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2611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2611A
KR20140132611A KR1020130052047A KR20130052047A KR20140132611A KR 20140132611 A KR20140132611 A KR 20140132611A KR 1020130052047 A KR1020130052047 A KR 1020130052047A KR 20130052047 A KR20130052047 A KR 20130052047A KR 20140132611 A KR20140132611 A KR 20140132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cam portion
developing
lever
develop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2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민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2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2611A/ko
Priority to US14/258,244 priority patent/US9229424B2/en
Publication of KR20140132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6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1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mean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process cartridge, e.g. attachment, positioning of parts with each other, pressure/distance regul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광체를 포함하는 감광체유닛과, 감광체와 접촉하거나 이격되는 현상롤러를 포함하는 현상유닛과, 현상유닛을 가압하여 감광체와 현상롤러가 접촉하거나 이격되도록 하는 가압장치를 포함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압장치는 그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현상유닛을 가압하는 레버와, 회전하며 레버가 회전하도록 하는 캠을 포함하여 캠의 회전에 따라 레버가 점진적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레버를 통해 현상유닛에 가해지는 힘이 점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함으로써 현상유닛의 급격한 동작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예방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현상롤러와 감광체를 접촉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는 그 내부에 감광체를 포함하는 감광체유닛과, 감광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유닛과,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제를 통해 가시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롤러를 포함한 현상유닛을 포함한다.
현상롤러를 감광체에 접촉시켜 현상제를 공급하는 구조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화상 형성이 진행될 경우에는 현상롤러와 감광체를 서로 접촉시키고, 화상 형성이 진행되지 않을 경우에는 현상롤러와 감광체를 서로 분리시켜 현상롤러와 감광체 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보다 현상유닛에 가해지는 힘이 점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하여 현상유닛을 동작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를 포함하는 감광체유닛과, 상기 감광체와 접촉하거나 이격되는 현상롤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상유닛과,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감광체와 상기 현상롤러가 접촉하거나 이격되도록 하는 가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장치는 그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버와, 회전하며 상기 레버가 회전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캠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캠은 그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캠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는 상기 캠부와 상호 작용하며 상기 레버가 상기 캠의 축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캠부는 상기 캠의 외주면에 오목 형성된 캠 홈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레버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캠 홈 내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캠부는 상기 캠의 외주면에 볼록 형성된 캠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레버로부터 돌출되어 사이에 상기 캠 돌기가 삽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캠부는 상기 캠에 제 1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 1 캠부와, 상기 캠에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 2 캠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상유닛은 복수의 현상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버는 상기 복수의 현상유닛을 각각 가압하는 복수의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은 상기 복수의 레버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캠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캠에 각각 마련된 캠부는 원주 방향으로 상기 제 1 캠부와 상기 제 2 캠부가 차례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캠부 및 상기 제 2 캠부는 상기 캠의 원주 방향으로 각각 180도 각도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캠부는 상기 캠의 회전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 3 캠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상유닛은 흑백 현상을 위한 제 1 현상유닛과, 컬러 현상을 위한 복수의 제 2 현상유닛들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버는 상기 제 1 현상유닛을 가압하는 제 1 레버와, 상기 복수의 제 2 현상유닛들을 각각 가압하는 복수의 제 2 레버들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은 상기 제 1 레버를 회전시키는 제 1 캠과, 상기 제 2 레버들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제 2 캠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캠에 