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534B1 - 층류 유동 공기 배출 기능을 가진 공간 살균기 - Google Patents

층류 유동 공기 배출 기능을 가진 공간 살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534B1
KR102197534B1 KR1020200087288A KR20200087288A KR102197534B1 KR 102197534 B1 KR102197534 B1 KR 102197534B1 KR 1020200087288 A KR1020200087288 A KR 1020200087288A KR 20200087288 A KR20200087288 A KR 20200087288A KR 102197534 B1 KR102197534 B1 KR 102197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pace
space sterilizer
steriliz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창수
김영현
Original Assignee
(주)블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테크 filed Critical (주)블루테크
Priority to KR1020200087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5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층류 유동 공기 배출 기능을 가진 공간 살균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살균기는 덕트 형상의 측면 케이싱(110); 상기 측면 케이싱(110)의 베이스 측에 결합된 베이스 케이싱(120); 및 상기 측면 케이싱(110) 내에 배치된 팬(140);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 케이싱(110)은 공기 유입부(111), 공기 배출부(112), 및 상기 공기 유입부(111)와 상기 공기 배출부(112) 사이에 배치되며 공기 살균이 수행되는 공기 살균부(113)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층류 유동 공기 배출 기능을 가진 공간 살균기{A space sterilizer having a laminar flow air-discharging function}
본 발명은 사용자 주변에 살균 처리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공간 살균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살균 처리된 공기를 층류 유동으로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한 공간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실내 공기는 건강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 최근 실내 공기 개선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는 추세이며, 실내 공기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공기청정기를 들 수 있다. 공기청정기는 실내 공기를 빨아들이고 배출하는 과정에서 먼지 제거, 살균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공기청정기는 공기를 배출할 때 공기가 공기역학적으로 난류 유동(turbulence flow) 특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가능한 넓은 공간에 대해 공기 청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공기 배출 시에 난류 유동을 일으키려면 공기순환용 팬을 고속으로 회전시켜야 하므로 그에 상응하는 전력 소비 및 소음 발생이 따르게 된다.
공기청정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을 타깃으로 하는 제품이라면 난류 유동 대신에 층류 유동(laminar flow)의 접목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품이 놓인 곳에 인접한 주변 사람에게 양질의 공기를 공급할 목적이라면 층류 유동을 통한 공기 배출에 의해서도 그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그러한 목적에 적합한 제품은 없는 실정이므로 그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크다.
본 발명은 실내 공간 중 일부 공간을 타깃으로 공기 살균을 수행하고자 할 때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공간 살균기를 제공하는 데에 주된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덕트 형상의 측면 케이싱(110); 상기 측면 케이싱(110)의 베이스 측에 결합된 베이스 케이싱(120); 및 상기 측면 케이싱(110) 내에 배치된 팬(140);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 케이싱(110)은 공기 유입부(111), 공기 배출부(112), 및 상기 공기 유입부(111)와 상기 공기 배출부(112) 사이에 배치되며 공기 살균이 수행되는 공기 살균부(113)를 포함하는 공간 살균기를 제공한다.
