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4039A - 팬츠형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팬츠형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4039A
KR20220024039A KR1020217040938A KR20217040938A KR20220024039A KR 20220024039 A KR20220024039 A KR 20220024039A KR 1020217040938 A KR1020217040938 A KR 1020217040938A KR 20217040938 A KR20217040938 A KR 20217040938A KR 20220024039 A KR20220024039 A KR 20220024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d
skin
fold line
absorbent
absorbent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0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 다카하시
링슈앙 젱
이 시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24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40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47Folding; Pleating; Coiling; Stacking; Pack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1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omprising an additive, e.g. lotion or odour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61F13/53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61F13/53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61F2013/840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61F2013/8408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61F2013/8408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 A61F2013/843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with plant derivat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 흡수성인 흡수성 코어(22) 및, 흡수성 코어(22)보다 피부에 더 가깝게 배치된 피부측 시트(24a, 24b)를 갖는 흡수성 본체(20); 및 흡수성 본체(20)의 비피부측과 중복되어 배치되며 좌우 방향으로 신축되는 허리 둘레 부재(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1)에 관한 것으로서, 휘발성 물질(26)은 흡수성 코어 (22) 및 피부측 시트(24a, 24b)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며,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은 좌우 방향을 따라 접힘선으로서 세로 방향 접힘선(BL)을 취하여 상하 방향으로 접힌 상태로 포장되며,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이 상하 방향으로 접히지 않은 상태에서 휘발성 물질(26)의 적어도 일부는 세로 방향 접힘선(BL)의 하측에 제공된다.

Description

팬츠형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액 흡수성의 흡수성 코어를 갖는 흡수성 본체 및 착용자 등이 느끼는 불편함을 억제하기 위한 휘발성 물질을 포함하는 널리 공지된 흡수성 물품(이하, 또한 흡수성 물품으로 약칭함)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은 불쾌한 냄새를 억제하기 위하여 휘발성 물질로서 후각 자극 향료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을 개시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2018-102612호
휘발성 물질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에서, 착용시 휘발성 물질의 기화 및 배출로 인하여 휘발성 물질의 효과가 충분하게 나타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문제에 관하여 달성되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기화된 휘발성 물질의 배출을 억제시키는 것이다.
상기 기재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을 갖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액 흡수성의 흡수성 코어 및 흡수성 코어보다 피부측에 제공되는 피부측 시트를 포함하는 흡수성 본체; 및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측에 중복되어 배치되며 좌우 방향으로 신축되는 허리 부재를 포함하며, 휘발성 물질이 흡수성 코어 및 피부측 시트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세로 방향 접힘선을 접힘부로서 사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접히는 접힌 상태에서 포장되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상하 방향으로 접기 전의 상태에서, 휘발성 물질 중 적어도 일부는 세로 방향 접힘선보다 하측에 제공된다.
상기를 제외한 본 발명의 특징은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을 숙독하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화된 휘발성 물질의 배출이 억제된다.
도 1은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의 투시 개략도이다.
도 2는 전개 상태에서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흡수성 본체(20)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화살표 A-A를 따라 취한 흡수성 본체(20)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5는 도포 영역(26p) 및 비도포 영역(26n)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의 정면에서 세로 방향 접힘선(BL), 좌측 접힘선(LB) 및 우측 접힘선(RB)을 나타내는 평면 개략도이다.
도 7은 상부 도면 및 하부 도면을 포함하며, 상부 도면은 좌측 연장부(10L) 및 우측 연장부(10R)를 내측으로 접은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의 평면 개략도이며, 하부 도면은 화살표(B-B)를 따라 취한 단면 개략도이다.
도 8은 좌측 도면 및 우측 도면을 포함하며, 좌측 도면은 접힘부로서 세로 방향 접힘선(BL)을 사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접은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의 평면 개략도이며, 우측 도면은 우측으로부터 본 흡수성 본체(20)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9는 흡수성 본체(20)에서 세로 방향 접힘선(BL)의 위치를 나타내는 흡수성 본체(20)의 평면도이다.
적어도 하기 사항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으로 명백해질 것이다.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을 가지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액 흡수성의 흡수성 코어 및 흡수성 코어보다 피부측에 제공되는 피부측 시트를 포함하는 흡수성 본체; 및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측에 중복되어 배치되며 좌우 방향으로 신축되는 허리 부재를 포함하며, 휘발성 물질이 흡수성 코어 및 피부측 시트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세로 방향 접힘선을 접힘부로서 사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접히는 접힌 상태로 포장되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상하 방향으로 접기 전의 상태에서, 휘발성 물질 중 적어도 일부는 세로 방향 접힘선보다 하측에 제공된다.
상기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기화된 휘발성 물질의 배출을 억제할 수 있다.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휘발성 물질은 온도 감수성 TRP 채널을 자극하는 온감제 및 냉감제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온감제 또는 냉감제는 부직포를 통하여 착용자의 피부와 접하게 되며, 이는 착용자가 피부 상의 온감제 또는 냉감제의 효과를 서서히 느끼게 할 수 있다.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도포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며, 도포 영역은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휘발성 물질이 도포된 흡수성 본체의 소정의 영역이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상하 방향으로 접기 전의 상태에서, 흡수성 본체에서, 세로 방향 접힘선보다 상측의 도포 영역의 부분은 세로 방향 접힘선보다 하측의 도포 영역의 부분보다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포장 상태에서, 세로 방향 접힘선의 접힘부는 절반을 넘는 도포 영역에 대하여 허리 개구부의 덮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상하 방향으로 접기 전의 상태에서, 세로 방향 접힘선은 흡수성 본체의 상측단보다 하측에 위치하며, 포장 상태에서, 흡수성 본체의 적어도 일부는 세로 방향 접힘선을 접힘부로서 사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접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흡수성 본체 상에서 세로 방향 접힘선을 따라 연장되는 주름을 형성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확실하게 접힐 수 있다.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흡수성 본체의 적어도 일부가 세로 방향 접힘선을 접힘부로서 사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접힌 상태에서, 휘발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는 세로 방향 접힘선과 중복하여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주름의 형상으로 인한 온감 효과를 착용자에게 부여할 수 있다.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흡수성 본체의 후측 상단부에 관하여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상하 방향으로 접기 전의 상태에서, 흡수성 본체의 후측 상단부의 비피부측면이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측면의 후측 하부와 대향하도록, 흡수성 본체는 상하 방향으로 접히며, 후측 하부는 세로 방향 접힘선보다 하측에 그리고 전후 방향으로 후측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천골 영역에서 휘발성 물질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상하 방향으로 접기 전의 상태에서, 흡수성 본체의 전측 상단부 및 후측 상단부는 두께 방향으로 중복되며, 흡수성 본체의 후측 상단부의 비피부측면이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측면의 후측 하부와 대향하도록, 흡수성 본체는 상하 방향으로 접히며, 후측 하부는 세로 방향 접힘선보다 하측에 그리고 전후 방향에서 후측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흡수성 본체의 후면부 또는 전면부 중 어느 하나만이 상하 방향으로 접히는 경우에 비하여, 흡수성 본체는 강성이 증가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접힌다. 이는 흡수성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확실하게 접을 수 있게 한다.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허리 부재는 좌측 연장부 및 우측 연장부를 포함하며, 좌측 연장부는 흡수성 본체의 좌측단보다 좌측에 위치하며, 우측 연장부는 흡수성 본체의 우측단보다 우측에 위치하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좌측 접힘선 및 우측 접힘선을 포함하며, 좌측 접힘선은 좌측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에서 우측으로 접을 때 접힘부로서 역할을 하며, 우측 접힘선은 우측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에서 우측으로 접을 때 접힘부로서 역할을 하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상하 방향으로 접기 전의 상태에서, 휘발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는 전후 방향에서 보았을 때, 좌측 연장부 및 우측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와 중복되며, 좌측 연장부는 좌측 접힘선을 접힘부로서 사용하여 접히며, 우측 연장부는 우측 접힘선을 접힘부로서 사용하여 접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전후 방향에서 기화된 휘발성 물질의 배출을 억제할 수 있다.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좌측 접힘선을 접힘부로서 사용하여 접은 좌측 연장부에 관하여, 그리고, 우측 접힘선을 접힘부로서 사용하여 접은 우측 연장부에 관하여, 좌측 연장부 및 우측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는 세로 방향 접힘선을 접힘부로서 사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접히며, 포장 상태에서, 휘발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는 전후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하 방향으로 접힌 좌측 연장부 및 상하 방향으로 접힌 우측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와 중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전후 방향으로 기화된 휘발성 물질의 배출을 추가로 억제할 수 있다.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좌우 방향 양측에서 한쌍의 다리 개구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포장 상태에서, 한쌍의 다리 개구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좌측 연장부 및 우측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와 중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다리 개구부로부터 기화된 휘발성 물질의 배출을 억제할 수 있다.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한쌍의 샘방지 벽이 흡수성 본체의 좌우 방향 양단부에 제공되며, 한쌍의 샘방지 벽은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한쌍의 샘방지 벽은 각각 전측 상단부 및 후측 상단부에 접합 영역을 포함하며, 접합 영역은 샘방지 벽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며, 포장 상태에서, 접합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세로 방향 접힘선을 접힘부로서 사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접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상하 방향으로 확실하게 접힐 수 있다.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흡수성 코어는 밀도가 주변 영역에서의 밀도보다 높은 압착홈을 가지며, 포장 상태에서, 압착홈의 적어도 일부는 세로 방향 접힘선을 접힘부로서 사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접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상하 방향으로 확실하게 접힐 수 있다.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탄성 부재가 흡수성 본체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 제공되며, 탄성 부재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포장 상태에서, 탄성 부재는 세로 방향 접힘선을 접힘부로서 사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접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탄성 부재의 신축 기능에 대한 악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 흡수성 본체는 피부측 시트로서 제1 피부측 시트 및 제2 피부측 시트를 포함하며, 제1 피부측 시트는 피부측에서 가장 가까이 위치하며, 제2 피부측 시트는 제1 피부측 시트와 흡수성 코어 사이에 위치하며, 휘발성 물질이 제1 피부측 시트의 비피부측 및 제2 피부측 시트의 피부측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휘발성 물질이 두께 방향에서 부적절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며, 착용자의 피부에 가까이 위치한다. 이는 휘발성 물질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제1 실시양태
하기에는 하기 기재된 온감제(26)(휘발성 물질에 해당함)를 포함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의 일례인 제1 실시양태에 의한 휘발성 물질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이 기재되어 있다. 하기에 생리용 흡수성 물품(1)이 기재되어 있기는 하나, 본 실시양태의 흡수성 물품(1)은 생리용으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성인 또는 유아용 기저귀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도 1은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의 투시 개략도이며, 도 2는 전개 상태로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의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팬츠형 상태에서, 흡수성 물품(1)은 서로 교차되는 "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을 갖는다. 도 1에서의 지면의 상하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면, 지면 상에서의 상측(하측)이 상하 방향에서 "상"("하")이 되는 한편, 좌우 방향에서 지면 상의 좌측(우측)은 좌우 방향에서 "좌"("우")가 된다. 또한, 전후 방향에서 착용시 착용자의 배쪽에 해당하는 쪽이 "전측"이며, 착용자의 등쪽에 해당하는 쪽이 "후측"이다.
