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3127A -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3127A
KR20220163127A KR1020210071662A KR20210071662A KR20220163127A KR 20220163127 A KR20220163127 A KR 20220163127A KR 1020210071662 A KR1020210071662 A KR 1020210071662A KR 20210071662 A KR20210071662 A KR 20210071662A KR 20220163127 A KR20220163127 A KR 20220163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operating mechanism
core controller
mechanism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1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3127A/ko
Priority to US17/490,028 priority patent/US20220390939A1/en
Publication of KR20220163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31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16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operator's input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te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7Longitudinal ac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082Selecting or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es of prop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5Handover processes
    • B60W60/0053Handover processes from vehicle to occupa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55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 G05D1/006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automatic pilot to manual pilot and vice ver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4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means connecting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to propulsion unit
    • B60K2026/046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means connecting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to propulsion unit with electrical transmis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38Touch screens
    • B60K2360/1442Emulation of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5Instrument input by combination of touch screen and hardware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75Autonomous dri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55Remote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55Remote control arrangements
    • B60K2360/56Remote control arrangements using mobile devices
    • B60K2360/573Mobile devices controlling vehicle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62Adapting control system settings
    • B60W2050/007Switching between manual and automatic parameter input, and vice versa
    • B60W2050/0074Driver shifts control to the controller, e.g. by pressing a bu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30Switches, e.g. mercury or ball type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G05D2201/02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속과 제동 및 조향과 변속 조작을 위한 조작기구부(200), 및 조작기구부(200)와 결합되어서 제어를 담당하는 코어제어기(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사용자는 타입이 다양한 여러 개의 조작기구부(200) 중 자신의 취향에 맞는 1개의 조작기구부(200)를 선택하고, 선택된 조작기구부(200)에 코어제어기(400)를 결합해서 사용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INTEGRATED CONTROL APPARATUS FOR AUTONOMOUS DRIVING VEHICLE}
본 발명은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율주행모드에서 수동운전모드로 전환시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자율주행 차량에 구비된 통합조작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자율주행 차량은 운전자가 핸들과 가속페달 및 브레이크 등을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스스로 목적지까지 찾아가는 자율주행 기술이 접목된 스마트 차량이다.
