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9073A - 현상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현상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9073A
KR20220019073A KR1020227003417A KR20227003417A KR20220019073A KR 20220019073 A KR20220019073 A KR 20220019073A KR 1020227003417 A KR1020227003417 A KR 1020227003417A KR 20227003417 A KR20227003417 A KR 20227003417A KR 20220019073 A KR20220019073 A KR 20220019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inclined surface
developing cartridge
casing
develo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3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6797B1 (ko
Inventor
유웬 왕
준이치 하시모토
이사오 기시
가즈아키 오오카
Original Assignee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27039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490B1/ko
Publication of KR20220019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21Details of unit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1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mean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process cartridge, e.g. attachment, positioning of parts with each other, pressure/distance regul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03G21/1864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associated with a positioning fun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7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Abstract

현상 카트리지(1)는, 케이싱(10); 현상 롤러(30); 샤프트(61); 및 제1 경사면(621)을 포함한다. 샤프트(61)는 케이싱(10) 및 현상 롤러(30)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케이싱(10) 및 현상 롤러(30)와 함께 제2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제1 경사면(621)은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61)의 일 단부(61A)에 위치되며 샤프트(61)와 함께 이동가능하다. 제1 경사면(621)은, 제2 방향에서의 샤프트(61)와 제1 경사면(621) 사이의 거리가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61)의 일 단부(61A)로부터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61)의 다른 단부로의 방향에서 증가하도록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진다.

Description

현상 카트리지 {DEVELOPING CARTRIDGE}
본 개시내용은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분야에는 레이저 프린터 및 LED 프린터 등의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가 잘 알려져 있다. 화상 형성 장치에는 현상 카트리지가 사용된다. 현상 카트리지는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 롤러를 포함한다.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2011-59510호 및 제2013-54058호에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2011-59510호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는 드로어 유닛(drawer unit)을 포함한다. 드로어 유닛은 감광 드럼을 포함한다. 현상 카트리지는 드로어 유닛에 부착가능하다. 드로어 유닛에 현상 카트리지가 부착되면, 현상 롤러는 감광 드럼과 접촉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2013-54058호에 개시된 현상 카트리지는 드럼 카트리지에 부착가능하다. 드럼 카트리지는 감광 드럼을 포함한다. 현상 카트리지가 드럼 카트리지에 부착될 때, 현상 롤러는 감광 드럼과 접촉한다. 그리고, 현상 카트리지가 부착된 드럼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의 메인 케이싱에 부착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2011-59510호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2013-54058호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2011-59510호 및 제2013-54058호에 개시된 화상 형성 장치는, 현상 롤러 및 감광 드럼이 서로 접촉하는 상태와 현상 롤러 및 감광 드럼이 서로 분리되는 상태 사이에서 전환가능하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2011-59510호 및 제2013-54058호에는, 현상 롤러를 감광 드럼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현상 카트리지를 이동시키는 구성요소가 드로어 유닛 또는 드럼 카트리지의 양 단부에 제공되며, 현상 카트리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양 구성요소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로부터 구동력을 받을 필요가 있다.
전술한 관점에서, 본 개시내용의 목적은 현상 카트리지의 양 단부에 작용하는 구동력이 아니라 현상 카트리지의 일 단부에만 작용하는 구동력에 의해 감광 드럼에 대해 이동가능한 현상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양태 1 내지 42를 포함한다.
양태 1은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현상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케이싱;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축 주위로 회전가능한 현상 롤러로서, 현상 롤러는 제2 방향에서의 일 단부 및 다른 단부를 포함하는 외주면을 갖고, 일 단부는 케이싱의 외부에 노출되고, 다른 단부는 케이싱의 내부에 위치되는, 현상 롤러;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축을 따라 연장되는 샤프트로서, 샤프트는 케이싱 및 현상 롤러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샤프트는 케이싱 및 현상 롤러와 함께 제2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샤프트는 제1 방향에서의 일 단부 및 다른 단부를 갖는, 샤프트; 및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의 일 단부에 위치되며 샤프트와 함께 이동가능한 제1 경사면으로서, 제1 경사면은 제2 방향에서의 제1 경사면과 현상 롤러 사이의 거리가 제1 방향에서 케이싱에 대해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제1 경사면을 포함한다.
양태 2는 양태 1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샤프트는 제1 경사면을 가지며,
제2 방향에서의 제2 축과 제1 경사면 사이의 거리가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의 일 단부로부터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의 다른 단부로의 방향으로 증가한다.
양태 3은 양태 1 또는 2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제1 경사면은 제1 방향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진다.
양태 4은 양태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제1 경사면은 샤프트의 둘레면에 위치된다.
양태 5는 양태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제1 경사면은 샤프트에 대해 경사진다.
양태 6은 양태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제1 경사면은 제2 방향에서의 샤프트의 일 단부에 위치된다.
양태 7은 양태 6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샤프트의 제2 방향에서의 일 단부는, 샤프트의 제2 방향에서의 다른 단부가 현상 롤러에 대해 위치되는 것보다 현상 롤러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양태 8은 양태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제1 경사면과 제1 방향 사이의 각도가 43도 이상 47도 이하이다.
양태 9는 양태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제1 경사면은 서로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비탈면 및 제2 비탈면을 포함하고,
제1 비탈면은, 제2 비탈면이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의 다른 단부로부터 위치되는 것보다 제1 방향에서 샤프트의 다른 단부로부터 더 멀리 위치되며,
제1 비탈면은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지고, 제2 비탈면은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지며, 제1 비탈면과 제1 방향 사이의 각도가 제2 비탈면과 제1 방향 사이의 각도보다 크다.
양태 10은 양태 9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제1 비탈면과 제1 방향 사이의 각도는 43도 이상 47도 이하이며,
제2 비탈면과 제1 방향 사이의 각도는 12도 이상 17도 이하이다.
양태 11은 양태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의 다른 단부에 위치되며 샤프트와 함께 이동가능한 제2 경사면을 더 포함하며, 제2 경사면은 제2 방향에서의 제2 경사면과 현상 롤러 사이의 거리가 제1 방향에서 케이싱에 대해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진다.
양태 12는 양태 11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샤프트에 부착되는 제2 캠을 더 포함하며, 제2 캠은 제2 경사면을 포함한다.
양태 13은 양태 11 또는 12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샤프트는 제2 경사면을 가지며,
제2 방향에서의 제2 축과 제2 경사면 사이의 거리가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의 일 단부로부터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의 다른 단부로의 방향으로 증가한다.
양태 14는 양태 1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제2 경사면은 제1 방향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진다.
양태 15는 양태 1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제2 경사면은 샤프트의 둘레면에 위치된다.
양태 16은 양태 1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제2 경사면은 샤프트에 대해 경사진다.
양태 17은 양태 11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제2 경사면은 제2 방향에서의 샤프트의 일 단부에 위치된다.
양태 18은 양태 17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샤프트의 제2 방향에서의 일 단부는 샤프트의 제2 방향에서의 다른 단부가 현상 롤러에 대해 위치되는 것보다 현상 롤러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양태 19는 양태 1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제2 경사면 사이의 각도가 43도 이상 47도 이하이다.
양태 20은 양태 1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제2 경사면은 서로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3 비탈면 및 제4 비탈면을 포함하고,
제3 비탈면은, 제4 비탈면이 제1 방향에서 제1 경사면에 대해 위치되는 것보다 제1 경사면에 더 가깝게 위치되며,
제3 비탈면은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지고, 제4 비탈면은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지고, 제3 비탈면과 제1 방향 사이의 각도가 제4 비탈면과 제1 방향 사이의 각도보다 크다.
양태 21은 양태 20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제3 비탈면과 제1 방향 사이의 각도는 43도 이상 47도 이하이며,
제4 비탈면과 제1 방향 사이의 각도는 12도 이상 17도 이하이다.
양태 22는 양태 1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제2 방향은 케이싱의 외부로 노출되는 현상 롤러의 일 단부의 외주면과 교차한다.
양태 23은 양태 1 내지 2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샤프트는 케이싱에 대해 제2 축 주위로 회전가능하지 않다.
양태 24는 양태 1 내지 2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샤프트는 케이싱에 대해 제2 축 주위로 회전가능하며,
제1 경사면은 케이싱에 대해 제2 축 주위로 샤프트와 함께 회전가능하고, 제1 경사면은 제2 축에 대해 중심맞춤된 원추 및 피라미드 중 하나의 측방향 표면이다.
양태 25는 양태 11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샤프트는 케이싱에 대해 제2 축 주위로 회전가능하며,
제2 경사면은 케이싱에 대해 제2 축 주위로 샤프트와 함께 회전가능하며, 제2 경사면은 제2 축에 중심맞춤된 원추 및 피라미드 중 하나의 측방향 표면이다.
양태 26은 양태 1 내지 2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케이싱은,
내부에 현상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개구를 갖는 용기; 및
용기의 개구를 덮으며 제1 방향으로 덮개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갖는 덮개를 포함하며,
샤프트는 관통 구멍 내로 삽입된다.
양태 27은 양태 1 내지 2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현상 카트리지는 드럼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것이고,
샤프트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케이싱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케이싱은 샤프트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드럼 카트리지에 대해 샤프트와 함께 제2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양태 28은 양태 1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현상 카트리지는 감광 드럼을 포함하는 드럼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것이고,
샤프트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케이싱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케이싱은 샤프트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감광 드럼에 대해 샤프트와 함께 제2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양태 29는 양태 28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제1 경사면은, 샤프트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드럼 카트리지의 일부와 접촉하면서 드럼 카트리지의 일부에 대해 활주식으로 이동가능하며,
케이싱 및 현상 롤러는 제1 경사면이 드럼 카트리지의 일부에 대해 활주식으로 이동될 때 제2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양태 30은 양태 11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현상 카트리지는 감광 드럼을 포함하는 드럼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것이고, 드럼 카트리지는 제1 수용면 및 제1 수용면과는 상이한 제2 수용면을 포함하고,
샤프트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케이싱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케이싱은 샤프트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감광 드럼에 대해 샤프트와 함께 제2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제1 경사면은, 샤프트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제1 수용면과 접촉하면서 제1 수용면에 대해 활주식으로 이동가능하고,
제2 경사면은, 샤프트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제2 수용면과 접촉하면서 제2 수용면에 대해 활주식으로 이동가능하며,
케이싱 및 현상 롤러는, 제1 경사면이 제1 수용면에 대해 활주식으로 이동되고 제2 경사면이 제2 수용면에 대해 활주식으로 이동될 때, 제2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양태 31은 양태 11 내지 21 및 3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샤프트는, 제2 경사면이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의 다른 단부로부터 일 단부로 지향되는 가압력을 수취할 때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가능하다.
양태 32는 양태 31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제1 방향으로 연장 및 수축하도록 구성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탄성 부재는 제1 방향에서의 일 단부 및 다른 단부를 갖고, 제1 방향에서의 탄성 부재의 일 단부는 제2 경사면에 연결되고, 제1 방향에서의 탄성 부재의 다른 단부는 케이싱에 연결된다.
양태 33은 양태 32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탄성 부재는 제1 길이와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 사이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 및 수축하도록 구성되는 코일 스프링이고, 탄성 부재는 샤프트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1 길이를 제공하며, 탄성 부재는 샤프트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2 길이를 제공한다.
양태 34는 양태 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케이싱은 제1 외표면 및 제1 외표면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제2 외표면을 갖고, 제1 외표면은 제1 방향에서의 케이싱의 일 단부이고, 제2 외표면은 제1 방향에서의 케이싱의 다른 단부이며,
제1 경사면은 제1 외표면에 위치되고, 제1 경사면은 제1 방향에서의 제1 외표면으로부터 제2 외표면을 향하는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현상 롤러로부터 멀어지게 경사진다.
양태 35는 양태 34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현상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체결부를 더 포함하며, 체결부는 제2 외표면에 위치된다.