도 2에 도시한 흡수성 물품(1)의 전개 상태에서(팬츠형 흡수성 물품(1)이 팬츠형 상태로 착용 전 평면 상에 펼쳤을 때), 흡수성 물품(1)은 서로 교차하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는다. 도 2에서 지면의 상하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면 지면의 상측(하측)은 길이 방향에서 "전측"("후측")이 되는 반면, 지면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면 지면의 좌측(우측)은 폭 방향에서 좌(우)가 된다. 또한,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즉, 지면을 관통하는 방향)을 두께 방향으로 하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쪽이 두께 방향에서 "피부측"이 되며, 그에 대한 반대측은 "비피부측"이 된다.
본 실시양태의 평면도(예, 도 2)는 대상물을 신장된 상태로 나타낸 것이라는 점에 유의한다. 여기서, "신장된 상태"는 흡수성 물품(1)의 탄성체(예를 들면 하기 기재된 가랑이 탄성 스트링(30) 및 신장성 시트)가 평면도에 도시된 부재에서 주름이 더 이상 보이지 않도록 신장되는 상태이다. 예를 들면, 도 2에서, 흡수성 물품(1)의 하기 기재된 허리 부재(10) 및 흡수성 본체(20)는 그 자체로 상기 부재의 치수에 부합하거나 또는 그에 근접하도록 신장된다.
본 개시내용에 의한 흡수성 물품(1)은 허리 부재(10) 및 흡수성 본체(20)를 포함하며, 하기에는 우선 허리 부재(10) 및 흡수성 물품(1)을 팬츠형 상태로 생성하는 과정을 기재한다. 흡수성 본체(20)는 하기 부문에 기재될 것이다. 본 실시양태에서, 흡수성 본체(20)는 온감제(26)를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개 상태에서, 허리 부재(10)는 평면에서 대략 모래시계 형상을 갖는다. 다시 말하면, 길이 방향 중앙부는 폭 방향의 내측으로 좁아지며, 좁은 부분은 도 1에 도시된 팬츠형 상태로 한쌍의 다리 개구부(1b)를 형성한다. 또한, 허리 부재(10)는 폭 방향으로 신축되도록 신축성 시트(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따라서,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의 허리 부재(10)는 좌우 방향으로 신축된다.
게다가, 허리 부재(10)는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접힘선(CL)의 전측 및 후측 상에 각각 위치하는 전측 허리 부재(10f) 및 후측 허리 부재(10b)를 갖는다. 전측 허리 부재(10f)(후측 허리 부재(10b))는 전측(후측) 단부에서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 허리 전단부(10ff)(허리 후단부(10bf)); 및 좌우 양단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전측 접합부(10fe)(후측 접합부(10be))(도 2에서 빗금친 부분 참조)를 포함한다.
흡수성 물품(1)을 팬츠형 상태로 생성하는 과정에서, 우선 흡수성 본체(20)는 전개 상태의 허리 부재(10) 상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어 흡수성 물품(1)을 전개 상태로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흡수성 본체(20)의 비피부측면을 접합면으로 하면, 접합면은 전개 상태의 허리 부재(10) 상의 소정의 위치 상에서 배치되어 접합된다. 다시 말하면, 허리 부재(10)는 두께 방향으로 흡수성 본체(20)의 비피부측과 중복되도록 배치된다.
전개 상태의 흡수성 본체(20) 및 허리 부재(10)는 길이 방향으로 접힌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중앙 접힘선(CL)을 접힘부로 사용하면, 전측 허리 부재(10f)의 피부측 및 후측 허리 부재(10b)의 피부측이 서로 대면하도록, 흡수성 본체(20) 및 허리 부재(10)는 길이 방향으로 접힌다.
따라서, 허리 부재(10)의 전측 접합부(10fe) 및 후측 접합부(10be)는 서로 근접하게 되며, 좌우 전측 접합부(10fe)는 좌우 후측 접합부(10be)에 접합된다.
여기서, 허리 부재(10)의 좌우 단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접합되므로 허리 전단부(10ff) 및 허리 후단부(10bf)는 허리 부재(10)의 상측에서 허리 개구부(1a)를 형성한다.
또한, 허리 부재(10)는 흡수성 본체(20)에 대하여 좌우 방향에서 좌측의 외측(도 2에서 LL로 나타낸 파선에 대하여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연장부(10L); 및 우측의 외측(도 2에서 RL로 나타낸 파선에 대한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연장부(10R)를 포함한다.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은 허리 부재(10)가 착용자의 신체의 전측(배쪽 영역) 및 후측(등쪽 영역)에 접촉하고(착용자의 허리에 접촉하고), 주로 허리 부재(10)의 좌우 방향으로의 신축(착용자의 신체의 좌우 압착)에 의하여 사용중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허리 부재(10)에 접합되는 흡수성 본체(20)는 착용자의 가랑이 영역(흡수성 본체(20)가 사용시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영역이며, 그의 하복부가 그의 가랑이로 연장되어 엉덩이의 천골로 추가로 연장되는 영역)에 접촉하도록 허리 부재(10)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지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흡수성 물품(1)은 전면부(1a), 후면부(1b) 및 가랑이부를 포함하며, 허리 개구부 및 한쌍의 다리 개구부가 형성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다. 흡수성 물품(1)은 허리 부재(10)의 신축성 시트 등에 의하여 착용시 벗겨지지 않도록 지지된다.
"~에 접촉하는"은 접하게 되는 것을 의미하며,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착용자에 접촉한다면 부재는 착용자에 접촉한다고 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예를 들면, 허리 부재(10)의 신축성 부분이 착용자와는 접하지만, 그의 비신축성 부분은 착용자와 접하지 않을 경우, 허리 부재(10)는 착용자에 접촉하는 것으로 말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 열 시일링, 초음파 시일링 또는 그의 조합을 사용한 공지의 접합 방법은 상기 기재된 흡수성 본체(20), 허리 부재(10) 등을 접합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접합 방법의 예가 된다.
흡수성 본체(20)
그 다음, 흡수성 본체(20)는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기재될 것이다. 도 3은 흡수성 본체(20)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화살표 A-A를 따라 취한 흡수성 본체(20)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5는 하기에 기재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흡수성 본체(20)는 생리용 흡수성 본체(20)이며, 이른바 생리대이다. 즉, 흡수성 본체(20)는 액 흡수성의 흡수성 코어(22)를 포함하며, 흡수성 코어(22)의 외주면은 코어 랩핑 시트(22a)로 덮힌다.