자율주행 상황이 보편적으로 실현될 경우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하는 수동운전모드, 및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하지 않고 차량이 스스로 목적지까지 주행하는 자율주행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자율주행 중에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차량의 승객 중 누군가는 차량을 수동으로 직접 조작해야 하며, 이를 위해 차량에는 수동운전모드를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일예로, 게임기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조이스틱(joystick)과 같은 기기를 이용해서 차량 매니저가 수동운전모드시 차량을 조작하는 경우가 있는데, 1개의 조이스틱 기기에 다수개의 버튼과 레버 및 토글을 이용한 스위치가 복잡한 형태로 배치되어 있어서, 조작이 어렵고 불편하며 특히 오조작의 가능성이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사용자가 통합조작기기에서 가속, 제동, 조향, 변속 등을 조작하면, 통합조작기기측 PCB(Printed Circuit Board)에서 통합조작기기측 캔(CAN)통신 유니트(unit)로 시그널을 전달하여 캔신호를 만들고, 통합조작기기측 캔통신 유니트에서 와이어링으로 캔신호를 차량측 캔통신 유니트로 송출하고, 차량측 캔통신 유니트에서는 통합조작기기측 캔통신 유니트에서 송출한 캔신호를 받아 차량측 제어기에 시그널로 전달하고, 차량측 제어기가 가속, 제동, 조향, 변속을 담당하는 액추에이터를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가속, 제동, 조향, 변속 기능이 수행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통합조작기기측 캔통신 유니트와 차량측 캔통신 유니트를 사용하여 신호를 전달받는 구성으로, 구성이 복잡하고, 비용이 비싸며, 캔신호의 변환과정을 거치게 됨으로써 신호의 응답성이 늦은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166895호
본 발명은, 자율주행모드에서 수동운전모드로 전환시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자율주행 차량에 구비된 통합조작장치이고, 통합조작장치는 가속과 제동 및 조향과 변속 조작을 위한 조작기구부, 및 조작기구부와 결합되어서 제어를 담당하는 코어제어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신호전달을 위한 캔통신 유니트의 사용을 없앨 수 있게 됨에 따라 구성의 단순화 및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신호의 응답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기구부는 다양한 타입의 다수개로 구성이 가능하고, 코어제어기는 1개로 구성되어서,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는 1개의 조작기구부를 선택하고, 선택된 조작기구부에 코어제어기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조작기구부의 타입의 다양화를 통해 조작의 편의성 향상 및 상품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율주행모드에서 수동운전모드로 전환시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자율주행 차량에 구비된 통합조작장치로서, 가속스위치와 제동스위치 및 조향스위치와 변속스위치가 구비된 조작기구부; 및 상기 조작기구부와 결합해서 사용하고, 조작기구부에 구비된 스위치의 조작시 와이어링을 통해 차량으로 가속, 제동, 조향, 변속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를 담당하는 코어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기구부는 스위치들의 위치 및 조작방식에 따라 다양한 타입의 다수개로 구성되고 코어제어기는 1개로 구성되어서, 사용자가 1개의 조작기구부를 선택하고, 선택된 조작기구부에 코어제어기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속스위치 및 제동스위치는 버튼스위치로 구성되고; 상기 조향스위치는 다이얼스위치 또는 레버스위치로 구성되고; 상기 변속스위치는 버튼스위치 또는 토글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기구부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일측조작부와 타측조작부 및, 일측조작부와 타측조작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조작부에 가속스위치와 제동스위치가 배치되고, 타측조작부에 조향스위치가 배치되며, 연결부에 변속스위치가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기구부는 가속스위치와 제동스위치 및 조향스위치와 변속스위치가 결합된 조작기구부하우징, 및 스위치의 신호를 처리하는 조작기구부PCB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제어기는 조작기구부하우징과 결합되는 코어제어기하우징 및, 조작기구부PCB와 연결되어서 신호를 처리하는 코어제어기PC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기구부하우징에는 일측으로 개구된 도킹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킹홈부로 코어제어기하우징이 삽입되어서 조작기구부와 코어제어기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킹홈부의 좌우측면에는 가이드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코어제어기하우징의 양측면에는 코어제어기하우징이 도킹홈부로 삽입될 때에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킹홈부의 입구측에는 락킹가이드가 복귀스프링에 지지된 형태로 조작기구부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락킹가이드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서로 마주 대하는 방향에서 도킹홈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도킹홈부로 코어제어기하우징의 삽입이 완료되면 락킹가이드는 코어제어기하우징의 후면을 지지해서 도킹홈부로부터 코어제어기하우징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기구부PCB와 코어제어기PCB는 상호간의 결합을 위해 커넥터부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어제어기에 구비되어서 조작기구부에 구비된 스위치의 조작정보 및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들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기구부와 분리된 코어제어기는 차량측수납부에 삽입되어서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기구부는 