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6953A - 질화물 압전체 및 이를 이용한 mems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질화물 압전체 및 이를 이용한 mems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6953A
KR20220016953A KR1020227000062A KR20227000062A KR20220016953A KR 20220016953 A KR20220016953 A KR 20220016953A KR 1020227000062 A KR1020227000062 A KR 1020227000062A KR 20227000062 A KR20227000062 A KR 20227000062A KR 20220016953 A KR20220016953 A KR 20220016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body
piezoelectric
nitride
thin film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0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6106B1 (ko
Inventor
스리 아유 안가라이니
모리토 아키야마
마사토 우에하라
히로시 야마다
켄지 히라타
Original Assignee
고쿠리츠켄큐카이하츠호진 상교기쥬츠 소고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쿠리츠켄큐카이하츠호진 상교기쥬츠 소고켄큐쇼 filed Critical 고쿠리츠켄큐카이하츠호진 상교기쥬츠 소고켄큐쇼
Publication of KR20220016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6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5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active materials
    • H10N30/853Ceramic compositions
    • H01L41/187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51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 C04B35/58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borides, nitrides, i.e. nitrides, oxynitrides, carbonitrides or oxycarbonitrides or silicides
    • C04B35/58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borides, nitrides, i.e. nitrides, oxynitrides, carbonitrides or oxycarbonitrides or silicides based on aluminium nit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B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e.g. MICROMECHANICAL DEVICES
    • B81B3/00Devices comprising flexible or deformable elements, e.g. comprising elastic tongues or membranes
    • H01L41/09
    • H01L41/11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3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mechanical input and electr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generators or sens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704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based on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films or coatings
    • H10N30/706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based on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film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nderlying bases, e.g. substrates
    • H10N30/708Intermediate layers, e.g. barrier, adhesion or growth control buffer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40Metallic constituents or additives not added as binding phas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2007Details of bulk acoustic wave devices
    • H03H9/02015Characteristics of piezoelectric layers, e.g. cutting angles
    • H03H9/02031Characteristics of piezoelectric layers, e.g. cutting angles consisting of ceramic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N30/07Form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parts or bodies on an electrical element or another base
    • H10N30/074Form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parts or bodies on an electrical element or another base by depositing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layers, e.g. aerosol or screen printing
    • H10N30/076Form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parts or bodies on an electrical element or another base by depositing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layers, e.g. aerosol or screen printing by vapour phase de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 Micromachines (AREA)

Abstract

아무 원소도 첨가되지 않은 질화 알루미늄보다도 높은 성능 지수(d33, g33 및 K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값을 갖는 질화물 압전체 및 이를 이용한 MEMS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화학식 Al1-X-YMgXTaYN으로 표시되는 압전체이며, X+Y가 1보다 작으며, 또 X는 0보다 크고 1보다 작고, Y는 0보다 크고 1보다 작은 범위에 있고, Ta는 4가의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질화물 압전체 및 이를 이용한 MEMS 디바이스
본 발명은, 마그네슘 및 탄탈을 첨가한 질화 알루미늄의 압전체(壓電體) 및 이를 이용한 MEMS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압전 현상을 이용하는 디바이스는, 폭넓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으며, 소형화 및 절전화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는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용 기기에 있어서 그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그 일례로서, 박막(薄膜) 벌크 음향파 공진자(Film Bulk Acoustic Resonator; FBAR)를 이용한 FBAR 필터가 있다.
