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258B1 - 차량의 변속 레버 - Google Patents

차량의 변속 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258B1
KR101745258B1 KR1020160043127A KR20160043127A KR101745258B1 KR 101745258 B1 KR101745258 B1 KR 101745258B1 KR 1020160043127 A KR1020160043127 A KR 1020160043127A KR 20160043127 A KR20160043127 A KR 20160043127A KR 101745258 B1 KR101745258 B1 KR 101745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lever
guide
position providing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3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3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2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16H59/044Ratio selector apparatu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변속 방식과는 차별화를 두어 전자식 변속 레버만으로 구현할 수 있는 독특한 변속 조작감을 제공한다. 또한, 변속 레버의 사이즈를 축소하여 레이아웃이 확보된 차량의 변속 레버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변속 레버 {SHIFT LEVER OF VEHICLE}
본 발명은 변속 레버의 사이즈를 축소하고, 변속 조작감을 향상시킨 차량의 변속 레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변속기 차량에서는 통상 직선적으로 P, R, N, D 변속단들이 배치되고, 시프트레버를 회동시켜서 상기 변속단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시프트레버의 회전시 케이블이 당겨져 그 조작력이 변속기로 전달된다.
즉, 시프트레버에 케이블이 연결되는 지점은 시프트레버의 회동 중심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곳이므로, 상기 시프트레버를 회동시키면, 그 회동 각도에 따라 케이블이 당겨지거나 풀어짐에 따라, 그 조작력이 변속기로 전달됨으로써 이를 인식하여 변속단의 변속이 수행된다.
한편, 종래의 자동 변속기 차량의 시프트레버의 경우 콘솔 위에 시프트레버가 돌출되어 있어 종래의 기계식 변속 레버 조작 방식과 유사함에 따라 조작감이 동일하고, 시프트레버가 차지하는 공간이 커짐에 따라 수납공간을 확보하지 못한다. 아울러, 시프트레버는 콘솔 위에 돌출됨에 따라 차량 사고시 운전자의 머리가 부딪혀 큰 상해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20-0373194 B (2005.01.05)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기존의 변속 방식과는 차별화를 두어 전자식 변속 레버만으로 구현할 수 있는 독특한 변속 조작감을 제공하고, 변속 레버의 사이즈를 축소하여 레이아웃을 확보하는 차량의 변속 레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변속 레버는 평면을 이루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고정 설치되고, 베이스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위치센서부가 구비된 레버 고정부; 다수의 변속단에 따라 전후방향 및 측방향으로 다수의 경로를 갖도록 형성되고, 레버 고정부가 경로상에 연결된 레버 가이드; 및 상기 레버 가이드에 결합되어 레버 가이드와 함께 이동되고, 레버 가이드의 경로에 각기 위치되어 위치센서부에 감지되는 위치제공부가 구비됨으로써, 이동시 위치센서부에 감지되는 위치제공부에 따른 변속단이 선택되도록 하는 가이드 노브;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 고정부는 베이스에 관통 결합되는 몸통부와 몸통부의 상측에서 둘레방향으로 돌출된 머리부로 구성되고, 머리부에 위치센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속단은 P, R, N, D, M 단으로 구분되고, 레버 가이드는 각 변속단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도록 다수의 경로로 연장 형성되며, 머리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머리부가 경로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버 가이드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기준 경로와, 기준 경로의 후방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제1전환경로와, 기준 경로의 중앙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제2전환경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노브에는 P, R, N, D, M 단에 해당하는 각각의 위치제공부가 구비되며, 위치제공부는 기준 경로상의 전방, 중앙, 후방에 각각 R, N, D 단으로 해당하는 위치제공부가 독립적으로 나열되고, 제1전환경로상에 M 단에 해당하는 위치제공부가 배치되며, 제2전환경로상에 P단에 해당하는 위치제공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버 가이드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기준 경로와, 기준 경로의 전방에서 서로 다른 경로로 갈라져 연장되는 제1전환경로 및 제2전환경로와, 기준 경로의 후방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제3전환경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노브의 