마련된 상기 캠부는 원주 방향으로 상기 제 1 캠부, 상기 제 3 캠부와 상기 제 2 캠부가 차례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 2 캠들 각각에 마련된 캠부는 원주 방향으로 상기 제 1 캠부, 상기 제 2 캠부 및 상기 제 3 캠부가 차례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상유닛은 흑백 현상을 위한 제 1 현상유닛과, 컬러 현상을 위한 복수의 제 2 현상유닛들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버는 상기 제 1 현상유닛을 가압하는 제 1 레버와, 상기 복수의 제 2 현상유닛들을 각각 가압하는 복수의 제 2 레버들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은 상기 제 1 레버를 회전시키는 제 1 캠과, 상기 제 2 레버들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제 2 캠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캠에 마련된 캠부는 원주 방향으로 상기 제 1 캠부, 상기 제 3 캠부 및 상기 제 2 캠부가 차례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 2 캠들에 각각 마련된 캠부는 원주 방향으로 상기 제 3 캠부, 상기 제 1 캠부 및 상기 제 2 캠부가 차례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캠부, 상기 제 2 캠부 및 상기 제 3 캠부는 상기 캠의 원주 방향으로 각각 120도 각도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은 복수의 캠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캠이 그 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하나의 구동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압장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웜과,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며 상기 웜과 이물림되는 웜 휠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현상유닛은 상기 감광체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압장치는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현상유닛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서로 접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현상유닛은 그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레버의 하단에 의해 가압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감광체유닛에 탄성 지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를 각각 포함한 네 개의 감광체유닛과, 상기 네 개의 감광체유닛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감광체에 접촉하거나 이격되는 현상롤러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현상유닛과, 상기 네 개의 현상유닛이 회전하도록 가압하는 가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현상유닛은 흑백 화상의 현상을 위한 하나의 제 1 현상유닛과 컬러 화상의 현상을 위한 세 개의 제 2 현상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장치는 회전하며 상기 제 1 현상유닛을 가압하는 제 1 레버와, 회전하며 상기 세 개의 제 2 현상유닛을 각각 가압하는 세 개의 제 2 레버와, 회전하며 상기 제 1 레버가 회전하도록 하는 제 1 캠과, 상기 세 개의 제 2 레버와 각각 상호 작용하며 상기 세 개의 제 2 레버가 각각 회전하도록 하는 세 개의 제 2 캠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레버는 캠의 회전에 따라 점진적으로 회전하며 현상유닛에 힘을 가하므로, 현상유닛에 가해지는 힘이 점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게 되므로, 현상유닛의 급격한 이동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충격은 대폭 감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된 현상유닛, 감광체 유닛 및 가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된 가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장치의 동작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된 캠들의 전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된 캠들의 전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된 캠들의 전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된 레버 및 캠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10), 인쇄매체 공급유닛(20), 광주사유닛(30), 현상유닛(40), 감광체유닛(50), 전사유닛(60), 정착유닛(70) 및 인쇄매체 배출유닛(80)을 구비한다.
본체(10)는 화상형성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한다.
인쇄매체 공급유닛(20)은 인쇄매체(S)가 보관되는 카세트(21)와, 카세트(21)에 보관된 인쇄매체(S)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2)와, 픽업된 인쇄매체를 전사유닛(60)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롤러(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주사유닛(30)은 현상유닛(40)의 하부에 배치되어 화상 정보에 상응하는 광을 감광체(52)들에 주사하여 감광체(52)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현상유닛(40Y, 40M, 40C, 40K)은 흑백 화상을 현상하기 위한 하나의 제 1 현상유닛(40K)과, 컬러 화상을 현상하기 위한 세 개의 제 2 현상유닛(40Y, 40M, 40C)들을 포함한다. 제 1 현상유닛(40K)은 블랙(K) 색상의 현상제를 수용하며, 세 개의 제 2 현상유닛(40Y, 40M, 40C)들은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색상의 현상제를 각각 수용한다.
현상유닛(40Y, 40M, 40C, 40K)들은 현상롤러(42), 공급롤러(46)를 각각 포함한다. 공급롤러(46)는 현상제를 현상롤러(42)에 공급하며, 현상롤러(42)는 정전잠상이 형성되어 있는 감광체(52)의 표면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유닛(50Y, 50M, 50C, 50K)은 복수의 현상유닛(40Y, 40M, 40C, 40K)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감광체유닛(50Y, 50M, 50C, 50K)을 포함하며, 감광체(52)와 대전기(53)를 포함한다. 대전기(53)는 감광체(52)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며, 대전기(53)에 의해 대전된 감광체(52)의 표면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감광체유닛(50Y, 50M, 50C, 50K)은 흑백 화상의 형성을 위한 하나의 제 1 감광체유닛(50K)과, 컬러 화상의 형성을 위한 세 개의 제 2 감광체유닛(50Y, 50M, 50C)을 포함한다.
