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9374A - 차량의 유아용 시트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유아용 시트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9374A
KR20220019374A KR1020200099718A KR20200099718A KR20220019374A KR 20220019374 A KR20220019374 A KR 20220019374A KR 1020200099718 A KR1020200099718 A KR 1020200099718A KR 20200099718 A KR20200099718 A KR 20200099718A KR 20220019374 A KR20220019374 A KR 20220019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seat
bar
anchor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9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9374A/ko
Publication of KR20220019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3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06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7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시트쿠션 프레임에 리어 앵커 및 센터 앵커를 형성하고, 유아용 시트의 하부에 리어 앵커에 잠금 체결되는 리어픽스 래치 및 센터 앵커에 잠금 체결되는 센터픽스 래치를 형성하여, 유아용 시트의 전후방 구속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측방향 구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차량용 시트가 스위블 시트인 경우 스위블 시트의 회전 위치에 관계없이 유아용 시트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유아용 시트 고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유아용 시트 고정 장치{DEVICE FOR FIXING CHILD SEAT IN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유아용 시트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시트에 장착되는 유아용 시트의 측방향 구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스위블 시트의 회전 위치에 관계없이 유아용 시트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유아용 시트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율주행 차량의 출시를 대비하여, 승객 간의 대화 및 회의, 릴렉세이션 및 취침, 승하차 보조 등을 위한 다양한 메카니즘이 적용된 시트가 연구 개발되고 있다.
그 일례로서, 다자 간의 회의 및 대화, 외부 경관 관람, 승하차 보조 등을 위하여 시트의 각도를 원하는 방향으로 180°이상 회전시킬 수 있는 스위블 시트(SWIVEL SEAT)가 개발되고 있다.
이에, 상기 스위블 시트를 승객이 원하는 회전 각도로 조절하면, 스위블 시트가 차량의 주행방향과 동일한 전방을 향하여 배열되거나, 차량의 주행방향과 반대인 후방을 향하여 배열될 수 있고, 또한 차량의 측방향을 향하여 배열되거나, 차체 길이방향에 대하여 사선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스위블 시트에도 ISO(국제표준화 기구)가 정한 규격에 따라 유아용 시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물인 소위 "ISOFIX"가 장착되어야 한다.
대개, 상기 "ISOFIX"는 차량의 시트에 장착되는 앵커(Anchor)와, 유아용 시트를 상기 앵커에 결속시키기 위한 일종의 안전벨트인 테더(Tether) 벨트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위블 시트에 안착된 유아용 시트를 상기 앵커 및 테더 벨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위블 시트를 원하는 회전 각도로 조절하면, 상기 스위블 시트 및 유아용 시트의 배열 방향이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거나, 차체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측방향으로 배열되거나, 차체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사선으로 배열될 수 있다.
즉, 상기 스위블 시트의 회전 각도 조절시 유아용 시트도 동일한 방향으로 조절된다.
상기 스위블 시트 및 유아용 시트가 차량의 주행방향과 동일한 전방을 향하여 배열되거나, 차량의 주행방향과 반대인 후방을 향하여 배열된 경우, 차체 전후방향으로 작용하는 충격(급제동 및 급출발, 충돌사고 등)에도 유아용 시트의 고정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위블 시트 및 유아용 시트가 차체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측방향으로 배열되거나, 차체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사선으로 배열된 경우, 유아용 시트의 측부를 잡아주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차체 전후방향으로 작용하는 충격에 의하여 유아용 시트의 구속력 저하 및 이탈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한 상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유아용 시트를 테더 벨트 및 고리 등을 이용하여 스위블 시트가 아닌 일반 고정형 시트에 고정시킨 경우에도 차량의 측방향 충돌시 유아용 시트가 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회전 거동이 발생하여, 유아용 시트의 구속력 저하 및 이탈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한 상해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차량용 시트쿠션 내의 시트쿠션 프레임에 리어 앵커 및 센터 앵커를 장착하고, 유아용 시트의 하부에 리어 앵커에 잠금 체결되는 리어픽스 래치 및 센터 앵커에 잠금 체결되는 센터픽스 래치를 장착하여, 유아용 시트의 전후방 구속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측방향 구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차량용 시트가 스위블 시트인 경우 스위블 시트의 회전 위치에 관계없이 유아용 시트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유아용 시트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론트바 및 리어바를 갖는 시트쿠션 