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252B1 -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252B1
KR101745252B1 KR1020160027777A KR20160027777A KR101745252B1 KR 101745252 B1 KR101745252 B1 KR 101745252B1 KR 1020160027777 A KR1020160027777 A KR 1020160027777A KR 20160027777 A KR20160027777 A KR 20160027777A KR 101745252 B1 KR101745252 B1 KR 101745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unit
guide hole
touch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7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2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2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push butt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 G05G1/025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actuated by sliding move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 B60K2350/104
    • B60K2350/35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변속 방식과는 차별화를 두어 전자식 변속 레버만의 버튼식 변속의 조작감을 제공하고, 버튼식 변속시 주행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속 조작감을 제공한다. 즉, 버튼식으로 변속을 수행하되 두 개의 패턴으로 변속 버튼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변속 조작의 편의성 및 정확성이 향상되는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 {SHIFT LEVER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변속을 버튼식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두 개의 패턴으로 변속 버튼을 조작하도록 하여 변속 조작의 편의성 및 정확성이 향상되는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변속기 차량에서는 통상 직선적으로 P, R, N, D 변속단들이 배치되고, 시프트레버를 회동시켜서 상기 변속단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시프트레버의 회전시 케이블이 당겨져 그 조작력이 변속기로 전달된다.
즉, 시프트레버에 케이블이 연결되는 지점은 시프트레버의 회동 중심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곳이므로, 상기 시프트레버를 회동시키면, 그 회동 각도에 따라 케이블이 당겨지거나 풀어짐에 따라, 그 조작력이 변속기로 전달됨으로써 이를 인식하여 변속단의 변속이 수행된다.
한편, 종래의 자동 변속기 차량의 시프트레버의 경우 콘솔 위에 시프트레버가 돌출되어 있어 종래의 기계식 변속 레버 조작 방식과 유사함에 따라 조작감이 동일하고, 시프트레버가 차지하는 공간이 커짐에 따라 수납공간을 확보하지 못한다. 아울러, 시프트레버는 콘솔 위에 돌출됨에 따라 차량 사고시 운전자의 머리가 부딪혀 큰 상해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전자식 변속 레버가 적용되고, 전자식 변속 레버가 도입됨에 따라 버튼식 변속 레버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버튼식 변속 레버의 경우 변속단을 변경하기 위한 변속 버튼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음에 따라 변속 버튼의 오조작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20-0373194 B (2005.01.05)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기존의 변속 방식과는 차별화를 두어 전자식 변속 레버만의 버튼식 변속의 조작감을 제공하고, 버튼식 변속시 주행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속 조작감을 제공하는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는 전후방향에 대해 소정 넓이를 가지고 관통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가이드홀을 통해 노출되고, 노출된 부분에는 터치 동작에 따라 변속단이 선택되는 터치 버튼이 구비된 기판부; 상기 베이스의 가이드홀 전방 측에 고정되고, 기판부의 터치 버튼에 따른 변속단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부; 상기 가이드홀의 후방 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고, 전방을 향해 탄발 지지되어 디스플레이부에 접촉됨으로써 가이드홀을 폐쇄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베이스에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어 가이드부가 전후 방향에 대해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변속 필요시 가이드부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가이드홀을 통해 기판부의 터치 버튼이 노출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부의 터치 버튼은 P, R, N, D 변속단으로 구분되어 이루어지고, 각각의 변속단이 사선 방향의 계단식 배열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전단이 가이드홀의 전방 측에 밀착되고, 후단이 터치 버튼에 따른 변속단의 배열에 대응되는 계단식 배열로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전단이 디스플레이부의 후단에 대응되는 계단식 배열로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고, 후단이 탄성 스프링을 통해 가이드홀의 후방 측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선 방향의 계단식 배열로 연장 형성됨에 따라 일단의 길이가 타단의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되며, 일단과 타단이 가이드홀에 접촉되어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디스플레이부의 계단식 배열 형태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일단의 길이가 타단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일단이 가이드홀에 접촉되고 타단이 디스플레이부의 타단에 접촉되어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홀은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는 고정 공간과 가이드부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공간으로 형성되고, 슬라이딩 공간의 너비가 고정 공간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판부의 터치 버튼은 P, R, N, D 변속단으로 구분되어 이루어지고, 각각의 변속단이 직선 방향에 