양태 36은 양태 35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체결부는, 샤프트 및 제1 경사면이 제2 방향에서 현상 롤러에 대해 위치되는 것보다 현상 롤러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양태 37은 양태 35 또는 36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체결부는 구동력을 수취하도록 구성되며,
샤프트는 제2 외표면으로부터 제1 외표면으로 지향되는 가압력을 수취하도록 구성된다.
양태 38은 양태 34 내지 3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제1 외표면에 위치되며 현상 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을 더 포함한다.
양태 39는 양태 37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전극은, 샤프트 및 제1 경사면이 제2 방향에서 현상 롤러에 대해 위치되는 것보다 현상 롤러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양태 40는 양태 1 내지 3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축 주위로 회전가능한 교반기를 더 포함하고, 교반기는 현상제를 교반하도록 구성되며,
현상 롤러는 제2 방향에서 교반기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양태 41은 양태 40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교반기는, 샤프트가 제2 방향에서 현상 롤러에 대해 위치되는 것보다 현상 롤러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양태 42는 양태 1 내지 4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샤프트에 부착되는 제1 캠을 더 포함하며, 제1 캠은 제1 경사면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제1 방향으로 지향되는 가압력은 샤프트가 케이싱 및 현상 롤러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제1 경사면이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의 이동에 의해 다른 구성요소와 접촉하는 경우, 제1 경사면은 다른 구성요소를 따라 제2 방향으로도 이동한다. 케이싱 및 현상 롤러는 또한 제2 방향에서의 제1 경사면의 이동에 따라 제2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는 현상 카트리지의 양 단부에 작용하는 구동력에 의해서가 아니라 제1 방향으로 지향되는 구동력에 의해 제2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는 제1 경사면 및 샤프트를 갖기 때문에, 드럼 카트리지가 샤프트를 포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샤프트는 드럼 카트리지에 대한 현상 카트리지의 부착 및 드럼 카트리지로부터의 현상 카트리지의 분리를 방해하지 않는다.
양태 9에 따르면, 제1 비탈면은 먼저 다른 구성요소와 접촉한다. 따라서, 제1 방향으로의 샤프트의 이동의 개시 시에, 제2 방향으로의 샤프트의 이동량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제1 비탈면에 이어서, 경사도가 제1 비탈면보다 작은 제2 비탈면이 다른 구성요소와 접촉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2 방향으로의 샤프트의 이동이 감소되는 동안 샤프트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샤프트를 가압하기 위한 구동 부하가 억제될 수 있다.
양태 11에 따르면, 제1 경사면은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의 일 단부에 위치되는 한편, 제2 경사면은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의 다른 단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제2 방향으로의 케이싱 및 현상 롤러의 이동 동안에 케이싱 및 현상 롤러가 경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03 개시내용에 따르면, 제1 캠은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의 일 단부에 위치되는 한편, 제2 캠은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의 다른 단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또한, 제2 방향으로의 케이싱 및 현상 롤러의 이동 동안에 케이싱 및 현상 롤러가 경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양태 20에 따르면, 제3 비탈면은 먼저 다른 구성요소와 접촉한다. 따라서, 제1 방향으로의 샤프트의 이동의 개시 시에, 제2 방향으로의 샤프트의 이동량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제3 비탈면에 이어서, 경사도가 제3 비탈면보다 작은 제4 비탈면이 다른 구성요소와 접촉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2 방향으로의 샤프트의 이동이 감소되는 동안 샤프트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샤프트를 가압하기 위한 구동 부하가 억제될 수 있다.
양태 24 및 25에 따르면, 케이싱 및 현상 롤러는 샤프트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제2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양태 26에 따르면, 샤프트는 덮개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샤프트는 현상 카트리지에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양태 28 및 30에 따르면, 현상 롤러는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의 이동에 따라 감광 드럼에 대해 분리될 수 있다.
양태 32에 따르면, 샤프트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케이싱 및 현상 롤러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은 제1 방향으로 지향되는 구동력이 해방되는 경우에 현상 카트리지가 다시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양태 37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의 구동원은 제1 방향에서의 현상 카트리지의 일 측에 집합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방향에서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제1 방향에서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의 다른 평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의 분리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분리 부재의 샤프트 및 제1 캠의 분해 확대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의 케이싱 및 현상 롤러에 대한 제1 방향으로의 분리 부재의 이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케이싱 및 현상 롤러에 대한 제1 방향으로의 분리 부재의 이동을 설명하는 다른 도면이다.
도 10은 제3 방향에서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가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드로어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3 방향에서 본 드로어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 및 현상 카트리지의 사시도로서, 현상 카트리지가 드로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4는 제3 방향에서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 및 현상 카트리지의 평면도로서, 현상 카트리지가 드로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5는 제1 방향에서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 및 현상 카트리지의 평면도로서, 현상 카트리지가 드로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6a는 분리 부재에 의해 수행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의 분리 이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6b는 분리 부재에 의해 수행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의 분리 이동을 설명하는 다른 도면이다.
도 1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접촉 상태에서의 드로어의 감광 드럼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의 분리 상태에서의 감광 드럼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제3 방향에서 바라 보았을 때의 본 개시내용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의 평면도이다.
도 20a는 분리 부재에 의해 수행되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의 분리 이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0b는 분리 부재에 의해 수행되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의 분리 이동을 설명하는 다른 도면이다.
<1. 제1 실시예>
이하, 제1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1)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1.1.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100)의 개략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전자 사진 방식의 프린터이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100)는 레이저 프린터 또는 LED 프린터일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4개의 현상 카트리지(1), 드로어(2), 메인 프레임(101), 및 제어부(102)를 포함한다.
현상 카트리지(1)는 드로어(2)에 부착가능하다. 즉, 현상 카트리지(1)는 드로어(2)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드로어(2)는 4개의 현상 카트리지(1)가 부착가능한 드럼 카트리지이며 4개의 슬롯(2A)을 포함한다. 4개의 현상 카트리지(1)는 대응하는 슬롯(2A)에 부착가능하다. 현상 카트리지(1)는, 현상 카트리지(1)가 대응하는 슬롯(2A)에 부착된 상태에서 메인 프레임(101)에 부착가능하다. 4개의 현상 카트리지(1)는, 서로 상이한 색(예를 들어, 시안, 마젠타, 옐로우 및 블랙)의 현상제(예를 들어, 토너)를 수용한다. 단, 복수의 현상 카트리지(1)는 동일한 색의 현상제를 수용할 수 있다. 드로어(2)에 부착가능한 현상 카트리지(1)의 수는 1개, 2개, 또는 3개, 또는 5개 이상일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4개의 현상 카트리지(1)로부터 공급되는 현상제를 사용하여 인쇄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4개의 현상 카트리지(1) 각각은 IC 칩(51)을 포함한다. IC 칩(51)은 정보를 판독가능하고 정보를 기입가능한 기억 매체이다. 기억 매체는, 예를 들어 플래시 ROM 또는 EEPROM일 수 있다. 드로어(2)의 슬롯(2A)에 부착된 현상 카트리지(1)가 메인 프레임(101)에 부착되면, 현상 카트리지(1)의 IC 칩(51) 및 제어부(102)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부(102)는, 예를 들어 회로 기판으로 구성된다. 제어부(102)는, CPU 등의 프로세서 및 각종 메모리를 포함한다. 제어부(102)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프로세서를 동작시킴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다양한 종류의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1.2. 현상 카트리지>
도 2 및 도 3은 현상 카트리지(1)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제1 방향에서 본 현상 카트리지(1)의 평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현상 롤러(30)의 회전축(즉, 제1 축)이 연장되는 방향을 "제1 방향"(축방향의 일례)이라 칭한다. 제1 방향은, 드로어(2)의 감광 드럼(21)(후술함)의 회전축(드럼축)이 연장되는 방향을 나타내기도 한다. 여기서, 현상 롤러(30)의 외주면은 케이싱(10)의 외부에 노출된 일 단부 및 케이싱(10)의 내측에 위치되는 다른 단부를 포함한다. 현상 롤러(30)의 외주면의 일 단부 및 외주면의 다른 단부가 배열되는 방향을 "제2 방향"이라 칭한다. 또한, 제2 방향은, 현상 카트리지(1)의 케이싱(10)의 외부로 노출되는, 현상 롤러(30)의 외주면과 교차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제2 방향은, 현상 롤러(30)의 외주면이 감광 드럼(21)의 외주면으로부터/으로 분리 및/또는 접근하는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은 서로 교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은 서로 직교한다.
현상 카트리지(1)는 내부에 현상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케이싱(10)을 포함한다. 케이싱(10)은 제1 외표면(11) 및 제2 외표면(12)을 가지며, 이들은 제1 방향으로 서로 분리된다. 케이싱(10)은 제1 외표면(11)과 제2 외표면(12) 사이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제1 외표면(11)은 제1 방향에서의 케이싱(10)의 일 단부이며, 제2 외표면(12)은 제1 방향에서의 케이싱(10)의 다른 단부이다.
케이싱(10)은 용기(10A) 및 덮개(10B)를 포함한다. 용기(10A)는 내부에 현상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개구(도시되지 않음)를 갖는다. 덮개(10B)는 용기(10A)의 개구(도시되지 않음)를 덮는다. 용기(10A) 및 덮개(10B)는 제1 방향에서의 제1 외표면(11)과 제2 외표면(12) 사이의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케이싱(10)은 미리결정된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하, 케이싱(10)이 연장되는 미리결정된 방향을 "제3 방향"이라고 칭한다. 제3 방향은 제1 방향과 교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3 방향은 제1 방향에 직교한다. 제3 방향은, 현상 카트리지(1)가 드로어(2)의 대응하는 슬롯(2A)(도 1 참조)에 대해 삽입 및/또는 인출되는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케이싱(10)은 개구(10C)를 갖는다. 개구(10C)는 제3 방향에서의 케이싱(10)의 일 단부에 위치된다. 용기(10A) 및 케이싱(10)의 외부는 개구(10C)를 통해 서로 연통한다.
현상 카트리지(1)는 교반기(20)를 더 포함한다. 교반기(20)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즉, 제3 축) 주위로 회전가능하다. 교반기(20)는 용기(10A)에 수용된 현상제를 교반하도록 구성된 부재이다. 교반기(20)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및 샤프트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교반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샤프트의 회전시, 용기(10A)에 수용된 현상제는 교반 블레이드에 의해 교반된다.
현상 카트리지(1)는 현상 롤러(30)를 더 포함한다. 현상 롤러(30)는 제2 방향에서 교반기(20)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또한, 교반기(20)는 제2 방향에서 샤프트(61)(후술함)가 현상 롤러(30)에 대해 위치되는 것보다 현상 롤러(30)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현상 롤러(30)는, 제3 방향에서 케이싱(10)의 일 단부에 위치되는 개구(10C)에 위치된다. 현상 롤러(30)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축 주위로 회전가능하도록 케이싱(10)에 의해 지지되는 롤러이다.