프레임;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의 리어바에 장착되는 리어 앵커;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의 프론트바에 장착되는 센터 앵커; 유아용 시트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리어 앵커에 분리 가능하게 잠금 체결되는 리어픽스 래치장치; 및 상기 유아용 시트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센터 앵커에 분리 가능하게 잠금 체결되는 센터픽스 래치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아용 시트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리어 앵커는 시트쿠션 프레임의 리어바 양측에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을 감싸는 시트쿠션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터 앵커는 시트쿠션 프레임의 프론트바에 형성되는 한 쌍의 앵커바와, 각 앵커바 간에 연결되는 스트라이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어픽스 래치장치는: 상기 유아용 시트의 로워프레임에 장착되는 리어 서포트바; 상기 리어 앵커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제1래치홈을 갖는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리어 서포트바의 양측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리어 래치바;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터픽스 래치장치는: 상기 유아용 시트의 로워프레임에 장착되는 프론트 서포트바; 상기 센터 앵커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제2래치홈을 갖는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프론트 서포트바의 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센터 래치바;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터픽스 래치장치는: 상기 센터 래치바의 내부에 제2래치홈으로 출입 가능하게 힌지 장착되는 잠금홈을 갖는 클로우; 상기 센터 래치바의 내부에 힌지 장착되어 상기 클로우를 락킹 또는 락킹해제시키는 록커; 상기 클로우와 록커 간에 연결되는 스프링; 상기 프론트 서포트바의 양단부에 장착되는 릴리즈 버튼; 및 상기 록커의 락킹 해제방향 회전 조작을 위하여 상기 록커의 자유단부와 상기 릴리즈 버튼 간에 당김 가능하게 연결되는 릴리즈 케이블;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로우의 상부에는 락킹 단차홈이 형성되고, 상기 록커의 하부에는 락킹 단차홈에 락킹 가능하게 접촉하는 락킹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터 래치바의 미사용시 폴딩을 위하여 상기 프론트 서포트바의 양측단부가 로워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을 커버하는 시트쿠션에는 상기 센터픽스 래치장치를 센터 앵커쪽으로 삽입 안내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스위블 시트의 회전 위치에 관계없이 유아용 시트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차체 전후방향으로 작용하는 충격 뿐만 아니라 측방향 및 사선 방향으로 작용하는 충격 등에도 유아용 시트의 고정 상태가 강건하게 유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차량에 작용하는 충격에 의한 유아용 시트의 구속력 저하 및 이탈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유아용 시트를 스위블 시트가 아닌 일반 고정형 시트에 고정시킨 경우에도 차체 전후방향으로 작용하는 충격 뿐만 아니라 측방향 및 사선 방향으로 작용하는 충격 등에도 유아용 시트의 고정 상태가 강건하게 유지될 수 있고, 특히 측방향 충돌시 유아용 시트가 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회전 거동을 차단하여 유아용 시트의 구속력 저하 및 이탈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유아용 시트 고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시트 고정 장치에 의하여 유아용 시트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유아용 시트 고정 장치의 센터픽스 래치장치가 락킹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유아용 시트 고정 장치의 센터픽스 래치장치가 락킹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유아용 시트 고정 장치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시트쿠션(10)의 내부에 골격체를 이루는 시트쿠션 프레임(20)이 배치되는 바, 이 시트쿠션 프레임(20)의 앞쪽에 좌우로 배열되는 프론트바(21)가 장착되고, 뒤쪽에 좌우로 배열되는 리어바(22)가 장착된다.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의 리어바(22)에는 유아용 시트의 뒤쪽 하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 리어 앵커(30)가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어 앵커(3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의 리어바(22) 양측단부에 사각 고리 형태로 장착되고, 리어 앵커(30)의 상단부는 시트쿠션 프레임(20)을 감싸는 시트쿠션(10)을 위쪽으로 통과하여 유아용 시트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의 프론트바(21)의 중간 부분에는 유아용 시트의 앞쪽 하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센터 앵커(40)가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터 앵커(40)는 시트쿠션 프레임(20)의 프론트바(21)의 중간 부분에 전방을 향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앵커바(41)와, 각 앵커바(41) 간에 연결되는 스트라이커(4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을 커버하는 시트쿠션(1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유아용 시트(100)의 센터픽스 래치장치(120)가 센터 앵커(40)의 스트라이커(42)쪽으로 삽입 안내되도록 한 가이드 홀(1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유아용 시트(100)의 하부에서 뒤쪽 위치에 상기 리어 앵커(30)에 분리 가능하게 잠금 체결되는 리어픽스 래치장치(110)가 장착된다.
