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4469A -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4469A
KR20220014469A KR1020200093951A KR20200093951A KR20220014469A KR 20220014469 A KR20220014469 A KR 20220014469A KR 1020200093951 A KR1020200093951 A KR 1020200093951A KR 20200093951 A KR20200093951 A KR 20200093951A KR 20220014469 A KR20220014469 A KR 20220014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ousing
pair
electrostatic mask
support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7978B1 (ko
Inventor
박근혜
마대천
차희철
최규락
이해인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93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978B1/ko
Publication of KR20220014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4Agitating, stirring, or scrap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마스크를 정화사키기 위한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이 힌지결합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부, 정전마스크가 걸쳐지고 하우징부의 내부에 위치하여 미세진동하는 미세진동부,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을 연결하는 지지부, 하우징부의 내측면 및 미세진동부와 결합하여 정전마스크로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조사부, 하우징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미세진동부 및 광조사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우징부와 결합하는 동작설정부, 미세진동부와 대향하도록 하우징부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우징부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순환부 및 미세진동부, 적어도 하나의 광조사부, 전원동작부, 동작설정부 및 순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미세진동부는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미세진동하면서 정전마스크로부터 정전마스크에 붙어 있던 미세먼지를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A drying device for electrostatic mask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전마스크를 건조, 살균 및 소독할 수 있는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는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활속에 노출된 매연과 분진 등의 각종 오염 물질과 꽃가루, 최근 심각한 환경 문제로 인식되고 있는 미세먼지와 황사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마스크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장시간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을 경우, 마스크가 축축해지게 되고 마스크에 세균이 번식하기 쉬워지게 되기 때문에 일회용 마스크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밖으로 외출 시에 아주 잠깐만 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에도 마스크는 쉽게 축축해지고 냄새가 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잠깐 착용했던 마스크를 다시 착용하려고 하면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하나의 마스크를 오랫동안 사용하는 것은 건강에 해롭지만 잠깐 사용한 마스크를 버리고 새로운 마스크를 사용하는 것은 경제적으로나 환경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이 발생함에 따라 마스크를 재활용하기 위한 기술들이 연구 및 개발되어 왔으나, 이러한 건조기 또는 살균기들은 휴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휴대가 가능한 건조기 또는 살균기들이 있긴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의 건조기 또는 살균기들은 마스크의 건조나 살균에 집중하여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문헌 1)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9-0002673호(2019.10.25.)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2037062호(2019.10.22.)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전마스크를 거치할 수 있는 미세진동부가 미세진동함에 따라 정전마스크로부터 미세먼지를 분리시키고, 순환부가 분리된 미세먼지를 외부로 배출시켜 정전마스크의 상태를 초기화시키는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부의 내측면과 미세진동부의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광조사부를 설치하여 정전마스크를 건조 및 살균함은 물론 정전마스크에 조사되는 사각지대를 최소화시키는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정전마스크를 정화사키기 위한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이 힌지결합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정전마스크가 걸쳐지고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위치하여 미세진동하는 미세진동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을 연결하는 지지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면 및 상기 미세진동부와 결합하여 상기 정전마스크로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조사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미세진동부 및 상기 광조사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와 결합하는 동작설정부; 상기 미세진동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순환부; 및 상기 미세진동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조사부, 상기 전원동작부, 상기 동작설정부 및 상기 순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진동부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미세진동하면서 상기 정전마스크로부터 상기 정전마스크에 붙어 있던 미세먼지를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정전마스크를 정화사키기 위한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이 힌지결합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정전마스크가 걸쳐지고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위치하여 미세진동하는 미세진동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면 및 상기 미세진동부와 결합하여 상기 정전마스크로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조사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미세진동부 및 상기 광조사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와 결합하는 동작설정부; 상기 미세진동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순환부; 및 상기 미세진동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조사부, 상기 전원동작부, 상기 동작설정부 및 상기 순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은 일측이 개방된 중공형상의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양단과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제2 하우징이며, 상기 미세진동부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미세진동하면서 상기 정전마스크로부터 상기 정전마스크에 붙어 있던 미세먼지를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세진동부는, 상기 힌지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의 일면과 대향하는 타측에 결합되는 탄성재질의 연결부재; 및 상기 순환부와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미세진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미세진동부재가 상기 미세진동함에 따라 함께 미세진동함으로써 상기 정전마스크로부터 상기 미세먼지의 분리를 배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세진동부재는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상기 순환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미세진동부재의 외측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조사부 중 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조사부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조사부는 상기 정전마스크의 내측면 및 외측면으로 상기 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은 일측이 개방된 중공형상의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이고,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은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하며,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는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연결하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내측 지지부; 및 상기 내측 지지부와 인접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연결하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외측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지지부는 