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0996A - 8+2 웨이 xlr pcb 암 커넥터 - Google Patents

8+2 웨이 xlr pcb 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0996A
KR20220020996A KR1020227003141A KR20227003141A KR20220020996A KR 20220020996 A KR20220020996 A KR 20220020996A KR 1020227003141 A KR1020227003141 A KR 1020227003141A KR 20227003141 A KR20227003141 A KR 20227003141A KR 20220020996 A KR20220020996 A KR 20220020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lug connector
electrical
built
parall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3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올리버 도블러
Original Assignee
노이트릭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이트릭 아게 filed Critical 노이트릭 아게
Publication of KR20220020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9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7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86Parallel contacts arranged about a common ax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횡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장착 구조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전기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로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6개 이상의 전기 접촉을 가지며, 접촉들은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과 평행하게 하우징의 일단부에서 외측으로 안내되고, 하우징 외부에 위치한 접촉 섹션의 단부 섹션은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섹션에 대해 각을 이루고, 회로 기판에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 이들의 연결 섹션은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한 공통 평면에서 종료되고, 연결 영역은 그룹으로 배열되고 개별 그룹은 공통 평면의 일부인 적어도 3개의 평행한 직선 위에 위치하며, 하우징 외부로 평행하게 안내된 접촉 섹션의 단부는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 방향으로 평행한 직선과 동일한 거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

Description

8+2 웨이 XLR PCB 암 커넥터
본 발명은 특히 전자 전도체 보드에 연결하기 위한 전기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빌트인 소켓 또는 섀시 소켓이라고도 하는 이러한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는 제어 패널, 제어 캐비닛 또는 기기 하우징의 벽, 특히 XLR 실시형태에 건조하기 위한 것이며,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사용되는 표준 도체 기판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들은 다양한 종류의 실시형태로 이용 가능한데, 이는 접촉의 수와 디자인이 다양하고, 접지 및 연결 변형이 다양하며, 수 플러그와 암 플러그로 제공된다.
3핀 내지 5핀 빌트인 소켓은 수평 도체 기판에 연결하기 위한 실시형태로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의 전기 접촉은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한 하우징의 단부에서 바깥쪽으로 안내되고, 이어서 각진 방식으로 연장되며, 도체 기판에 대한 연결 영역은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과 평행한 공통 평면에서 종료된다. 이와 관련하여, 연결 영역은 또한 판형 요소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더 많은 데이터 및/또는 에너지 채널이 필요한 경우, 이러한 빌트인 소켓을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다.
반면에 8개의 데이터 채널 외에 2개의 에너지 채널도 제공하는 8+2 유형의 XLR 플러그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복수의 접촉들이 후방 단부에서 외부로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지금까지 도체 기판과의 연결은 도체 기판이 후방 단부와 평행하게 배향되어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을 가로지르는 수직 배열로만 구현되었다. 따라서 수평 도체 기판에는 연결할 수 없으므로,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의 적용 분야가 제한된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목적은 다수의 데이터 및/또는 에너지 채널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였으며, 이 플러그 커넥터는 수평 도체 기판에 연결하기에 추가로 적합하다.
이러한 기술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우징을 구비하고, 하우징에 고정된 6개 이상의 전기 접촉을 갖는 전기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로, 접촉들이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하우징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가 제안된다. 하우징 외부에 위치한 접촉들의 섹션의 단부 섹션은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섹션에 대해 각을 이루고 있으며, 회로 기판에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 이들의 연결 영역은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과 평행한 공통 평면에서 종료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평면은 그에 평행한 하우징에 대한 접선 평면보다 반경 방향으로 더 바깥쪽에 있다.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각진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연장하는 접촉의 섹션들의 연결 섹션은 그룹으로 배열되되, 개별 그룹은 연결 섹션이 종료하는 공통 평면의 일부인 적어도 3개의 평행한 직선 위에 위치한다.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한 방향에서 하우징에 대해 각진 방향으로 접촉을 편향시킬 때의 어려움은, 하우징 밖으로 평행하게 안내되는 접촉의 섹션들의 단부들이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의 방향으로 평행한 직선들과 동일한 거리를 갖게 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이는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엇갈리게 되는 각진 방향에 평행한 편향점의 위치를 초래하며, 이는 비접촉 배열을 위한 충분한 공간과 접촉의 각진 섹션의 코스가 서로로부터 충분히 이격되도록 보장한다.
