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0617A -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윈도우 차광 장치 - Google Patents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윈도우 차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0617A
KR20220020617A KR1020200101133A KR20200101133A KR20220020617A KR 20220020617 A KR20220020617 A KR 20220020617A KR 1020200101133 A KR1020200101133 A KR 1020200101133A KR 20200101133 A KR20200101133 A KR 20200101133A KR 20220020617 A KR20220020617 A KR 20220020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window
elastic member
blind shee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7325B1 (ko
Inventor
김봉중
김정태
이진광
Original Assignee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1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7325B1/ko
Publication of KR20220020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47End position holding means, e.g. suction cups, hooks on a vehicle, indentations on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41Blind sheets, e.g. shape of sheets, reinforcements in sheets, materi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8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openable windows, e.g. side wind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60J3/005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for sid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윈도우를 선택적으로 차광 하는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윈도우 차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는 도어 윈도우를 둘러싸는 도어 패널에 배치되며 블라인드 시트가 도어 윈도우를 차광할 때 블라인드 시트와 연결되어 블라인드 시트의 이동을 제한하는 홀딩유닛 및 도어 패널과 홀딩유닛 사이에 배치되며 블라인드 시트의 이동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어 도어 패널에 형성된 결합 홈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후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윈도우 차광 장치{HOOK ASSEMBLY FOR WINDOW SUNSHADE APPARATUS AND WINDOW SUNSHADE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윈도우 차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윈도우를 통해 자동차 실내로 투과되는 빛을 선택적으로 차광하는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윈도우 차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세계의 자동차 제조업체들에서 생산되는 자동차들은 디자인의 심미성을 고려하여 과거보다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갖는 도어 윈도우가 채택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공기저항계수 및 디자인을 고려하여 유선형 또는 곡선형의 디자인 영역이 많은 최근의 자동차 디자인에 순응하여 도어 윈도우는 기본적인 사각 형상의 도어 윈도우에서 곡선형의 곡률의 변을 갖는 형상을 가짐과 함께 사각 형상의 도어 윈도우 대비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갖는다.
여기서, 최근 자동차의 디자인 경향에 따라 자동차의 도어 윈도우의 면적이 커짐과 함께 곡선형의 변을 가짐으로써 도어 윈도우를 통해 자동차의 실내로 투과되는 빛의 양의 증가는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자동차의 실내로 투과되는 많은 양의 빛은 자동차의 실내 내부 온도 상을 초래함에 따라 에어컨디셔너와 같은 공조기기의 사용이 빈번해져서 자동차의 운행의 부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제조업체들은 자동차의 도어 윈도우를 통해 투과되는 빛을 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도어 윈도우를 선택적으로 차광할 수 있는 윈도우 차광 장치를 개발 및 장착하였다.
한편, 도어 윈도우에 적용되는 윈도우 차광 장치는 일반적으로 크게 도어 윈도우를 차광하는 차광위치와 차광 해제하는 차광해제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는 블라인드 시트 및 블라인드 시트를 감김 및 풀림에 따라 회전 운동되는 회전 샤프트로 구성된다. 종래의 윈도우 차광 장치의 작동은 탑승자가 블라인드 시트를 파지하여 블라인드 시트를 차광위치로 위치한 후 도어 패널에 배치된 후크에 블라인드 시트를 연결한다. 이때, 후크는 후크에 연결된 블라인드 시트가 차광위치로부터 차광 해제위치로 이동되지 않도록 블라인드 시트의 이동을 제한한다.