흡수성 코어(22)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 실시양태에서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도 3에서 빗금친 부분)이며, 단면에서 돌출된 부분 형상(도 4에서 빗금친 부분)을 갖도록 형성된다. 일례로서, 액체 흡수성 물질은 액 흡수성 섬유(예컨대 펄프 섬유), 고 흡수성 중합체(이른바 SAP) 등을 함유한다. 일례로서, 코어 랩핑 시트(22a)는 티슈 페이퍼, 부직포 등으로 생성된 액체 투과성 시트이다. 코어 랩핑 시트(22a)는 생략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22) 이외에, 흡수성 본체(20)는 흡수성 코어(22)에 대한 피부측에서 제1 피부측 시트(24a), 제2 피부측 시트(24b) 및 온감제(26)를 포함한다. 또한, 흡수성 코어(22)에 대하여 비피부측에는 흡수성 본체(20)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랑이 탄성 스트링(30)(탄성 부재에 해당) 및 비피부측 시트(24c)를 포함한다.
또한, 흡수성 본체(20)는 사이드 시트(24d)를 포함한다. 사이드 시트(24d)는 흡수성 본체(20)의 폭 방향 양단부에서 제1 피부측 시트(24a)의 피부측에 대하여 두께 방향으로 비피부측에서 가장 먼 위치로부터 연장되어 비피부측으로 다시 접히도록 제공된다. 피부측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시트(24d)의 위치는 하기 기재된 장벽 커프스(50)(샘방지 벽에 해당)를 형성한다. 즉, 흡수성 본체(20)의 폭 방향 양단부에서, 사이드 시트(24d)에 의하여 형성된 한쌍의 장벽 커프스(50)가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제공된다.
또한, 복수의 힌지(40)(압착홈에 해당)는 흡수성 본체(20)(흡수성 코어(22))의 피부측에 형성된다.
또한, 외부로의 온감제(26)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점(50B)으로부터 정점(50S)까지의 장벽 커프스(50)의 일부는 동일한 수의 부직포 시트, 구체적으로는 2개 이상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에 유의한다.
제1 피부측 시트(24a)는 사용시 착용자의 피부와 접할 수 있는 액체 투과성 시트 부재이며, 예를 들면 친수성 에어쓰루(air-through) 부직포 또는 스펀본드 부직포에 의하여 형성된다. 제2 피부측 시트(24b)는 제1 피부측 시트(24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및 구성을 갖는 시트 부재이며, 제1 피부측 시트(24a)의 비피부측면에 적층된다.
다시 말하면, 흡수성 본체(20)는 피부측 시트로서 피부측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제1 피부측 시트(24a) 및, 제1 피부측 시트(24a) 및 흡수성 코어(22)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피부측 시트(24b)를 포함한다. 흡수성 본체(20)는 제2 피부측 시트(24b)를 반드시 포함할 필요는 없다는 점에 유의한다.
비피부측 시트(24c)는 단지 액체 불투과성 시트인 것이 요구되며,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피부측 시트(24a) 및 비피부측 시트(24c)는 흡수성 코어(22)의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사용시 착용자의 피부와 부분적으로 접하게 되므로 사이드 시트(24d)는 에어쓰루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등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착용자가 느끼는 생리통 및 한기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제공되는 온감제(26)는 착용자의 온각을 자극시킴으로 인하여 착용자가 온기를 느끼게 하는 온감 자극제를 포함하며, 휘발성 물질인 용매와 혼합된다.
온감제(26)는 두께 방향에서 제1 피부측 시트(24a) 및 제2 피부측 시트(24b) 사이에서(제1 피부측 시트(24a)의 비피부측 및 제2 피부측 시트(24b)의 피부측 중 적어도 하나에서, 본 실시양태에서, 제1 피부측 시트(24a)의 비피부측에서) 도포되며(도 4에서 검은색 부분),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위치에는 도포되지 않는다. 본 실시양태의 온감제(26)는 기화되어 착용자의 피부에 도달시 그의 주요 온감 효과를 나타낸다. 온감제(26)의 기화는 하기에서 상세하게 기재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온감제(26)는 흡수성 코어(22)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온감제(26)는 흡수성 코어(22) 및 피부측 시트(제1 피부측 시트(24a) 및 제2 피부측 시트(24b))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는 것이 충분하다.
착용자의 안심감의 관점에서, 온감 자극제는 식물 유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온감 자극제의 예는 캅시코시드, 캡사이신(LD50: 47 ㎎/㎏, 분자량: 305), 캡사이시노이드(예컨대 디히드로캡사이신, 노르디히드로캡사이신, 호모디히드로캡사이신, 호모캡사이신 및 노니바미드), 캡사틴, 벤질 니코티네이트(LD50: 2,188 ㎎/㎏, 분자량: 213), 베타-부톡시에틸 니코티네이트, N-아실 바닐라미드, 노난산 바닐릴아미드, 폴리알콜, 캡시쿰 분말, 캡시쿰 틴크제, 캡시쿰 추출물, 노난산 바닐릴 에테르, 바닐릴 알콜 알킬 에테르 유도체(예컨대 바닐릴 에틸 에테르, 바닐릴 부틸 에테르(LD50: 4,900 ㎎/㎏, 분자량: 210), 바닐릴 펜틸 에테르, 바닐릴 헥실 에테르), 이소바닐릴 알콜 알킬 에테르, 에틸 바닐릴 알콜 알킬 에테르, 베라트릴 알콜 유도체, 치환된 벤질 알콜 유도체, 치환된 벤질 알콜 알킬 에테르, 바닐린 프로필렌 글리콜 아세탈, 에틸 바닐린 프로필렌 글리콜 아세탈, 생강 추출물, 생강 오일, 진저롤(LD50: 250 ㎎/㎏, 분자량: 294), 진저론, 헤스페리딘 및 피롤리돈 카르복실산 및 그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용매가 온감 자극제를 함유한다면 용매는 특정 용매로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의 예는 친유성 용매 및 친수성 용매를 포함한다. 용매는 예를 들면 온감 자극제를 용해 및 분산시킬 수 있다.
친유성 용매의 예는 지방 및 오일, 예컨대 천연 오일(예를 들면 지방 에스테르, 예컨대 트리글리세리드, 코코넛 오일, 아마인유, 카프릴/카프르 트리글리세리드), 탄화수소(에를 들면 파라핀, 예컨대 액체 파리핀)를 포함한다.
친수성 용매의 예는 물 및 알콜을 포함한다. 알콜의 예는 저급 알콜,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 및 고급 알콜, 예컨대 카프릴 알콜, 라우릴 알콜 및 미리스틸 알콜을 포함한다.
온감제(26)는 온도 감수성 TRP 채널을 자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온도 감수성 TRP 채널 중 하나인 TRPV1은 캡사이신, 산 등의 자극에 의하여 활성화된다. 착용자의 TRPV1이 활성화되는 경우, 교감신경계에 의하여 열생산이 발생한다(착용자는 체내에서 열을 발생한다).
즉, 그 자체가 고온이 되는 것(예, 휴대용 일회용 핸드 워머)에 의하여 착용자를 따뜻하게 하는 대신에 고온이 되지 않는 것(예, 캡사이신)에 의하여 착용자를 따뜻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착용자가 저온 화상 또는 화상을 입지 않고 냉감 또는 온감을 느낄 수 있게 한다.
게다가, 온감제(26)가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하지 않을 경우, 그의 효과는 쉽게 나타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예를 들면 휘발성 물질, 예컨대 향료는 기체 상태가 될 때 주변의 악취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나, 온감제(26)는 기화된 후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하며, 그의 주요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착용자는 온감제(26)가 부직포 등을 통하여 착용자의 피부와 접하여 피부에서 온감제(26)의 효과를 서서히 느낄 수 있다.
도 5는 온감제(26)에 대한 도포 영역(26p) 및 비도포 영역(26n)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감제(26)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쌍의 도포 영역(26p)(도 5의 빗금친 부분)에 도포된다. 따라서, 온감제(26)가 도포되지 않은 비도포 영역(26n)은 흡수성 본체(20)의 폭 방향 중앙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제공된다.
본 실시양태에서, 비도포 영역(26n)은 흡수성 본체(20)의 폭 방향 중앙부에서 15 ㎜의 폭을 가지며, 폭 방향에서 비도포 영역(26n)의 외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도포 영역(26p)은 25 ㎜의 폭을 갖는다. 또한, 도포 영역(26p) 및 비도포 영역(26n)은 길이 방향에서 흡수성 본체(20)의 전단부로부터 그의 후단부까지 연속적인 영역이다.
그 다음, 온감제(26)의 기화를 기재할 것이다. 온감제(26)의 용매는 온감 자극제를 함유한 상태로 기화된다. 구체적으로, 온감 자극제를 함유하는 용매는 기화되어 착용자의 피부에 도달하며, 그 후, 온감 자극제는 착용자의 온감을 자극한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양태에서, 온감제(26)가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지 않더라도 온감제(26)는 기화되며, 기화된 상태로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한다.
