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5675A - 조류 포획용 안전 트랩 - Google Patents

조류 포획용 안전 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5675A
KR20220015675A KR1020200095994A KR20200095994A KR20220015675A KR 20220015675 A KR20220015675 A KR 20220015675A KR 1020200095994 A KR1020200095994 A KR 1020200095994A KR 20200095994 A KR20200095994 A KR 20200095994A KR 20220015675 A KR20220015675 A KR 20220015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pture
separation space
space
fram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9274B1 (ko
Inventor
김우열
성하철
김철구
차진열
Original Assignee
국립생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생태원 filed Critical 국립생태원
Priority to KR1020200095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274B1/ko
Publication of KR20220015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16Box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01M23/08Collecting-traps with approaches permitting entry onl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16Box traps
    • A01M23/18Box traps with pivoted closure fl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16Box traps
    • A01M23/20Box traps with dropping doors or sli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2Universal remote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류(Birds) 중 물떼새류(plover)가 번식하는 시기에 번식 둥지 위에서 포란하는 개체의 알이 깨지거나 소실되는 등의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물떼새류를 포획하여 연구에 이용할 수 있는 조류 포획용 안전 트랩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조류 포획용 안전 트랩은 입구부를 구비한 포획틀, 포획틀에 설치되는 구동원, 구동원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포획틀에 포획된 새를 포획틀 내부의 일측 공간인 분리공간부로 밀어내어 이동시키고 동시에 분리공간부를 폐쇄시키는 회전 분리판, 그리고 구동원을 원격으로 제어하여 구동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류 포획용 안전 트랩{Safety trap for capturing plover}
본 발명은 조류(Birds) 중 물떼새류(plover)가 번식하는 시기에 번식 둥지 위에서 포란하는 개체의 알이 깨지거나 소실되는 등의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물떼새류를 포획하여 연구에 이용할 수 있는 조류 포획용 안전 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떼새류 등을 포획할 수 있는 포획 트랩은 일정한 형상의 틀에 그물망을 씌운 형태로 이루어지고 물떼새류가 들어갈 수 있는 개방된 입구를 구비한다.
연구원은 물떼새류의 번식기에 연구 목적으로 물떼새류와 같은 조류를 포획하기 위해 포획 트랩을 사용한다. 연구원은 물떼새의 알이 있는 번식 둥지 위에 포획 트랩을 설치한다. 그리고 연구원은 이 포획 트랩에서 대략 100m 정도 떨어진 위치에서 필드스코프(field scope)로 포획 트랩의 입구로 물떼새가 들어가는지를 관찰한다. 그리고 연구원은 멀리 떨어진 상태에서 물떼새가 포란을 위해 포획 트랩의 입구로 들어간 것을 확인한 후에 물떼새가 안정된 행동을 유지하기를 기다린다. 연구원은 물떼새가 안정된 행동을 유지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물떼새를 포획된 포획 트랩으로 달려간다. 그러면 이러한 연구원의 행동 또는 주변의 상황에 놀란 물떼새는 포획 트랩의 입구 반대측으로 도망가는 행동을 한다. 이때 연구원은 물떼새가 포획 트랩의 입구를 찾아 빠져 나가기 전에 포획 트랩에서 물떼새를 재빠르게 포획한다.