현상 롤러(30)는 현상 롤러 본체(31) 및 현상 롤러 샤프트(32)를 포함한다. 현상 롤러 본체(31)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 원통형 형상을 갖는다. 현상 롤러 본체(31)는 탄성을 갖는 고무 등의 재료로 구성된다. 현상 롤러 샤프트(32)는 제1 방향으로 현상 롤러 본체(31)를 통해 연장되는 원주 형상을 갖는다. 현상 롤러 샤프트(32)는 금속 또는 전기 전도성을 갖는 수지로 구성된다. 현상 롤러 본체(31)는 현상 롤러 샤프트(32)에 대해서 회전되지 않도록 현상 롤러 샤프트(32)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현상 롤러 본체(31)는 현상 롤러 샤프트(32)와 함께 회전가능하다. 현상 롤러(30)(즉, 현상 롤러 본체(31))는 케이싱(10)의 외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즉, 현상 롤러(3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케이싱(10)의 외부에 노출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2 방향에서의 현상 롤러 본체(31)의 외주면의 일 단부는 개구(10C)를 통해 케이싱(10)의 외부에 노출된다. 제2 방향에서의 현상 롤러 본체(31)의 외주면의 다른 단부는 케이싱(10)의 내측에 위치된다. 즉, 제2 방향에서의 현상 롤러 본체(31)의 외주면의 다른 단부는 케이싱(10)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현상 카트리지(1)는 현상 전극(33)(전극의 일례)을 더 포함한다. 현상 전극(33)은 제1 방향에서의 현상 롤러 샤프트(32)의 일 단부에 위치된다. 여기서, 현상 전극(33)이 제공되는 현상 롤러 샤프트(32)는 케이싱(10)의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베어링은 케이싱(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케이싱(10)과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현상 전극(33)은 제1 외표면(11)에 위치된다. 현상 전극(33)은 현상 롤러(30)의 현상 롤러 샤프트(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현상 전극(33)은 현상 롤러(30)에 현상 바이어스를 인가하기 위한 전극이다. 현상 전극(33)은, 제2 방향에서 분리 부재(60)(후술함)의 샤프트(61) 및 제1 캠(62)이 현상 롤러(30)에 대해 위치되는 것보다 현상 롤러(30)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현상 롤러 기어(도시되지 않음)가 제1 방향에서의 현상 롤러 샤프트(32)의 다른 단부에 체결된다. 현상 롤러 기어는 제2 외표면(12)에 위치된다. 현상 롤러 샤프트(32)는 현상 롤러 기어에 대해서 회전되지 않도록 현상 롤러 기어에 고정된다. 현상 롤러 기어가 회전하면, 현상 롤러 샤프트(32)도 회전함으로써, 현상 롤러 샤프트(32)와 함께 현상 롤러 본체(31)를 회전시킨다.
그런데, 현상 롤러 샤프트(32)는 제1 방향에서 현상 롤러 본체(31)를 통해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현상 롤러 샤프트(32) 각각이 제1 방향에서의 현상 롤러 본체(31)의 각각의 단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1)는 공급 롤러(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 공급 롤러는 현상 롤러(30)와 교반기(20) 사이의 위치에서 용기(10A)의 내측에 배치된다. 공급 롤러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 주위로 회전가능하다. 현상 카트리지(1)가 구동력을 받으면, 현상제는 공급 롤러를 통해 케이싱(10)의 용기(10A)로부터 현상 롤러(30)의 외주면(즉, 현상 롤러 본체(31)의 외주면)으로 공급된다. 이때, 현상제는 공급 롤러와 현상 롤러(30) 사이에서 마찰 대전된다. 한편, 현상 롤러(30)의 현상 롤러 샤프트(32)에는 현상 바이어스가 인가된다. 따라서, 현상제는, 현상 롤러 샤프트(32)와 현상제 사이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력에 의해 현상 롤러 본체(31)의 외주면으로 끌어당겨진다.
현상 카트리지(1)는 층 두께 규제 블레이드(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 층 두께 규제 블레이드는, 현상제의 층의 두께가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도록, 현상 롤러 본체(31)의 외주면에 공급된 현상제의 층의 두께를 규제한다. 이후 현상 롤러 본체(31)의 외주면 상의 현상제는 드로어(2)의 감광 드럼(21)(후술함, 도 11 참조)에 공급된다. 이때, 현상제는, 감광 드럼(21)의 외주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따라, 현상 롤러 본체(31)로부터 감광 드럼(21)에 전사된다. 따라서, 감광 드럼(21)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이 가시 상이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1)는 기어부(40)를 더 포함한다. 기어부(40)는 케이싱(10)의 제2 외표면(12)에 위치된다. 기어부(40)는 체결부(41) 및 현상 롤러 기어(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체결부(41)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메인 프레임(101)으로부터 가해지는 구동력을 받는 기어이다. 체결부(41)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 주위로 회전가능하다. 체결부(41)는, 제2 방향에서 분리 부재(60)(후술함)의 샤프트(61), 제1 캠(62) 및 제2 캠(63)이 현상 롤러(30)에 대해 위치되는 것보다 현상 롤러(30)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체결부(41)는 제1 방향으로 오목해 지는 체결 구멍(411)을 갖는다. 드로어(2)의 슬롯(2A)에 장착된 현상 카트리지(1)가 화상 형성 장치(100)의 메인 프레임(101)에 부착될 때, 화상 형성 장치(100)의 구동 샤프트(도시되지 않음)가 체결 구멍(411) 내로 삽입된다. 따라서, 구동 샤프트 및 체결부(41)는 구동 샤프트와 체결부(41) 사이의 상대 회전이 방지되도록 서로 체결된다. 따라서, 구동 샤프트가 회전하면, 체결부(41)도 회전한다. 또한, 체결부(41)가 회전하면, 공급 롤러(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 공급 샤프트 및 현상 롤러 기어가 회전한다. 이러한 회전에 의해, 공급 롤러는 공급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고, 현상 롤러(30)는 현상 롤러 기어와 함께 회전한다. 또한, 체결부(41)의 회전은 다른 기어(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교반기(20)도 회전시킨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접촉 상태 및 분리 상태를 갖는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접촉 상태에서는, 현상 카트리지(1)가 드로어(2)의 슬롯(2A)에 부착된 상태에서, 현상 롤러(30) 및 드로어(2)의 감광 드럼(21)이 서로 접촉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분리 상태에서는, 현상 롤러(30) 및 드로어(2)의 감광 드럼(21)이 서로 분리된다. 드로어(2)의 슬롯(2A)에 현상 카트리지(1)가 부착될 때,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접촉 상태에 있다.
현상 카트리지(1)는 분리 부재(60)를 더 포함한다. 분리 부재(60)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상태를 접촉 상태와 분리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0)가 접촉 상태로부터 분리 상태로 전환될 때, 현상 롤러(30)는 감광 드럼(21)으로부터의 현상 롤러(30)의 분리 방향인 제2 방향에서 감광 드럼(21)으로부터 분리된다.
분리 부재(60)는 덮개(10B)에 배치된다. 분리 부재(60)는, 제1 방향에서, 케이싱(10) 및 현상 롤러(30)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다. 또한, 분리 부재(60)는, 제2 방향에서, 케이싱(10) 및 현상 롤러(30)와 함께 이동가능하다.
도 6은 분리 부재(6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에는, 케이싱(10) 중, 분리 부재(60)가 배치되는 덮개(10B)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분리 부재(60)의 샤프트(61)와 제1 캠(62)의 분해 확대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제1 방향에서의, 케이싱(10) 및 현상 롤러(30)에 대한 분리 부재(60)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3 방향에서 본 현상 카트리지(1)의 평면도이다. 이하, 분리 부재(60)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분리 부재(60)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즉, 제2 축)을 따라 연장되는 샤프트(61)를 포함한다. 샤프트(61)는 원주 형상을 갖는다. 단, 샤프트(61)는 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덮개(10B)는 제1 방향에서 덮개(10B)를 각각 관통하는 홈(10B1), 구멍(10B4), 및 구멍(10B5)을 갖는다. 홈(10B1), 구멍(10B4), 및 구멍(10B5) 각각은 샤프트(6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샤프트(61)는 홈(10B1), 구멍(10B4), 및 구멍(10B5)을 통해 삽입된다. 홈(10B1), 구멍(10B4), 및 구멍(10B5) 내로 삽입된 샤프트(61)는 제1 위치(도 8에 도시된 위치)와 제2 위치(도 9에 도시된 위치) 사이에서 케이싱(10)의 덮개(10B)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제2 위치에서의 샤프트(61)는 제1 위치에서의 샤프트(61)가 제1 외표면(11)에 대해 위치되는 것보다 제1 외표면(11)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덮개(10B)가 2개의 구멍(즉, 구멍(10B4) 및 구멍(10B5))을 갖지만, 덮개(10B)는 덮개(10B)가 샤프트(61)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한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가질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바람직하게는, 샤프트(61)는 강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샤프트(61)는 철로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샤프트(61)는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싱(10)은 링 형상 부분(10B2 및 10B3)을 포함한다. 링 형상 부분(10B2)은 제1 방향에서의 덮개(10B)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한편, 링 형상 부분(10B3)은 제1 방향에서의 덮개(10B)의 다른 단부에 형성된다. 링 형상 부분(10B2 및 10B3) 모두는 덮개(10B)에 일체로 형성된다. 링 형상 부분(10B2)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은 구멍(10B4)이며, 링 형상 부분(10B3)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은 구멍(10B5)이다.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10B1)은 링 형상 부분(10B2)과 링 형상 부분(10B3) 사이에서 노출된다. 즉, 홈(10B1), 구멍(10B4), 및 구멍(10B5)에 삽입된 샤프트(61)는 링 형상 부분(10B2)과 링 형상 부분(10B3) 사이의 위치에서 덮개(10B)로부터 노출된다. 샤프트(61)는 강성을 갖기 때문에, 덮개(10B)로부터 노출되는 샤프트(61)의 부분은 제2 방향 또는 제3 방향(즉, 제1 방향 이외의 방향)을 향해 휘어지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하나의 링 형상 부분만이 덮개(10B)에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추가적인 링 형상 부분(들)이 링 형상 부분(10B2 및 (10B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샤프트(61)는 제1 방향에서 링 형상 부분(10B2 및 10B3) 사이의 위치에서 노출되지만, 샤프트(61)는 덮개(10B)로부터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샤프트(61)는 덮개(10B)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샤프트(61)는 제2 축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덮개(10B)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샤프트(61)는 케이싱(10)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캠(62)(캠의 일례)은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61)의 일 단부(61A)(제1 단부의 일례)에 배치된다. 제1 캠(62)은 예를 들어 고무 또는 수지로 구성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캠(62)은 제1 방향에서 제1 캠(62)을 관통하는 구멍(62A)을 갖는다. 샤프트(61)의 일 단부(61A)는 샤프트(61)의, 일 단부(61A) 이외의 부분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샤프트(61)의 일 단부(61A)는 구멍(62A)에 삽입된다. 구멍(62A)에 삽입된 일 단부(61A)는 제1 방향에서 제1 캠(62)으로부터 노출되는 원위 단부를 가지며, 보유 링(61B)이 일 단부(61A)의 노출된 원위 단부에 부착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1 캠(62)은 샤프트(61)의 일 단부(61A)에 고정된다. 대안적으로, 제1 캠(62)은 샤프트(61)에 접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캠(62)은 제2 축에 평행하지 않은 제1 경사면(621)(캠 표면의 일례 및 제1 캠 표면의 일례)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경사면(62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61)의 둘레면의 일부에 위치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1 경사면(621)은 제2 방향에서 샤프트(61)의 일 단부에 위치된다. 제2 방향에서의 샤프트의 일 단부는, 제2 방향에서의 샤프트(61)의 다른 단부가 현상 롤러(30)에 대해 위치되는 것보다 현상 롤러(30)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제1 캠(62)은 덮개(10B)와 대향하는 접촉면(622)을 더 갖는다. 접촉면(622)은, 제1 경사면(621)이 위치되는 둘레면의 부분과는 상이한 샤프트(61)의 둘레면의 다른 부분에 배치된다. 즉, 접촉면(622)은 케이싱(10), 즉 케이싱(10)의 외표면과 대향한다. 접촉면(622)은 덮개(10B)와 대향하기 때문에, 제1 캠(62)이 샤프트(61) 주위로 회전하려고 하는 경우에도, 접촉면(622)이 덮개(10B)와 접촉함으로써, 제1 캠(62)의 회전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경사면(621)은 샤프트(61)의 둘레면의 일부에 배치되어 있지만, 제1 경사면(621)은 샤프트(61)의 둘레면의 전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경사면(621)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61)에 대해 경사지고 제2 축에 대해 기울어진다. 즉, 제1 경사면(621)은 현상 롤러(30)의 외주면의 일 단부와 현상 롤러(30)의 외주면의 다른 단부를 연결하는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다. 제1 경사면(621)과 제1 방향 사이의 각도는 43도 이상 47도 이하이다. 더 정확하게는, 제1 경사면(621)과 제1 방향 사이의 각도는 약 45도이다.
