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8857A -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 - Google Patents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8857A
KR20150118857A KR1020140045031A KR20140045031A KR20150118857A KR 20150118857 A KR20150118857 A KR 20150118857A KR 1020140045031 A KR1020140045031 A KR 1020140045031A KR 20140045031 A KR20140045031 A KR 20140045031A KR 20150118857 A KR20150118857 A KR 20150118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plate
door
frames
wild anim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5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5188B1 (ko
Inventor
김종석
Original Assignee
김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석 filed Critical 김종석
Priority to KR1020140045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188B1/ko
Publication of KR20150118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16Box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16Box traps
    • A01M23/20Box traps with dropping doors or sli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의 프레임(110)들을 격자형상으로 연결하면서 각 프레임(110)들간은 철망(111)으로 커버하여 철망틀(11)로서 이루어지는 사방의 측면(12)들이 상부면(13)에 맞춤결합되고, 측면(12) 중 앞뒷면에는 안쪽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제1 도어(14)를 형성하며, 지상에 위치되도록 하향 개방되게 구비되는 상부 트랩(10); 상기 상부 트랩(10)의 하부에서 복수의 프레임(210)들에 평판의 판재(211)를 결합한 사방의 측판(21)들 하단부가 하부판(22)에 맞춤결합되도록 하고, 상향 개방한 밀폐식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지하에 매립되는 하부 트랩(20); 상기 상부 트랩(10)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 트랩(20)의 상단부가 맞춤결합되면서 상부 트랩(10)과 하부 트랩(20)의 공간이 분리되도록 하며, 판면에는 하향 개방되는 제2 도어(31)를 형성하고, 제1 도어(14)측의 판면에는 복수의 확인창(33)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경계판(3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연속적이면서 안전하게 야생동물을 포획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Interative catch device of wild animals}
본 발명은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야생동물에 의한 피해가 심한 지역에서 지상에 노출되는 트랩을 통해서는 야생동물을 유인하고, 유인된 야생동물은 지하에 매설한 트랩으로 자동 낙하되게 하여 다수의 야생동물을 연속해서 포획할 수 있도록 하는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생동물은 법적으로 포획이 금지되어 있어 한시적으로 허용된 기간 및 장소에서만 지정한 야생동물만을 사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멧돼지나 고라니 등과 같은 야생동물에 의한 농가의 피해가 다수 속출하고 있어 대책이 시급하나 야생동물을 산채로 포획하는 것이 쉽지 않은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야생동물들의 출현은 산이나 들에서의 먹이 사냥이 쉽지가 않기 때문이며, 특히 동절기와 같은 시기에는 비닐하우스나 주택가에까지 침범하여 급기야 인명사상까지 초래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되기도 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안정적인 먹이 섭취를 위해 동절기가 아닌 시기에도 농가에 자주 출몰하면서 농가 피해가 날로 심해지고 있으며, 이들 야생동물에 의한 출현이 농가의 대단한 위협이 되는 상황에까지 이르고 있다.
이를 위해서 최근에는 야생동물을 산채로 포획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포획장치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포획장치로서 등록실용신안 제0426592호(2006.09.07.명칭: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는 개방된 입구로 들어온 야생동물이 발판을 누름과 동시에 출입구가 닫혀지도록 하여 포획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경계가 심한 야생동물들이 발판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미끼로 걸어둔 먹이만 물고 나가거나 개폐문의 작동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폐단이 있었다.
