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4465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4465A
KR20070014465A KR1020050069116A KR20050069116A KR20070014465A KR 20070014465 A KR20070014465 A KR 20070014465A KR 1020050069116 A KR1020050069116 A KR 1020050069116A KR 20050069116 A KR20050069116 A KR 20050069116A KR 20070014465 A KR20070014465 A KR 20070014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home position
mark
cam shaft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9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수경
양철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9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4465A/ko
Publication of KR20070014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44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03G15/757Drive mechanisms for photosensitive medium, e.g. ge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현상기, 복수의 현상기에 각각 대응되도록 복수의 캠이 마련된 캠샤프트, 캠샤프트로 전달되는 구동력을 단속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캠과 위상적으로 대응되는 복수의 결합부를 구비하는 스프링 클러치 및 복수의 결합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스프링 클러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단속수단과, 캠샤프트에 마련되어, 홈포지션을 표시하는 홈마크가 마련된 홈포지션부 및 상기 홈마크를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하며, 홈마크의 원주방향 길이는 센서가 홈마크를 검지하는 시각부터 액츄에이터가 홈포지션 결합부와 체결되는 시각까지 캠샤프트가 회전되는 원주방향 길이 이상이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패스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구성도,
도 2는 복수의 현상기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홈포지션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캠샤프트와 캠의 사시도,
도 7은 스프링클러치의 일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스프링 클러치와 액츄에이터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감광드럼 2......대전롤러
3......노광기 4......현상기
5......현상롤러 6......중간전사벨트
7......제1전사롤러 8......제2전사롤러
9......정착기 10......구동모터
101......샤프트 104......슬라이딩 허브
106......고정허브 112......탄성부재
120......캠샤프트 131......캠
132......홈포지션 부재 133......홈마크
140......센서 150......스프링클러치
158......결합부 159......클러치 스프링
160.....액츄에이터 170......연결부재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현상기를 순차적으로 구동하여 칼라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하는 칼라화상형성장치는, 일정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을 소정 색상의 토너(toner)로 현상한 후에 현상된 화상을 용지에 전사 및 정착시켜 칼라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컬러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토너의 색상은 통상적으로 옐로우(Y;yellow), 마젠타(M;magenta), 시안(C;cyan) 및 블랙(K;black) 이다. 따라서 상기 4가지 색상의 토너를 정전잠상에 부착시키기 위해 4개의 현상기가 필요하다.
칼라화상을 형성하는 방식에는 각각 4개의 노광유닛과 감광매체을 구비하는 싱글패스(single pass)방식과 하나의 노광유닛과 감광매체를 구비하는 멀티패스(multi-pass)방식이 있다.
싱글패스방식의 칼라화상형성장치는 칼라인쇄 시와 흑백인쇄 시에 소요되는 시간이 동일하다. 따라서 고속 칼라화상형성장치에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4개의 노광유닛과 4개의 감광드럼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가격이 비싸진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비교적 저속영역에서 동작하는 칼라화상형성장치는 하나의 감광드럼과 하나의 노광유닛을 구비하고 각 색상에 대해 노광, 현상, 전사를 반복하여 중간전사매체 상에 칼라토너화상을 형성하고 이를 용지로 전사, 정착시키는 멀티패스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멀티패스방식 화상형성장치의 경우에, 4개의 현상기가 순차적으로 작동되므로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4개의 현상기에 순차적으로 전달하기 의한 장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4개의 전자식 클러치를 채용한다. 이러한 전자식 클러치는 가격이 비싸고 크기도 커진다. 또한, 클러칭 동작에 있어서 미끄럼이 발생되어 적시에 동력을 단속하지 못하는 불량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현상기로 전달되는 동력을 신뢰성 있게 단속하기 위하여 홈포지션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최적의 홈마크길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현상기;
상기 복수의 현상기에 각각 대응되도록 복수의 캠이 마련된 캠샤프트;
상기 캠샤프트로 전달되는 구동력을 단속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복수의 캠과 위상적으로 대응되는 복수의 결합부를 구비하는 스프링 클러치 및 상기 복수의 결합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 클러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단속수단과;
상기 캠샤프트에 마련되어, 홈포지션을 표시하는 홈마크가 마련된 홈포지션부 및 상기 홈마크를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홈마크의 원주방향 길이는 상기 센서가 상기 홈마크를 검지하는 시각부터 상기 액츄에이터가 홈포지션 결합부와 체결되는 시각까지 상기 캠샤프트가 회전되는 원주방향 길이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홈마크가 상기 센서에 의하여 검지되는 총시간을 TH 라하고, 상기 센서가 상기 홈마크를 검지하는 시각부터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홈포지션 결합부와 체결되는 시각까지 상기 캠샤프트가 회전되는 총시간을 TS라 할 때, TH ≥ TS 의 관계식을 만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홈마크의 원주방향 길이를 LH이라하고, 상기 센서가 상기 홈마크를 검지하는 시각부터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홈포지션 결합부와 체결되는 시각까지 상기 캠샤프트가 회전되는 길이를 LS라 할 때, LH ≥ LS 의 관계식을 만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센서는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홈포지션 결합부와 결합된 후에도 상기 홈마크를 검지하여,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홈포지션 결합부와 체결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패스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구성도이다.