제1 캠(62), 즉 제1 경사면(621)은 케이싱(10)의 제1 외표면(11)에 위치된다. 제1 경사면(621)은 제1 방향에서의 제1 외표면(11)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제1 경사면(621)은 제2 방향에서 현상 롤러(30)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된다. 즉, 제1 경사면(621)은, 샤프트(61)(즉, 제2 축)와 샤프트(61)의 반경방향(즉, 제2 방향)의 제1 경사면(621) 사이의 거리가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61)의 일 단부(61A)로부터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61)의 다른 단부를 향하는 방향에서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즉, 제1 경사면(621)은, 제1 축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제1 경사면(621)과 샤프트(61) 사이의 거리가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61)의 일 단부(61A)로부터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61)의 다른 단부까지 증가하도록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진다. 또한, 즉, 제1 경사면(621)은, 제2 방향에서의 제1 경사면(621)과 현상 롤러(30) 사이의 거리가 제1 방향에서 케이싱(10)에 대해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진다. 또한, 즉, 제1 경사면(621)은, 제1 방향에서의 제1 경사면(621)의 다른 단부가 제2 방향에서 샤프트(61)에 대해 위치되는 것보다 제1 방향에서의 제1 경사면(621)의 일 단부가 샤프트(61)에 더 가깝게 위치되도록,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진다. 제1 경사면(621)은 샤프트(61)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진다.
제1 캠(62)은 제2 축에 중심맞춤된 원추의 반부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즉, 제1 캠(62)은 제1 경사면(621)으로서 작용하는 원추의 원주면의 일부를 갖는다.
제1 캠(62)은 원추 형상 대신에 피라미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이 경우, 제2 축은 피라미드의 정점 및 저면의 중심을 통과하며, 피라미드의 측방향 표면의 일부가 제1 경사면(621)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경사면(621)은 샤프트(61)에 대해 매끄럽게 경사져 있지만, 제1 경사면(621)은 단차 등의 돌출부 및 오목부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경사면(621)은 만곡될 수 있다.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61)의 다른 단부(제2 단부의 일례)에는 제2 캠(63)(캠의 다른 예)이 배치된다. 제2 캠(63)은 예를 들어 고무 또는 수지로 구성된다.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 제1 캠(62)과 유사하게, 제2 캠(63)은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61)의 다른 단부에 고정된다.
제2 캠(63)은 제2 축에 평행하지 않은 제2 경사면(631)(캠 표면의 다른 예 및 제2 캠 표면의 일례)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경사면(63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61)의 전체 둘레면에 위치된다. 그런데, 제2 경사면(631)은 샤프트(61)의 둘레면의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경사면(631)은, 제2 방향에서의 샤프트(61)의 일 단부, 즉 다른 단부가 현상 롤러(30)에 대해 위치되는 것보다 현상 롤러(30)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단부에 위치된다.
제2 경사면(631)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61)에 대해 경사지며 제2 축에 대해 기울어져 있다. 즉, 제2 경사면(631)은 현상 롤러(30)의 외주면의 일 단부와 현상 롤러(30)의 외주면의 다른 단부를 연결하는 방향에 대해 경사진다. 제2 경사면(631)과 제1 방향 사이의 각도는 43도 이상이고 47도 이하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2 경사면(631)과 제1 방향 사이의 각도는 약 45도이다.
제2 경사면(631)은, 샤프트(61)(즉, 제2 축)와 샤프트(61)의 반경방향(즉, 제2 방향)에서의 제2 경사면(631) 사이의 거리가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61)의 일 단부(61A)로부터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61)의 다른 단부까지의 방향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즉, 제2 경사면(631)은, 제1 축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제2 경사면(631)과 샤프트(61) 사이의 거리가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61)의 일 단부(61A)로부터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61)의 다른 단부까지 증가하도록,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진다. 또한, 즉, 제2 경사면(631)은, 제2 방향에서의 제2 경사면(631)과 현상 롤러(30) 사이의 거리가 제1 방향에서 케이싱(10)에 대해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진다. 또한, 즉, 제2 경사면(631)은, 제1 방향에서의 제2 경사면(631)의 일 단부가 제1 방향에서의 제2 경사면(631)의 다른 단부가 제2 방향에서 샤프트(61)에 대해 위치되는 것보다 샤프트(61)에 더 가깝게 위치되도록,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진다. 제2 경사면(631)은 샤프트(61)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진다. 즉, 제1 캠(62)의 제1 경사면(621) 및 제2 캠(63)의 제2 경사면(631)은 제1 방향에 대해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다.
제2 축으로부터 제2 캠 표면(631)까지의 반경방향 거리는 제1 캠 표면(621)으로부터 제2 캠 표면(631)까지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며, 제2 축으로부터 제1 캠 표면(621)까지의 반경방향 거리는 제1 캠 표면(621)으로부터 제2 캠 표면(631)까지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제2 캠(63)은 제2 축에 중심맞춤된 원추 형상을 갖는다. 즉, 제2 캠(63)은 제2 경사면(631)으로서 작용하는 원추의 원주면의 일부를 갖는다.
제2 캠(63)은 원추 형상이 아닌 피라미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 축은 피라미드의 정점과 저면의 중심을 통과하며, 피라미드의 측방향 표면의 일부가 제2 경사면(631)으로서 작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경사면(631)은 샤프트(61)에 대해 매끄럽게 경사진다. 그러나, 제2 경사면(631)은 단차 등의 돌출부 또는 오목부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경사면(631)은 만곡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캠(62) 및 제2 캠(63) 모두는 샤프트(61)와 함께 제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즉, 제1 캠(62) 및 제2 캠(63) 모두는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61)의 축방향 이동에 응답하여 제2 축을 따라 샤프트(61)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샤프트(61)가 제1 방향에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제2 캠(63)은 덮개(10B)에 접근하며, 제1 캠(62)은 덮개(10B)로부터 멀어진다. 샤프트(61)가 제1 방향에서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할 때, 제2 캠(63)은 덮개(10B)로부터 멀어지며, 제1 캠(62)은 덮개(10B)에 접근한다. 즉, 샤프트(61)가 제1 방향에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제2 캠(63)은 케이싱(10)에 접근하며, 제1 캠(62)은 케이싱(10)으로부터 멀어진다. 또한, 샤프트(61)가 제1 방향에서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할 때, 제2 캠(63)은 케이싱(10)으로부터 멀어지고, 제1 캠(62)은 케이싱(10)에 접근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캠(62)의 접촉면(622)은 덮개(10B)와 대향하며, 이러한 구성은 제1 캠(62)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제1 캠(62)이 고정되는 샤프트(61), 및 샤프트(61)에 고정된 제2 캠(63) 또한 덮개(10B)에 대해 회전가능하지 않다. 즉, 구멍(10B5) 및 구멍(10B4)을 통해 삽입된 샤프트(61)는 케이싱(10)의 덮개(10B)에 대해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축 주위로 회전가능하지 않다. 그러나, 샤프트(61)는 덮개(10B)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축 주위로 회전가능할 수 있다. 샤프트(61)가 제1 캠(62) 및 제2 캠(63)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샤프트(61)만이 덮개(10B), 제1 캠(62) 및 제2 캠(63)에 대해 회전하며, 제1 캠(62) 및 제2 캠(63)은 회전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샤프트(61)는 제1 캠(62) 및 제2 캠(63)과 함께 제2 축 주위로 회전가능할 수 있다.
분리 부재(60)는 탄성 부재의 일례로서 코일 스프링(64)을 더 포함한다. 코일 스프링(64)은 제1 방향에서 샤프트(61)의 다른 단부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샤프트(61)는 코일 스프링(64) 내에 삽입된다. 코일 스프링(64)은 제1 방향에서 제2 캠(63)과 덮개(10B) 사이에 위치된다. 제1 방향에서의 코일 스프링(64)의 일 단부는, 예를 들어 와셔(65)를 통해서 덮개(10B)와 접촉한다. 제1 방향에서의 코일 스프링(64)의 다른 단부는 제2 캠(63)과 접촉한다. 즉, 코일 스프링(64)의 일 단부는 케이싱(10)에 연결되는 한편, 코일 스프링(64)의 다른 단부는 제2 경사면(631)에 연결된다. 코일 스프링(64)은 샤프트(61)의 원주 방향에서 커버(66)에 의해 덮인다. 코일 스프링(64)은 제2 캠(63)을 통해서 샤프트(61)에 연결되지만, 코일 스프링(64)은 샤프트(61)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코일 스프링(64)은, 제1 길이와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 사이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팽창) 및 수축하도록 구성되는 탄성 부재이다. 상세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캠(63)은 제1 방향에서 샤프트(61)의 다른 단부로부터 샤프트(61)의 일 단부(61A)로의 방향으로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가압된다. 따라서, 샤프트(61)는 제1 캠(62) 및 제2 캠(63)과 함께 도 8에 도시된 제1 위치로부터 도 9에 도시된 제2 위치로 이동한다. 샤프트(61)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코일 스프링(64)은 제1 길이로부터 제2 길이로 압축된다. 제2 캠(63)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해방될 때, 코일 스프링(64)은 코일 스프링(64)의 복원력에 의해 제2 길이로부터 제1 길이로 복원됨으로써, 샤프트(61)는 제1 캠(62) 및 제2 캠(63)과 함께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샤프트(61), 제1 캠(62) 및 제2 캠(63)은, 제1 방향으로 가해지는 가압력 및 코일 스프링(64)의 탄성력(복원력)으로 인해 케이싱(10)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1.3. 드로어>
*도 11은 드럼 카트리지의 일례로서의 드로어(2)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3 방향에서 본 드로어(2)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드로어(2) 및 현상 카트리지(1)의 사시도이며, 현상 카트리지(1)가 드로어(2)의 대응하는 슬롯(2A)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4는, 제3 방향에서 본 드로어(2) 및 현상 카트리지(1)의 평면도이며, 현상 카트리지(1)가 드로어(2)의 대응하는 슬롯(2A)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5는, 제1 방향에서 본 드로어(2) 및 현상 카트리지(1)의 평면도이며, 현상 카트리지(1)가 드로어(2)의 대응하는 슬롯(2A)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드로어(2)는 프레임(200)을 포함한다. 프레임(200)은 4개의 슬롯(2A)을 포함한다. 현상 카트리지(1)는 대응하는 슬롯(2A)에 각각 부착가능하다. 또한 드로어(2)는 감광 드럼(21)을 포함한다. 감광 드럼(21) 각각은 4개의 슬롯(2A)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감광 드럼(21) 각각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드럼 축) 주위로 회전가능하다. 현상 카트리지(1) 각각은, 현상 롤러(30)의 외주면이 감광 드럼(21)의 외주면과 대향하도록 드로어(2)의 대응하는 슬롯(2A)에 부착가능하다. 현상 카트리지(1)가 각각의 슬롯(2A)에 부착된 드로어(2)는 메인 프레임(101)에 부착된다(도 1 참조).
드로어(2)의 프레임(200)은 제1 사이드 프레임(20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202)을 포함한다. 제1 사이드 프레임(20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202)은 제1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다. 4개의 감광 드럼(21)이 제1 방향에서의 제1 사이드 프레임(201)과 제2 사이드 프레임(202) 사이의 위치에 배치된다. 현상 카트리지(1)가 슬롯(2A)에 부착될 때, 현상 카트리지(1)는 제1 방향에서 제1 사이드 프레임(201)과 제2 사이드 프레임(202) 사이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각각의 현상 카트리지(1)의 제1 외표면(11)은 제1 방향에서 제1 사이드 프레임(201)과 대향하며, 각각의 현상 카트리지(1)의 제2 외표면(12)은 제1 방향에서 제2 사이드 프레임(202)과 대향한다.
제1 사이드 프레임(201)은 4개의 슬롯(2A)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1 오목부(201A)를 갖는다. 제1 오목부(201A) 각각은 제1 방향에서 제1 사이드 프레임(201)을 관통하며, 제3 방향에서 대응하는 감광 드럼(21)을 향해 오목해진다. 각각의 현상 카트리지(1)가 드로어(2)의 대응하는 슬롯(2A)에 부착된 상태에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5)로 덮인 각각의 현상 카트리지(1)의 IC 칩(51)이 대응하는 제1 오목부(201A)에 위치된다.