바람직하게는, 표준 구조의 사양을 충족시키기 위해 데이터 전송을 위한 8개의 접촉과 에너지 전송을 위한 2개의 접촉이 제공된다.
유용하게는, 이와 관련하여 에너지 전달을 위한 접촉이 데이터 전달을 위한 접촉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것이 제공된다. 이에 의해, 충분한 에너지 공급을 위해 더 높은 전류 강도가 전달될 수 있는 반면, 더 낮은 전압 및 전류 강도로 작동하는 데이터 전송의 경우 도체 단면적이 더 작은 도체가 소켓 당 더 많은 수로 충분하게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과 평행하게 하우징에 삽입되는 접촉 캐리어에 접촉이 고정되는 실시형태는, 상당히 많은 수의 접촉 변형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한 종류의 하우징으로 다양한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를 실현할 수 있다.
하우징에 접촉 캐리어를 고정하기 위한 특히 바람직한 변형은, 접촉 캐리어가 하우징의 외측에서 안내되는 하우징 측의 유지 요소에 의해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제공한다.
유지 요소가 적어도 일부 위치에서 하우징 벽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고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하우징 벽에 연결된 링인 실시형태가 바람직하고 취급하기 쉽다.
유지 요소와 유지 요소 사이의 확실한 연결은 유지 요소와 하우징 벽이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함께 크림핑 되는 것에 의해 쉽고 빠르게 확립될 수 있다.
수 플러그로서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전기 접촉이 접촉 핀으로 설계된다는 것을 제공한다.
그러나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를 암 플러그로 구성하기 위해 적어도 원형의 접촉 개구부와 같은 전기 접촉의 실시형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가 제어 패널 또는 기기 하우징에 장착될 때, 장착 구멍을 갖는 적어도 측면 돌출 아이인 장착 구조가 제1 실시형태에 따라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하우징의 중심축에 대해 마주하는 두 개의 아이가 제공된다.
매우 안정적이기 때문에 유리한 다른 변형은 장착 구조가 하우징의 전체 원주에 걸쳐 돌출하는 플랜지이며, 이 플랜지에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보어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도 플랜지에는 하우징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향하는 2개 이상의 장착 구멍이 배치된다. 이와 관련하여 이것은 직사각 또는 원 또는 타원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접촉의 각진 섹션은 직선이고,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대부분의 길이에 걸쳐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단순한 설계에서 이는 전기 전도성 요소의 필요한 상호 거리를 초래합니다.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 특히 접촉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진 부분은 별도의 요소로, 즉, 하우징에 수용되고 접촉 캐리어를 통해 바깥쪽으로 안내되는 접촉과 함께 한 부품으로 제조되지 않고 하우징의 외부로 안내되는 접촉의 섹션들에 직접 연결된다. 이것은 볼트, 리벳 또는 용접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가능하다면 전도성 접착제로 접착할 수도 있다.
도체 기판에 대한 연결 영역의 정확하게 정의된 기하학적 구성을 보장하기 위해, 각진 섹션은 연결 영역 바로 앞에 있는 공통 유지 플레이트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유지 평면은 또한 하우징에 대한 평행한 접선 평면의 반경방향 외부에 위치된다.
공통 유지 플레이트는 또한 한편으로는 도체 플레이트에 대한 완전한 지지와 양호한 연결을 보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유지 플레이트를 더 나은 기계적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하우징에 연결하기 위해 하우징을 따라 인접하여 연장하는 연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인터록킹 가이드 및/또는 안정화 장치가 하우징 및 유지 플레이트 연장부의 내부 및/또는 상부에 배열될 수 있다.
이들 도면은 각각 매우 단순화 되어 개략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의 제1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소켓을 삽입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반대 방향에서 본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소켓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소켓의 측면도이다.
우선, 설명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 및/또는 동일한 구성요소 명칭이 제공되며, 발명의 설명 전체에 포함된 개시내용은 동일한 참조 번호 및/또는 동일한 구성요소 명칭의 동일한 부분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설명에서 선택한 상부에서, 하부에서, 측면에서와 같은 위치에 대한 설명은 직접 설명 및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며,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이러한 위치의 설명은 새로운 위치로 유사하게 적용된다.
