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7036A -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7036A
KR20220017036A KR1020200096852A KR20200096852A KR20220017036A KR 20220017036 A KR20220017036 A KR 20220017036A KR 1020200096852 A KR1020200096852 A KR 1020200096852A KR 20200096852 A KR20200096852 A KR 20200096852A KR 20220017036 A KR20220017036 A KR 20220017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housing
user
accelera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식
예석우
정재훈
양지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6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7036A/ko
Publication of KR20220017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0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5Handover processes
    • B60W60/0053Handover processes from vehicle to occup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te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7Longitudinal ac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2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push button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55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 G05D1/006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automatic pilot to manual pilot and vice ver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60W2520/105Longitudinal accel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율주행모드에서 수동운전모드로 전환시 사용자가 휴대용 기기에 해당하는 이동형 조작기기(10)를 조작해서 차량의 조향과 변속 및 가속과 제동을 실시하고, 터치식으로 조작하는 고정형 디스플레이기기(20)를 조작해서 조향과 변속 및 가속과 제동이외의 기타 기능을 수행하며, 이동형 조작기기(10)에 구비된 조향다이얼스위치(200), 변속버튼스위치(300), 가속 및 제동슬라이드스위치(400)는 각각의 조작방식이 서로 상이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INTEGRATED CONTROL APPARATUS FOR AUTONOMOUS DRIVING VEHICLE}
본 발명은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율주행모드에서 수동운전모드로 전환시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자율주행 차량에 구비된 통합조작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자율주행 차량은 운전자가 핸들과 가속페달 및 브레이크 등을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스스로 목적지까지 찾아가는 자율주행 기술이 접목된 스마트 차량이다.
자율주행 상황이 보편적으로 실현될 경우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하는 수동운전모드, 및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하지 않고 차량이 스스로 목적지까지 주행하는 자율주행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자율주행 중에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차량의 승객 중 누군가는 차량을 수동으로 직접 조작해야 하며, 이를 위해 차량에는 수동운전모드를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일예로, 게임기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조이스틱(joystick)과 같은 기기를 이용해서 차량 매니저가 수동운전모드시 차량을 조작하는 경우가 있는데, 1개의 조이스틱 기기에 다수개의 버튼과 레버 및 토글을 이용한 스위치가 복잡한 형태로 배치되어 있어서, 조작이 어렵고 불편하며 특히 오조작의 가능성이 있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2-0046583호
본 발명은, 자율주행모드에서 수동운전모드로 전환시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로서, 조향과 변속 및 가속과 제동 조작을 위한 이동형 조작기기 및 기타 기능의 조작을 위해 터치식으로 조작하는 고정형 디스플레이기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조작시 편의성 향상을 도모하고, 오조작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는, 자율주행모드에서 수동운전모드로 전환시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자율주행 차량에 구비된 통합조작장치로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조향과 변속 및 가속과 제동을 위해 조작하는 이동형 조작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형 조작기기는 사용자가 한쪽 손으로 잡아서 파지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조향다이얼스위치, 변속버튼스위치, 가속 및 제동슬라이드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형 조작기기와 분리되게 구성되어서 조향과 변속 및 가속과 제동이외의 기타 기능의 조작을 위해 사용자가 터치식으로 조작하는 고정형 디스플레이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형 조작기기는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이 가능한 휴대용 기기이고; 상기 고정형 디스플레이기기는 자율주행 차량의 실내공간에 고정되게 설치된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형 디스플레이기기의 조작으로 구현되는 기타 기능은 차량의 전후방에 