제2 사이드 프레임(202)은 제2 오목부(202A)를 갖는다. 제1 오목부(201A)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제2 오목부(202A)는 각각의 슬롯(2A)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제2 오목부(202A) 각각은 제1 방향에서 제2 사이드 프레임(202)을 관통하여 현상 카트리지(1)의 일부를 드로어(2)의 외부로 노출시키며, 제3 방향에서 대응하는 감광 드럼(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개방된다. 각각의 현상 카트리지(1)가 드로어(2)의 대응하는 슬롯(2A)에 부착된 상태에서,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현상 카트리지(1)의 제2 캠(63)은 대응하는 제2 오목부(202A)에 위치된다.
제2 사이드 프레임(202)은 관통 구멍(202B)을 더 갖는다. 각각의 관통 구멍(202B)은 슬롯(2A)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관통 구멍(202B) 각각은 제1 방향에서 제2 사이드 프레임(202)을 관통한다. 각각의 현상 카트리지(1)가 드로어(2)의 대응하는 슬롯(2A)에 부착된 상태에서,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현상 카트리지(1)의 체결부(41)의 체결 구멍(411)은 대응하는 관통 구멍(202B)으로부터 노출된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구동 샤프트는 대응하는 관통 구멍(202B)을 통해서 각각의 체결 구멍(411) 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구동 샤프트 및 대응하는 체결부(41)는 서로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서로 체결된다.
드로어(2)는 각각의 슬롯(2A)을 위한 제1 수용면(22) 및 제2 수용면(23)을 갖는다. 제1 수용면(22)은 제1 방향에서 제2 수용면(23)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즉, 제1 수용면(22)은 제1 방향에서의 각각의 슬롯(2A)의 일 단부에 위치되는 한편, 제2 수용면(23)은 제1 방향에서의 각각의 슬롯(2A)의 다른 단부에 위치된다.
제1 수용면(22) 각각은 제2 사이드 프레임(202)과 대향하는 제1 사이드 프레임(201)의 표면에 위치된다. 제1 수용면(22)은 제1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1 수용면(22)은, 제2 방향에서 드로어(2)의 슬롯(2A)에 부착된 현상 카트리지(1)의 제1 캠(62)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1 수용면(22)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캠(62)의 제1 경사면(621)과 접촉한다. 제1 수용면(22)은, 제2 방향에서의 제1 수용면(22)과 현상 카트리지(1) 사이의 거리가 제1 방향에서 제1 사이드 프레임(20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즉, 제1 방향에서 제1 사이드 프레임(201)으로부터 제2 사이드 프레임(202)으로의 방향)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제2 수용면(23)은 제2 사이드 프레임(202)에 형성된 각각의 제2 오목부(202A)에 위치된다. 제2 수용면(23)은, 제1 방향에 대하여, 제1 수용면(22)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2 수용면(23)은, 제2 수용면(23)이 드로어(2)의 각각의 슬롯(2A)에 부착된 현상 카트리지(1)의 제2 캠(63)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2 수용면(23)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캠(63)의 제2 경사면(631)과 접촉한다. 제2 수용면(23)은, 제2 방향에서의 제2 수용면(23)과 현상 카트리지(1) 사이의 거리가 제1 방향에서 제1 사이드 프레임(20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즉, 제1 방향에서 제1 사이드 프레임(201)으로부터 제2 사이드 프레임(202)으로의 방향)에서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1.4. 분리 부재(60)에 의한 분리 이동>
이어서, 화상 형성 장치(100)가 접촉 상태와 분리 상태 사이에서 전환될 때의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의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의 이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a 및 도 16b는 분리 부재(60)에 의해 수행되는 현상 카트리지(1)의 분리 이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a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접촉 상태에서의 현상 카트리지(1)를 도시한다. 도 16b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분리 상태에서의 현상 카트리지(1)를 도시한다. 도 17은, 현상 카트리지(1) 및 감광 드럼(21)의 사시도이며, 현상 롤러(30) 및 감광 드럼(21)이 서로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18은, 현상 카트리지(1) 및 감광 드럼(21)의 사시도이며, 현상 롤러(30) 및 감광 드럼(21)이 서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각각의 현상 카트리지(1)가 드로어(2)의 대응하는 슬롯(2A)에 부착될 때, 각각의 현상 카트리지(1)의 현상 롤러(3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감광 드럼(21)과 접촉한다. 즉,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접촉 상태에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이러한 접촉 상태에서,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캠(62)의 제1 경사면(621)은 제1 수용면(22)과 접촉하며, 제2 캠(63)의 제2 경사면(631)은 제2 수용면(23)과 접촉한다. 즉, 제1 경사면(621) 및 제2 경사면(631)은 프레임(200)에 결합된다.
더 정확하게는, 현상 카트리지(1)가 드로어(2)에 부착될 때, 제1 경사면(621)은 제1 수용면(22)으로부터 분리되며, 제2 경사면(631)은 제2 수용면(23)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현상 카트리지(1)가 제1 방향으로 미리결정된 거리로 이동함에 따라, 제1 경사면(621)은 제1 수용면(22)과 접촉되며, 제2 경사면(631)은 제2 수용면(23)과 접촉된다. 그런데, 현상 카트리지(1)가 드로어(2)에 부착될 때, 제1 경사면(621)은 제1 수용면(22)과 접촉할 수 있으며 제2 경사면(631)은 제2 수용면(23)과 접촉할 수 있다.
제1 경사면(621)은 제1 방향에서 제1 캠(62)으로부터 제2 캠(63)을 향하는 방향으로 샤프트(61)의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된다. 제1 수용면(22)은 제1 경사면(621)의 일부와 접촉한다. 샤프트(61)의 반경방향에서의 제1 경사면(621)의 일부와 샤프트(61) 사이의 거리는 샤프트(61)의 반경방향에서의 제1 경사면(621)의 다른 부분과 샤프트(61)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마찬가지로, 제2 경사면(631)은, 제1 방향에서 제1 캠(62)으로부터 제2 캠(63)을 향하는 방향으로 샤프트(61)의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된다. 제2 수용면(23)은 제2 경사면(631)의 일부와 접촉한다. 샤프트(61)의 반경방향에서의 제2 경사면(631)의 일부와 샤프트(61) 사이의 거리는 샤프트(61)의 반경방향에서의 제2 경사면(631)의 다른 부분과 샤프트(61)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캠(62) 및 제2 캠(63) 각각은 원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샤프트(61)가 제2 축 주위로 회전해도, 제1 경사면(621) 및 제2 경사면(631)은 각각 제1 수용면(22) 및 제2 수용면(23)에 신뢰할 수 있게 접촉(결합)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구동 유닛(103) 및 가압 부재(104)를 포함한다. 구동 유닛(103)은 가압 부재(104)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구동 유닛(103)은 예를 들어 모터이다. 가압 부재(104)는, 원주 형상 또는 각기둥 형상을 가지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된다. 가압 부재(104)는, 접촉 위치와 비접촉 위치 사이에서 제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가압 부재(104)는 접촉 위치에서 드로어(2)의 슬롯(2A)에 부착된 현상 카트리지(1)의 제2 캠(63)과 접촉하는 한편, 가압 부재(104)는 비접촉 위치에서 제2 캠(63)과 접촉하지 않는다.
현상 롤러(30)를 감광 드럼(21)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구동 유닛(103)은 제1 방향에서 가압 부재(104)를 제2 캠(63)으로부터 제1 캠(62)으로의 방향을 향해 이동시킨다. 따라서, 제2 캠(63)은 가압 부재(104)에 의해 제1 방향에서 제2 캠(63)으로부터 제1 캠(62)으로의 방향을 향해 가압된다. 제2 캠(63)이 가압 부재(104)로부터 가압력을 받으면, 샤프트(61), 제1 캠(62) 및 제2 캠(63)은 케이싱(10) 및 현상 롤러(30)에 대하여 제1 방향으로 제2 캠(63)으로부터 제1 캠(62)으로의 방향을 향해 이동한다.
이 경우, 제1 캠(62)의 제1 경사면(621)은, 제1 수용면(22)과의 접촉을 유지하면서, 제1 방향에서 제2 캠(63)으로부터 제1 캠(62)으로의 방향을 향해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경사면(621)은, 제1 캠(62)으로부터 제2 캠(63)으로의 방향에서 샤프트(61)의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캠(62)이 제1 방향에서 제2 캠(63)으로부터 제1 캠(62)으로의 방향을 향해 이동할 때, 제1 경사면(621)과 접촉하는 제1 경사면(621)의 일부는 샤프트(61)의 반경방향에서 샤프트(61)로부터 멀어진다. 제1 경사면(621) 및 제1 수용면(22)은 제2 방향에서 서로 대향한다. 즉, 제1 경사면(621)이 제1 방향에서 제2 캠(63)으로부터 제1 캠(62)으로의 방향을 향해 이동할 때,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경사면(621) 또한 제2 방향에서 제1 수용면(2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한다.
제1 경사면(621)과 마찬가지로, 제2 캠(63)의 제2 경사면(631)은, 제2 수용면(23)과 접촉하면서, 제1 방향에서 제2 캠(63)으로부터 제1 캠(62)으로의 방향을 향해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경사면(631)은, 제2 경사면(631)이 제1 캠(62)으로부터 제2 캠(63)으로의 방향으로 샤프트(61)의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2 캠(63)이 제1 방향에서 제2 캠(63)으로부터 제1 캠(62)으로의 방향을 향해 이동할 때, 제2 수용면(23)과 접촉하는 제2 경사면(631)의 일부는 샤프트(61)의 반경방향에서 샤프트(61)로부터 멀어진다. 제2 경사면(631)과 제2 수용면(23)은 제2 방향에서 서로 대향한다. 즉, 제2 경사면(631)이 제1 방향에서 제2 캠(63)으로부터 제1 캠(62)으로의 방향을 향해 이동할 때,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경사면(631) 또한 제2 방향에서 제2 수용면(2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한다.
제1 캠(62) 및 제2 캠(63)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 방향에서 이동함에 따라, 샤프트(61) 또한 동일한 방식으로 이동한다. 샤프트(61), 제1 캠(62) 및 제2 캠(63)이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 도 1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10) 및 현상 롤러(30) 또한 제2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제1 캠(62) 및 제2 캠(63)은 제2 축을 따른 샤프트(61)의 축방향 이동에 응답하여 제2 축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케이싱(10) 및 현상 롤러(30)와 함께 이동가능하다. 또한, 즉, 제1 경사면(621) 및 제2 경사면(631) 각각은 제2 축을 따른 샤프트(61)의 축방향 이동에 응답하여 캐밍 이동을 제공한다. 이 이동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롤러(30)가 제2 방향에서 감광 드럼(21)으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분리 상태가 된다.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61), 제1 캠(62), 및 제2 캠(63)의 이동은 제1 방향에서의 코일 스프링(64)의 팽창 및 수축을 유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64)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61)가 제1 위치에 위치될 때 제1 길이를 갖는다. 대조적으로, 코일 스프링(64)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61)가 제2 위치에 위치될 때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를 갖는다. 코일 스프링(64)은, 가압 부재(104)의 가압력에 의해 제1 길이로부터 제2 길이로 압축되며, 가압 부재(104)에 의해 분리 부재(60)에 작용하는 가압력이 해방될 때 제2 길이로부터 제1 길이로 연장된다.
샤프트(61)가 제1 캠(62) 및 제2 캠(63)과 함께 다시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할 때, 제1 수용면(22)과 접촉하는 제1 경사면(621)의 일부는 상술한 메커니즘의 정반대인 메커니즘에 의해 제2 방향에서 샤프트(61)에 접근한다. 마찬가지로, 제2 수용면(23)과 접촉하는 제2 경사면(631)의 일부는 제2 방향에서 샤프트(61)에 접근한다. 샤프트(61), 제1 캠(62), 및 제2 캠(63)의 이러한 이동은 케이싱(10) 및 현상 롤러(30)가 제2 방향에서 이동하게 함으로써, 현상 롤러(30)가 제2 방향에서 감광 드럼(21)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한다. 결과적으로, 현상 롤러(30)의 외주면은 감광 드럼(21)의 외주면과 접촉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접촉 상태가 된다.