FBAR 필터는, 압전 응답성을 나타내는 박막의 두께 세로 진동 모드를 이용한 공진자에 의한 필터이며, 기가헤르츠 대역에서의 공진이 가능하다는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FBAR 필터는 저손실이며, 또 광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용 기기의 한층 더한 고주파 대응화, 소형화 및 절전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FBAR에 이용되는 압전체 박막의 압전체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스칸듐을 첨가한 질화 알루미늄(특허문헌1 참조)이나, 마그네슘 및 탄탈을 첨가한 질화 알루미늄(특허문헌 2)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스칸듐을 첨가한 질화 알루미늄은, 높은 압전 정수를 가져 차세대의 고주파 필터로의 이용에 기대되어지고 있다. 또한, 압력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의 물리 센서, 액츄에이터, 마이크 폰, 지문 인증 센서, 진동 발전기 등의 다양한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디바이스로의 이용에 기대되어지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9-10926호 일본 특허공보 제5904591호
그러나, 스칸듐(Sc)은 고가의 희토류 원소이며, 스칸듐을 첨가한 질화 알루미늄(AlN)으로 구성된 압전체는 다른 물질로 구성된 압전체와 비교해서 제조 비용이 고액이 되어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마그네슘(Mg) 및 탄탈(Ta)을 첨가한 질화 알루미늄(AlN)으로 구성된 압전체가 개시되어 있지만, 수치 계산에 기초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원자가가 2가인 마그네슘(12.5원자%)과, 원자가가 5가인 탄탈(6.25원자%)을 질화 알루미늄에 도핑시킨 경우의 수치 계산의 결과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압전체는 어디까지나 수치 계산에 의한 것으로서, 계산에 사용한 탄탈의 원자가(價數)가 맞는가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세하게는 후술하겠는데, 본 발명에 관련한 압전체(Al1-X-YMgXTaYN)에 포함되는 탄탈은, 5가의 것뿐만 아니라 다른 가수의 것도 포함되어 있어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것과는 완전히 다른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어떤 원소도 첨가되지 않은 질화 알루미늄보다도 높은 성능 지수(d33, g33 및 K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값을 갖는 질화물 압전체 및 그를 이용한 MEMS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술한 문제점에 관하여 예의 연구를 계속한 결과, 이하와 같은 획기적인 마그네슘(Mg) 및 탄탈(Ta)을 첨가한 질화 알루미늄(AlN)의 압전체를 알아내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의 양태는 화학식 Al1-X-YMgXTaYN으로 표시되는 압전체로서, X+Y가 1보다 작으며, 또 X는 0보다 크고 1보다 작고, Y는 0보다 크고 1보다 작은 범위에 있고, Ta는 4가의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체에 있다.
이때, 「4가의 것」이란, 원자가가 4가인 것을 말한다. Ta의 가수는, 예를 들면 X선 광전자 분광법(XPS), X선 흡수 분광법(XANES), TEM-EELS 등에 의해 검출 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의 양태에서는, 어떤 원소도 첨가(도핑)되지 않은 질화 알루미늄보다도 높은 성능 지수(d33, g33 및 K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값을 갖는 질화물 압전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양태는, 4가의 Ta가, 4가 이외의 Ta와 비교해서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에 기재된 압전체에 있다.
이러한 제2의 양태에서는, 보다 높은 성능 지수(d33, g33 및 K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값을 갖는 질화물 압전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양태는, X/Y가, 2보다도 크고, 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또는 제2의 양태에 기재된 압전체에 있다.
이러한 제3의 양태에서는, 더 높은 성능 지수(d33, g33 및 K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값을 갖는 질화물 압전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의 양태는, X/Y가 2.5보다도 크고, 4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또는 제2의 양태에 기재된 압전체에 있다.
이러한 제4의 양태에서는, 특히 높은 성능 지수(d33, g33 및 K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값을 갖는 질화물 압전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의 양태는, X+Y가, 0.0보다 크고, 0.4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제4의 양태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압전체에 있다.
이러한 제5의 양태에서는, 보다 높은 성능 지수(d33, g33 및 K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값을 갖는 질화물 압전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의 양태는, X+Y가, 0.15이상이고 0.3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제4의 양태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압전체에 있다.
이러한 제6의 양태에서는, 더 높은 성능 지수(d33, g33 및 K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값을 갖는 질화물 압전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의 양태는, 제1~제6의 양태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압전체가 기판 상에 구비되어 있고, 압전체와 기판 사이에 적어도 1층의 중간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체에 있다.
이러한 제7의 양태에서는, 압전체의 결정성(결정화도)이 향상하기 때문에, 보다 높은 성능 지수(d33 및 g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값을 갖는 질화물 압전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의 양태는, 중간층은, 질화 알루미늄, 질화 갈륨, 질화 인듐, 질화 티탄, 질화 스칸듐, 질화 이테르븀, 몰리브덴, 텅스텐, 하프늄, 티탄, 루테늄, 산화 루테늄, 크롬, 질화 크롬, 백금, 금, 은, 구리, 알루미늄, 탄탈, 이리듐, 팔라듐 및 니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7의 양태에 기재된 압전체에 있다.