대해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전단이 가이드홀의 전방 측에 밀착되고, 후단에 상기 터치 버튼에 따른 변속단의 배열에 대응되도록 직선 방향에 대해 삽입홈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전단에 디스플레이부의 후단에 대응되도록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후단이 탄성 스프링을 통해 가이드홀의 후방 측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베이스에 고정 설치되고, 구동신호 입력 여부에 따라 연장 로드가 후방으로 인출되도록 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연장 로드 끝단과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어 액추에이터 작동시 가이드부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결합 로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판부에는 상기 결합로드가 관통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슬라이딩홈이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 시동시 구동부에 구동신호를 전달하여 구동부가 작동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는 터치 버튼이 노출될 정도로 가이드부가 이동되도록 하는 터치 단계와, 터치 단계보다 가이드부가 소정 거리 더 이동되도록 하는 게이트 단계로 구분하여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에는 제어부의 터치 단계가 수행되도록 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변속사용버튼과 제어부의 게이트 단계가 수행되도록 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사용버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차량 시동이 ON 되면, 터치 단계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에 따르면, 기존의 변속 방식과는 차별화를 두어 전자식 변속 레버만의 버튼식 변속의 조작감을 제공하고, 버튼식 변속시 주행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속 조작감을 제공한다. 즉, 버튼식으로 변속을 수행하되 두 개의 패턴으로 변속 버튼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변속 조작의 편의성 및 정확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를 나타낸 조립도.
도 4 내지 1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를 나타낸 조립도이고, 도 4 내지 11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는 전후방향에 대해 소정 넓이를 가지고 관통되는 가이드홀(120)이 형성된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에 고정되어 가이드홀(120)을 통해 노출되고, 노출된 부분에는 터치 동작에 따라 변속단이 선택되는 터치 버튼(220)이 구비된 기판부(200); 상기 베이스(100)의 가이드홀(120) 전방 측에 고정되고, 기판부(200)의 터치 버튼(220)에 따른 변속단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부(300); 상기 가이드홀(120)의 후방 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고, 전방을 향해 탄발 지지되어 디스플레이부(300)에 접촉됨으로써 가이드홀(120)을 폐쇄하는 가이드부(400); 및 상기 베이스(100)에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부(400)에 연결되어 가이드부(400)가 전후 방향에 대해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변속 필요시 가이드부(400)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가이드홀(120)을 통해 기판부(200)의 터치 버튼(220)이 노출되도록 하는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베이스(100)는 콘솔 박스가 될 수 있으며, 콘솔 박스의 상단 커버가 베이스(100)가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100)에는 소정 넓이의 가이드홀(120)이 형성되는데, 가이드홀(120)의 넓이는 하기 설명한 기판부(200)의 터치 버튼(220)이 가이드홀(120)을 통해 모두 노출될 수 있는 넓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100)의 밑으로 기판부(200)가 고정되는데, 기판부(200)에는 터치 동작에 따라 변속단이 선택되는 터치 버튼(220)이 구비된다. 즉, 변속단이 P, R, N, D 단으로 이루어지면 각각의 변속단에 대해 각 터치 버튼(220)이 구비되어, 특정 터치 버튼(220)을 누름에 따라 특정 변속단으로의 선택이 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기판부(200)는 PCB 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베이스(100)의 가이드홀(120)에는 전방 측에 디스플레이부(300)가 고정되는데, 이 디스플레이부(300)에는 기판부(200)의 터치 버튼(220)에 따른 변속단이 표시되어 운전자가 각 변속단의 위치를 인지하여 올바른 변속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00)의 가이드홀(120)에는 디스플레이부(300)의 후방으로 가이드부(400)가 마련되는데, 이 가이드부(400)는 가이드홀(120)의 후방 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전방을 향해 탄발 지지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00)의 후단에 접촉되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즉, 가이드부(400)는 전방으로 이동되어 디스플레이부(300)의 후단에 접촉되는 경우 기판부(200)의 변속 버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하기 설명할 구동부(500)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면 기판부(200)의 변속 버튼이 노출되도록 하여 변속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시동 오프됨과 같이 변속이 불필요한 상황에서는 구동부(500)가 작동되지 않고 가이드부(400)가 탄발 지지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00)에 접촉되어 가이드홀(120)을 폐쇄하고, 변속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구동부(500)가 작동되어 가이드부(400)를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기판부(200)의 터치 버튼(220)이 가이드홀(120)을 통해 노출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변속이 불필요한 상황에서는 가이드부(400)가 가이드홀(120)을 폐쇄함에 따라 잘못된 변속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며, 변속이 필요한 상황에서 가이드부(400)가 구동부(500)에 의해 이동되어 터치 버튼(220)이 노출됨으로써 주행 상황에 맞는 변속단으로 변속을 수행할 수 있다.
