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전사부를 기록재가 통과하고 있을 때에 전사부에 공급되는 전류를 규제하는 제어가 행해지면, 도 10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전류 범위에서밖에 전사 전압을 변화시킬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예를 들어, 절댓값이 작은 전사 전압이 인가되는 영역에서는, 전사부에 공급되는 전류가 소정의 전류 범위의 하한값을 하회하여, 전사 전압의 절댓값을 크게 하는 조정이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에 의해, 절댓값이 작은 전사 전압에서 출력되어야 할 패치가 적절하게 출력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반대로, 절댓값이 큰 전사 전압이 인가되는 영역에서는, 전사부에 공급되는 전류가 소정의 전류 범위의 상한값을 상회하여, 전사 전압의 절댓값을 작게 하는 조정이 행해진다. 이에 의해, 절댓값이 큰 전사 전압에서 출력되어야 하는 패치가 적절하게 출력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유저의 기호에 맞는 화상 농도를 달성할 수 있는 전사 전압이, 상술한 바와 같이 전사부에 공급되는 전류가 소정의 전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영역에 있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자동 조정이 행해져 버리면, 해당 영역의 전사 전압에서의 패치의 출력이 적절하게 행해지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유저의 기호에 따른 조정을 행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전사 전압을 정전압 제어하는 구성에 있어서, 전사부를 기록재가 통과하고 있을 때, 전사 부재에 흐르는 전류가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경우에 해당 전류가 해당 소정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전사 전압의 정전압 제어의 목표 전압을 변경하는 제어를 「리미터 제어」라고도 한다. 또한, 여기서는, 전압이나 전류의 대소(고저)는 절댓값으로 비교한 경우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사부를 기록재가 통과하고 있을 때의 전사 전류에 기초하여 전사 전압을 조정하는 리미터 제어가 가능한 구성에 있어서, 기록재에 시험 화상을 형성하는 조정 모드에 의한 조정을 적절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토너상을 담지하는 상 담지체와;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상 담지체에 담지된 토너상을 전사부에 있어서 기록재에 전사하는 전사 부재와; 상기 전사 부재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과; 상기 전사 부재에 흐르는 전류를 검지하는 전류 검지부와; 기록재가 상기 전사부를 통과하고 있을 때,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하는 전압이 소정 전압으로 되도록 정전압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검지부의 검지 결과가 소정 범위 내로 되도록 상기 전류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하는 리미터 제어를 실행 가능하고, 토너상을 기록재에 전사하는 제1 모드와, 다른 복수의 전압을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하여 복수의 시험 토너상을 기록재에 전사하는 제2 모드를 실행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의 실행 시에는, 기록재가 상기 전사부를 통과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리미터 제어를 실행 가능하고, 상기 제2 모드의 실행 시에는, 상기 복수의 시험 토너상이 전사되는 영역이 상기 전사부를 통과하고 있는 동안은 상기 리미터 제어를 행하지 않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2차 전사에 관한 구성의 모식도이다.
도 3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요부의 제어 양태를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제어의 흐름도이다.
도 5는 2차 전사부의 전압과 전류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그래프도이다.
도 6은 기록재 분담 전압의 테이블 데이터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용지 통과부 전류 범위의 테이블 데이터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8은 조정 차트 및 조정 모드의 설정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9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조정 차트의 출력 시의 2차 전사 전압 및 2차 전사 전류의 추이를 도시하는 그래프도이다.
도 10은 과제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조정 차트의 출력 시의 2차 전사 전압 및 2차 전사 전류의 추이를 도시하는 그래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를 도면에 의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1.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및 동작
도 1은,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전자 사진 방식을 사용하여 풀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중간 전사 방식을 채용한 탠덤형의 복합기(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장치의 기능을 가짐)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복수의 화상 형성부(스테이션)로서, 각각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의 각 색의 화상을 형성하는 제1, 제2, 제3, 제4 화상 형성부(SY, SM, SC, SK)를 갖는다. 각 화상 형성부(SY, SM, SC, SK)에 있어서의 동일 또는 대응하는 기능 혹은 구성을 갖는 요소에 대해서는, 어느 색용의 요소인 것을 나타내는 부호의 말미의 Y, M, C, K를 생략하여 총괄적으로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부(S)는, 후술하는 감광 드럼(1), 대전 롤러(2), 노광 장치(3), 현상 장치(4), 1차 전사 롤러(5), 드럼 클리닝 장치(6)를 갖고 구성된다.
토너상(토너 화상)을 담지하는 제1 상 담지체로서의, 회전 가능한 드럼형(원통형)의 감광체(전자 사진 감광체)인 감광 드럼(1)은, 도면 중 화살표 R1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회전하는 감광 드럼(1)의 표면은, 대전 수단으로서의 롤러형의 대전 부재인 대전 롤러(2)에 의해, 소정의 극성(본 실시예에서는 부극성)의 소정의 전위로 균일하게 대전 처리된다. 대전 처리된 감광 드럼(1)의 표면은,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노광 수단으로서의 노광 장치(레이저 스캐너 장치)(3)에 의해 주사 노광되고, 감광 드럼(1) 상에 정전상(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감광 드럼(1) 상에 형성된 정전상은, 현상 수단으로서의 현상 장치(4)에 의해 현상제로서의 토너가 공급되어 현상(가시화)되고, 감광 드럼(1) 상에 토너상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균일하게 대전 처리된 후에 노광됨으로써 전위의 절댓값이 저하된 감광 드럼(1) 상의 노광부(이미지부)에, 감광 드럼(1)의 대전 극성과 동일 극성으로 대전된 토너가 부착된다(반전 현상 방식).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시의 토너의 대전 극성인 토너의 정규의 대전 극성은 부극성이다. 노광 장치(3)에 의해 형성되는 정전상은, 작은 도트 화상의 집합체로 되어 있고, 도트 화상의 밀도를 변화시킴으로써 감광 드럼(1) 상에 형성하는 토너상의 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색의 토너상은, 각각 최대 농도가 1.5 내지 1.7 정도로 되어 있고, 최대 농도 시의 토너의 적재량은 0.4 내지 0.6mg/㎠ 정도로 되어 있다.
4개의 감광 드럼(1)의 표면에 맞닿음 가능하도록, 토너상을 담지하는 제2 상 담지체로서의, 무단상의 벨트로 구성된 중간 전사체인 중간 전사 벨트(7)가 배치되어 있다. 중간 전사 벨트(7)는, 다른 상 담지체로부터 1차 전사된 토너상을 기록재에 2차 전사하기 위해 반송하는 중간 전사체의 일례이다. 중간 전사 벨트(7)는, 복수의 걸침 롤러로서의 구동 롤러(71), 텐션 롤러(72) 및 2차 전사 대향 롤러(73)에 걸쳐져 있다. 구동 롤러(71)는, 중간 전사 벨트(7)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텐션 롤러(72)는, 중간 전사 벨트(7)의 장력을 일정하게 제어한다. 2차 전사 대향 롤러(73)는, 후술하는 2차 전사 롤러(8)의 대향 부재(대향 전극)로서 기능한다. 중간 전사 벨트(7)는, 구동 롤러(71)가 회전 구동됨으로써, 도면 중 화살표 R2 방향(시계 방향)으로 300 내지 500mm/sec 정도의 반송 속도(주속도)로 회전(주회 이동)한다. 텐션 롤러(72)는, 가압 수단으로서의 스프링의 힘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7)를 내주면측으로부터 외주면측으로 압출하는 힘이 가해지고 있고, 이 힘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7)의 반송 방향으로는 2 내지 5kg 정도의 텐션이 가해지고 있다. 중간 전사 벨트(7)의 내주면측에는, 각 감광 드럼(1)에 대응하여, 1차 전사 수단으로서의 롤러형의 1차 전사 부재인 1차 전사 롤러(5)가 배치되어 있다. 1차 전사 롤러(5)는, 중간 전사 벨트(7)를 통하여 감광 드럼(1)을 향하여 압박되어, 감광 드럼(1)과 중간 전사 벨트(7)가 접촉하는 1차 전사부(1차 전사 닙)(N1)를 형성한다. 감광 드럼(1) 상에 형성된 토너상은, 1차 전사부(N1)에 있어서, 1차 전사 롤러(5)의 작용에 의해, 회전하고 있는 중간 전사 벨트(7) 상에 정전적으로 전사(1차 전사)된다. 1차 전사 공정 시에, 1차 전사 롤러(5)에는, 1차 전사 전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토너의 정규의 대전 극성과는 역극성의 직류 전압인 1차 전사 전압(1차 전사 바이어스)이 인가된다. 예를 들어 풀 컬러 화상의 형성 시에는, 각 감광 드럼(1) 상에 형성된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의 각 색 토너상이, 중간 전사 벨트(7) 상에 중첩되도록 하여 순차적으로 전사된다.
중간 전사 벨트(7)의 외주면측에 있어서, 2차 전사 대향 롤러(73)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2차 전사 수단으로서의 롤러형의 2차 전사 부재인 2차 전사 롤러(8)가 배치되어 있다. 2차 전사 롤러(8)는, 중간 전사 벨트(7)를 통하여 2차 전사 대향 롤러(73)를 향하여 압박되고, 중간 전사 벨트(7)와 2차 전사 롤러(8)가 접촉하는 2차 전사부(2차 전사 닙)(N2)를 형성한다. 중간 전사 벨트(7) 상에 형성된 토너상은, 2차 전사부(N2)에 있어서, 2차 전사 롤러(8)의 작용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7)와 2차 전사 롤러(8)에 끼움 지지되어 반송되고 있는 기록재(시트, 전사재)(P)에 정전적으로 전사(2차 전사)된다. 기록재(P)는, 전형적으로는 종이(용지)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수지와 같이 수지로 형성된 합성지, OHP 시트 등의 플라스틱 시트, 천 등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2차 전사 공정 시에, 2차 전사 롤러(8)에는, 2차 전사 전원(고압 전원 회로)(20)으로부터, 토너의 정규의 대전 극성과는 역극성의 직류 전압인 2차 전사 전압(2차 전사 바이어스)이 인가된다. 기록재(P)는, 기록재 카세트(도시하지 않음) 등에 수용되어 있고, 급송 롤러(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기록재 카세트로부터 1매씩 급송되어, 레지스트 롤러(9)로 보내진다. 이 기록재(P)는, 레지스트 롤러(9)에 의해 일단 정지된 후, 중간 전사 벨트(7) 상의 토너상과 타이밍이 맞추어져 2차 전사부(N2)에 공급된다.