그런데, 종래의 윈도우 차광 장치는 탑승자에 의해 블라인드 시트가 차광위치로 이동된 후 블라인드 시트의 차광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후크가 도어 패널에 결합 후 분리가 어려운 점이 있다. 이렇게 도어 패널에 결합 및 분리가 어려운 구조를 가진 종래의 후크는 파손 등의 교체 시 결합 및 분리가 어려움에 따라 윈도우 차광 장치의 작동 신뢰성을 저하하는 문제점과 함께 소비자의 만족도를 저하하는 문제점도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6-141284호; 차량용 도어 선셰이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윈도우를 차광하는 블라인드 시트를 차광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는 후크의 결합 및 분리 편의성을 향상하도록 후크의 구조를 개선한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윈도우 차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도어 윈도우를 둘러싸는 도어 패널에 배치되며 블라인드 시트가 상기 도어 윈도우를 차광할 때 상기 블라인드 시트와 연결되어 상기 블라인드 시트의 이동을 제한하는 홀딩유닛과, 상기 도어 패널과 상기 홀딩유닛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블라인드 시트의 이동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어 상기 도어 패널에 형성된 결합 홈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후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후크유닛은 상기 결합 홈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갖는 삽입위치와 상기 결합 홈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갖는 결합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후크유닛은 상기 결합 홈에 삽입 전 상기 결합위치에 위치, 상기 결합 홈에 삽입 시 상기 삽입위치 및 상기 결합 홈에 삽입 후 상기 삽입위치로부터 상기 결합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후크유닛은 상기 블라인드 시트의 이동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상기 홀딩유닛에 이격 거리를 가지고 한 쌍으로 배치되며 한 쌍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결합위치와 상기 삽입위치 사이에서 왕복 슬라이딩 이동되는 후크부와, 상기 후크부에 연결되어 상기 결합 홈에 삽입 후 상기 후크부가 상기 삽입위치에서 상기 결합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상기 후크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삽입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탄성부재로부터 제공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삽입위치에서 상기 결합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후크부와, 상기 홀딩유닛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후크부와 대향 배치되어 상기 결합 홈에 삽입 후 상기 결합 홈에 결합 지지되는 고정 후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후크부는 작업자에 의해 가압력이 제공되는 가압 제공부와, 상기 가압 제공부의 판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결합 홈에 걸림 지지되는 후크와, 상기 가압 제공부와 상기 후크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탄성부재의 배치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삽입 지지하는 탄성부재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크부는 상기 홀딩유닛의 상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제공된 가압력에 의해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삽입위치로 슬라이딩 이동 및 상기 탄성부재로부터 제공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삽입위치에서 상기 결합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 1슬라이딩 후크부와 제 2슬라이딩 후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슬라이딩 후크부와 상기 제 2슬라이딩 후크부의 이격 거리는 상기 결합위치보다 상기 삽입위치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슬라이딩 후크부와 상기 제 2슬라이딩 후크부는 각각 작업자에 의해 가압력이 제공되는 가압 제공부와, 상기 가압 제공부의 판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삽입위치에서 상기 결합 홈에 걸림 지지되는 후크와, 상기 가압 제공부와 상기 후크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탄성부재의 배치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을 삽입 지지하는 탄성부재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딩유닛은 상기 블라인드 시트가 상기 도어 윈도우를 차광할 때 상기 블라인드 시트와 연결되는 홀딩부와, 상기 홀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후크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지지하는 홀딩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딩유닛은 상기 홀딩 지지부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후크부의 슬라이딩 이동 시 상기 후크부의 편심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도어 윈도우를 차광하는 차광위치와 상기 도어 윈도우의 차광을 해제하는 차광 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는 블라인드 시트와, 상기 도어 윈도우를 지지하는 도어 패널에 배치되어 상기 블라인드 시트가 상기 차광위치와 상기 차광 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될 때 상기 블라인드 시트를 풀림 및 감김 하는 회전 샤프트와, 상기 회전 샤프트와 대향된 상기 도어 패널의 위치에 배치되고 일측은 상기 차광위치에서 상기 블라인드 시트와 연결되어 상기 차광 해제위치로 상기 블라인드 시트의 이동을 제한하고 타측은 상기 도어 패널의 결합 홈에 결합 및 분리되는 전술한 구성들을 갖는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차광 장치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윈도우 차광 장치는 블라인드 시트의 차광위치에서 블라인드 시트와 상호 걸림 되어 블라인드 시트의 차광위치를 유지하는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는 도어 패널의 결합 홈에 대해 삽입되는 삽입위치와 결합 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후크유닛을 가짐으로써, 도어 패널과 윈도우 차광 조립체의 결합 및 분리의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도어 패널과 도어 패널에 장착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윈도우 차광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 패널과 윈도우 차광 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X축을 기준으로 도 2에 도시된 도어 패널과 윈도우 차광 장치의 우측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윈도우 차광 장치의 작동 사시도,
도 5는 X축을 기준으로 도 4에 도시된 도어 패널과 윈도우 차광 장치의 우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의 작동 사시도,
도 9는 도 4에 도시된 Ⅸ-Ⅸ 선의 제 1작동 단면도,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Ⅸ-Ⅸ 선의 제 2작동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의 작동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의 도 4에 도시된 Ⅸ-Ⅸ 선의 제 1작동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의 도 4에 도시된 Ⅸ-Ⅸ 선의 제 2작동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의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의 작동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윈도우 차광 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윈도우 차광 장치는 제 1 내지 제 2실시 예로 구분되어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실시 예에서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에 대한 구성은 상호 차이가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실시 예에서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상이하게 기재하였음도 미리 밝혀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를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으로 도시하였고, 도면 부호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와 동일하게 기재하였음을 미리 밝혀둔다. 다만,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는 본 발명으 제 2실시 예의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와 달리 가이드부, 탄성부재 홀딩부 및 탄성부재에 대해서는 별도로 구분하지 않았음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도 1 내지 도 5에 윈도우 차광 장치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가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 그리고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가 적용될 수 있음도 미리 밝혀둔다.
