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7037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7037B1
KR100717037B1 KR1020050094511A KR20050094511A KR100717037B1 KR 100717037 B1 KR100717037 B1 KR 100717037B1 KR 1020050094511 A KR1020050094511 A KR 1020050094511A KR 20050094511 A KR20050094511 A KR 20050094511A KR 100717037 B1 KR100717037 B1 KR 100717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regulating
cams
shaft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4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9317A (ko
Inventor
윤영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4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7037B1/ko
Priority to US11/502,383 priority patent/US7680441B2/en
Priority to CNB2006101256839A priority patent/CN100529976C/zh
Publication of KR20070039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9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21Details of unit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6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2215/0174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plural rotations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 G03G2215/018Linearly moving set of developing units, one at a time adjacent the recording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7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현상기, 복수의 현상기에 각각 대응되도록 서로 다른 회전위상을 가지는 복수의 캠이 마련되어 있는 캠샤프트, 캠샤프트에 전달되는 구동원의 회전력을 단속하는 것으로, 복수의 캠과 위상적으로 대응되는 복수의 래치부가 마련된 스프링클러치 및, 복수의 래치부와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복수의 캠을 복수의 현상기에 각각 대응시키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단속수단과, 스프링클러치에 마련되어, 캠이 선택된 현상기와의 대응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막기 위해 캠샤프트의 과회전을 방지하는 규제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패스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구성도,
도 2는 복수의 현상기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슬라이딩허브와 고정허브의 상세사시도이고, 도 6은 캠샤프트와 캠의 사시도,
도 7은 스프링클러치의 분해사시도,
도 8은 스프링클러치와 솔레노이드의 작용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스프링클러치와 솔레노이드의 작용을 도시한 배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감광드럼 2......대전롤러
3......노광기 4......현상기
5......현상롤러 6......중간전사벨트
7......제1전사롤러 8......제2전사롤러
9......정착기 10......구동모터
101......샤프트 104......슬라이딩 허브
106......고정허브 112......탄성부재
120......캠샤프트 131......캠
132......홈포지션 지시부재 140......센서
150......스프링 클러치 151......클러치 기어
152......클러치샤프트 157......클러치 허브
158......래치부 158h......홈포지션 결합부
159......클러치 스프링 160......액츄에이터
170......연결부재 180.....규제수단
181...규제부 182.....규제홈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현상기를 순차적으로 구동하여 칼라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하는 칼라화상형성장치는, 일정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을 소정 색상의 토너(toner)로 현상한 후에 현상된 화상을 용지에 전사 및 정착시켜 칼라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컬러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토너의 색상은 통 상적으로 옐로우(Y;yellow), 마젠타(M;magenta), 시안(C;cyan) 및 블랙(K;black) 이다. 따라서 상기 4가지 색상의 토너를 정전잠상에 부착시키기 위해 4개의 현상기가 필요하다.
칼라화상을 형성하는 방식에는 각각 4개의 노광유닛과 감광매체을 구비하는 싱글패스방식과 하나의 노광유닛과 감광매체를 구비하는 멀티패스방식이 있다.