전사유닛(60)은 각각의 감광체유닛(50Y, 50M, 50C, 50K)의 감광체(52)에 접촉하여 순환 주행하는 전사벨트(61)와, 전사벨트(61)가 주행하도록 구동하는 구동롤러(62), 전사벨트(61)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롤러(63), 각각의 감광체유닛(50Y, 50M, 50C, 50K)의 감광체(52)에 현상되어 있는 가시화상이 전사벨트(61)에 전사되도록 하는 4개의 제 1 전사롤러(64Y, 64M, 64C, 64K)와, 전사벨트(61)가 개재된 상태로 구동롤러(62)와 대향되어 전사벨트(61)의 가시화상이 인쇄매체에 전사되도록 하는 제 2 전사롤러(65)를 포함한다.
정착유닛(70)은 열원을 갖는 가열롤러(71)와, 가열롤러(71)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가압롤러(72)를 구비한다. 인쇄매체가 가열롤러(71)와 가압롤러(72) 사이를 통과할 때, 가열롤러(71)로부터 전달되는 열과 가열롤러(71)와 가압롤러(72) 사이에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화상이 인쇄매체에 정착된다.
인쇄매체 배출유닛(80)은 배지롤러(81)를 포함하여 정착유닛(70)을 통과한 인쇄매체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한다.
상술한 현상유닛(40K, 40Y, 40M, 40C)의 현상롤러(41)는 화상형성이 진행될 경우에는 감광체(52)와 접하여 감광체(52)에 현상제를 전달하고, 화상형성이 진행되지 않을 경우에는 감광체(52)와 이격된다.
이를 위해 현상유닛(40K, 40Y, 40M, 40C)은 감광체유닛(50K, 50Y, 50M, 50C)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현상유닛(40K, 40Y, 40M, 40C)의 상측에는 현상유닛(40K, 40Y, 40M, 40C)에 힘을 가해 현상유닛(40K, 40Y, 40M, 40C)이 회전하도록 하는 가압장치(90)가 배치된다.
도 2에는 제 1 현상유닛(40K), 제 1 감광체유닛(50K), 가압장치(90)의 제 1 레버(91A) 및 제 1 캠(92A)의 설치 구조가 예로써 개시되어 있는데, 개시되어 있지 않은 제 2 현상유닛(40Y, 40M, 40C), 제 2 감광체유닛(50Y, 50M, 50C) 제 2 레버(91B) 및 제 2 캠(92B)도 동일한 배치 구조를 가지므로 아래 설명에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은 부호를 포함하여 설명한다.
또한 감광체유닛(50K, 50Y, 50M, 50C)과 현상유닛(40K, 40Y, 40M, 40C) 사이에는 현상유닛(40K, 40Y, 40M, 40C)을 감광체유닛(50K, 50Y, 50M, 50C)으로 탄성 지지하여 가압장치(90)에 의해 회전한 현상유닛(40K, 40Y, 40M, 40C)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42)가 설치되며, 현상유닛(40K, 40Y, 40M, 40C)에는 그 상측으로 돌출되어 가압장치(90)로부터 힘을 전달받는 돌출부(43)가 구비된다.
가압장치(90)는 도 2 및 도 3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현상유닛(40K, 40Y, 40M, 40C)의 돌출부(43)에 힘을 가하는 레버(91A, 91B)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레버(91A, 91B)가 회전하도록 하는 캠(92A, 92B)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레버(91A, 91B)와 캠(92A, 92B)은 네 개의 현상유닛(40K, 40Y, 40M, 40C)을 개별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각각 네 개씩 구비되며, 네 개의 레버(91A, 91B)는 본체(10) 내부에 설치된 지지브래킷(97)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가압장치(90)는 지지브래킷(97)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네 개의 캠(92A, 92B)이 그 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하나의 구동축(93)과, 구동모터(미도시)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웜(94)과, 구동축(93)에 설치되며 웜(94)과 이물림되어 웜(94)에 의해 회전하며 구동축(93)을 회전시키는 웜 휠(95)을 포함한다.
레버(91A, 91B)들은 그 상단이 지지브래킷(97)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그 하단이 돌출부(43)에 힘을 가하도록 되어 있다. 레버(91A, 91B)들 중 하나는 제 1 현상유닛(40K)을 가압하는 제 1 레버(91A)이며, 나머지 세 개의 레버(91B)는 제 2 현상유닛(40Y, 40M, 40C)들을 각각 가압하는 제 2 레버(91B)들이다.