장착된 램프류의 구동기능, 경고음 발생기능, 주행모드 변경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박스구조의 일자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향다이얼스위치는 하우징의 윗면 전방위치에 구비되면서 사용자가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조작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변속버튼스위치는 하우징의 윗면 후방위치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눌러서 조작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속 및 제동슬라이드스위치는 하우징의 측면에 구비되면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밀거나 당겨서 조작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속버튼스위치가 구비된 하우징의 윗면 후방위치는 후방쪽으로 하향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서 변속버튼스위치의 조작시 직관성을 높여서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향다이얼스위치와 변속버튼스위치와 가속 및 제동슬라이드스위치는 오조작의 방지를 위해 조작방식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형 조작기기는 조향다이얼스위치와 가속 및 제동슬라이드스위치에 각각 결합된 영구자석; 및 상기 영구자석과 대면하도록 하우징에 고정 설치된 PCB를 더 포함하고; 상기 PCB는 영구자석의 위치변화에 따른 자속의 변화를 통해 조향과 관련된 신호나 또는 가속과 관련된 신호나 또는 제동과 관련된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속버튼스위치는 택트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PCB는 택트스위치의 출력신호를 통해 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향다이얼스위치와 변속버튼스위치는 하우징을 파지하지 않은 다른 손으로 조작하고; 상기 가속 및 제동슬라이드스위치는 하우징을 파지한 손의 손가락으로 조작하거나 또는 하우징을 파지하지 않은 다른 손으로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향다이얼스위치는 사용자의 조작시 하우징에 대해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사용자의 조작력이 해제되면 스프링력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회전해서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향다이얼스위치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올려서 적은 힘으로 회전 조작할 수 있는 파워핸들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속버튼스위치는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이 가능한 R단 버튼, N단 버튼, 및 D단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속 및 제동슬라이드스위치는 사용자가 하우징을 파지한 손의 손가락으로 전방으로 밀어주거나 또는 후방으로 당겨서 조작이 가능하고; 상기 가속 및 제동슬라이드스위치를 손가락으로 밀어서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차량의 가속이 실행되고, 손가락으로 당겨서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차량의 제동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는, 자율주행모드에서 수동운전모드로 전환시 사용자가 휴대용 기기에 해당하는 이동형 조작기기를 조작해서 차량의 조향과 변속 및 가속과 제동을 실시하고, 터치식으로 조작하는 고정형 디스플레이기기를 조작해서 차량의 기타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조작이 쉽고 편리하며, 특히 차량의 다양한 조작기능을 이동형 조작기기와 터치식 디스플레이기기로 분리해서 구성함에 따라 오조작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형 조작기기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원하는 위치로 이동이 가능한 휴대용 기기로서, 부피가 작고 중량이 가벼워서 쉽게 조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형 조작기기에 구비된 조향다이얼스위치, 변속버튼스위치, 가속 및 제동슬라이드스위치는 각각의 조작방식이 서로 상이한 구성으로, 이를 통해 오조작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자율주행 차량에 통합조작장치가 구비된 도면,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조작기기의 사시도 및 측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다이얼스위치와 변속버튼스위치와 가속 및 제동슬라이드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 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제어기)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율주행 차량(1)내에 구비되며, 자율주행 중에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차량의 매니저가 직접 조작해서 차량을 수동운전모드로 운행할 수 있는 기기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는 사용자가 손(2)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조향과 변속 및 가속과 제동을 위해 조작하는 이동형 조작기기(10); 및 상기 이동형 조작기기(10)와 분리되게 구성되어서 조향과 변속 및 가속과 제동이외의 기타 기능의 조작을 위해 사용자가 터치식으로 조작하는 고정형 디스플레이기기(2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형 조작기기(10)는 사용자가 손(2)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이 가능한 휴대용 조작기기이고, 상기 고정형 디스플레이기기(20)는 자율주행 차량(1)의 실내공간에 고정되게 설치된 기기로서, 이동형 조작기기(10)와 고정형 디스플레이기기(20)는 서로 분리된 구조의 기기가 된다.
이동형 조작기기(10)는 외적 형상에 따라 레버형 조작기기로 명명될 수 있다.
고정형 디스플레이기기(20)의 조작으로 구현되는 기타 기능은 차량의 전후방에 장착된 램프류의 구동기능, 경고음 발생기능, 주행모드 변경기능을 포함한다.