U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코어제어기는 U형상의 홈속으로 삽입되어서 조작기구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는, 가속과 제동 및 조향과 변속 조작을 위한 조작기구부, 및 조작기구부와 결합되어서 제어를 담당하는 코어제어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조작기구부의 스위치를 조작하면, 조작된 스위치 신호는 코어제어기로 전달되고, 코어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차량측에 위치한 가속, 제동, 조향, 변속을 담당하는 액추에이터가 작동함으로써 차량의 가속, 제동, 조향, 변속 기능이 수행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신호전달을 위한 캔통신 유니트의 사용을 없앨 수 있게 됨에 따라 구성의 단순화 및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신호의 응답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조작장치는, 조작기구부는 스위치의 위치 및 조작방식에 따라 다양한 타입의 다수개로 구성할 수 있고, 제어를 담당하는 코어제어기는 1개로 구성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는 1개의 조작기구부를 선택하고, 선택된 조작기구부에 코어제어기를 결합해서 사용하게 되는 바, 조작기구부의 다양화를 통해 조작의 편의성 향상 및 상품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자율주행 차량에 통합조작장치가 구비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타입의 조작기구부와 코어제어기가 결합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타입의 조작기구부와 코어제어기가 결합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타입의 조작기구부와 코어제어기가 결합된 도면,
도 5는 조작기구부와 코어제어기가 분리된 상태의 도면,
도 6 내지 도 7은 조작기구부 및 코어제어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조작기구부와 코어제어기가 결합된 상태의 도면,
도 9는 코어제어기가 차량측수납부에 보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 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제어기)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율주행 차량(1)내에 구비되며, 자율주행 중에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차량의 매니저가 직접 조작해서 차량을 수동운전모드로 운행할 수 있는 기기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는 사용자(차량 매니저)가 차량의 가속과 제동 및 조향과 변속을 위해 조작하는 이동형 조작기기(10); 및 상기 이동형 조작기기(10)와 분리되게 구성되어서 가속과 제동 및 조향과 변속이외의 기타 기능의 조작을 위해 사용자가 터치식으로 조작하는 고정형 디스플레이기기(20);를 포함한다.
이동형 조작기기(10)는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기이고, 고정형 디스플레이기기(20)는 자율주행 차량(1)의 실내공간에 고정되게 설치된 기기가 된다.
고정형 디스플레이기기(20)의 조작으로 구현되는 기타 기능은 차량의 전후방에 장착된 램프류의 구동기능, 경고음 발생기능을 포함한다.
차량의 램프류는 차량에 장착되는 모든 종류의 램프를 포함하며, 헤드램프, 안개등, 방향지시등, 미등, 경고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조작장치는 이동형 조작기기(10)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가속스위치(110)와 제동스위치(120) 및 조향스위치(130)와 변속스위치(140)가 구비된 조작기구부(200); 및 상기 조작기구부(200)와 결합해서 사용하고, 조작기구부(200)에 구비된 스위치(110,120,130,140)의 조작시 와이어링(310)을 통해 차량으로 가속, 제동, 조향, 변속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를 담당하는 코어제어기(400);를 포함한다.
와이어링(310)의 일단은 코어제어기(400)와 연결되고, 와이어링(310)의 타단은 차량측에 구비된 가속, 제동, 조향, 변속을 담당하는 각 액추에이터와 연결된다.
와이어링(310)은 코일스프링의 형태로 꼬여 있고 탄성을 구비하고 있어서 외력 작용시 탄성변형을 통해 길이 가변이 가능하며, 차량 내부의 타부품과 간섭없이 작은 공간에 수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사용자(차량 매니저)가 조작기구부(200)의 스위치(110,120,130,140)를 조작하면, 조작된 스위치 신호는 코어제어기(400)로 전달되고, 코어제어기(400)의 제어에 의해 차량측에 위치한 가속, 제동, 조향, 변속을 담당하는 액추에이터가 작동함으로써 차량의 가속, 제동, 조향, 변속 기능이 수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신호전달을 위한 캔통신 유니트의 사용을 없앨 수 있게 됨에 따라 구성의 단순화 및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신호의 응답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조작기구부(200)는 스위치들(110,120,130,140)의 위치 및 조작방식에 따라 다양한 타입의 다수개로 구성되고, 제어를 담당하는 코어제어기(400)는 1개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는 1개의 조작기구부(200)를 선택하고, 선택된 조작기구부(200)에 코어제어기(400)를 결합해서 사용하게 되는 바, 조작기구부(200)의 다양화를 통해 조작의 편의성 향상 및 상품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에 도시된 제1타입의 조작기구부(200)는 가속스위치(110)와 제동스위치(120) 및 변속스위치(140)는 버튼스위치(button switch)로 구성되고, 조향스위치(130)는 다이얼스위치(dial switch)로 구성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제2타입의 조작기구부(200)는 가속스위치(110)와 제동스위치(120) 및 변속스위치(140)가 버튼스위치로 구성되고, 조향스위치(130)가 다이얼스위치로 구성된 것은 도 2의 제1타입과 동일하지만, 가속스위치(110)와 제동스위치(120) 및 조향스위치(130)의 위치가 서로 반대인 것이 특징이다.