이와 같은 폐단을 개선시키고자 제안한 등록특허 제1049146호(2011.07.07.명칭:동물 포획장치)는 출입구의 작동성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부에 갇힌 야생동물에 의한 충격에 대해서도 닫힌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는 있으나, 일단 한번 갇힌 야생동물을 꺼내기 전까지는 재차 야생동물을 포획할 수가 없어 포획할 수 있는 마리수가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멧돼지와 같이 힘이 센 야생동물에 의해서는 갇힌 상태에서의 강력한 반항에 의해 포획장치에 심한 손상이 발생되어 재사용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0426592호(2006.09.07.) 등록특허 제1049146호(2011.07.07.)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폐단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야생동물을 유인하기 위한 지상의 상부 트랩과 유인한 야생동물이 낙하하면서 갇히도록 하는 지하의 하부 트랩으로 구비되도록 하여 상부 트랩에는 항상 포획된 야생동물이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연속적인 포획이 가능하도록 하는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후방 제1 도어가 안쪽으로만 회전하는 수평 스윙방식으로 작동하고, 상부 트랩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2 도어는 하향으로만 회전하는 수직 스윙방식으로 작동되게 함으로써 상부 트랩으로 유인하여 하부 트랩으로 자연낙하되는 야생동물의 탈출이 완벽하게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계판에 복수의 확인창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게 함으로써 하부 트랩에 갇힌 야생동물의 확인과 함께 안전하게 마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는, 복수의 프레임들을 격자형상으로 연결하면서 각 프레임들간은 철망으로 커버하여 철망틀로서 이루어지는 사방의 측면들이 상부면에 맞춤결합되고, 측면 중 앞뒷면에는 안쪽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제1 도어를 형성하며, 지상에 위치되도록 하향 개방되게 구비되는 상부 트랩; 상기 상부 트랩의 하부에서 복수의 프레임들에 평판의 판재를 결합한 사방의 측판들 하단부가 하부판에 맞춤결합되도록 하고, 상향 개방한 밀폐식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지하에 매립되는 하부 트랩; 상기 상부 트랩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 트랩의 상단부가 맞춤결합되면서 상부 트랩과 하부 트랩의 공간이 분리되도록 하며, 판면에는 하향 개방되는 제2 도어를 형성하고, 제1 도어측의 판면에는 복수의 확인창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경계판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는 상부 트랩의 내부로 유인한 야생동물이 경계판의 제2 도어를 통해 하부 트랩으로 추락되게 함으로써 상부 트랩에서는 포획된 야생동물이 항상 비어 있도록 하여 연속적인 포획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부 트랩이 지하에 매설되게 함으로써 포획한 동물에 의한 어떠한 저항에도 손상이 방지될 수 있어 반 영구적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확인창을 통해 추락한 야생동물의 확인 및 마취총을 이용한 마취가 가능하여 보다 효과적인 포획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의 제1 도어를 예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의 상부 트랩 중 면간 연결 구조를 예시한 요부 확대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의 경계판을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의 확인창을 예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의 설치 구조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는 크게 상부 트랩(10)과 하부 트랩(20) 및 경계판(30)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상부 트랩(10)은 복수의 철망틀(11)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며, 철망틀(11)은 복수의 프레임(110)들을 격자형상으로 연결하고, 격자형상의 프레임(110)들 사이는 일정 간격으로 짜여진 철망(111)에 의해서 커버되도록 하는 구성이며, 이때 격자형상의 프레임(110)간을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여 보강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 트랩(10)은 이러한 철망틀(11)을 이용하여 사방의 측면(12)과 함께 상부면(13)을 각각 형성하도록 하고, 사방의 측면(12)들은 상단부가 상부면(13)에 맞춤 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부 트랩(10)은 하향 개방되는 구성이며, 사방의 측면(12) 중 앞뒷면에는 한 쌍의 철망틀(11)로서 이루어지는 스윙방식으로 개폐되는 제1 도어(14)가 구비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의 제1 도어를 예시한 평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도어(14)는 측면(12)의 앞뒤면에서 각각 한 쌍의 철망틀(11)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며, 이들 각 철망틀(11)은 상호 대응되는 바깥측의 단부가 경첩(15)에 의해 힌지축설되도록 하여 상호 마주보는 단부들이 안쪽으로만 회전하면서 경첩(15)에서의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복귀되는 스윙방식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제1 도어(14)는 안쪽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개방되고, 경첩(15)에서의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서 자동으로 닫혀지도록 하고 있다.
특히 제1 도어(14)의 한 쌍의 철망틀(11)간은 상호 마주보는 단부간이 일정 폭으로 이격되도록 하여 야생동물이 쉽게 유인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의 상부 트랩 중 면간 연결 구조를 예시한 요부 확대 평면도로서, 본 발명의 상부 트랩(10)에서 사방의 측면(12)을 이루는 각 철망틀(11)은 각 측면(12)의 단부간 프레임(110)끼리는 경첩(16)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하여 철망틀(11)간이 회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절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부 트랩(10)의 측면(12)들은 상부면(13)을 이루는 철망틀(11)에 맞춤결합되며, 이들간은 용접에 의해서 고정되게 연결할 수도 있으나, 분리 가능하게 별도의 체결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체해결이 가능하게 연결되게 할 수도 있다.