이와 같은 물떼새의 포획 방법은 부화기에 상태의 물떼새들이 겁을 먹고 놀라서 과잉 행동을 하게 되어 부화기의 알이 깨지는 등의 손상이 발생하거나 물떼새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포획 트랩은 연구원이 포획 트랩에 접근하기 전에 연구원의 행동 또는 주변의 환경에 놀란 물떼새가 들어온 입구로 다시 빠져 나갈 수 있어 물떼새를 포획할 수 있는 확률이 떨어진다. 또한, 기존의 포획 트랩은 입구로 들어간 물떼새가 다시 빠져 나가기 전에 연구원이 관찰지점에서 포획 트랩이 설치된 위치까지 대략 100m가 넘는 긴 거리를 빠르게 달려야 하므로 물떼새의 포획에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연구원의 포획 행동은 번식기의 물떼새류의 주변에 있는 다른 물떼새들 또는 다른 종류의 동물을 놀라게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다른 종류의 포획 트랩은 물떼새가 포획 트랩의 입구로 들어가면 물떼새가 다시 입구를 통해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순간적으로 입구를 폐쇄시키는 입구폐쇄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입구폐쇄장치가 설치된 포획 트랩은 입구가 순식간에 폐쇄되는 과정에서 큰 소음과 충격이 발생하는 것에 의해 포획 트랩에 갇힌 물떼새가 놀라서 뛰게 된다. 물떼새의 이러한 행동은 알이 깨지는 등의 피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물떼새류의 부모새와 알을 모두 안전하게 포획하여 연구에 이용할 수 있는 조류 포획용 안전 트랩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물떼새류를 놀라지 않게 하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부모새를 포획할 수 있는 조류 포획용 안전 트랩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구원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물떼새류를 포획하여 연구할 수 있는 조류 포획용 안전 트랩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반시 부피를 줄이고 및 설치가 용이하여 연구원이 여러 장소를 쉽게 이동하면서 물떼새류를 포획할 수 있는 조류 포획용 안전 트랩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구부를 구비한 포획틀, 상기 포획틀에 설치되는 구동원,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포획틀에 포획된 새를 상기 포획틀 내부의 일측 공간인 분리공간부로 밀어내어 이동시키고 동시에 상기 분리공간부를 폐쇄시키는 회전 분리판, 그리고 상기 구동원을 원격으로 제어하여 구동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조류 포획용 안전 트랩을 제공한다.
상기 포획틀은 프레임들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일정한 공간을 이루는 제1 틀부, 또 다른 프레임들이 상기 제1 틀부에서 연장되거나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틀부에서 연장되는 공간을 이루는 제2 틀부, 그리고 상기 제1 틀부와 상기 제2 틀부에 결합되는 새를 포획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그물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틀부에 상기 입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틀부에 결합된 그물망부에 포획된 새를 인출하는 인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틀부는 포획된 새가 회전 분리판에 의해 이동되는 분리 공간부를 이루며,
상기 분리 공간부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링크들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틀부와 상기 제2 틀부 사이에는 포획된 새가 분리 공간부에 있도록 유지하며 상기 제2 틀부의 분리 공간부의 일측을 폐쇄하는 차단판이 끼워지는 분리홈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분리판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이 결합되어 틀을 이루고, 상기 틀에 그물망이 결합되어 판 모양을 이루며,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가 떨어진 위치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획틀의 일측에는 상기 포획틀의 입구부 및 상기 포획틀의 내부를 촬영하여 송신하는 촬영부가 설치되고, 상기 촬영부에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촬영부에서 송신된 영상을 받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포획틀의 입구부를 구비한 포획부가 물떼새의 번식 둥지 위에 배치되도록 설치하고, 물떼새가 포란을 위해 입구부를 통해 포획부로 들어 오면 연구원이 원격으로 구동원을 제어하여 회전 분리판을 서서히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부모새가 알에서 분리되면서 분리공간부 측으로 이동되어 물떼새류의 부모새와 알을 모두 안전하게 포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 분리판이 매우 낮은 속도로 회전하면서 부모새를 분리 공간부로 서서히 밀어 냄으로써, 물떼새류를 놀라지 않게 할 수 있고 매우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부모새를 포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획틀의 포획부에 물떼새가 들어왔는지를 연구원이 원거리에서 디스플레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고, 회전 분리판을 원격으로 서서히 구동시키므로 연구원이 뛰어다니는 일이 없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물떼새류를 포획하여 연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획틀을 접이식으로 구성하여 부피를 줄임으로써,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여 연구원이 여러 장소를 쉽게 이동하면서 물떼새류를 포획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조류 포획용 안전 트랩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포획틀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포획틀이 물떼새의 번식 둥지 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포획틀의 입구로 물떼새가 들어와 포란을 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회전 분리판을 서서히 구동시켜 포획틀 안에서 물떼새를 알에서 분리시켜 분리 공간부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회전 분리판에 의해 포획된 물떼새가 알에서 완전하게 분리되어 분리 공간부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회전 분리판이 회전하는 상태를 평면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물떼새가 분리 공간부로 이동된 상태에서 분리 공간부를 차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분리 공간부의 크기를 줄여 포획된 물떼새를 쉽게 꺼내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조류 포획용 안전 트랩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조류 포획용 안전 트랩은 포획틀(1), 구동원(3), 회전 분리판(5), 그리고 컨트롤러(7)를 포함한다.
포획틀(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획부(101), 분리 공간부(103), 그리고 포획부(101)와 분리공간부(103)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부(105)를 포함한다.