하기에는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 1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부(200)의 터치 버튼(220)은 P, R, N, D 변속단으로 구분되어 이루어지고, 각각의 변속단이 사선 방향의 계단식 배열로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P R, N, D 변속단의 터치 버튼(220)을 사선 방향의 계단식으로 배열함으로써 각 변속단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운전자가 특정 변속단에 따른 터치 버튼(220)을 인지하여 정확한 변속이 수행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전단이 가이드홀(120)의 전방 측에 밀착되고, 후단이 터치 버튼(220)에 따른 변속단의 배열에 대응되는 계단식 배열로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디스플레이부(300)는 전단이 가이드홀(120)의 전방 측에 밀착되어 위치가 고정되고, 후단이 터치 버튼(220)에 따른 변속단의 배열에 대응되도록 계단식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기판부(200)의 P, R, N, D 변속단의 터치 버튼(220)에 각각 대응되어 P, R, N, D 변속단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400)는 전단이 디스플레이부(300)의 후단에 대응되는 계단식 배열로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고, 후단이 탄성 스프링(420)을 통해 가이드홀(120)의 후방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가이드부(400)는 전단이 디스플레이부(300)의 후단에 대응되는 계단식 배열로 연장 형성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00)에 접촉시 면접촉되고, 후단이 탄성 스프링(420)을 통해 가이드홀(120)에서 탄성 지지됨에 따라 외력이 작용되지 않는 이상 디스플레이부(300)의 후단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세하게, 도 3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사선 방향의 계단식 배열로 연장 형성됨에 따라 일단의 길이가 타단의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되며, 일단과 타단이 가이드홀(120)에 접촉되어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부(400)는 디스플레이부(300)의 계단식 배열 형태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일단의 길이가 타단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일단이 가이드홀(120)에 접촉되고 타단이 디스플레이부(300)의 타단에 접촉되어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300)의 경우 후단이 사선 방향의 계단식 배열로 형성됨에 따라 일단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고, 타단의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300)는 베이스(100)의 가이드홀(120) 내측단에 고정됨에 따라 일단과 타단이 각각 가이드홀(120)에 결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된다.
한편, 가이드부(400)의 경우 전단이 디스플레이부(300)의 후단 형상에 대응되는 계단식 배열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일단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고 타단의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특히, 가이드부(400)의 경우 가이드홀(120)에서 전후방향에 대해 슬라이딩되도록 마련되는데, 일단과 타단이 가이드홀(120)의 내측단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면, 가이드부(400)와 디스플레이부(300)의 너비가 동일하게 형성됨에 따라 가이드부(400)가 디스플레이부(300)의 후단 끝부분에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300)와 가이드부(400)의 전후방향 전체 길이가 증가되고, 가이드부(400)의 슬라이딩 거리까지 확보하려면 가이드홀(120)의 크기 및 너비를 더 많이 확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300)보다 가이드부(400)의 너비를 더 작게 형성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00)의 일단과 타단은 가이드홀(120)의 내측단에 접촉되도록 구성하고, 가이드부(400)의 일단은 가이드홀(120)에 접촉되며 타단이 디스플레이부(300)의 길이가 길게 확보되는 타단의 내측에 접촉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부(300)와 가이드부(400)의 전후방향 길이 및 너비를 최소화하여 설치 공간을 감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홀(120)은 디스플레이부(300)가 마련되는 고정 공간(122)과 가이드부(400)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공간(124)으로 형성되고, 슬라이딩 공간(124)의 너비가 고정 공간(122)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고정 공간(122)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300)의 전후방향 및 측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공간(124)에 마련되는 가이드부(400)가 전후방향에 대해 충분히 슬라이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400)의 