상부 트랩(10)은 지상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상부 트랩(10)의 하부에는 일정 깊이의 지하에 매설되도록 하부 트랩(20)이 구비되도록 한다.
하부 트랩(20)은 상부 트랩(1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사이즈로서 형성되도록 하는 박스형상의 구성이다.
하부 트랩(20)은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프레임(210)들에 평판의 판재(211)가 용접에 의해 결합되도록 한 측판(21)들과 이 측판(21)들의 하단부가 맞춤 결합되도록 하는 평판의 바닥판(22)으로 이루어지는 상향 개방되도록 하는 밀폐형의 구성이다.
이들 각 측판(21)들은 상부 트랩(10)에서와 마찬가지로 측단부들간 접혀질 수 있도록 경첩(23)에 의해 연결되도록 한다.
상부 트랩(10)이 지상에 설치되는 것과 달리 하부 트랩(20)은 지하에 매설되는 구성이므로 하부 트랩(20)은 사방이 밀폐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의 경계판을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경계판(30)은 상부 트랩(10)과 하부 트랩(20)의 사이에서 이들 양 트랩(10)(20)의 내부공간을 분리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경계판(30)은 상부 트랩(10)의 바닥면을 이루는 동시에 하부 트랩(20)의 천정면을 이루는 구성이다.
따라서, 경계판(30)의 상부면 외주연부와 하부면 외주연부에는 상부 트랩(10)의 하단부와 하부 트랩(20)의 상단부가 맞춤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300)이 형성되도록 한다.
경계판(30)에는 하향 회전하도록 하는 제2 도어(31)가 형성되며, 제2 도어(31)는 한 쌍의 판면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판면은 서로 반대측의 제1 도어(14)측 단부가 경첩(3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고정된다.
한편, 경계판(30)의 제2 도어(31)는 경첩(32)이 구비되는 반대측 단부를 축으로 서로 마주보는 단부가 하향으로만 일정 각도를 회전하는 스윙방식으로 개방되도록 하며, 개방된 각 도어는 경첩(32)에서의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서 자동으로 닫혀지게 된다.
제2 도어(31)는 닫혀진 상태일지라도 야생동물이 발버등치면서 제2 도어(31)를 하부로부터 상부로 충격을 가할 수가 있으므로 이와 같은 충격에도 결코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를 위해서 제2 도어(31)는 경첩(32)이 구비되는 면간 상호 밀착되게 형성되도록 하고, 더불어 측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스토퍼 플레이트(34)가 제2 도어(31)의 양측 하단부에 일체로 구비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경계판(30)에는 제2 도어(31)와 함께 제2 도어(31)의 바깥측인 제1 도어(14)측의 판면에는 확인창(33)이 구비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의 확인창을 예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확인창(33)은 하부 트랩(20)에 야생동물이 포획되었는지를 확인함과 동시에 포획된 야생동물을 꺼내기 전에 마취총으로 마취시킬 수 있도록 하는 비교적 작은 사이즈의 개구(330)와 이 개구(330)를 개폐하는 제3 도어(331)으로 이루어진다.
확인창(33)의 개구(330)는 하부 트랩(2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성이나 하부 트랩(20)에서 야생동물이 머리나 발을 노출시킬 경우 자칫 사고를 유발할 수가 있으므로 경계판(30) 저면에는 개구(330)를 가로 지르는 형상으로 복수의 창살(332)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확인창(33)의 개구(330)는 제3 도어(331)에 의해서 항상 닫혀진 상태가 되도록 하고, 필요한 순간에만 개방하도록 한다.
다만, 제1 도어(14)와 제2 도어(31)가 스윙식 도어인 것과는 달리 제3 도어(331)는 일단을 축으로 상향 개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확인창(33)은 앞뒷쪽에서 양측으로 각각 하나씩 한 쌍으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어떠한 방향에서도 하부 트랩(20)의 내부를 확인하기 용이하다.
한편, 하부 트랩(20)에서의 야생동물 포획여부를 확인창(33)을 통해 직접적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원격지에서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부 트랩(20)의 내부나 제2 도어(31)에 CCTV나 무선감지장치가 구비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되는 하부 트랩(20)과 경계판(30)의 결합으로만 형성도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를 제작 및 설치하는 방법과 함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이하에서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은 상부 트랩(10)을 이루는 철망틀(11)로서 사방의 측면(12)과 상부면(13)을 각각 제작하고, 하부 트랩(20)은 복수의 프레임(210)에 평판의 판재(211)를 결합하여 사방의 측판(21)을 이루고, 이 측판(21)들의 하단부에는 바닥판(22)이 맞춤결합되도록 제작한다.