차량의 램프류는 차량에 장착되는 모든 종류의 램프를 포함하며, 헤드램프, 안개등, 방향지시등, 미등, 경고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주행모드의 변경은 자율주행모드와 수동운전모드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휴대용 기기에 해당하는 이동형 조작기기(10)를 조작해서 차량의 조향과 변속 및 가속과 제동을 실시하고, 터치식 고정형 디스플레이기기(20)를 조작해서 차량의 기타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조작이 쉽고 편리하며, 특히 차량의 다양한 조작기능을 이동형 조작기기(10)와 터치식 고정형 디스플레이기기(20)로 분리해서 구성함에 따라 오조작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동형 조작기기(1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원하는 위치로 이동이 가능한 휴대용 기기로서, 부피가 작고 중량이 가벼워서 쉽게 조작이 가능한 장점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조작기기(10)는 사용자가 한쪽 손(2)으로 잡아서 파지하는 하우징(100); 및 상기 하우징(100)에 구비된 조향다이얼스위치(200), 변속버튼스위치(300), 가속 및 제동슬라이드스위치(4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박스구조의 일자모양으로 형성되고, 조향다이얼스위치(200)는 하우징(100)의 윗면 전방위치에 구비되면서 사용자가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조작하도록 구비되고, 변속버튼스위치(300)는 하우징(100)의 윗면 후방위치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눌러서 조작하도록 구비되며, 가속 및 제동슬라이드스위치(400)는 하우징(100)의 측면에 구비되면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밀거나 당겨서 조작하도록 구비된다.
조향다이얼스위치(200)가 결합되는 하우징(100)의 윗면 전방위치는 조향다이얼스위치(200)의 원활한 조작을 위해 편평한 평면(110)으로 형성되고, 변속버튼스위치(300)가 결합되는 하우징(100)의 윗면 후방위치는 평면(110)과 연결되면서 후방쪽으로 하향진 경사면(120)으로 형성되며, 이를 통해 변속버튼스위치(130)의 조작시 조향다이얼스위치(200)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변속버튼스위치(130)의 조작시 직관성을 높여서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조향다이얼스위치(200)와 변속버튼스위치(300)와 가속 및 제동슬라이드스위치(400)는 오조작의 방지를 위해 조작방식이 서로 상이한 것이 특징이다.
이동형 조작기기(10)의 하우징(100)은 일예로서 사용자가 오른손의 손바닥에 올려놓은 후 잡아서 파지할 수 있고, 조향다이얼스위치(200)와 변속버튼스위치(300)는 하우징(100)을 파지하지 않은 다른 손 즉 왼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데, 조향다이얼스위치(200)는 왼손의 손가락 전체를 이용해서 다이얼을 돌려서 조작할 수 있고, 변속버튼스위치(300)는 왼손의 검지를 이용해서 버튼스위치를 눌러서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가속 및 제동슬라이드스위치(400)는 하우징(100)을 파지한 손 즉 오른손의 엄지를 이용해서 슬라이드스위치를 전방으로 밀거나 후방으로 당김으로써 조작할 수 있고, 또는 하우징(100)을 파지하지 않은 다른 손 즉 왼손의 손가락을 이용해서도 조작할 수 있다.
가속 및 제동슬라이드스위치(400)를 손가락으로 밀어서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차량의 가속이 실행되고, 손가락으로 당겨서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차량의 제동이 실행된다.
변속버튼스위치(300)는 하우징(100)의 경사면(120)에서 길이방향(전후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 R단 버튼(310)과 N단 버튼(320) 및 D단 버튼(330)을 포함하고, R단 버튼(310)과 N단 버튼(320) 및 D단 버튼(330)은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조작기기(10)는 조향다이얼스위치(200)와 가속 및 제동슬라이드스위치(400)에 각각 결합된 영구자석(510,520), 및 상기 영구자석(510,520)과 대면하도록 하우징(100)에 고정 설치된 PCB(600, Printed Circuit Board)를 더 포함한다.