더불어,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와 같은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의 형상을 가지고 슬라이딩 이동 방향의 차이점을 가질 수 있음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도어 패널과 도어 패널에 장착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윈도우 차광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 패널과 윈도우 차광 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X축을 기준으로 도 2에 도시된 도어 패널과 윈도우 차광 장치의 우측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윈도우 차광 장치의 작동 사시도, 도 5는 X축을 기준으로 도 4에 도시된 도어 패널과 윈도우 차광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윈도우 차광 장치(1)는 블라인드 시트(10), 회전 샤프트(50) 및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10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윈도우 차광 장치(1)는 케이싱(30) 및 파지부(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윈도우 차광 장치(1)는 도어 패널(D)의 도어 윈도우(미도시)가 장착되는 도어 윈도우 패널(W)에 장착되어 도어 윈도우 패널(W)에 장착되는 도어 윈도우를 선택적으로 차광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윈도우 차광 장치(1)는 4도어의 차량을 기준으로 운전석 도어를 제외한 나머지 3개의 도어의 도어 패널(D)에 장착될 수 있다.
블라인드 시트(10)는 도어 윈도우를 둘러싸는 도어 패널(D)에 배치된다. 상세하게 블라인드 시트(10)는 패널몸체(P)와 도어 윈도우 패널(W)로 구성된 도어 패널(D)의 영역 중 도어 윈도우 패널(W) 영역에 배치된다. 블라인드 시트(10)는 사용자의 작동에 의해 도어 윈도우를 차광하는 차광위치와 도어 윈도우의 차광을 해제하는 차광 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된다. 블라인드 시트(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시트(11), 쉐이드 바(13), 걸림 홈(15) 및 서포팅 와이어(17)를 포함한다.
시트(11)는 도어 윈도우의 표면을 따라 차광위치와 차광 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된다. 시트(11)는 도어 윈도우로 투과되는 빛을 차광하기 위한 투과율을 갖는 직물 재질 등이 사용된다. 쉐이드 바(13)는 시트(11)의 일측에 배치된다. 쉐이드 바(13)는 시트(11)를 감김 및 풀림 하는 회전 샤프트(50)에 연결된 시트(11)의 타측에 대향된 시트(11)의 일측에 배치된다. 걸림 홈(15)은 쉐이드 바(13)에 관통 형성된다. 걸림 홈(15)은 시트(11)가 차광위치에 위치될 때 시트(11)의 차광위치를 유지하도록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1000)에 걸림 된다. 서포팅 와이어(17)는 시트(11)에 삽입되어 차광위치와 차광 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는 시트(11)의 구김 현상을 방지한다. 특히, 서포팅 와이어(17)는 시트가 차광위치에 위치될 때 시트(11)의 구김 현상을 방지하도록 시트(11)에 삽입된다. 여기서, 서포팅 와이어(17)는 도어 윈도우보다 상대적으로 큰 시트(11)의 구김을 방지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즉, 서포팅 와이어(17)는 도어 윈도우의 디자인 또는 시트(11)의 형상 디자인에 따라 배제될 수 있다.
케이싱(30)은 도어 윈도우가 패널몸체(P)에 수용 및 돌출되는 슬릿(미도시) 영역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케이싱(30)은 블라인드 시트(10)가 차광 해제위치에 위치될 때 블라인드 시트(10)를 수용한다. 그리고, 케이싱(30)은 블라인드 시트(10)를 감김 및 풀림 하는 회전 샤프트(50)의 양측을 지지한다.