위치제공부는 기준 경로상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N, D 단에 해당하는 위치제공부가 배치되고, 제1전환경로에 R 단에 해당하는 위치제공부가 배치되며, 제2전환경로에 P 단에 해당하는 위치제공부가 배치되고, 제3전환경로에 M 단에 해당하는 위치제공부가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센서부는 영구자석과 베이스의 하측에 마련되는 회로기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위치제공부는 상기 영구자석과 다른 극성으로 이루어진 자성체이고, 레버 가이드의 경로상에서 다수의 변속단에 따라 각기 독립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노브에는 레버 가이드의 경로상에서 위치제공부가 배치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영구자석과 동일한 극성으로 이루어진 자성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머리부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레버 가이드는 머리부의 측면에 접촉되는 가이드면과 머리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변속 레버에 따르면, 기존의 변속 방식과는 차별화를 두어 전자식 변속 레버만으로 구현할 수 있는 독특한 변속 조작감을 제공한다. 또한, 변속 레버의 사이즈를 축소하여 레이아웃이 확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 레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변속 레버의 조립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변속 레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7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변속 레버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 레버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 레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변속 레버의 조립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변속 레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 내지 7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변속 레버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변속 레버는 평면을 이루는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에 고정 설치되고, 베이스(10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위치센서부(220)가 구비된 레버 고정부(200); 다수의 변속단에 따라 전후방향 및 측방향으로 다수의 경로를 갖도록 형성되고, 레버 고정부(200)가 경로상에 연결된 레버 가이드(300); 및 상기 레버 가이드(300)에 결합되어 레버 가이드(300)와 함께 이동되고, 레버 가이드(300)의 경로에 각기 위치되어 위치센서부(220)에 감지되는 위치제공부(420)가 구비됨으로써, 이동시 위치센서부(220)에 감지되는 위치제공부(420)에 따른 변속단이 선택되도록 하는 가이드 노브(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베이스(100)는 콘솔 박스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변속 레버가 위치되는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100)에는 위치센서부(220)가 구비된 레버 고정부(200)가 고정 설치되고, 레버 고정부(200)에는 레버 가이드(300)의 경로가 형성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연결된다. 특히, 레버 가이드(300)의 경로는 다수의 변속단에 따라 다수의 경로를 갖도록 형성되고, 레버 가이드(300)에 결합되는 가이드 노브(400)에는 위치센서부(220)에 감지되는 위치제공부(420)가 레버 가이드(300)의 경로상에서 다수의 변속단에 대응되는 위치제공부(420)가 다수개 구비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 노브(400)를 레버 가이드(300)의 경로를 추종하여 이동시킴에 따라, 위치센서부(220)에 다수의 위치제공부(420) 중 어느 하나가 감지시 해당 변속단으로 선택되어 변속이 수행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가이드 노브(400)를 레버 가이드(300)에 형성된 경로를 따라 이동시켜 변속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변속 방식과는 차별화를 둘 수 있고, 변속 방향에 대해서도 확실히 구분됨에 따라 오조작이 방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 고정부(200)는 베이스(100)에 관통 결합되는 몸통부(240)와 몸통부(240)의 상측에서 둘레방향으로 돌출된 머리부(260)로 구성되고, 머리부(260)에 위치센서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레버 고정부(200)는 몸통부(240)와 머리부(260)로 구성되며, 몸통부(240)의 경우 베이스(100)에 관통되어 위치가 고정되며, 몸통부(240)의 상단에 머리부(260)가 둘레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레버 가이드(300)에 연결된다. 아울러, 머리부(260)에는 위치센서부(220)가 구비되어 하기 설명할 가이드 노브(400)의 위치제공부(420)를 센싱함으로써 변경된 변속단을 체크한다.