PCB(600)는 영구자석(510,520)의 위치변화에 따른 자속의 변화를 통해 조향과 관련된 신호나 또는 가속과 관련된 신호나 또는 제동과 관련된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변속버튼스위치(300)는 택트스위치(340)를 포함해서 구성되고, PCB(600)는 택트스위치(340)의 출력신호를 통해 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택트스위치(340, Tact Switch)는 사이즈가 작고, 내부에 고무스프링이 있어서 초기위치로 복귀가 가능하며, 조작시 접점방식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이며, 변속버튼스위치(300)를 구성하는 R단 버튼(310)과 N단 버튼(320) 및 D단 버튼(330)마다 1개씩의 택트스위치(340)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다이얼스위치(200)는 하우징(100)의 윗면에서 전방쪽에 위치한 평면(110)을 통해 상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조향다이얼스위치(200)는 다이얼샤프트(210)와 일체로 결합되어서 하우징(1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다이얼샤프트(210)에 의해 중심이 관통되는 형태로 다이얼샤프트(210)에는 상부기어(220) 및 하부기어(230)가 상하로 이격되게 일체로 결합되고, 상부기어(220)는 센싱기어(240)와 외접기어 형태로 치합되고, 센싱기어(240)의 중심부에 기어축(241)이 결합되고, 기어축(241)은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센싱기어(240)에는 영구자석(510)이 PCB(600)와 대면하는 형태로 결합된다.
다이얼샤프트(210)에는 리턴스프링(250)이 감겨지고, 리턴스프링(250)의 양단은 스토퍼돌기(260)의 외측면에 지지되며, 스토퍼돌기(260)는 하우징(100)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하부기어(230)는 댐퍼(270)와 외접기어 형태로 치합되고, 댐퍼(270)는 스프링력에 의한 복귀속도를 늦추는 역할을 함으로써 소음 및 충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조향다이얼스위치(200)를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다이얼샤프트(210)의 회전에 의해 영구자석(510)의 위치가 변하고, PCB(600)는 영구자석(510)의 위치변화에 따른 자속의 변화를 통해 조향다이얼스위치(200)의 회전을 인지해서 조향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조향다이얼스위치(200)를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다이얼샤프트(210)가 회전하면 리턴스프링(250)이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축적하게 되고, 사용자가 조향다이얼스위치(200)로부터 조작력을 해제하면 조향다이얼스위치(200)는 스프링력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회전해서 초기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조향다이얼스위치(200)에는 원기둥모양으로 형성된 파워핸들(280)이 추가로 더 설치되는데, 파워핸들(280)의 윗면은 조향다이얼스위치(200)의 위쪽으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파워핸들(280)의 윗면은 사용자가 손가락을 얹을 수 있는 오목한 모양으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왼손의 검지를 파워핸들(280)의 윗면에 올려서 적은 힘으로 회전력을 가해주면 조향다이얼스위치(200) 전체가 하우징(100)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변속버튼스위치(300)는 하우징(100)의 윗면에서 후방쪽에 위치한 경사면(120)을 통해 상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하우징(100)를 잡은 상태에서 왼손의 검지손가락을 이용해서 눌러서 조작하게 된다.
변속버튼스위치(300)를 구성하는 R단 버튼(310), N단 버튼(320), 및 D단 버튼(330)은 각각 택트스위치(340)와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PCB(600)는 택트스위치(340)의 출력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된다.
사용자가 변속버튼스위치(300) 중 어느 하나의 버튼을 눌러서 조작하면 택트스위치(340)가 작동하고, 택트스위치(340)의 작동에 의한 출력신호가 PCB(600)로 전달되어서 PCB(600)는 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가속 및 제동슬라이드스위치(400)는 하우징(100)의 한쪽 측면에서 전방쪽 위치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하우징(100)을 파지한 손 즉 오른손의 엄지를 이용해서 가속 및 제동슬라이드스위치(400)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조작하게 된다.