각각 분리되게 제작한 상부 트랩(10)의 측면(12)들은 각각 사이드측의 프레임(110)간을 경첩(16)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하여 도 6과 같이 완전히 접혀질 수 있도록 한다.
상부 트랩(10)의 측면(12)간을 경첩(16)에 의해 접혀지도록 하여 면간 겹쳐지게 하면 이동 시 운반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적재가 용이하므로 최소한의 적재면적으로 최대한 적재 및 보관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상부 트랩(10)의 측면(12)들은 동일한 방식의 철망틀(11)로서 이루어지는 상부면(13)에 각 상단부의 프레임(110)이 단순히 맞춤결합에 의해 연결되게 할 수도 있고, 이렇게 맞춤결합한 상태에서 별도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체해결이 가능하게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기 위해서는 야생동물이 넘어갈 수 없는 충분한 높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트랩(10)과 마찬가지로 하부 트랩(20)도 사방의 측면을 이루는 측판(21)들간 경첩(23)에 의해서 연결되게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측면들이 접혀질 수 있도록 한다.
다만 하부 트랩(20)은 각 측판(21)의 하단부가 바닥판(22)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한 가이드홈에 맞춤결합되게 할 수도 있고, 별도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호 체해결이 가능하게 결합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부 트랩(10)과 하부 트랩(20)이 각각 제작되면 하부 트랩(20)의 상부로 경계판(30)이 맞춤 결합되도록 하는 동시에 경계판(30)의 상부로는 다시 상부 트랩(10)의 하단부가 맞춤 결합되도록 한다.
경계판(30)에 각각 상부 트랩(10)과 하부 트랩(20)이 맞춤 결합되도록 하면 하부 트랩(20)의 내부에서 야생동물이 경계판(30)에 충격을 가하게 되더라도 경계판(30)은 상부 트랩(10)의 하중에 의해 전혀 충격을 받지 않게 되므로 야생동물들을 안전하게 가둬둘 수가 있게 된다.
하지만 야생동물들에 의해 경계판(30)으로의 충돌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므로 하부 트랩(20)의 높이 또한 상부 트랩(10)과 같이 야생동물에 의한 접촉이 불가한 충분한 높이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만 경계판(30)으로부터 상부 트랩(10)과 하부 트랩(20)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체결수단을 이용해서 언제라도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도 보다 바람직하다.
이렇게 본 발명은 각각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현장에서 맞춤조립되게 하면서 설치되도록 한다.
야생동물이 자주 출현하는 길목에 우선 하부 트랩(20)이 수용될 수 있는 사이즈로 땅을 판 후 하부 트랩(20)이 먼저 매설되도록 하고, 이 하부 트랩(20)의 상단부에 경계판(30)을 덮은 후 경계판(30)의 상부로 상부 트랩(10)이 지상에서 노출되도록 함에 의해 간단히 설치가 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의 설치 구조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가 설치되고, 상부 트랩(10)의 내부에서 상부면 철망틀(11)의 중간에 야생동물이 즐겨 먹는 미끼를 달아두게 되면 모든 설치는 완료된다.
본 발명의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로 야생동물이 접근하면 상부 트랩(10)에 형성한 제1 도어(14)의 철망틀(11)간을 일정 폭으로 이격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야생동물의 유인이 좀더 쉽게 이루어질 수가 있다.
즉, 제1 도어(14)의 양측 철망틀(11) 사이가 일정 폭으로 벌어져 있게 되면 이 틈 사이로 미끼가 보여지면서 경계심이 한층 가벼워지게 되므로 야생동물이 보다 안심하고 제1 도어(14)를 밀고 상부 트랩(10)의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야생동물이 미끼에 가까이 근접하는 순간 야생동물의 체중이 경계판(30)의 제2 도어(31)에 얹혀지는 순간 제2 도어(31)가 하향 개방되면서 야생동물을 하부 트랩(20)으로 떨어지도록 한다.