토너상이 전사된 기록재(P)는, 반송 부재 등에 의해 정착 수단으로서의 정착 장치(10)로 반송된다. 정착 장치(10)는, 미정착의 토너상을 담지한 기록재(P)를 가열 및 가압함으로써, 기록재(P)에 토너상을 정착(용융, 고착)시킨다. 그 후, 기록재(P)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장치 본체의 외부로 배출(출력)된다.
또한, 1차 전사 공정 후에 감광 드럼(1)의 표면에 잔류된 토너(1차 전사 잔류 토너)는, 감광체 클리닝 수단으로서의 드럼 클리닝 장치(6)에 의해 감광 드럼(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되어 회수된다. 또한, 2차 전사 공정 후에 중간 전사 벨트(7)의 표면에 잔류된 토너(2차 전사 잔류 토너)나 종이 가루 등의 부착물은, 중간 전사체 클리닝 수단으로서의 벨트 클리닝 장치(74)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7)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되어 회수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7)는, 내주면측으로부터 외주면측으로 수지층, 탄성층, 표층의 3층 구조를 갖는 무단상의 벨트이다.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로서는 폴리이미드,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지층의 두께는 70 내지 100㎛가 적합하다. 또한, 탄성층을 구성하는 탄성 재료로서는 우레탄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탄성층의 두께는 200 내지 250㎛가 적합하다. 또한, 표층의 재료로서는, 중간 전사 벨트(7)의 표면에 대한 토너의 부착력을 작게 하여, 2차 전사부(N2)에 있어서 토너를 기록재(P)에 전사하기 쉽게 하는 재료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에폭시 수지 등 중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수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혹은, 탄성 재료(탄성재 고무, 엘라스토머), 부틸 고무 등의 탄성 재료 중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재료에, 표면 에너지를 작게 하고 윤활성을 높이는 재료, 예를 들어 불소 수지 등의 분체, 입자를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 혹은 이들의 분체, 입자 중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입경을 다르게 한 것을 분산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표층의 두께는 5 내지 10㎛가 적합하다. 중간 전사 벨트(7)는, 카본 블랙 등의 전기 저항 조정용의 도전제가 첨가되어 전기 저항이 조정되며, 바람직하게는 체적 저항률이 1×109 내지 1×1014Ωㆍ㎝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2차 전사 롤러(8)는, 코어 금속(기재)과, 코어 금속의 주위에 이온 도전계 발포 고무(NBR 고무)로 형성된 탄성층을 갖고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차 전사 롤러(8)의 외경은 24mm, 2차 전사 롤러(8)의 표면 조도 Rz는 6.0 내지 12.0(㎛)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2차 전사 롤러(8)의 전기 저항값은 N/N(23℃, 50% RH)에 있어서 2kV를 인가하여 측정한 경우 1×105 내지 1×107Ω, 탄성층의 경도는 Asker-C 경도로 30 내지 40°정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2차 전사 롤러(8)의 긴 변 방향(회전 축선 방향)의 폭(기록재(P)의 반송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은 310 내지 340mm 정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2차 전사 롤러(8)의 긴 변 방향의 폭은, 화상 형성 장치(100)가 반송을 보증하는 기록재(P)의 폭(반송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 중 최대의 폭(최대폭)보다 길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재(P)는 2차 전사 롤러(8)의 긴 변 방향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반송되기 때문에, 화상 형성 장치(100)가 반송을 보증하는 기록재(P)는 전부 2차 전사 롤러(8)의 긴 변 방향의 길이 범위 내를 통과한다. 이에 의해, 여러 가지 사이즈의 기록재(P)를 안정적으로 반송하고, 또한 여러 가지 사이즈의 기록재(P)에 토너상을 안정되게 전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는, 2차 전사에 관한 구성의 모식도이다. 2차 전사 롤러(8)는 중간 전사 벨트(7)를 통하여 2차 전사 대향 롤러(73)와 맞닿음으로써 2차 전사부(N2)를 형성하고 있다. 2차 전사 롤러(8)에는, 출력 전압값이 가변인 2차 전사 전원(20)이 접속되어 있다. 2차 전사 대향 롤러(73)는, 전기적으로 접지(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2차 전사부(N2)를 기록재(P)가 통과하고 있을 때, 2차 전사 롤러(8)에 토너의 정규의 대전 극성과는 역극성의 직류 전압인 2차 전사 전압이 인가되고, 2차 전사부(N2)에 2차 전사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중간 전사 벨트(7) 상의 토너상이 기록재(P) 상에 전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차 전사 시에 2차 전사부(N2)에는, 예를 들어 +20 내지 +80μA의 2차 전사 전류가 흘려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2차 전사 대향 롤러(73)에 대응하는 롤러를 전사 부재로서 사용하여 이것에 토너의 정규의 대전 극성과 동일 극성의 2차 전사 전압을 인가하고, 본 실시예의 2차 전사 롤러(8)에 대응하는 롤러를 대향 전극으로서 사용하여 이것을 전기적으로 접지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종 정보에 기초하여, 2차 전사부(N2)를 기록재(P)가 통과하고 있을 때의 2차 전사 전류의 상한값 및 하한값(「2차 전사 전류 범위」)이 결정된다.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각종 정보는 다음 각 정보를 포함한다. 우선,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장치 본체에 마련된 조작부(31)(도 3)나 화상 형성 장치(100)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200)(도 3)에서 지정된 조건(기록재(P)의 종류 등)에 관한 정보이다. 또한, 환경 센서(32)(도 3)의 검지 결과에 관한 정보이다. 또한, 2차 전사부(N2)에 기록재(P)가 도달하기 전에 검지되는 2차 전사부(N2)의 전기 저항에 관한 정보이다. 그리고, 2차 전사부(N2)를 기록재(P)가 통과하고 있을 때, 2차 전사부(N2)에 흐르는 2차 전사 전류를 검지하면서, 해당 2차 전사 전류가 상기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전류로 되도록, 2차 전사 전원(20)으로부터 정전압 제어로 출력되는 2차 전사 전압이 제어된다. 여기서,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2차 전사 전류 범위는, 2차 전사부(N2)를 통과하는 기록재(P)의 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변화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부(31)나 외부 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기록재(P)의 폭이나 두께에 관한 정보가 취득된다. 단, 화상 형성 장치(100) 내에 기록재(P)의 폭이나 두께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마련하고, 이 검지 수단에 의해 취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제어를 행하기 위해, 2차 전사 전원(20)에는, 2차 전사부(N2)(즉, 2차 전사 롤러(8) 혹은 2차 전사 전원(20))에 흐르는 전류(2차 전사 전류)를 검지하는 전류 검지 수단(전류 검지부)으로서의 전류 검지 회로(21)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2차 전사 전원(20)에는, 2차 전사 전원(20)이 출력하고 있는 전압(2차 전사 전압)을 검지하는 전압 검지 수단(전압 검지부)으로서의 전압 검지 회로(22)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50)가 전압 검지부로서 기능하고, 2차 전사 전원(20)으로부터 출력하는 전압의 지시값으로부터, 2차 전사 전원(20)이 출력하고 있는 전압을 검지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차 전사 전원(20)과, 전류 검지 회로(21)와, 전압 검지 회로(22)는 동일한 고압 기판 내에 마련되어 있다.
2. 제어 양태
도 3은,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주요부의 제어 양태를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제어 수단으로서의 제어부(제어 회로)(50)는, 연산 처리를 행하는 중심적 소자인 연산 제어 수단으로서의 CPU(51), 기억 수단으로서의 RAM(52), ROM(53) 등의 메모리(기억 매체) 등을 갖고 구성된다. 재기입 가능한 메모리인 RAM(52)에는, 제어부(50)에 입력된 정보, 검지된 정보, 연산 결과 등이 저장되고, ROM(53)에는 제어 프로그램, 미리 구해진 데이터 테이블 등이 저장되어 있다. CPU(51)와 RAM(52), ROM(53) 등의 메모리와는 서로 데이터의 전송이나 읽어들이기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어부(50)에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마련된 화상 판독 장치(도시하지 않음)나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200)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50)에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마련된 조작부(조작 패널)(31)가 접속되어 있다. 조작부(31)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유저나 서비스 담당자 등의 조작자에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조작자가 화상 형성에 관한 각종 설정 등을 제어부(50)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갖고 구성된다. 조작부(31)는, 표시부의 기능과 입력부의 기능을 구비한 터치 패널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어부(50)에는, 조작부(31)나 외부 장치(200)로부터, 기록재(P)의 종류 등의 화상 형성에 관한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작업 정보가 입력된다. 또한, 기록재(P)의 종류란, 보통지, 후지, 박지, 광택지, 코팅지 등의 일반적 특징에 기초하는 속성, 메이커, 품목, 품번, 평량, 두께 등, 기록재(P)를 구별 가능한 임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50)는, 기록재(P)의 종류의 정보를, 해당 정보가 직접적으로 입력됨으로써 취득할 수 있는 것 외에, 예를 들어 기록재(P)를 수납하는 급송부의 카세트가 선택됨으로써, 미리 그 카세트와 관계지어져 설정된 정보로부터 취득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50)에는, 2차 전사 전원(20)과, 전류 검지 회로(21)와, 전압 검지 회로(22)가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차 전사 전원(20)은, 2차 전사 롤러(8)에 정전압 제어된 직류 전압인 2차 전사 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정전압 제어는, 전사부(즉, 전사 부재)에 인가되는 전압의 값이 대략 일정 전압값으로 되도록 하는 제어이다. 또한, 제어부(50)에는 환경 센서(32)가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환경 센서(32)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하우징 내의 분위기의 온도 및 습도를 검지한다. 환경 센서(32)에 의해 검지된 온도 및 습도의 정보는 제어부(50)에 입력된다. 제어부(50)는, 환경 센서(32)에 의해 검지된 온도 및 습도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의 하우징 내의 분위기의 수분량(함수 분량, 절대 수분량)을 구할 수 있다. 환경 센서(32)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내부 또는 외부의 적어도 한쪽의 온도 또는 습도의 적어도 한쪽을 검지하는 환경 검지 수단의 일례이다. 제어부(50)는, 화상 판독 장치나 외부 장치(200)로부터의 화상 정보, 조작부(31)나 외부 장치(200)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의 각 부를 통괄적으로 제어하여, 화상 형성 동작을 실행시킨다.