후단에는 탄성 스프링(420)과 연결되는 별도의 가이드블록(460)을 결합하고, 가이드블록(460)이 슬라이딩 공간(124)에서 슬라이딩되도록 함으로써 가이드부(400)가 전후방향으로 원활히 슬라이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다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 10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부(200)의 터치 버튼(220)은 P, R, N, D 변속단으로 구분되어 이루어지고, 각각의 변속단이 직선 방향에 대해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이렇게, P R, N, D 변속단의 터치 버튼(220)을 직선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시켜 배열함으로써 각 변속단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변속을 위해 직선상으로 손을 움직임에 따라 변속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전단이 가이드홀(120)의 전방 측에 밀착되고, 후단에 상기 터치 버튼(220)에 따른 변속단의 배열에 대응되도록 직선 방향에 대해 삽입홈(320)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디스플레이부(300)는 전단이 가이드홀(120)의 전방 측에 밀착되어 위치가 고정되고, 후단에는 터치 버튼(220)에 따른 변속단의 배열에 대응되도록 직선상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삽입홈(320)이 형성됨으로써 삽입홈(320)을 통해 기판부(200)의 P, R, N, D 변속단의 터치 버튼(220)에 각각 대응되어 P, R, N, D 변속단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400)는 전단에 디스플레이부(300)의 후단에 대응되도록 삽입홈(320)에 삽입되는 삽입돌기(440)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후단이 탄성 스프링(420)을 통해 가이드홀(120)의 후방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가이드부(400)는 전단이 디스플레이부(300)의 후단에 형성된 삽입홈(320)에 대응되는 삽입돌기(440)가 형성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00)에 면접촉되고, 후단이 탄성 스프링(420)을 통해 가이드홀(120)에서 탄성 지지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00)의 후단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즉, 구동부(500)의 작동에 의해 가이드부(400)가 이동되면, 디스플레이부(300)의 삽입홈(320)에서 가이드부(400)의 삽입돌기(440)가 이탈됨에 따라 삽입홈(320)을 통해 기판부(200)의 터치 버튼(220)이 노출됨으로써 운전자가 원하는 변속단으로의 변속이 수행되도록 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500)는 베이스(100)에 고정 설치되고, 구동신호 입력 여부에 따라 연장 로드(540)가 후방으로 인출되도록 하는 액추에이터(520);와, 상기 액추에이터(520)의 연장 로드(540) 끝단과 상기 가이드부(400)에 연결되어 액추에이터(520) 작동시 가이드부(400)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결합 로드(56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구동부(500)는 액추에이터(520)의 작동 여부에 따라 인출 또는 인입되는 연장 로드(540)와, 연장 로드(540) 끝단과 가이드부(400)에 연결되어 액추에이터(520)의 작동에 의해 연장 로드(540)가 인출시 가이드부(400)가 함께 이동되도록 하는 결합 로드(560)로 구성됨으로써 가이드부(400)가 전후방향에 대해 이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액추에이터(520)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모터로 구성되어 연장 로드(540)가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구동부(500)는 기판부(200)의 밑에 마련됨에 따라 구동부(500)가 가이드부(400)와 연결되도록 상기 기판부(200)에는 상기 결합 로드(560)가 관통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슬라이딩홈(240)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액추에이터(520)가 작동되어 연장 로드(540)의 인출시 슬라이딩홈(240)을 통해 가이드부(400)에 연결된 결합 로드(560)가 이동되어 가이드부(400)를 전후방향에 대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0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시동시 구동부(500)에 구동신호를 전달하여 구동부(500)가 작동되도록 하는 제어부(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600)에는 터치 버튼(220)이 노출될 정도로 가이드부(400)가 이동되도록 하는 터치 단계와, 터치 단계보다 가이드부(400)가 소정 거리 더 이동되도록 하는 게이트 단계로 구분하여 구동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구동부(500)는 제어부(600)로부터 구동신호가 입력되면 작동되며, 제어부(600)는 가이드부(400)의 이동량에 따라 다양한 패턴으로 터치 버튼(220)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어부(600)에는 터치 버튼(220)이 노출될 정도로 가이드부(400)가 이동되도록 하는 터치 단계와 가이드부(400)가 더 이동되도록 하여 각 변속단에 따른 터치 버튼(220) 간의 경로가 이어지도록 하는 게이트 단계가 저장되어 각 상황에 따라 해당 구동신호를 구동부(500)에 전달한다.