싱글패스방식의 칼라화상형성장치는 칼라인쇄 시와 흑백인쇄 시에 소요되는 시간이 동일하다. 따라서 고속 칼라화상형성장치에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4개의 노광유닛과 4개의 감광드럼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가격이 비싸진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비교적 저속영역에서 동작하는 칼라화상형성장치는 하나의 감광드럼과 하나의 노광유닛을 구비하고 각 색상에 대해 노광, 현상, 전사를 반복하여 중간전사매체 상에 칼라토너화상을 형성하고 이를 용지로 전사, 정착시키는 멀티패스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멀티패스방식 화상형성장치의 경우에, 4개의 현상기가 순차적으로 작동되므로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4개의 현상기에 순차적으로 전달하기 의한 장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4개의 전자식 클러치를 채용한다. 이러한 전자식 클러치는 가격이 비싸고 크기도 커진다. 또한, 클러칭 동작에 있어서 미끄럼이 발생되어 적시에 동력을 단속하지 못하는 불량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현상기로 전달되는 동력을 신뢰성 있게 단속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현상기;
상기 복수의 현상기에 각각 대응되도록 서로 다른 회전위상을 가지는 복수의 캠이 마련되어 있는 캠샤프트;
상기 캠샤프트에 전달되는 구동원의 회전력을 단속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캠과 위상적으로 대응되는 복수의 래치부가 마련된 스프링클러치 및, 상기 복수의 래치부와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복수의 캠을 상기 복수의 현상기에 각각 대응시키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단속수단과,
상기 스프링클러치에 마련되어, 상기 캠이, 선택된 상기 현상기와의 대응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캠샤프트의 과회전을 방지하는 규제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프링클러치는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클러치기어, 상기 캠샤프트에 연결되는 클러치샤프트, 상기 클러치기어와 상기 클러치샤프트와 결합되어 상기 클러치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클러치샤프트에 전달하는 클러치스프링과, 상기 클러치스프링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클러치스프링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래치부가 마련되어 있는 클러치허브를 구비하며,
상기 규제수단은 상기 클러치허브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규제부와, 상기 클러치샤프트에 형성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규제부와 상기 규제부에 각각 겹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규제홈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규제부는 각각 상기 규제홈 쪽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규제홈의 폭은 상기 규제부의 폭보다 더 크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규제부는 상기 규제홈에 끼워져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현상기
상기 복수의 현상기에 각각 대응하도록 서로 다른 회전위상을 가지는 복수의 캠이 마련되어 있는 캠샤프트;
상기 캠샤프트에 전달되는 구동원의 회전력을 단속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캠과 위상적으로 대응되는 복수의 래치부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치 및 상기 복수의 래치부와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복수의 캠을 상기 복수의 현상기에 각각 대응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단속수단과;
상기 스프링클러치에 마련되어, 선택된 현상기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캠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캠샤프트가 과도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클러치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규제부와 상기 스프링클러치에 마련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규제부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규제홈을 구비하는 규제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프링클러치는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클러치기어,
상기 캠샤프트에 연결된 클러치샤프트,
상기 클러치기어 및 클러치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클러치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클러치샤프트에 전달하는 클러치스프링과,
상기 클러치스프링을 감싸며, 상기 클러치스프링의 일단이 고정되며, 복수의 래치부가 마련되어 있는 클러치허브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규제부는 상기 클러치허브에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규제홈은 상기 클러치샤프트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규제부는 상기 규제홈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규제홈의 폭은 상기 규제부의 폭보다 크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규제부는 상기 규제홈에 끼워져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래치부는 상기 규제수단과 클러치기어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패스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구성도이고, 도 2는 복수의 현상기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5는 슬라이딩허브와 고정허브의 상세사시도이고, 도 6은 캠샤프트와 캠의 사시도이고, 도 7은 스프링클러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스프링클러치와 솔레노이드의 작용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스프링클러치와 솔레노이드의 작용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드럼(1), 대전롤러(2), 노광기(3), 현상기(4), 중간전사벨트(6), 제1전사롤러(7), 제2전사롤러(8), 정착기(9)를 구비한다.
상기 감광드럼(1)은 원통형상의 금속제 드럼의 외주에 광도전성층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대전롤러(2)는 상기 감광드럼(1)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상기 대전롤러(2)는 상기 감광드럼(1)의 외주면과 접촉 또는 비접촉 상태로 회전하면서 전하를 공급하여 상기 감광드럼(1)의 외주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킨다. 대전기로서, 대전롤러(2) 대신에 코로나 방전기(미도시)가 채용될 수도 있다.
상기 노광기(3)는 균일한 전위를 가지도록 대전된 상기 감광드럼(1)에 화상정보에 해당되는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상기 노광기(3)로서는 일반적으로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가 사용된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칼라 화상을 인쇄하기 위하여 시안(C:cyab),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및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및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가 각각 수용된 4개의 현상기(4)를 구비한다. 상기 현상기(4)는 각각 현상롤러(5)를 구비한다. 상기 현상기(4)는 상기 현상롤러(5)가 상기 감광드럼(1)과 현상갭만큼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비접촉식 현상을 수행한다. 현상갭은 수십 내지 수백 미크론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상기(4)는 상기 현상롤러(5) 이외에도 상기 현상롤러(5)로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롤러(미도시), 교반기(미도시)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중간전사벨트(6)는 지지롤러(61)(62)들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감광드럼(1)의 회전 선속도와 동일한 주행선속도로 주행된다. 상기 중간전사벨트(6)의 길이는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최대 크기의 용지(P)의 길이와 같거나 적어도 그보다 길어야 한다.