이러한 제8의 양태에서는, 압전체의 결정성(결정화도)이 보다 향상하기 때문에, 더 높은 성능 지수(d33, g33 및 K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값을 갖는 질화물 압전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의 양태는, 중간층과 압전체 사이에, 중간층을 구성하는 물질과 압전체를 구성하는 물질이 포함되는 확산층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7 또는 제8의 양태에 기재된 압전체에 있다.
이러한 제9의 양태에서는, 제7 및 제8의 양태와 마찬가지로, 높은 성능 지수 (d33, g33 및 K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값을 갖는 질화물 압전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의 양태는, 제1~제9의 양태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압전체를 이용한 MEMS 디바이스에 있다.
이때, 「MEMS 디바이스」란, 미소(微小) 전기 기계 시스템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FBAR 필터, 압력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의 물리 센서나 액츄에이터, 마이크 폰, 지문 인증 센서, 진동 발전기, 에너지 하베스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제10의 양태에서는, 고주파 대응화, 소형화 및 저전력화된 MEMS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MEMS 디바이스가 고주파 필터인 경우에는, 종래의 고주파 필터와 비교해서 손실이 적으며 또 광대역에서 동작가능한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관련한 압전체 박막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2는, 각 압전체 박막에 있어서의 결합 에너지(Binding energy)와 강도(Intensity)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3은, 탄탈과 마그네슘의 몰비와, 탄탈의 4f 궤도의 피크 영역의 비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4는, Mg/Ta의 원자 퍼센트의 비율에 대한 압전 정수 d33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5는, 도펀트(Mg+Ta)의 농도와 압전 정수 d33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6은, 도펀트(Mg+Ta)의 농도와 비유전율 εr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7은, 도펀트(Mg+Ta)의 농도와 압전 출력 정수 g33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8은, 도펀트(Mg+Ta, Sc)의 농도와 압전 출력 정수 g33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9는, 도펀트(Mg+Ta, Sc)의 농도와 전기기계 결합 계수 K2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0은, 실시형태 2에 관련한 압전체 박막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압전체의 박막에 관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형상에 제한은 없으며 박막 형태가 아니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압전체 박막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전체 박막(1)은, 기판(1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압전체 박막(1)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1~3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1~2㎛의 범위가 밀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기판(10)은, 그 표면 상에 압전체 박막(1)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두께나 재질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기판(10)으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 및 인코넬 등의 내열 합금, 폴리이미드 등의 수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압전체 박막(1)은, 화학식 Al1-X-YMgXTaYN으로 표시되며, X+Y가 1보다 작고 또 X는 0보다 크고 1보다 작으며, Y는 0보다 크고 1보다 작은 범위에 있고, 마그네슘(Mg) 및 탄탈(Ta)이 첨가(도핑)된 질화 알루미늄(AlN)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압전체 박막(1)에는, 원자가가 4가인 Ta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Ta의 원자가에 대해서는, X선 광전자 분광법(XPS) 등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압전체 박막(1)은, 아무 원소도 첨가되지 않은 질화 알루미늄보다도 높은 성능 지수(d33, g33 및 K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값을 갖는다.
이때, Ta는, 4가 이외의 가수(예를 들면, 3가나 5가)의 것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지만, 4가의 Ta의 함유량이 4가 이외의 것과 비교해서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는 압전체 박막(1)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압전체 박막(1)은, 보다 높은 성능 지수(d33, g33 및 K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값을 갖는다.
또한, 압전체 박막(1)에 포함되는 Ta 중, 4가의 Ta의 함유 비율이 30%이상이면, 보다 높은 성능 지수(d33, g33 및 K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값을 갖는 압전체 박막(1)이 되고, 4가의 Ta의 함유 비율이 45%이상이면, 더 높은 성능 지수(d33, g33 및 K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값을 갖는 압전체 박막(1)이 되고, 4가의 Ta의 함유 비율이 50% 이상이면, 특히 높은 성능 지수(d33, g33 및 K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값을 갖는 압전체 박막(1)이 된다.