파지부(70)는 사용자에 의해 블라인드 시트(10)가 차광 해제위치와 차광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다. 파지부(70)는 쉐이드 바(13)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다. 파지부(70)는 블라인드 시트(10)의 왕복 이동 방향의 가로 방향의 회전축선을 가지고 회전 운동된다. 이러한 파지부(70)의 회전 운동은 사용자가 차광위치와 차광 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될 때 및 차광위치에서 걸림 홈(15)과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1000)가 걸림 및 걸림 해제될 때 블라인드 시트(10)의 가동성을 향상한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의 작동 사시도, 도 9는 도 4에 도시된 Ⅸ-Ⅸ 선의 제 1작동 단면도, 그리고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Ⅸ-Ⅸ 선의 제 2작동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1000)는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인드 시트(10)가 차광위치에 위치될 때 걸림 홈(15)과 걸림 되어 블라인드 시트(10)의 차광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1000)는 홀딩유닛(1100) 및 후크유닛(1300)을 포함한다.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1000)는 도어 패널(D)의 결함 홈(J)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1000)는 홀딩유닛(1100) 및 후크유닛(1300)을 포함한다. 홀딩유닛(1100)은 도어 윈도우를 둘러싸는 도어 윈도우 패널(W)에 배치된다. 홀딩유닛(1100)은 블라인드 시트(10)가 도어 윈도우를 차광할 때 블라인드 시트(10)와 연결되어 블라인드 시트(10)의 이동을 제한한다. 상세하게 홀딩유닛(1100)은 블라인드 시트(10)가 차광위치에 위치될 때 블라인드 시트(10)의 차광위치를 유지하도록 블라인드 시트(10)의 걸림 홈(15)과 걸림 된다.
홀딩유닛(1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홀딩부(1110) 및 홀딩 지지부(1130)를 포함한다. 또한, 홀딩유닛(1100)은 가이드부(1150) 및 탄성부재 홀딩부(1170)를 더 포함한다. 홀딩부(1110)는 블라인드 시트(10)가 도어 윈도우를 차광할 때 블라인드 시트(10)와 연결된다. 홀딩부(1110)는 블라인드 시트(10)의 차광위치에서 블라인드 시트(10)의 걸림 홈(15)에 삽입된다. 홀딩 지지부(1130)는 홀딩부(1110)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후술할 후크유닛(1300)의 후크부(1310)의 슬라이딩 이동을 지지한다.
가이드부(1150)는 홀딩 지지부(113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부(1150)는 후크부(1310)의 슬라이딩 이동 시 후크부(1310)의 편심 이동을 제한한다. 즉, 가이드부(1150)는 후크부(1310)의 결합위치와 삽입위치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때 후크부(1310)의 편심 이동을 제한한다. 탄성부재 홀딩부(1170)는 후술할 후크유닛(1300)의 탄성부재 지지부(1311c)와 대향 배치되어 후크부(1310)와의 사이에서 탄성부재를 지지한다.
다음으로 후크유닛(1300)은 도어 패널(D)과 홀딩유닛(1100) 사이에 배치된다. 후크유닛(1300)은 블라인드 시트(10)의 이동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어 도어 패널(D)에 형성된 결함 홈(J)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된다. 상세하게 후크유닛(1300)은 블라인드 시트(10)의 이동 방향을 Z축 방향이라 할 때, 블라인드 시트(10)의 이동 방향인 Z축 방향의 가로 방향에 해당된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 이동된다. 후크유닛(1300)은 홀딩유닛(1100)이 도어 패널(D)의 상부에서 지지되도록 도어 패널(D)의 결함 홈(J)에 삽입 지지된다. 즉, 후크유닛(1300)은 홀딩유닛(1100)과 달리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후크유닛(13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후크부(1310) 및 탄성부재(1330)를 포함한다. 후크부(1310)는 블라인드 시트(10)의 이동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홀딩유닛(1100)에 이격 거리를 가지고 한 쌍으로 배치된다. 한 쌍으로 배치된 후크유닛(1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결합위치와 삽입위치 사이에서 왕복 슬라이딩 이동된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의 후크유닛(1300)은 슬라이딩 후크부(1311)와 고정 후크부(1313)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후크부(1311)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가압력에 의해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1000)가 도어 패널(D)의 결함 홈(J)에 결합되는 결합위치와 결함 홈(J)에 삽입되는 삽입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된다. 슬라이딩 후크부(13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후크(1311a), 가압 제공부(1311b) 및 탄성부재 지지부(1311c)를 포함한다.