착용자의 체온의 전달 등에 의하여 야기되는 온감제(26)의 온도 변화에 의존하여 및, 또한 온감제(26)가 위치하는 흡수성 본체(20)의 신축의 양(즉, 다량의 신축이 존재할 경우 온감제(26)는 또한 다량으로 이동하며, 기화율이 증가됨)에 의존하여 용매의 기화율은 증가/감소된다. 다시 말하면, 예를 들면 온감제(26)로의 체온의 전달 정도(예, 온감제(26) 및 착용자의 피부 사이의 거리) 또는 온감제(26)가 위치하는 흡수성 본체(20)의 신축의 정도(예, 탄성 부재의 존재 또는 부재)를 조정하여 기화율을 조정할 수 있다. 착용자가 느끼는 온감 강도 및, 온감제의 효과가 나타나는 지속 시간(용매가 기화되는 시간)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도 3 및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은 흡수성 본체(20)의 좌우 방향(폭 방향) 중앙부에서 하복부에 접촉하는 전측으로부터 가랑이부를 통하여 엉덩이에 접촉하는 후측까지 제공된다. 다시 말하면, 흡수성 본체(20)에는 상하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이 제공된다.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은 비피부측 시트(24c)에 연속 및 신장된 상태로 접합된 후, 각각의 흡수성 물품(1)을 위하여 절단된다. 그러므로,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의 비접합 부분은 절단 후 접합 부분을 향하여 신축하여 신장되지 않은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이 제공된 흡수성 본체(20)를 얻는다. 다시 말하면,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은 그의 전측단에서 신장되지 않는다.
상기 부분은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이 제공되지 않은 부분보다 더 큰 강성을 가지며, 따라서 흡수성 물품(1) 착용시 흡수성 본체(20)는 컵 형상(팬츠형 상태로 좌우 방향에서 보아 U 형상)으로 변형되며, 흡수성 본체(20)는 상기 형상을 상실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시 말하면, 팬츠형 흡수성 물품(1)에서, 흡수성 본체(20)는 상하 방향에서 위로부터 변형력이 가해지는 경우, 신장되지 않은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이 제공된 부분은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이 제공되지 않은 부분보다 강성이 더 크므로 변형되지 않으며, 그리하여 흡수성 본체(20)는 그의 형상을 상실하는 경우를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의한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이 흡수성 코어(22)에 대하여 비피부측에 있는 비피부측 시트(24c)의 비피부측에 제공되더라도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한다. 예를 들면,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은 비피부측 시트(24c)의 피부측에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흡수성 코어(22)의 비피부측 및 피부측 둘다에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흡수성 본체(20)가 신축되게 하는 부재는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에 한정되지 않으며, 신축성 부직포 또는 신축성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착용자가 흡수성 물품(1)을 착용시, 힌지(40)는 흡수성 본체(20)가 착용자의 신체의 형상을 따르도록(즉 힌지(40)는 변형 접힘선의 역할을 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40)는 흡수성 본체(20)(흡수성 코어(22))의 피부측에서 피부측으로부터 비피부측을 향하여 함몰되는 함몰부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양태에 의한 힌지(40)의 함몰부는 온감제(26)가 도포되는 흡수성 본체(20)(흡수성 코어(22))를 피부측으로부터 압착시켜 형성된다. 즉, 힌지(40)는 흡수성 코어(22)의 밀도가 주위 부위에서보다 더 높은 압착홈이다.
본 실시양태에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폭 방향 길이를 갖는 전측 힌지(41)는 흡수성 물품 착용시 주로 하복부가 접촉하는 흡수성 코어(22)의 길이 방향 전단부 부분에 제공된다. 전측 힌지(41)는 주로 흡수성 본체(20)가 하복부에 부합되도록 제공된다.
게다가, 복수의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한쌍의 힌지(42)는 전측 힌지(41)의 길이 방향으로 후측 상에 소정 간격으로 제공된다. 한쌍의 힌지(42)는 주로 흡수성 본체(20)가 가랑이부 및 엉덩이 부분에 부합하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힌지(40)는 일정한 함몰 깊이를 갖지 않지만, 얕은 부분 및 깊은 부분을 가지며, 힌지(40)의 함몰 깊이를 조정하여 흡수성 본체(20)의 변형 정도를 조정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착용자의 대퇴부 주위에 접촉하여 내측으로부터 액체 누출을 억제하기 위하여 장벽 커프스(50)가 제공된다. 즉, 장벽 커프스(50)는 흡수성 본체(20)의 폭 방향 양단부에서 각각 착용자의 다리에 해당하는 한쌍의 장벽 커프스(50)로서 제공된다.
게다가, 도 3 및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장벽 커프스(50)는 그의 각각의 전측 및 후측 상단부에서 접착제 영역(54)(접합 영역에 해당함)을 포함하며, 접착제 영역(54) 각각은 접착제가 도포되는 영역이다. 접착제 영역(54)에서, 장벽 커프스(50)는 제1 피부측 시트(24a)에 접합된다. 다시 말하면, 한쌍의 장벽 커프스(50)는 한쌍의 장벽 커프스(5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그의 각각의 전측 및 후측 상단부에서 접착제 영역(54)을 포함한다.
흡수성 물품(1)의 포장
본 개시내용에 의한 흡수성 물품(1)은 팬츠 형상으로 형성된 후 접히며, 1개의 흡수성 물품(1)은 1개의 포장 용기에 넣어 포장된다. 즉, 흡수성 물품(1)은 개별 포장되며, 포장 상태로 흡수성 물품(1)은 접힌 상태로 있게 된다.
하기는 도 6 내지 9를 참조하여 포장 상태의 흡수성 물품(1)을 기재한다. 도 6은 정면에서 세로 방향 접힘선(BL), 좌측 접힘선(LB) 및 우측 접힘선(RB)을 나타내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7은 상부 도면 및 하부 도면을 포함하며, 상부 도면은 좌측 연장부(10L) 및 우측 연장부(10R)를 안쪽으로 접은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의 평면 개략도이며, 하부 도면은 화살표 B-B를 따라 취한 단면 개략도이다. 도 8은 좌측 도면 및 우측 도면을 포함하며, 좌측 도면은 접힘부로서 세로 방향 접힘선(BL)을 사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접은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의 평면 개략도이며, 우측 도면은 우측으로부터 본 흡수성 본체(20)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9는 흡수성 본체(20)에서 세로 방향 접힘선(BL)의 위치를 나타내는 흡수성 본체(20)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양태에 의한 흡수성 물품(1)에 관하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연장부(10L)는 좌측 접힘선(LB)으로 내측(우측)으로 접히며, 우측 연장부(10R)는 우측 접힘선(RB)으로 내측(좌측)으로 접힌 후, 흡수성 물품(1)은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세로 방향 접힘선(BL)을 접힘부로서 사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접으며, 마지막으로 포장 용기에 넣어 포장한다.
즉, 흡수성 물품(1)은 좌측 연장부(10L)의 적어도 일부를 우측으로 접을 때 접힘부로서 역할을 하는 좌측 접힘선(LB); 및 우측 연장부(10R)의 적어도 일부에서 좌측으로 접을 때 접힘부로서 역할을 하는 우측 접힘선(RB)을 포함한다.
게다가, 본 실시양태에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연장부(10L) 및 우측 연장부(10R) 둘다는 후측을 향하여 접힌다. 좌측 연장부(10L) 또는 우측 연장부(10R) 중 어느 하나는 먼저 접힐 수 있다.
게다가,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에서 보았을 때, 내측으로 접힌 좌측 연장부(10L) 및 우측 연장부(10R)는 도포 영역(26p)과 중복된다. 구체적으로, 흡수성 물품(1)을 상하 방향으로 접기 전의 상태에서, 온감제(26)의 적어도 일부는 전후 방향에서 보았을 때, 좌측 연장부(10L) 및 우측 연장부(10R) 중 적어도 하나와 중복되며, 좌측 연장부(10L)는 접힘부로서 좌측 접힘선(LB)을 사용하여 접히며, 우측 연장부(10R)는 접힘부로서 우측 접힘선(RB)을 사용하여 접힌다. 게다가, 한쌍의 다리 개구부(1b)에서 좌측 연장부(10L) 및 우측 연장부(10R)는 상하 방향(도 7에 도시된 1bY의 범위)에 대하여 중복된다. 즉, 흡수성 물품(1)은 좌우 방향 양측에서 한쌍의 다리 개구부(1b)를 포함한다. 포장 상태에서 한쌍의 다리 개구부(1b)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에 대하여 좌측 연장부(10L) 및 우측 연장부(10R) 중 적어도 하나와 중복된다.
좌측 연장부(10L) 및 우측 연장부(10R) 둘다가 좌우 방향으로 내측으로 접힌 상태에서, 흡수성 물품(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된 세로 방향 접힘선(BL)을 접힘부로서 사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접힌다. 구체적으로, 접힘부로서 좌측 접힘선(LB)을 사용하여 접힌 좌측 연장부(10L)에 관하여, 그리고 접힘부로서 우측 접힘선(RB)을 사용하여 접힌 우측 연장부(10R)에 관하여, 좌측 연장부(10L) 및 우측 연장부(10R) 중 적어도 하나는 접힘부로서 세로 방향 접힘선(BL)을 사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접힌다.