그리고, 상술한 화학식에 있어서, X/Y가, 2보다도 크고 5이하인 압전체 박막(1)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압전체 박막(1)은, 더 높은 성능 지수(d33, g33 및 K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값을 갖는다.
그리고 또한, 상술한 화학식에 있어서, X/Y가, 2.5보다도 크고, 4이하인 압전체 박막(1)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압전체 박막(1)은, 특히 높은 성능 지수(d33, g33 및 K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값을 갖는다.
이어서, 상술한 화학식에 있어서, X+Y가, 0.0보다 크고, 0.4이하인 압전체 박막(1)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압전체 박막(1)은, 보다 높은 성능 지수(d33, g33 및 K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값을 갖는다.
또한, 상술한 화학식에 있어서, X+Y가, 0.15이상이고 0.35이하인 압전체 박막(1)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압전체 박막(1)은, 한층 더 높은 성능 지수(d33, g33 및 K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값을 갖는다.
그리고 또한, 상술한 화학식에 있어서, X+Y가, 0.2이상이고 0.3이하인 압전체 박막(1)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압전체 박막(1)은, 특히 높은 성능 지수(d33, g33 및 K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값을 갖는다.
그리고, 이들의 압전체 박막(1)을 이용한 고주파 필터는, 종래의 고주파 필터와 비교해서, 저손실이며, 또 광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그 결과, 휴대용 기기를 보다 고주파 대응, 소형화 및 절전화할 수 있다. 또한, 고주파 필터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구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압전체 박막(1)의 제조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압전체 박막(1)은, 일반적인 압전체 박막과 마찬가지로, 스퍼터법이나 증착법 등의 제조 방법을 이용해서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질소 가스(N2) 분위기하, 또는 질소 가스(N2) 및 아르곤 가스(Ar) 혼합 분위기하(기체 압력 1Pa이하)에 있어서, 기판(10)(예를 들면 실리콘(Si) 기판)에, 탄탈로 구성된 타겟, 마그네슘으로 구성된 타겟 및 알루미늄(Al)으로 구성된 타겟을 동시에 스퍼터 처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타겟으로서, 탄탈, 마그네슘 및 알루미늄이 소정의 비율로 포함되는 합금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기판과 압전체 박막과의 사이에, 기판을 구성하는 물질과 압전체 박막을 구성하는 물질이 포함되는 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층은, 예를 들면 기판 상에 압전체 박막을 형성한 후, 이들에 열을 가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의 장치 및 스퍼터링 타겟 등을 이용하여, 비저항이 0.02Ωcm의 n형 실리콘 기판 상에 두께 0.4~1.5㎛의 탄탈과 마그네슘이 첨가된 질화 알루미늄의 압전체 박막(Al1-X-YMgXTaYN)을 제작하였다.