본 설명에서 값의 범위에 관한 모든 표시는 이들이 또한 무작위 및 그로부터의 모든 부분 범위를 포함하도록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표시 1 내지 10은 하한 1 및 상한 10에 기초하는 모든 부분 영역 즉 하한이 1 이상에서 시작하여 상한이 10 이하로 종료되는 모든 부분 영역 예를 들어 1 내지 1.7 또는 3.2 내지 8.1 또는 5.5 내지 10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형식적인 문제로, 구조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요소는 부분적으로 축척에 맞춰 묘사되지 않았거나 및/또는 크기가 확대 및/또는 크기가 축소되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전자 도체 기판에 대한 연결 옵션이 있는 8+2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 버전의 첨부된 도면에 예시로 표시된 전기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는 하우징(1)을 구비한다. 하우징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될 수 있지만 금속 재료로도 제작될 수 있다.
직사각형 및/또는 정사각형 장착 플랜지(2)가 전방 단부 면, 상보적 케이블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 측에 하우징(1)의 길이방향 축(A)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장착 구조로 제공된다. 길이방향 중심 축(A)에 대해 서로 마주하는 이 장착 플랜지(2)의 두 코너에는 장착 구멍(3)이 형성되어 있고, 장착 나사, 리벳 또는 이들 장착 구멍(3)을 관통하여 도달하는 유사한 고정 수산에 의해 제어 패널, 기 벽 등에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를 고정할 수 있다. 장착 플랜지(2)는 또한 원형, 타원형, 임의의 원하는 다각형 원주 가장자리를 갖도록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보어를 구비하고, 실린더-형 하우징(1)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된 장착 아이가 또한 가능하며, 이 경우 하우징(1)의 길이방향 축(A)에 대해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아이가 바람직하다.
수(male) 플러그로서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하우징(1)은 총 10개의 접촉 핀(4, 5)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과 별개로 제작되며, 하우징(1)의 길이방향 축(A)과 평행하게 하우징(1) 내로 삽입되는 접촉 캐리어(6)(도 3 및 도 4 참조)에 유지된다. 접촉 캐리어(6)는 전기 절연 재료, 특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상보적 플러그 커넥터를 향하는 단부 섹션이 노출되게 한다. 암(female) 실시형태의 경우, 하우징(1)의 전방 단부 면까지 연장되는 접촉 캐리어(4)는 환형 또는 중공-원통형 접촉 요소를 수용한다.
여기에 설명된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의 8+2 변형에서, 2개의 접촉(4)은 에너지 전송을 위해 제공되고, 8개의 접촉(5)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제공된다. 이와 관련하여, 에너지 전달을 위한 접촉(4)은 데이터 전달을 위한 얇은 접촉(5)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 요소, 이 경우 접촉 핀(4, 5)은 하우징(1)의 길이방향 축(A)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하우징(1)의 한쪽 끝에서 접촉 캐리어(4)의 후방 측에서 바깥으로 또는 구성요소(1, 4) 모두를 관통하여, 그리고 하우징(1)의 길이방향 축(A)과 평행하게 안내되며, 케이블 플러그를 위한 삽입 측의 반대편인 단부 면에서 하우징(1) 밖으로 돌출한다.
하우징(1) 외부에 위치한 접촉(4, 5) 섹션의 단부 섹션(41, 51)은 하우징(1) 내부에 위치한 섹션에 대해 각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단부 섹션(41, 51)은 일반적으로 하우징(1)의 길이방향 축(A)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적어도 접촉(4, 5)으로부터 어느 정도 거리 떨어져서 시작하여 서로 평행하다. 이들의 최외각 단부에서, 이들은 전자 도체 기판에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 연결 영역(42, 52)으로 전환된다. 이들은 하우징(1)의 길이방향 축(A)에 평행하게 위치하며, 바람직하게는 엔빌로프 측면 외부에 있는 공통 평면(E)에서 종료된다. 연결 영역(42, 52)은 그룹으로 배열되며, 개별 그룹은 - 도 4 및 도 5에서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 공통 평면(E)의 일부인 적어도 3개의 평행한 직선(G)(도 4 참조)에 위치한다. 도 5에서, 이들 직선(G)은 도면 평면에 수직인 연결 영역(42, 52)을 관통하여 연장할 것이다.