각 레버(91A, 91B)는 그 일측면에 마련되며 각 레버에 대응하는 캠(92A, 92B)에 의해 각각 안내되는 가이드부(911)를 각각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911)는 레버(91A, 91B)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가이드돌기로 이루어진다.
캠(92A, 92B)은 제 1 현상유닛(40K)을 가압하는 제 1 레버(91A)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캠(92A)과, 세 개의 제 2 현상유닛(40Y, 40M, 40C)들을 각각 가압하는 세 개의 제 2 레버(91B)들을 각각 회전시키기 위한 세 개의 제 2 캠(92B)들을 포함한다.
각 캠(92A, 92B)에는 가이드부(911)를 안내하기 위한 캠부(921)가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9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돌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캠부(921)는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안내될 수 있도록 오목 형성된 캠홈으로 이루어진다.
캠부(921)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92A, 92B)에 제 1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가이드부(911)를 제 1 방향으로 안내하여 레버(91A, 91B)가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제 1 캠부(921a)와, 캠(92A, 92B)에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가이드부(911)를 제 2 방향으로 안내하여 레버(91A, 91B)가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제 2 캠부(921b)와, 캠(92A, 92B)의 회전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캠(92A, 92B)이 회전하더라도 레버(91A, 91B)가 일정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는 제 3 캠부(921c)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버(91A, 91B)가 제 1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현상롤러(41)는 감광체(52)와 접하며, 레버(91A, 91B)가 제 2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현상롤러(41)는 감광체(52)와 이격된다.
본 실시예에서 화상형성장치는 구동축(93)의 일회전에 따라 모든 현상롤러(41)들이 감광체(52)와 이격되어 있는 준비 상태와, 모든 현상롤러(41)들이 감광체(52)와 접하여 컬러 화상의 인쇄가 가능한 컬러 인쇄 상태와, 제 1 현상롤러(41)만이 감광체(52)와 접하고 나머지 제 2 현상롤러(41)들은 감광체(52)들과 각각 이격되어 흑백 화상의 인쇄만이 가능한 흑백 인쇄 상태를 차례로 반복하도록 되어 있다. 즉, 구동축(93)의 일 회전에 따라 현상유닛(40K, 40Y, 40M, 40C)들은 준비 상태 - 컬러 인쇄 상태 - 흑백 인쇄 상태로 차례로 변경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현상유닛(40K, 40Y, 40M, 40C)들이 준비 상태 - 컬러 인쇄 상태 - 흑백 인쇄 상태를 차례로 전환되도록 하기 위해 제 1 캠(92A)에 형성된 캠부(921)는 제 1 캠부(921a), 제 3 캠부(921c) 및 제 2 캠부(921b)가 원주 방향으로 차례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제 2 캠(92B)들에 각각 형성된 캠부(921)는 제 1 캠부(921a), 제 2 캠부(921b) 및 제 3 캠부(921c)가 차례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캠부(921a), 제 2 캠부(921b) 및 제 3 캠부(921c)는 각각 120도 각도로 연장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초기에 모든 현상유닛(40K, 40Y, 40M, 40C)들의 현상롤러(41)들은 감광체(52)들로부터 각각 이격되어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을 수행할 수 없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화상형성이 필요하여 구동모터(96)를 통해 구동축(93)을 120도 각도 회전시키면, 구동축(93)의 회전에 따라 캠(92A, 92B)들이 120도 각도로 회전한다.