다원(多元) 동시 스퍼터 성막 장치(에이코엔지니어링사 제품)
탄탈의 스퍼터링 타겟재(농도: 99.999%)
마그네슘의 스퍼터링 타겟재(농도: 99.999%)
알루미늄의 스퍼터링 타겟재(농도: 99.999%)
가스:질소(순도:99.99995% 이상)와 아르곤 가스(순도:99.9999% 이상)의 혼합 가스(혼합비 50:50)
기판 가열 온도: 500℃
성막 실험은, 스퍼터 챔버 내의 기압을 10-6 이하의 고(高)진공이 되도록 진공 펌프로 내린 후 수행하였다. 또한, 산소 등의 불순물의 혼입을 피하기 위해, 타겟 장착 직후나 각 성막 실험의 직전에 타겟 표면의 청정 처리를 행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각 압전체 박막을 XPS(시마즈/KRATOS제작소사 제품, AXIS-165)로 측정했을 때의 결합 에너지(Binding energy)와 강도(Intensity)와의 관계를 도 2에 나타내고, 탄탈과 마그네슘의 몰비와, 탄탈의 4f궤도의 피크 영역의 비율과의 관계를 도 3에 나타낸다. 이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탄탈에 대한 마그네슘의 원자 퍼센트의 비율(Mg/Ta)이 커짐에 따라서 Ta5+ 및 Ta3+의 비율이 작아지는데, Ta4+의 비율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1≤Mg/Ta≤3의 범위에서, Ta5+ 및 Ta3+보다도 Ta4+의 원자수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도 4에, 도펀트(Mg+Ta)의 농도가 15~26at.%에 있어서의, Mg/Ta의 원자 퍼센트의 비율에 대한 압전 정수 d33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 도면에서, 압전 정수 d33의 값은, Mg/Ta가 1보다 커짐에 따라서 커지게 되고, 3.1일 때에 가장 높아지고, Mg/Ta가 3.1보다도 커짐에 따라서 압전 정수 d33의 값은 작아지는 것을 알았다. 또한, 압전 정수 d33에 대해서는, 피에조미터(알파주식회사 제품 Piezotest PM300)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또한, 도 5에, 도펀트(Mg+Ta)의 농도와 압전 정수 d33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때, Mg/Ta의 원자 퍼센트의 비율은, 3.1로 고정하였다. 이 도면에서, 도펀트(Mg+Ta)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압전 정수 d33의 값이 높아지고, 24.3at.%일 때에 가장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펀트(Mg+Ta)의 농도가 0인 것이, 아무 원소도 첨가되어 있지 않은 질화 알루미늄의 압전 정수 d33의 값이다.
또한, 도 6에, 도펀트(Mg+Ta)의 농도와 비유전율 εr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여기서, Mg/Ta의 원자 퍼센트의 비율은 3.1로 고정하였다. 이 도면에서, 도펀트(Mg+Ta)의 농도가 24.3at.%가 될 때까지 거의 일정한 값(εr=10)이 되지만, 도펀트(Mg+Ta)의 농도가 24.3at.%보다도 높아짐에 따라서 비유전율 εr의 값도 높아지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또한, 상기의 데이터로부터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압전 출력 정수 g33를 산출하였다. 이때 ε0=8.8542e-12를 사용했다.
[수학식 1]
Figure pct00001
그리고, 도 7에, 얻어진 압전 출력 정수 g33와 도펀트(Mg+Ta)의 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여기서, Mg/Ta의 원자 퍼센트의 비율은 3.1로 고정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압전 출력 정수 g33의 값은, 도펀트(Mg+Ta)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커지고, 24.3at.%일 때에 가장 높아진다. 그리고, 도펀트(Mg+Ta)의 농도가 24.3at.%보다도 높아짐에 따라서 압전 출력 정수 g33의 값은 작아져 가는 것을 알았다. 또한, 도펀트(Mg+Ta)의 농도가 0인 것이, 아무 원소도 첨가되어 있지 않은 질화 알루미늄의 압전 출력 정수 g33의 값이다.
또한, 도 8에, 각 도펀트(Mg+Ta, Sc)의 농도와 압전 출력 정수 g33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 도면에서, 각 도펀트의 농도가 24.3at.%가 될 때까지는, 탄탈과 마그네슘이 첨가된 질화 알루미늄 압전체 박막(Al1-X-YMgXTaYN)은, 스칸듐이 첨가된 질화 알루미늄 압전체 박막(Al1-XScXN)보다도 높은 압전 출력 정수 g33를 갖는 것을 알았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예의 압전체 박막은, Mg/Ta의 원자 퍼센트의 비율이 1보다 크고 4이하의 범위에서, 또 도펀트(Mg+Ta)의 농도가 0.0보다도 크고, 0.4이하의 범위에서, 아무 원소도 첨가되지 않은 질화 알루미늄과 비교해서, 높은 성능 지수(d33 및 g33)의 값을 갖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또한, 도 9에, 각 도펀트(Mg+Ta)의 농도와 전기기계 결합 계수 K2 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 도면에서, 전기기계 결합 계수 K2의 값은, 도펀트(Mg+Ta)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커지게 되고, 24.3at.%일 때에 가장 높아진다. 그리고, 도펀트(Mg+Ta)의 농도가 24.3at.%보다도 높아짐에 따라서, 압전 출력 정수 g33의 값은 작아져 가는 것을 알았다. 또한, 전기기계 결합 계수 K2는, 다음 식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ct00002
또한, e33은 압전 응력 정수를 나타내고, 제1 원리 계산(first-principle calculation)이라고 불리는 계산 방법을 채용하고 있는 VASP(Vienna Ab initio Simulation Package)라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실시형태 2)
상술한 실시형태 1에서는, 기판 상에 직접 압전체 박막을 제작하도록 했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10)과 압전체 박막(1A)과의 사이에 중간층(20)을 형성해도 좋다.