상기 내측 지지부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측 지지부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일측이 상기 제1 하우징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에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제1 내측 지지부재;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일측이 상기 제2 하우징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에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제2 내측 지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1 내측 지지부재의 타측과 상기 한 쌍의 제2 내측 지지부재의 타측을 각각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내측 지지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2 내측 지지부재를 힌지결합시키는 제1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내측 지지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2 내측 지지부재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에 접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이 개방되면, 상기 한 쌍의 제1 내측 지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2 내측 지지부재는 동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측 지지부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일측이 상기 제1 하우징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에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외측 지지부재;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일측이 상기 제2 하우징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에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제2 외측 지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1 외측 지지부재의 타측과 상기 한 쌍의 제2 외측 지지부재의 타측을 각각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외측 제1 지지부재와 상기 한 쌍의 외측 제2 내측부재를 힌지결합시키는 제1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외측 지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2 외측 지지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제1 내측 지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2 내측 지지부재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외측 지지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2 외측 지지부재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에 접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이 개방되면, 상기 한 쌍의 제1 외측 지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2 외측 지지부재는 동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는 상기 힌지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의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에 형성되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순환팬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순환팬은 회전하면서 상기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에 따라 상기 미세먼지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작설정부는 상기 미세진동부의 진동세기, 상기 광조사부의 광조사량, 상기 순환부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 상기 미세진동부, 상기 광조사부 및 상기 순환부의 동작시간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하우징은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a) 하우징부가 정전마스크를 수용하는 단계; (b) 동작설정부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동작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c) 미세진동부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동작정보에 따라 미세진동하여 상기 정전마스크에 붙어 있던 미세먼지를 상기 정전마스크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 (d) 광조사부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동작정보에 따라 광을 상기 정전마스크로 조사하는 단계; (e) 순환부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동작정보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있는 내부 공기 및 상기 미세먼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동작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미세진동부, 상기 광조사부 및 상기 순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신호는 상기 미세진동부의 진동세기, 상기 광조사부의 광조사량, 상기 순환부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 상기 미세진동부, 상기 광조사부 및 상기 순환부의 동작시간을 조절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하우징부가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이 개방되는 단계; (a2) 상기 정전마스크가 미세진동부에 거치되는 단계; 및 (a3)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이 결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동작설정부가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단계; (b2)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동작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b3) 상기 동작설정부가 상기 제어부로 상기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동작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미세진동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c2) 상기 미세진동부가 상기 동작신호에 따라 미세진동하여 상기 정전마스크로부터 상기 미세먼지를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동작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광조사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c2) 상기 광조사부가 상기 동작신호에 따라 상기 정전마스크로 상기 광을 조사하여 상기 정전마스크를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d1)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동작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순환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c2) 상기 순환부가 구비한 순환팬이 상기 동작신호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내부 공기 및 상기 미세먼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전에, 전원공급부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미세먼지부, 상기 광조사부, 상기 동작설정부 및 상기 순환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정전마스크를 거치할 수 있는 미세진동부가 미세진동함에 따라 정전마스크로부터 미세먼지를 분리시키고, 순환부가 분리된 미세먼지를 외부로 배출시켜 정전마스크의 상태를 초기화시킴에 따라 정전마스크를 재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하우징부의 내측면과 미세진동부의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광조사부를 설치하여 정전마스크를 건조 및 살균함은 물론 정전마스크에 조사되는 사각지대를 최소화시킴에 따라 위생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가 개방된 것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가 개방된 것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측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가 개방된 것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의 동작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1.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제1 실시예)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100)는 정전마스크를 정화사키기 위한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에 있어서, 하우징부(110), 미세진동부(120), 지지부(130), 광조사부(140), 전원공급부(150), 동작설정부(160), 순환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정전마스크는 정전필터가 포함되어 있는 마스크이며, 본 발명에서는 정전마스크를 살균, 건조 및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것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으나, 일반적인 마스크 및 그외에 살균, 건조 및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다른 사물(예를 들어, 손수건 등)들도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가 개방된 것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가 개방된 것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측면사시도이다.