후크(1311a)는 결합위치에서 결함 홈(J)에 걸림 지지된다. 후크(1311a)는 가압 제공부(1311b)의 판면으로부터 상향 돌출 형성되어 삽입위치에서 걸림 홈(15)을 통과하여 결합위치에서 걸림 홈(15)에 걸림 된다. 가압 제공부(1311b)는 후크(1311a)의 하부에 배치되며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1000)를 결함 홈(J)에 결합하는 작업자에 의해 가압력이 제공된다. 가압 제공부(1311b)는 실질적으로 가이드부(1150)에 접촉되어 작업자로부터 가압력이 제공될 때 결합위치에서 삽입위치로 이동된다. 탄성부재 지지부(1311c)는 홀딩유닛(1100)의 탄성부재 홀딩부(1170)와 대향 배치되어 탄성부재 홀딩부(1170)와의 상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1330)를 지지한다. 상세하게 탄성부재 지지부(1311c)는 코일 스프링 형상을 갖는 탄성부재(1330)에 삽입된다.
고정 후크부(1313)는 슬라이딩 후크부(1311)와 대향된 위치에 배치된다. 고정 후크부(1313)는 홀딩유닛(1100)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결함 홈(J)에 삽입 후 결함 홈(J)에 지지된다. 고정 후크부(1313)는 슬라이딩 후크부(1311)가 삽입위치에 위치될 때 우선적으로 결함 홈(J)에 삽입되어 결함 홈(J)에 지지된다.
탄성부재(1330)는 후크부(1310)에 연결되어 결함 홈(J)에 삽입 후 후크부(1310)가 삽입위치에서 결합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후크부(131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1330)는 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되고 슬라이딩 후크부(1311)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의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1000)에서 1개가 사용된다.
다음으로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의 작동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의 도 4에 도시된 Ⅸ-Ⅸ 선의 제 1작동 단면도, 그리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의 도 4에 도시된 Ⅸ-Ⅸ 선의 제 2작동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3000)는 홀딩유닛(3100) 및 후크유닛(3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의 홀딩유닛(3100)은 홀딩부(3110), 홀딩 지지부(3130), 가이드부(3150) 및 탄성부재 홀딩부(317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의 홀딩유닛(3100)의 홀딩부(3110) 및 홀딩 지지부(3130)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의 홀딩유닛(1100)의 홀딩부(1110) 및 홀딩 지지부(1130)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설명은 생략한다.
가이드부(3150)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의 홀딩유닛(1100)의 가이드부(1150)와 달리 후술할 제 1슬라이딩 후크부(3311) 및 제 2슬라이딩 후크부(3313)에 대응되어 2개의 영역에 각각 제 1가이드부(3151)와 제 2가이드부(3153)로 배치된다. 제 1가이드부(3151)와 제 2가이드부(3153)는 각각 제 1슬라이딩 후크부(3311)와 제 2슬라이딩 후크부(3313)가 결합위치와 삽입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될 때 편심 이동을 제한한다.
탄성부재 홀딩부(3170)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의 홀딩유닛(1100)의 탄성부재 홀딩부(1170)와 달리 후술할 제 1탄성부재(3331) 및 제 2탄성부재(3333)에 대응되어 제 1탄성부재 홀딩부(3171) 및 제 2탄성부재 홀딩부(3173)를 포함한다. 제 1탄성부재 홀딩부(3171)와 제 2탄성부재 홀딩부(3173)는 각각 후술할 제 1탄성부재 지지부(3311c)와 제 2탄성부재 지지부(3313c) 사이에서 제 1탄성부재(3331)와 제 2탄성부재(3333)가 탄성 변형되도록 제 1탄성부재(3331)와 제 2탄성부재(3333)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의 후크유닛(3300)은 블라인드 시트(10)의 이동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상세하게 후크유닛(3300)은 블라인드 시트(10)의 이동 방향이 도면에서 Z축 방향일 때, 블라인드 시트(10)의 이동 방향에 해당된 Z축 방향의 가로 방향인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 이동된다. 후크유닛(3300)은 후크부(3310) 및 탄성부재(33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의 후크부(3310)는 제 1슬라이딩 후크부(3311) 및 제 2슬라이딩 후크부(3313)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의 후크부(3310)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의 후크부(1310)와 달리 제 1슬라이딩 후크부(3311) 및 제 2슬라이딩 후크부(3313)가 결합위치와 삽입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된다.