<1.5. 제1 실시예의 유리한 효과>
본 실시예에서, 제1 캠(62) 및 제2 캠(63)은 각각 제1 방향에서 샤프트(61)의 양 단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제1 캠(62) 및 제2 캠(63) 중 오직 하나만이 샤프트(61)에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가 분리 상태와 접촉 상태 사이에서 전환되는 동안 제1 방향에서의 케이싱(10) 및 현상 롤러(30)의 단부 중 하나가 경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방향으로 지향되는 가압력은 샤프트(61)가 케이싱(10) 및 현상 롤러(30)에 대하여 제1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제1 경사면(621)이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61)의 이동에 의해 제1 수용면(22)과 접촉하는 경우, 제1 경사면(621)은 제1 수용면(22)을 따라 제2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케이싱(10) 및 현상 롤러(30)는 또한 제2 방향에서의 제1 경사면(621)의 이동에 따라 제2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1)는 현상 카트리지(1)의 양 단부에 작용하는 구동력에 의해서가 아니라 제1 방향으로 지향되는 구동력에 의해 제2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1)는 제1 경사면(621) 및 샤프트(61)를 갖는다. 따라서, 드럼 카트리지가 샤프트를 포함하는 경우에 비해, 샤프트(61)는 슬롯(2A)에 대한 현상 카트리지(1)의 부착 및 슬롯(2A)으로부터의 현상 카트리지(1)의 분리를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샤프트(61)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61)의 양 단부로부터의 구동력은 요구되지 않는다. 즉, 현상 카트리지(1)는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61)의 일 단부로부터 가해지는 구동력에 의해 이동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제1 방향에서의 현상 카트리지(1) 및 드로어(2)의 일 단부가 위치되는 메인 프레임(101)의 일 측에 배치되는 구동원을 더 포함한다. 구동원은 현상 롤러(30) 및 감광 드럼(21)을 회전시키게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가압 부재(104)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구동원으로서 작용하는 구동 유닛(103)은 구동원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0)의 구동원(즉, 구동 유닛(103) 및 현상 롤러(30) 및 감광 드럼(21)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은 현상 카트리지(1) 및 드로어(2)의 일 측에 집합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00)의 소형화가 실현될 수 있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1)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는 제1 방향에서의 드로어(2)의 양 단부에 배치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드로어(2)의 구성은 단순해질 수 있고, 드로어(2)는 소형화될 수 있다.
<2. 제2 실시예>
이어서, 제2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1)에 대해서 도 19 내지 도 20b를 참고하여 설명할 것이며, 유사 부품 및 구성요소에는 중복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서 제1 실시예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한다.
제1 실시예에서, 제1 경사면(621) 및 제2 경사면(631) 각각은 일정한 각도로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진다. 대조적으로,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경사면(621) 및 제2 경사면(631) 각각은 상이한 각도를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경사면을 갖는다. 이하, 제1 실시예에 대한 제2 실시예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9는 제3 방향에서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1)의 평면도이다.
제1 캠(62)의 제1 경사면(621)은 비탈면(621A) 및 비탈면(621B)을 갖는다. 비탈면(621A) 및 비탈면(621B)은 서로 제1 방향으로 배열된다. 비탈면(621A)은, 제1 방향에서 비탈면(621B)이 제2 캠(63)으로부터 위치되는 것보다 제2 캠(63)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된다. 또한, 비탈면(621A)은, 제1 방향에 대한 비탈면(621B)의 경사도보다 더 급격한 제1 방향에 대한 경사도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비탈면(621A)은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져서 비탈면(621A)과 제1 방향 사이에 예각을 형성하고; 비탈면(621B) 또한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져서 비탈면(621B)과 제1 방향 사이에 예각을 형성하며; 비탈면(621A)과 제1 방향 사이의 각도는 비탈면(621B)과 제1 방향 사이의 각도보다 크다.
비탈면(621A)과 제1 방향 사이의 각도는 43도 이상 47도 이하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비탈면(621A)과 제1 방향 사이의 각도는 45도이다. 비탈면(621B)과 제1 방향 사이의 각도는 12도 이상 17도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비탈면(621B)과 제1 방향 사이의 각도는 14도 이상 15도 이하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비탈면(621B)과 제1 방향 사이의 각도는 14도 또는 15도이다. 비탈면(621A)은 제1 비탈면의 일례이며, 비탈면(621B)은 제2 비탈면의 일례이다.
샤프트(61)의 반경방향(즉, 제2 방향)에서의 비탈면(621A)의 길이에 대한 제1 방향에서의 비탈면(621A)의 길이의 비는 예를 들어 1:1(일 대 일)이다. 또한, 샤프트(61)의 반경방향(즉, 제2 방향)에서의 비탈면(621B)의 길이에 대한 제1 방향에서의 비탈면(621B)의 길이의 비는 예를 들어 4:1(사 대 일)이다.
제2 캠(63)의 제2 경사면(631)은 비탈면(631A) 및 비탈면(631B)을 갖는다. 비탈면(631A) 및 비탈면(631B)은 서로 제1 방향으로 배열된다. 비탈면(631A)은, 제1 방향에서 비탈면(631B)이 제1 캠(62)(즉, 제1 경사면(621))에 대해 위치되는 것보다 제1 캠(62)(즉, 제1 경사면(621)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또한, 비탈면(631A)은, 제1 방향에 대한 비탈면(631B)의 경사도보다 더 급격한 제1 방향에 대한 경사도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비탈면(631A)은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져서 비탈면(631A)과 제1 방향 사이에 예각을 형성하고; 비탈면(631B) 또한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져서 비탈면(631B)과 제1 방향 사이에 예각을 형성하며; 비탈면(631A)과 제1 방향 사이의 각도는 비탈면(631B)과 제1 방향 사이의 각도보다 크다.
비탈면(631A)과 제1 방향 사이의 각도는 43도 이상 47도 이하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비탈면(631A)과 제1 방향 사이의 각도는 45도이다. 비탈면(631B)과 제1 방향 사이의 각도는 12도 이상 17도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비탈면(631B)과 제1 방향 사이의 각도는 14도 이상 15도 이하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비탈면(631B)과 제1 방향 사이의 각도는 14도 또는 15도이다. 비탈면(631A)은 제3 비탈면의 일례이며, 비탈면(631B)은 제4 비탈면의 일례이다.
샤프트(61)의 반경방향(즉, 제2 방향)에서의 비탈면(631A)의 길이에 대한 제1 방향에서의 비탈면(631A)의 길이의 비는 예를 들어 1:1(일 대 일)이다. 샤프트(61)의 반경방향(즉, 제2 방향)에서의 비탈면(631B)의 길이에 대한 제1 방향에서의 비탈면(631B)의 길이의 비는 예를 들어 4:1(사 대 일)이다.
비탈면(621A) 및 비탈면(631A)은 서로 동일한 각도를 형성하도록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탈면(621B) 및 비탈면(631B)이 서로 동일한 각도를 형성하도록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2.1 분리 부재(60)에 의한 분리 이동>
이어서, 화상 형성 장치(100)가 접촉 상태와 분리 상태 사이에서 전환될 때의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1)의 이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0a 및 도 20b는 분리 부재(60)에 의해 수행되는 현상 카트리지(1)의 분리 이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a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접촉 상태에서의 현상 카트리지(1)를 도시한다. 도 20b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분리 상태에서의 현상 카트리지(1)를 도시한다.
현상 카트리지(1)의 현상 롤러(30)가 감광 드럼(21)과 접촉하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접촉 상태에서,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경사면(621)의 비탈면(621A)은 제1 수용면(22)과 접촉하며 제2 경사면(631)의 비탈면(631A)은 제2 수용면(23)과 접촉한다.
더 정확하게는, 현상 카트리지(1)가 드로어(2)에 부착될 때, 비탈면(621A)은 제1 수용면(22)으로부터 분리되며, 비탈면(631A)은 제2 수용면(23)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현상 카트리지(1)가 제1 방향으로 미리결정된 거리만큼 이동함에 따라, 비탈면(621A)은 제1 수용면(22)과 접촉되며, 비탈면(631A)은 제2 수용면(23)과 접촉된다. 그런데, 현상 카트리지(1)가 드로어(2)에 부착될 때, 비탈면(621A)은 제1 수용면(22)과 접촉할 수 있으며, 비탈면(631A)은 제2 수용면(23)과 접촉할 수 있다.
제2 캠(63)이 가압 부재(104)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제2 캠(62)을 향해 가압될 때, 샤프트(61), 제1 캠(62), 및 제2 캠(63)은 케이싱(10) 및 현상 롤러(30)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1 경사면(621)의 비탈면(621A)은, 제1 수용면(22)과 접촉하면서, 제1 방향에서 제2 캠(63)으로부터 제1 캠(62)으로의 방향을 향해 이동한다. 또한, 제2 경사면(631)의 비탈면(631A)은, 제2 수용면(23)과 접촉하면서, 제1 방향에서 제2 캠(63)으로부터 제1 캠(62)으로의 방향을 향해 이동한다. 따라서, 제1 경사면(621) 또한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향에서 제1 수용면(2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한다. 또한, 제2 경사면(631) 또한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향에서 제2 수용면(2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을 통해, 현상 롤러(30)는 제2 방향에서 감광 드럼(21)으로부터 분리된다(도 18 참조).
샤프트(61), 제1 캠(62) 및 제2 캠(63)이 제1 방향에서 제2 캠(63)으로부터 제1 캠(62)으로의 방향을 향해 더 이동하면, 제1 경사면(621)의 비탈면(621B)은 제1 수용면(22)과 접촉하여 제1 수용면(22)을 따라 제1 방향에서 제2 캠(63)으로부터 제1 캠(62)으로의 방향을 향해 이동한다. 또한, 제2 경사면(631)의 비탈면(631B)은 제2 수용면(23)과 접촉하여 제2 수용면(23)을 따라 제1 방향에서 제2 캠(63)으로부터 제1 캠(62)으로의 방향을 향해 이동한다.
샤프트(61)가 제1 캠(62) 및 제2 캠(63)과 함께 다시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할 때, 제1 수용면(22)과 접촉하는 제1 경사면(621)의 일부는 상술한 메커니즘의 정반대인 메커니즘에 의해 제2 방향에서 샤프트(61)에 접근한다. 마찬가지로, 제2 수용면(23)과 접촉하는 제2 경사면(631)의 일부는 제2 방향에서 샤프트(61)에 접근한다. 따라서, 케이싱(10) 및 현상 롤러(30)는, 현상 롤러(30)가 제2 방향에서 감광 드럼(21)에 접근하도록 제2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접촉 상태가 된다.
<2.2. 제2 실시예의 유리한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가압 부재(104)로부터의 가압력은 샤프트(61)가 케이싱(10) 및 현상 롤러(30)에 대하여 제1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제1 경사면(621)이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61)의 이동에 의해 제1 수용면(22)과 접촉하는 경우, 제1 경사면(621)은 제1 수용면(22)을 따라 제2 방향으로 이동한다. 케이싱(10) 및 현상 롤러(30) 또한 제2 방향에서의 제1 경사면(621)의 이동에 따라 제2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1)는 현상 카트리지(1)의 양 단부에 작용하는 구동력에 의해서가 아니라 제1 방향으로 지향되는 구동력에 의해 제2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1)는 제1 경사면(621) 및 샤프트(61)를 갖는다. 따라서, 드럼 카트리지가 샤프트를 포함하는 경우에 비해, 샤프트(61)는 슬롯(2A)에 대한 현상 카트리지(1)의 부착 및 슬롯(2A)으로부터의 현상 카트리지(1)의 분리를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샤프트(61)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61)의 양 단부로부터의 구동력은 요구되지 않는다. 즉, 현상 카트리지(1)는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61)의 일 단부로부터 가해지는 구동력에 의해 이동가능하다.