하우징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111, 112)이 힌지결합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111, 112)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일측이 개방된 중공형상의 제1 하우징(111) 및 제2 하우징(112)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하우징(111) 및 제2 하우징(112)은 6면 중 1면이 없고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이고, 제1 하우징(111) 및 제2 하우징(112)의 모서리는 라운딩처리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1) 및 제2 하우징(112)은 결합하면, 내부와 외부가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하다.
또한, 제1 하우징(111) 및 제2 하우징(112)의 적어도 일부는 힌지결합됨에 따라 제1 하우징(111)와 제2 하우징(112)이 열고 닫힐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아울러, 제1 하우징(111) 및 제2 하우징(112)은 본 발명이 휴대용인 것을 감안하여 플라스틱 계열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경량화를 통해 휴대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한 제1 하우징(111) 및 제2 하우징(112)의 하부면에는 순환부(170)가 형성된다.
미세진동부(120)는 정전마스크가 걸쳐지고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위치하여 미세진동한다.
구체적으로 미세진동부(120)는 전원공급부(150)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미세진동하면서 정전마스크로부터 정전마스크에 붙어 있던 미세먼지를 분리시킨다.
이를 위한 미세진동부(120)는 연결부재(121) 및 미세진동부재(122)를 포함한다.
연결부재(121)는 힌지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의 일면과 대향하는 타측에 결합되며, 탄성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연결부재(121)는 미세진동부재(122)가 동작하면서 미세진동하면, 미세진동에 따라 3자유도(x축, y축, z축)로 미세하게 진동할 수 있는 탄성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121)는 미세진동부재(122)가 미세진동함에 따라 함께 미세진동함으로써 정전마스크로부터 미세먼지의 분리를 배가시킨다.
또한, 연결부재(121)에는 정전마스크의 귀걸이를 거치시킬 수 있는 돌출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미세진동부재(122)는 순환부(170)와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연결부재(121)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미세진동부재(122)는 연결부재(121)로부터 순환부(170)를 향하여 연장된다. 미세진동부재(122)의 길이는 정전마스크를 연결부재(121)에 거치시켰을 경우, 정전마스크의 내측면 전체 영역을 커버할 수 있을 만큼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세진동부재(122)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광조사부(140) 중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3을 참조하면, 미세진동부재(122)의 외측면에는 광조사부(140)가 서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복수 개가 형성된다.
지지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111, 112)을 연결하기 위한 내측 지지부(131) 및 외측 지지부(132)를 포함한다.
상기한 내측 지지부(131) 및 외측 지지부(132)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내측 지지부(131)의 양단 및 외측 지지부(132)의 양단은 회전하면서 제1 하우징(111) 및 제2 하우징(112)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라운딩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지지부(131)는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2)을 연결하고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며, 한 쌍으로 구성된다.
내측 지지부(131)는 제1 내측 지지부재(131a), 제2 내측 지지부재(131b) 및 제1 고정부재(131c)를 포함한다.
제1 내측 지지부재(131a)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일측이 제1 하우징(111)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에 힌지결합되며, 한 쌍으로 구성된다.
제2 내측 지지부재(131b)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일측이 제2 하우징(112)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에 힌지결합되며, 한 쌍으로 구성된다.
제1 고정부재(131c)는 한 쌍의 제1 내측 지지부재(131a)의 타측과 한 쌍의 내측 제2 지지부재(131b)의 타측을 각각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한 쌍의 제1 내측 지지부재(131a)와 한 쌍의 제2 내 지지측부재(131b)를 힌지결합시킨다.
만약, 제1 내측 지지부재(131a)와 제2 내측 지지부재(131b)가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2)의 내부에 접혀 있는 상태에서 제1 하우징(111) 및 제2 하우징(112)이 도 2 및 도 3과 같이 개방되면, 한 쌍의 제1 내측 지지부재(131a) 및 한 쌍의 제2 내측 지지부재(131b)는 동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펴지게 된다.
외측 지지부(132)는 내측 지지부(131)와 인접하도록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2)을 연결하고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며, 한 쌍으로 구성된다.
또한, 외측 지지부(132)는 내측 지지부(131)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상부에 위치한다.