특히, 레버 고정부(200)에 연결되는 레버 가이드(300)는 레버 고정부(2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는바, 상기 머리부(240)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레버 가이드(300)는 머리부(240)의 측면에 접촉되는 가이드면(302)과 머리부(240)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면(304)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레버 고정부(200)의 머리부(260)가 레버 가이드(300)의 경로상에 면접촉됨에 따라 레버 가이드(300)가 레버 고정부(200)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하고, 머리부(260)가 지지면(304)에 접촉되어 지지됨에 따라 레버 가이드(300)가 레버 고정부(200)에서 이탈되지 않고 원활히 슬라이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변속단은 P, R, N, D, M 단으로 구분되고, 레버 가이드(300)는 각 변속단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도록 다수의 경로로 연장 형성되며, 머리부(260)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머리부(260)가 경로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P 단은 주차단이고, R 단은 후진단이며, N 단은 중립단, D 단은 자동변속단, M 단은 수동변속단으로 구분되며, M 단으로 변속시 별도로 구비된 수동 변속조작기를 통해 업시프트 또는 다운시프트 변속을 수행할 수 있다. 수동 변속조작기는 스티어링 휠에 마련되거나, M 단에서 전후방향으로 조작 구간을 마련함으로써 수동 변속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변속단이 P, R, N, D, M 단으로 구분됨에 따라 레버 가이드(300)는 각 변속단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도록 다수의 경로로 연장 형성되고, 머리부(260)가 연장된 경로상에 마련되어 경로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레버 가이드(300)는 변속단에 따른 경로가 다양한 실시예로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레버 가이드(30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기준 경로(320)와, 기준 경로(320)의 후방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제1전환경로(340)와, 기준 경로(320)의 중앙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제2전환경로(36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레버 가이드(30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기준 경로(320)와 기준 경로(320) 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전환경로(340) 및 제2전환경로(360)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됨으로써, P, R, N, D, M 단이 각각 독립적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노브(400)에는 P, R, N, D, M 단에 해당하는 각각의 위치제공부(420)가 구비되며, 위치제공부(420)는 기준 경로(320)상의 전방, 중앙, 후방에 각각 R, N, D 단에 해당하는 위치제공부(420a, 420b, 420c)가 독립적으로 나열되고, 제1전환경로(340)상에 M 단에 해당하는 위치제공부(420d)가 배치되며, 제2전환경로(360)상에 P단에 해당하는 위치제공부(420e)가 배치될 수 있다.
제1실시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프트 방향인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기준 경로(320)상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변속단인 R, N, D 단에 해당하는 위치제공부(420a,420b,420c)를 전방, 중앙, 후방에 대해 각각 독립적으로 나열함으로써, 운전자가 자주 사용하는 변속단이 명확히 인식되도록 한다. 또한, 기준 경로(320)의 후방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된 제1전환경로(340)에 M 단에 해당하는 위치제공부(420d)를 배치함으로써, 자동변속단인 D 단에서 수동변속단인 M 단으로 주행단의 전환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고, 기준 경로(320)의 중앙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된 제2전환경로(360)에 P 단에 해당하는 위치제공부(420e)를 배치함으로써 N 단에서 P 단으로 자연스러운 주차모드의 전환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제2실시예와 같이, 가이드 경로는 기준 경로(320)를 기준으로 제1전환경로(340)와 제2전환경로(360)가 타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제3실시예와 같이 기준 경로(320)를 기준으로 제1전환경로(340)와 제2전환경로(360)가 일측 및 타측방향에 대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의 경우에도 제1실시예와 같이, 기준 경로(320)상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R, N, D 단에 해당하는 위치제공부(420a,420b,420c)를 독립적으로 나열하고, 제1전환경로(340)에 M 단에 해당하는 위치제공부(420d)를 배치하며, 제2전환경로(360)에 P 단에 해당하는 위치제공부(420e)를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제4실시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 가이드(30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기준 경로(320)와, 기준 경로(320)의 전방에서 서로 다른 경로로 갈라져 연장되는 제1전환경로(340) 및 제2전환경로(360)와, 기준 경로(320)의 후방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제3전환경로(38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레버 가이드(30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기준 경로(320)의 전방에는 제1전환경로(340)와 제2전환경로(360)가 서로 다른 경로로 연장되고, 기준 경로(320)의 후방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제3전환경로(380)로 연장되도록 형성됨으로써 P, R, N, D, M 단이 각각 독립적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 노브(400)의 위치제공부(420)는 기준 경로상(32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N, D 단에 해당하는 위치제공부(420e, 420c)가 배치되고, 제1전환경로(340)에 R 단에 해당하는 위치제공부(420a)가 배치되며, 제2전환경로(360)에 P 단에 해당하는 위치제공부(420b)가 배치되고, 제3전환경로(380)에 M 단에 해당하는 위치제공부(420d)가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시프트 방향인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기준 경로(320)상에 N 단과 D 단에 해당하는 위치제공부(420b,420c)를 전방과 후방에 대해 각각 배치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변속단으로 용이하게 변속할 수 있다. 또한, 기준 경로(320)의 전방에서 제1전환경로(340)와 제2전환경로(360)가 서로 다른 경로로 연장되고, 제1전환경로(340)와 제2전환경로(360)에 각각 R 단과 P 단에 해당하는 위치제공부(420a,420e)가 배치됨으로써, 중립단인 N 단에서 후진단 또는 주차단으로 안전하게 변속이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기준 경로(320)의 후방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제3전환경로(380)에 M 단에 해당하는 위치제공부(420d)를 배치함으로써, 자동변속단인 D 단에서 수동변속단인 M 단으로 주행단의 전환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기준경로, 제1전환경로(340), 제2전환경로(360), 제3전환경로(380)에 배치되는 P, R, N, D, M 단에 해당하는 위치제공부(420)의 설치 위치는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는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해서 서술한 것이다.