하부 트랩(20)에 일단 떨어지게 되면 제2 도어(31)는 자동으로 경첩(32)에서의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여 폐쇄되는 상태가 되므로 야생동물은 하부 트랩(20)에 갇히는 상태가 된다.
하부 트랩(20)은 지하에 매설되므로 하부 트랩(20)의 내부는 빛이 거의 없어 하부 트랩(20)에 갇힌 야생동물은 처음엔 좀 당황할 수가 있으나 시간이 지나지면서 조용하게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 트랩(10)에 유인되어 하부 트랩(20)으로 야생동물이 갇히게 되면 상부 트랩(10)은 처음과 동일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므로 또 다른 야생동물을 연속해서 유인할 수가 있다.
연속해서 야생동물이 상부 트랩(10)의 내부로 유인되어 순간적으로 하부 트랩(20)에 떨어지게 함으로써 반복적으로 야생동물의 포획이 가능할 뿐 아니라 하부 트랩(20)에 갇힌 야생동물은 확인창(33)을 통해서 쉽게 관찰이 가능하므로 확인창(33)을 통한 야생동물의 포획 여부 및 상태를 체크하고, 포획된 야생동물은 확인창(33)을 통해 마취총을 이용하여 마취가 되도록 한다.
야생동물이 마취되면 인력이나 장비를 동원하여 상부 트랩(10)과 경계판(30)을 순차적으로 분리시켜 하부 트랩(20)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하부 트랩(20)으로부터 마취된 상태의 야생동물만을 들어올리는 방식으로 야생동물을 꺼내도록 한다.
다만 야생동물이 하부 트랩(20)에 언제 갇히게 되는지를 확인창(33)을 통한 육안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하부 트랩(20) 또는 경계판(30)에 설치되도록 한 CCTV나 무선감지장치를 통해 원격지에서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포획사실을 확인하기 위한 인력의 손실 또는 야생동물을 하부 트랩(20)에 장시간 방치하게 되는 사례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도록 한다.
따라서, 야생동물이 포획되는 즉시 그 사실을 즉각적으로 파악하여 빠른 시간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면 야생동물을 장시간 방치함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안전한 포획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부 트랩(10)을 제거한 상태에서도 지하에 매설한 하부 트랩(20)의 상단부에 경계판(30)을 맞춤 조립한 후 경계판(30)을 주위의 위장물로 위장시킨 상태로도 사용은 가능하다.
다만 이때의 경계판(30)은 상부로 개방될 수도 있으므로 별도의 체결장치를 통해 체해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부 트랩(20)이 지하에 매설되도록 하여 지상에서는 포획된 야생동물이 보이지 않게 야생동물이 포획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야생동물의 연속적인 포획이 가능토록 하는 동시에 포획된 야생동물의 포획 확인과 마취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의 편리함을 제공하면서 보다 안전하게 야생동물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10 : 상부 트랩 11 : 철망틀
110 : 프레임 111 : 철망
12 : 측면 13 : 상부면
14 : 제1 도어 15,16 : 경첩
20 : 하부 트랩 21 : 측판
22 : 하부판 23 : 경첩
30 : 경계판 31 : 제2 도어
32 : 경첩 33 : 확인창
330 : 개구 331 : 제3 도어
332 : 창살 34 : 스토퍼 플레이트

Claims (11)

  1. 복수의 프레임들을 격자형상으로 연결하면서 각 프레임들간은 철망으로 커버되도록 한 철망틀로서 이루어지는 사방의 측면들이 상부면에 맞춤결합되고, 측면 중 앞뒷면에는 안쪽으로 개방되도록 제1 도어를 형성하며, 지상에 위치되도록 하향 개방되게 구비되는 상부 트랩;
    상기 상부 트랩의 하부에서 복수의 프레임들에 평판의 판재를 결합한 사방의 측판들 하단부가 하부판에 맞춤결합되도록 하고, 상향 개방되는 밀폐식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지하에 매립되는 하부 트랩;
    상기 상부 트랩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 트랩의 상단부가 맞춤결합되면서 상부 트랩과 하부 트랩의 공간이 분리되도록 하며, 판면에는 하향 개방되는 제2 도어를 형성하고, 제1 도어측의 판면에는 복수의 확인창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경계판;
    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는 각각 한 쌍의 철망틀로서 이루어지면서 상호 반대측 단부가 경첩으로 연결되어 각각 안쪽으로만 회전하면서 개방되도록 하고, 바깥쪽으로는 상기 경첩의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복귀되면서 닫혀지도록 하는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는 한 쌍의 철망틀간 상호 마주보는 단부간을 일정 폭으로 이격되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트랩의 상부면은 철망틀로서 이루어지는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트랩의 각 측면은 상부면과 체해결이 가능하도록 체결수단으로 연결되는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트랩과 상기 하부 트랩은 사방의 측면과 측판이 인접하는 측단부간 각각 경첩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여 판면간 접혀질 수 있도록 하는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