상기 공간 살균기는 상기 공기 배출부(113)로부터 공기가 층류 유동(laminar flow)을 갖도록 상기 팬(140)의 속도가 제어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공간 살균기는 상기 공기 살균부(113) 내에 살균 램프(150)가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공간 살균기는 상기 공기 살균부 내에 이오나이저(160)가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공간 살균기는 상기 공기 살균부(113) 내에 나선형 구조를 가진 공기체류연장부재(170)가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공간 살균기는 상기 공기 유입부(111)의 내주면 상에 먼지 필터(181)가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공간 살균기는 상기 먼지필터(170) 상에 기능성 필터(182)가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공간 살균기는 상기 공기 배출부(112)가 상기 베이스 케이싱(120)과 대향 배치된 제1 배출구(115a) 및 상기 제1 배출구(115a)의 배출 방향과 다른 배출 방향을 가진 제2 배출구(115b)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배출부(113)에는 상기 제1 배출구(115a)와 상기 제2 배출구(115b)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유로전환부재(119)가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공간 살균기는 상기 공기 배출부(113) 상에 장착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유로확장부재(13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공간 살균기는 상기 팬(140)이 사용자 선택에 따라 층류 유동(laminar flow)을 발생시키는 제1 작동모드 및 난류 유동(turbulence flow)를 발생시키는 제2 작동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작동모드로 작동 가능하며, 상기 이오나이저(160)가 상기 팬(140)이 상기 제1 작동모드로 작동될 때 제1 전압을 인가받으며 상기 팬이 제2 작동모드로 작동될 때 상기 제1 고주파 전압보다 높은 제2 전압을 인가받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살균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 내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본 발명의 공간 살균기는 층류 유동 배출 방식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하게 설계되어 있어서 실내 공간의 일부를 타깃으로 하여 공간 살균을 수행하는 목적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둘째, 회의실, 카페 등의 장소에 사람들이 모여 있을 때 호흡선 주변에 비말 확산 가능성이 있는데 본 발명의 공간 살균기는 호흡선 주변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상부에 위치한 공기 배출부를 통해 층류 유동으로 배출할 수 있어서 바이러스 등을 포함한 비말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공간 살균기는 팬을 고속 회전하여 난류 유동 배출 방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공간 살균기는 실내 공간 전체를 대상으로 방역을 수행하는 목적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공간 살균기는 내부에 나선형 구조의 공기체류연장부재가 구비되어 있어서 유입 공기의 기기 내 체류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살균 작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의 공간 살균기는 유로전환부재가 구비되어 있어서 공기 배출 방향의 전환이 가능하고 또한 유로확장부재가 구비되어 있어서 유로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공기 배출 방향의 전환 기능 및 유로 길이 조절 기능이 구비됨으로써 본 발명의 공간 살균기를 사용 목적에 최적화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살균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공간 살균기의 내부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4는 공간살균기에 구비되는 유로확장부재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5는 공간살균기에 구비되는 유로전환부재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6은 공간살균기에 구비되는 공기체류연장부재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살균기를 층류 유동 배출 타입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살균기를 난류 유동 배출 타입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유로전환부재에 의한 유로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공간 살균기의 유로 길이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본 발명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살균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공간 살균기의 내부를 보이는 도면이고, 도 4는 공간살균기에 구비되는 유로확장부재를 보이는 도면이며, 도 5는 공간살균기에 구비되는 유로전환부재를 보이는 도면이며, 도 6은 공간살균기에 구비되는 공기체류연장부재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살균기는 측면 케이싱(110), 베이스 케이싱(120) 및 유로확장부재(130)를 포함한다.
측면 케이싱(110)은 덕트 형상으로 제작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케이싱(110)은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측면 케이싱(110)은 공기 유입부(111), 공기 배출부(112) 및 공기 살균부(113)를 포함한다.
공기 유입부(111)는 베이스 케이싱(120)에 인접되며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으로서 다수의 유입구들(111a)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 배출부(112)는 공간 살균기 내에서 살균 과정을 거친 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공기 배출부(112)에는 제1 배출구(115a) 및 제2 배출구(115b)가 형성된다. 제1 배출구(115a)는 베이스 케이싱(120)과 대향 배치된다. 제2 배출구(115b)는 제1 배출구(115a)와 다른 배출 방향을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출구(115a)는 상방향의 배출 방향을 가지며 제2 배출구(115b)는 측방향의 배출 방향을 가질 수 있다.
공기 살균부(113)는 공기 유입부(111)와 공기 배출부(112) 사이에 배치된다. 공기 살균부(113) 내에서 공기 살균이 수행된다.
베이스 케이싱(120)은 측면 케이싱(110)의 베이스 측에 결합되어 측면 케이싱(110)의 일측을 커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케이싱(120)은 측면 케이싱(110)의 바닥 측에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유로확장부재(130)는 측면 케이싱(110)의 공기 배출부(113) 상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유로확장부재(13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제작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확장부재(13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자바라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공간 살균기에 유로확장부재(130)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유로확장부재(130) 없이 공간 살균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공간 살균기 내에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팬(140)이 구비된다. 팬(140)은 측면 케이싱(110) 내에 배치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공기 유입부(111)와 공기 살균부(113) 간의 경계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케이싱(120)에는 그 중앙부로부터 소정 높이 연장 형성된 팬장착부(12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팬장착부(121)의 상단에 팬(140)이 장착될 수 있다.