제2 실시예에서도,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제1 방향에서의 현상 카트리지(1) 및 드로어(2)의 일 단부가 위치되는 메인 프레임(101)의 일 측에 배치되는 구동원을 더 포함한다. 구동원은 현상 롤러(30) 및 감광 드럼(21)을 회전시키게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가압 부재(104)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구동원으로서 작용하는 구동 유닛(103)은 구동원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0)의 구동원(즉, 구동 유닛(103) 및 현상 롤러(30) 및 감광 드럼(21)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은 현상 카트리지(1) 및 드로어(2)의 일 측에 집합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00)의 소형화가 실현될 수 있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1)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는 제1 방향에서의 드로어(2)의 양 단부에 배치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드로어(2)의 구성은 간단해질 수 있고, 드로어(2)는 소형화될 수 있다.
제1 방향에서의 제2 캠(63)으로부터 제1 캠(62)으로의 방향을 향한 제1 캠(62)의 이동 동안 제1 수용면(22)에 먼저 접촉하는 제1 경사면(621)의 비탈면(621A)은 비탈면(621B)보다 더 가파르다. 마찬가지로, 제1 방향에서의 제2 캠(63)으로부터 제1 캠(62)으로의 방향을 향한 제2 캠(63)의 이동 동안 제2 수용면(23)에 먼저 접촉하는 제2 경사면(631)의 비탈면(631A)은 비탈면(631B)보다 더 가파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 방향으로의 분리 부재(60)의 이동의 시작시에, 제2 방향에서의 분리 부재(60)의 이동량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방향에서의 분리 부재(60)의 이동량을 감소시키면서 감광 드럼(21)으로부터 현상 롤러(30)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에 대한 경사도가 비탈면(621A)보다 더 작은 비탈면(621B)은 제1 수용면(22)과 접촉하며, 제1 방향에 대한 경사도가 비탈면(631A)보다 더 작은 비탈면(631B)은 제2 수용면(23)과 접촉한다. 따라서, 분리 부재(60)는 제2 방향에서 더 적은 이동량으로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가압 부재(104)의 구동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3. 변형예>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상술한 실시예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분리 부재(60)는 제1 캠(62) 및 제2 캠(63)을 포함한다. 그러나, 분리 부재(60)는 제1 캠(62) 및 제2 캠(6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리 부재(60)는, 제1 경사면(621) 및 제2 경사면(63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캠(62)만이 제공되는 경우, 제1 경사면(621)만이 분리 부재(60)에 제공된다. 한편, 제2 캠(62)만이 제공되는 경우, 제2 경사면(631)만이 분리 부재(60)에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제1 경사면(621) 및 제2 경사면(631)은 제1 캠(62) 및 제2 캠(63)을 제공하지 않는 상태에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경사면(621) 및 제2 경사면(631)은, 샤프트(61)의 단부의 둘레면이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샤프트(61)를 기계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코일 스프링(64)은 탄성 부재의 일례로서 작용하지만,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64)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판 스프링, 토션 스프링, 고무, 스펀지 등과 같은 탄성을 갖는 재료가 탄성 부재로서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예에 나타나는 다양한 특징은 상충하는 조합을 회피하면서 함께 적절하게 조합될 수 있다.
1: 현상 카트리지, 2: 드로어, 2A: 슬롯, 10: 케이싱, 10A: 용기, 10B, 덮개, 10B1: 홈, 10B4: 구멍: 10B5: 구멍, 10C: 개구, 11: 제1 외표면, 12: 제2 외표면, 20: 교반기, 21: 감광 드럼, 22: 제1 수용면, 23: 제2 수용면, 30: 현상 롤러, 31: 현상 롤러 본체, 32: 현상 롤러 샤프트, 33: 현상 전극, 40: 기어부, 41: 체결부, 45: 커버, 51: IC 칩, 60: 분리 부재, 61: 샤프트, 62: 제1 캠, 63: 제2 캠, 64: 코일 스프링, 65: 와셔, 66: 커버, 100: 화상 형성 장치, 101: 메인 프레임, 102: 제어부, 103: 구동 유닛, 104: 가압 부재, 200: 프레임, 201: 제1 사이드 프레임, 201A: 제1 오목부, 202: 제2 사이드 프레임, 202A: 제2 오목부, 202B: 관통 구멍, 411: 체결 구멍, 621: 제1 경사면, 631: 제2 경사면

Claims (42)

  1. 현상 카트리지이며,
    내부에 현상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케이싱;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축 주위로 회전가능한 현상 롤러로서, 현상 롤러는 제2 방향에서의 일 단부 및 다른 단부를 포함하는 외주면을 갖고, 일 단부는 케이싱의 외부에 노출되고, 다른 단부는 케이싱의 내부에 위치되는, 현상 롤러;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축을 따라 연장되는 샤프트로서, 샤프트는 케이싱 및 현상 롤러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샤프트는 케이싱 및 현상 롤러와 함께 제2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샤프트는 제1 방향에서의 일 단부 및 다른 단부를 갖는, 샤프트; 및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의 일 단부에 위치되며 샤프트와 함께 이동가능한 제1 경사면으로서, 제1 경사면은 제2 방향에서의 제1 경사면과 현상 롤러 사이의 거리가 제1 방향에서 케이싱에 대해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제1 경사면을 포함하는 현상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샤프트는 제1 경사면을 가지며,
    제2 방향에서의 제2 축과 제1 경사면 사이의 거리가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의 일 단부로부터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의 다른 단부로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현상 카트리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경사면은 제1 방향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지는 현상 카트리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경사면은 샤프트의 둘레면에 위치되는 현상 카트리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경사면은 샤프트에 대해 경사지는 현상 카트리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경사면은 제2 방향에서의 샤프트의 일 단부에 위치되는 현상 카트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샤프트의 제2 방향에서의 일 단부는, 샤프트의 제2 방향에서의 다른 단부가 현상 롤러에 대해 위치되는 것보다 현상 롤러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현상 카트리지.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경사면과 제1 방향 사이의 각도가 43도 이상 47도 이하인 현상 카트리지.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경사면은 서로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비탈면 및 제2 비탈면을 포함하고,
    제1 비탈면은, 제2 비탈면이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의 다른 단부로부터 위치되는 것보다 제1 방향에서 샤프트의 다른 단부로부터 더 멀리 위치되며,
    제1 비탈면은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지고, 제2 비탈면은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지며, 제1 비탈면과 제1 방향 사이의 각도가 제2 비탈면과 제1 방향 사이의 각도보다 큰 현상 카트리지.
  10. 제9항에 있어서, 제1 비탈면과 제1 방향 사이의 각도는 43도 이상 47도 이하이며,
    제2 비탈면과 제1 방향 사이의 각도는 12도 이상 17도 이하인 현상 카트리지.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의 다른 단부에 위치되며 샤프트와 함께 이동가능한 제2 경사면을 더 포함하며, 제2 경사면은 제2 방향에서의 제2 경사면과 현상 롤러 사이의 거리가 제1 방향에서 케이싱에 대해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현상 카트리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샤프트에 부착되는 제2 캠을 더 포함하며, 제2 캠은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현상 카트리지.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샤프트는 제2 경사면을 가지며,
    제2 방향에서의 제2 축과 제2 경사면 사이의 거리가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의 일 단부로부터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의 다른 단부로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현상 카트리지.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경사면은 제1 방향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지는 현상 카트리지.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경사면은 샤프트의 둘레면에 위치되는 현상 카트리지.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경사면은 샤프트에 대해 경사지는 현상 카트리지.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경사면은 제2 방향에서의 샤프트의 일 단부에 위치되는 현상 카트리지.
  18. 제17항에 있어서, 샤프트의 제2 방향에서의 일 단부는 샤프트의 제2 방향에서의 다른 단부가 현상 롤러에 대해 위치되는 것보다 현상 롤러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현상 카트리지.
  19. 제1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경사면 사이의 각도가 43도 이상 47도 이하인 현상 카트리지.
  20. 제1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경사면은 서로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3 비탈면 및 제4 비탈면을 포함하고,
    제3 비탈면은, 제4 비탈면이 제1 방향에서 제1 경사면에 대해 위치되는 것보다 제1 경사면에 더 가깝게 위치되며,
    제3 비탈면은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지고, 제4 비탈면은 제1 방향에 대해 경사지고, 제3 비탈면과 제1 방향 사이의 각도가 제4 비탈면과 제1 방향 사이의 각도보다 큰 현상 카트리지.
  21. 제20항에 있어서, 제3 비탈면과 제1 방향 사이의 각도는 43도 이상 47도 이하이며,
    제4 비탈면과 제1 방향 사이의 각도는 12도 이상 17도 이하인 현상 카트리지.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방향은 케이싱의 외부로 노출되는 현상 롤러의 일 단부의 외주면과 교차하는 현상 카트리지.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샤프트는 케이싱에 대해 제2 축 주위로 회전가능하지 않은 현상 카트리지.
  24.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샤프트는 케이싱에 대해 제2 축 주위로 회전가능하며,
    제1 경사면은 케이싱에 대해 제2 축 주위로 샤프트와 함께 회전가능하고, 제1 경사면은 제2 축에 대해 중심맞춤된 원추 및 피라미드 중 하나의 측방향 표면인 현상 카트리지.
  25. 제1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샤프트는 케이싱에 대해 제2 축 주위로 회전가능하며,
    제2 경사면은 케이싱에 대해 제2 축 주위로 샤프트와 함께 회전가능하며, 제2 경사면은 제2 축에 중심맞춤된 원추 및 피라미드 중 하나의 측방향 표면인 현상 카트리지.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싱은,
    내부에 현상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개구를 갖는 용기; 및
    용기의 개구를 덮으며 제1 방향으로 덮개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갖는 덮개를 포함하며,
    샤프트는 관통 구멍 내로 삽입되는 현상 카트리지.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현상 카트리지는 드럼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것이고,
    샤프트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케이싱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케이싱은 샤프트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드럼 카트리지에 대해 샤프트와 함께 제2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현상 카트리지.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현상 카트리지는 감광 드럼을 포함하는 드럼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것이고,
    샤프트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케이싱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케이싱은 샤프트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감광 드럼에 대해 샤프트와 함께 제2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현상 카트리지.
  29. 제28항에 있어서, 제1 경사면은, 샤프트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드럼 카트리지의 일부와 접촉하면서 드럼 카트리지의 일부에 대해 활주식으로 이동가능하며,
    케이싱 및 현상 롤러는 제1 경사면이 드럼 카트리지의 일부에 대해 활주식으로 이동될 때 제2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현상 카트리지.
  30. 제1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현상 카트리지는 감광 드럼을 포함하는 드럼 카트리지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것이고, 드럼 카트리지는 제1 수용면 및 제1 수용면과는 상이한 제2 수용면을 포함하고,
    샤프트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케이싱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케이싱은 샤프트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감광 드럼에 대해 샤프트와 함께 제2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제1 경사면은, 샤프트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제1 수용면과 접촉하면서 제1 수용면에 대해 활주식으로 이동가능하고,
    제2 경사면은, 샤프트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제2 수용면과 접촉하면서 제2 수용면에 대해 활주식으로 이동가능하며,
    케이싱 및 현상 롤러는, 제1 경사면이 제1 수용면에 대해 활주식으로 이동되고 제2 경사면이 제2 수용면에 대해 활주식으로 이동될 때, 제2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현상 카트리지.
  31. 제11항 내지 제21항 및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샤프트는, 제2 경사면이 제1 방향에서의 샤프트의 다른 단부로부터 일 단부로 지향되는 가압력을 수취할 때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가능한 현상 카트리지.
  32. 제31항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 연장 및 수축하도록 구성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탄성 부재는 제1 방향에서의 일 단부 및 다른 단부를 갖고, 제1 방향에서의 탄성 부재의 일 단부는 제2 경사면에 연결되고, 제1 방향에서의 탄성 부재의 다른 단부는 케이싱에 연결되는 현상 카트리지.