상기 리어픽스 래치장치(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아용 시트(100)의 로워프레임(101) 뒤쪽 위치에 장착되어 좌우로 배열되는 리어 서포트바(111)와, 이 리어 서포트바(111)의 양측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후방을 향하여 배열되는 리어 래치바(112)로 구성된다.
상기 리어 래치바(112)의 후단부에는 상기 리어 앵커(30)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제1래치홈(1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아용 시트(100)의 하부에서 앞쪽 위치에 상기 센터 앵커(40)에 분리 가능하게 잠금 체결되는 센터픽스 래치장치(120)가 장착된다.
상기 센터픽스 래치장치(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아용 시트(100)의 로워프레임(10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좌우로 배열되는 프론트 서포트바(121)와, 상기 프론트 서포트바(121)의 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센터 래치바(122)로 구성된다.
상기 센터 래치바(122)의 하단부에는 상기 센터 앵커(40)의 스트라이커(42)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제2래치홈(12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아용 시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 구성으로서, 상기 센터 래치바(122)의 내부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우(130, claw)와 록커(140, locker)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클로우(130)는 그 일측부에 제2래치홈(123)을 향하여 개방된 형태의 잠금홈(131)이 형성되는 동시에 그 상면부에 락킹 단차홈(132)이 형성된 구조로 판체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센터 래치바(122)의 내부에 제2래치홈(123)으로 출입 가능하게 힌지 장착된다.
상기 록커(140)는 상기 클로우(130)를 락킹 또는 락킹해제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 일측단부가 상기 센터 래치바(122)의 내부에 힌지 장착되고, 그 하부에 상기 클로우(130)의 락킹 단차홈(132)에 락킹 가능하게 접촉하는 락킹단(142)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클로우(130)와 록커(140) 간에는 스프링(150)이 연결되는데, 이 스프링(150)은 록커(140)의 잠금 해제 방향으로의 회전시 클로우(130)를 잠금 해제 방향으로 당겨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프론트 서포트바(121)의 양단부에는 릴리즈 버튼(124)이 당김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릴리즈 버튼(124)과 상기 록커(140)의 타측단부인 자유단부(141) 간에는 릴리즈 케이블(125)이 연결된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릴리즈 케이블(125)은 프론트 서포트바(121)와 센터 래치바(122)의 내부를 통해 배설되어 그 양단부가 각각 상기 릴리즈 버튼(124)과 상기 록커(140)의 타측단부인 자유단부(141)에 연결된다.
이에, 상기 릴리즈 버튼(124)을 상기 록커(140)의 락킹 해제를 위하여 당기면, 상기 릴리즈 케이블(125)이 당겨지는 동시에 상기 록커(140)의 자유단부(141)가 당겨짐으로써, 상기 록커(140)의 락킹단(142)이 상기 클로우(130)의 락킹 단차홈(132)으로부터 빠져나오는 동시에 상기 클로우(130)가 락킹 해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유아용 시트 고정 장치에 대한 작동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아용 시트 락킹 동작
먼저, 상기 시트쿠션(10) 상에 유아용 시트(100)를 안착시킬 때, 상기 센터픽스 래치장치(120)의 센터 래치바(122)를 시트쿠션(10)의 가이드 홀(11)을 통하여 상기 센터 앵커(40)의 스트라이커(42) 쪽으로 삽입시킨다.
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터 래치바(122)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2래치홈(123) 내로 상기 스트라이커(42)가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클로우(130)를 밀어올리면서 클로우(130)의 잠금홈(131) 내로 잠금 삽입된다.
이때, 상기 클로우(130)의 락킹 단차홈(132)에 상기 록커(140)의 락킹단(142)이 락킹 가능하게 접촉함으로써, 상기 클로우(130)의 회전 구속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스트라이커(42)가 클로우(130)의 잠금홈(131) 내에 잠금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아용 시트(100)가 센터픽스 래치장치(120)에 의하여 상기 시트쿠션(10) 내의 시트쿠션 프레임(20)에 장착된 센터 앵커(40)의 스트라이커(42)와 락킹 체결된 상태가 된다.