단부 섹션(41, 51)은 접촉(4, 5)의 직접적인 연속부로 설계될 수 있고, 길이방향 축(A)에 평행한 방향으로부터 접힘 또는 굽힘에 의해 이에 가로지르는 방향 및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각진 방식으로 연장되는 섹션(41, 51)은 별도의 요소로 제조되고, 그 다음 예를 들어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리벳으로 하우징의 외부로 안내되는 접촉(4, 5)의 섹션에 바로 연결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형태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단부 섹션(41, 51)은 평평한 금속 스트립으로서 설계되고, 여기서 연결 섹션(42, 52)은 바람직하게는 단부 섹션(41, 51)의 대부분의 길이보다 더 작은 폭을 갖는다.
접촉(4, 5)의 각진 부분(41, 51)은 연결 영역(42, 52) 바로 앞의 공통 유지 플레이트(9)에 고정되며, 이 유지 플레이트(9)로부터 연결 영역(42, 52)이 도체 기판을 향하는 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도체 기판에 연결된다. 공통 유지 플레이트(9)에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부(91)가 제공되며, 이 연장부(91)는 유지 플레이트(9)와 함께 도체 기판에 대한 완전한 지지 및 양호한 연결성을 형성하며, 또한 하우징(1)과 연결 영역(42, 52)의 정확하게 정의된 위치 사이의 기계적으로 안정적인 연결을 보장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 외부로 안내되는 접촉(4, 5) 섹션의 단부는 서로 평행하고 하우징(1)의 길이방향 축(A)과의 거리가 평행한 직선(G)과의 거리와 동일하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에 삽입된 접촉 캐리어(6)는 하우징(1)에 고정되되, 유지 요소 이 경우에서는 바람직하기로는 링(7)으로 설계된 유지 요소에 의해 접촉(4, 5)이 외측에서 안내되는 측면에서 고정된다. 이와 관련하여, 링(7)은 하우징(1) 벽의 후방 단부 면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계되며, 여기서 이는 접촉 캐리어(6)의 후방 단부 면과 중첩되어서, 하우징(1) 외부로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링(7)은 적어도 한 위치에서 하우징(1)에 고정 연결된다. 이 연결은 다월 핀(8)으로 링(7)의 설부(71)의 크림핑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링(7)의 설부는 하우징(1) 바깥으로 방사상으로 돌출하고, 하우징(1)의 2개의 다웰 핀(8) 사이에서 안내된다.
하우징(1)의 전방 삽입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원주방향 위치에 컷아웃(21)을 갖는다. 이 컷아웃(21)은 하우징(1)의 길이방향 축선(A)과 평행하게 후방으로 하우징 내부로 계속 이어진다. 접촉 캐리어(6)도 대응하는 위치에 리세스(61)를 가질 수 있다. 이 컷아웃(21) 및 리세스(61)는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공지된 디자인의 잠금 기구(10)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은 가능한 실시형태의 변형을 보여주며,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그 특정 예시된 실시형태의 변형으로 제한되지 않고 오히려 개별 실시형태의 변형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고 이러한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기술적 교시에 기인하는 변형의 범위는 이 기술 분야의 당업자의 능력 내에 있다.