도 1을 보면,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드럼(1), 대전롤러(2), 노광기(3), 현상기(4), 중간전사벨트(6), 제1전사롤러(7), 제2전사롤러(8), 정착기(9)를 구비한다.
상기 감광드럼(1)은 원통형상의 금속제 드럼의 외주에 광도전성층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대전롤러(2)는 상기 감광드럼(1)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상기 대전롤러(2)는 상기 감광드럼(1)의 외주면과 접촉 또는 비접촉 상태로 회전하면서 전하를 공급하여 상기 감광드럼(1)의 외주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킨다. 대전기로서, 대전롤러(2) 대신에 코로나 방전기(미도시)가 채용될 수도 있다.
상기 노광기(3)는 균일한 전위를 가지도록 대전된 상기 감광드럼(1)에 화상정보에 해당되는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상기 노광기(3)로서는 일반적으로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가 사용된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칼라 화상을 인쇄하기 위하여 시안(C:cyab),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및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시안(C:cyab),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및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가 각각 수용된 4개의 현상기(4)를 구비한다. 상기 현상기(4)는 각각 현상롤러(5)를 구비한다. 상기 현상기(4)는 상기 현상롤러(5)가 상기 감광드럼(1)과 현상갭만큼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비접촉식 현상을 수행한다. 현상갭은 수십 내지 수백 미크론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상기(4)는 상기 현상롤러(5) 이외에도 상기 현상롤러(5)로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롤러(미도시), 교반기(미도시)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중간전사벨트(6)는 지지롤러(61)(62)들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감광드럼(1)의 회전 선속도와 동일한 주행선속도로 주행된다. 상기 중간전사벨트(6)의 길이는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최대 크기의 용지(P)의 길이와 같거나 적어도 그보다 길어야 한다.
상기 제1전사롤러(7)는 상기 감광드럼(1)과 대면되며, 상기 감광드럼(1)에 현상된 토너화상을 상기 중간전사벨트(6)로 전사시키기 위한 제1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상기 제2전사롤러(8)는 상기 중간전사벨트(6)와 대면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전사롤러(8)는 상기 감광드럼(1)으로부터 상기 중간전사벨트(6)에 토너화상이 전사되는 동안에는 상기 중간전사벨트(6)로부터 이격되어 있다가, 상기 중간전사벨트(6)에 토너화상이 완전히 전사되면 상기 중간전사벨트(6)와 소정 압력으로 접촉 된다. 상기 제2전사롤러(8)에는 토너화상을 용지로 전사시키기 위한 제2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한 화상형성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상기 대전롤러(2)에 의하여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 상기 감광드럼(1)에 상기 노광기(3)로부터 예를 들면 옐로우(Y)색상의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이 조사된다. 상기 감광드럼(1)에는 옐로우(Y) 색상의 화상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상기 옐로우 현상기(4Y)의 현상롤러(5)에는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된다. 그러면, 옐로우(Y) 색상의 토너가 정전잠상으로 부착되어 상기 감광드럼(1)에는 옐로우(Y)색상의 토너화상이 현상된다. 옐로우(Y)색상의 토너화상은 상기 제1전사롤러(7)에 인가되는 제1전사바이어스에 의하여 상기 중간전사벨트(6)로 전사된다. 한 페이지 분량의 옐로우(Y) 색상의 토너화상의 전사가 완료되면, 상기 노광기(2)는 예를 들면 마젠타(M)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대전롤러(2)에 의하여 균일한 전위로 재 대전된 상기 감광드럼(1)에 주사하여 마젠타(M) 색상의 화상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마젠타 현상기(4M)는 정전잠상에 마젠타(M) 색상의 토너를 공급하여 현상시킨다. 