상기 제1전사롤러(7)는 상기 감광드럼(1)과 대면되며, 상기 감광드럼(1)에 현상된 토너화상을 상기 중간전사벨트(6)로 전사시키기 위한 제1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상기 제2전사롤러(8)는 상기 중간전사벨트(6)와 대면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전사롤러(8)는 상기 감광드럼(1)으로부터 상기 중간전사벨트(6)에 토너화상이 전사되는 동안에는 상기 중간전사벨트(6)로부터 이격되어 있다가, 상기 중간전사벨트(6)에 토너화상이 완전히 전사되면 상기 중간전사벨트(6)와 소정 압력으로 접촉된다. 상기 제2전사롤러(8)에는 토너화상을 용지로 전사시키기 위한 제2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한 화상형성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상기 대전롤러(2)에 의하여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 상기 감광드럼(1)에 상기 노광기(3)로부터 예를 들면 옐로우(Y)색상의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이 조사된다. 상기 감광드럼(1)에는 옐로우(Y) 색상의 화상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상기 옐로우 현상기(4Y)의 현상롤러(5)에는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된다. 그러면, 옐로우(Y) 색상의 토너가 정전잠상으로 부착되어 상기 감광드럼(1)에는 옐로우(Y)색상의 토너화상이 현상된다. 옐로우(Y)색상의 토너화상은 상기 제1전사롤러(7)에 인가되는 제1전사바이어스에 의하여 상기 중간전사벨트(6)로 전사된다. 한 페이지 분량의 옐로우(Y) 색상의 토너화상의 전사가 완료되면, 상기 노광기(2)는 예를 들면 마젠타(M)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대전롤러(2)에 의하여 균일한 전위로 재 대전된 상기 감광드럼(1)에 주사하여 마젠타(M) 색상의 화상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마젠 타 현상기(4M)는 정전잠상에 마젠타(M) 색상의 토너를 공급하여 현상시킨다. 상기 감광드럼(1)에 형성된 마젠타(M) 색상의 토너화상은 먼저 전사되어 있던 옐로우(Y) 색상의 토너화상 위에 중첩되도록 상기 중간전사벨트(6)로 전사된다. 시안(C) 및 블랙(K) 색상에 관하여도 상술한 과정을 수행하면, 상기 중간전사벨트(6)에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B) 색상의 토너화상들이 중첩된 칼라토너화상이 형성된다. 이 칼라토너화상은 제2전사바이어스에 의하여 상기 중간전사벨트(6)와 제2전사롤러(8) 사이로 통과되는 용지(P)로 전사된다. 상기 정착기(9)는 칼라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용지에 정착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멀티패스방식 칼라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현상기(4)가 순차적으로 작동된다. 선택된 현상기(예를 들면, 4Y)의 현상롤러(5)에는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되고 나머지 현상기(예를 들면 4M, 4C, 4K)의 현상롤러(5)에는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되지 않거나 또는 토너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현상방지바이어스가 인가될 수 있다. 또, 선택된 현상기(예를 들면, 4Y)의 현상롤러(5)만이 회전되고 나머지 현상기(예를 들면 4M, 4C, 4K)의 현상롤러(5)는 회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현상기(4)에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을 작동시키는 캠장치를 구비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브라켓(100)에 4개의 샤프트(101)가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다. 각 샤프트(101)에는 원통부(102)와 면취부(103)가 마련된다. 상기 원통부(101)에는 슬라이딩허브(104)가 설치된다. 면취부(103)의 일단부에는 고정허브(106)가 설치되고, 타단부에는 구동기어(109)가 설치된다. 탄성부재(112)는 상 기 슬라이딩허브(104)를 상기 고정허브(106)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킨다. 상기 슬라이딩허브(104Y)는 구동모터(구동원)(10)와 기어들(11)(12)을 통하여 연결된다. 상기 슬라이딩허브(104Y)와 슬라이딩허브(104M)는 기어(13)를 통하여 연결된다. 슬라이딩허브(104C)는 도시되지 않은 다수의 기어들을 통하여 구동모터(10)와 연결된다. 상기 슬라이딩허브(104C)와 슬라이딩허브(104K)는 기어(14)를 통하여 연결된다. 상기 슬라이딩허브(104)와 고정허브(10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맞물림부(105)(107)를 각각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허브(104)와 고정허브(106)가 맞물리면 구동모터(10)의 구동력이 고정허브(106)까지 전달되고, 샤프트(101)와 구동기어(109)가 회전된다. 상기 구동기어(109)는 현상기(4)에 마련된 종동기어(미도시)와 연결된다. 종동기어는 현상롤러(5)를 비롯하여 현상기(4) 내부에 설치된 구동요소들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4개의 슬라이딩허브(104)를 선택적으로 슬라이딩시켜 4개의 고정허브(106)와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4개의 현상기(4)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4개의 슬라이딩허브(104)를 선택적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하여 캠샤프트(120)와 4개의 캠(131)을 구비한다.