여기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하나의 개시 지시(프린트 지시)에 의해 개시되는, 단일 또는 복수의 기록재(P)에 화상을 형성하여 출력하는 일련의 동작인 작업(프린트 동작)을 실행한다. 작업은, 일반적으로 화상 형성 공정, 전회전 공정, 복수의 기록재(P)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의 지간 공정 및 후회전 공정을 갖는다. 화상 형성 공정은, 실제로 기록재(P)에 형성하여 출력하는 화상의 정전상의 형성, 토너상의 형성, 토너상의 1차 전사, 2차 전사를 행하는 기간이며, 화상 형성 시(화상 형성 기간)란 이 기간을 말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들 정전상의 형성, 토너상의 형성, 토너상의 1차 전사, 2차 전사의 각 공정을 행하는 위치에서, 화상 형성 시의 타이밍은 다르다. 전회전 공정은, 개시 지시가 입력되고 나서 실제로 화상을 형성하기 시작할 때까지의, 화상 형성 공정 전의 준비 동작을 행하는 기간이다. 지간 공정은, 복수의 기록재(P)에 대한 화상 형성을 연속해서 행할 때(연속 화상 형성)의 기록재(P)와 기록재(P) 사이에 대응하는 기간이다. 후회전 공정은, 화상 형성 공정 후의 정리 동작(준비 동작)을 행하는 기간이다. 비화상 형성 시(비화상 형성 기간)란, 화상 형성 시 이외의 기간으로서, 상기 전회전 공정, 지간 공정, 후회전 공정, 나아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원 투입 시 또는 슬립 상태로부터의 복귀 시의 준비 동작인 전(前)다회전 공정 등이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화상 형성 시에, 2차 전사 전류의 상한값 및 하한값(「2차 전사 전류 범위」)을 결정하는 제어 등이 실행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조정 모드에 의해 조정 차트를 출력하는 일련의 동작도, 해당 조정 차트를 출력하는 조정 모드의 작업인 것으로 한다.
3. 2차 전사 전압 제어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2차 전사 전압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2차 전사 전압의 제어 수순의 개략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1매의 기록재(P)에, 조작자가 지정하는 임의의 화상 정보에 따른 화상(여기서는 「통상 화상」이라고도 함) 또는 조정 차트를 형성하는 작업을 실행하는 경우를 예로서 도시하고 있다.
우선, 제어부(50)는, 조작부(31) 또는 외부 장치(200)로부터의 작업 정보를 취득하면, 작업의 동작을 개시시킨다(S101). 본 실시예에서는, 이 작업 정보에는, 조작자가 지정하는 화상 정보, 화상을 형성하는 기록재(P)의 사이즈(폭, 길이), 기록재(P)의 두께와 관련되는 정보(두께 또는 평량), 기록재(P)가 코팅지인지 여부와 같은 기록재(P)의 표면성과 관련되는 정보(종이 종류 카테고리의 정보)가 포함된다. 제어부(50)는, 이 작업 정보를 RAM(52)에 기입한다(S102).
다음에, 제어부(50)는, 환경 센서(32)에 의해 검지되는 환경 정보를 취득한다(S103). 또한, ROM(53)에는, 환경 정보와, 중간 전사 벨트(7) 상의 토너상을 기록재(P) 상에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 전류의 목표값(목표 전류) Itarget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가 테이블 데이터 등으로서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50)는, S103에서 판독한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경 정보와 목표 전류 Itarget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로부터, 환경에 대응한 목표 전류 Itarget을 구하고, 이것을 RAM(52)에 기입한다(S104).
또한, 환경 정보에 따라 목표 전류 Itarget을 바꾸는 것은, 환경에 따라 토너의 전하량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상기 환경 정보와 목표 전류 Itarget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는, 미리 실험 등에 의해 구한 것이다. 여기서, 토너의 전하량은, 환경 이외에도 현상 장치(4)에 토너를 보급하는 타이밍, 현상 장치(4)로부터 나가는 토너양과 같은 사용 이력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 경우가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이들 영향을 억제하기 위해, 현상 장치(4) 내의 토너의 전하량이 어떤 일정 범위 내의 값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환경 정보 이외에도, 중간 전사 벨트(7) 상의 토너의 전하량을 좌우하는 요인을 알고 있으면, 그 정보에 의해서도 목표 전류 Itarget을 바꾸어도 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0)에 토너의 전하량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을 마련하고, 이 측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토너의 전하량의 정보에 기초하여 목표 전류 Itarget을 바꾸어도 된다.
다음에, 제어부(50)는, 중간 전사 벨트(7) 상의 토너상, 및 토너상이 전사되는 기록재(P)가 2차 전사부(N2)에 도달하기 전에, 2차 전사부(N2)의 전기 저항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S105). 본 실시예에서는 ATVC 제어(Active Transfer Voltage Control)에 의해 2차 전사부(N2)(본 실시예에서는 주로 2차 전사 롤러(8))의 전기 저항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즉, 2차 전사 롤러(8)와 중간 전사 벨트(7)가 접촉된 상태에서, 2차 전사 전원(20)으로부터 2차 전사 롤러(8)로 소정의 전압(시험 전압) 또는 전류(시험 전류)를 공급한다. 그리고, 소정의 전압을 공급하고 있을 때의 전류값, 또는 소정의 전류를 공급하고 있을 때의 전압값을 검지하여, 전압과 전류의 관계(전압 전류 특성)를 취득한다. 이 전압과 전류의 관계는, 2차 전사부(N2)(본 실시예에서는 주로 2차 전사 롤러(8))의 전기 저항에 따라 변화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상기 전압과 전류의 관계는, 전류가 전압에 대하여 선형으로 변화(비례)하는 것이 아니라,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류가 전압의 2차 이상의 다항식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변화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압과 전류의 관계를 다항식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2차 전사부(N2)의 전기 저항에 관한 정보를 취득할 때 공급하는 소정의 전압 또는 전류는 3점(3 수준) 이상의 다단계로 하였다. 이 수준의 수는, 충분한 정밀도로 전압 전류 특성을 취득할 수 있는 것, 제어에 관한 시간을 필요 이상으로 길게 하지 않는 것 등의 관점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전형적으로는 10 수준 이하로 충분한 경우가 많다.
다음에, 제어부(50)는, 2차 전사 전원(20)으로부터 2차 전사 롤러(8)에 인가해야 할 2차 전사 전압의 목표값(목표 전압)을 구한다(S106). 즉, 제어부(50)는, S104에서 RAM(52)에 기입된 목표 전류 Itarget과, S105에서 구한 전압과 전류의 관계에 기초하여, 2차 전사부(N2)에 기록재(P)가 없는 상태에서 목표 전류 Itarget을 흘리기 위해 필요한 전압값 Vb를 구한다. 이 전압값 Vb는, 2차 전사부 분담 전압에 상당한다. 또한, ROM(53)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기록재 분담 전압 Vp를 구하기 위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정보는 기록재(P)의 평량의 구분마다의, 분위기의 수분량과 기록재 분담 전압 Vp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 데이터로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환경 센서(32)에 의해 검지되는 환경 정보(온도ㆍ습도)에 기초하여 분위기의 수분량을 구한다. 제어부(50)는, S102에서 취득한 작업 정보 중에 포함되는 기록재(P)의 평량의 정보와, S103에서 취득한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테이블 데이터로부터 기록재 분담 전압 Vp를 구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2차 전사부(N2)를 기록재(P)가 통과하고 있을 때에 2차 전사 전원(20)으로부터 2차 전사 롤러(8)에 인가하는 2차 전사 전압 Vtr의 초깃값으로서, 상기 Vb와 Vp를 더한 Vb+Vp를 구하고, 이것을 RAM(52)에 기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재(P)가 2차 전사부(N2)에 도달할 때까지, 2차 전사 전압 Vtr의 초깃값을 구하여, 기록재(P)가 2차 전사부(N2)에 도달하는 타이밍에 대비한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기록재 분담 전압 Vp를 구하기 위한 테이블 데이터는, 미리 실험 등에 의해 구해진 것이다. 여기서, 기록재 분담 전압(기록재(P)의 전기 저항분의 전사 전압) Vp는, 기록재(P)의 두께와 관련되는 정보(평량) 이외에도, 기록재(P)의 표면성에 따라서도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테이블 데이터는, 기록재(P)의 표면성과 관련되는 정보에 따라서도 기록재 분담 전압 Vp가 바뀌도록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재(P)의 두께와 관련되는 정보(나아가 기록재(P)의 표면성과 관련되는 정보)는, S102에서 취득되는 작업 정보 중에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화상 형성 장치(100)에 기록재(P)의 두께나 기록재(P)의 표면성을 검지하는 측정 수단을 마련하고, 이 측정 수단에 의해 얻어진 정보에 기초하여 기록재 분담 전압 Vp를 구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에, 제어부(50)는, 기록재(P)에 형성하는 화상이, 조작자가 실제로 성과물로서 출력하는 임의의 화상 정보에 따른 「통상 화상」인지, 화상 형성 장치(100)의 동작 설정(출력 조건)을 조정하기 위한 소정의 「조정 차트」인지를 판단한다(S107). 제어부(50)는, 작업 정보 중에 포함되는, 통상 화상을 출력하는 통상 화상 형성 모드(제1 모드)인지, 조정 차트를 출력하는 조정 모드(제2 모드)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판단을 행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S107에서, 기록재(P)에 형성하는 화상이 조정 차트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해당 조정 차트를 출력하는 기록재(P)가 2차 전사부(N2)를 통과하고 있을 때, 후술하는 리미터 제어(전류 리미터 제어)를 행하지 않는다(S108). 즉, 이 경우, 제어부(50)는, 2차 전사부(N2)를 기록재(P)가 통과하고 있을 때, 2차 전사 전원(20)으로부터 2차 전사 롤러(8)에 인가하는 전압이 S106에서 결정한 2차 전사 전압 Vtr(=Vb+Vp)에 기초하는 소정의 2차 전사 전압으로 되도록 정전압 제어를 행한다. 이 소정의 2차 전사 전압은,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정 차트의 복수의 패치를 다른 2차 전사 전압으로 2차 전사하기 때문에, Vb+Vp 또는 Vb+Vp+ΔV(조정량)로 된다. 제어부(50)는, 조정 차트의 출력이 종료될 때까지, S108의 처리를 계속한다(S109). 여기서는, 1매의 기록재(P)에 조정 차트를 형성하는 작업을 실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복수의 기록재(P)에 연속해서 조정 차트를 형성하는 작업의 경우에는, 각 조정 차트의 2차 전사 시에 리미터 제어를 행하지 않도록 하면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록재(P)에 조정 차트를 형성하여 출력하는 조정 모드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제어부(50)는, S107에서, 기록재(P)에 형성하는 화상이 통상 화상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해당 통상 화상을 출력하는 기록재(P)가 2차 전사부(N2)를 통과하고 있을 때,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하여 리미터 제어를 행한다. 즉, 이 경우, 제어부(50)는, 2차 전사부(N2)를 기록재(P)가 통과하고 있을 때, 2차 전사 롤러(8)에 흐르는 전류가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경우에 해당 전류가 해당 소정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S106에서 결정한 2차 전사 전압 Vtr을 변경하는 리미터 제어를 행한다. 바꾸어 말하면, 이 경우, 제어부(50)는, 기록재(P)가 2차 전사부(N2)를 통과하고 있을 때, 2차 전사 롤러(8)에 흐르는 전류 범위를 제한한다.