제 1슬라이딩 후크부(3311)는 제 1후크(3311a), 제 1가압 제공부(3311b) 및 제 1탄성부재 지지부(3311c)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2슬라이딩 후크부(3313)는 제 2후크(3313a), 제 2가압 제공부(3313b) 및 제 2탄성부재 지지부(3313c)를 포함한다. 제 1슬라이딩 후크부(3311)와 제 2슬라이딩 후크부(3313)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의 슬라이딩 후크부(1311)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작동한다. 즉, 제 1슬라이딩 후크부(3311)의 하위 구성 요소들인 제 1후크(3311a), 제 1가압 제공부(3311b) 및 제 1탄성부재 지지부(3311c)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의 후크(1311a), 가압 제공부(1311b) 및 탄성부재 지지부(1311c)와 동일하고, 제 2슬라이딩 후크부(3313)의 하위 구성 요소들인 제 2후크(3313a), 제 2가압 제공부(3313b) 및 제 2탄성부재 지지부(3313c)도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의 후크(1311a), 가압 제공부(1311b) 및 탄성부재 지지부(1311c)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의 탄성부재(3330)는 제 1탄성부재(3331) 및 제 2탄성부재(3333)를 포함한다. 제 1탄성부재(3331)는 제 1탄성부재 홀딩부(3171)와 제 1탄성부재 지지부(3311c) 사이에 배치되어 제 1후크(3311a) 및 제 1가압 제공부(3311b)가 삽입위치에서 결합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제 1후크(3311a) 및 제 1가압 제공부(3311b)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제 2탄성부재(3333)는 제 2탄성부재 홀딩부(3173)와 제 2탄성부재 지지부(3313c) 사이에 배치되어 제 2후크(3313a) 및 제 2가압 제공부(3313b)가 삽입위치에서 결합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제 2후크(3313a) 및 제 2가압 제공부(3313b)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의 작동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3000)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유닛(3100) 및 후크유닛(3300)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3000)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와 같은 구성 요소를 갖는다.
홀딩유닛(3100)은 홀딩부(3110), 홀딩 지지부(3130), 가이드부(3150) 및 탄성부재 홀딩부(317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1및 제 2실시 예의 홀딩유닛(3100)의 홀딩부(3110) 및 홀딩 지지부(3130)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의 홀딩유닛(1100)의 홀딩부(1110) 및 홀딩 지지부(1130)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설명은 생략한다.
가이드부(3150)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의 가이드부(3150)와 같이 가이드부(1150)와 달리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 1슬라이딩 후크부(3311) 및 제 2슬라이딩 후크부(3313)에 대응되어 2개의 영역에 각각 배치된다. 가이드부(3150)은 제 1슬라이딩 후크부(3311)와 제 2슬라이딩 후크부(3313)가 결합위치와 삽입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될 때 편심 이동을 제한한다.
탄성부재 홀딩부(3170)는 제 1슬라이딩 후크부(3311) 및 제 2슬라이딩 후크부(3313)에 대응되어 2개가 배치된다. 2개의 탄성부재 홀딩부(3170)는 각각 제 1탄성부재 지지부(3311c)와 제 2탄성부재 지지부(3313c) 사이에서 탄성부재(3130)가 탄성 변형되도록 탄성부재(3130)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의 후크유닛(3300)은 후크부(3310) 및 탄성부재(33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의 후크부(3310)는 제 1슬라이딩 후크부(3311) 및 제 2슬라이딩 후크부(3313)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의 후크부(3310)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의 후크부(1310)와 달리 제 1슬라이딩 후크부(3311) 및 제 2슬라이딩 후크부(3313)가 결합위치와 삽입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의 후크유닛(330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와 달리 블라인드 시트(10)의 이동 방향인 Z축 방향의 가로 방향 중 Y축 방향으로 제 1슬라이딩 후크부(3311)와 제 2슬라이딩 후크부(3313)가 슬라이딩 왕복 이동된다.