흡수성 물품(1)은 상기 상태로 포장되므로, 상하 방향으로 접힌 좌측 연장부(10L) 및 우측 연장부(10R)는 전후 방향에서 보았을 때, 온감제(26)와 중복된다. 즉, 흡수성 물품(1)의 경우, 포장 상태로 온감제(26)의 적어도 일부는 전후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하 방향으로 접힌 좌측 연장부(10L) 및 상하 방향으로 접힌 우측 연장부(10R) 중 적어도 하나와 중복된다.
세로 방향 접힘선(BL)의 위치
그 다음, 하기는 세로 방향 접힘선(BL)의 상하 방향 위치 및 흡수성 물품(1)에 포함된 부재 등과의 위치 관계를 기재한다. 구체적으로, 흡수성 본체(20); 온감제(26)(도포 영역(26p)); 가랑이 탄성 스트링(30); 힌지(40); 및 한쌍의 장벽 커프스(50)의 접착제 영역(54)과 세로 방향 접힘선(BL) 사이의 각각의 위치 관계를 기재할 것이다.
흡수성 본체(20) 및 세로 방향 접힘선(BL)에 관하여, 도 6 및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을 상하 방향으로 접기 전의 상태에서 세로 방향 접힘선(BL)은 흡수성 본체(20)의 상측단(후측 상단부(20Be)의 상측단)의 하측에 위치한다. 즉, 포장 상태로 흡수성 본체(20)의 적어도 일부는 접힘부로서 세로 방향 접힘선(BL)을 사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접힌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을 상하 방향으로 접기 전의 상태에서, 흡수성 본체(20)의 전측 상단부(20Fe) 및 후측 상단부(20Be)는 두께 방향으로 중복되며, 상기 상태에 있는 흡수성 본체(20)는 후측 상단부(20Be)의 비피부측면이 흡수성 본체(20)의 비피부측면의 후측 하부와 대향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접히며, 후측 하부는 세로 방향 접힘선(BL)의 하측에 그리고 전후 방향으로 후측에 위치한다.
게다가, 도 7의 평면 개략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을 상하 방향으로 접기 전의 상태에서 온감제(26)의 적어도 일부는 세로 방향 접힘선(BL)의 하측에 제공된다.
경계로서 역할을 하는 세로 방향 접힘선(BL)의 상하 각각에 위치하는 도포 영역(26p)의 영역의 크기를 고려하면, 흡수성 물품(1)을 상하 방향으로 접기 전의 상태에서, 세로 방향 접힘선(BL)의 상측의 도포 영역(26p)의 부분은 세로 방향 접힘선(BL)보다 하측의 도포 영역(26p)의 부분보다 더 작다.
게다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힘부로서 세로 방향 접힘선(BL)을 사용하여 흡수성 본체(20)의 적어도 일부가 상하 방향으로 접힌 상태에서 온감제(26)의 적어도 일부는 세로 방향 접힘선(BL)과 중복되어 제공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서 보았을 때, 가랑이 탄성 스트링(30) 및 세로 방향 접힘선(BL)은 중복되지 않는다. 즉, 포장 상태로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은 접힘부로서 세로 방향 접힘선(BL)을 사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접히지 않는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40) 및 세로 방향 접힘선(BL)에 관하여, 전후 방향에서 보았을 때, 흡수성 본체(20)의 후측의 한쌍의 힌지(42)는 세로 방향 접힘선(BL)과 중복된다. 즉, 포장 상태로 힌지(40)의 적어도 일부는 접힘부로서 세로 방향 접힘선(BL)을 사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접힌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장벽 커프스(50)의 접착제 영역(54) 및 세로 방향 접힘선(BL)은 전후 방향에서 보았을 때, 흡수성 본체(20)의 전측 및 후측 둘다에서 세로 방향 접힘선(BL)과 중복된다. 즉, 포장 상태로 접착제 영역(54)의 적어도 일부는 접힘부로서 세로 방향 접힘선(BL)을 사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접힌다.
본 실시양태의 유효성
온감제(26)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1)에서, 착용시 온감제(26)의 기화 및 배출로 인하여 온감제(26)의 효과는 충분하게 나타나지 않을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대조적으로, 본 실시양태에 의한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은 액 흡수성의 흡수성 코어(22) 및 피부측 시트(제1 피부측 시트(24a) 및 제2 피부측 시트(24b))를 포함하는 흡수성 본체(20) 및, 흡수성 본체(20)의 비피부측에 중복되어 배치되며 좌우 방향으로 신축되는 허리 부재(10)를 포함하며, 상기 피부측 시트는 흡수성 코어(22)에 대하여 피부측에 제공된다. 온감제(26)는 흡수성 코어(22) 및 피부측 시트(제1 피부측 시트(24a) 및 제2 피부측 시트(24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본 실시양태에서 제1 피부측 시트(24a))에 제공된다.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은,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이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세로 방향 접힘선(BL)을 접힘부로서 사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접히는 접힌 상태로 포장된다.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을 상하 방향으로 접기 전의 상태에서 온감제(26)의 적어도 일부는 세로 방향 접힘선(BL)의 하측에 제공된다. 이는 기화된 온감제(26)의 배출을 억제할 수 있게 한다.
흡수성 물품(1)을 세로 방향 접힘선(BL)에서 상하 방향으로 접은 경우에서, 세로 방향 접힘선(BL)의 접힘부는 흡수성 물품(1)을 상하 방향으로 접기 전의 상태에서 세로 방향 접힘선(BL)의 하측 및 흡수성 물품(1)의 내측(피부측)의 공간(도 7의 단면 개략도의 빗금친 부분) 및 세로 방향 접힘선(BL)의 상측 및 흡수성 물품(1)의 내측(피부측)의 공간을 분리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세로 방향 접힘선(BL)에 의하여 분할되는 세로 방향 접힘선(BL)의 하측의 공간은 허리 개구부(1a)를 통하여 연결된 흡수성 물품(1)의 외측 공간으로부터 분리된다. 즉, 흡수성 물품(1)을 세로 방향 접힘선(BL)에서 상하 방향으로 접은 경우에서, 세로 방향 접힘선(BL)의 접힘부는 포장 상태로 허리 개구부(1a)의 덮개의 역할을 하여 기화된 온감제(26)의 배출을 억제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본 실시양태에서,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은 도포 영역(26p)을 포함하며, 도포 영역(26p)은 온감제(26)가 도포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흡수성 본체(20)의 소정의 영역이 된다.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을 상하 방향으로 접기 전의 상태에서, 세로 방향 접힘선(BL)의 상측의 흡수성 본체(20)의 도포 영역(26p)의 일부는 세로 방향 접힘선(BL)의 하측의 흡수성 본체(20)의 도포 영역(26p)의 일부보다 더 작다.
즉, 포장 상태로 세로 방향 접힘선(BL)의 접힘부는 도포 영역(26p)의 절반을 넘는 영역의 경우 허리 개구부(1a)의 덮개로서 역할할 수 있다. 즉, 기화된 온감제(26)의 배출은 추가로 억제된다.
게다가, 본 실시양태에서,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을 상하 방향으로 접기 전의 상태에서, 세로 방향 접힘선(BL)은 흡수성 본체(20)의 상측단(후측 상단부(20Be)의 상측단)의 하측에 위치하며, 포장 상태로 흡수성 본체(20)의 적어도 일부는 접힘부로서 세로 방향 접힘선(BL)을 사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접힌다.
상기 상태로, 허리 부재(10)만이 상하 방향으로 접히는 경우에 비하여, 흡수성 본체는 그의 강도를 증가시키면서 상하 방향으로 접힌다. 이는 흡수성 본체(20)에서 세로 방향 접힘선(BL)을 따라 연장되는 주름을 형성하면서 흡수성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확실하게 접을 수 있게 한다. 즉, 세로 방향 접힘선(BL)의 접힘부는 포장 상태로 허리 개구부(1a)의 확실한 덮개로서 역할할 수 있으며, 이는 기화된 휘발성 물질의 배출을 추가로 억제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본 실시양태에서, 접힘부로서 세로 방향 접힘선(BL)을 사용하여 흡수성 본체(20)의 적어도 일부를 상하 방향으로 접은 상태에서, 온감제(26)의 적어도 일부는 세로 방향 접힘선(BL)과 중복되어 제공된다.