제어부(50)는, 이하와 같이 하여 2차 전사부(N2)를 기록재(P)가 통과하고 있을 때의 2차 전사 전류의 상한값 및 하한값(「2차 전사 전류 범위」)을 결정한다(S110 내지 S113). 즉, ROM(53)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화상 불량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2차 전사부(N2)를 기록재(P)가 통과하고 있을 때에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범위(「용지 통과부 전류 범위(통과부 전류 범위)」)를 구하기 위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정보는, 분위기의 수분량과,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상한값 및 하한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 데이터로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테이블 데이터는, 미리 실험 등에 의해 구해진 것이다. 제어부(50)는, 우선, S103에서 취득한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테이블 데이터로부터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범위를 구한다(S110). 또한,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범위는, 기록재(P)의 폭에 따라 변화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테이블 데이터는 A4 사이즈 상당의 폭(297mm)의 기록재(P)를 상정하여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화상 불량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범위는, 환경 정보 이외에도, 기록재(P)의 두께, 표면성에 따라서도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테이블 데이터는, 기록재(P)의 두께와 관련되는 정보(평량), 기록재(P)의 표면성과 관련되는 정보에 따라서도 전류의 범위가 변화하도록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범위는, 계산식으로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범위는, 기록재(P)의 사이즈마다 복수의 테이블 데이터나 계산식으로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에, 제어부(50)는, S102에서 취득한 작업 정보 중에 포함되는 기록재(P)의 폭의 정보에 기초하여, S110에서 취득한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범위를 보정한다(S111). S110에서 구한 전류의 범위는 A4 사이즈 상당의 폭(297mm)에 대응한 것이다. 예를 들어 실제로 화상 형성에 사용하는 기록재(P)의 폭이 A5 세로 이송 상당의 폭(148.5mm), 즉 A4 사이즈 상당의 폭의 절반의 폭인 경우에는, S110에서 취득한 상한값 및 하한값이 각각 절반으로 되도록, 기록재(P)의 폭에 비례한 전류의 범위로 보정한다. 즉, 도 7의 테이블 데이터로부터 구해지는 보정 전의 용지 통과부 전류의 상한값을 Ip_max, 하한값을 Ip_min, 도 7의 테이블 데이터를 결정하였을 때의 기록재(P)의 폭을 Lp_bas라 하자. 또한, 실제로 반송되는 기록재(P)의 폭을 Lp, 보정 후의 용지 통과부 전류의 상한값을 Ip_max_aft, 하한값을 Ip_min_aft라 하자. 이때, 보정 후의 용지 통과부 전류의 상한값, 하한값은, 각각 하기 식 1, 식 2에 의해 구할 수 있다.
Ip_max_aft=Lp/Lp_bas*Ip_max … (식 1)
Ip_min_aft=Lp/Lp_bas*Ip_min … (식 2)
다음에, 제어부(50)는, 다음 각 정보에 기초하여,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용지 비통과부 전류(비통과부 전류)」) Inp를 구한다(S112). S102에서 취득한 작업 정보 중에 포함되는 기록재(P)의 폭의 정보, S105에서 구한 2차 전사부(N2)에 기록재(P)가 없는 상태에서의 2차 전사부(N2)의 전압과 전류의 관계의 정보, 및 S106에서 구한 2차 전사 전압 Vtr의 정보이다. 예를 들어, 2차 전사 롤러(8)의 폭이 338mm이고, S102에서 취득한 기록재(P)의 폭이 A5 세로 이송 상당의 폭(148.5mm)인 경우, 용지 비통과 부분의 폭은 2차 전사 롤러(8)의 폭에서 기록재(P)의 폭을 차감한 189.5mm로 된다. 그리고, S106에서 구한 2차 전사 전압 Vtr이 예를 들어 1000V이며, S105에서 구한 전압과 전류의 관계로부터, 해당 2차 전사 전압 Vtr에 대응하는 전류가 40μA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2차 전사 전압 Vtr에 대응하여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 Inp는, 다음의 비례 계산,
40μA×189.5mm/338mm=22.4μA
로부터 구할 수 있다. 즉, 상기 2차 전사 전압 Vtr에 대응하는 전류 40μA를, 2차 전사 롤러(8)의 폭 338mm에 대한 용지 비통과 부분의 폭 189.5mm의 비율분만큼 작게 하는 비례 계산에 의해,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를 구할 수 있다.
다음에, 제어부(50)는, 2차 전사부(N2)를 기록재(P)가 통과하고 있을 때의 2차 전사 전류의 상한값 및 하한값(「2차 전사 전류 범위」)을 구하고, 구한 2차 전사 전류 범위를 RAM(52)에 기억시킨다(S113). 즉, 제어부(50)는, S111에서 구한 용지 통과부 전류의 상한값 및 하한값의 각각에 S112에서 구한 용지 비통과부 전류 Inp를 더하고, 2차 전사부(N2)를 기록재(P)가 통과하고 있을 때의 2차 전사 전류의 상한값 및 하한값(「2차 전사 전류 범위」)을 구한다. 즉, 2차 전사부(N2)를 기록재(P)가 통과하고 있을 때의 2차 전사 전류의 상한값을 I_max, 하한값을 I_min이라 하자. 이때, 2차 전사 전류의 상한값, 하한값은, 각각 하기 식 3, 식 4에 의해 구할 수 있다.
I_max=Ip_max_aft+Inp … (식 3)
I_min=Ip_min_aft+Inp … (식 4)
예를 들어, S110에서 취득한 A4 사이즈 상당의 폭에 대응하는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범위의 상한값이 20μA, 하한값이 15μA인 경우에 대하여 생각한다. 이 경우, 실제로 화상 형성에 사용하는 기록재(P)의 폭이 A5 세로 이송 상당의 폭일 때에는,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의 범위의 상한값은 10μA, 하한값은 7.5μA로 된다. 그리고, S112에서 구한 용지 비통과 부분에 흐르는 전류가 상기 예와 같이 22.4μA일 때에는,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상한값은 32.4μA, 하한값은 29.9μA로 된다.
다음에, 제어부(50)는, 2차 전사부(N2)에 기록재(P)가 도달하고 나서 2차 전사부(N2)에 기록재(P)가 존재하는 동안, 2차 전사 전압 Vtr을 인가하였을 때의 2차 전사 전류를 전류 검지 회로(21)에 의해 검지한다(S114). 또한, 제어부(50)는, 검지한 2차 전사 전류값과, S113에서 구한 2차 전사 전류 범위를 비교하여, 2차 전사 전원(20)이 출력하는 2차 전사 전압 Vtr을 필요에 따라 보정한다(S115). 즉, 제어부(50)는, 검지한 2차 전사 전류값이 S113에서 구한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값(하한값 이상 또한 상한값 이하)인 경우에는, 2차 전사 전원(20)이 출력하고 있는 2차 전사 전압 Vtr을 바꾸지 않고 그대로 유지한다(S116). 한편, 제어부(50)는, 검지한 2차 전사 전류값이 S113에서 구한 2차 전사 전류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는(하한값 미만 또는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해당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값으로 되도록 2차 전사 전원(20)이 출력하는 2차 전사 전압 Vtr을 보정한다(S117). 본 실시예에서는, 상한값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2차 전사 전압 Vtr을 저하시켜, 2차 전사 전류가 상한값을 하회한 시점에서 2차 전사 전압 Vtr의 보정을 멈추고, 그 시점의 2차 전사 전압 Vtr을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2차 전사 전압 Vtr은, 소정의 변경폭 ΔVp로 단계적으로 저하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하한값을 하회하고 있는 경우에는, 2차 전사 전압 Vtr을 상승시켜, 2차 전사 전류가 하한값을 상회한 시점에서 2차 전사 전압 Vtr의 보정을 멈추고, 그 시점의 2차 전사 전압 Vtr을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2차 전사 전압 Vtr은, 소정의 변경폭 ΔVp로 단계적으로 상승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S114 내지 S117의 동작은, 소정의 검지 시간(전류를 검지하는 기간)과, 소정의 응답 시간(전압을 변경하는 기간)을 교호로 반복하도록 하여 행한다. 또한, 이 검지 시간과 응답 시간을 2차 전사부(N2)에 기록재(P)가 있는 동안(보다 상세하게는 기록재(P)의 화상 형성 영역이 2차 전사부(N2)를 통과하고 있는 동안) 반복하여 행한다. 이에 의해, 2차 전사부(N2)를 기록재(P)가 통과하고 있을 때에 검지되는 2차 전사 전류가 S113에서 구한 2차 전사 전류 범위에 들어가도록, 2차 전사 전압 Vtr이 보정되어 간다. 제어부(50)는, 원하는 화상의 출력이 종료될 때까지, S114 내지 S117의 처리를 계속한다(S118). 여기서는, 1매의 기록재(P)에 통상 화상을 형성하는 작업을 실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복수의 기록재(P)에 연속해서 통상 화상을 형성하는 작업의 경우에는, 모든 통소 화상을 다 출력할 때까지, S114 내지 S117의 처리를 반복하면 된다.