도 4에 도시된 제3타입의 조작기구부(200)는 가속스위치(110)와 제동스위치(120)는 버튼스위치로 구성되고, 조향스위치(130)는 레버스위치(lever switch)로 구성되며, 변속스위치(140)는 토글스위치(toggle switch)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조작기구부(200)는 전술한 제1타입 내지 제3타입 이외에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또 다른 타입도 충분히 구성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작기구부(200)는 가속스위치(110)와 제동스위치(120) 및 조향스위치(130)와 변속스위치(140)가 결합된 조작기구부하우징(210), 및 조작기구부하우징(210)에 구비되고 스위치(110,120,130,140)의 조작시 신호를 처리하는 조작기구부PCB(220)를 포함한다.
조작기구부하우징(210)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일측조작부(211)와 타측조작부(212) 및, 일측조작부(211)와 타측조작부(212)를 연결하는 연결부(213)를 포함한다.
일측조작부(211)와 타측조작부(212)사이에 도킹홈부(230)가 형성되며, 도킹홈부(230)는 조작기구부하우징(210)의 일측으로 개구되며, 도킹홈부(230)에 의해 일측조작부(211)와 타측조작부(212) 및 연결부(213)는 U형상으로 형성된 구조가 된다.
조작기구부하우징(210)의 일측조작부(211)에 가속스위치(110)와 제동스위치(120)가 배치되고, 타측조작부(212)에 조향스위치(130)가 배치되며, 연결부(213)에 변속스위치(140)가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일측조작부(211)에 조향스위치(130)가 배치되고, 타측조작부(212)에 가속스위치(110)와 제동스위치(120)가 배치된 구성도 가능하다.
조작기구부하우징(210)의 일측조작부(211)와 타측조작부(212)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으로, 차량 주행시 자주 사용하는 가속스위치(110)와 제동스위치(120) 및 조향스위치(130)를 일측조작부(211)와 타측조작부(212)에 배치해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코어제어기(400)는 조작기구부하우징(210)과 결합되는 코어제어기하우징(410) 및, 조작기구부PCB(220)와 연결되어서 조작된 스위치(110,120,130,140)의 신호를 처리하는 코어제어기PCB(420)를 포함한다.
코어제어기PCB(420)에는 와이어링(310)의 일단이 연결된다.
조작기구부하우징(210)에 형성된 도킹홈부(230)속으로 코어제어기하우징(410)이 삽입되어서 조작기구부(200)와 코어제어기(400)가 결합된 구조가 된다.
조작기구부하우징(210)에 형성된 도킹홈부(230)의 좌우측면에는 가이드돌기(240)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코어제어기하우징(410)의 양측면에는 코어제어기하우징(410)이 도킹홈부(230)로 삽입될 때에 가이드돌기(24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430)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가이드돌기(240)와 가이드홈(430)은 조작기구부(200)와 코어제어기(400)의 결합 및 분리시 코어제어기(4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조작기구부(200)로부터 코어제어기(400)의 상하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조작기구부하우징(210)에서 도킹홈부(230)의 입구측에는 락킹가이드(250)가 복귀스프링(260)에 지지된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락킹가이드(250)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서로 마주 대하는 방향에서 도킹홈부(230)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코어제어기하우징(410)이 도킹홈부(230)속으로 삽입이 완료되면, 한 쌍의 락킹가이드(250)는 코어제어기하우징(410)의 후면을 지지하게 되며, 이로 인해 도킹홈부(230)로부터 코어제어기하우징(410)의 후방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조작기구부PCB(220)와 코어제어기PCB(420)는 상호간의 결합을 위해 커넥터부(221,421)가 각각 구비되며, 커넥터부(221,421)의 연결을 통해 조작기구부PCB(220)와 코어제어기PCB(4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코어제어기(400)에 구비되어서 조작기구부(200)에 구비된 스위치(110,120,130,140)의 조작정보 및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들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500)를 더 포함한다.