흡수성 본체(20)가 접힘부로서 세로 방향 접힘선(BL)을 사용하여 접은 상태로 포장되는(장기간 동안 유지됨) 경우에서, 세로 방향 접힘선(BL)을 따라 연장된 주름은 흡수성 본체(20) 상에 형성된다. 게다가, 온감제(26)가 상기 주름에 도포되는 경우에서, 주름의 형상으로 인한 온감 효과를 착용자에게 부여할 수 있다. 즉, 주름이 비피부측으로부터 피부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 경우에서, 온감제(26)는 착용자의 피부에 더 근접하게 위치하며, 따라서 착용자의 체온으로 인하여 온감제(26)의 온도가 상승하여 그의 기화를 촉진시킨다. 이는 온감제(26)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게다가, 주름이 피부측으로부터 비피부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 경우에서, 온감제(26)는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하며, 따라서 온감제(26)에 의하여 착용자에게 부여되는 자극은 억제되며, 온감제(26)의 기화가 억제된다. 이는 온감 효과를 장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양태에서,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을 상하 방향으로 접기 전의 상태에서 흡수성 본체(20)의 후측 상단부(20Be)에 관하여, 후측 상단부(20Be)의 비피부측면이 흡수성 본체(20)의 비피부측면의 후측 하부와 대향하도록, 흡수성 본체(20)는 상하 방향으로 접히며, 후측 하부는 세로 방향 접힘선(BL)의 하측 및 전후 방향에서 후측 상에 위치한다.
즉, 비피부측으로부터 피부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주름은 착용자의 천골 영역에서 형성되며, 주름 상의 온감제(26)는 착용자의 천골 영역에 더 근접하게 위치한다. 따라서, 착용자의 체온으로 인하여 온감제(26)의 온도는 상승되어 그의 기화를 촉진시킨다. 이는 천골 영역에서의 온감제(26)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게다가, 본 실시양태에서,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을 상하 방향으로 접기 전의 상태에서, 흡수성 본체(20)의 전측 상단부(20Fe) 및 후측 상단부(20Be)는 두께 방향으로 중복된다. 흡수성 본체(20)의 후측 상단부(20Be)의 비피부측면이 흡수성 본체(20)의 비피부측면의 후측 하부와 대향하도록, 흡수성 본체(20)는 상하 방향으로 접히며, 후측 하부는 세로 방향 접힘선(BL)의 하측 및 전후 방향에서 후측 에 위치한다.
즉, 흡수성 본체(20)의 후면부 또는 전면부 중 어느 하나만이 상하 방향으로 접히는 경우에 비하여, 그의 강성이 증가함에 따라 흡수성 본체는 상하 방향으로 접힌다. 이는 상하 방향에서 흡수성 본체를 확실하게 접힐 수 있게 한다. 즉, 세로 방향 접힘선의 접힘부는 포장 상태로 허리 개구부(1a)의 확실한 덮개로서 역할할 수 있으며, 이는 기화된 휘발성 물질의 배출을 추가로 억제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피부측으로부터 비피부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주름은 흡수성 본체(20)의 전면부에서 형성된다. 상기 주름은 온감제(26)가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하며, 이는 온감제(26)에 의하여 착용자에게 부여된 자극을 억제하며, 온감제(26)의 기화를 억제한다. 이는 온감 효과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주름은 하복부의 불룩한 부분에 부합하기 쉬우므로, 착용시 지나친 압박감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양태에서, 허리 부재(10)는 좌측 연장부(10L) 및 우측 연장부(10R)를 포함하며, 좌측 연장부(10L)는 흡수성 본체(20)의 좌측단보다 좌측에 위치하며, 우측 연장부(10R)는 흡수성 본체(20)의 우측단보다 우측에 위치한다.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은 좌측 접힘선(LB) 및 우측 접힘선(RB)을 포함하며, 좌측 접힘선(LB)은 좌측 연장부(10L)의 적어도 일부에서 우측으로 접을 때 접힘부로서 역할을 하며, 우측 접힘선(RB)은 우측 연장부(10R)의 적어도 일부에서 우측으로 접을 때 접힘부로서 역할한다.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을 상하 방향으로 접기 전의 상태에서, 온감제(26)의 적어도 일부는 전후 방향에서 보았을 때, 좌측 연장부(10L) 및 우측 연장부(10R) 중 적어도 하나와 중복되며, 좌측 연장부(10L)는 접힘부로서 좌측 접힘선(LB)을 사용하여 접히며, 우측 연장부(10R)는 접힘부로서 우측 접힘선(RB)을 사용하여 접힌다.
즉, 좌우 방향의 내측으로 접힌 좌측 연장부(10L) 및 좌우 방향의 내측으로 접힌 우측 연장부(10R) 중 적어도 하나(본 실시양태에서 둘다)가 전후 방향에 대하여 온감제(26)와 중복되는 상태로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을 포장하므로, 기화된(비피부측 시트(24c)으로부터 배출된) 온감제(26)의 전후 방향 배출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양태에서, 접힘부로서 좌측 접힘선(LB)을 사용하여 접힌 좌측 연장부(10L)에 관하여, 그리고, 접힘부로서 우측 접힘선(RB)을 사용하여 접힌 우측 연장부(10R)에 관하여, 좌측 연장부(10L) 및 우측 연장부(10R) 중 적어도 하나에 접힘부로서 세로 방향 접힘선(BL)을 사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접힌다. 포장 상태로 온감제(26)의 적어도 일부는 전후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하 방향으로 접힌 좌측 연장부(10L) 및 상하 방향으로 접힌 우측 연장부(10R) 중 적어도 하나와 중복된다.
즉, 상하 방향으로 접힌 좌측 연장부(10L) 및 상하 방향으로 접힌 우측 연장부(10R) 중 적어도 하나(본 실시양태에서는 둘다)가 전후 방향에 대하여 온감제(26)와 중복되는 상태 및 좌우 방향의 내측으로 접힌 좌측 연장부(10L) 및 좌우 방향의 내측으로 접힌 우측 연장부(10R) 중 적어도 하나(본 실시양태에서는 둘다)가 온감제(26)와 중복되는 상태로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이 포장되므로, 기화된 (비피부측 시트(24c)로부터 배출된) 온감제(26)의 전후 방향 배출을 추가로 억제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양태에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좌우 방향 양측에서 한쌍의 다리 개구부(1b)를 추가로 포함하며, 포장 상태로 한쌍의 다리 개구부(1b)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에 대하여 좌측 연장부(10L) 및 우측 연장부(10R) 중 적어도 하나와 중복된다.
즉, 좌측 연장부(10L) 및 우측 연장부(10R) 중 적어도 하나(본 실시양태에서는 둘다)는 상하 방향에 대하여 한쌍의 다리 개구부(1b)와 중복되므로, 좌측 연장부(10L) 및 우측 연장부(10R)는 포장 상태로 한쌍의 다리 개구부(1b)의 덮개로서 역할을 하며, 이는 기화된 온감제(26)의 배출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양태에서, 한쌍의 장벽 커프스(50)는 흡수성 본체(20)의 좌우 방향 양단부에 제공되며, 한쌍의 장벽 커프스(50)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한쌍의 장벽 커프스(50) 각각은 전측 상단부 및 후측 상단부에서 접착제 영역(54)을 포함하며, 접착제 영역(54)은 한쌍의 장벽 커프스(50)를 각각 고정시킨다. 포장 상태로 접착제 영역(54) 중 적어도 일부는 접힘부로서 세로 방향 접힘선(BL)을 사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접힌다.
접착제 영역(54) 각각은 접착제 영역(54)이 아닌 영역에 비하여 높은 강성을 갖는다. 따라서, 접착제 영역(54)이 세로 방향 접힘선(BL)의 접힘부로서 사용될 경우 흡수성 물품(1)은 상하 방향으로 확실하게 접힐 수 있다. 즉, 세로 방향 접힘선(BL)의 접힘부는 포장 상태로 허리 개구부(1a)의 덮개로서 추가로 역할할 수 있으며, 기화된 온감제(26)의 배출을 추가로 억제한다. 게다가, 흡수성 물품(1)은 상하 방향으로 확실하게 접히므로, 흡수성 본체(20)의 주름은 더욱 강하게 형성된다.
게다가, 본 실시양태에서, 흡수성 코어(22)는 밀도가 주변 영역에서의 밀도보다 더 높은 힌지(40)를 가지며, 포장 상태로 힌지(40)의 적어도 일부는 접힘부로서 세로 방향 접힘선(BL)을 사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접힌다.
힌지(40)는 각각 힌지(40)가 아닌 영역에 비하여 높은 강도를 갖는다. 따라서, 힌지(40)의 일부가 세로 방향 접힘선(BL)의 접힘부로서 사용될 경우, 흡수성 물품(1)은 상하 방향으로 확실하게 접힐 수 있다. 즉, 세로 방향 접힘선(BL)의 접힘부는 포장 상태로 허리 개구부(1a)의 덮개로서 추가로 역할할 수 있으며, 기화된 온감제(26)의 배출을 추가로 억제한다. 게다가, 흡수성 물품(1)이 상하 방향으로 확실하게 접히므로, 흡수성 본체(20)의 주름은 더욱 강하게 형성된다.
게다가, 본 실시양태에서,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은 흡수성 본체(20)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 제공되며,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은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포장 상태로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은 접힘부로서 세로 방향 접힘선(BL)을 사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접히지 않는다.