포획부(101)는 다수의 프레임이 서로 결합되어 공간을 이루 수 있는 제1 틀부(101a)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1 틀부(101a)는 프레임들이 서로 힌지결합되어 공간을 이루면서도 이동시 또는 사용하지 않을 때 쉽게 접어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틀부(101a)는 프레임들의 연결 부분이 힌지 결합되어 접어질 수 있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제1 틀부(101a)는 부모새가 들어올 수 있는 입구부(101b, 도 1에 표시함)를 구비한다. 입구부(101b)는 비교적 좁은 통로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리공간부(103)는 제1 틀부(101a)에서 연장되는 제2 틀부(103a)를 구비한다. 제2 틀부(103a)는 제1 틀부(101a)를 이루는 프레임에 결합되어 또 다른 공간을 이룬다. 그리고 제1 틀부(101a)와 제2 틀부(103a)가 이루는 공간은 서로 연결된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제2 틀부(103a)는 대략 사각형의 형상이 세워진 상태로 이루어지며 2개의 틀이 서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2개의 사각형사의 틀로 이루어진 제2 틀부(103a)는 중간부분에 제1 링크(103b)와 제2 링크(103c), 및 제3 링크(103d)와 제4 링크(103e)에 의해 연결된다.
제1 링크(103b)와 제2 링크(103c)는 일정한 거리가 떨어진 2개의 제2 틀부(103a)를 측면의 중간부에서 수평으로 연결한다. 이러한 제1 링크(103b)와 제2 링크(103c)는 각각 연결되는 부분이 힌지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1 링크(103b)와 제2 링크(103c)는 서로 접혀 2개의 제2 틀부(103a)가 서로 모아질 수 있도록 힌지결합된다.
제3 링크(103d)와 제4 링크(103e)는 제1 링크(103b)와 제2 링크(103c)의 반대편 부분에 설치되어 2개의 제2 틀부(103a)를 측면의 중간부에서 수평으로 연결한다. 이러한 제3 링크(103d)와 제4 링크(103e)도 각각 연결되는 부분이 힌지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3 링크(103d)와 제4 링크(103e)는 서로 접혀 2개의 제2 틀부(103a)가 서로 모아질 수 있도록 힌지결합된다.
이러한 제2 틀부(103a)는 물떼새의 부모새를 포획하는 단계에서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펼칠 수 있다. 그리고 제2 틀부(103a)는 연구원이 포획된 물떼새를 꺼낼 때 제2 틀부(103a)의 분리공간부(103)의 크기를 줄여 포획된 물떼새를 놀라지 않도록 하면서 쉽게 꺼낼 수 있다.
제1 틀부(101a)와 제2 틀부(103a)는 그물망부(107)를 더 포함한다.
그물망부(107)는 공간을 이루어 새가 포획될 때 새가 외부로 나가지 못하도록 차단시키는 부분이다. 그물망부(107)는 제1 틀부(101a)와 제2 틀부(103a)의 프레임에 결합되어 하나의 공간을 이룬다. 그리고 그물망부(107)는 제1 틀부(101a)에 구비된 입구부(101b)가 오픈된 상태로 제1 틀부(101a)에 결합된다. 그리고 그물망부(107)는 제1 틀부(101a)의 저면(바닥면)은 오픈된 상태로 제1 틀부(101a)에 결합된다.
또한, 그물망부(107)는 제2 틀부(103a) 측에 인출부(107a)가 설치된다. 인출부(107a)는 그물망부(107)에 구멍과 같은 형태를 만들고 줄 등으로 그의 일부를 묶어 구멍 부분을 폐쇄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인출부(107a)는 입구부(101b)가 설치되는 부분의 반대측 또는 제2 틀부(103a)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인출부(107a)는 구멍이 뚫린 그물망부(107)의 주변을 끈으로 묶어 필요에 따라 폐쇄하기도 하고 오픈시킬 수 있는 구조를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포획된 새를 인출할 수 있는 구멍을 오픈 및 폐쇄를 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설치할 수 있다.
분리부(105)는 포획부(101)와 분리 공간부(103) 사이에 설치되어 포획된 부모새가 입구부(101b)로 다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완전하게 입구부(101b)를 봉쇄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분리부(105)는 제1 틀부(101a)와 제2 틀부(103a) 사이에 또 다른 프레임을 연결하여 만들어진 분리홈부(105a)를 포함한다. 분리홈부(105a)는 별도의 차단판(9)을 끼울 수 있다. 이러한 차단판(9)은 분리홈부(105a)에 끼워져 분리공간부(103)를 입구부(101b)와 완전하게 구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분리 공간부(103)는 포획된 부모새가 분리 공간부(103)에 안전하게 있도록 한다.