  7. 복수의 프레임들에 평판의 판재를 결합한 사방의 측판들 하단부가 하부판에 맞춤결합되도록 하고, 상향 개방되는 밀폐식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지하에 매립되는 하부 트랩;
    상기 하부 트랩의 상단부가 맞춤결합되며, 판면에는 하향 개방되는 제2 도어를 형성하고, 제2 도어의 바깥측 판면에는 복수의 확인창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경계판;
    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부 트랩은 사방의 측판이 인접하는 측단부간 각각 경첩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여 판면간 접혀질 수 있도록 하는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판의 상부면 외주연부와 하부면 외주연부에는 상기 상부 트랩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 트랩의 상단부가 맞춤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어는 상기 경계판에서 한 쌍의 판면으로 이루어지면서 서로 반대측의 단부는 경계판과 경첩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서로 마주보는 단부가 하향으로만 일정 각도를 회전하면서 상기 경첩의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복귀되는 스윙형식으로 구비되는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트랩에는 내부에 포획된 야생동물의 포획 여부 또는 상태를 원격지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도록 CCTV 또는 무선감지장치가 설치되는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
KR1020140045031A 2014-04-15 2014-04-15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 KR101625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031A KR101625188B1 (ko) 2014-04-15 2014-04-15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031A KR101625188B1 (ko) 2014-04-15 2014-04-15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857A true KR20150118857A (ko) 2015-10-23
KR101625188B1 KR101625188B1 (ko) 2016-05-27

Family

ID=54427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5031A KR101625188B1 (ko) 2014-04-15 2014-04-15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1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6790A (zh) * 2018-09-30 2018-12-18 温必华 一种四面进口的捕鼠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268Y1 (ko) 2019-01-28 2019-11-08 김달하 유해 야생동물 포획장치
KR102124812B1 (ko) 2019-09-30 2020-07-07 주식회사 피스 유해동물용 자동 포획장치
KR102165053B1 (ko) 2020-01-10 2020-10-13 김지영 동물 포획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240B1 (ko) * 2006-01-10 2007-04-09 대한민국 동물 포획장치
JP2008283930A (ja) * 2007-05-21 2008-11-27 Hotoku Sekizai:Kk 捕獲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6790A (zh) * 2018-09-30 2018-12-18 温必华 一种四面进口的捕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5188B1 (ko) 2016-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16184B (zh) 具有可互换插入件的通用有害动物捕捉站
KR101049146B1 (ko) 동물 포획장치
KR101625188B1 (ko)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
KR102090426B1 (ko) 멧돼지 포획틀
KR102124812B1 (ko) 유해동물용 자동 포획장치
KR101071875B1 (ko) 동물 포획장의 개폐문 개폐장치
KR101211511B1 (ko) 점착 트랩용 케이스
KR101071876B1 (ko) 동물 포획장의 개폐문장치
KR102463241B1 (ko) 야생동물 포획틀
US107091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rd control
KR100703240B1 (ko) 동물 포획장치
KR20100115337A (ko) 동물의 포획장치
US20140053452A1 (en) Insect Trap Apparatus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2011024446A (ja) 箱形罠
KR102132159B1 (ko) 유해 동물 포획장치
US3828460A (en) Rodent trap
CN202406896U (zh) 连续捕鼠器
KR20200065235A (ko) 유해 동물 포획장치
KR102052609B1 (ko) 조립식 포획틀
JP5475741B2 (ja) 動物捕獲器
KR200488175Y1 (ko) 유해 야생동물 포획용 틀
JP3170855U (ja) 猪・鹿捕獲檻罠
JP2014128223A (ja) 囲い罠、檻及び檻付き囲い罠
JP4266884B2 (ja) 小動物捕獲器
JPH0711589Y2 (ja) 野生動物捕獲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