상기 감광드럼(1)에 형성된 마젠타(M) 색상의 토너화상은 먼저 전사되어 있던 옐로우(Y) 색상의 토너화상 위에 중첩되도록 상기 중간전사벨트(6)로 전사된다. 시안(C) 및 블랙(K) 색상에 관하여도 상술한 과정을 수행하면, 상기 중간전사벨트(6)에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B) 색상의 토너화상들이 중첩된 칼라토너화상이 형성된다. 이 칼라토너화상은 제2전사바이어스에 의하여 상기 중간전사벨트(6)와 제2전사롤러(8) 사이로 통과되는 용지(P)로 전사된다. 상기 정착기(9)는 칼라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용지에 정착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멀티패스방식 칼라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현상기(4)가 순차적으로 작동된다. 선택된 현상기(예를 들면, 4Y)의 현상롤러(5)에는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되고 나머지 현상기(예를 들면 4M, 4C, 4K)의 현상롤러(5)에는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되지 않거나 또는 토너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현상방지바이어스가 인가될 수 있다. 또, 선택된 현상기(예를 들면, 4Y)의 현상롤러(5)만이 회전되고 나머지 현상기(예를 들면 4M, 4C, 4K)의 현상롤러(5)는 회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현상기(4)에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을 작동시키는 캠장치를 구비한다.
도 2는 복수의 현상기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홈포지션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캠샤프트와 캠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브라켓(100)에 4개의 샤프트(101)가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다. 각 샤프트(101)에는 원통부(102)와 면취부(103)가 마련된다. 상기 원통부(101)에는 슬라이딩허브(104)가 설치된다. 면취부(103)의 일단부에는 고정허브(106)가 설치되고, 타단부에는 구동기어(109)가 설치된다. 탄성부재(112)는 상기 슬라이딩허브(104)를 상기 고정허브(106)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킨다. 상기 슬라이딩허브(104Y)는 구동모터(구동원)(10)와 기어들(11)(12)을 통하여 연결된다. 상기 슬라이딩허브(104Y)와 슬라이딩허브(104M)는 기어(13)를 통하 여 연결된다. 슬라이딩허브(104C)는 도시되지 않은 다수의 기어들을 통하여 구동모터(10)와 연결된다. 상기 슬라이딩허브(104C)와 슬라이딩허브(104K)는 기어(14)를 통하여 연결된다. 상기 슬라이딩허브(104)와 고정허브(106)는 서로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맞물림부(미도시)를 각각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허브(104)와 고정허브(106)가 맞물리면 구동모터(10)의 구동력이 고정허브(106)까지 전달되고, 샤프트(101)와 구동기어(109)가 회전된다. 상기 구동기어(109)는 현상기(4)에 마련된 종동기어(미도시)와 연결된다. 종동기어는 현상롤러(5)를 비롯하여 현상기(4) 내부에 설치된 구동요소들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4개의 슬라이딩허브(104)를 선택적으로 슬라이딩시켜 4개의 고정허브(106)와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4개의 현상기(4)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4개의 슬라이딩허브(104)를 선택적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하여 캠샤프트(120)와 4개의 캠(131)을 구비한다.
상기 4개의 캠(131)은 4개의 슬라이딩허브(104)와 대응되도록 캠샤프트(12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4개의 캠(131)과 캠 샤프트(120)는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4개의 캠(131)은 서로 위상이 다르다. 상기 캠샤프트(120)가 회전되면 4개의 캠(131)이 순차적으로 4개의 슬라이딩허브(104)를 밀어 대면된 위치에 있는 4개의 고정허브(106)와 결합시킨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4개의 푸쉬캡(110)을 구비한다. 상기 캠(131)은 푸쉬캡(110)을 밀어 슬라이딩허브(104)를 슬라이딩시킨다.