캠(92A, 92B)들의 회전에 따라 캠(92A, 92B)들에 각각 마련된 제 1 캠부(921a)들에 의해 레버(91A, 91B)들에 각각 마련된 가이드부(911)들은 제 1 방향으로 안내되고, 그에 따라 레버(91A, 91B)들이 제 1 방향으로 회전하여 현상유닛(40K, 40Y, 40M, 40C)들에 가해지던 힘은 해제된다. 현상유닛(40K, 40Y, 40M, 40C)들에 가해지던 힘이 해제되면 현상유닛(40K, 40Y, 40M, 40C)들은 탄성부재(4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각 현상유닛(40K, 40Y, 40M, 40C)에 마련된 현상롤러(41)가 각 감광체유닛(50K, 50Y, 50M, 50C)에 마련된 감광체(52)에 각각 접하게 되므로 화상형성장치는 컬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구동축(93)을 다시 120도 각도 회전시키면, 제 1 캠(92A)에 마련된 제 3 캠부(921c)에 의해 제 1 레버(91A)에 마련된 가이드부(911)는 제 1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제 1 현상유닛(40K)의 현상롤러(41)는 제 1 감광체유닛(50K)의 감광체(52)와 접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또한 제 2 캠(92B)들에 마련된 제 2 캠부(921b)들에 의해 제 2 레버(91B)들에 각각 마련된 가이드부(911)들은 제 2 방향으로 안내되고, 그에 따라 제 2 레버(91B)들이 제 2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2 현상유닛(40Y, 40M, 40C)들에 힘을 가한다.
제 2 레버(91B)들에 의해 제 2 현상유닛(40Y, 40M, 40C)들에 힘이 가해지면 제 2 현상유닛(40Y, 40M, 40C)들이 회전하면서 제 2 현상유닛(40Y, 40M, 40C)들에 각각 마련된 현상롤러(41)들은 제 2 감광체유닛(50Y, 50M, 50C)들에 각각 마련된 감광체(52)들과 각각 이격되어 화상을 형성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흑백 화상의 형성이 가능한 제 1 현상유닛(40K)의 현상롤러(41)는 제 1 감광체유닛(50K)의 감광체(52)에 접하고 있는데 반해 컬러 화상의 형성이 가능한 제 2 현상유닛(40Y, 40M, 40C)들의 현상롤러(41)들은 제 2 감광체유닛(50Y, 50M, 50C)들의 감광체(52)들과 각각 이격되므로, 화상형성장치는 흑백 화상만을 형성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계속해서 구동축(93)을 다시 120도 각도로 회전하면 제 1 캠(92A)에 마련된 제 2 캠부(921b)에 의해 제 1 레버(91A)에 마련된 가이드부(911)는 제 2 방향으로 안내되고, 그에 따라 제 1 레버(91A)들이 제 2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 현상유닛(40K)들에 힘을 가한다. 제 1 레버(91A)에 의해 제 1 현상유닛(40K)에 힘이 가해지면 제 1 현상유닛(40K)이 회전하면서 제 1 현상유닛(40K)에 마련된 현상롤러(41)는 제 1 감광체유닛(50K)에 마련된 감광체와 이격되어 흑백 화상을 형성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또한 제 2 캠(92B)들에 마련된 제 3 캠부(921c)에 의해 제 2 레버(91B)들은 제 2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제 2 현상유닛(40Y, 40M, 40C)들의 현상롤러(41)들은 제 2 감광체유닛(50Y, 50M, 50C)들의 감광체(52)들과 각각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컬러 화상을 형성할 수 없는 상태가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유닛(40K, 40Y, 40M, 40C)들에 마련된 현상롤러(41)들은 감광체유닛(50K, 50Y, 50M, 50C)들에 마련된 감광체(52)와 각각 이격되므로,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을 형성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 화상형성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축(93)의 일 회전에 따라 준비 상태 - 컬러 인쇄 상태 - 흑백 인쇄 상태를 차례로 반복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준비 상태 - 흑백 인쇄 상태 - 컬러 인쇄 상태를 차례로 반복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현상유닛(40K, 40Y, 40M, 40C)들이 준비 상태 - 흑백 인쇄 상태 - 컬러 인쇄 상태로 차례로 전환되도록 하기 위해 제 1 캠(92A)에 형성된 캠부(921)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캠부(921a), 제 3 캠부(921c) 및 제 2 캠부(921b)가 원주 방향으로 차례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제 2 캠(92B)들에 각각 형성된 캠부(921)는 제 3 캠부(921c), 제 1 캠부(921a) 및 제 2 캠부(921b)가 차례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캠부(921a), 제 2 캠부(921b) 및 제 3 캠부(921c)는 각각 120도 각도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현상유닛(40K, 40Y, 40M, 40C)들은 구동축(93)의 일 회전에 따라 준비 상태 - 컬러 인쇄 상태가 교대로 반복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캠(92A, 92B)들에 마련된 캠부(921)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두 제 1 캠부(921a)와 제 2 캠부(921b)가 차례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제 1 캠부(921a)와 제 2 캠부(921b)는 각각 180도 각도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911)는 하나의 가이드돌기로 형성되어 캠 홈으로 형성된 캠부(921) 내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911a)가 레버(91')에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돌기로 형성되도록 하고 캠(92')의 캠부(921')가 두 개의 가이드돌기로 이루어진 가이드부(911a) 내에 삽입되는 캠 돌기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다는 점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화상형성장치 10: 본체
20: 인쇄매체 공급유닛 30: 광주사유닛
40: 현상유닛 41: 현상롤러
50: 감광체유닛 51: 감광체
60: 전사유닛 70: 정착유닛
80: 인쇄매체 배출유닛 90: 가압장치
91A, 91B: 레버 92A, 92B: 캠

Claims (20)

  1. 감광체를 포함하는 감광체유닛과,