여기서, 리미터 제어에 있어서의 2차 전사 전압의 변경폭 ΔVp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하여 설정할 수 있다. 농도 불균일을 억제하는 관점 등으로부터, 기록재(P)의 단위 반송 거리당 2차 전사 전류의 변경량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 기록재(P)의 단위 반송 거리당 2차 전사 전류의 변경량과, 기록재(P)의 반송 속도와, 2차 전사 전류의 샘플링 시간으로부터, 1회의 2차 전사 전압의 변경에 따른 2차 전사 전류의 변경량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1회당 2차 전사 전압의 변경량인 변경폭 ΔVp는, 이 2차 전사 전류의 변경량에 상당하는 2차 전사 전압의 변경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1회당 2차 전사 전류의 변경량의 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ROM(53)에 저장해 둘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는, ATVC 제어에 의해 구한 전압 전류 특성을 사용하여, 상기 2차 전사 전류의 변경량으로부터 1회당 2차 전사 전압의 변경량인 변경폭 ΔVp를 구할 수 있다. 즉, ATVC 제어에 의해 구한 2차 전사부(N2)의 전기 저항에 관한 정보에 따라, 소정의 2차 전사 전류의 변경량에 상당하는 2차 전사 전압의 변경량인 변경폭 ΔVp를 구한다. 이에 의해, 급격한 2차 전사 전류의 변화를 억제하여, 농도 불균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50)는, 리미터 제어에 있어서, 2차 전사 전압의 목표 전압을 소정의 변경폭마다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2차 전사부(N2)에 기록재(P)가 없는 상태에서 2차 전사 롤러(8)에 전압을 인가하여 취득한 전압 전류 특성에 기초하여, 리미터 제어에 있어서의 1회당 전압의 변경량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ATVC 제어에 의해 구한 전압 전류 특성을 사용하여, 검지 전류와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하한값(하한값을 하회하고 있던 경우) 또는 상한값(상한값을 상회하고 있던 경우)의 차분에 상당하는 변경폭 ΔVp를 구해도 된다. 즉, ATVC 제어에 의해 구한 2차 전사부(N2)의 전기 저항에 관한 정보에 따라, 검지 전류와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하한값 또는 상한값의 차분을 없앨 수 있는 변경폭 ΔVp를 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1회의 2차 전사 전압의 변경에 의해, 2차 전사 전류를 2차 전사 전류 범위 부근(전형적으로는 하한값 또는 상한값)까지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상한값 또는 하한값과의 차분을 없애는 데 충분한 전압보다 큰 전압을 변경폭 ΔVp로 해도 된다. 또한, 이 경우, 2차 전사 전류를 충분히 소정의 전류 범위 부근까지 보정할 수 있으면, 제어의 오차 등에 의해, 보정 후의 2차 전사 전압에 의해 공급되는 2차 전사 전류가 소정의 전류 범위로부터 충분히 작은 범위에서 벗어나는 일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50)는, 리미터 제어에 있어서, 1회의 변경에 의해 2차 전사 전류 범위와 전류 검지 회로(21)의 검지 결과가 나타내는 전류의 차분이 소정값 이하(이 소정값은 제로여도 됨)로 되도록, 2차 전사 전압의 목표 전압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2차 전사부(N2)를 기록재(P)가 통과하고 있을 때에 2차 전사부(N2)에 흐르는 전류로서, 「용지 통과부 전류(통과부 전류)」와, 「용지 비통과부 전류(비통과부 전류)」를 고려하였다. 용지 통과부 전류는, 기록재(P)의 반송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2차 전사부(N2)의 기록재(P)가 통과하는 영역(「용지 통과 부분(통과 영역)」)에 흐르는 전류이다. 또한, 용지 비통과부 전류는, 기록재(P)의 반송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2차 전사부(N2)의 기록재(P)가 통과하지 않는 영역(「용지 비통과 부분(비통과 영역)」)에 흐르는 전류이다. 용지 비통과 부분이 생기는 것은, 2차 전사 롤러(8)의 긴 변 방향의 길이가, 여러 가지 사이즈의 기록재(P)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반송 및 토너상의 전사를 행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보증하고 있는 기록재의 최대폭보다 크게 되기 때문이다. 2차 전사부(N2)를 기록재(P)가 통과하고 있을 때에 검지할 수 있는 전류는 용지 통과부 전류와 용지 비통과부 전류의 합이다. 전술한 화상 농도 엷음, 백색 스폿과 같은 화상 불량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용지 통과부 전류가 적절한 범위의 값으로 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지만, 용지 통과부 전류만을 검지할 수는 없다. 이에 비해, 기록재(P)의 사이즈마다 적절한 2차 전사 전류의 상한값 및 하한값(「2차 전사 전류 범위」)을 미리 구해 두고, 기록재(P)의 사이즈에 따라 2차 전사부(N2)를 기록재(P)가 통과 중인 2차 전사 전류를 그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값으로 제어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미리 적절한 2차 전사 전류 범위를 결정해도, 용지 비통과 부분을 형성하는 2차 전사 롤러(8)의 전기 저항은 여러 가지 조건에서 변동되는 경우가 있다. 이 여러 가지 조건으로서는, 제품의 변동, 환경(온도ㆍ습도), 부재의 온도ㆍ흡습도, 누적 사용 시간(화상 형성 장치의 가동 상황이나 반복 사용량 상황) 등을 들 수 있다. 그 때문에, 2차 전사 롤러(8)의 전기 저항의 변동에 따라 적절한 2차 전사 전류 범위가 변화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재(P)가 2차 전사부(N2)에 없는 상태에서의 2차 전사부(N2)의 전기 저항에 관한 정보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용지 비통과부 전류를 예측하고, 그 예측 결과와 용지 통과 부분에 흘려도 되는 전류 범위에 기초하여 2차 전사 전류 범위를 구하였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재(P)의 사이즈마다 적절한 2차 전사 전류 범위를 미리 구해 두고, 기록재(P)의 사이즈에 따른 2차 전사 전류 범위를 사용하여 리미터 제어를 행하거나 해도 된다. 또한, 원하는 정밀도 등에 따라, 용지 비통과부 전류를 고려하지 않고 리미터 제어를 행해도 된다.
4. 조정 모드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정 모드에 대하여 더 설명한다. 기록재(P)에 조정 차트를 형성하여 출력하는 조정 모드로서는, 여러 가지의 것이 고려되지만, 예를 들어 다음의 것을 들 수 있다. 감광 드럼(1) 상의 토너상을 형성하기 위한 잠상 형성 조건이나 현상 조건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 있다. 또한, 기록재(P) 상에 토너상을 전사할 때의 위치 조건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 있다. 또한, 기록재(P) 상에 토너상을 전사할 때의 전사 전압 조건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재(P)에 조정 차트를 형성하여 출력하는 조정 모드는, 2차 전사 전압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모드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리미터 제어에 따른 2차 전사 전압의 자동 조정을 가능하게 하면서, 유저의 기호에 맞춘 농도를 달성하거나 하기 위해, 유저가 실제로 사용하는 기록재(P)에 조정 차트를 출력하여 2차 전사 전압을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조정 모드에서는, 소정의 시험 화상으로서 1매의 기록재(P)에 2차 전사 전압을 전환하면서 복수의 패치를 형성한 조정 차트를 출력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조정 차트의 출력에 사용하는 기록재(P)의 종류(사이즈, 두께, 종이 종류 카테고리 등)를 지정하여, 조정 모드를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 조정 차트를 출력할 때에는, 전술한 리미터 제어를 행하지 않고,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기록재(P)의 종류 등에 따라 결정한 Vb+Vp(=Vtr), 또는 이것에 기초하는 Vb+Vp+ΔV(조정량)로 2차 전사 전압을 정전압 제어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유저 등의 조작자는, 출력된 조정 차트를 눈으로 보기 또는 측색계를 사용하여 확인하고, 바람직한 결과가 얻어진 패치에 대응하는 2차 전사 전압(보다 상세하게는 ΔV)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정 모드에서 출력하는 조정 차트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정 차트의 각 패치의 형상은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 등으로 할 수 있다. 패치의 색은, 확인하고 싶은 화상 불량이나 확인 용이성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차 전사 전압을 낮은 값으로부터 높여 간 경우에, 레드, 그린, 블루와 같은 2차 색의 패치를 적절하게 전사할 수 있는 전압값으로부터 2차 전사 전압의 하한값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2차 전사 전압을 더 높여 간 경우에, 하프톤의 패치에 2차 전사 전압이 높음에 따른 화상 불량이 발생하는 전압값으로부터 2차 전사 전압의 상한값을 결정할 수 있다.