상기 4개의 캠(131)은 4개의 슬라이딩허브(104)와 대응되도록 캠샤프트(12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4개의 캠(131)과 캠 샤프트(120)는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4개의 캠(131)은 서로 위상이 다르다. 상기 캠샤프트(120)가 회전되면 4개의 캠(131)이 순차적으로 4개의 슬라이 딩허브(104)를 밀어 대면된 위치에 있는 4개의 고정허브(106)와 결합시킨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4개의 푸쉬캡(110)을 구비한다. 상기 캠(131)은 푸쉬캡(110)을 밀어 슬라이딩허브(104)를 슬라이딩시킨다.
상기 캠(131)은 슬라이딩허브(104)가 고정허브(106)와 부드럽게 결합되도록 하는 한편, 이격시킬 때에는 가급적 신속히 이격시킬 수 있는 궤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캠(131Y)(131M)(131C)은 푸쉬캡(110Y)(110M)(110C)을 각각 누를 수 있지만, 캠(131K)은 푸쉬캡(110K)과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직접 푸쉬캡(110K)을 누르기가 어렵다. 따라서, 상기 캠(131K)과 푸쉬캡(110K)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70)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재(170)는 커버(180)에 회동될 수 있게 결합되고, 커버(180)는 브라켓(100)에 결합된다. 상기 캠(131K)이 상기 연결부재(170)의 일단부(171)를 밀면 상기 연결부재(170)가 회동되고, 타단부(172)는 푸쉬캡(110K)을 민다.
이를 위하여, 상기 캠(131Y, 131N, 131C, 131K)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다. 상기 캠(131M, 131C)은 상기 캠(131Y)과 캠샤프트(120)의 회전방향(A)의 역방향으로 각각 90도, 180도의 위상차를 가진다. 상기 캠(131K)은 연결부재(170)를 작동시켜 푸쉬캡(110K)을 밀어야 한다. 상기 연결부재(170)의 일단부(171)는 푸쉬캡(110K)의 반대쪽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캠(131K)은 상기 캠(131C)과 캠샤프트(120)의 회전방향(A)의 역방향으로 270도의 위상차를 가진다.
상기 캠샤프트(1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10) 에 의하여 회전된다. 상기 캠샤프트(120)는 상기 구동모터(10)의 회전력을 절환할 때에만 회전된다. 이를 위하여,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캠샤프트(120)로 전달되는 상기 구동모터(10)의 회전력을 단속하기 위한 단속수단으로서 스프링클러치(150)와 스프링클러치(15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160)를 구비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스프링 클러치(150)는 클러치 기어(151), 클러치 스프링(159), 클러치 허브(157), 클러치 샤프트(152)를 구비한다.
상기 클러치 샤프트(152)는 상기 캠샤프트(120)의 일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클러치 기어(151)는 상기 클러치 샤프트(15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클러치 스프링(159)은 상기 클러치 기어(151)와 클러치 샤프트(152)의 원통부(153)(154)에 각각 삽입된다.