이를 위한 외측 지지부(132)는 제1 외측 지지부재(132a), 제2 외측 지지부재(132b) 및 제2 고정부재(132c)를 포함한다.
제1 외측 지지부재(132a)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일측이 제1 하우징(111)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에 힌지결합되며, 한 쌍으로 구성된다.
제2 외측 지지부재(132b)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일측이 제2 하우징(112)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에 힌지결합되며, 한 쌍으로 구성된다.
제2 고정부재(132c)는 한 쌍의 제1 외측 지지부재(132a)의 타측과 한 쌍의 제2 외측 지지부재(132b)의 타측을 각각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한 쌍의 외측 제1 지지부재(132a)와 한 쌍의 외측 제2 내측부재(132b)를 힌지결합시킨다.
이때, 한 쌍의 제1 외측 지지부재(132a) 및 한 쌍의 제2 외측 지지부재(132b)는 한 쌍의 제1 내측 지지부재(131a) 및 한 쌍의 제2 내측 지지부재(131b)보다 길게 형성된다.
만약, 제1 외측 지지부재(132a)와 제2 외측 지지부재(132b)가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2)의 내부에 접혀 있는 상태에서 제1 하우징(111) 및 제2 하우징(112)이 개방되면, 한 쌍의 제1 외측 지지부재(132a) 및 한 쌍의 제2 외측 지지부재(132b)는 동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펴지게 된다.
즉, 제1 내측 지지부재(131a)와 제2 내측 지지부재(131b)는 제1 고정부재(131c)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링크 구조를 가진다. 또한, 제1 외측 지지부재(132a)와 제2 외측 지지부재(132b) 역시 제2 고정부재(132)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링크 구조를 가진다.
광조사부(140)는 하우징부(110)의 내측면 및 미세진동부(120)와 결합하여 정전마스크로 광(예시적으로 자외선)을 조사함에 따라 정전마스크를 건조시킴은 물론 살균 및 소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한 광조사부(140)는 기능 및 목적에 맞도록 광의 파장 대역을 다르게 설정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조사부(140) 중 일부는 미세진동부재(122)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광조사부(140) 중 다른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111, 112)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상기한 적어도 하나의 광조사부는 정전마스크의 내측면 및 외측면으로 광을 조사한다.
상기한 구조에 따른 본 발명은 광이 조사되지 않는 사각지대를 최소화시켜 정전마스크의 살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50)는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위치하고 미세진동부(120) 및 광조사부(140)로 전원을 공급한다. 예시적으로 전원공급부(150)는 충전에 의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일 수 있다.
동작설정부(160)는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부(1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우징부(110)와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동작설정부(160)는 미세진동부(120)의 진동세기, 광조사부(140)의 광조사량, 순환부(170)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동작설정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통하여 미세진동부(120), 광조사부(140) 및 순환부(170)의 동작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동작설정부(160)는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선택됨에 따른 동작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80)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미세진동부(120), 광조사부(140) 및 순환부(1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동작설정부(160)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미세진동부(120), 광조사부(140) 및 순환부(170)의 동작에 관한 정보들을 기반으로 빅데이터로 활용하여 기저장된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진동부(120)의 진동세기, 광조사부(140)의 광조사량, 순환부(170)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이 각각 약함, 중간, 강함으로 조절된다고 하면, 전체적으로 약하게 동작시키는 약모드는 미세진동부(120)의 진동세기, 광조사부(140)의 광조사량, 순환부(170)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을 모두 약함으로 동작하는 모드일 수 있다.
반대로 전체적으로 강하게 동작시키는 강모드는 미세진동부(120)의 진동세기, 광조사부(140)의 광조사량, 순환부(170)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을 모두 강함으로 동작하는 모드일 수 있다.
이외에도 미세진동부(120)의 진동세기를 중간으로, 광조사부(140)의 광조사량을 강함으로, 순환부(170)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을 약함으로 하는 모드가 적용될 수도 있다.
순환부(170)는 미세진동부(120)와 대향하도록 하우징부(110)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전원공급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우징부(11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구체적으로 순환부(170)는 힌지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111, 112)의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에 형성되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순환팬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전원공급부(150)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순환팬은 회전하면서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에 따라 미세먼지도 외부로 배출시킨다.
예를 들어, 순환팬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내부 공기 및 미세먼지가 외부로 배출된다고 가정했을 때, 상기한 순환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111, 112)가 닫힌 상태에서, 미세진동부(120) 및 광조사부(140)가 동작하는 경우에는 내부 공기 및 미세먼지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동작한다.