한편, 상기 위치센서부(220)는 영구자석(222)과 베이스(100)의 하측에 마련되는 회로기판(224)으로 구성되고, 상기 위치제공부(420)는 상기 영구자석(222)과 다른 극성으로 이루어진 자성체이고, 레버 가이드(300)의 경로상에서 다수의 변속단에 따라 각기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영구자석(222)은 회로기판(224)으로 연장된 와이어(226)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센서부(220)는 영구자석(222)과 베이스(100)의 하측에 마련되는 회로기판(224)으로 구성되어 영구자석(222)을 통해 자성의 변화가 감지되면, 이를 회로기판(224)이 수신하여 자성 변화에 따른 변속단의 위치 변화를 체크할 수 있다. 위치제공부(420)의 경우 영구자석(222)과 다른 극성으로 이루어진 자성체로, 레버 가이드(300)의 경로상에서 다수의 변속단에 따라 독립적으로 배치됨으로써, 위치센서부(220)에 의해 감지되는 특정 위치제공부(420)에 따른 변속단이 선택되도록 한다. 이러한 위치제공부(420)는 변속단에 따라 자성체의 두께를 달리하거나, 변속단에 따라 다른 자성체와 단차를 가지도록 하여, 각각의 변속단의 인지가 명확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노브(400)에는 레버 가이드(300)의 경로상에서 위치제공부(420)가 배치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영구자석(222)과 동일한 극성으로 이루어진 자성슬롯(4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가이드 노브(400)에는 위치제공부(420)가 배치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위치센서부(220)의 영구자석(222)과 동일한 극성으로 이루어진 자성슬롯(440)을 형성함으로써, 가이드 노브(400)가 조작되어 레버 가이드(300)의 경로를 따라 이동시 레버 고정부(200)에 마련된 영구자석(222)과 동일한 극성으로 이루어진 자성슬롯(440)을 넘어가는 경우, 동일 극성에 의한 반력이 발생되어 절도감이 형성된다. 또한, 변속이 완료되어 영구자석(222)과 다른 극성으로 이루어진 위치제공부(420)로 이동된 경우 인력이 발생되어 가이드 노브(40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가이드 노브(400)를 조작하여 변속시 절도감이 형성됨에 따라 운전자가 변속 조작됨을 인지하여, 정확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변속 레버에 따르면, 기존의 변속 방식과는 차별화를 두어 전자식 변속 레버만으로 구현할 수 있는 독특한 변속 조작감을 제공한다. 또한, 변속 레버의 사이즈를 축소하여 레이아웃이 확보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베이스 200:레버 고정부
220:위치센서부 222:영구자석
224:회로기판 240:몸통부
260:머리부 300:레버 가이드
302:가이드면 304:지지면
320:기준 경로 340:제1전환경로
360:제2전환경로 380:제3전환경로
400:가이드 노브 420:위치제공부
440:자성슬롯

Claims (10)

  1. 평면을 이루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고정 설치되고, 베이스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위치센서부가 구비된 레버 고정부;
    다수의 변속단에 따라 전후방향 및 측방향으로 다수의 경로를 갖도록 형성되고, 레버 고정부가 경로상에 연결된 레버 가이드; 및
    상기 레버 가이드에 결합되어 레버 가이드와 함께 이동되고, 레버 가이드의 경로에 각기 위치되어 위치센서부에 감지되는 위치제공부가 구비됨으로써, 이동시 위치센서부에 감지되는 위치제공부에 따른 변속단이 선택되도록 하는 가이드 노브;를 포함하는 차량의 변속 레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 고정부는 베이스에 관통 결합되는 몸통부와 몸통부의 상측에서 둘레방향으로 돌출된 머리부로 구성되고, 머리부에 위치센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 레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변속단은 P, R, N, D, M 단으로 구분되고,
    레버 가이드는 각 변속단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도록 다수의 경로로 연장 형성되며, 머리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머리부가 경로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 레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레버 가이드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기준 경로와, 기준 경로의 후방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제1전환경로와, 기준 경로의 중앙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제2전환경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 레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노브에는 P, R, N, D, M 단에 해당하는 각각의 위치제공부가 구비되며,