팬(140) 작동에 의해 공기 유동이 발생됨으로써, 외부 공기가 공기 유입부(111)를 통해 공간 살균기 내부로 유입되고 공기 살균부(113)를 거치면서 살균 과정이 수행된 후 공기 배출부(112) 또는 유로확장부재(1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공기 살균부(113) 내에 살균 램프(150)가 배치된다. 살균 램프(150)는 UV 램프로 제작되며, 살균 램프(150)에서 조사되는 UV광에 의해 공기 살균부(113)를 통과하는 공기가 살균 작용을 받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 램프(150)는 공기 살균부(113)의 중앙부에 상하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공기 살균부(113) 내에 이오나이저(160)가 또한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오나이저는 공기 살균부(113)의 내벽에 장착될 수 있다. 이오나이저(160)는 음전하(e-) 및 오존(O3)을 배출함으로써 공기 살균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공기 살균부(113) 내에는 공기체류연장부재(170)가 또한 배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체류연장부재(170)는 나선형 구조를 가지며 그 상단부에는 고정부(171)가 마련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구조의 공기체류연장부재(170)가 공기 살균부(113) 내에 배치됨으로써 공기 살균부(113)를 통과하는 공기는 공기체류연장부재(170)에 의해 형성된 나선형의 유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체류연장부재(170)가 구비됨으로써 공기 살균부(113) 내에서 공기가 체류하는 시간이 연장될 수 있다. 설계 사양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공기체류연장부재(170)의 도입을 통해 공간 살균부 내에서 공기가 2~3초 정도 머무르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체류연장을 통해 유입 공기에 대한 살균 작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공기 유입부(111)의 내주면 상에는 먼지 필터(181)가 구비된다. 예로써 먼지 필터(181)는 부직포 필터로 제작될 수 있으며,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먼지필터(170) 상에는 기능성 필터(182)가 구비된다. 예로써, 기능성 필터(182)는 TiO2 카본 필터로 구비됨으로써 탈취 및 살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 필터(181) 및 기능성 필터(182)는 공기 유입부(1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공기 유입부(111)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공기 배출부(113)에는 유로전환부재(119)가 구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 배출부(112)는 배출 방향이 다른 제1 및 제2 배출구(115a, 115b)가 구비되는데, 사용자는 유로전환부재(119)를 사용하여 제1 및 제2 배출구(115a, 115b)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전환부재(119)에는 조작노브(119a)가 마련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조작부(119a)를 통해 유로전환부재(119)를 회동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배출구(115a, 115b)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도 2-(a)에는 제1 배출구(115a)가 개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2-(b)에는 제2 배출구(115a)가 개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2-(a)에서처럼 제1 배출구(115a)가 개방된 경우 제2 배출구(115b)는 유로전환부재(119)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고, 도 2-(b)에서처럼 제2 배출구(115b)가 개방된 경우 제1 배출구(115a)는 유로전환부재(119)에 의해 완전히 폐쇄된다.
베이스 케이싱(120)에는 제어보드(190)가 구비된다. 제어 보드(190)는 PCB 기판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제어 보드(190)는 공간 살균기 내의 전기 부품들(팬, 살균 램프, 이오나이저 등)에 전기를 공급하며 그것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 보드(190) 상에는 및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91) 및 이오나이저(160)에 고전압을 제공하는 고전압 발생부(192)가 구비된다.
2. 본 발명의 작동 및 사용 예시
2-1. 층류 유동(laminar flow) 타입의 적용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살균기를 층류 유동 배출 타입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간 살균기는 실내 공간 전체를 살균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실내 공간의 일부를 타깃으로 살균하고자 하는 경우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가령, 공부방의 책상 주변, 회의실의 테이블 주변, 침실의 요람 주변, 카페 내 고객 테이블 주변 등 소음발생은 최소화되면서도 실내의 공간 일부만을 살균시키고 싶은 경우이다.