반대로, 외부 공기가 하우징부(110)의 내부로 유입된다고 한다면, 미세진동부(120) 및 광조사부(140)가 미동작하는 경우 중에 주변의 공기가 쾌적한 곳에서 순환팬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내부 공기를 하우징부(110)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순환부(170)는 제1 하우징(111) 및 제2 하우징(112)의 하부면에 형성됨에 따라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떨어지는 미세먼지를 외부로 더욱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는 미세진동부(120), 적어도 하나의 광조사부(140), 전원동작부(150), 동작설정부(160) 및 순환부(17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동작설정부(160)에서 전송되는 동작신호를 기반으로 미세진동부(120), 적어도 하나의 광조사부(140), 전원동작부(150) 및 순환부(170)의 동작을 제어한다.
추가적으로 제어부(180)는 동작신호에 포함된 모드나 동작시간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미세진동부(120), 적어도 하나의 광조사부(140), 전원동작부(150) 및 순환부(17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2.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제2 실시예)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를 설명하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를 참고하도록 하며,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요소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100)와 하우징부(110)의 형상 및 구조가 상이하며,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100)의 지지부(130)가 형성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가 개방된 것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는 정전마스크를 정화사키기 위한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111, 112, 113)이 힌지결합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부(110), 정전마스크가 걸쳐지고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위치하여 미세진동하는 미세진동부(120), 하우징부(110)의 내측면 및 미세진동부(120)와 결합하여 정전마스크로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조사부(140),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위치하고 미세진동부(120) 및 광조사부(14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50),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부(1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우징부(110)와 결합하는 동작설정부(160), 미세진동부(120)와 대향하도록 하우징부(110)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전원공급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우징부(11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순환부(170) 및 미세진동부(120), 적어도 하나의 광조사부(140), 전원동작부(150), 동작설정부(160) 및 순환부(17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111, 112, 113)을 포함하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111, 112, 11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중공형상의 제1 하우징(111) 및 제1 하우징(111)의 양단과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제2 하우징(112, 113)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한 쌍의 제2 하우징(112, 113)은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하다. 또한, 한 쌍의 제2 하우징(112, 113)은 제1 하우징(111)의 1/2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하우징(111) 및 한 쌍의 제2 하우징(112, 113)으로 구성되는 여닫이문과 같은 구조를 가짐에 따라 제1 실시예보다 적은 구성요소로도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3.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의 제어방법(제1 실시예)
이하, 도 1 내지 도 3,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의 동작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의 제어방법은 (a) 하우징부(110)가 정전마스크를 수용하는 단계, (b) 동작설정부(160)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동작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80)로 전송하는 단계, (c) 미세진동부(120)가 제어부(180)로부터 전송되는 동작정보에 따라 미세진동하여 정전마스크에 붙어 있던 미세먼지를 정전마스크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 (d) 광조사부(140)가 제어부(180)로부터 전송되는 동작정보에 따라 광을 정전마스크로 조사하는 단계, (e) 순환부(170)가 제어부(180)로부터 전송되는 동작정보에 따라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있는 내부 공기 및 미세먼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 및 (f) 제어부(180)가 동작신호를 기반으로 미세진동부(120), 광조사부(130) 및 순환부(170)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동작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미세진동부(120)의 진동세기, 광조사부(140)의 광조사량, 순환부(170)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을 조절하는 신호이고, 추가적으로 미세진동부(120), 광조사부(140) 및 순환부(170)의 동작시간을 조절하는 신호이다.