구동원(3)은 포획틀(1)에 설치될 수 있으며 회전 분리판(5)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동원(3)은 수신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
회전 분리판(5)은 구동원(3)에 의해 회전 또는 이동할 수 있다. 회전 분리판(5)은 구동원(3)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포획틀(1)에 포획된 부모새를 서서히 분리 공간부(103)측으로 밀어서 이동시키고, 동시에 분리 공간부(103)를 입구부(101b)와 차단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회전 분리판(5)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대략 사각형상의 틀에 그물망을 결합시켜 판 모양으로 제작할 수 있다. 회전 분리판(5)은 구동원(3)에 의해 매우 낮은 속도로 서서히 이동하면서 입구를 점차 좁힘과 동시에 둥지 위에 있는 부모새를 분리 공간부(103)로 밀어낼 수 있다. 이러한 회전 분리판(5)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구동원(3)에 의해 회전할 수 도 있지만, 다른 예시로 입구를 막으면서 부모새를 분리 공간부(103)측으로 서서히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회전 분리판(5)은 지면과 일정한 높이가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포란을 하는 부모새를 분리 공간부(103)로 밀어 넣을 때 둥지와 알은 그대로 남겨두고 부모새만 분리 공간부(103)로 서서히 밀어 낼 수 있는 정도로 지면과 간격을 이루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트롤러(7)는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구동원(3)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컨트롤러(7)는 100m 이상의 원거리에서 작동이 가능하며 연구원이 구동원을 제어할 수 있는 작동스위치(도시생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포획틀(1)의 일측에는 포획틀(1)의 입구부(101b) 및 포획틀(1)의 내부를 촬영하는 촬영부(1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촬영부(11)는 원거리에 떨어져 있는 디스플레이(13)에 촬영된 화면을 출력하는 원격 제어 카메라 또는 CCTV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촬영부(11)는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13)에 출력함과 동시에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촬영부(11)에서 저장된 영상은 포란 중인 물떼새의 습성 및 포획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황을 추후에 확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연구원은 포획틀(1)의 인근에 촬영부(11)를 설치하고 물떼새의 포란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원거리에서 디스플레이(13)를 통해 물떼새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물떼새를 안전하게 포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조류 포획용 안전 트랩을 이용하여 포란 중인 물떼새를 포획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원은 물떼새의 알이 있는 둥지를 확인하고, 둥지 위에 포획틀(1)의 포획부(101)가 올려지도록 설치한다. 포획틀(1)의 포획부(101)는 하부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알이 있는 둥지 위에 자연스럽게 올려질 수 있다(도 1 참조).
그러면 포획틀(1)의 입구부(101b)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입구부(101b)를 통해 알이 있는 둥지에 부모새가 자유롭게 들어갈 수 있다. 그리고 설치된 포획틀(1)과 인접한 위치에 관찰 카메라인 촬영부(11)를 설치한다. 이때 촬영부(11)는 포획틀(1)의 입구부(101b)와 알이 있는 둥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배치한다. 촬영부(11)의 원격 조정이 가능한 경우에는 컨트롤러(7)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촬영부(11)의 촬영위치를 바꾸면서 원거리에서 관찰할 수 있다. 그러면 촬영부(11)에서 촬영된 영상은 디스플레이(13)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구원은 원거리에서 디스플레이(13)를 확인하면서 부모새가 알이 있는 둥지로 들어가는 것을 확인한다(도 3 및 도 4 참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모새가 포란을 위해 둥지에 있는 상태를 확인하면, 컨트롤러(7)를 통해 구동원(3)을 작동시킨다. 구동원(3)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 분리판(5)을 서서히 회전된다. 이때 회전 분리판(5)은 대략 0.1m/s의 낮은 속도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회전 분리판(5)은 제1 틀부(101a)의 벽에 붙어 있는 상태에서 서서히 이동하면서 부모새를 분리 공간부(103) 측으로 밀어 낸다. 이때 회전 분리판(5)은 부모새를 분리 공간부(103)로 서서히 밀어내면서 입구부(101b) 쪽에서부터 천천히 닫혀 입구부(101b)의 간격을 줄인다. 즉, 회전 분리판(5)은 부모새를 입구부(101b)의 반대편으로 서서히 모는 역할을 한다. 즉, 회전 분리판(5)이 서서히 움직이므로, 부모새가 놀라지 않고 자연스럽게 알과 분리되어 분리 공간부(103)측으로 밀리면서 이동된다(도 5 참조).