상기 클러치 허브(157)는 상기 클러치 스프링(159)을 감싼다. 상기 클러치 허브(157)에는 4개의 캠(131)과 위상적으로 대응되도록 4개의 래치부(158Y,158M,158C,158K)와 하나의 홈포지션 결합부(158h)가 마련된다. 상기 클러치 스프링(159)의 일단부(159a)와 타단부(159b)는 각각 상기 클러치 샤프트(152)와 클러치 허브(157)에 마련된 삽입공(155)(156)에 삽입된다. 상기 클러치 기어(151)는 구동모터(10)에 의하여 회전되는 기어(15)와 연결된다. 상기 구동모터(10)는 클러치 기어(151)를 화살표시(A)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클러치 스프링(159)은 그 내경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비틀리면서 클러치 기어(151)와 클러치 샤프트(152)의 원통부(153)(154)를 강하게 조인다. 따라서, 클러치 기어(151)가 A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클러치 스프링(159)과 클러치 샤프트 (152)가 회전되고, 캠샤프트(120)도 함께 회전된다. 상기 클러치 스프링(159)의 타단부(159b)가 상기 클러치 허브(157)의 삽입공(156)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클러치 허브(157)도 회전된다.
코일부(161)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가동편(162)의 걸림턱(164)은 도 9의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진되어 상기 래치부(158Y,158C,158M,158K) 및 결합부(158h)에 걸려서 클러치 허브(157)의 회전을 막는다.
상기 클러치 스프링(159)의 타단부(159b)는 클러치 허브(157)의 삽입공(156)에 걸리기 때문에, 상기 클러치 허브(157)가 회전되지 않으면 상기 클러치 스프링(159)은 그 내경이 확대되는 방향으로 비틀리게 된다. 그러면, 상기 클러치 스프링(159)이 상기 클러치 기어(151)의 원통부(153)를 조이는 힘이 약해지면서 상기 클러치 스프링(159)의 내경부와 클러치 기어(151)의 원통부(153)가 슬립되어, 상기 클러치 스프링(159) 및 상기 클러치 샤프트(152)가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캠샤프트(120)의 회전이 멈춘다.
상기 코일부(161)에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가동편(162)은 도 9의 이점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부(161)에 부착되며, 상기 걸림턱(164)은 상기 래치부(158Y,158C,158M,158K) 및 결합부(158h)와 이격된다. 그러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 기어(151)가 회전되면서 상기 캠샤프트(120)도 함께 회전된다.
상기 캠샤프트(120)의 초기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캠샤프트(120)에는 홈포지션 지시부재(132)가 마련된다. 센서(140)는 상기 홈포지션 지시부재(132)를 검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140)로서 광센서를 채용한다. 상기 클러치 허브(157)에는 상기 홈포지션 지시부재(132)와 위상적으로 대응되는 상기 홈포지션 결합부(158h)가 마련된다. 액츄에이터(160)의 걸림턱(164)이 상기 홈포지션 결합부(158h)에 결합되면, 상기 캠샤프트(120)는 홈포지션에 위치된 상태에서 회전을 멈춘다.
본 실시예에서, 홈포지션은 4개의 현상기(4)가 구동되지 않는 상태, 즉, 4개의 슬라이딩허브(104)와 고정허브(104)가 모두 서로 이격된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상기 홈포지션 결합부(158h)는 다른 4개의 래치부(158)와 위상적으로 중복되지 않는다. 상기 홈포지션 지시부재(132)는 위상적으로 상기 홈포지션 결합부(158h)보다 선행된다. 상기 센서(140)에 의하여 상기 홈포지션 지시부재(132)가 검출된 후에 상기 액츄에이터(160)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면 가동편(162)은 도 9의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가 된다. 상기 캠샤프트(120)가 회전되어 상기 홈포지션 결합부(158h)가 걸림턱(164)에 걸리면 구동모터(10)로부터의 회전력이 차단되고 상기 캠샤프트(120)는 홈포지션에 정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규제수단(180)을 구비한다. 상기 규제수단(180)은 상기 가동편(162)이 상기 래치부(158Y,158C,158M,158K)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캠샤프트(120)가 상기 클러치 스프링(159)에 의하여 과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상기 가동편(162)이 상기 래치부(158Y,158C,158M,158K)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캠샤프트(120)가 과회전되면 상기 캠(131)도 함께 회전되어, 상기 캠(131)이 상기 푸쉬캡(110)을 완전하게 밀지 못하게 되어, 결국 상기 슬라이딩허브(104)를 상기 고정허브(106)에 밀착시키지 못하게 됨으로써 회전력이 상기 현상기(4)에 완벽하게 전달되지 못하게 된다.