우선, 상기 (a) 단계는, (a1) 하우징부(110)가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111, 112)이 개방되는 단계, (a2) 정전마스크가 미세진동부(120)에 거치되는 단계, (a3)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이 결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음, 상기 (b) 단계는, (b1) 동작설정부(160)가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단계, (b2)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동작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3) 동작설정부(160)가 제어부(180)로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b) 단계 이전에, 본 발명은 전원공급부(150)가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미세먼지부(120), 광조사부(140), 동작설정부(160) 및 순환부(170)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상기 (c) 단계는, (c1) 제어부(180)가 동작신호를 수신하여 미세진동부(120)로 전송하는 단계 및 (c2) 미세진동부(120)가 동작신호에 따라 미세진동하여 정전마스크로부터 미세먼지를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음, 상기 (d) 단계는, (d1) 제어부(180)가 동작신호를 수신하여 광조사부(140)로 전송하는 단계 및 (c2) 광조사부(140)가 동작신호에 따라 정전마스크로 광을 조사하여 정전마스크를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e) 단계는, (d1) 제어부(180)가 동작신호를 수신하여 순환부(170)로 전송하는 단계 및 (c2) 순환부(170)가 구비한 순환팬이 동작신호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내부 공기 및 미세먼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에 따른 본 발명은 컴팩트한 구조를 도입하여 휴대성을 강화시킨 것으로서, 정전마스크에 붙어 있던 미세먼지를 정전마스크로부터 분리시키고 광을 조사하여 정전마스크를 살균시킴에 따라 정전마스크를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
110: 하우징부
111: 제1 하우징
112: 제2 하우징
120: 미세진동부
121: 연결부재
122: 미세진동부재
130: 지지부
131: 내측 지지부
131a: 제1 내측 지지부재
131b: 제2 내측 지지부재
131c: 제1 고정부재
132: 외측 지지부
132a: 제1 외측 지지부재
132b: 제2 외측 지지부재
132c: 제2 고정부재
140: 광조사부
150: 전원공급부
160: 동작설정부
170: 순환부
180: 제어부

Claims (19)

  1. 정전마스크를 정화사키기 위한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이 힌지결합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정전마스크가 걸쳐지고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위치하여 미세진동하는 미세진동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을 연결하는 지지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면 및 상기 미세진동부와 결합하여 상기 정전마스크로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조사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미세진동부 및 상기 광조사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와 결합하는 동작설정부;
    상기 미세진동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순환부; 및
    상기 미세진동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조사부, 상기 전원동작부, 상기 동작설정부 및 상기 순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진동부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미세진동하면서 상기 정전마스크로부터 상기 정전마스크에 붙어 있던 미세먼지를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
  2. 정전마스크를 정화사키기 위한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이 힌지결합되어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정전마스크가 걸쳐지고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위치하여 미세진동하는 미세진동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면 및 상기 미세진동부와 결합하여 상기 정전마스크로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조사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미세진동부 및 상기 광조사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와 결합하는 동작설정부;
    상기 미세진동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순환부; 및
    상기 미세진동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조사부, 상기 전원동작부, 상기 동작설정부 및 상기 순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은 일측이 개방된 중공형상의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양단과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제2 하우징이며,
    상기 미세진동부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미세진동하면서 상기 정전마스크로부터 상기 정전마스크에 붙어 있던 미세먼지를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
  3. 제1 항 및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진동부는,
    상기 힌지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의 일면과 대향하는 타측에 결합되는 탄성재질의 연결부재; 및
    상기 순환부와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미세진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미세진동부재가 상기 미세진동함에 따라 함께 미세진동함으로써 상기 정전마스크로부터 상기 미세먼지의 분리를 배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진동부재는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상기 순환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미세진동부재의 외측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조사부 중 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조사부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조사부는 상기 정전마스크의 내측면 및 외측면으로 상기 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은 일측이 개방된 중공형상의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이고,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은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하며,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는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연결하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내측 지지부; 및
    상기 내측 지지부와 인접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연결하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외측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지지부는 상기 내측 지지부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지지부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일측이 상기 제1 하우징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에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제1 내측 지지부재;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일측이 상기 제2 하우징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에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제2 내측 지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1 내측 지지부재의 타측과 상기 한 쌍의 제2 내측 지지부재의 타측을 각각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내측 지지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2 내측 지지부재를 힌지결합시키는 제1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내측 지지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2 내측 지지부재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에 접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이 개방되면,