가속 및 제동슬라이드스위치(400)를 손가락으로 밀어서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차량의 가속이 실행되고, 손가락으로 당겨서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차량의 제동이 실행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속 및 제동슬라이드스위치(400)의 노브(410)는 하우징(10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노브(410)에는 전방로드(420) 및 후방로드(430)가 각각 전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전방로드(420)와 후방로드(430)는 각각 전방가이드(440) 및 후방가이드(450)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는 구성으로, 전방로드(420)는 전방가이드(440)속에 삽입되고, 후방로드(430)는 후방가이드(450)속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전방가이드(440)와 후방가이드(450)는 각각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우징(100)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전방로드(420)에는 전방스프링(460)이 감겨져서 설치되고, 전방스프링(460)의 양단은 노브(410)와 전방가이드(440)에 지지되며, 전방스프링(460)은 노브(410)가 전방으로 이동시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축적하고, 축적된 탄성력으로 노브(410)를 후방으로 이동시켜서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후방로드(430)에는 후방스프링(470)이 감겨져서 설치되고, 후방스프링(470)의 양단은 노브(410)와 후방가이드(450)에 지지되며, 후방스프링(470)은 노브(410)가 후방으로 이동시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축적하고, 축적된 탄성력으로 노브(41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가속 및 제동슬라이드스위치(400)의 노브(410)는 영구자석(520)이 결합되어서 PCB(600)와 대면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사용자가 하우징(100)을 파지한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을 이용해서 가속 및 제동슬라이드스위치(400)의 노브(410)를 전방으로 밀어주거나 또는 후방으로 당겨주면, 노브(410)에 결합된 영구자석(520)의 위치가 변하게 되고, PCB(600)는 영구자석(520)의 위치변화에 따른 자속의 변화를 통해 가속 및 제동슬라이드스위치(400)의 이동을 인지해서 가속과 관련된 신호나 또는 제동과 관련된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는, 자율주행모드에서 수동운전모드로 전환시 사용자가 휴대용 기기에 해당하는 이동형 조작기기(10)를 조작해서 차량의 조향과 변속 및 가속과 제동을 실시하고, 터치식으로 조작하는 고정형 디스플레이기기(20)를 조작해서 차량의 기타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조작이 쉽고 편리하며, 특히 차량의 다양한 조작기능을 이동형 조작기기(10)와 터치식 디스플레이기기(20)로 분리해서 구성함에 따라 오조작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동형 조작기기(1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원하는 위치로 이동이 가능한 휴대용 기기로서, 부피가 작고 중량이 가벼워서 쉽게 조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이동형 조작기기(10)에 구비된 조향다이얼스위치(200), 변속버튼스위치(300), 가속 및 제동슬라이드스위치(400)는 각각의 조작방식이 서로 상이한 구성으로, 이를 통해 오조작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자율주행 차량 2 - 손
10 - 이동형 조작기기 20 - 고정형 디스플레이기기
100 - 하우징 110 - 평면
120 - 경사면 200 - 조향다이얼스위치
210 - 다이얼샤프트 220 - 상부기어
230 - 하부기어 240 - 센싱기어
241 - 기어축 250 - 리턴스프링
260 - 스토퍼돌기 270 - 댐퍼
280 - 파워핸들 300 - 변속버튼스위치
310 - R단 버튼 320 - N단 버튼
330 - D단 버튼 340 - 택트스위치
400 - 가속 및 제동슬라이드스위치 410 - 노브
420 - 전방로드 430 - 후방로드
440 - 전방가이드 450 - 후방가이드
460 - 전방스프링 470 - 후방스프링
510,520 - 영구자석 600 - PCB

Claims (14)

  1. 자율주행모드에서 수동운전모드로 전환시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자율주행 차량에 구비된 통합조작장치로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조향과 변속 및 가속과 제동을 위해 조작하는 이동형 조작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형 조작기기는 사용자가 한쪽 손으로 잡아서 파지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조향다이얼스위치, 변속버튼스위치, 가속 및 제동슬라이드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조작기기와 분리되게 구성되어서 조향과 변속 및 가속과 제동이외의 기타 기능의 조작을 위해 사용자가 터치식으로 조작하는 고정형 디스플레이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조작기기는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이 가능한 휴대용 기기이고;
    상기 고정형 디스플레이기기는 자율주행 차량의 실내공간에 고정되게 설치된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디스플레이기기의 조작으로 구현되는 기타 기능은 차량의 전후방에 장착된 램프류의 구동기능, 경고음 발생기능, 주행모드 변경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박스구조의 일자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향다이얼스위치는 하우징의 윗면 전방위치에 구비되면서 사용자가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조작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변속버튼스위치는 하우징의 윗면 후방위치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눌러서 조작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속 및 제동슬라이드스위치는 하우징의 측면에 구비되면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밀거나 당겨서 조작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변속버튼스위치가 구비된 하우징의 윗면 후방위치는 후방쪽으로 하향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서 변속버튼스위치의 조작시 직관성을 높여서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향다이얼스위치와 변속버튼스위치와 가속 및 제동슬라이드스위치는 오조작의 방지를 위해 조작방식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조작기기는 조향다이얼스위치와 가속 및 제동슬라이드스위치에 각각 결합된 영구자석; 및