디스플레이(500)는 코어제어기하우징(410)에 고정되고, 코어제어기PCB(420)의 제어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코어제어기(400)가 조작기구부(200)와 분리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제어기(400)는 차량측수납부(600)에 삽입되어서 보관되며, 코어제어기(400)가 차량측수납부(600)에 보관될 때에 코어제어기(400)에는 고무커버(700)가 결합된 상태로 보관된다.
고무커버(700)는 코어제어기PCB(420)의 커넥터부(421)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코어제어기하우징(4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는, 가속과 제동 및 조향과 변속 조작을 위한 조작기구부(200), 및 조작기구부(200)와 결합되어서 제어를 담당하는 코어제어기(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조작기구부(200)의 스위치(110,120,130,140)를 조작하면, 조작된 스위치 신호는 코어제어기(400)로 전달되고, 코어제어기(400)의 제어에 의해 차량측에 위치한 가속, 제동, 조향, 변속을 담당하는 액추에이터가 작동함으로써 차량의 가속, 제동, 조향, 변속 기능이 수행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신호전달을 위한 캔통신 유니트의 사용을 없앨 수 있게 됨에 따라 구성의 단순화 및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신호의 응답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조작장치는, 조작기구부(200)는 스위치(110,120,130,140)의 위치 및 조작방식에 따라 다양한 타입의 다수개로 구성할 수 있고, 제어를 담당하는 코어제어기(400)는 1개로 구성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는 1개의 조작기구부(200)를 선택하고, 선택된 조작기구부(200)에 코어제어기(400)를 결합해서 사용하게 되는 바, 조작기구부(200)의 다양화를 통해 조작의 편의성 향상 및 상품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이동형 조작기기 20 - 고정형 디스플레이기기
110 - 가속스위치 120 - 제동스위치
130 - 조향스위치 140 - 변속스위치
200 - 조작기구부 210 - 조작기구부하우징
211 - 일측조작부 212 - 타측조작부
213 - 연결부 220 - 조작기구부PCB
221 - 커넥터부 230 - 도킹홈부
240 - 가이드돌기 250 - 락킹가이드
260 - 복귀스프링 310 - 와이어링
400 - 코어제어기 410 - 코어제어기하우징
420 - 코어제어기PCB 421 - 커넥터부
430 - 가이드홈 500 - 디스플레이
600 - 차량측수납부 700 - 고무커버

Claims (12)

  1. 자율주행모드에서 수동운전모드로 전환시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자율주행 차량에 구비된 통합조작장치로서,
    가속스위치와 제동스위치 및 조향스위치와 변속스위치가 구비된 조작기구부; 및
    상기 조작기구부와 결합해서 사용하고, 조작기구부에 구비된 스위치의 조작시 와이어링을 통해 차량으로 가속, 제동, 조향, 변속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를 담당하는 코어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구부는 스위치들의 위치 및 조작방식에 따라 다양한 타입의 다수개로 구성되고 코어제어기는 1개로 구성되어서, 사용자가 1개의 조작기구부를 선택하고, 선택된 조작기구부에 코어제어기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속스위치 및 제동스위치는 버튼스위치로 구성되고;
    상기 조향스위치는 다이얼스위치 또는 레버스위치로 구성되고;
    상기 변속스위치는 버튼스위치 또는 토글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구부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일측조작부와 타측조작부 및, 일측조작부와 타측조작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조작부에 가속스위치와 제동스위치가 배치되고, 타측조작부에 조향스위치가 배치되며, 연결부에 변속스위치가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구부는 가속스위치와 제동스위치 및 조향스위치와 변속스위치가 결합된 조작기구부하우징, 및 스위치의 신호를 처리하는 조작기구부PCB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제어기는 조작기구부하우징과 결합되는 코어제어기하우징 및, 조작기구부PCB와 연결되어서 신호를 처리하는 코어제어기PC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구부하우징에는 일측으로 개구된 도킹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킹홈부로 코어제어기하우징이 삽입되어서 조작기구부와 코어제어기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도킹홈부의 좌우측면에는 가이드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코어제어기하우징의 양측면에는 코어제어기하우징이 도킹홈부로 삽입될 때에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도킹홈부의 입구측에는 락킹가이드가 복귀스프링에 지지된 형태로 조작기구부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락킹가이드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서로 마주 대하는 방향에서 도킹홈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도킹홈부로 코어제어기하우징의 삽입이 완료되면 락킹가이드는 코어제어기하우징의 후면을 지지해서 도킹홈부로부터 코어제어기하우징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구부PCB와 코어제어기PCB는 상호간의 결합을 위해 커넥터부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제어기에 구비되어서 조작기구부에 구비된 스위치의 조작정보 및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들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구부와 분리된 코어제어기는 차량측수납부에 