    상기 한 쌍의 제1 내측 지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2 내측 지지부재는 동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지지부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일측이 상기 제1 하우징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에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외측 지지부재;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일측이 상기 제2 하우징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에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제2 외측 지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1 외측 지지부재의 타측과 상기 한 쌍의 제2 외측 지지부재의 타측을 각각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외측 제1 지지부재와 상기 한 쌍의 외측 제2 내측부재를 힌지결합시키는 제1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외측 지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2 외측 지지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제1 내측 지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2 내측 지지부재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외측 지지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2 외측 지지부재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에 접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이 개방되면,
    상기 한 쌍의 제1 외측 지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2 외측 지지부재는 동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
  10. 제1 항 및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는 상기 힌지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의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에 형성되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순환팬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순환팬은 회전하면서 상기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에 따라 상기 미세먼지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
  11. 제1 항 및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설정부는 상기 미세진동부의 진동세기, 상기 광조사부의 광조사량, 상기 순환부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 상기 미세진동부, 상기 광조사부 및 상기 순환부의 동작시간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
  12.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하우징은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
  13. (a) 하우징부가 정전마스크를 수용하는 단계;
    (b) 동작설정부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동작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c) 미세진동부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동작정보에 따라 미세진동하여 상기 정전마스크에 붙어 있던 미세먼지를 상기 정전마스크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
    (d) 광조사부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동작정보에 따라 광을 상기 정전마스크로 조사하는 단계;
    (e) 순환부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동작정보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있는 내부 공기 및 상기 미세먼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동작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미세진동부, 상기 광조사부 및 상기 순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신호는 상기 미세진동부의 진동세기, 상기 광조사부의 광조사량, 상기 순환부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 상기 미세진동부, 상기 광조사부 및 상기 순환부의 동작시간을 조절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하우징부가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이 개방되는 단계;
    (a2) 상기 정전마스크가 미세진동부에 거치되는 단계; 및
    (a3)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이 결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동작설정부가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단계;
    (b2)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동작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b3) 상기 동작설정부가 상기 제어부로 상기 동작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동작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미세진동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c2) 상기 미세진동부가 상기 동작신호에 따라 미세진동하여 상기 정전마스크로부터 상기 미세먼지를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동작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광조사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c2) 상기 광조사부가 상기 동작신호에 따라 상기 정전마스크로 상기 광을 조사하여 상기 정전마스크를 살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d1)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동작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순환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c2) 상기 순환부가 구비한 순환팬이 상기 동작신호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내부 공기 및 상기 미세먼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전에,
    전원공급부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미세먼지부, 상기 광조사부, 상기 동작설정부 및 상기 순환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00093951A 2020-07-28 2020-07-28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417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951A KR102417978B1 (ko) 2020-07-28 2020-07-28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951A KR102417978B1 (ko) 2020-07-28 2020-07-28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469A true KR20220014469A (ko) 2022-02-07
KR102417978B1 KR102417978B1 (ko) 2022-07-08

Family

ID=80253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951A KR102417978B1 (ko) 2020-07-28 2020-07-28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97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963A (ko) * 2017-09-28 2019-04-05 코웨이 주식회사 마스크 청소 장치
KR20200079925A (ko) * 2018-12-26 2020-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 장치, 마스크 보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963A (ko) * 2017-09-28 2019-04-05 코웨이 주식회사 마스크 청소 장치
KR20200079925A (ko) * 2018-12-26 2020-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 장치, 마스크 보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7978B1 (ko) 2022-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7731B1 (en) Cleaning device
RU2206340C2 (ru) Переносной бактерицидный воздушный фильтр
JP4561710B2 (ja) 脱臭機能再生装置
JP2004299841A (ja) ごみ箱
JP5218308B2 (ja) 脱臭機能再生装置
JP3214558U (ja) 空気清浄器
EP3073868B1 (en) Polifunctional bed
JP2009521979A (ja) 振動装置を具備したビデ
JP5366027B2 (ja) 空気清浄器
WO2020111306A1 (ko) 신발 내부 세척장치
KR20150142971A (ko) 이동식 공기청정기
KR20170031956A (ko) 넥밴드형 음이온 발생장치
KR102417978B1 (ko) 정전마스크용 건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10041725A (ko) 살균기능을 갖는 콘텍트렌즈 보관장치
KR20060012144A (ko)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춘 휴대폰 충전기
JP2009219531A (ja) 空気清浄機
US20220176003A1 (en) Personalized forced air purifier
KR102350241B1 (ko) 마스크 살균, 건조 및 탈취를 위한 장치
JP2009136305A (ja) ドライヤー
JP4681278B2 (ja) 空気清浄機
KR102197534B1 (ko) 층류 유동 공기 배출 기능을 가진 공간 살균기
KR102431940B1 (ko)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
KR102540072B1 (ko) 마스크 휴대용 살균장치
KR20220017734A (ko) 휴대용 마스크 보관장치
KR20090032435A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