이때, 중간층(20)으로서는, 중간층(20) 상에 압전체 박막(1A)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재료나 두께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중간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질화 알루미늄(AlN), 질화 갈륨(GaN), 질화 인듐(InN), 질화 티탄(TiN), 질화 스칸듐(ScN), 질화 이테르븀(YbN), 몰리브덴(Mo), 텅스텐(W), 하프늄(Hf), 티타늄(Ti), 루테늄(Ru), 산화루테늄(RuO2), 크롬(Cr), 질화 크롬(CrN), 백금(Pt), 금(Au), 은(Ag) , 구리(Cu), 알루미늄(Al), 탄탈(Ta), 이리듐(Ir), 팔라듐(Pd) 및 니켈(Ni)로 구성된 두께 50~200nm의 것을 들 수 있다.
기판(10) 상에, 이러한 중간층(20)을 형성함으로써, 압전체 박막(1A)의 결정성(결정화도)이 향상하기 때문에, 실시형태 1의 압전체 박막보다도 한층 더 높은 성능 지수(d33, g33 및 K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갖는 탄탈과 마그네슘이 첨가된 질화 알루미늄 압전체 박막(Al1-X-YMgXTaYN)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상술한 실시형태 2에서는, 중간층 상에 직접 압전체 박막이 형성되도록 하였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중간층과 압전체 박막과의 사이에, 중간층을 구성하는 물질과 압전체 박막을 구성하는 물질이 포함되는 확산층을 더 형성해도 좋다. 또한, 확산층은, 예를 들면, 중간층 상에 압전체 박막을 형성한 후, 이들에 열을 가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확산층을 형성해도,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1, 1A; 압전체 박막
10; 기판
20; 중간층

Claims (10)

  1. 화학식 Al1-X-YMgXTaYN으로 나타내는 압전체이며,
    X+Y가 1보다 작으며, 또 X는 0보다 크고 1보다 작고, Y는 0보다 크고 1보다 작은 범위에 있고,
    Ta는 4가의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체.
  2. 제1항에 있어서,
    4가의 Ta가, 4가 이외의 Ta와 비교해서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X/Y가, 2보다도 크고, 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X/Y가, 2.5보다도 크고, 4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Y가, 0.0보다도 크고, 0.4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체.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Y가, 0.15이상이고 0.3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압전체가 기판 상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압전체와 상기 기판과의 사이에, 적어도 1층의 중간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질화 알루미늄, 질화 갈륨, 질화 인듐, 질화 티탄, 질화 스칸듐, 질화 이테르븀, 몰리브덴, 텅스텐, 하프늄, 티탄, 루테늄, 산화 루테늄, 크롬, 질화 크롬, 백금, 금, 은, 구리, 알루미늄, 탄탈, 이리듐, 팔라듐 및 니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체.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과 상기 압전체 사이에, 상기 중간층을 구성하는 물질과 상기 압전체를 구성하는 물질이 포함되는 확산층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압전체를 이용한 MEMS 디바이스.