삽입되어서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구부는 U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코어제어기는 U형상의 홈속으로 삽입되어서 조작기구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KR1020210071662A 2021-06-02 2021-06-02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KR2022016312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662A KR20220163127A (ko) 2021-06-02 2021-06-02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US17/490,028 US20220390939A1 (en) 2021-06-02 2021-09-30 Integrated control device for autonomous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662A KR20220163127A (ko) 2021-06-02 2021-06-02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127A true KR20220163127A (ko) 2022-12-09

Family

ID=84285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662A KR20220163127A (ko) 2021-06-02 2021-06-02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390939A1 (ko)
KR (1) KR2022016312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010209A1 (en) * 2022-07-06 2024-01-11 Gm Cruise Holdings Llc Environmental and electromagnetic seal for autonomous vehicle control system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895B1 (ko) 2011-01-10 2012-07-18 터치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7754B2 (en) * 2006-04-13 2010-03-16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Directional input device with knob
GB0614770D0 (en) * 2006-07-25 2006-09-06 Sb Business Consultancy Ltd Docking cradle
US11106200B2 (en) * 2019-06-27 2021-08-31 Baidu Usa Llc Safety mechanism for joystick control for controlling an unmanned vehicle
JP7143822B2 (ja) * 2019-06-28 2022-09-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
JP2021194259A (ja) * 2020-06-15 2021-12-27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895B1 (ko) 2011-01-10 2012-07-18 터치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90939A1 (en)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91336B2 (ja) 反力発生装置
JP4747083B2 (ja) 伝動装置用の変速位置
RU2295460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спомогательных средств управления транспортным средством
CN105365571B (zh) 用于电传线控系统的控制杆
KR20220163127A (ko)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EP1541903A1 (en) Gear shift apparatus
US11691509B2 (en) Integrated control apparatus for autonomous driving vehicle
US20220057792A1 (en) Integrated manipulation apparatus for autonomous vehicl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945307B2 (en) Integrated control apparatus for autonomous vehicle
US11794578B2 (en) Integrated control apparatus for driving vehicle
EP2639803B1 (en) Steering switch device
US11820405B2 (en) Integrated control apparatus for autonomous vehicle
KR20220131416A (ko)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KR20230070078A (ko)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US20230088480A1 (en) Integrated control apparatus for autonomous driving vehicle
KR20220017036A (ko)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KR20220022524A (ko)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KR20220115750A (ko)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JP7207259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20230297104A1 (en) Integrated control apparatus for autonomous driving vehicle
KR20220115749A (ko)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KR20230134019A (ko)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KR20050098518A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101745252B1 (ko)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
KR20220150680A (ko)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