제 1슬라이딩 후크부(3311)는 제 1후크(3311a), 제 1가압 제공부(3311b) 및 제 1탄성부재 지지부(3311c)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2슬라이딩 후크부(3313)는 제 2후크(3313a), 제 2가압 제공부(3313b) 및 제 2탄성부재 지지부(3313c)를 포함한다. 제 1슬라이딩 후크부(3311)와 제 2슬라이딩 후크부(33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Y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왕복 이동된다.
탄성부재(3330)는 탄성부재 홀딩부(3170)와 제 1탄성부재 지지부(3311c) 사이 및 탄성부재 홀딩부(3170)와 제 1탄성부재 지지부(3311c) 사이에 배치되어 제 1후크(3311a) 및 제 1가압 제공부(3311b)가 삽입위치에서 결합위치로 슬라이딩 이동 및 제 2후크(3313a) 및 제 2가압 제공부(3313b)가 삽입위치에서 결합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제 2후크(3313a) 및 제 2가압 제공부(3313b)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에, 블라인드 시트의 차광위치에서 블라인드 시트와 상호 걸림 되어 블라인드 시트의 차광위치를 유지하는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는 도어 패널의 결합 홈에 대해 삽입되는 삽입위치와 결합 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후크유닛을 가짐으로써, 도어 패널과 윈도우 차광 조립체의 결합 및 분리의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윈도우 차광 장치 10: 블라인드 시트
50: 회전 샤프트 1000: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
1100: 홀딩유닛 1110: 홀딩부
1130: 홀딩 지지부 1150: 가이드부
1300: 후크유닛 1300: 후크유닛
1310: 후크부 1311: 슬라이딩 후크부
1311a: 후크 1311b: 가압 제공부
1311c: 탄성부재 지지부 1313: 고정 후크부
1330: 탄성부재 3300: 후크유닛
3310: 후크부 3311: 제 1슬라이딩 후크부
3313: 제 2슬라이딩 후크부 3330: 탄성부재

Claims (12)

  1. 도어 윈도우를 둘러싸는 도어 패널에 배치되며, 블라인드 시트가 상기 도어 윈도우를 차광할 때 상기 블라인드 시트와 연결되어 상기 블라인드 시트의 이동을 제한하는 홀딩유닛과;
    상기 도어 패널과 상기 홀딩유닛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블라인드 시트의 이동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어 상기 도어 패널에 형성된 결합 홈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후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홈은 상기 도어 패널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후크유닛은 상기 결합 홈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갖는 삽입위치와 상기 결합 홈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갖는 결합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유닛은 상기 결합 홈에 삽입 전 상기 결합위치에 위치, 상기 결합 홈에 삽입 시 상기 삽입위치 및 상기 결합 홈에 삽입 후 상기 삽입위치로부터 상기 결합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유닛은,
    상기 블라인드 시트의 이동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상기 홀딩유닛에 이격 거리를 가지고 한 쌍으로 배치되며, 한 쌍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결합위치와 상기 삽입위치 사이에서 왕복 슬라이딩 이동되는 후크부와;
    상기 후크부에 연결되어, 상기 결합 홈에 삽입 후 상기 후크부가 상기 삽입위치에서 상기 결합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상기 후크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삽입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탄성부재로부터 제공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삽입위치에서 상기 결합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후크부와;
    상기 홀딩유닛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후크부와 대향 배치되어, 상기 결합 홈에 삽입 후 상기 결합 홈에 결합 지지되는 고정 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후크부는,
    작업자에 의해 가압력이 제공되는 가압 제공부와;
    상기 가압 제공부의 판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결합 홈에 걸림 지지되는 후크와;
    상기 가압 제공부와 상기 후크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탄성부재의 배치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을 삽입 지지하는 탄성부재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홀딩유닛의 상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제공된 가압력에 의해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삽입위치로 슬라이딩 이동 및 상기 탄성부재로부터 제공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삽입위치에서 상기 결합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 1슬라이딩 후크부와 제 2슬라이딩 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슬라이딩 후크부와 상기 제 2슬라이딩 후크부의 이격 거리는 상기 결합위치보다 상기 삽입위치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슬라이딩 후크부와 상기 제 2슬라이딩 후크부는 각각,
    작업자에 의해 가압력이 제공되는 가압 제공부와;
    상기 가압 제공부의 판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삽입위치에서 상기 결합 홈에 걸림 지지되는 후크와;
    상기 가압 제공부와 상기 후크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탄성부재의 배치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삽입 지지하는 탄성부재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유닛은,
    상기 블라인드 시트가 상기 도어 윈도우를 차광할 때, 상기 블라인드 시트와 연결되는 홀딩부와;
    상기 홀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후크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지지하는 홀딩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유닛은 상기 홀딩 지지부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후크부의 슬라이딩 이동 시 상기 후크부의 편심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차광 장치용.