  33. 제32항에 있어서, 탄성 부재는 제1 길이와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 사이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 및 수축하도록 구성되는 코일 스프링이고, 탄성 부재는 샤프트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1 길이를 제공하며, 탄성 부재는 샤프트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2 길이를 제공하는 현상 카트리지.
  34.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싱은 제1 외표면 및 제1 외표면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제2 외표면을 갖고, 제1 외표면은 제1 방향에서의 케이싱의 일 단부이고, 제2 외표면은 제1 방향에서의 케이싱의 다른 단부이며,
    제1 경사면은 제1 외표면에 위치되고, 제1 경사면은 제1 방향에서의 제1 외표면으로부터 제2 외표면을 향하는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현상 롤러로부터 멀어지게 경사지는 현상 카트리지.
  35. 제34항에 있어서, 현상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체결부를 더 포함하며, 체결부는 제2 외표면에 위치되는 현상 카트리지.
  36. 제35항에 있어서, 체결부는, 샤프트 및 제1 경사면이 제2 방향에서 현상 롤러에 대해 위치되는 것보다 현상 롤러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현상 카트리지.
  37. 제35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체결부는 구동력을 수취하도록 구성되며,
    샤프트는 제2 외표면으로부터 제1 외표면으로 지향되는 가압력을 수취하도록 구성되는 현상 카트리지.
  38. 제34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외표면에 위치되며 현상 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을 더 포함하는 현상 카트리지.
  39. 제38항에 있어서, 전극은, 샤프트 및 제1 경사면이 제2 방향에서 현상 롤러에 대해 위치되는 것보다 현상 롤러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현상 카트리지.
  40. 제1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축 주위로 회전가능한 교반기를 더 포함하고, 교반기는 현상제를 교반하도록 구성되며,
    현상 롤러는 제2 방향에서 교반기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현상 카트리지.
  41. 제40항에 있어서, 교반기는, 샤프트가 제2 방향에서 현상 롤러에 대해 위치되는 것보다 현상 롤러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현상 카트리지.
  42. 제1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샤프트에 부착되는 제1 캠을 더 포함하며, 제1 캠은 제1 경사면을 포함하는 현상 카트리지.
KR1020227003417A 2018-03-30 2018-09-27 현상 카트리지 KR102466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39218A KR102531490B1 (ko) 2018-03-30 2018-09-27 현상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67898A JP7047541B2 (ja) 2018-03-30 2018-03-30 現像カートリッジ
JPJP-P-2018-067898 2018-03-30
KR1020207027843A KR102359196B1 (ko) 2018-03-30 2018-09-27 현상 카트리지
PCT/JP2018/035971 WO2019187234A1 (en) 2018-03-30 2018-09-27 Developing cartridg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7843A Division KR102359196B1 (ko) 2018-03-30 2018-09-27 현상 카트리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9218A Division KR102531490B1 (ko) 2018-03-30 2018-09-27 현상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073A true KR20220019073A (ko) 2022-02-15
KR102466797B1 KR102466797B1 (ko) 2022-11-14

Family

ID=67437125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3417A KR102466797B1 (ko) 2018-03-30 2018-09-27 현상 카트리지
KR1020227039218A KR102531490B1 (ko) 2018-03-30 2018-09-27 현상 카트리지
KR1020237015580A KR102646346B1 (ko) 2018-03-30 2018-09-27 현상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 조립체
KR1020207027843A KR102359196B1 (ko) 2018-03-30 2018-09-27 현상 카트리지
KR1020247007388A KR20240034884A (ko) 2018-03-30 2018-09-27 현상 카트리지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9218A KR102531490B1 (ko) 2018-03-30 2018-09-27 현상 카트리지
KR1020237015580A KR102646346B1 (ko) 2018-03-30 2018-09-27 현상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 조립체
KR1020207027843A KR102359196B1 (ko) 2018-03-30 2018-09-27 현상 카트리지
KR1020247007388A KR20240034884A (ko) 2018-03-30 2018-09-27 현상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6) US10459399B2 (ko)
EP (2) EP3998510A1 (ko)
JP (1) JP7047541B2 (ko)
KR (5) KR102466797B1 (ko)
CN (2) CN110557962B (ko)
AU (2) AU2018416582B2 (ko)
BR (1) BR112020019970A2 (ko)
CA (2) CA3094933A1 (ko)
ES (1) ES2907700T3 (ko)
PL (1) PL3571551T3 (ko)
RU (1) RU2754788C1 (ko)
WO (1) WO20191872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05346B2 (ja) 2019-03-28 2023-01-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7331411B2 (ja) * 2019-03-28 2023-08-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7230638B2 (ja) * 2019-03-28 2023-03-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7259481B2 (ja) * 2019-03-28 2023-04-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US11454901B2 (en) 2020-08-10 2022-09-27 Jiangxi Yibo E-Tech Co. Ltd. Developing cartridge
DE212021000253U1 (de) * 2020-08-10 2022-08-31 Jiangxi Yibo E-Tech Co., Ltd. Entwicklungskartusche, Trommelkartusche und Bilderzeugungsvorrichtung
JP2022117011A (ja) 2021-01-29 2022-08-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
JP2023151717A (ja) * 2022-04-01 2023-10-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6228A (ko) * 2001-02-09 2002-08-1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프로세스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 부재를 감광드럼에서 분리하는 분리 기구
KR20040028545A (ko) * 2002-09-30 2004-04-03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현상 카트리지, 측면 커버 장착 방법 및 전자 사진 화상형성 장치
KR20050021343A (ko) * 2003-08-29 2005-03-07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20080091859A (ko) * 2006-03-10 2008-10-1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입구 및 출구 포트를 구비한 폐색부, 일체식 혼합 볼을 구비한 용기, 및 샘플로부터 물질을 분리하는 방법
KR20110059510A (ko) 2009-11-27 2011-06-02 주식회사 에스앤에스텍 블랭크 마스크, 포토마스크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30054058A (ko) 2011-11-16 2013-05-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화물 적재용 팔레트
JP2017142473A (ja) * 2015-02-27 2017-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ドラムユニット、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8172A (ja) * 1986-11-05 1988-05-23 Olympus Optical Co Ltd 現像装置
US6385420B1 (en) * 1999-10-06 2002-05-07 Canon Kabushiki Kaisha Charging apparatus for contacting and separating charging member by use of moving force of body to be charged
JP4378299B2 (ja) * 2004-02-20 2009-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100605165B1 (ko) * 2004-08-13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4040636B2 (ja) 2005-03-24 2008-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661507B2 (ja) 2005-09-30 2011-03-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581948B2 (ja) * 2005-09-30 2010-11-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ES2358979T3 (es) * 2005-12-27 2011-05-1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Cartucho revelador y dispositivo de formación de imágenes.
EP3144735A1 (en) * 2006-02-13 2017-03-22 Zhuhai Seine Technology Limited A developer cartridge
JP4464435B2 (ja) * 2006-12-11 2010-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645633B2 (ja) * 2007-09-28 2011-03-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排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111238B2 (ja) * 2008-05-27 2013-01-0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KR101529490B1 (ko) * 2008-10-24 2015-06-30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JP5300599B2 (ja) * 2009-06-01 2013-09-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供給装置
JP4860738B2 (ja) * 2009-09-03 2012-01-25 シャープ株式会社 定着装置
JP4968301B2 (ja) 2009-09-11 2012-07-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タンデム型感光体ユニット
JP2011186378A (ja) * 2010-03-11 2011-09-22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762054B2 (ja) * 2010-03-16 2015-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707883B2 (ja) * 2010-11-12 2015-04-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ユニット
JP4941604B2 (ja) * 2011-05-12 2012-05-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884343B2 (ja) 2011-08-31 2016-03-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JP5817404B2 (ja) * 2011-09-30 2015-11-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84311B2 (ja) 2012-12-14 2017-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40132611A (ko) * 2013-05-08 2014-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6292077B2 (ja) * 2014-03-06 2018-03-14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端部部材、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現像ローラユニット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BR122018074174B1 (pt) * 2014-11-28 2023-12-19 Canon Kabushiki Kaisha Cartucho montável a um conjunto principal de aparelho de um aparelho formador de imagem
JP6486148B2 (ja) * 2015-02-27 2019-03-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
US9360834B1 (en) * 2015-09-15 2016-06-07 Lexmark Internationa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positioning features for electrical contacts
US10073408B2 (en) * 2016-03-11 2018-09-1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pressing member configured to press a development unit
JP6746330B2 (ja) * 2016-03-11 2020-08-2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918512B2 (ja) * 2016-03-11 2021-08-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776567B2 (ja) * 2016-03-18 2020-10-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46559B2 (ja) * 2016-03-31 2019-07-17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処理装置、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206178343U (zh) * 2016-04-15 2017-05-17 珠海艾派克科技股份有限公司 显影盒
JP6729118B2 (ja) * 2016-07-15 2020-07-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6228A (ko) * 2001-02-09 2002-08-1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프로세스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 부재를 감광드럼에서 분리하는 분리 기구
KR20040028545A (ko) * 2002-09-30 2004-04-03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현상 카트리지, 측면 커버 장착 방법 및 전자 사진 화상형성 장치
KR20050021343A (ko) * 2003-08-29 2005-03-07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20080091859A (ko) * 2006-03-10 2008-10-1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입구 및 출구 포트를 구비한 폐색부, 일체식 혼합 볼을 구비한 용기, 및 샘플로부터 물질을 분리하는 방법
KR20110059510A (ko) 2009-11-27 2011-06-02 주식회사 에스앤에스텍 블랭크 마스크, 포토마스크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30054058A (ko) 2011-11-16 2013-05-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화물 적재용 팔레트
JP2017142473A (ja) * 2015-02-27 2017-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ドラムユニット、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54788C1 (ru) 2021-09-07
JP7047541B2 (ja) 2022-04-05
EP3571551A4 (en) 2020-03-11
KR20200124283A (ko) 2020-11-02
AU2022202159A1 (en) 2022-04-21
US10459399B2 (en) 2019-10-29
KR102466797B1 (ko) 2022-11-14
CA3177903A1 (en) 2019-10-03
US11256208B2 (en) 2022-02-22
WO2019187234A1 (en) 2019-10-03
KR102531490B1 (ko) 2023-05-10
ES2907700T3 (es) 2022-04-26
AU2018416582A1 (en) 2020-10-15
CN110557962B (zh) 2021-03-09
AU2018416582B2 (en) 2022-01-27
PL3571551T3 (pl) 2022-04-19
CN112947019A (zh) 2021-06-11
JP2019179128A (ja) 2019-10-17
US20200257241A1 (en) 2020-08-13
US10962923B2 (en) 2021-03-30
EP3571551B1 (en) 2022-02-09
CA3094933A1 (en) 2019-10-03
US20190302682A1 (en) 2019-10-03
EP3571551A1 (en) 2019-11-27
US11714378B2 (en) 2023-08-01
KR102646346B1 (ko) 2024-03-08
BR112020019970A2 (pt) 2021-01-05
US20200033789A1 (en) 2020-01-30
AU2022202159B2 (en) 2024-03-07
US20240027953A1 (en) 2024-01-25
US20220137549A1 (en) 2022-05-05
KR102359196B1 (ko) 2022-02-08
KR20240034884A (ko) 2024-03-14
US10649397B2 (en) 2020-05-12
KR20230069257A (ko) 2023-05-18
CN110557962A (zh) 2019-12-10
KR20220155405A (ko) 2022-11-22
US20210208532A1 (en) 2021-07-08
EP3998510A1 (en) 202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9196B1 (ko) 현상 카트리지
US11204579B2 (en) Drawer including photosensitive drum and fram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US11099516B2 (en) Drawer including photosensitive drum and frame having guide roller
US11126139B2 (en) Developing cartridge including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elastic member, and first protrusion
CN110320781B (zh) 图像形成设备
CN110320772B (zh) 抽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