상기 캠(131)은 슬라이딩허브(104)가 고정허브(106)와 부드럽게 결합되도록 하는 한편, 이격시킬 때에는 가급적 신속히 이격시킬 수 있는 궤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캠(131Y)(131M)(131C)은 푸쉬캡(110Y)(110M)(110C)을 각각 누를 수 있지만, 캠(131K)은 푸쉬캡(110K)과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직접 푸쉬캡(110K)을 누르기가 어렵다. 따라서, 상기 캠(131K)과 푸쉬캡(110K)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70)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재(170)는 커버(180)에 회동될 수 있게 결합되고, 커버(180)는 브라켓(100)에 결합된다. 상기 캠(131K)이 상기 연결부재(170)의 일단부(171)를 밀면 상기 연결부재(170)가 회동되고, 타단부(172)는 푸쉬캡(110K)을 민다.
이를 위하여, 상기 캠(131Y, 131N, 131C, 131K)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다. 상기 캠(131M, 131C)은 상기 캠(131Y)과 캠샤프트(120)의 회전방향(A)의 역방향으로 각각 90도, 180도의 위상차를 가진다. 상기 캠(131K)은 연결부재(170)를 작동시켜 푸쉬캡(110K)을 밀어야 한다. 상기 연결부재(170)의 일단부(171)는 푸쉬캡(110K)의 반대쪽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캠(131K)은 상기 캠(131C)과 캠샤프트(120)의 회전방향(A)의 역방향으로 270도의 위상차를 가진다.
상기 캠샤프트(1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10)에 의하여 회전된다. 상기 캠샤프트(120)는 상기 구동모터(10)의 회전력을 절환할 때에만 회전된다. 이를 위하여,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캠샤프트(120)로 전달되는 상기 구동모터(10)의 회전력을 단속하기 위한 단속수단으로서 스프링클러치(150)와 스프링클러치(15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160)를 구비한다.
도 7은 스프링클러치의 일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스프링 클러치와 액츄에이터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스프링 클러치(150)는 클러치 기어(151), 클러치 스프링(159), 클러치 허브(157), 부싱(152)을 구비한다.
상기 부싱(152)은 상기 캠샤프트(120)의 일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클러치 기어(151)는 상기 부싱(15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클러치 스프링(159)은 클러치 기어(151)와 부싱(152)의 원통부(153)(154)에 각각 삽입된다.
상기 클러치 허브(157)는 상기 클러치 스프링(159)을 감싼다. 상기 클러치 허브(157)에는 4개의 캠(131)과 위상적으로 대응되도록 4개의 결합부(158Y,158M,158C,158K)와 하나의 홈포지션 결합부(158h)가 마련된다. 상기 클러치 스프링(159)의 일단부(159a)와 타단부(159b)는 각각 부싱(152)과 클러치 허브(157)에 마련된 삽입공(155)(156)에 삽입된다. 상기 클러치 기어(151)는 구동모터(10)에 의하여 회전되는 기어(15)와 연결된다. 상기 구동모터(10)는 클러치 기어(151)를 화살표시(A)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클러치 스프링(159)은 그 내경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비틀리면서 클러치 기어(151)와 부싱(152)의 원통부(153)(154)를 강하게 조인다. 따라서, 클러치 기어(151)가 A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클러치 스프링(159)과 부싱(152)이 회전되고 캠샤프트(120)도 함께 회전된다. 상기 클러치 스프링(159)의 타단부(159b)가 클러치 허브(157)의 삽입공(156)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클러치 허브(157)도 회전된다.
코일부(161)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가동편(162)의 걸림턱(164)은 도 8의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진되어 결합부(158)에 걸려서 클러치 허브(157)의 회전을 막는다.
상기 클러치 스프링(159)의 타단부(159b)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 허브(157)의 삽입공(156)에 걸려 있기 때문에, 상기 클러치 허브(157)가 회전되지 않으면 상기 클러치 스프링(159)은 그 내경이 확대되는 방향으로 비틀리게 된다. 그러면, 상기 클러치 스프링(159)이 상기 클러치 기어(151)의 원통부(153)를 조이는 힘이 약해지면서 상기 클러치 스프링(159)의 내경부와 클러치 기어(151)의 원통부(153)가 슬립되어, 상기 클러치 스프링(159), 부싱(152)이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캠샤프트(120)의 회전이 멈춘다.