KR1020227000062A 2019-09-02 2020-06-04 질화물 압전체 및 이를 이용한 mems 디바이스 KR1026161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59305A JP7329828B2 (ja) 2019-09-02 2019-09-02 窒化物圧電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memsデバイス
JPJP-P-2019-159305 2019-09-02
PCT/JP2020/022048 WO2021044683A1 (ja) 2019-09-02 2020-06-04 窒化物圧電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memsデバイ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953A true KR20220016953A (ko) 2022-02-10
KR102616106B1 KR102616106B1 (ko) 2023-12-21

Family

ID=74848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0062A KR102616106B1 (ko) 2019-09-02 2020-06-04 질화물 압전체 및 이를 이용한 mems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74886A1 (ko)
EP (1) EP3974376B1 (ko)
JP (1) JP7329828B2 (ko)
KR (1) KR102616106B1 (ko)
CN (1) CN114341053A (ko)
WO (1) WO202104468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4977A1 (ko) 2021-05-18 2022-11-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65456B1 (en) * 2019-02-22 2022-12-21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Nitride piezoelectric body and mems device using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0926A (ja) 2007-05-31 2009-01-15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圧電体薄膜、圧電体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ならびに当該圧電体薄膜を用いた圧電体共振子、アクチュエータ素子および物理センサー
JP2013219743A (ja) * 2012-03-15 2013-10-24 Taiyo Yuden Co Ltd 弾性波デバイス
JP2014121025A (ja) * 2012-12-18 2014-06-30 Taiyo Yuden Co Ltd 圧電薄膜共振子
WO2016111280A1 (ja) * 2015-01-06 2016-07-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圧電薄膜及び圧電振動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591B2 (ja) 1979-06-11 1984-01-30 株式会社ハツコ− 地下構造物の管体貫通部防水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0926A (ja) 2007-05-31 2009-01-15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圧電体薄膜、圧電体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ならびに当該圧電体薄膜を用いた圧電体共振子、アクチュエータ素子および物理センサー
JP2013219743A (ja) * 2012-03-15 2013-10-24 Taiyo Yuden Co Ltd 弾性波デバイス
JP5904591B2 (ja) 2012-03-15 2016-04-13 太陽誘電株式会社 弾性波デバイス
JP2014121025A (ja) * 2012-12-18 2014-06-30 Taiyo Yuden Co Ltd 圧電薄膜共振子
WO2016111280A1 (ja) * 2015-01-06 2016-07-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圧電薄膜及び圧電振動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4977A1 (ko) 2021-05-18 2022-11-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74376A1 (en) 2022-03-30
JP2021039995A (ja) 2021-03-11
JP7329828B2 (ja) 2023-08-21
KR102616106B1 (ko) 2023-12-21
EP3974376C0 (en) 2024-04-17
CN114341053A (zh) 2022-04-12
EP3974376B1 (en) 2024-04-17
WO2021044683A1 (ja) 2021-03-11
EP3974376A4 (en) 2023-08-16
US20220274886A1 (en)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0841B2 (ja) 圧電体薄膜、圧電体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ならびに当該圧電体薄膜を用いた圧電体共振子、アクチュエータ素子および物理センサー
CN104883153B (zh) 具有掺杂压电层的体声波谐振器
US10637435B2 (en) Bulk acoustic wave resonator and filter including the same
JP6535637B2 (ja) 圧電薄膜共振器、フィルタ、デュプレクサ、及び圧電薄膜共振器の製造方法
US9972769B2 (en) Piezoelectric thin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iezoelectric element
CN107786182A (zh) 体声波谐振器和包括该体声波谐振器的滤波器
US10009007B2 (en) Bulk acoustic wave resonator with a molybdenum tantalum alloy electrode and filter including the same
KR20220016953A (ko) 질화물 압전체 및 이를 이용한 mems 디바이스
US20080284542A1 (en)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CN108574468A (zh) 薄膜体声波谐振器以及制造薄膜体声波谐振器的方法
CN111585538B (zh) 体声波谐振器
CN113165865B (zh) 压电体以及使用其的mems器件
WO2022180961A1 (ja) 窒化物材料およびそれからなる圧電体並びにその圧電体を用いたmemsデバイス、トランジスタ、インバーター、トランスデューサー、sawデバイスおよび強誘電体メモリ
JP7406262B2 (ja) 窒化物圧電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memsデバイス
JP2005210614A (ja) 薄膜バルク音響共振子の製造方法、圧電膜の形成方法および非反応性スパッタリング装置
WO2016136475A1 (ja) 窒化インジウム圧電薄膜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圧電素子
CN114553178A (zh) 具有钨电极的体声波谐振器、滤波器及电子设备
KR20200069561A (ko) 체적 음향 공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