계속해서 회전 분리판(5)의 이동에 의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모새는 둥지의 알에서 분리되어 분리 공간부(103)에 있게 된다. 그리고 회전 분리판(5)은 분리 공간부(103)를 폐쇄하는 상태가 된다.
도 7은 회전 분리판(5)이 회전면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입구부(101b)의 간격이 서서히 좁혀지면서 막히게 되고 이동 동시에 부모새를 알에서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분리판(5)은 부모새를 알에서 완전하게 분리한 후에 분리 공간부(103)에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분리 공간부(103)를 폐쇄하는 상태로 만들 수 있다.
그러면 연구원은 포획틀(1)로 가서 차단판(9)을 분리홈부(105a)에 삽입할 수 있다(도 8 참조). 물론 이러한 차단판(9)으로 분리 공간부(103) 차단하지 않더라도 회전 분리판(5)이 분리 공간부(103)를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하지만, 차단판(9)은 연구원이 부모새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부모새가 회전 분리판(5)을 밀어내고 입구부(101b) 측으로 이동하여 탈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연구원은 인출부(107a)를 열어 손을 넣어 부모새를 꺼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분리 공간부(103)가 큰 경우에는 제1 링크(103b)와 제2 링크(103c), 그리고 제3 링크(103d)와 제4 링크(103e)의 힌지 결합 부분을 이용하여 각각의 링크를 회전시켜 분리 공간부(103)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도 9 참조). 이와 같이 제1 링크(103b)와 제2 링크(103c), 그리고 제3 링크(103d)와 제4 링크(103e)를 회전시켜 분리 공간부(103)의 크기를 줄이면 부모새의 파닥거리는 행위를 제한할 수 있어 부모새를 더욱 쉽게 분리 공간부(103)에서 인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거리에서 회전 분리판(5)을 서서히 회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부모새를 알에서 분리하고, 동시에 부모새를 분리공간부(103) 측으로 이동시켜 물떼새류의 부모새와 알을 모두 안전하게 포획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회전 분리판(5)이 매우 낮은 속도로 서서히 회전이동 하면서 부모새를 분리 공간부(103)로 서서히 밀어 내어 부모새를 놀라지 않게 하면서 매우 안정적인 상태로 포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구원이 원거리에서 포획틀(1)을 관찰할 수 있고 부모새가 안전하게 포획된 상태에서 연구원이 포획틀(1)로 이동하므로 안전하고 용이하게 물떼새류를 포획하여 연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획틀(1)을 접이식으로 구성하여 부피를 줄이고 운반과 설치가 용이하여 여러 장소를 쉽게 이동하여 연구에 필요한 물떼새류를 포획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포획틀,
101. 포획부, 101a. 제1 틀부,
101b. 입구부
103. 분리 공간부, 103a. 제2 틀부,
103b. 제1 링크, 103c. 제2 링크,
103d. 제3 링크, 103e. 제4 링크,
105. 분리부, 105a. 분리홈부,
107. 그물망부, 107a. 인출부,
3. 구동원, 5. 회전 분리판,
7. 컨트롤러, 9. 차단판,
11. 촬영부, 13. 디스플레이

Claims (6)

  1. 입구부를 구비한 포획틀,
    상기 포획틀에 설치되는 구동원,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포획틀에 포획된 새를 상기 포획틀 내부의 일측 공간인 분리공간부로 밀어내어 이동시키고 동시에 상기 분리공간부를 폐쇄시키는 회전 분리판, 그리고
    상기 구동원을 원격으로 제어하여 구동시키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조류 포획용 안전 트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획틀은
    프레임들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일정한 공간을 이루는 제1 틀부,
    또 다른 프레임들이 상기 제1 틀부에서 연장되거나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틀부에서 연장되는 공간을 이루는 제2 틀부, 그리고
    상기 제1 틀부와 상기 제2 틀부에 결합되는 새를 포획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그물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틀부에 상기 입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틀부에 결합된 그물망부에 포획된 새를 인출하는 인출부가 형성되는 조류 포획용 안전 트랩.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틀부는
    포획된 새가 회전 분리판에 의해 이동되는 분리 공간부를 이루며,
    상기 분리 공간부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링크들이 결합되는 조류 포획용 안전 트랩.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틀부와 상기 제2 틀부 사이에는
    포획된 새가 분리 공간부에 있도록 유지하며 상기 제2 틀부의 분리 공간부의 일측을 폐쇄하는 차단판이 끼워지는 분리홈부를 구비한 조류 포획용 안전 트랩.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분리판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이 결합되어 틀을 이루고,
    상기 틀에 그물망이 결합되어 판 모양을 이루며,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가 떨어진 위치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조류 포획용 안전 트랩.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획틀의 일측에는 상기 포획틀의 입구부 및 상기 포획틀의 내부를 촬영하여 송신하는 촬영부가 설치되고,
    상기 촬영부에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촬영부에서 송신된 영상을 받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조류 포획용 안전 트랩.