상기 규제수단(180)은 상기 클러치 허브(157)에 마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규제부(181)와, 상기 클러치 샤프트(152)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규제부(151)에 각각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규제홈(182)을 구비한다.
상기 규제부(181)는 상기 래치부(158Y,158C,158M,158K)의 바로 아래측에 상기 클러치 허브(157)로부터 상기 규제홈(182)쪽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클러치(150)가 결합되면, 상기 규제부(181)는 상기 규제홈(182)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어 있다.
상기 규제홈(182)의 폭(W2)은 상기 규제부(181)의 폭(W1)보다 더 크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클러치(150)가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규제부(181)가 회전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규제홈(182)의 일측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캠샤프트(120)의 과회전을 방지하며, 반대로, 상기 스프링클러치(150)가 화살표 A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클러치스프링(159)이 풀릴 수 있는 여유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위해서이다.
상기 규제수단(180)은 상기 규제부(181) 및 규제홈(182)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능을 하는 다른 변용례를 적용할 수 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규제수단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현상기(4)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캠(131)이 상기 복수의 푸싱캡(110)과 선택적으로 접촉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츄에이터(160)의 가동편(162)이 시안래치부(158C)와 결합되면, 도 6에 도시된 상기 캠(131C)은 상기 푸싱캡(110C)과 접촉하면서 민다.
이때, 상기 클러치 스프링(159)의 오동작에 의하여 상기 클러치 샤프트(152)를 과 회전시켜도, 상기 규제부(181)가 상기 규제홈(182)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클러치 스프링(159)의 회전력에 의하여 상기 클러치 샤프트(152)이 과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가동편(162)이 상기 래치부(158Y,158C,158M,158K)의 어느 하나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캠샤프트(120)는 상기 규제수단(180)에 의하여 과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규제수단을 이용하여 캠을 항상 정해진 위치에 정지시켜 푸싱캡을 밀어줌으로써 동력을 현상기에 정확하게 연결함으로써 단속수단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 다.

Claims (12)

  1. 복수의 현상기;
    상기 복수의 현상기에 각각 대응되도록 서로 다른 회전위상을 가지는 복수의 캠이 마련되어 있는 캠샤프트;
    상기 캠샤프트에 전달되는 구동원의 회전력을 단속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캠과 위상적으로 대응되는 복수의 래치부가 마련된 스프링클러치 및, 상기 복수의 래치부와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복수의 캠을 상기 복수의 현상기에 각각 대응시키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단속수단과;
    상기 스프링클러치에 마련되어, 상기 캠이, 선택된 상기 현상기와의 대응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캠샤프트의 과회전을 방지하는 규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클러치는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클러치기어, 상기 캠샤프트에 연결되는 클러치샤프트, 상기 클러치기어와 상기 클러치샤프트와 결합되어 상기 클러치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클러치샤프트에 전달하는 클러치스프링과, 상기 클러치스프링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클러치스프링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래치부가 마련되어 있는 클러치허브를 구비하며,
    상기 규제수단은
    상기 클러치허브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규제부와, 상기 클러치샤프트에 형성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규제부와 상기 규제부에 각각 겹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규제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각각 상기 규제홈 쪽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홈의 폭은 상기 규제부의 폭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규제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복수의 현상기
    상기 복수의 현상기에 각각 대응하도록 서로 다른 회전위상을 가지는 복수의 캠이 마련되어 있는 캠샤프트;
    상기 캠샤프트에 전달되는 구동원의 회전력을 단속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캠과 위상적으로 대응되는 복수의 래치부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치 및 상기 복수의 래치부와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복수의 캠을 상기 복수의 현상기에 각각 대응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단속수단과;
    상기 스프링클러치에 마련되어, 선택된 현상기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캠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캠샤프트가 과도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클러치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규제부와 상기 스프링클러치에 마련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규제부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규제홈을 구비하는 규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클러치는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클러치기어,
    상기 캠샤프트에 연결된 클러치샤프트,
    상기 클러치기어 및 클러치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클러치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클러치샤프트에 전달하는 클러치스프링과,