이와 같이 사용하고자 경우 공간 살균기로부터 공기가 층류 유동(laminar flow)으로 배출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며, 사용자는 공간 살균기에 마련된 조작버튼(121)을 사용하여 층류 유동 배출 방식의 작동 모드(제1 작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90)는 팬(140)이 미리 정해진 저속 회전 모드로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팬(140) 회전에 따라 외부 공기가 공간 살균기 내로 유입되어 내부에서 살균 과정을 거친 후 외부로 배출되며, 팬(140)이 저속 회전하므로 살균된 공기는 층류 유동으로 외부로 배출된다.
살균된 공기가 층류 유동으로 배출되므로, 그 공기는 주변으로 은은하게 퍼지며 멀리 흩어지지 않고 공간 살균기 주변의 타깃 공간에 머무를 수 있다.
이러한 층류 유동 방식의 작동 모드(제1 작동 모드)로 본 발명의 공간 살균기가 사용되는 경우, 팬(140)이 비교적 느린 속도로 회전하므로 소음도 적고 전력 소모량도 적다.
회의실, 카페 등의 장소에 사람들이 모여 있을 때 호흡선 주변에 비말 확산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의 공간 살균기는 호흡선 주변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상부에 위치한 공기 배출부를 통해 층류 유동으로 배출할 수 있어서 바이러스 등을 포함한 비말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2-2. 난류 유동(laminar flow) 타입의 적용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살균기를 난류 유동 배출 타입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간 살균기는 실내 공간 전체를 방역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가령, 주택의 거실 공간 전체, 사무실의 공간 전체, 카페 내 공간 전체를 방역하고 싶은 경우이다.
이와 같이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공간 살균기로부터 공기가 난류 유동(turbulence flow)으로 배출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사용자는 공간 살균기에 마련된 조작버튼(121)을 사용하여 난류 유동 배출 방식의 작동 모드(제2 작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90)는 팬(140)이 미리 정해진 고속 회전 모드로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고전압 발생부(191)가 보다 높은 출력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고전압 발생부(191)의 출력이 높아짐에 따라 이오나이저(160)에서 발생되는 오존(O3)의 양이 보다 늘어나게 된다.
팬(140) 회전에 따라 외부 공기가 공간 살균기 내로 유입되어 내부에서 살균 과정을 거친 후 외부로 배출되며, 팬(140)이 고속 회전하므로 살균된 공기는 난류 유동으로 외부로 배출된다.
살균된 공기는 난류 유동으로 배출되므로, 그 공기는 큰 확산 에너지를 보유하기 있어서 비교적 멀리 퍼져나갈 수 있고 따라서 실내 공간 전체를 타깃으로 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때, 공간 살균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는 이오나이저(160)에 의해 공급된 비교적 많은 양의 오존(O3)이 포함되어 있으며, 오존의 강한 살균 작용에 의해 실내 공간에 대한 방역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제2 작동 모드로 사용하는 경우 공간 살균기로부터 보다 많은 양의 오존이 배출되므로, 다량의 오존이 인체에 해로울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방역 타깃 공간에 사람이 없는 상태에서 공간 살균기로 방역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3. 유로 전환 (배출 방향 전환)
도 9는 유로전환부재에 의한 유로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간 살균기는 유로전환부재(119)를 가지고 있어서 공기 배출 방향의 전환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조작노브(119a)를 사용하여 도 9-(a)와 같이 제1 배출구(115a)가 개방된 상태로 설정하거나 또는 제 9-(b)와 같이 제2 배출구(115b)가 개방된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도 9-(a)와 같이 선택된 경우 공간 살균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상방 배출되고, 도 9-(b)와 같이 선택된 경우 공간 살균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측면 배출된다.