1 하우징(housing)
2 장착 플랜지(mounting flange)
3 장착 구멍(mounting bore)
4 접촉 핀 에너지(contact pin energy)
5 접촉 핀 데이터(contact pin data)
6 접촉 캐리어(contact carrier)
7 링(ring)
8 다월 핀(dowel pin)
9 유지 플레이트(holding plate)
10 잠금 기구(locking mechanism)
21 컷아웃(cutout)
41 접촉(4)의 단부 섹션(end section of the contact(4))
42 연결 섹션(connection section)
51 접촉(5)의 단부 섹션(end section of the contact(5))
52 연결 섹션(connection section)
61 리세스(recess)
91 유지 플레이트의 연장부(extension of the holding plate)
A 길이방향 (중심) 축(longitudinal (central) axis)
E 평면 연결 섹션(plane connection section)
G 직선 연결 섹션(straight line connection section)

Claims (15)

  1.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횡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장착 구조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전기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로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6개 이상의 전기 접촉을 가지며, 접촉들은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과 평행하게 하우징의 일단부에서 외측으로 안내되고, 하우징 외부에 위치한 접촉 섹션의 단부 섹션은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섹션에 대해 각을 이루고, 회로 기판에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 이들의 연결 섹션은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한 공통 평면에서 종료되고, 연결 영역은 그룹으로 배열되고 개별 그룹은 공통 평면의 일부인 적어도 3개의 평행한 직선 위에 위치하며, 하우징 외부로 평행하게 안내된 접촉 섹션의 단부는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 방향으로 평행한 직선과 동일한 거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 전달을 위한 8개의 접촉과 에너지 전달을 위한 2개의 접촉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에너지 전달을 접촉의 직경이 데이터 전달을 위한 접촉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접촉은,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과 평행하게 하우징 내에 삽입되어 있는 접촉 캐리어 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측면 위에 유지 요소에 의해 접촉 캐리어가 하우징 내에 고정되어 있고, 그 위에서 접촉이 외측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유지 요소는 적어도 일부 위치에서 하우징 벽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며,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하우징 벽에 연결된 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유지 요소 및 하우징 벽은 함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크림핑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접촉이 접촉 핀으로 디자인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접촉이 적어도 회로 접촉 개구로 디자인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장착 구조는 장착 구멍이 있는 적어도 측면으로 돌출하는 아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장착 구조는 하우징의 원주 전체에 걸쳐 돌출하는 플랜지이고, 플랜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장착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각진 섹션이 직선으로 연장하고, 대부분의 길이에 걸쳐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
  13. 제1항에 있어서, 각진 섹션이 개별 요소들이고, 하우징의 외부에서 안내되는 접촉의 섹션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
  14. 제1항에 있어서, 각진 섹션이 연결 영역의 바로 앞에서 공통 유지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 공통 유지 플레이트는 하우징을 따라 인접할 수 있도록 연장하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
KR1020227003141A 2019-08-13 2020-08-12 8+2 웨이 xlr pcb 암 커넥터 KR202200209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21311838.7U CN210137029U (zh) 2019-08-13 2019-08-13 嵌入式插接连接器
CN201921311838.7 2019-08-13
PCT/EP2020/025371 WO2021028077A1 (de) 2019-08-13 2020-08-12 Buchse xlr 8+2 pcb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996A true KR20220020996A (ko) 2022-02-21

Family

ID=69708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3141A KR20220020996A (ko) 2019-08-13 2020-08-12 8+2 웨이 xlr pcb 암 커넥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881662B2 (ko)
EP (1) EP4014287B1 (ko)
JP (1) JP7334332B2 (ko)
KR (1) KR20220020996A (ko)
CN (2) CN210137029U (ko)
AU (1) AU2020328093A1 (ko)
BR (1) BR112022001686A2 (ko)
CA (1) CA3148768A1 (ko)
MX (1) MX2022001572A (ko)
WO (1) WO20210280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9361A1 (ko) * 2022-07-22 2024-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관통 홀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0137029U (zh) * 2019-08-13 2020-03-10 纽陲客股份公司 嵌入式插接连接器
DE102021118853B4 (de) * 2021-07-21 2023-06-15 Amphenol Tuchel Industrial GmbH Mehrteiliger Leiterplattenadapterstecker mit spezifischem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1431A (en) 1989-01-23 1990-05-01 Switchcraft, Inc. Connector adapter assembly
JPH0822182B2 (ja) 1989-09-04 1996-03-06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クラッチ操作構造
JP2581782Y2 (ja) * 1991-10-14 1998-09-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多芯l型同軸コネクタ
US5310354A (en) 1992-03-20 1994-05-1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ntegral ground terminal and tail shield