KR1020200095994A 2020-07-31 2020-07-31 조류 포획용 안전 트랩 KR102429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994A KR102429274B1 (ko) 2020-07-31 2020-07-31 조류 포획용 안전 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994A KR102429274B1 (ko) 2020-07-31 2020-07-31 조류 포획용 안전 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675A true KR20220015675A (ko) 2022-02-08
KR102429274B1 KR102429274B1 (ko) 2022-08-03

Family

ID=80251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994A KR102429274B1 (ko) 2020-07-31 2020-07-31 조류 포획용 안전 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92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2253B1 (ko) 2023-07-10 2024-01-05 이춘항 조류 포획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0566Y1 (ko) * 1978-10-17 1980-05-14 이상진 쥐 틀
KR100692628B1 (ko) * 2006-02-10 2007-03-1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류용 포획장치
KR20080000184U (ko) * 2008-01-10 2008-02-14 전남식 조류 포획용 트랩
KR20080064791A (ko) * 2008-06-20 2008-07-09 서기원 개방형 라이브 트랩
KR20140119927A (ko) * 2013-03-29 2014-10-13 주식회사 세스코 포획기용 관리제어장치
KR20170103092A (ko) * 2016-03-03 2017-09-13 스마클(주) 동물 생포용 트랩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0566Y1 (ko) * 1978-10-17 1980-05-14 이상진 쥐 틀
KR100692628B1 (ko) * 2006-02-10 2007-03-1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류용 포획장치
KR20080000184U (ko) * 2008-01-10 2008-02-14 전남식 조류 포획용 트랩
KR20080064791A (ko) * 2008-06-20 2008-07-09 서기원 개방형 라이브 트랩
KR20140119927A (ko) * 2013-03-29 2014-10-13 주식회사 세스코 포획기용 관리제어장치
KR20170103092A (ko) * 2016-03-03 2017-09-13 스마클(주) 동물 생포용 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9274B1 (ko) 202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1727B2 (en) Humane animal trap
KR102429274B1 (ko) 조류 포획용 안전 트랩
EP3250028A2 (en) Device to manage honey bee's swarming
CN104735979B (zh) 浣熊捕获用模块及浣熊捕获装置
KR20130069909A (ko) 해충 포획용 다용도 콘트랩 장치
KR200446750Y1 (ko) 포획망 내부로 유인제가 구비되는 말벌포획장치
KR20180050986A (ko) 양봉용 관제 시스템
US20140053452A1 (en) Insect Trap Apparatus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WO20190467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GHTING BIRDS
KR20230159811A (ko) 무산쇠족제비 안전 포획장치
RU2114529C1 (ru) Роеуловитель
KR20200065235A (ko) 유해 동물 포획장치
KR20150118857A (ko)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
RU240457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овли роевых пчел
KR101842060B1 (ko) 동물포획을 위한 낙하 포획장치
CN215851934U (zh) 一种基于果园病虫害防控的植保无人机
CN208228063U (zh) 分蜂群收捕装置
JP3050966U (ja) 野生動物捕獲器
EP2103210A2 (en) Autonomous cage for the capture of birds
KR102230146B1 (ko) 꿀벌의 벌통 위에 설치되는 말벌 포획기
US202200469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rd control using laser
KR102622253B1 (ko) 조류 포획장치
KR102366738B1 (ko) 다람쥐 포획틀
JP2014128223A (ja) 囲い罠、檻及び檻付き囲い罠
JP6879509B2 (ja) 獣用囲い罠及び獣捕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