즉, 세로 방향 접힘선(BL)을 따라 연장되는 주름은 가랑이 탄성 스트링(30) 상에 형성되지 않아서 가랑이 탄성 스트링(30)의 신축 기능에 대한 악영향을 억제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본 실시양태에서, 흡수성 본체(20)는 제1 피부측 시트(24a) 및 제2 피부측 시트(24b)를 피부측 시트로서 포함하며, 제1 피부측 시트(24a)는 피부측에서 가장 가까이 위치하며, 제2 피부측 시트(24b)는 제1 피부측 시트(24a) 및 흡수성 코어(22) 사이에 위치한다. 온감제(26)는 제1 피부측 시트(24a)의 비피부측 및 제2 피부측 시트(24b)의 피부측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된다.
온감제(26)가 흡수성 물품(1)의 내면(피부측 상의 표면) 상에 제공될 경우, 온감제(26)는 착용자와 직접 접촉하게 되며, 착용자를 심하게 자극하여 착용자 피부에 피부 트러블, 예컨대 홍조, 가려움 또는 발진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온감제(26)가 흡수성 물품(1)의 외면(비피부측 상의 표면) 상에 제공될 경우, 비피부측 시트(24c)가 기체 투과성이더라도, 온감제(26)는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너무 멀게 되어 온감제(26)의 효과가 충분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반대로, 본 실시양태에서, 온감제가 착용자의 피부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제1 피부측 시트(24a)의 비피부측에 도포되며, 온감제(26)는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온감제(26)는 두께 방향에서 부적절한 위치(내표면 또는 외표면)에 있지 않으며, 착용자의 피부에 근접하게 위치한다. 그러므로, 착용자의 체온은 온감제(26)의 온도를 증가시키며, 이는 그의 기화를 촉진시킨다. 이는 온감제(26)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기타 실시양태
상기 실시양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기재되지만, 본 발명을 제한된 방식으로 해석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그의 요지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으며, 그의 등가예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실시양태에서, 도 7 및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은 좌측 연장부(10L)(우측 연장부(10R))가 접힘부로서 좌측 접힘선(LB)(우측 접힘선(RB))을 사용하여 후측을 향하여 우선 접힌 후, 접힘부로서 세로 방향 접힘선(BL)을 사용하여 그의 부분이 대향하도록 후측 상에 위치하는 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접히도록 포장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은 좌측 연장부(10L)(우측 연장부(10R))가 접힘부로서 좌측 접힘선(LB)(우측 접힘선(RB))을 사용하여 전측을 향하여 우선 접은 후, 접힘부로서 세로 방향 접힘선(BL)을 사용하여 그의 부분이 대향하도록 전측에 위치하는 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접히도록 포장될 수 있다.
팬츠형 흡수성 물품(1)에 의하면, 상기 실시양태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세로 방향 접힘선(BL)의 접힘부는 포장 상태로 허리 개구부(1a)의 덮개로서 역할을 하며, 이는 기화된 온감제(26)의 배출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후측 허리 부재(10b)는 엉덩이를 덮는 부분을 포함하므로, 후측 허리 부재(10b)는 일반적으로 평면도에서 전측 허리 부재(10f)보다 더 큰 형상(도 6에서 빗금친 부분)을 갖는다.
즉, 접힘부로서 좌측 접힘선(LB)(우측 접힘선(RB))을 사용하여 좌측 연장부(10L)(우측 연장부(10R))가 전측을 향하여 접히는 경우에서, 좌측 연장부(10L)(우측 연장부(10R))의 엉덩이를 덮는 부분(도 6에서 도시한 빗금친 부분)은 한쌍의 다리 개구부(1b) 중 하나를 덮도록 중복된다. 따라서, 포장 상태로 연장부는 한쌍의 다리 개구부(1b)의 단단한 덮개로서 역할할 수 있으며, 이는 기화된 온감제(26)의 배출을 추가로 억제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흡수성 본체(20)의 전측 주름은 비피부측으로부터 피부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주름은 하복부에 강하게 접촉할 수 있다. 즉, 주름 상에 위치하는 온감제(26)는 착용자의 피부에 더 근접하게 위치한다. 따라서, 착용자의 체온으로 인하여 온감제(26)의 온도는 증가되며, 이는 그의 기화를 촉진시킨다. 이는 하복부에서 온감제(26)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흡수성 본체(20)의 후측 주름은 피부측으로부터 비피부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주름에 도포된 온감제(26)는 천골 영역으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한다. 즉, 온감제(26)에 의하여 착용자에게 부여되는 자극은 억제되며, 온감제(26)의 기화를 억제한다. 이는 온감 효과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주름은 천골 영역(엉덩이)의 불룩한 부분에 쉽게 부합되므로, 착용시의 지나친 압박감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실시양태에서,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의 포장은 1개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을 접어서 1개의 포장 용기에 넣은 개별 포장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복수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을 접어서 1개의 포장 용기에 넣은 복수 포장을 사용할 수 있다.
복수 포장에 의하면, 예를 들면 1개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을 사용하기 위하여 포장 용기를 개방한 후, 하나 이상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을 이미 개방한 포장 용기 내에서 보존하는 상황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상황에서, 흡수성 물품(1) 내부의 공간에서 존재하여 기화되는 온감제(26)가 배출되기 쉬운 환경이 존재한다. 즉,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이 상기 실시양태에서와 같이 접힌 경우에서, 팬츠형 흡수성 물품(1)을 접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기화된 온감제(26)의 배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양태에서, 온감제(26)는 휘발성 물질의 일례로서 사용되지만, 온감제(26)의 사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냉감제를 사용할 수 있다. 냉감제 사용의 경우, 축축함 또는 끈적임에 의하여 유발되는 착용자의 불쾌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감제(온감제(26))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1)을 사용하면 착용자에게 냉감(온감)을 주는 효과는 휘발성 물질이 냉감제(온감제(26))가 아닌 경우에서보다 더 높을 수 있다.
온감제(26)가 기화하여 그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에 의한 상기 기재된 메카니즘은 냉감제 및 하기 기재되는 향료의 경우에서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하여서는 생략할 것이다.
상기 냉감제의 예는 멘톨(예컨대 l-멘톨) 및 그의 유도체(예컨대 멘틸 락테이트), 메틸 살리실레이트, 캄포르, 식물(예컨대 민트 및 유칼립투스) 등으로부터 유래하는 에센셜 오일을 포함한다. 냉감제는 온감제(26)와 동일한 방식으로 온도 감수성 TRP 채널을 자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양태에서, 온감제(26)는 휘발성 물질의 일례로서 사용되지만, 온감제의 사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향료를 사용할 수 있다. 향료는 온감제(26) 대신에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온감제(26)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향료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향료가 그린 허브형 향료(그린 허브 유사 향기)인 경우, 향료는 신체에 물리적 자극을 주지 않거나 또는 경구 투여하지 않고도 정신적 불쾌 증상을 안전하게 편리하게 완화시킬 수 있다. 게다가, 향료는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린 허브 유사 향기는 그린 유사 향기(그린 노트) 또는 허브 유사 향기(허발 노트)를 포함한 향기 타입이다. 그린 유사 향기는 예를 들면 풀 및 어린 잎의 상쾌한 향기를 나타낸다. 허발 유사 향기(허발 노트)는 허브를 사용한 천연 및 허발 노트의 특징을 갖는 향기 유형이다.
그린 허브 유사 향기를 갖는 향료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시스-3-헥세놀, 시스-3-헥세닐 포르메이트, 시스-3-헥세닐 아세테이트, 시스-3-헥세닐 프로피오네이트, 시스-3-헥세닐 부티레이트, 트랜스-2-헥세날, 트랜스-2-헥세닐 아세테이트, 헥실 아세테이트, 스티랄릴 아세테이트, 2-메틸-3-(3,4-메틸렌디옥스페닐)-프로판알(IFF 회사명: 헬리오날(Helional)), 3(4)-(5-에틸비시클로[2,2,1]헵틸-2)-시클로헥사놀, 알릴 2-펜틸옥시글리콜레이트(IFF 회사명: 알릴 아밀 글리콜레이트), 4-메틸-3-데센-5-올(기바우단(Givaudan) 회사명: 운데카베르톨(Undecavertol)), 헥실알데히드, 2,4-디메틸-3-시클로헥세닐카르복시알데히드(IFF 회사명: 트립랄(Tripral)) 및 페닐아세트알데히드로부터 선택된 향료 중 1종 또는 향료 중 2종 이상을 함유한다. 시판 중인 제품은 또한 상기 향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시된 향료 중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향료는 주로 그린 유사 향기를 생성한다.
그린 허브 유사 향기를 갖는 향료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l-멘톨, 1,8-시네올, 메틸 살리실레이트, 시트로넬랄, 캄포르, 보르네올, 이소보르닐 아세테이트, 터피닐 아세테이트, 유게놀, 아네톨, 4-메톡시벤질 알콜 및 에스트라골로부터 선택된 향료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추가로 함유한다. 상기 제시된 향료 중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향료는 주로 허발 유사 향기를 생성한다.