도 8의 (a)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정 모드에서 출력하는 조정 차트(300)의 일례의 모식도이다. 조정 차트(300)는, 반송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여기서는 「폭 방향」이라고도 함)으로, 1개의 블루 솔리드의 패치(301), 1개의 블랙 솔리드의 패치(302), 및 2개의 하프톤의 패치(303)가 배열된 패치 세트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 폭 방향의 패치 세트(301 내지 303)가 반송 방향으로 11조 배열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하프톤의 패치(303)는 그레이(블랙의 하프톤)의 패치이다. 여기서, 솔리드 화상은 최대 농도 레벨의 화상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하프톤 화상이란, 솔리드 화상의 토너 적재량을 100%라고 하였을 때, 10%에서 80%의 토너 적재량의 화상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조정 차트(300)에는, 반송 방향의 11조의 패치 세트(301 내지 303)의 각각에 대응지어져, 각 조의 패치 세트에 대하여 인가된 2차 전사 전압의 설정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304)가 마련되어 있다. 이 식별 정보(304)는, 후술하는 조정값에 대응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11단계의 2차 전사 전압의 설정에 대응하는 11개(본 실시예에서는 -5 내지 0 내지 +5)의 식별 정보(304)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대의 기록재(P)의 사이즈는, 폭 방향 13인치(≒330mm)×반송 방향 19.2인치(≒487mm)이며, 조정 차트(300)는 이 사이즈에 대응하고 있다. 기록재(P)의 사이즈가 13인치×19.2인치(세로 이송) 이하이며, 또한 A3 사이즈(세로 이송) 이상인 경우에는, 도시된 차트의 데이터로부터 기록재(P)의 사이즈에 따라 절취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트가 출력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선단 중앙 기준으로 기록재(P)의 사이즈에 맞추어, 화상 데이터가 절취된다. 즉, 기록재(P)의 반송 방향의 선단과 조정 차트(300)의 반송 방향의 선단(도면 중 상단)이 맞추어지고, 기록재(P)의 폭 방향의 중앙과 조정 차트(300)의 폭 방향의 중앙이 맞추어져, 화상 데이터가 절취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단부(본 실시예에서는 폭 방향의 양단부 및 반송 방향의 양단부)에 여백 2.5mm가 마련되도록 하여 화상 데이터가 절취된다. 예를 들어, A3 사이즈(세로 이송)의 기록재(P)에 조정 차트(300)가 출력되는 경우에는, 단부에 각각 2.5mm의 여백을 두도록 하여 짧은 변 292mm×긴 변 415mm의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가 절취된다. 그리고, 이 절취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이, A3 사이즈의 기록재(P)에, 선단 중앙 기준으로 출력된다. 폭 방향의 사이즈가 13인치보다 작은 기록재(P)가 사용되는 경우, 폭 방향의 단부의 하프톤의 패치(303)의 폭 방향의 사이즈가 작아져 간다. 또한, 폭 방향의 사이즈가 13인치보다 작은 기록재(P)가 사용되는 경우, 반송 방향의 후단의 여백이 작아져 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A3 사이즈보다 작은 기록재(P)가 사용되는 경우, 필요한 조정값만큼의 패치를 출력할 수 있을 만큼, 복수매의 기록재(P)에 조정 차트를 형성하여 출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정형 사이즈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조작자가 조작부(31)나 외부 장치(200)로부터 입력하여 지정함으로써, 임의의 사이즈(프리 사이즈)의 기록재(P)를 사용하여 조정 차트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패치의 크기는, 조작자가 화상 불량의 유무를 판단하기 쉬운 크기인 것이 요구된다. 블루 솔리드의 패치(301), 블랙 솔리드의 패치(302)의 전사성에 대해서는, 패치의 크기가 작으면 판단이 어려워지기 쉬우므로, 패치의 크기는, 한 변이 10mm인 정사각형 이상이 바람직하고, 한 변이 25mm인 정사각형 이상의 크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하프톤의 패치(303)에 있어서의, 2차 전사 전압을 높게 해 간 경우에 발생하는 이상 방전에 의한 화상 불량은, 흰 점과 같은 화상 불량으로 되는 경우가 많다. 이 화상 불량은, 솔리드 화상의 전사성에 비하여, 작은 화상에서도 판단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그러나, 화상이 지나치게 작지 않은 편이 보기 쉽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하프톤의 패치(303)의 반송 방향의 폭은, 블루 솔리드의 패치(301), 블랙 솔리드의 패치(302)의 반송 방향의 폭과 동일하게 하고 있다. 또한,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패치 세트(301 내지 303) 사이의 간격은, 2차 전사 전압의 전환을 행할 수 있도록 설정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블루 솔리드의 패치(301) 및 블랙 솔리드의 패치(302)는, 각각 25.7mm×25.7mm의 정사각형(한 변이 폭 방향과 대략 평행)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폭 방향 양단부의 하프톤의 패치(303)는, 각각 반송 방향의 폭이 25.7mm로 되고, 폭 방향은 조정 차트(300)의 최단부로까지 신장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패치 세트(301 내지 303) 사이의 간격은 9.5mm로 되어 있다. 이 간격에 대응하는 조정 차트(300) 상의 부분이 2차 전사부(N2)를 통과하고 있는 타이밍에, 2차 전사 전압이 전환된다. 조정 차트(300)의 반송 방향의 11조의 패치 세트(301 내지 303)는, 기록재(P)의 사이즈가 A3 사이즈인 경우에 반송 방향의 길이 415mm에 수렴되도록, 반송 방향의 길이 387mm의 범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록재(P)의 반송 방향의 선단 및 후단의 근방(예를 들어 단부 에지로부터 내측으로 20 내지 30mm 정도의 범위)에는, 패치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따른 것이다. 즉, 기록재(P)의 반송 방향의 단부 중, 폭 방향의 단부에는 발생하지 않고, 선단 또는 후단에만 발생하는 화상 불량이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2차 전사 전압을 할당하였기 때문에 화상 불량이 발생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게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조정 차트(300)의 각 패치는 중간 전사 벨트(7) 상에 형성할 때까지의 프로세스 조건은 전부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2차 전사부(N2)에서 기록재(P) 상에 패치를 전사할 때의 2차 전사 전압이, 반송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패치 세트(301 내지 303)마다 다르다. 이 2차 전사 전압의 차이에 의해, 기록재(P) 상에 출력되는 각 패치 세트(301 내지 303)의 농도가 다른 것으로 되는 것이 상정되어 있다.
도 9의 (a), (b)는 각각,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정 차트(300)의 출력 시의 2차 전사 전압, 2차 전사 전류의 추이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그래프도이다. 조정 차트(300)의 식별 정보(304)가 나타내는 조정값 「0」에 대응하는 패치 세트(301 내지 303)는, 도 4의 S106에서 결정된 2차 전사 전압의 초깃값 Vb+Vp(=Vtr)로 기록재(P)에 2차 전사된다. 그리고, 조정값 「0」보다 작은 조정값에 대응하는 패치 세트(301 내지 303)(반송 방향의 선단측)는, 초깃값보다 절댓값이 작은 2차 전사 전압으로 기록재(P)에 2차 전사된다. 반대로, 조정값 「0」보다 큰 조정값에 대응하는 패치 세트(301 내지 303)(반송 방향의 후단측)는, 초깃값보다 절댓값이 큰 2차 전사 전압으로 기록재(P)에 2차 전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정값이 「1」 다를 때마다, 소정의 전압폭만큼 2차 전사 전압을 변화시켜(본 실시예에서는 절댓값을 크게 하여), 계단상으로 2차 전사 전압을 변화시킨다. 이 변동폭은 수십V 내지 수백V 정도가 적합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150V로 하였다. 예를 들어, 조정값이 「-5」인 패치 세트(301 내지 303)에 대하여 인가되는 2차 전사 전압은 Vb+Vp+(-5*150V)로 된다.