상기 코일부(161)에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가동편(162)은 도 8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부(161)에 부착되며, 상기 걸림턱(164)은 결합부(158)와 이격된다. 그러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 기어(151)가 회전되면서 상기 캠샤프트(120)가 같이 회전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캠샤프트(120)의 초기 위치, 즉, 상기 캠(131Y, 131N, 131C, 131K)이 상기 푸쉬캡(110Y, 110M, 110C, 110K)들과 접촉하지 않는 홈포지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캠샤프트(120)에는 홈포지션부(132)가 마련되어 있다.
홈포지션은 4개의 현상기(4)가 구동되지 않는 상태, 즉, 4개의 슬라이딩허브(104)와 고정허브(104)가 모두 서로 이격된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홈포지션 결 합부(158h)는 4개의 결합부(158)와 위상적으로 중복되지 않는다. 각 지시부(133)는 각각 위상적으로 상기 복수의 결합부(158)보다 선행된다.
상기 홈포지션부(132)는 외주부에 돌출 마련된 홈마크(133)를 구비한다. 상기 홈마크(133)는 원주방향으로 LH 길이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100)에는 상기 홈마크(133)를 검출하는 센서(14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센서(140)는 광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캠샤프트(120)가 회전되면, 상기 홈마크(133)가 상기 센서(140)를 통과하고, 상기 센서(140)는 상기 홈마크(133)를 검지한다.
상기 센서(140)에 의하여 상기 홈마크(133)가 검출된 후에 상기 액츄에이터(160)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면, 상기 가동편(162)은 도 8의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놓인다. 상기 캠샤프트(120)가 회전되어 상기 홈포지션 결합부(158h)가 상기 걸림턱(164)에 걸리면 상기 구동모터(10)로부터의 회전력이 차단되고, 상기 캠샤프트(120)는 홈포지션 또는 현상위치에 정지된다.
그런데, 상기 센서(140)가 상기 홈마크(133)를 검출한 후에도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상기 가동편(162)과 상기 홈포지션 결합부(158h)가 체결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온도변화에 따른 클러치의 반응시간의 변화 또는 상기 홈포지션 결합부(158h)의 마모에 따라 상기 가동편(162)이 상기 상기 홈포지션 결합부(158h)를 따라 넘어가 다른 결합부(158)와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캠샤프트(120)가 정확하게 홈포지션에 위치되지 않게 되어, 이후의 현상은 색상이 정확하게 일치되지 않게 되어 화상품질이 불량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센서(140)가 상기 홈마크(133)를 검출한 후, 상기 홈포지션 결합부(158h)가 상기 가동편(162)과 체결된 후에도 상기 센서(140)가 상기 홈마크(133)를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홈마크(133)의 길이(LH )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홈마크(133)의 원주방향 길이를 LH라 하고, 상기 센서(140)가 상기 홈마크(133)를 검지하는 시각(t1)부터 상기 가동편(162)이 상기 홈포지션 결합부(158h)와 체결되는 시각(t2)까지, 상기 캠샤프트(120)가 회전되는 원주방향의 길이를 LS라 할 때,
즉, LH ≥ LS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홈마크(133)가 상기 센서(140)에 의하는 검지되는 총시간을 TH 이라 하고, 상기 센서(140)가 상기 홈마크(133)를 검지하는 시각부터(t1)부터 상기 가동편(162)이 상기 홈포지션 결합부(158h)와 체결되는 시각(t2)까지 상기 캠샤프트(120)가 회전되는 총시간을 TS라 할 때,
즉, TH ≥ TS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센서(140)는 상기 캠샤프트(120)가 상기 가동편(162)이 상기 홈포지션 결합부(158h)와 체결된 후에도 상기 홈마크(133)를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홈마크(133)의 원주방향 길이(LH)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가동편(162)이 상기 홈포지션 결합부(158h)와 체결되는 시각(t2)이후, 상기 센서(140)가 상기 홈마크(133)를 검출하여, 상기 홈마크(133)가 검출되면 상기 가동편(162)이 상기 홈포지션 결합부(158h)와 체결되어 있다고 판단되지만, 상기 센서(140)가 상기 홈마크(133)를 검출하지 못하면, 상기 가동편(162)이 상기 홈포지션 결합부(158h)와 체결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상기 가동편(162)이 상기 홈포지션 결합부(158h)와 체결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상기 캠샤프트(120)를 1회전 더 시켜서 다시 상기 홈마크(133)가 상기 가동편(162)과 체결되도록 하거나 에러메시지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에러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홈마크의 최적길이를 결정하여 홈포지션의 위치를 정확함으로써 화상품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복수의 현상기;