연이어, 상기 유아용 시트(100)를 뒤쪽으로 약간 밀어주면, 상기 리어픽스 래치장치(110)의 구성 중 리어 래치바(112)의 제1래치홈(113) 내에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20)에 장착된 리어 앵커(30)가 삽입되며 락킹 체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유아용 시트(100)의 하부에서 그 전단 중앙부가 상기 센터픽스 래치장치(120)에 의하여 상기 센터 앵커(40)에 락킹 체결되고, 상기 유아용 시트(100)의 하부에서 그 후단 양측부가 상기 리어픽스 래치장치(110)에 의하여 상기 리어 앵커(30)에 락킹 체결되는 등 총 3점 지지 방식으로 유아용 시트가 강건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용 시트가 스위블 시트로 탑재된 경우, 스위블 시트의 회전 위치에 관계없이 유아용 시트(1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차체 전후방향으로 작용하는 충격 뿐만 아니라 측방향 및 사선 방향으로 작용하는 충격 등에도 유아용 시트(100)의 고정 상태가 강건하게 유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차량에 작용하는 충격에 의한 유아용 시트의 구속력 저하 및 이탈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아용 시트(100)를 스위블 시트가 아닌 전후방향 위치 조절만 가능한 일반 고정형 시트에 고정시킨 경우에도 차체 전후방향으로 작용하는 충격 뿐만 아니라 측방향 및 사선 방향으로 작용하는 충격 등에도 유아용 시트의 고정 상태가 강건하게 유지될 수 있고, 특히 측방향 충돌시 유아용 시트가 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회전 거동을 차단하여 유아용 시트의 구속력 저하 및 이탈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유아용 시트 락킹해제 동작
상기 유아용 시트(100)의 탈거를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릴리즈 버튼(124)을당기면, 상기 릴리즈 케이블(125)이 당겨지는 동시에 상기 센터 래치바(122)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록커(140)의 자유단부(141)가 당겨짐으로써, 상기 록커(140)가 락킹 해제 방향을 향하여 소정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연이어, 상기 록커(140)가 락킹 해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락킹단(142)이 클로우(130)의 락킹 단차홈(132)으로부터 빠져나오는 동시에 상기 클로우(130)가 락킹 해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록커(140)가 락킹 해제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스프링(150)이 클로우(130)를 락킹 해제 방향으로 당겨주게 된다.
이에, 상기 유아용 시트(100)를 들어올리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터 앵커(40)의 스트라이커(42)가 상기 클로우(130)의 잠금홈(131)으로부터 빠져나오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유아용 시트(100)를 앞쪽으로 약간 당겨주면, 상기 리어 래치바(112)의 제1래치홈(113) 내에 삽입되어 있던 상기 리어 앵커(30)도 분리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유아용 시트(100)의 탈거가 완료된다.
한편, 차종별로 시트쿠션(10) 내의 시트쿠션 프레임(20)에 센터 앵커(40) 및 리어 앵커(30)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유아용 시트(100)의 프론트 서포트바(121)를 회전시켜 센터 래치바(122)를 유아용 시트의 저부에 밀착되게 폴딩시킨 후, 시트쿠션(10) 위에 안착시킨 다음, 기존의 테더(Tether) 벨트 등을 이용하여 유아용 시트(1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시트쿠션 11 : 가이드홀
20 : 시트쿠션 프레임 21 : 프론트바
22 : 리어바 30 : 리어 앵커
40 : 센터 앵커 41 : 앵커바
42 : 스트라이커 100 : 유아용 시트
101 : 로워프레임 110 : 리어픽스 래치장치
111 : 리어 서포트바 112 : 리어 래치바
113 : 제1래치홈 120 : 센터픽스 래치장치
121 : 프론트 서포트바 122 : 센터 래치바
123 : 제2래치홈 124 : 릴리즈 버튼
125 : 릴리즈 케이블 130 : 클로우
131 : 잠금홈 132 : 락킹 단차홈
140 : 록커 141 : 자유단부
142 : 락킹단 150 : 스프링

Claims (10)

  1. 프론트바 및 리어바를 갖는 시트쿠션 프레임;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의 리어바에 장착되는 리어 앵커;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의 프론트바에 장착되는 센터 앵커;
    유아용 시트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리어 앵커에 분리 가능하게 잠금 체결되는 리어픽스 래치장치; 및
    상기 유아용 시트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센터 앵커에 분리 가능하게 잠금 체결되는 센터픽스 래치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아용 시트 고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 앵커는 시트쿠션 프레임의 리어바 양측에 고리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아용 시트 고정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 앵커는 시트쿠션 프레임을 감싸는 시트쿠션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아용 시트 고정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터 앵커는 시트쿠션 프레임의 프론트바에 형성되는 한 쌍의 앵커바와, 각 앵커바 간에 연결되는 스트라이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아용 시트 고정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픽스 래치장치는:
    상기 유아용 시트의 로워프레임에 장착되는 리어 서포트바;
    상기 리어 앵커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제1래치홈을 갖는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리어 서포트바의 양측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리어 래치바;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아용 시트 고정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터픽스 래치장치는:
    상기 유아용 시트의 로워프레임에 장착되는 프론트 서포트바;
    상기 센터 앵커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제2래치홈을 갖는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프론트 서포트바의 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센터 래치바;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아용 시트 고정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센터픽스 래치장치는:
    상기 센터 래치바의 내부에 제2래치홈으로 출입 가능하게 힌지 장착되는 잠금홈을 갖는 클로우;
    상기 센터 래치바의 내부에 힌지 장착되어 상기 클로우를 락킹 또는 락킹해제시키는 록커;
    상기 클로우와 록커 간에 연결되는 스프링;
    상기 프론트 서포트바의 양단부에 장착되는 릴리즈 버튼; 및
    상기 록커의 락킹 해제방향 회전 조작을 위하여 상기 록커의 자유단부와 상기 릴리즈 버튼 간에 당김 가능하게 연결되는 릴리즈 케이블;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아용 시트 고정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클로우의 상부에는 락킹 단차홈이 형성되고, 상기 록커의 하부에는 락킹 단차홈에 락킹 가능하게 접촉하는 락킹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아용 시트 고정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센터 래치바의 미사용시 폴딩을 위하여 상기 프론트 서포트바의 양측단부가 로워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아용 시트 고정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을 커버하는 시트쿠션에는 상기 센터픽스 래치장치를 센터 앵커쪽으로 삽입 안내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유아용 시트 고정 장치.
KR1020200099718A 2020-08-10 2020-08-10 차량의 유아용 시트 고정 장치 KR202200193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718A KR20220019374A (ko) 2020-08-10 2020-08-10 차량의 유아용 시트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718A KR20220019374A (ko) 2020-08-10 2020-08-10 차량의 유아용 시트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374A true KR20220019374A (ko) 2022-02-17

Family

ID=80493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718A KR20220019374A (ko) 2020-08-10 2020-08-10 차량의 유아용 시트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937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31761B1 (en) Five-point safety system for a seat
US6199949B1 (en) Child safety seat
KR101017185B1 (ko) 고정 프레임 및 고정 프레임을 구비한 안전 장치
JP3434494B2 (ja) 跳ね上げ可能なアダルトシートのロック機構
JP3882353B2 (ja) 子供乗員の座盤及びチャイルドシート
WO1999030935A1 (en) Child restraint seat safety belt assembly
JPH0445380B2 (ko)
JP6308665B2 (ja) 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ベルト装置
KR20140031142A (ko) 개선된 설치를 위한 벨트 텐셔닝기구를 구비한 차일드시트
JPH02293226A (ja) 子供用の自動車シート
JP2004504218A (ja) 車両に取り付け可能な子供用安全装置
JPH10157566A (ja) ガイド席を有するバス
KR20220019374A (ko) 차량의 유아용 시트 고정 장치
JP4439647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固定装置
KR20220011297A (ko) 자동차의 스위블 시트용 테더 앵커리지 장치
JPS5914548A (ja) 自動車のリヤシ−トベルト装置
JP3082295B2 (ja) 座 席
GB2283164A (en) Childs safety seat for a vehicle
JP4468572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の座席固定装置
US20220032825A1 (en) Infant carrier with integrated storage
JP6961165B2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車両シート
KR200325931Y1 (ko)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의 벨트고정장치
KR19990015764A (ko) 자동차용 시트 조절방법 및 장치
JP2001180344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02283956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