유저 등의 조작자는, 출력된 조정 차트(300)의 패치를 시인 또는 색 측정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측정에 의해 확인한다. 그리고, 조작자가 선호하는 화상을 출력 가능한 2차 전사 전압의 조정값을 선택하여, 조작부(31)나 외부 장치(200)에 표시된 설정 화면을 통하여 제어부(50)에 입력한다. 이에 의해, 조작자가 실제로 사용하는 기록재(P)의 종류나 상태에 따라, 조작자의 선호에 따른 결과가 얻어지도록 2차 전사 전압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의 (b)는, 조작자가 조정 모드의 설정을 입력하기 위한 설정 화면(400)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이 설정 화면(400)은, 기록재(P)의 표면과 뒷면에 대한 2차 전사 전압의 조정값을 설정하기 위한 전압 설정부(401)를 갖는다. 또한, 이 설정 화면(400)은, 조정 차트(300)를 기록재(P)의 편면에 출력할지 양면에 출력할지를 선택하기 위한 출력면 선택부(402)를 갖는다. 또한, 이 설정 화면(400)은, 조정 차트(300)의 출력을 지시하기 위한 출력 지시부(403)를 갖는다. 또한, 이 설정 화면(400)은, 설정을 확정하기 위한 확정부(OK 버튼)(404), 설정의 변경을 캔슬하기 위한 캔슬 버튼(405)을 갖는다. 전압 설정부(401)에 있어서 조정값 「0」이 선택된 경우에는, 2차 전사 전압이 도 4의 S106에서 결정되는 초깃값 Vb+Vp(=Vtr)로 설정되고, 또한 조정 차트(300)의 출력 시의 2차 전사 전압의 중심 전압값이 그 전압으로 설정된다. 또한, 「0」 이외의 조정값이 선택된 경우에는, 조정값의 1레벨마다 150V의 조정량 ΔV로 2차 전사 전압이 조정되고, 또한 조정 차트(300)의 출력 시의 2차 전사 전압의 중심 전압값이 그 전압으로 설정된다. 조정값이 선택된 후에, 출력 지시부(403)가 선택됨으로써, 선택된 중심 전압값으로 조정 차트(300)가 출력된다. 또한, 조정값이 선택된 후에 확정부(404)가 선택됨으로써, 2차 전사 전압의 설정이 확정되어, RAM(52)에 저장된다. 조정 차트에 원하는 결과가 없는 경우에는, 조정 차트(300)의 출력 시의 2차 전사 전압의 중심 전압값을 변경하여, 조정 차트(300)의 출력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자가 조정 차트(300)의 패치를 눈으로 보기 또는 색 측정기를 사용하여 확인하고, 2차 전사 전압을 조정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조작자가, 출력된 조정 차트(300)를, 화상 형성 장치(100)가 구비한 화상 판독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세트하고, 이 화상 판독 장치에 조정 차트의 각 패치의 농도 정보(휘도 정보)를 판독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가 그 농도 정보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소정의 조건에 합치하는(예를 들어 가장 농도가 진한) 패치에 대응하는 조정량을 결정하여, 2차 전사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혹은,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조정 차트(300)가 출력될 때에 조정 차트(300)의 각 패치의 농도 정보(휘도 정보)를 판독하는 인라인의 화상 센서를 마련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제어부(50)가 그 화상 센서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2차 전사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색 측정기로서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외부의 색 측정기, 또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접속된 색 측정기를 사용할 수 있다. 외부의 색 측정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조작자가 원하는 설정을 제어부(50)에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0)에 접속된 색 측정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측정 결과가 제어부(50)에 읽어들여지고, 제어부(50)가 그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화상 농도가 적절하게 되도록 2차 전사 전압의 조정값에 반영시키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조정 모드 이외일 때에는, "3. 2차 전사 전압 제어"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리미터 제어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 리미터 제어와는 별도로, 2차 전사 전원(고압 전원 회로)(20)에, 과잉 전류 억제의 관점에서, 보호 회로에 의한 전류 리미터나, 인가 전압의 고압 상한값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 보호 회로에 의한 전류 리미터는, 상술한 리미터 제어에 의한 통상 화상 형성 중의 화상을 보증하기 위한 전류 범위보다 넓게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2차 전사 전원(20)은, 과잉 전류 억제의 관점에서 300 내지 400μA의 보호 회로를 갖고 있고, 2차 전사부(N2)에 이 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려고 하면 회로 보호를 위해 2차 전사 전원(20)이 일시적으로 차단되는 제어가 들어간다. 또한, 이 2차 전사 전원(20)이 인가 가능한 전압은 7 내지 10kV 정도이며, "3. 2차 전사 전압 제어"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리미터 제어에 의해 2차 전사 전압을 높일 필요가 있는 경우라도, 이 값 이상으로는 2차 전사 전압은 커지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2차 전사 전원(20)이 상술한 바와 같은 과잉 전류 억제의 관점에서의 보호 회로에 의한 전류 리미터나 인가 전압의 고압 상한값을 갖고 있는 경우, 조정 모드에 있어서도 이것들이 유효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정 차트를 출력할 때, 통상 화상 형성 중의 화상을 보증하기 위한 전류 범위를 제한하는 리미터 제어가 오프로 되어 있다. 단, 이 경우라도, 상술한 바와 같은 과잉 전류 억제의 관점에서의 보호 회로에 의한 전류 리미터나 인가 전압의 고압 상한값은 유효한 것이 바람직하다.
5. 효과
도 10의 (a), (b)는 각각, 본 실시예와는 달리 조정 차트의 출력 시에 리미터 제어를 행한 경우의 2차 전사 전압, 2차 전사 전류의 추이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그래프도이다. 또한, 조정 차트 자체는 본 실시예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정 차트의 출력 시에 리미터 제어를 행한 경우, 소정의 2차 전류 범위에서밖에 2차 전사 전압을 변화시킬 수 없게 되어 버린다. 그리고, 조작자의 기호에 맞는 화상 농도를 달성할 수 있는 2차 전사 전압이, 2차 전사 전류가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영역에 있는 경우, 리미터 제어가 행해져 버리면, 해당 영역의 2차 전사 전압에서의 패치의 출력을 적절하게 행할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조작자의 선호에 따른 조정을 행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비해, 도 9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조정 차트를 출력할 때에 리미터 제어를 행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상정된 범위의 2차 전사 전압으로 적절하게 패치를 출력할 수 있다. 그 결과, 조작자의 선호에 따른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조정 차트를 출력하는 기록재(P)가 2차 전사부(N2)를 통과하고 있는 동안의 전기간에 리미터 제어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록재(P)의 반송 방향에 관하여 패치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에 대해서는 리미터 제어를 행해도 된다. 조정 차트는, 기록재(P)의 반송 방향의 선단으로부터 후단까지 간극 없이 패치가 형성된다고는 할 수 없으며, 선단측 또는 후단측 중 적어도 한쪽에 패치가 형성되지 않는 여백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이 여백 영역이 2차 전사부(N2)를 통과하고 있는 동안은 리미터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2차 전사 전압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차트를 출력하는 경우, 예를 들어 조정값 「0」에 대응하는 2차 전사 전압의 설정을, 기록재(P)의 반송 방향의 선단측의 여백부에서의 리미터 제어로 조정한 값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2차 전사 전류가 최적에 가까운 상태로 되는 2차 전사 전압을 사이에 두도록 하여 할당한 2차 전사 전압의 설정으로, 조정 차트를 출력할 수 있어, 보다 적절한 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복수매의 기록재(P)에 연속해서 조정 차트를 형성하는 경우 등에, 선행하는 기록재(P)의 후단측의 여백 영역에 있어서도 리미터 제어를 행하여 후속의 기록재(P)에 대비하는 것도 유효하다. 즉, 조정 차트를 출력하는 기록재(P)의 반송 방향에 관한 패치가 형성되는 영역이 2차 전사부(N2)를 통과하고 있는 동안은 리미터 제어를 행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패치가 형성되는 영역이란, 기록재(P)의 반송 방향에 관한 패치가 전사되는 영역의 선단부터 후단까지의 범위이다. 기록재(P)의 반송 방향으로 복수의 패치가 전사되는 경우에는, 기록재(P)의 반송 방향에 관한 선단의 패치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의 패치의 후단까지의 범위이다. 그리고, 기록재(P)의 선단측의 패치가 형성되지 않는 여백 영역, 나아가 후단측의 패치가 형성되지 않는 여백 영역이 2차 전사부(N2)를 통과하고 있는 동안은 리미터 제어를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선단측 또는 후단측 중 적어도 한쪽이 2차 전사부(N2)를 통과하고 있을 때에만 리미터 제어를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0)는, 기록재(P)가 전사부(N2)를 통과하고 있을 때, 전사 부재(8)에 인가하는 전압이 소정 전압으로 되도록 정전압 제어하는 제어부(5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어부(50)는, 전류 검지부(21)의 검지 결과가 소정 범위 내로 되도록 전류 검지부(21)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전사 부재(8)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하는 리미터 제어를 실행 가능하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0)는, 토너상을 기록재(P)에 전사하는 제1 모드(통상 화상 형성 모드)와, 다른 복수의 전압을 전사 부재(8)에 인가하여 복수의 시험 토너상을 기록재(P)에 전사하는 제2 모드(조정 모드)를 실행 가능하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제1 모드의 실행 시에는, 기록재(P)가 전사부(N2)를 통과하고 있는 동안에 리미터 제어를 실행 가능하다. 한편, 제어부(50)는, 제2 모드의 실행 시에는, 복수의 시험 토너상이 전사되는 영역이 전사부(N2)를 통과하고 있는 동안은 리미터 제어를 행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험 토너상은, 제1 모드의 실행 시의 상기 소정 전압(전사 전압의 목표 전압)을 설정하기 위한 토너상이다. 또한, 제어부(50)는, 제2 모드의 실행 시에, 기록재(P)의 반송 방향에 관한 복수의 시험 토너상이 전사되는 영역 이외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전사부(N2)를 통과하고 있는 동안은, 리미터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해당 적어도 일부의 영역은, 기록재(P)의 반송 방향에 관한 선단측의 토너상이 전사되지 않는 여백 영역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통상 화상을 출력할 때, 기록재(P)의 종류나 상태에 구애되지 않고 2차 전사 전류의 부족 또는 과잉의 발생을 억제하여, 적절하게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그것과 함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정 차트를 출력할 때, 동작 설정을 제한하지 않고, 적절하게 조정 차트를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자의 선호에 따른 조정을 적절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2차 전사부를 기록재(P)가 통과하고 있을 때의 2차 전사 전류에 기초하여 2차 전사 전압을 조정하는 리미터 제어가 가능한 구성에 있어서, 기록재(P)에 시험 화상을 형성하는 조정 모드에 의한 조정을 적절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 및 동작은,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것과 동일 또는 대응하는 기능 혹은 구성을 갖는 요소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에서는, 조정 차트를 출력할 때(혹은 조정 차트의 패치가 형성되는 영역이 2차 전사부를 통과하고 있을 때)에는 리미터 제어를 행하지 않도록 하였다. 이에 비해, 리미터 제어를 완전히 행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2차 전사 전류 범위를 확대(상한값과 하한값의 차분을 크게)함으로써도, 실시예 1에 가까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실시예 1에 입각하여 더 설명하면, 제어부(50)는, 도 4의 S107에서 기록재(P)에 형성하는 화상이 조정 차트라고 판단한 경우도, 통상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도 4의 S110 내지 S118의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실행한다. 단, 2차 전사 전류 범위를, 통상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보다 넓게 한다. 도 11의 (a), (b)는 각각,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정 차트를 출력하는 경우의 2차 전사 전압, 2차 전사 전류의 추이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그래프도이다. 예를 들어, 조정 차트를 출력하는 경우의 2차 전사 전류 범위는, 통상은 실질적으로 리미터 제어가 기능하지 않게 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단, 이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상한값, 하한값은, 전류 검지 회로(21)에서 검지 가능한 전류 범위의 값이다. 또한, 2차 전사 전류 범위의 상한값 또는 하한값 중 적어도 한쪽(도시된 예에서는 양쪽)을, 2차 전사 전류 범위를 확대하도록 변경함으로써, 통상 화상을 출력하는 경우보다 조정 차트를 출력하는 경우의 2차 전사 전류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50)는, 제1 모드(통상 화상 형성 모드)의 실행 시에 리미터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는, 전사 전류의 소정 범위를 제1 소정 범위로 설정하고, 제2 모드(조정 모드)의 실행 시에 리미터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는, 전사 전류의 소정 범위를 상기 제1 소정 범위보다 넓은 제2 소정 범위로 설정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해서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기타]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입각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미터 제어는, 전류의 상한값 및 하한값 중 어느 한쪽만을 마련하여 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준적인 기록재보다 전기 저항이 큰 기록재가 사용되고, 전사 전류가 하한값을 하회하는 일이 많음을 알고 있는 경우 등에는, 하한값만을 마련할 수 있다. 반대로, 표준적인 기록재보다 전기 저항이 작은 기록재가 사용되고, 전사 전류가 상한값을 상회하는 일이 많음을 알고 있는 경우 등에는, 상한값만을 마련할 수 있다. 즉, 리미터 제어에 있어서 전사 전류가 소정 범위 내로 되도록 한다는 것은, 하한값 이상의 전류로 하는 것, 상한값 이하의 전류로 하는 것, 및 하한값 이상 또한 상한값 이하로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기록재는, 반송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전사 부재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반송되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한쪽의 단부측을 기준으로 하여 반송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되고, 본 발명을 동등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 형성부를 하나만 갖는 모노크롬 화상 형성 장치에도 동등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감광 드럼 등으로 되는 상 담지체로부터 기록재에 토너상이 전사되는 전사부에 관하여 적용되게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따르면, 기록재에 시험 화상을 형성하는 조정 모드에 의한 조정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밝히기 위해 이하의 청구항을 첨부한다.