    상기 클러치스프링을 감싸며, 상기 클러치스프링의 일단이 고정되며, 복수의 래치부가 마련되어 있는 클러치허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규제부는 상기 클러치허브에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규제홈은 상기 클러치샤프트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규제홈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홈의 폭은 상기 규제부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 7, 9 또는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규제홈에 끼워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래치부는 상기 규제수단과 클러치기어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50094511A 2005-10-07 2005-10-07 화상형성장치 KR100717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511A KR100717037B1 (ko) 2005-10-07 2005-10-07 화상형성장치
US11/502,383 US7680441B2 (en) 2005-10-07 2006-08-11 Image forming apparatus
CNB2006101256839A CN100529976C (zh) 2005-10-07 2006-08-31 成像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511A KR100717037B1 (ko) 2005-10-07 2005-10-07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317A KR20070039317A (ko) 2007-04-11
KR100717037B1 true KR100717037B1 (ko) 2007-05-10

Family

ID=37911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4511A KR100717037B1 (ko) 2005-10-07 2005-10-07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680441B2 (ko)
KR (1) KR100717037B1 (ko)
CN (1) CN10052997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6400B2 (ja) * 2006-01-11 2009-11-1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20090067885A1 (en) * 2007-09-10 2009-03-12 Hung-Hsu Hsu Controlling apparatus for clutch
CN101694568B (zh) * 2009-09-29 2013-10-02 珠海赛纳打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处理盒的驱动力传输部件
JP6106584B2 (ja) * 2013-12-26 2017-04-0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補給機構、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補給を制御する方法
CN115877688A (zh) * 2017-06-15 2023-03-31 佳能株式会社 盒与电子照相图像形成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3896A (ja) 1997-11-20 1999-06-08 Fujitsu Ltd 画像形成装置
JP2001337511A (ja) 2000-05-26 2001-1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2213542A (ja) 2001-01-19 2002-07-31 Canon Inc 回転力伝達装置とこの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3208024A (ja) 2002-01-15 2003-07-25 Canon Inc 駆動装置及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5215107A (ja) 2004-01-28 2005-08-1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9278A (en) * 1989-07-26 1992-03-24 Konica Corporation Apparatus for switching and driving a plurality of driven system
JPH03107619A (ja) 1989-09-22 1991-05-08 Minolta Camera Co Ltd ばねクラッチ装置
JPH0854778A (ja) 1994-08-12 1996-02-27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0148985A (ja) 1996-11-20 1998-06-02 Canon Inc 駆動伝達制御装置
JP2002099129A (ja) * 2000-09-22 2002-04-05 Sharp Corp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4058628B2 (ja) 2002-03-29 2008-03-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クラッチ装置、給送装置、記録装置
US7266321B2 (en) * 2002-09-30 2007-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supplying voltage to developing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3896A (ja) 1997-11-20 1999-06-08 Fujitsu Ltd 画像形成装置
JP2001337511A (ja) 2000-05-26 2001-1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2213542A (ja) 2001-01-19 2002-07-31 Canon Inc 回転力伝達装置とこの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3208024A (ja) 2002-01-15 2003-07-25 Canon Inc 駆動装置及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5215107A (ja) 2004-01-28 2005-08-1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81831A1 (en) 2007-04-12
CN1945448A (zh) 2007-04-11
US7680441B2 (en) 2010-03-16
CN100529976C (zh) 2009-08-19
KR20070039317A (ko) 200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6230B1 (ko) 화상형성장치
KR101155664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동력 단속 장치
CN108073056B (zh) 显影盒和使用该显影盒的电子照相成像装置
US1095579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N108241274B (zh) 离合器设备、处理盒和成像装置
US7933538B2 (en) Color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rotary drive transmission mechanism
KR100717037B1 (ko) 화상형성장치
US11106160B2 (en) Drive transmission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drive transmission device
KR100628567B1 (ko) 현상기 동력단속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20070014465A (ko) 화상형성장치
US8909092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to charge a photosensitive drum
KR100636233B1 (ko) 고압절환장치 및 이를 채용한 멀티패스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0717012B1 (ko) 화상형성장치 및 홈포지션에러 판정방법
EP1909144B1 (e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317305B1 (ko) 화상형성장치
KR101044943B1 (ko) 멀티패스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1330731B1 (ko) 화상형성장치
KR100719109B1 (ko) 현상기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컬러 화상형성장치.
JP2022149151A (ja) 駆動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580220B1 (ko) 화상형성장치의 회전력 단속 장치
KR20080077784A (ko)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