    상기 감광체와 접촉하거나 이격되는 현상롤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상유닛과,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감광체와 상기 현상롤러가 접촉하거나 이격되도록 하는 가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장치는 그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버와, 회전하며 상기 레버가 회전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캠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그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캠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는 상기 캠부와 상호 작용하며 상기 레버가 상기 캠의 축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상기 캠의 외주면에 오목 형성된 캠 홈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레버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캠 홈 내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상기 캠의 외주면에 볼록 형성된 캠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레버로부터 돌출되어 사이에 상기 캠 돌기가 삽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상기 캠에 제 1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 1 캠부와, 상기 캠에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 2 캠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상유닛은 복수의 현상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버는 상기 복수의 현상유닛을 각각 가압하는 복수의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은 상기 복수의 레버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캠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캠에 각각 마련된 캠부는 원주 방향으로 상기 제 1 캠부와 상기 제 2 캠부가 차례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캠부 및 상기 제 2 캠부는 상기 캠의 원주 방향으로 각각 180도 각도로 연장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상기 캠의 회전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 3 캠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상유닛은 흑백 현상을 위한 제 1 현상유닛과, 컬러 현상을 위한 복수의 제 2 현상유닛들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버는 상기 제 1 현상유닛을 가압하는 제 1 레버와, 상기 복수의 제 2 현상유닛들을 각각 가압하는 복수의 제 2 레버들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은 상기 제 1 레버를 회전시키는 제 1 캠과, 상기 제 2 레버들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제 2 캠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캠에 마련된 상기 캠부는 원주 방향으로 상기 제 1 캠부, 상기 제 3 캠부와 상기 제 2 캠부가 차례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 2 캠들 각각에 마련된 캠부는 원주 방향으로 상기 제 1 캠부, 상기 제 2 캠부 및 상기 제 3 캠부가 차례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상유닛은 흑백 현상을 위한 제 1 현상유닛과, 컬러 현상을 위한 복수의 제 2 현상유닛들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버는 상기 제 1 현상유닛을 가압하는 제 1 레버와, 상기 복수의 제 2 현상유닛들을 각각 가압하는 복수의 제 2 레버들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은 상기 제 1 레버를 회전시키는 제 1 캠과, 상기 제 2 레버들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제 2 캠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캠에 마련된 캠부는 원주 방향으로 상기 제 1 캠부, 상기 제 3 캠부 및 상기 제 2 캠부가 차례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 2 캠들에 각각 마련된 캠부는 원주 방향으로 상기 제 3 캠부, 상기 제 1 캠부 및 상기 제 2 캠부가 차례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캠부, 상기 제 2 캠부 및 상기 제 3 캠부는 상기 캠의 원주 방향으로 각각 120도 각도로 연장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은 복수의 캠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캠이 그 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하나의 구동축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장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웜과,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며 상기 웜과 이물림되는 웜 휠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은 상기 감광체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압장치는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현상유닛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서로 접촉하도록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은 그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레버의 하단에 의해 가압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감광체유닛에 탄성 지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7. 감광체를 각각 포함한 네 개의 감광체유닛과,
    상기 네 개의 감광체유닛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감광체에 접촉하거나 이격되는 현상롤러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현상유닛과,