본원은 2019년 6월 29일에 제출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9-122574호 및 2019년 11월 14일에 제출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9-206569호를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기재 내용의 전부를 여기에 원용한다.

Claims (18)

  1. 토너상을 담지하는 상 담지체;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상 담지체에 담지된 토너상을 전사부에 있어서 기록재에 전사하는 전사 부재;
    상기 전사 부재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상기 전사 부재에 흐르는 전류를 검지하는 전류 검지부;
    기록재가 상기 전사부를 통과하고 있을 때,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하는 전압이 소정 전압으로 되도록 정전압 제어하는 제어부;
    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토너상을 기록재에 화상 형성하는 제1 모드와, 상기 제1 모드 시에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하는 전압을 설정하기 위해, 다른 복수의 전압을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하여 복수의 시험 토너상을 기록재에 형성하는 제2 모드를 실행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의 실행 시에는, 기록재가 상기 전사부를 통과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리미터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제2 모드의 실행 시에는, 상기 복수의 시험 토너상이 전사되는 영역이 상기 전사부를 통과하고 있는 동안은 상기 리미터 제어를 행하지 않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미터 제어와는 별도로, 상기 전사 부재에 흐르는 전류가 소정 전류 이상으로 되지 않도록 상기 전원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보호 회로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전류는 상기 소정 범위의 상한값보다 큰, 화상 형성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회로는 상기 제2 모드의 실행 시에 있어서 유효한,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의 실행 시에, 기록재의 반송 방향에 관한 상기 복수의 시험 토너상이 전사되는 영역 이외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상기 전사부를 통과하고 있는 동안은, 상기 리미터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영역은, 기록재의 반송 방향에 관한 선단측의 토너상이 전사되지 않는 여백 영역인,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토너상은, 상기 제1 모드의 실행 시의 상기 소정 전압을 설정하기 위한 토너상인, 화상 형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미터 제어에 있어서,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하는 전압을 소정의 변경폭마다 변경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미터 제어에 있어서, 1회의 변경에 의해 상기 소정 범위와 상기 전류 검지부의 검지 결과가 나타내는 전류의 차분이 소정값 이하로 되도록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하는 전압을 변경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사부에 기록재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전사 부재에 전압을 인가하여 취득한 전압 전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리미터 제어에 있어서의 1회당 전압의 변경량을 설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토너상을 담지하는 상 담지체;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상 담지체에 담지된 토너상을 전사부에 있어서 기록재에 전사하는 전사 부재;
    상기 전사 부재에 흐르는 전류를 검지하는 전류 검지부;
    기록재가 상기 전사부를 통과하고 있을 때,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하는 전압이 소정 전압으로 되도록 정전압 제어하는 제어부;
    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검지부의 검지 결과가 소정 범위 내로 되도록 상기 전류 검지부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하는 리미터 제어를 실행 가능하고,
    토너상을 기록재에 전사하는 제1 모드와, 다른 복수의 전압을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하여 복수의 시험 토너상을 기록재에 전사하는 제2 모드를 실행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의 실행 시에 상기 리미터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소정 범위를 제1 소정 범위로 설정하고, 상기 제2 모드의 실행 시에 상기 리미터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소정 범위를 상기 제1 소정 범위보다 넓은 제2 소정 범위로 설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미터 제어와는 별도로, 상기 전사 부재에 흐르는 전류가 소정 전류 이상으로 되지 않도록 상기 전원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보호 회로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전류는 상기 소정 범위의 상한값보다 큰, 화상 형성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회로는 상기 제2 모드의 실행 시에 있어서 유효한, 화상 형성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토너상은, 상기 제1 모드의 실행 시의 상기 소정 전압을 설정하기 위한 토너상인, 화상 형성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미터 제어에 있어서,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하는 전압을 소정의 변경폭마다 변경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미터 제어에 있어서, 1회의 변경에 의해 상기 소정 범위와 상기 전류 검지부의 검지 결과가 나타내는 전류의 차분이 소정값 이하로 되도록 상기 전사 부재에 인가하는 전압을 변경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사부에 기록재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전사 부재에 전압을 인가하여 취득한 전압 전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리미터 제어에 있어서의 1회당 전압의 변경량을 설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227002260A 2019-06-29 2020-06-25 화상 형성 장치 KR202200248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22574 2019-06-29
JP2019122574 2019-06-29
JP2019206569A JP7383458B2 (ja) 2019-06-29 2019-11-14 画像形成装置
JPJP-P-2019-206569 2019-11-14
PCT/JP2020/025929 WO2021002410A1 (ja) 2019-06-29 2020-06-25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4861A true KR20220024861A (ko) 2022-03-03

Family

ID=74100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2260A KR20220024861A (ko) 2019-06-29 2020-06-25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644784B2 (ko)
EP (1) EP3992725A4 (ko)
JP (1) JP2023181514A (ko)
KR (1) KR20220024861A (ko)
CN (2) CN117270352A (ko)
WO (1) WO20210024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21136A (ja) * 2021-02-08 2022-08-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2150066A (ja) * 2021-03-25 2022-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2156784A (ja) * 2021-03-31 2022-10-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7968A (ja) * 2001-08-09 2003-02-2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3997075B2 (ja) 2001-10-30 2007-10-2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転写条件設定方法、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4117920A (ja) 2002-09-26 2004-04-1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8040177A (ja) * 2006-08-07 2008-02-21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JP2008102258A (ja) 2006-10-18 2008-05-01 Goko International Corporation 拡大撮像装置
JP2008275946A (ja) 2007-04-27 2008-11-13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5338284B2 (ja) * 2008-12-04 2013-11-1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935805B2 (ja) * 2008-12-22 2012-05-2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824951B2 (ja) 2011-08-08 2015-12-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6168815B2 (ja) 2012-04-03 2017-07-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3235058A (ja) 2012-05-07 2013-11-21 Konica Minolta Inc 画像形成装置
CN111018659A (zh) 2014-02-07 2020-04-17 科慕埃弗西有限公司 用于制备z-1,1,1,4,4,4-六氟-2-丁烯的一体化方法
JP2016057582A (ja) * 2014-09-12 2016-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601207B2 (ja) * 2015-12-21 2019-11-0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7122812A (ja) * 2016-01-06 2017-07-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800760B2 (ja) * 2017-01-11 2020-12-16 キヤノン株式会社 高圧電源装置、画像形成装置
JP2018116223A (ja) * 2017-01-20 2018-07-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8146627A (ja) 2017-03-01 2018-09-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9122574A (ja) 2018-01-17 2019-07-25 株式会社三共 遊技機
EP3805866B1 (en) 2018-05-25 2024-01-2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ation device
US11143989B2 (en) 2018-08-09 2021-10-1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7171304B2 (ja) * 2018-08-09 2022-11-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171387B2 (ja) * 2018-11-22 2022-11-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81514A (ja) 2023-12-21
CN117270352A (zh) 2023-12-22
WO2021002410A1 (ja) 2021-01-07
EP3992725A4 (en) 2023-08-02
US20230087226A1 (en) 2023-03-23
US11747760B2 (en) 2023-09-05
CN114026503B (zh) 2023-09-22
CN114026503A (zh) 2022-02-08
US11644784B2 (en) 2023-05-09
US20220091552A1 (en) 2022-03-24
EP3992725A1 (en) 202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65702B (zh) 图像形成装置
US1099005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outputting plural test toner images for use in adjusting transfer voltage
JP7350538B2 (ja) 画像形成装置
KR20220024861A (ko) 화상 형성 장치
US1202592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operable in mode for forming test chart using plural test voltages
WO2019225767A1 (ja) 画像形成装置
KR102571422B1 (ko) 화상 형성 장치
JP738345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2156244A (ja) 画像形成装置
JP7353856B2 (ja) 画像形成装置
KR102247149B1 (ko) 화상 형성 장치
JP2021009210A (ja) 画像形成装置
JP7350537B2 (ja) 画像形成装置
CN112424700B (zh) 图像形成装置
JP720793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2156246A (ja) 画像形成装置
JP2024027750A (ja) 画像形成装置
CN116009368A (zh) 图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