    위치제공부는 기준 경로상의 전방, 중앙, 후방에 각각 R, N, D 단에 해당하는 위치제공부가 독립적으로 나열되고, 제1전환경로상에 M 단에 해당하는 위치제공부가 배치되며, 제2전환경로상에 P단에 해당하는 위치제공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 레버.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레버 가이드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기준 경로와, 기준 경로의 전방에서 서로 다른 경로로 갈라져 연장되는 제1전환경로 및 제2전환경로와, 기준 경로의 후방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제3전환경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 레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노브의 위치제공부는 기준 경로상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N, D 단에 해당하는 위치제공부가 배치되고, 제1전환경로에 R 단에 해당하는 위치제공부가 배치되며, 제2전환경로에 P 단에 해당하는 위치제공부가 배치되고, 제3전환경로에 M 단에 해당하는 위치제공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 레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센서부는 영구자석과 베이스의 하측에 마련되는 회로기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위치제공부는 상기 영구자석과 다른 극성으로 이루어진 자성체이고, 레버 가이드의 경로상에서 다수의 변속단에 따라 각기 독립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 레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노브에는 레버 가이드의 경로상에서 위치제공부가 배치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영구자석과 동일한 극성으로 이루어진 자성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 레버.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레버 가이드는 머리부의 측면에 접촉되는 가이드면과 머리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 레버.
KR1020160043127A 2016-04-08 2016-04-08 차량의 변속 레버 KR101745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127A KR101745258B1 (ko) 2016-04-08 2016-04-08 차량의 변속 레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127A KR101745258B1 (ko) 2016-04-08 2016-04-08 차량의 변속 레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5258B1 true KR101745258B1 (ko) 2017-06-08

Family

ID=59221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3127A KR101745258B1 (ko) 2016-04-08 2016-04-08 차량의 변속 레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2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0548A (ja) 2006-02-13 2007-08-23 Toyota Motor Corp 操作装置
JP4616708B2 (ja) 2005-06-15 2011-01-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位置検出装置
KR101393749B1 (ko) 2012-12-28 2014-05-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변속게이트 및 이 변속게이트에서의 변속레버 감지시스템
KR101509940B1 (ko) 2013-10-17 201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전자식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6708B2 (ja) 2005-06-15 2011-01-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位置検出装置
JP2007210548A (ja) 2006-02-13 2007-08-23 Toyota Motor Corp 操作装置
KR101393749B1 (ko) 2012-12-28 2014-05-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변속게이트 및 이 변속게이트에서의 변속레버 감지시스템
KR101509940B1 (ko) 2013-10-17 201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전자식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6208B2 (en) Gear shift lever apparatus of electronic manual transmission for vehicle
CA2875921C (en) Shift device for vehicle
US10352435B2 (en) Integrated electronic shift lever assembly for vehicle
KR101511561B1 (ko) 슬라이드 조작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JP2005504685A (ja) 自動シフト装置の運転状態を調節するための信号発生器
JP2006349016A (ja) シフト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305787B1 (ko) 통합 제어 변속레버장치
CN109458453A (zh) 车用换挡装置
JP3187978B2 (ja) 自動変速機の操作装置
JPWO2012176316A1 (ja) シフト切り替え装置
CN107869578B (zh) 用于电子换档系统的杆设备
JP2014094695A (ja) 車両のシフト装置
KR101745258B1 (ko) 차량의 변속 레버
JP2017009106A (ja) スマートキーを用いた車両用電子式変速システム
JP2014210515A (ja) 車両のシフト装置
KR102238079B1 (ko) 하이브리드 변속 레버
CN106286795B (zh) Amt自动换挡器以及具有其的汽车
JP5689757B2 (ja) シフト装置
JP2007090978A (ja) シフトレバーのレンジ位置表示装置
KR101432993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 시프트 레버 장치
JP2012101692A (ja) 車両用変速機のシフト装置
KR101745252B1 (ko)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
JP2006256411A (ja) 変速機用シフトスイッチ、シフト装置および自動車
KR102375140B1 (ko)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
JP2000272371A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