    상기 네 개의 현상유닛이 회전하도록 가압하는 가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현상유닛은 흑백 화상의 현상을 위한 하나의 제 1 현상유닛과 컬러 화상의 현상을 위한 세 개의 제 2 현상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장치는 회전하며 상기 제 1 현상유닛을 가압하는 제 1 레버와, 회전하며 상기 세 개의 제 2 현상유닛을 각각 가압하는 세 개의 제 2 레버와, 회전하며 상기 제 1 레버가 회전하도록 하는 제 1 캠과, 상기 세 개의 제 2 레버와 각각 상호 작용하며 상기 세 개의 제 2 레버가 각각 회전하도록 하는 세 개의 제 2 캠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버는 상기 제 1 캠에 의해 안내되는 제 1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레버들은 상기 제 2 캠들에 의해 각각 안내되는 제 2 가이드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캠은 상기 상기 제 1 가이드부를 안내하는 제 1 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캠은 상기 제 2 가이드부들을 각각 안내하는 제 2 캠부들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캠에 마련된 상기 캠부는 원주 방향으로 상기 제 1 캠부, 상기 제 3 캠부와 상기 제 2 캠부가 차례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 2 캠들 각각에 마련된 캠부는 원주 방향으로 상기 제 1 캠부, 상기 제 2 캠부 및 상기 제 3 캠부가 차례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캠에 마련된 캠부는 원주 방향으로 상기 제 1 캠부, 상기 제 3 캠부 및 상기 제 2 캠부가 차례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 2 캠들에 각각 마련된 캠부는 원주 방향으로 상기 제 3 캠부, 상기 제 1 캠부 및 상기 제 2 캠부가 차례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30052047A 2013-05-08 2013-05-08 화상형성장치 KR2014013261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047A KR20140132611A (ko) 2013-05-08 2013-05-08 화상형성장치
US14/258,244 US9229424B2 (en) 2013-05-08 2014-04-22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047A KR20140132611A (ko) 2013-05-08 2013-05-08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611A true KR20140132611A (ko) 2014-11-18

Family

ID=51864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2047A KR20140132611A (ko) 2013-05-08 2013-05-08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29424B2 (ko)
KR (1) KR2014013261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86148B2 (ja) * 2015-02-27 2019-03-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6589841B2 (ja) * 2016-12-07 2019-10-1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047541B2 (ja) 2018-03-30 2022-04-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7226616B2 (ja) * 2018-03-30 2023-02-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CN110054233A (zh) * 2019-04-25 2019-07-26 陈娜娜 一种便于拆装的环保型废水过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9504B2 (ja) * 1996-09-26 2005-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5091826A (ja) * 2003-09-18 2005-04-07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駆動機構、およびウォームギア組の製造方法
KR101305527B1 (ko) * 2006-11-22 2013-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기기 및 그 동력단속장치
JP5082891B2 (ja) * 2008-01-30 2012-11-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29424B2 (en) 2016-01-05
US20140334852A1 (en) 2014-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7865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884960B2 (ja) 駆動装置及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8824919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rotation-regulated process cartridge
JP3962734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本体に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取り外し可能に装着する装着機構
US7643781B2 (en) Transfer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792812B2 (en) Image forming device equipped with oblique motion prevention mechanism
US8204400B2 (en) Charging device capable of efficiently charging image carrier
KR20140132611A (ko) 화상형성장치
KR101848397B1 (ko) 화상형성장치
US20100129101A1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217945B2 (en) Bel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20048327A (ko) 화상형성장치
US956317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figured to use a common driving source for image bearing members
KR101517781B1 (ko) 화상형성장치와 그 전사장치
US8909092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to charge a photosensitive drum
US9434564B2 (en) Sheet transporting member, sheet transpor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895825B2 (en) Developer accommodating container, develop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JP5024309B2 (ja) タンデム型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11392055B2 (en) Developing cartridge including movable cam having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US11614708B2 (en) Driving coupler having locking structure and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JP4297089B2 (ja) 現像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070014465A (ko) 화상형성장치
US20120134712A1 (en) Photosensitive body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05172906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14213522A (ja) 露光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