여기서, 제어부(600)에 저장되는 터치 단계 및 게이트 단계의 제어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며, 운전자의 변속 조작 의지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0)에는 제어부(600)의 터치 단계가 수행되도록 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변속사용버튼(140)과 제어부(600)의 게이트 단계가 수행되도록 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사용버튼(16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베이스(100)에는 변속사용버튼(140)과 게이트사용버튼(160)이 각각 구분됨에 따라 변속사용버튼(140)을 누름 조작시, 제어부(600)는 터치 단계가 수행되도록 구동부(500)에 구동신호를 전달하고, 그에 따라 가이드부(400)가 이동되어 터치 버튼(220)이 노출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일실시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00)에 가이드부(400)가 접촉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400)가 이동되어 기판부(200)의 터치 버튼(220)이 가이드홀(120)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00)에 가이드부(400)가 접촉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00)의 삽입홈(320)에 가이드부(400)의 삽입돌기(440)가 삽입되어 접촉된 상태에서,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400)가 이동되어 디스플레이부(300)의 삽입홈(320)으로 기판부(200)의 터치 버튼(220)이 노출될 수 있다.
이처럼, 변속사용버튼(140)의 누름 조작됨에 따라 터치 단계가 수행되면, 변속단에 따른 각 터치 버튼(220)들이 각각 위치됨에 따라 운전자가 원하는 변속단으로 변속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한편, 게이트사용버튼(160)을 누름 조작시, 제어부(600)는 게이트 단계가 수행되도록 구동부(500)에 구동신호를 전달하고, 그에 따라 가이드부(400)가 터치 단계에서 이동된 거리보다 더 이동됨으로써 각 변속단에 따른 터치 버튼(220) 간의 경로가 이어지도록 한다. 이로 인해, 일실시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400)가 디스플레이로부터 더 이격되어 각 터치 버튼(220) 간의 경로가 이어짐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식으로 손가락을 슬라이딩시켜 변속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400)가 디스플레이부(300)로부터 더 먼 거리로 이격되어 각 변속단에 따른 터치 버튼(220) 간의 경로가 이어짐에 따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을 지그재그로 슬라이딩시켜 변속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게이트사용버튼(160)의 누름 조작에 따라 게이트 단계가 수행되면, 변속단에 따른 각 터치 버튼(220)들의 경로가 이어짐에 따라 운전자가 특정 변속단으로 편하고 빠르게 변속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600)는 차량 시동이 ON 되면, 터치 단계가 수행되도록 하여, 가이드부(400)의 이동에 의해 터치 버튼(220)이 노출됨에 따라 시동 ON 되는 경우 변속 조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에 따르면, 기존의 변속 방식과는 차별화를 두어 전자식 변속 레버만의 버튼식 변속의 조작감을 제공하고, 버튼식 변속시 주행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속 조작감을 제공한다. 즉, 버튼식으로 변속을 수행하되 두 개의 패턴으로 변속 버튼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변속 조작의 편의성 및 정확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베이스 120:가이드홀
122:고정 공간 124:슬라이딩 공간
140:변속사용버튼 160:게이트사용버튼
200:기판부 220:터치 버튼
240:슬라이딩홈 300:디스플레이부
320:삽입홈 400:가이드부
420:탄성 스프링 440:삽입돌기
460:가이드블록 500:구동부
520:액추에이터 540:연장 로드
560:결합 로드 600:제어부

Claims (14)

  1. 전후방향에 대해 소정 넓이를 가지고 관통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가이드홀을 통해 노출되고, 노출된 부분에는 터치 동작에 따라 변속단이 선택되는 터치 버튼이 구비된 기판부;
    상기 베이스의 가이드홀 전방 측에 고정되고, 기판부의 터치 버튼에 따른 변속단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부;
    상기 가이드홀의 후방 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고, 전방을 향해 탄발 지지되어 디스플레이부에 접촉됨으로써 가이드홀을 폐쇄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베이스에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어 가이드부가 전후 방향에 대해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변속 필요시 가이드부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가이드홀을 통해 기판부의 터치 버튼이 노출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의 터치 버튼은 P, R, N, D 변속단으로 구분되어 이루어지고, 각각의 변속단이 사선 방향의 계단식 배열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전단이 가이드홀의 전방 측에 밀착되고, 후단이 터치 버튼에 따른 변속단의 배열에 대응되는 계단식 배열로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전단이 디스플레이부의 후단에 대응되는 계단식 배열로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고, 후단이 탄성 스프링을 통해 가이드홀의 후방 측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선 방향의 계단식 배열로 연장 형성됨에 따라 일단의 길이가 타단의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되며, 일단과 타단이 가이드홀에 접촉되어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디스플레이부의 계단식 배열 형태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일단의 