  12. 도어 윈도우를 차광하는 차광위치와 상기 도어 윈도우의 차광을 해제하는 차광 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는 블라인드 시트와;
    상기 도어 윈도우를 지지하는 도어 패널에 배치되어, 상기 블라인드 시트가 상기 차광위치와 상기 차광 해제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될 때 상기 블라인드 시트를 풀림 및 감김 하는 회전 샤프트와;
    상기 회전 샤프트와 대향된 상기 도어 패널의 위치에 배치되고, 일측은 상기 차광위치에서 상기 블라인드 시트와 연결되어 상기 차광 해제위치로 상기 블라인드 시트의 이동을 제한하고 타측은 상기 도어 패널의 결합 홈에 결합 및 분리되는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의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차광 장치.
KR1020200101133A 2020-08-12 2020-08-12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윈도우 차광 장치 KR102387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133A KR102387325B1 (ko) 2020-08-12 2020-08-12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윈도우 차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133A KR102387325B1 (ko) 2020-08-12 2020-08-12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윈도우 차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617A true KR20220020617A (ko) 2022-02-21
KR102387325B1 KR102387325B1 (ko) 2022-04-29

Family

ID=80475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133A KR102387325B1 (ko) 2020-08-12 2020-08-12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윈도우 차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73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6469A (ja) * 2000-08-04 2002-02-12 Toyoda Gosei Co Ltd フックの取付構造
KR20020096235A (ko) * 2001-06-19 2002-12-3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커튼 걸이용 후크
KR100863103B1 (ko) * 2007-08-09 2008-10-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장치
JP2016141284A (ja) 2015-02-03 2016-08-08 河西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サンシェー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6469A (ja) * 2000-08-04 2002-02-12 Toyoda Gosei Co Ltd フックの取付構造
KR20020096235A (ko) * 2001-06-19 2002-12-3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커튼 걸이용 후크
KR100863103B1 (ko) * 2007-08-09 2008-10-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 트림 결합장치
JP2016141284A (ja) 2015-02-03 2016-08-08 河西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サンシェ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7325B1 (ko) 202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7632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крытия проема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EP2272699B1 (en) Roller shade apparatus for vehicle
CN105936207B (zh) 遮阳组件以及设有遮阳组件的天窗结构
US5860466A (en) Windshield shelter
US20120098301A1 (en) Sunshade device
US20120180960A1 (en) Shade device
JP5989378B2 (ja) ロールシェード装置
JP2001180279A (ja) サンシェード装置
KR101564012B1 (ko) 롤러 블라인드의 사이드 고정장치
KR102387325B1 (ko) 윈도우 차광 장치용 후크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윈도우 차광 장치
JP4300849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CN114667229B (zh) 天窗装置的导流机构
JP5587138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JP4300856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JP5123087B2 (ja) 遮光ロールブラインド用サイドガイドおよび自動車用の遮光ロールブラインド
KR102212192B1 (ko) 설치 폭 조절기능을 갖는 윈도우 차광장치
EP2034580B1 (en) Electric power-feeding structure
CN210257954U (zh) 遮阳装置
CN111051099B (zh) 镜单元
KR100813190B1 (ko) 선바이저용 반자동 개폐장치
KR102253655B1 (ko) 자동차 윈도우용 차광 장치
WO2018066015A1 (ja) 車両用ドアサンシェード装置
CN217048221U (zh) 一种天窗遮阳帘的限位结构
US20210276402A1 (en) Vehicle roof assembly with retractable sunvisor
CN114585529B (zh) 天窗装置的导流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