1: 흡수성 물품(팬츠형 흡수성 물품), 1a: 허리 개구부, 1b: 다리 개구부
10: 허리 부재, 10f: 전측 허리 부재, 10fe: 전측 접합부
10ff: 허리 전단부, 10b: 후측 허리 부재, 10be: 후측 접합부 10bf: 허리 후단부, 10L: 좌측 연장부, 10R: 우측 연장부
20: 흡수성 본체, 20Fe: 전측 상단부, 20Be: 후측 상단부, 22: 흡수성 코어
22a: 코어 랩핑 시트, 24a: 제1 피부측 시트, 24b: 제2 피부측 시트
24c: 비피부측 시트, 24d: 사이드 시트, 26: 온감제(휘발성 물질)
26p: 도포 영역, 26n: 비도포 영역 및 30: 가랑이 탄성 스트링(탄성 부재)
40: 힌지(압착홈), 41: 전측 힌지, 42: 한쌍의 힌지
50: 장벽 커프스(샘방지 벽), 50B: 지지점, 50S: 정점
54: 접착제 영역(접합 영역), BL: 세로 방향 접힘선, LB: 좌측 접힘선, RB: 우측 접힘선
CL: 중앙 접힘선

Claims (14)

  1.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을 갖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액 흡수성의 흡수성 코어, 및 흡수성 코어보다 피부측에 제공되는 피부측 시트를 포함하는 흡수성 본체; 및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측에 중복되어 배치되며 좌우 방향으로 신축되는 허리 부재
    를 포함하며,
    휘발성 물질이 흡수성 코어 및 피부측 시트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고,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세로 방향 접힘선을 접힘부로서 사용하여,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 상하 방향으로 접힌 접힘 상태로 포장되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상하 방향으로 접기 전의 상태에서, 휘발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가 세로 방향 접힘선보다 하측에 제공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휘발성 물질이 온도 감수성 TRP 채널을 자극하는 온감제 및 냉감제 중 어느 하나인 팬츠형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 도포 영역을 더 포함하며,
    도포 영역은,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휘발성 물질이 도포된 흡수성 본체의 영역이며,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상하 방향으로 접기 전의 상태에서,
    흡수성 본체에서, 세로 방향 접힘선보다 상측의 도포 영역의 부분이 세로 방향 접힘선보다 하측의 도포 영역의 부분보다 더 작은 팬츠형 흡수성 물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상하 방향으로 접기 전의 상태에서,
    세로 방향 접힘선은 흡수성 본체의 상측단보다 하측에 위치하며,
    포장 상태에서,
    흡수성 본체의 적어도 일부가 세로 방향 접힘선을 접힘부로서 사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접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5. 제4항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의 적어도 일부가 세로 방향 접힘선을 접힘부로서 사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접힌 상태에서,
    휘발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가 세로 방향 접힘선과 중복하여 제공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6. 제5항에 있어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상하 방향으로 접기 전의 상태에서, 흡수성 본체의 후측 상단부에 관하여,
    흡수성 본체의 후측 상단부의 비피부측면이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측면의 후측 하부와 대향하도록, 흡수성 본체가 상하 방향으로 접히며,
    후측 하부는 세로 방향 접힘선보다 하측에 그리고 전후 방향으로 후측에 위치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7. 제6항에 있어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상하 방향으로 접기 전의 상태에서, 흡수성 본체의 전측 상단부 및 후측 상단부가 두께 방향으로 중복되며,
    흡수성 본체의 후측 상단부의 비피부측면이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측면의 후측 하부와 대향하도록, 흡수성 본체가 상하 방향으로 접히며,
    후측 하부는 세로 방향 접힘선보다 하측에 그리고 전후 방향으로 후측에 위치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허리 부재는 좌측 연장부 및 우측 연장부를 포함하며,
    좌측 연장부는 흡수성 본체의 좌측단보다 좌측에 위치하며,
    우측 연장부는 흡수성 본체의 우측단보다 우측에 위치하고,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좌측 접힘선 및 우측 접힘선을 포함하며,
    좌측 접힘선은 좌측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에서 우측으로 접을 때 접힘부로서 역할을 하며,
    우측 접힘선은 우측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에서 우측으로 접을 때 접힘부로서 역할을 하고,
    팬츠형 흡수성 물품을 상하 방향으로 접기 전의 상태에서,
    전후 방향에서 보았을 때, 휘발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가 좌측 연장부 및 우측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와 중복되며,
    좌측 연장부는 좌측 접힘선을 접힘부로서 사용하여 접히고,
    우측 연장부는 우측 접힘선을 접힘부로서 사용하여 접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9. 제8항에 있어서, 좌측 접힘선을 접힘부로서 사용하여 접힌 좌측 연장부에 관하여, 그리고
    우측 접힘선을 접힘부로서 사용하여 접힌 우측 연장부에 관하여,
    좌측 연장부 및 우측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가 세로 방향 접힘선을 접힘부로서 사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접히며,
    포장 상태에서, 전후 방향에서 보았을 때, 휘발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가 상하 방향으로 접힌 좌측 연장부 및 상하 방향으로 접힌 우측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와 중복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10. 제8항에 있어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좌우 방향 양측에 한쌍의 다리 개구부를 더 포함하며,
    포장 상태에서, 한쌍의 다리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좌측 연장부 및 우측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와 중복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한쌍의 샘방지 벽이 흡수성 본체의 좌우 방향 양단부에 제공되며,
    한쌍의 샘방지 벽은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한쌍의 샘방지 벽은 각각 전측 상단부 및 후측 상단부에 접합 영역을 포함하고,
    접합 영역은 샘방지 벽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며,
    포장 상태에서, 접합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세로 방향 접힘선을 접힘부로서 사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접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는, 밀도가 주변 영역에서의 밀도보다 더 높은 압착홈을 가지며,
    포장 상태에서, 압착홈의 적어도 일부가 세로 방향 접힘선을 접힘부로서 사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접히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탄성 부재가 흡수성 본체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 제공되며,
    탄성 부재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포장 상태에서, 탄성 부재는 세로 방향 접힘선을 접힘부로서 사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접히지 않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는 피부측 시트로서 제1 피부측 시트 및 제2 피부측 시트를 포함하며,
    제1 피부측 시트는 피부측에서 가장 가까이 위치하며,
    제2 피부측 시트는 제1 피부측 시트와 흡수성 코어 사이에 위치하며,
    휘발성 물질은 제1 피부측 시트의 비피부측 및 제2 피부측 시트의 피부측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는 팬츠형 흡수성 물품.
KR1020217040938A 2019-06-20 2020-04-03 팬츠형 흡수성 물품 KR202200240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537390.9 2019-06-20
CN201910537390.9A CN112107431B (zh) 2019-06-20 2019-06-20 短裤型吸收性物品
PCT/JP2020/015409 WO2020255534A1 (ja) 2019-06-20 2020-04-03 パンツ型吸収性物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4039A true KR20220024039A (ko) 2022-03-03

Family

ID=73795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0938A KR20220024039A (ko) 2019-06-20 2020-04-03 팬츠형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20024039A (ko)
CN (2) CN116327491A (ko)
WO (1) WO20202555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83601B2 (ja) * 2020-12-25 2024-05-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及び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の製造方法
JP7483600B2 (ja) * 2020-12-25 2024-05-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及びパンツ型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のパッケー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2612A (ko) 2016-01-08 2018-09-17 블루 다뉴브 시스템스, 인크. 안테나 맵핑 및 다이버시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4957B2 (ja) * 2006-05-31 2012-08-08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紙おむつ
CN117618190A (zh) * 2013-07-03 2024-03-01 瑞德科技控股有限公司 吸收复合物、采用吸收复合物的吸收制品、制造吸收复合物和/或制品的方法、系统和装置
JP5970533B2 (ja) * 2014-12-25 2016-08-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305487B1 (ja) * 2016-09-30 2018-04-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の個包装体
WO2018078886A1 (ja) * 2016-10-31 2018-05-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408268B2 (ja) * 2017-08-08 2024-01-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WO2019045070A1 (ja) * 2017-09-01 2019-03-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温感物品
JP3215313U (ja) * 2017-12-28 2018-03-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9069222A (ja) * 2018-12-27 2019-05-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及び個包装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2612A (ko) 2016-01-08 2018-09-17 블루 다뉴브 시스템스, 인크. 안테나 맵핑 및 다이버시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107431B (zh) 2023-07-11
WO2020255534A1 (ja) 2020-12-24
CN116327491A (zh) 2023-06-27
CN112107431A (zh) 2020-12-22
TW202114608A (zh) 202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24039A (ko) 팬츠형 흡수성 물품
JP6821103B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WO2022137818A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及びパンツ型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のパッケージ
WO2020255532A1 (ja) 吸収性物品
TWI837356B (zh) 短褲型吸收性物品
WO2020255521A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及びパンツ型吸収性物品製造方法
WO2022004534A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6878711B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及びパンツ型吸収性物品製造方法
WO2020179886A1 (ja) 吸収性物品
WO2021084850A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WO2021084851A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7254653B2 (ja) 吸収性物品
WO2022137868A1 (ja) 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及び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の製造方法
WO2020179889A1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