US5752854A (en) 1997-02-18 1998-05-19 The Whitaker Corporation Panel mount structure
US5975917A (en) * 1998-04-01 1999-11-0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manufactured by the same
JP4201782B2 (ja) 2004-06-03 2008-12-2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基板実装型電気コネクタ
CN201230018Y (zh) * 2008-05-29 2009-04-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TWM376943U (en) 2009-09-03 2010-03-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8292662B2 (en) * 2010-09-19 2012-10-23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Watertight connector
US9590339B2 (en) * 2013-05-09 2017-03-07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High data rate connectors and cable assemblies that are suitable for harsh environments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JP6130244B2 (ja) * 2013-06-27 2017-05-17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及び充電コネクタ
JP6362857B2 (ja) 2013-12-13 2018-07-2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実装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6246650B2 (ja) * 2014-04-11 2017-12-1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表面実装コネクタ
DE102014111831A1 (de) * 2014-08-19 2016-02-25 Phoenix Contact E-Mobility Gmbh Steckverbinderteil mit Temperatursensoren
DE102016105470A1 (de) * 2016-03-23 2017-09-28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Leistungselektrische Kontakteinrichtung; austauschbares, leistungselektrisches Kontaktmodul sowie leistungselektrischer Verbinder
DE102016211876A1 (de) * 2016-06-30 2018-01-04 Phoenix Contact E-Mobility Gmbh Elektroanschlusseinrichtung mit verbesserter thermischer Kopplung einer einen Temperatursensor aufweisenden Platine
CN207052813U (zh) * 2017-05-12 2018-02-2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插座壳体组件及插座
JP6656206B2 (ja) * 2017-05-26 2020-03-0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9016531A (ja) * 2017-07-07 2019-01-3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基板用コネクタ及び回路基板と基板用コネクタの接続構造
TWI806883B (zh) * 2017-07-31 2023-07-01 美商康寧光纖通信射頻有限責任公司 雙軸的電纜連接器和雙軸的電纜組件
JP6996445B2 (ja) * 2018-07-20 2022-01-1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外導体端子
US11303070B2 (en) * 2018-07-20 2022-04-12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Connector and outer conductor
CN210137029U (zh) * 2019-08-13 2020-03-10 纽陲客股份公司 嵌入式插接连接器
KR20210031290A (ko) * 2019-09-11 2021-03-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호소자 통합형 커넥터
KR20210135097A (ko) * 2020-05-04 2021-11-1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커넥터 모듈
JP7414635B2 (ja) * 2020-05-07 2024-01-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9361A1 (ko) * 2022-07-22 2024-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관통 홀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48768A1 (en) 2021-01-08
AU2020328093A1 (en) 2022-03-24
EP4014287B1 (de) 2024-05-29
CN114375527A (zh) 2022-04-19
US11881662B2 (en) 2024-01-23
CN210137029U (zh) 2020-03-10
JP7334332B2 (ja) 2023-08-28
WO2021028077A1 (de) 2021-02-18
MX2022001572A (es) 2022-03-02
EP4014287A1 (de) 2022-06-22
BR112022001686A2 (pt) 2022-03-22
US20220320807A1 (en) 2022-10-06
JP2022544653A (ja) 2022-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4334B2 (en) Cable connector
KR20220020996A (ko) 8+2 웨이 xlr pcb 암 커넥터
US6764341B2 (en) Plug connector that can be turned by 90°
US6227904B1 (en) Compound type connector
KR20130045388A (ko) 차동 데이터 전송용 플러그 커넥터
JP6537621B2 (ja) プリント回路基板アセンブリ
CN112787127B (zh) 电连接器
US10243311B2 (e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assembly and electrical connector
US6623301B2 (en) Plug connector for electronic devices
US6652303B2 (en) Device and method for strengthening an electrical socket
US10925159B2 (en) Circuit device
JP7181769B2 (ja) コネクタ
CN111213292B (zh) 具有屏蔽元件的印刷电路板插接连接器
US7121849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ground plane with independently configurable contacts
US10876734B2 (en) Ignition device for a gas cooking appliance
KR102277740B1 (ko) 차폐 요소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 커넥터
US20060128213A1 (en) Connector and nut holding structure for connector
EP2947719A1 (en) Wire lug connector
CN108075334B (zh) 电源连接装置及导电汇流件
US20240088584A1 (en) Appliance socket
WO2000070716A1 (fr) Connecteur multiple
US20100029101A1 (en) Low-profile cable assembly and its complementary connector
WO2000016450A1 (en) Electrical outlet for optional/variable insertion of plugs
Lappoehn et al. Plug connector that can be turned by 90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