도 9-(a)와 같이 상방 배출되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큰 공간을 타깃으로 할 때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고, 도 9-(b)와 같이 측면 배출되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을 타깃으로 할 때에 그리고 사람에게 살균된 공기를 직접적으로 제공하고자 할 때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2-4. 유로 길이 조절
도 10은 본 발명의 공간 살균기의 유로 길이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공간 살균기는 전술한 유로확장부재(130)를 구비하며, 유로 확장부재(130)는 공간 살균기에 착탈 가능하며 자바라 구조이므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 살균기는 유로확장부재(130) 없이 사용될 수도 있고,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 살균기는 유로확장부재(130)를 결합하여 사용하되 유로확장부재(130)의 길이가 최소화된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고,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 살균기는 유로확장부재(130)를 결합하여 사용하되 유로확장부재(130)가 최대로 신장된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물론 유로확장부재(130)의 길이를 도 9-(b)보다는 길고 도 9-(c)보다는 짧게 설정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공간 살균기는 유로확장부재(130)를 통해 유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사용 목적에 매우 충실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살균 목적의 타깃 공간이 클수록 유로의 길이를 길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10 : 측면 케이싱
111 : 공기 유입부
111a : 공기 유입구
112 : 공기 배출부
113 : 공기 살균부
115a : 제1 배출구
115b : 제2 배출구
119 : 유로전환부재
120 : 베이스 케이싱
121 : 조작버튼
130 : 유로확장부재
140 : 팬
150 : 살균램프
160 : 이오나이저
170 : 공기체류연장부재
181 : 먼지 필터
182 : 기능성 필터
190 : 제어보드
191 : 전원공급부
192 : 고전압 발생부

Claims (10)

  1. 덕트 형상의 측면 케이싱(110);
    상기 측면 케이싱(110)의 베이스 측에 결합된 베이스 케이싱(120); 및
    상기 측면 케이싱(110) 내에 배치된 팬(140);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 케이싱(110)은 공기 유입부(111), 공기 배출부(112), 및 상기 공기 유입부(111)와 상기 공기 배출부(112) 사이에 배치되며 공기 살균이 수행되는 공기 살균부(113)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살균부(113) 내에 이오나이저(160)가 배치되며,
    상기 팬(140)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층류 유동(laminar flow)을 발생시키는 제1 작동모드 및 난류 유동(turbulence flow)를 발생시키는 제2 작동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작동모드로 작동 가능하며,
    상기 이오나이저(160)는 상기 팬(140)이 상기 제1 작동모드로 작동될 때 제1 전압을 인가받으며 상기 팬(140)이 제2 작동모드로 작동될 때 오존 발생량 증가를 위해 상기 제1 전압보다 높은 제2 전압을 인가받는
    공간 살균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살균부(113) 내에 살균 램프(150)가 배치되는
    공간 살균기.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살균부(113) 내에 나선형 구조를 가진 공기체류연장부재(170)가 배치되는
    공간 살균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부(111)의 내주면 상에 먼지 필터(181)가 구비된
    공간 살균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먼지 필터(181) 상에 기능성 필터(182)가 구비된
    공간 살균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부(112)는 상기 베이스 케이싱(120)과 대향 배치된 제1 배출구(115a) 및 상기 제1 배출구(115a)의 배출 방향과 다른 배출 방향을 가진 제2 배출구(115b)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배출부(112)에는 상기 제1 배출구(115a)와 상기 제2 배출구(115b)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유로전환부재(119)가 구비된
    공간 살균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부(112) 상에 장착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유로확장부재(130)를 더 포함하는
    공간 살균기.