    상기 복수의 현상기에 각각 대응되도록 복수의 캠이 마련된 캠샤프트;
    상기 캠샤프트로 전달되는 구동력을 단속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복수의 캠과 위상적으로 대응되는 복수의 결합부를 구비하는 스프링 클러치 및 상기 복수의 결합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 클러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단속수단과;
    상기 캠샤프트에 마련되어, 홈포지션을 표시하는 홈마크가 마련된 홈포지션부 및 상기 홈마크를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홈마크의 원주방향 길이는 상기 센서가 상기 홈마크를 검지하는 시각부터 상기 액츄에이터가 홈포지션 결합부와 체결되는 시각까지 상기 캠샤프트가 회전되는 원주방향 길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마크가 상기 센서에 의하여 검지되는 총시간을 TH 라하고, 상기 센서가 상기 홈마크를 검지하는 시각부터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홈포지션 결합부와 체결되는 시각까지 상기 캠샤프트가 회전되는 총시간을 TS라 할 때,
    TH ≥ TS
    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마크의 원주방향 길이를 LH이라하고, 상기 센서가 상기 홈마크를 검지하는 시각부터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홈포지션 결합부와 체결되는 시각까지 상기 캠샤프트가 회전되는 길이를 LS라 할때,
    LH ≥ LS
    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홈포지션 결합부와 결합된 후에도 상기 홈마크를 검지하여,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홈포지션 결합부와 체결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50069116A 2005-07-28 2005-07-28 화상형성장치 KR200700144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116A KR20070014465A (ko) 2005-07-28 2005-07-28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116A KR20070014465A (ko) 2005-07-28 2005-07-28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4465A true KR20070014465A (ko) 2007-02-01

Family

ID=38080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9116A KR20070014465A (ko) 2005-07-28 2005-07-28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44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26755A (zh) * 2015-02-10 2015-05-20 华中科技大学 一种适用于移动中执行柔性膜标识的多自由度打标装置
CN111902777A (zh) * 2018-03-30 2020-11-06 兄弟工业株式会社 图像形成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26755A (zh) * 2015-02-10 2015-05-20 华中科技大学 一种适用于移动中执行柔性膜标识的多自由度打标装置
CN111902777A (zh) * 2018-03-30 2020-11-06 兄弟工业株式会社 图像形成装置
CN111902777B (zh) * 2018-03-30 2023-09-29 兄弟工业株式会社 图像形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6230B1 (ko) 화상형성장치
JP3884960B2 (ja) 駆動装置及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CN108073056B (zh) 显影盒和使用该显影盒的电子照相成像装置
US9746801B2 (en) Cartridges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717037B1 (ko) 화상형성장치
JP4115956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628567B1 (ko) 현상기 동력단속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20140132611A (ko) 화상형성장치
KR20070014465A (ko) 화상형성장치
KR100717012B1 (ko) 화상형성장치 및 홈포지션에러 판정방법
US8909092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to charge a photosensitive drum
KR100636233B1 (ko) 고압절환장치 및 이를 채용한 멀티패스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1353543B1 (ko) 멀티패스방식 칼라화상형성장치
JP2004117644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101044943B1 (ko) 멀티패스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1317305B1 (ko) 화상형성장치
JP2024049516A (ja) 駆動伝達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580220B1 (ko) 화상형성장치의 회전력 단속 장치
KR101330731B1 (ko) 화상형성장치
KR20080077784A (ko) 화상형성장치
JP200926529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271271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