길이가 타단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일단이 가이드홀에 접촉되고 타단이 디스플레이부의 타단에 접촉되어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은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는 고정 공간과 가이드부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공간으로 형성되고, 슬라이딩 공간의 너비가 고정 공간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의 터치 버튼은 P, R, N, D 변속단으로 구분되어 이루어지고, 각각의 변속단이 직선 방향에 대해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전단이 가이드홀의 전방 측에 밀착되고, 후단에 상기 터치 버튼에 따른 변속단의 배열에 대응되도록 직선 방향에 대해 삽입홈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전단에 디스플레이부의 후단에 대응되도록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후단이 탄성 스프링을 통해 가이드홀의 후방 측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베이스에 고정 설치되고, 구동신호 입력 여부에 따라 연장 로드가 후방으로 인출되도록 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연장 로드 끝단과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어 액추에이터 작동시 가이드부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결합 로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에는 상기 결합로드가 관통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슬라이딩홈이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 시동시 구동부에 구동신호를 전달하여 구동부가 작동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는 터치 버튼이 노출될 정도로 가이드부가 이동되도록 하는 터치 단계와, 터치 단계보다 가이드부가 소정 거리 더 이동되도록 하는 게이트 단계로 구분하여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제어부의 터치 단계가 수행되도록 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변속사용버튼과 제어부의 게이트 단계가 수행되도록 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사용버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 시동이 ON 되면, 터치 단계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
KR1020160027777A 2016-03-08 2016-03-08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 KR101745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777A KR101745252B1 (ko) 2016-03-08 2016-03-08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777A KR101745252B1 (ko) 2016-03-08 2016-03-08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5252B1 true KR101745252B1 (ko) 2017-06-08

Family

ID=59221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777A KR101745252B1 (ko) 2016-03-08 2016-03-08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25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694B1 (ko) 2012-04-17 2014-04-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
KR101527059B1 (ko) 2014-06-23 2015-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회전바 타입 전자식 변속레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694B1 (ko) 2012-04-17 2014-04-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
KR101527059B1 (ko) 2014-06-23 2015-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회전바 타입 전자식 변속레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61535B1 (en) Shifter for automatic transmission
JP5921234B2 (ja) 車両用シフト装置
EP2000705B1 (en) Shift apparatus
JP4373212B2 (ja) 自動シフト装置の運転状態を調節するための信号発生器
CN104379383A (zh) 车辆用换挡装置
EP2551555B1 (en) Haptic device and method thereof
US20190032772A1 (en) Electronic transmission system
US9121493B2 (en) Apparatus for actuating shift lever for vehicle
JP6610633B2 (ja) 車両用シフタ装置
JP2019043467A (ja) 車両用シフタ装置
JP2003139229A (ja) 自動変速機の選択レンジ切り換え制御装置
KR101745252B1 (ko)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
JP6641153B2 (ja) スマートキーを用いた車両用電子式変速システム
JP4634941B2 (ja) シフト装置
KR20160145916A (ko)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
CN103161935A (zh) 自动变速器的换档控制装置
EP3680747B1 (en) Operating device
EP3096043B1 (en) Automatic transmission assembly for preventing erroneous operation
JP6094474B2 (ja) 車両用シフタ装置
KR101662542B1 (ko) 양방향 분할형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KR20170047917A (ko) 하이브리드 변속 레버
JP2020097307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2018172094A (ja) 自動変速機の操作レバー装置
KR101745258B1 (ko) 차량의 변속 레버
JP6094472B2 (ja) 車両用シフ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