  10. 삭제
KR1020200087288A 2020-07-15 2020-07-15 층류 유동 공기 배출 기능을 가진 공간 살균기 KR102197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288A KR102197534B1 (ko) 2020-07-15 2020-07-15 층류 유동 공기 배출 기능을 가진 공간 살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288A KR102197534B1 (ko) 2020-07-15 2020-07-15 층류 유동 공기 배출 기능을 가진 공간 살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7534B1 true KR102197534B1 (ko) 2021-01-04

Family

ID=74127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288A KR102197534B1 (ko) 2020-07-15 2020-07-15 층류 유동 공기 배출 기능을 가진 공간 살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5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2809A (ko) * 2021-03-24 2022-10-04 이장문 비말 감염 예방을 위한 방역 기구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6221A (ja) * 2003-01-10 2004-08-05 Omc:Kk 霧化装置
JP2005502015A (ja) * 2001-03-20 2005-01-20 トウル メディテック アクテボラグ センシティブな環境向けの空気清浄装置
KR20110037271A (ko) * 2009-10-06 2011-04-13 신보미 공기 살균기
JP2011183126A (ja) * 2010-03-06 2011-09-22 Shield Tec Kk 空気殺菌装置
KR20130025565A (ko) * 2011-09-02 2013-03-12 최기홍 광고판이 구비된 공기 살균 정화기
KR101555814B1 (ko) * 2015-07-11 2015-09-25 주식회사 웰리스 공기살균장치
KR20150108471A (ko) * 2014-03-17 2015-09-3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살균 효과를 증가시키는 살균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실내 살균 시스템
KR20160006061A (ko) * 2014-07-08 2016-01-18 이영재 수직형 공기 교반장치
KR20160088688A (ko) * 2015-01-16 2016-07-26 메디슨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20170090209A (ko) * 2016-01-28 2017-08-0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공기 살균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KR20180138248A (ko) * 2017-06-19 2018-12-31 코웨이 주식회사 배출 유로를 이용하는 양방향 팬들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2015A (ja) * 2001-03-20 2005-01-20 トウル メディテック アクテボラグ センシティブな環境向けの空気清浄装置
JP2004216221A (ja) * 2003-01-10 2004-08-05 Omc:Kk 霧化装置
KR20110037271A (ko) * 2009-10-06 2011-04-13 신보미 공기 살균기
JP2011183126A (ja) * 2010-03-06 2011-09-22 Shield Tec Kk 空気殺菌装置
KR20130025565A (ko) * 2011-09-02 2013-03-12 최기홍 광고판이 구비된 공기 살균 정화기
KR20150108471A (ko) * 2014-03-17 2015-09-3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살균 효과를 증가시키는 살균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실내 살균 시스템
KR20160006061A (ko) * 2014-07-08 2016-01-18 이영재 수직형 공기 교반장치
KR20160088688A (ko) * 2015-01-16 2016-07-26 메디슨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101555814B1 (ko) * 2015-07-11 2015-09-25 주식회사 웰리스 공기살균장치
KR20170090209A (ko) * 2016-01-28 2017-08-0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공기 살균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KR20180138248A (ko) * 2017-06-19 2018-12-31 코웨이 주식회사 배출 유로를 이용하는 양방향 팬들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2809A (ko) * 2021-03-24 2022-10-04 이장문 비말 감염 예방을 위한 방역 기구
KR102629336B1 (ko) 2021-03-24 2024-01-29 이장문 비말 감염 예방을 위한 방역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69750T3 (es) Aparatos germicidas con configuraciones para llevar a cabo, de manera selectiva, diferentes modos de desinfección interiores y exteriores al aparato
JP2006034948A (ja) イオン発生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清浄機
WO2013176214A1 (ja) 帯電粒子送出装置及び送風装置
KR20180080155A (ko) 휴대용 다용도 공기정화기
TW201247253A (en) Humidifier with ultraviolet disinfection
GB2415497A (en) An air purifying and conditioning device
KR20180064250A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
KR102197534B1 (ko) 층류 유동 공기 배출 기능을 가진 공간 살균기
KR101406864B1 (ko) 방향 패치를 이용한 팬 타입 복합 기능 피톤치드 향 발산장치
JP2010276296A (ja) 加湿装置
JP2013213641A (ja) 空気調和装置及び空気調和方法
KR20210093104A (ko) 신발관리장치
CN211610930U (zh) 一种多功能空气消毒机
EP3769743A1 (en) Leg care apparatus
CN114183875A (zh) 空气净化装置及空气净化器
JP2020146164A (ja) 電気機器及び美顔器
WO2012169216A1 (ja) イオン発生機能付き送風機
JP4272571B2 (ja) イオン発生装置付きレンジフード
CN208799558U (zh) 一种毛巾消毒装置
CN113217993A (zh) 室内机控制方法及室内机
GB2340035A (en) Self-sterilising hand drier
CN216481484U (zh) 空气净化装置及空气净化器
JP2017048555A (ja) 便器の脱臭装置
KR20210093105A (ko) 신발관리장치
KR200400759Y1 (ko) 살균 탈취기능을 갖는 위생 신발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