    상기 영구자석과 대면하도록 하우징에 고정 설치된 PCB를 더 포함하고;
    상기 PCB는 영구자석의 위치변화에 따른 자속의 변화를 통해 조향과 관련된 신호나 또는 가속과 관련된 신호나 또는 제동과 관련된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변속버튼스위치는 택트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PCB는 택트스위치의 출력신호를 통해 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향다이얼스위치와 변속버튼스위치는 하우징을 파지하지 않은 다른 손으로 조작하고;
    상기 가속 및 제동슬라이드스위치는 하우징을 파지한 손의 손가락으로 조작하거나 또는 하우징을 파지하지 않은 다른 손으로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향다이얼스위치는 사용자의 조작시 하우징에 대해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사용자의 조작력이 해제되면 스프링력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회전해서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향다이얼스위치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올려서 적은 힘으로 회전 조작할 수 있는 파워핸들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속버튼스위치는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이 가능한 R단 버튼, N단 버튼, 및 D단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속 및 제동슬라이드스위치는 사용자가 하우징을 파지한 손의 손가락으로 전방으로 밀어주거나 또는 후방으로 당겨서 조작이 가능하고;
    상기 가속 및 제동슬라이드스위치를 손가락으로 밀어서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차량의 가속이 실행되고, 손가락으로 당겨서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차량의 제동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KR1020200096852A 2020-08-03 2020-08-03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KR202200170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852A KR20220017036A (ko) 2020-08-03 2020-08-03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852A KR20220017036A (ko) 2020-08-03 2020-08-03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036A true KR20220017036A (ko) 2022-02-11

Family

ID=80266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852A KR20220017036A (ko) 2020-08-03 2020-08-03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703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6583A (ko) 2010-11-02 2012-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휠 차량의 자동 주차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6583A (ko) 2010-11-02 2012-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휠 차량의 자동 주차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96988B (en) Bicycle operating component with electrical shift control switch
JP2766204B2 (ja) ゲーム機用操作装置
EP1391377B1 (en) Electrical shift control device for a bicycle transmission
US20100059304A1 (en) Handle switch of motorcycle
KR20220022525A (ko)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및 이의 작동 제어방법
US11945307B2 (en) Integrated control apparatus for autonomous vehicle
US11820405B2 (en) Integrated control apparatus for autonomous vehicle
KR20220017036A (ko)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US11794578B2 (en) Integrated control apparatus for driving vehicle
JP4624973B2 (ja) シフト装置
KR20220022524A (ko)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KR20220163127A (ko)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KR20220031824A (ko)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KR20220131416A (ko)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US20230088480A1 (en) Integrated control apparatus for autonomous driving vehicle
CN111216838B (zh) 车辆配件的控制方法
KR20230070078A (ko)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KR20220115749A (ko)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JP4061128B2 (ja) ワイパースイッチ
KR20220115750A (ko)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JP2011023325A (ja)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JP2849367B2 (ja) ゲーム機用操作装置
JP3163444U (ja) 手動スイッチ
KR20230134161A (ko)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CN215265980U (zh) 一种电动车的控制总成及电动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